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4302A -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4302A
KR20060134302A KR1020050053881A KR20050053881A KR20060134302A KR 20060134302 A KR20060134302 A KR 20060134302A KR 1020050053881 A KR1020050053881 A KR 1020050053881A KR 20050053881 A KR20050053881 A KR 20050053881A KR 20060134302 A KR20060134302 A KR 20060134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sodium
induction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석
장석윤
최수규
이인호
김문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053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4302A/ko
Publication of KR20060134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30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Sodium Phenylbutyr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발 멜라노사이트 세포 활성 및 멜라닌 생합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탁월한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를 포함하여 백발방지 및 흑모촉진 모발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샴푸, 린스, 헤어젤, 연고, 크림, 로션, 화장수, 스프레이, 앰플 등의 통상적인 모발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백발방지, 흑모,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Description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Hair Cosmetic Composition having inhibitory effect on induction of white hair and promoting effect on induction of black hair}
본 발명은 모발 멜라노사이트 세포 활성 및 멜라닌 생합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탁월한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발방지 및 흑모 유발 촉진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크게 모표피, 모피질, 모수질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수질을 감싸고 있는 모피질은 모발에서 가장 두터운 부분(80~90%)으로서 멜라노좀이라는 멜라닌색소 및 지질막과 TRP-1(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2 (Tyrosinase Related Protein-2) 및 기타단백질로 구성된 과립을 포함하고 있다. 멜라닌 색소는 멜라노사이트내의 소기관인 멜라노좀에서 합성되며, 멜라노사이트의 수지강 돌기를 통하여 주위의 케라티노사이트로 이행한다. 멜라닌의 합성 경로를 보면, 먼저 아미노산인 타이로신이 산화되어 도파로, 다시 산화하여 도파퀴논이 생성되는 단계에서 타이로시나제가 관여하며 그 후의 반응은 자동 산화적으로 진행되지만, TRP-1 및 TRP-2와 같은 효소가 관여하여 반응을 가속화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발의 색상은 아미노산인 타이로신을 원료로 하여 형성되는 유멜라닌 및 페오멜라닌의 유형과 분포양에 따른 정도 등의 요인에 의해 모발의 밝기를 결정시켜 사람마다 독특한 모발색을 드러낸다. 다시 말해 멜라닌의 유형과 과립의 크기에 따른 흑색, 적색, 금발 등의 다양한 모발색상을 결정한다고 볼 수 있다. 모발의 색은 모발의 가운데층인 모피질(cortex)에 있는 두 종류의 멜라닌(melanin) 색조 알갱이인 유멜라닌은 가장 흔하고 제일 진한 색소로서 갈색과 검정 머리의 색을 만든다. 페오멜라닌은 보다 옅은 색의 색조로서 금발머리를 띄게 한다. 붉은 머리의 색상은 붉은 색소와 검정 색소에 의해 나타나며, 금발머리는 붉은 색소와 노랑색소의 혼합인 결과색이다. 모래빛 갈색머리는 붉은 색, 갈색, 검정색 색소의 혼합에 의해 색소가 나타나며 짙은 갈색머리는 모래빛 갈색머리보다 검정색 색소가 더 많이 들어있다. 그리고 흰머리에는 색소 알갱이가 없어 나타나는 머리색이다. 모발색깔은 모발내에 존재하는 색소에 의해 결정이 되며 이러한 색소는 그사람의 유전 정보 인자에 의해 결정된다.
멜라닌은 물에 용해되지 않는 단백질로서 두발에 색상을 부여한다. 모유두에서 생성된 아미노산인 타이로신은 멜라닌의 기질이며. 백모는 도파퀴논에서 그 작용을 멈추므로 모발이 케라틴화 되어 각화 위로 올라가면서 형성된 백발로서 타이로사나제 효소를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산화작용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다. 백모는 특히 흑갈색계의 모발을 갖는 인종에서 더욱 명료하게 나타나며, 멜라노사이트에서 멜라닌 생성이 멈추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일종의 노화현상이다.
