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3207A -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207A
KR20060133207A KR1020050052923A KR20050052923A KR20060133207A KR 20060133207 A KR20060133207 A KR 20060133207A KR 1020050052923 A KR1020050052923 A KR 1020050052923A KR 20050052923 A KR20050052923 A KR 20050052923A KR 20060133207 A KR20060133207 A KR 20060133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unit
data
virtual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3239B1 (ko
Inventor
김동용
하태진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239B1/ko
Publication of KR20060133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06F3/1462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with means for detecting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 stored in the host and the images displayed on the remote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기준 영상 데이터, 기준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며 통신 시스템 연결에 관련된 명령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대상 물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촬상부로부터 입력된 대상 물체의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가 미리 저장된 기준 영상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데이터 비교부, 판단 결과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가 기준 영상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저장부로부터 기준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명령 데이터를 추출하여 명령 데이터에 상응하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수행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상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를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원격 제어 장치와 같은 보조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기능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대상 물체, 촬상 소자, 가상 캐릭터.

Description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Digital image processor using imag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신호 흐름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와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화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7 내지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와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화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촬상부
115 : 카메라 프로세서
120 : 영상 데이터 생성부
130 : 저장부
140 : 영상 데이터 비교부
150 : 기능 수행 제어부
본 발명은 디지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TV,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모바일 단말기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특정 부분에 구비된 버튼 또는 원격 제어 장치(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작동한다. 즉,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특정 버튼 또는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해서 원하는 채널, 기능을 선택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작동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버튼 또는 원격 제어 장치와 같은 사용자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보조 장치가 없는 경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디지털 처리 장치 중 모바일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원래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증진시키는 필수품이 되어가고 있다. 카메라와 휴대폰이 복합된 형태인 일명 '카메라 폰'은 대상 물체를 촬영 후 저장하여 두고 이를 재생하거나, 이를 배경화면으로 사 용할 수 있고, 이메일(E-Mail)이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다른 곳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는 단순한 영상 이미지로서 사용자에 의해 저장, 출력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해당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구비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역할은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원격 제어 장치와 같은 보조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기능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특정 번호, 특정 사이트 또는 특정 버튼의 입력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여기서, 통신 단말기는 유선 전화 단말기, 무선 전화 단말기, PDA 등과 같이 통신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이며, 이하 같음)에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면서도 원하는 기능을 작동할 수 있는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가상 캐릭터의 동작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 캐릭터의 움직임으로부터 재미를 얻을 수 있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가상 캐릭터를 양육할 수 있는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준 영상 데이터, 기준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며 통신 시스템 연결에 관련된 명령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대상 물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촬상부로부터 입력된 대상 물체의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가 미리 저장된 기준 영상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데이터 비교부, 판단 결과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가 기준 영상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저장부로부터 기준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명령 데이터를 추출하여 명령 데이터에 상응하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수행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상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를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명령 데이터는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특정 버튼의 클릭 신호에 상응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서, 명령 데이터는 특정 번호 클릭, 특정 전화번호 연결, 특정 인터넷 사이트 연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는 명령 데이터에 상응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는 영상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는 기능 수행 제어부가 명령 데이터를 추출하는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영상 인식 모드 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준 영상 데이터, 기준 영상 데이터에 상응 하며 캐릭터 동작에 관련된 명령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대상 물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촬상부로부터 입력된 대상 물체의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가 미리 저장된 기준 영상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데이터 비교부, 판단 결과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가 기준 영상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기준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가상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명령 데이터에 상응하여 가상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가상 캐릭터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상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는 가상 캐릭터의 성장 시간을 체크하여 가상 의식주 요구에 상응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가상 캐릭터를 성장시키는 가상 캐릭터 육성부를 더 포함하되, 기준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가상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데이터는 가상 의식주 요구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는 가상 캐릭터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출력부는 가상 캐릭터 및 대상 물체의 영상을 미리 설정된 위치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는 가상 캐릭터 동작 제어부가 명령 데이터를 추출하는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영상 인식 모드 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는 디지털 영상을 처리하는 사용자 단말기로서, 무선/유선 통신 단말기, 게임기 기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촬상부(110) 및 카메라 프로세서(115)를 포함하며, 카메라 프로세서(115)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120), 저장부(130), 영상 데이터 비교부(140) 및 기능 수행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촬상부(110)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영상 입력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이다. 촬상부(110)는 피사체의 영상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생성하여 영상 데이터 생성부(120)로 전달한다.
