KR101193456B1 - 모드설정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모드설정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456B1
KR101193456B1 KR1020050059680A KR20050059680A KR101193456B1 KR 101193456 B1 KR101193456 B1 KR 101193456B1 KR 1020050059680 A KR1020050059680 A KR 1020050059680A KR 20050059680 A KR20050059680 A KR 20050059680A KR 101193456 B1 KR101193456 B1 KR 101193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menu
button
input
sho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4242A (ko
Inventor
장진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9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456B1/ko
Publication of KR20070004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03B17/20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visible in viewfin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모드설정 조작방법은 하나의 메뉴버튼의 입력 기간에 따라 모드변경 상태와 하위 메뉴 변경상태를 구분하여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되는 모드 다이얼이 없이도 촬영모드 변경이 가능하므로 제품을 경량화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모드 다이얼의 기구적인 한계로 인하여 외부 충격에 의하여 촬영모드가 임의로 변경되는 문제점도 해결된다.

Description

모드설정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Mode setting method and digital image photographing device execu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모드다이얼이 구비된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모드다이얼의 설정에 따른 OSD가 표시된 LCD 모니터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설정가능한 모드와 그 OSD 아이콘을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모드설정 조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촬 영모드 변경상태를 나타낸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는 도 10에 OSD로 표시된 메뉴들의 설정상태를 나타낸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가지 촬영모드와 기능설정 메뉴들을 갖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는 촬영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다이얼과 메뉴 설정을 위한 메뉴 버튼을 각각 별도로 구비한다. 사용자는 모드 다이얼을 돌려서 원하는 촬영모드를 설정하고, 메뉴 버튼과 방향버튼을 조작하여 각 촬영모드에서의 메뉴를 설정한다.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되는 모드 다이얼은 외부 충격에 의한 촬영모드의 임의 변경, 모드 다이얼 기구의 추가적 구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제품이 경박단소(輕薄短小)화 되어가는 현 추세에서는 더욱 간단한 구성의 촬영모드 변경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드 다이얼 없이 촬영모드의 변경이 가능한 모드설정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제공하 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모드설정 조작방법은 하나의 메뉴버튼의 입력 기간에 따라 모드변경 상태와 하위 메뉴 변경상태를 구분하여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드설정 조작방법은 메뉴버튼이 입력되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메뉴버튼이 입력된 경우에 메뉴버튼이 소정 기간 이상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메뉴버튼이 소정 기간 이상 길게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모드 변경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및 메뉴버튼이 소정 기간 미만으로 짧게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현재 모드에서 설정 가능한 메뉴 변경상태로 진입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메뉴/모드 버튼; 메뉴/모드 이동 조작버튼; 상기 메뉴/모드 버튼이 소정 기간 이상/미만으로 길게/짧게 입력됨에 따라 촬영모드설정/메뉴설정으로 진입한 것을 인식하고, 상기 메뉴/모드 이동 조작버튼이 입력됨에 따라 촬영모드/하위메뉴를 변경하여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메뉴/모드 설정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뉴/모드 이동 조작버튼은 방향이동버튼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뉴/모드 이동 조작버튼은 조그 다이얼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 안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DSP(7)는 타이밍 회로(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auto gain control, AGC)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DSP(7)는 CDS-ADC 소자(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4)에는 DSP(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 및 기타 임시 처리 데이터가 임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에는 DSP(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 페이스(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DSP(Digital Signal Processor, 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LCD 구동부(14)에서 LCD 패널의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되어 칼라 LCD 패널(17)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DSP(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18)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8)와 그 접속부(19)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9) 및 비데오 출력부(20)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DSP(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DSP(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능 선택 버튼, 줌 버튼, 방향이동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을 발생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는 렌즈 구동부(1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및 조리개(aperture) 모터(MA)가 광학계(OPS) 안의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조리개를 각각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12)는 플래시-광량 센서(1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5)를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의 기능은 DSP(7)와 원칩(one chip)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는, 도 1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사양에 따라 그 구성요소 중 일부가 삭제되거나, 또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변형되거나, 여러 구성요소의 기능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2는 모드다이얼이 구비된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그 내부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에는, 뷰 파인더(100), 자동초점램프(101), 플래시 상태램프(102), 모드다이얼(103), 셔터버튼(104), LCD버튼(105), 광각줌 버튼(106), 망원줌 버튼(107), 메뉴/확인버튼(108), 방향/기능버튼(109), DC전원입력단자(110), 외부출력단자(111), 재생모드버튼(112), LCD 모니터(113), 수동초점 버튼(114), 자동노출 잠금버튼(115), 촬영화질 조정버튼(116) 등이 구비된다.