도파퀴논은 두 가지 경로로 반응이 진행된다. 도파크롬을 거쳐 흑갈색의 유 멜라닌을 생성하는 경로와 도파퀴논이 케라틴 단백질에 존재하는 시스테인과 결합한 후 적갈색의 페오멜라닌을 생성하는 경로가 있다. 이와 같이 모발의 산화 염색반응은 모발에서의 중합반응의 결과이다. 이 반응에서는 방향족 아민과 페놀모노머(phenolmonoer)가 산화 중합하고, 또한 모발중의 아미노산 잔기와 결합한다. 유멜라닌은 비교적 크기가 크고 화학적으로 쉽게 파괴될 수 있는데 반하여 페오멜라닌은 비교적 크기가 작고 화학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하고 있다. 시스테인 함량이 많은 모발에는 페오멜라닌이 많이 존재하며, 흑갈색의 모발을 과산화수소로 탈색시켰을 때 색상이 약간 붉게 보이는 것은 바로 유멜라닌이 먼저 파괴되고 페오멜라닌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모발에 있어서의 멜라닌은 모발의 색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로서, 모발상부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 내에서 생성된 모발피질세포 케라티노사이트에 전달된 후, 모발의 성장과 함께 위쪽으로 이동한다. 생리적 노화의 한 현상으로서 인식되는 백발은 모발 멜라노사이트의 수적 감소 및 멜라노사이트의 기능저하에 의한 멜라닌 생성의 감소에 의해 유발된다.
백발은 일반적으로 연령이 높아지면 발생하는 것으로, 노령이라는 느낌을 인상깊게하고, 특히 젊은나이에 있어서의 백발은 일반적으로 싫어한다. 그 때문에 백발을 감추기 위하여 백발 염색 등에 의해 발발을 검게 염색하는 염색제가 많이 연구되고, 또한 널리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흑발염색은 일시적인 방법으로 백발의 성장에 의해 다시 염색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산화형 흑발염색은 산화제 등의 사용에 의해 피부에 손상을 준다. 따라서, 백발의 발생을 방지하는 백발방지제에 대하여 각종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한국공개 제2002-0059906호는 검정참깨, 호도살, 한련초, 꿀에 보조성분으로 숙지황, 천문동, 맥문동을 배합하여 이용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 공개 2002-0059905호는 적하수오, 측백나무잎, 여정자, 한련초, 석염과 숙지황, 천문동, 맥문동과 함께 검정콩과 함께 용기에 넣은 후 50 ℃의 온도에서 끓여 약액이 검정콩을 흑모 유지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일본 공보 56-87515호는 검정깨, 흑송 이파리, 다시마를 이용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 공보 60-178805호에서는 오갈피추출 엑기스를 이용한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그 밖에 뇌하수체 호르몬을 이용하거나(일본 공보 62-63510호), C-AMP(아데노신-3,5' 사이클릭포스 페이트)를 이용하거나(일본 공보 62-45527호), 비타민 D3을 이용하는 방법(일본 공보 60-174705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의 백발방지제의 유효성분은 주로 식물, 동물성분의 추출물 또는 동물의 생체활동에 관여하는 성분으로서 사람이 체감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효과가 탁월한 약효제의 개발 및 발굴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노화 및 그 유전자 발현에 관련된 화합물을 발굴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Histone deacetylase)의 억제제로 알려진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가 모발 멜라노사이트의 세포활성 뿐만 아니라, 멜라 닌 생합성을 촉진하여 마우스의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여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Sodium Phenylbutyr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Sodium Phenylbutyr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멜라노사이트 세포활성 및 멜라닌 생합성 촉진제를 제공한다.
상기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모발 멜라노사이트 세포활성 및 멜라닌 생합성을 촉진하는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Sodium Phenylbutyrate)는 생체내에서 베타산화에 의하여 페닐아세테이트(Sodium Phenylacetate)로 전환되며, 요소회로장애증 (Hyperammonemia)을 앓고 있는 어린이와 성인의 치료약으로 미국 식약청(FDA)에서 승인한 약품이다. 최근에는 백혈병과 낭포성섬유증(Cystic fibrosis)에도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백혈병과 낭포성 섬유증 등의 용도로만 사용되던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를 모발에 적용하여 백발생성 억제 및 흑모유발을 촉진할 수 있다.