LCD 모니터(113)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현재 설정된 촬영모드와 상태를 나타내는 OSD(on screen display)가 표시되어 있다.
5기능 버튼(106)은 중앙에 메뉴(MENU)진입/확인(OK) 버튼, 상하좌우 방향 버튼을 구비한다. 모니터에 메뉴가 표시된 경우에 상하좌우 방향 버튼은 방향이동이 아닌 특수한 기능 버튼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여러 기능 버튼들은 디지털 카메라의 사양에 따라 그 명칭에서 나타나는 기능 이외에도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 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모드다이얼(103)의 설정에 따른 OSD가 표시된 LCD 모니터(113)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모드다이얼(103)에 의해 촬영모드는 자동(AUTO) 촬영모드로 설정되어 있고, LCD 화면(113)에는 배터리 잔량, 줌표시, 촬영가능 매수 등이 표시되어 있다.
모드다이얼(103)을 회전시킴에 따라 변경되는 각 촬영모드마다 LCD 화면(113)에 표시되는 화면에 표시되는 OSD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되는 모드 다이얼(103)은 외부 충격에 의한 촬영모드의 임의 변경, 모드 다이얼 기구의 추가적 구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에서 설정가능한 모드와 그 OSD 아이콘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촬영모드가 이에 의해 규정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촬영모드들은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자동 촬영모드는 사용자 설정을 최소화하여 간편하게 촬영할 수 있는 촬영모드이다. 프로그램 촬영모드는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촬영할 수 있는 모드이다. 조리개우선 촬영모드는 설정된 조리개 값에 따라 카메라가 자동으로 셔터 속도를 결정해주는 촬영모드이다. 셔터우선 촬영모드는 설정된 셔터 속도에 따라 카메라가 자동으로 조리개 값을 결정해주는 촬영모드이다. 수동 촬영모드는 사용자가 직접 셔터속도 및 조리개 값을 설정한다. 마이셋(MySET) 촬영모드는 자주 사용 하는 촬영 조건을 설정, 저장한 후 나중에 불러쓸 수 있는 촬영모드이다. 장면촬영모드(SCENE)는 야경, 인물, 풍경, 근접, 문자인식 등 여러가지 촬영상황에 따라 카메라 설정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촬영모드이다. 그리고 음성녹음 및 동영상 촬영모드 등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모드설정 조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메뉴버튼이 입력되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S100). 메뉴버튼이 입력되면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S102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S102 단계에서는 메뉴버튼이 소정 기간 이상 예컨대 1초 이상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02).
메뉴버튼이 1초 이상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촬영모드 변경으로 인식하고(S104), 1초 미만으로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메뉴 설정으로 인식한다(S110).
그리고 각각의 경우에 방향 버튼 조작(S106, S112)에 의하여 촬영모드를 선택(S108)하거나 하위 메뉴를 선택(S114)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메뉴/모드 버튼(2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메뉴 설정 또는 촬영 모드 변경 상태로의 진입을 지시하는 키 신호(201)를 발생한다. 메뉴/모드 버튼(200)은 도 5에 예시된 하나의 메뉴버튼(108)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뉴/모드 이동 조작버튼(202)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메뉴의 이동 또는 촬영모드의 이동을 지시하는 키 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204)는 메뉴/모드 버튼(200)이 소정 기간 예컨대 1초 이상으로 길게 입력되면 촬영모드 변경상태로 진입한 것으로 인식하고, 1초 미만으로 짧게 입력되면 메뉴 변경 상태로 진입하 것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제어부(204)는 메뉴/모드 이동 조작버튼(202)이 입력됨에 따라 촬영모드/하위메뉴를 변경하여 설정한다.