상기 페닐 부틸레이트는 물에 녹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소디움을 결합시킨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의 함량은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효과에 대한 효능과 제품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백발방지 억제효과를 개선할 목적으로, 쾨르세틴(Quercetin), 루틴(Rutin), 탁시폴린(Taxifolin), 캠프페롤(Kaempferol), 미리세틴(Myricetin), 큐르큐민(Curcumin),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아레콜린 (Arecoline), 아피제닌(Apigenin), 우고닌(Wogonin), 루테오린(Luteolin) 및 텍토리제닌(Tectorigen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활성산소 생성억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산소 생성 억제제는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미 정제되어 있는 시그마(Sigma)사 제품을 구입하여 그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기 활성산소 생성억제제의 함량은 활성산소 생성 억제 효능과 제품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 중량%로 사용할 수 있으 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Sodium Phenylbutyrate)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모발 멜라노사이트 세포 활성 및 멜라닌 생합성을 촉진하여 백발방지 및 흑모 유발을 촉진하기 위한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가 있다. 이러한 조성물 제형의 형태로는, 샴푸, 염모제, 헤어 젤, 양모제, 헤어 컨디셔너, 헤어 토닉, 헤어 크림, 헤어 스프레이, 헤어 무쓰, 퍼머넌트 웨이브용 조성물 등 모발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 가능하다. 이들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유효성분과 함께 사용되는 성분들도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백발방지 억제 및 흑모 유발 촉진 효과를 평가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는 샴푸, 염모제 및 헤어젤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으로 실험하였지만, 이 역시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할 것이다.
시험예 1: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의 멜라노사이트 세포활성 측정법
모발이식술시 후두부에서 모낭이 포함된 두피를 채취한 다음, 주위조직을 최대한 제거하여 의 모낭을 분리하고 피지선 부착부위를 확대경으로 확인하면서 모낭의 상부를 제거하고 하부 1/2을 취하여 200nM Phorbol myristate acetate 및 10% 소태아 혈청을 함유하는 DMEM(Dulbeccos Modification of Eagles Medium)배지에서 멜라노사이트 세포를 1차 배양하였다. 상기 1차 배양한 멜라노사이트 세포를 0.25% 트립신/EDTA로 떼어내어 혈구계수기로 세포수를 세어 소태아혈청 10 중량%를 함유하는 24-well plate의 각 웰당 1×104개의 세포가 들어가도록 분주하였다. 세포들이 부착할 수 있도록 1일간 5% CO2, 100% 습도의 37 ℃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대조군에는 식염수를 첨가하고, 실험군에는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를 각각 5, 1, 0.5, 0.1, 0.05, 0.01, 0.005 및 0.001 중량%의 시험 농도로 첨가하고 7일 동안 배양하였다. 각각의 시간이 경과된 후, 생리 식염수로 용해한 MTT (3-(4,5-dimethyl- 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Sigma Chemical Co. USA) 용액 300 ㎕씩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200 ㎕의 DMSO(dimethyl sulfoxide, Junsei,Japan)를 첨가하여 형성된 포마잔(formazan) 결정을 용해시킨 후, 세포 활성도를 보기 위해 96-well plate 상으로 옮겨서 ELISA analyser (Spectra MAX 250,Molecular Devices Co., USA)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를 처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의 세포활성을 100%로 하여 실험군과 비교하여 세포활성 효과를 %로 표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대조군 0.001% 0.01% 0.05% 0.1% 0.5% 1% 10%
세포활성도(%) 100 138 145 155 165 176 184 190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멜라노사이트의 세포활성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모발 멜라노사이트에서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의 멜라닌 생합성 촉진 효과 시험
모발이식술시 후두부에서 모낭이 포함된 두피를 채취한 다음 주위조직을 최대한 제거하여 의 모낭을 분리하고 피지선 부착부위를 확대경으로 확인하면서 모낭의 상부를 제거하고 하부 1/2을 취하여 200 nM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및 10% 소태아 혈청을 함유하고 있는 DMEM 배지에서 모발로부터 멜라노사이트 세포를 1차 배양하였다. 상기 1차 배양한 멜라노사이트 세포를 0.25% 트립신/EDTA로 떼어내어 혈구계수기로 세포수를 세어 6-well에 well당 1×105개로 접종한 후 5% CO2, 37 ℃하에서 세포가 웰 바닥에 약 80% 이상으로 부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1일 배양후 멜라닌 색소의 전구체인 도파를 0.08 mM이 되게 첨가한 다음, 시험군에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를 각각 5, 1, 0.5, 0.1, 0.05, 0.01, 0.005 및 0.001 중량%의 시험 농도로 첨가하고 3일 동안 배양하였고, 대조군에는 식염수를 넣었다. 배지를 제거한세포를 PBS (Phosphate saline)으로 세척하고, 이것을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세포를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는 Hemato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한 후 5,000내지 10,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제거하여 펠렛을 얻었다. 이 세포 펠렛(pellet)은 60 ℃에서 건조한 후 10%가 함유된 1M 수산화나트륨액 100㎕ 또는 적량의 셀(cell)을 넣어 60 ℃ 항온조에서 세포내 멜라닌을 얻었다. 이액을 사용하여 마이크로플레이트(microplate)로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세포수당 멜라닌 함량을 소디움 페닐부 틸레이트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실험군을 비교하여 %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대조군 0.001% 0.01% 0.05% 0.1% 0.5% 1% 10%
멜라닌 함량(%) 100 150 246 254 266 278 285 290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닌 생합성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3: 동물에서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의 흑모 촉진 효과
동물을 이용한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효과 시험
본 발명에서 사용된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의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 효과를 C3H 마우스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검은털이 회색털로 전환되는 시기인 1년 사육한 마우스를 10마리씩 8개의 시험군과 1개의 대조군으로 나누어 등부위를 탈모한후, 피부에 3×3 cm의 정방형의 물질도포 자리 두 곳을 표시하였다. 이때, 한 곳은 본 발명의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를 도포할 자리이며, 한 곳은 대조군의 부위이다. l일 1회 또는 2회의 횟수로 도포하며, 이를 30일간 계속하였다. 비교를 위해 대조부위에는 누적자극이 나타나지 않는 대조군(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정제수=5:3:2의 혼합용매)을 면봉으로 도포하고 실험군은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를 용매에 0.001 내지 10 중량%로 용해하여 상기 실험군 도포자리에 0.1ml를 매일 2회 면봉으로 도포하였다, 1개월후, 재생한 일정 면적의 털을 채취하여, 전체 털 수에 대한 흰털의 발생율을 측정하여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성장 촉진효과를 조사하였다. 판정기준은 각각의 화합물의 처리군을 대조군(0점)과 비교하여 억제없음(0점), 약간의 억제(1점), 중등도의 억제(2점), 상당한 억제(3점)의 4단계로 동물수를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조성물 흑모촉진(마리)
0점 1점 2점 3점
시험군 1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01 중량% 0 2 3 5
시험군 2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05 중량% 0 2 3 5
시험군 3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1 중량% 0 2 3 5
시험군 4 레스베라트롤 0.001 중량% 6 2 1 1
시험군 5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01 중량% + 레스베라트롤 0.001 중량% 0 1 4 5
시험군 6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05 중량% + 레스베라트롤 0.001 중량% 0 1 4 6
시험군 7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1 중량% + 레스베라트롤 0.1 중량% 0 0 3 7
대조군 1 - 10 0 0 0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는 노화된 마우스의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성촉진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레스베라트롤를 병용하여 처리시 단독사용시보다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성촉진효과에 대한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샴푸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하기 표 4와 같은 조성 비율로 30% 라우릴 황산나트륨, 3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야자유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물에 첨가하고, 여기에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색소,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향료 및 구연산을 가하고 혼합한 후 냉각시켜 샴푸를 제조하였다. 다음 표 4에서 단위는 중량%이다.
라우릴황산나트륨(30%) 20.0 20.0 20.0 20.0 20.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 황산나트륨(30%) 20.0 20.0 20.0 20.0 20.0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2.0 2.0 2.0 2.0 2.0
프로필렌글리콜 2.0 2.0 2.0 2.0 2.0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001 0.01 0.1 1 -
색소(청색 1호)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2 0.2 0.2 0.2 0.2
향료(조합향 SKP-3473)*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구연산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실시예 5 내지 8 및 비교예 2: 염모제 후처리제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를 사용하여 염모제 후처리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염모제 후처리제 조성물은 종래의 모발 컨디셔닝제의 사용법과 같이 모발에 도포 후 3 내지 10 분간 방치후 헹구어내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하기 다음 표 5에 나타난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수에 메틸파라벤, 리퀴드파라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베헨트리모늄 클로라이드을 넣어 80 ℃까지 가온 용해 후 혼합하여 유화하였다. 60 ℃까지 교반 냉각 후 조합향 및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를 넣어 균일하게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 후처리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아래 표 5에서 단위는 중량%이다.