디스플레이부(206)는 메뉴/모드 설정 상태를 보여준다. 메뉴/모드 설정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206)의 예는 도 8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와의 차이점은 모드다이얼(도 2의 103)이 제거된 점이다. 도 6의 메뉴/모드 버튼(200) 및 메뉴/모드 이동 조작버튼(202)이 도 7에 예시된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각각 메뉴버튼(108) 및 방향버튼(109)에 의해 구현되어 촬영모드 변경 및 메뉴 설정이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와의 차이점은 모드다이얼(도 2의 103)이 제거된 점과 메뉴/모드 버튼(131)이 추가된 점이다. 도 6의 메뉴/모드 버튼(200) 및 메뉴/모드 이동 조작버튼(202)이 도 8에 예시된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각각 메뉴/모드 버튼(131) 및 방향버튼(109)에 의해 구현되어 촬영모드 변경 및 메뉴 설정이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방향버튼(140) 외주에 조그 다이얼(150)이 추가된 것이다. 도 6의 메뉴/모드 버튼(200) 및 메뉴/모드 이동 조작버튼(202)이 도 9에 예시된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각각 메뉴/모드 버튼(131) 및 조그 다이얼(150)에 의해 구현되어 촬영모드 변경 및 메뉴 설정이 이루어진다. 가운데의 방향버튼(140)은 촬영모드 변경 이외의 재생 이미지 선택, 메뉴 선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조그 다이얼(150)에 의하여 촬영모드를 변경하면 빠르게 촬영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구성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촬영모드를 변경하기 위하여는 메뉴/모드 버튼(131)을 길게 누른 후에 촬영모드 변경상태에서 조그 다이얼(150)을 회전시켜야 촬영모드가 변경된다. 따라서 종래 모드 다이얼의 기구적인 한계로 인하여 외부 충격에 의하여 촬영모드가 임의로 변경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모드 다이얼이 제거됨으로써 제품이 경박단소(輕薄短小)화 되어가는 현 추세에 적합한 간단한 구성의 다기능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가 구현되며, 종래 모드 다이얼의 기구적인 문제점도 해결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촬영모드 변경상태를 나타낸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도 8 또는 도 9의 상태인 프로그램(P) 촬영모드에서 메뉴/모드 버튼(131)을 소정 기간 예컨대 1초 이상 길게 입력하면 촬영모드 변경 상태로 진입하여 도 10의 윗 화면과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화면 중앙부에 설정 가능한 촬영모드들이 나타나고 화면 외곽 부분에 현재 설정된 프로그램 촬영모드(300)와 해상도(301), 화질(302), 측광방식(303), 자동 플래쉬 상태(304) 등이 OSD로서 표시된다. 화면 중앙부에는 현재 촬영모드인 프로그램(P) 모드 아이콘(305)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도 10의 윗 화면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8의 좌방향 버튼(109)을 입력하거나 도 9의 다이얼(15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촬영모드는 자동 촬영모드로 변경되어 자동 촬영모드 아이콘(308)이 확대되어 표시되고, 화면 외곽에는 자동 촬영모드에서 설정 가능한 메뉴들인 해상도(301), 화질(302), 적목 플래시 모드(207) 등이 OSD로서 표시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에 OSD로 표시된 메뉴들의 설정상태를 나타낸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사용자는 메뉴/모드 버튼을 짧게 입력하여 메뉴설정 모드로 진입한 후에 좌우 방향버튼을 이용하여 도 10의 해상도 메뉴(301), 도 11의 화질 메뉴(302), 도 12의 측광방식 메뉴(303)을 선택하고, 상하 방향버튼을 이용하여 하위메뉴로서 3072×2304 해상도, 고화질, 다분할 측광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여러개의 촬영모드와 하위 메뉴가 구성된 이미지 촬영이 가능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에도 적용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PMP는 MP3와 같은 음악 재생, 방송수신, 게임, 전자사전, 동영상 재생, 디지털카메라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갖춘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모드설정 조작방법은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이외에도 여 러개의 모드의 설정이 가능하고, 각 모드마다 설정되는 여러개의 메뉴가 존재하는 전자기기에서 모드 및 메뉴 설정을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TV 또는 DVD 등의 영상장치의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리모콘 등에도 본 발명의 모드설정 조작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메뉴버튼이 길게 입력된 경우에 모드변경 상태로 진입하고, 메뉴버튼이 짧게 입력된 경우에 현재 모드에서 설정 가능한 메뉴 변경상태로 진입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반대로 길게 입력된 경우에 메뉴 변경상태로 진입하고 짧게 입력된 경우에 모드 변경상태로 진입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균등범위에 속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되는 모드 다이얼이 없이도 촬영모드 변경이 가능하므로 제품을 경량화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모드 다이얼의 기구적인 한계로 인하여 외부 충격에 의하여 촬영모드가 임의로 변경되는 문제점도 해결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구비된 메뉴/모드버튼이 입력되었는지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메뉴/모드버튼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뉴버튼이 소정 기간 이상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메뉴/모드버튼이 제1기간 이상 길게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촬영 모드 변경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메뉴/모드버튼에 구비된 메뉴/모드 이동 조작버튼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모드버튼이 소정 기간 미만으로 짧게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현재 모드에서 설정 가능한 하위 메뉴 변경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메뉴/모드 이동 조작버튼 입력에 따라 상기 하위 메뉴를 변경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설정 조작방법.