성분명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비교예 2
리퀴드파라핀 3.00 8.00 8.0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0 0.60 0.60
베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1.0 2.5 2.5
메틸파라벤 0.15 2.5 2.5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001 0.01 0.1 1 -
조합향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실시예 9 내지 12 및 비교예 3: 헤어 젤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를 사용하여 헤어 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헤어 젤 조성물에는 헤어 젤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성분으로서 모발을 고정하거나 스타일링할 수 있는 수지(polymer), 보습 및 컨디셔닝 효과를 주는 첨가제, 중화제, pH 조정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 모발 보호제, 색소, 그리고 물, 에탄올과 같은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은 통상적인 점성을 갖는 헤어 젤 제조 방법에 따라 다음 표 6의 조성을 갖도록 제조하였다. 표 6에서 단위는 중량%(중합체: 고형분%)이다.
성분명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비교예 3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001 0.01 0.1 1 -
에탄올 10 10 10 10 10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2 3 4 5 2
폴리비닐피롤리돈 0.2 0.2 0.2 0.2 0.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0.3 0.3 0.3 0.3
트리에탄올아민 2 3 4 5 2
0.2 0.2 0.2 0.2 0.2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실시예 13: 연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하기 조성을 갖는 연고를 제조하였다.
성분명 중량%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01
쾨르세틴(Sigma사) 0.01
디에틸세바케이트 8.0
경납 5.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EO 4) 6.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량
바세린 잔량
계 100
실시예 14: 유연화장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하기 조성을 갖는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명 중량%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01
쾨르세틴 0.01
글리세린 2.0
히알루론산 1.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EO20) 0.1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EO40) 0.1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계 100
실시예 15: 영양유액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하기 조성을 갖는 영양유액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중량%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01
쾨르세틴 0.01
세탄올 1.0
밀납 0.5
바세린 2.0
스쿠알란 6.0
에탄올 3.0
1,3-부틸렌글리콜 4.0
폴리솔베이트60 1.0
솔비탄 세스퀴 올레이트 0.3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3
트리에탄올아민 0.3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계 100
실시예 16: 크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하기 조성을 갖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중량%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0.01
스테아릴알콜 6.0
스테아린산 2.0
농글리세린 1.0
스쿠알란 9.0
1,3-부틸렌글리콜 6.0
폴리솔베이트60 1.5
폴리에틸렌글리콜1000 4.0
경화 라놀린 4.0
옥틸 도데카놀 10.0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0.8
트리에탄올아민 0.5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계 100
실시예 17: 에센스
하기에 기재된 성분들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성분명 중량%
사이클로메티콘 1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0
미네랄오일 3.0
밀납 1.0
세틸디메티콘코폴리올 3.0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 1.0
레스베라트톨 0.001
글리세린 5.0
황산마그네슘 3.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계 100
시험예 4: 사람에서 백발생성 억제 및 흑모 촉진 효과
백발이 많아서 고민하는 40대 내지 50대의 건강한 여성 및 남성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에 1 내지 17 및 비교예 3의 제품들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효과에 대한 효능 및 효과 실험을 실시하였다.
임의로 10명씩 합계 170명을 선정하고, 양쪽 미간과 정수리 부분을 기준으로, 왼쪽 두피에는 실시예 1 내지 17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하였고, 오른족 두피에는 비교예 1 내지 3의 대조군을 아침, 저녁으로 하루에 2회씩, 2달간 적용하게 하였다. 백발생성 억제 및 흑모유발 촉진효과의 판정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한 후, 피험자 개인의 주관적 평가로 하기의 평가점수를 통해 백발 생성 억제 정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13 내지 17은 비교예 3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평가점수)
3점: 도포개시 전의 백발의 수에 대해 도포 후의 백발의 수가 백발이 90%이하로 감소
2점: 도포개시 전의 백발의 수에 대해 도포 후의 백발의 수가 백발이 60%이하로 감소
1점: 도포개시 전의 백발의 수에 대해 도포 후의 백발의 수가 백발이 30%이하로 감소
0점: 백발이 전혀 감소하지 않았다.
구 분 사람의 수
0점 1점 2점 3점
비교예 1 10 - - -
비교예 2 10 - - -
비교예 3 10 - - -
실시예1 - 4 4 2
실시예2 - 2 4 3
실시예3 - 2 3 5
실시예4 - 1 4 5
실시예5 - 4 3 3
실시예6 - 2 4 4
실시예7 - 2 3 5
실시예8 - 1 4 5
실시예9 - 4 3 3
실시예10 - 2 4 4
실시예11 - 2 3 5
실시예12 - 1 3 6
실시예13 - 4 4 2
실시예14 - 4 4 2
실시예15 - 3 3 4
실시예16 - 3 3 4
실시예17 - 2 4 4
상기 표 7의 결과를 통해,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7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모두 비교예 1 내지 3과 비교하여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효과가 탁월하였고, 또한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효과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샴푸, 염모제 후처리제, 헤어젤, 연고, 유연화장수, 영양유액, 크림 또는 에센스 등의 모발제품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사람의 연령증가에 따른 노화로 나타나는 백모의 유발을 사전에 예방하고, 흑모유발을 촉진하는 효과가 탁월하여 모발 노화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Sodium Phenylbutyr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쾨르세틴(Quercetin), 루틴(Rutin), 탁시폴린(Taxifolin), 캠프페롤(Kaempferol), 미리세틴(Myricetin), 큐르큐민(Curcumin), 레스베라트롤 (Resveratrol), 아레콜린(Arecoline), 아피제닌(Apigenin), 우고닌 (Wogonin), 루테오린(Luteolin) 및 텍토리제닌(Tectorigen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활성산소 생성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산소 생성억제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염모제, 표백제, 헤어 젤, 양모제, 헤어 컨디셔너, 헤어 토닉, 헤어 크림, 헤어 스프레이, 헤어 무쓰, 스프레이, 앰플, 연고, 크림, 로션, 화장수 또는 퍼머넨트 웨이브용 조성물인 조성물.
  6. 소디움 페닐부틸레이트(Sodium Phenylbutyrat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멜라노사이트 세포활성 및 멜라닌 생합성 촉진제.
KR1020050053881A 2005-06-22 2005-06-22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060134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881A KR20060134302A (ko) 2005-06-22 2005-06-22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881A KR20060134302A (ko) 2005-06-22 2005-06-22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302A true KR20060134302A (ko) 2006-12-28

Family

ID=37812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881A KR20060134302A (ko) 2005-06-22 2005-06-22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43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9043A (zh) * 2010-12-21 2013-07-03 宝洁公司 毛发护理组合物和用于改善毛发外观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9043A (zh) * 2010-12-21 2013-07-03 宝洁公司 毛发护理组合物和用于改善毛发外观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002B1 (ko) 프로판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ES2347836T3 (es) Uso no terapeutico de un hidrolizado de proteinas de arroz como principio activo pigmentante.
KR100760875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CA2706797A1 (en) Topical cosmetic skin lighte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09529499A (ja) ベルバスコシドおよびルテオリンを含む組合せまたは植物抽出物、並びに、色素沈着の調節のための美容用または医薬用組成物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KR101669359B1 (ko) 멜라닌 합성 촉진용 조성물
US8293801B2 (en) Skin lightening method
US20190008757A1 (en) Dermatological or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 polyphenol?enriched extract of vitex negundo
CN111201012A (zh) 包含积雪草不定根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皮肤美白及皱纹改善的化妆品组合物
JP2003171240A (ja) 白髪予防改善剤及び毛髪有効成分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KR101436199B1 (ko) 호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5773111B2 (ja) 皮膚の色素沈着を抑制する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
KR101985356B1 (ko)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08088075A (ja) プロフィラグリン/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表皮角化細胞増殖促進剤、表皮/角層正常化用皮膚外用剤、プロフィラグリン及び/又は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方法、及び表皮角化細胞増殖促進方法
KR101744889B1 (ko)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2575612B1 (ko) 두피 보호 및 모발 발색 증진을 위한 조성물
KR101400264B1 (ko) 진피 및 우슬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1827655B1 (ko) 바나나를 포함하는 백발 예방 및 흑모유발 촉진용 조성물
KR101922637B1 (ko) 마유 및 애기수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01272B1 (ko) 백발억제 및 흑모유발 촉진용 조성물
KR20060134302A (ko) 백발방지 및 흑모유발 촉진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1221212B1 (ko) 항스트레스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2030419B1 (ko) 그라비올라를 포함하는 백발 예방 및 흑모유발 촉진용 조성물
KR20020008268A (ko)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저해제
KR20210090790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