  3. 메뉴/모드 버튼;
    상기 메뉴/모드버튼에 구비된 메뉴/모드 이동 조작버튼;
    상기 메뉴/모드버튼이 소정 기간 이상 길게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촬영 모드 변경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메뉴/모드버튼에 구비된 메뉴/모드 이동 조작버튼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촬영 모드를 변경하며, 상기 메뉴/모드버튼이 소정 기간 미만으로 짧게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현재 모드에서 설정 가능한 하위 메뉴 변경 상태로 진입하고 상기 메뉴/모드 이동 조작버튼 입력에 따라 상기 하위 메뉴를 변경하는 제어부; 및
    상기 촬영모드 변경 및 상기 하위 메뉴 변경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모드 이동 조작버튼은 방향이동버튼에 의해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모드 이동 조작버튼은 조그 다이얼에 의해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050059680A 2005-07-04 2005-07-04 모드설정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193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680A KR101193456B1 (ko) 2005-07-04 2005-07-04 모드설정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680A KR101193456B1 (ko) 2005-07-04 2005-07-04 모드설정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242A KR20070004242A (ko) 2007-01-09
KR101193456B1 true KR101193456B1 (ko) 2012-10-24

Family

ID=37870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680A KR101193456B1 (ko) 2005-07-04 2005-07-04 모드설정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4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776B1 (ko) * 2007-04-25 201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설정정보 변경이 용이한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0920A (ja) * 2001-05-23 2002-12-04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0920A (ja) * 2001-05-23 2002-12-04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242A (ko) 200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3522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ocessing on-screen display when a shutter mechanism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is half-pressed
US7456883B2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portable digital apparatus and portable digit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102247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의 자동 포커싱 방법, 및 이 방법을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05480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1193456B1 (ko) 모드설정 조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20060019363A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KR101156685B1 (ko) 디지털 이미지의 설정변경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이미지 처리장치
KR101156684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분할촬영 방법
KR101177106B1 (ko) 디지털 이미지 합성방법
KR100702950B1 (ko)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촬영 장치
KR101244913B1 (ko) 디지털 이미지 촬영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법
KR100651814B1 (ko) 회전형 표시장치를 장착한 촬영장치
KR101214154B1 (ko) 이미지를 확대 재생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KR101156683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분할촬영 방법
KR101156686B1 (ko) 오토 브래킷 디지털 이미지의 처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KR1012048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음성 출력을 이용한 기능 안내 방법
KR100910773B1 (ko) 이미지 확대 재생방법
KR101156113B1 (ko) 편리한 통신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1105849B1 (ko) 디지털 이미지 재생방법 및 장치
KR101080406B1 (ko) 이미지 재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JP2006039105A (ja) 音声記録装置
KR101058017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메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KR100651812B1 (ko) 키 조합 단축키 설정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101109585B1 (ko)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재생방법
KR20040033967A (ko) 지정 검출 영역의 위치가 변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