영상 데이터 생성부(120)는 촬상부(110)로부터 전달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 과정(예를 들어,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의 변환, 영상 분할 등)을 수행하여 영상 데이터 비교부(140)로 전달한다. 또한, 영상 데이터 생성부(120)는 촬상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출력부(미도시)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 생성부(120)는 촬상부(110)에 의해 생성된 영상 정보에 대해 영상 분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생성된 감지 정보가 피사체를 촬상하여 생성한 영상(이미지) 데이터인 경우 촬상부(110)에 구비된 영상 입력 장치에 의해 피사체가 촬상되는 순간의 환경 요인에 의해 동일한 피사체를 촬상하였을 경우에도 각각 상이한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 생성부(120)는 촬상부(110)에 생성된 영상 정보의 크기(size) 또는 수평 등을 조절하고, 영상 획득 과정에서 추가된 노이즈(noise) 제거, 조명에 의한 영상의 밝기 성분 조절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 정보에 대해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의 정의 및 분리를 위해 쓰레시홀딩(thresholding), 영상 분할(segmentation), 필터(filter) 등을 수행하여 감지 정보에서 객체(예를 들어, 문자, 기호, 숫자, 그림 등)와 배경(즉, 영상 데이터 중 객체 이외의 영역)을 분리하여 영상 데이터 비교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들 알고리즘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영상 출력부(미도시)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감지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 정보(예를 들어, 문자, 기호, 그림 등)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영상 출력부(120)는 액정 화면(LCD: 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
저장부(130)는 촬상부(110)로부터 생성된 영상 정보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와 비교되는 기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30)는 기준 영상 데이터 에 상응하는 명령 데이터(예를 들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디지털 TV인 경우, 해당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채널 숫자 또는 음량의 크기 등을 나타내는 명령 데이터 또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통신 단말기인 경우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 또는 무선 인터넷 웹사이트로 연결 등을 나타내는 명령 데이터)를 소정의 형식에 따라 저장한다. 따라서 저장부(130)는 기준 영상 데이터와 이에 상응하는 명령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영상 데이터 비교부(140)가 영상 데이터 생성부(12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와 저장부(130)에 저장된 기준 영상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고 서로 일치하는 경우 기능 수행 제어부(150)는 해당 명령 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저장부(130)는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도록 저장된 명령 데이터의 독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객체 특징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비교부(140)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가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영상 데이터의 일치 여부는 형상의 유사 여부를 위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대상 물체의 영상과 기준 영상 데이터의 영상이 서로 크기가 달라도 일정한 크기로 축소 또는 확대하여 서로 일치하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치 정도는 영상 데이터가 일정한 퍼센트(예를 들어, 80~100%) 내에서 서로 일치하면 형상이 서로 일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검출에 관련된 기술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 검출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되는 데 첫 번째 방법이 골격을 구한 후 이 골격 자체를 그대로 특징으로 사용하여 물체를 검출하는 것이며, 또 다른 방법은 사각형 전체를 대상으로 피라미드 특징을 추출하거나 웨이브릿(wavelet) 특징을 사용하여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영상 내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대상 주변을 포함한 기준영역을 설정하고, 검출대상의 골격을 구한 후, 골격에 대해 그룹화하여 대표점을 얻어낸 다음, 대표점에 대해 위치데이터와, 방향 및 레벨별 영상을 추출에 따른 기준벡터데이터를 산출하여, 검출하고자 하는 물체 주변에 기준영역과 동일한 영역을 취하고, 영역 내에서 기준벡터데이터의 대표점 위치정보데이터를 사용하여 같은 위치에 있는 대상점에 대해 단계별 축소영상 및 방향별 에지영상을 도출하여 기준벡터데이터와 유사도를 구하여 기 설정된 임계값에 따라 물체임을 판별하는 영상검출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검출한 영상을 서로 비교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얻어진 영상 데이터와 기준 영상 데이터에 의해 얻어진 각 영상 데이터의 법선 방향을 맞추는 화상 보정 수단, 화상 보정 수단에 의해 보정된 각 화상간에 있어서, 피사체와 관련시키면서 서로 동일한 수평 라인상에 있는 화소 위치마다 대응 관계를 구하는 매칭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 수단은 대응 관계를 구하는 각 화소 위치에 대해 휘도 성분 및 색 성분을 비교함에 의해 그 유사도를 식별함과 함께 화상간에 있어서의 시차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한 유사도 및 시차에 따라 상기 대응 관계를 구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 당연한 영상 검출 방법은 본 발명에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 비교부(140)의 판단 결과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와 기준 영상 데이터를 서로 비 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일치한다는 판단 결과를 기능 수행 제어부(150)로 전송하고, 기능 수행 제어부(150)는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 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영상 데이터 비교부(140)는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와 기준 영상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당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30)에 특정 명령 데이터와 관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입력 모드가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인 경우 영상 데이터 비교부(140)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12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가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새로운 명령 데이터 등록을 위한 메뉴 생성 데이터를 기능 수행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기능 수행 제어부(150)는 해당 영상 데이터가 새로운 명령 데이터에 상응할 수 있도록 명령 데이터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 인식 모드 전환부(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하여 영상 인식 모드, 명령 데이터 입력 모드, 일반 모드 등을 서로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명령 데이터 입력 모드에서 출력된 화면을 통해서 명령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워드 프로그램에서 사용되고 있는 매크로 기능과 유사하게 일련의 버튼의 조합으로 명령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모드는 영상 인식 모드, 명령 데이터 입력 모드, 일반 모드(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동되지 않고,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일반적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 등 다양한 모드가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모드 중 특정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구비된 버튼 클릭, 원격 제 어 장치 조종, 특정한 영상 이미지 입력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정한 영상 이미지 입력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촬상 소자를 통해 박수치는 모습, 두손을 위로 올리는 모습 등에 대한 특정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발생하는 음성을 포함하는 소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마이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영상 데이터 생성부(120)는 사용자의 이러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영상 데이터 비교부(140)는 사용자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30)에 저장된 기준 영상 데이터와 비교하고 기준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명령 데이터를 추출한다. 여기서 명령 데이터를 추출하는 주체는 영상 데이터 비교부(140) 또는 기능 수행 제어부(150)가 될 수 있다. 기능 수행 제어부(150)는 기준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명령 데이터에 따라 해당 모드로 전환(즉, 일반 모드에서 영상 인식 모드로 전환 또는 그 역으로 전환)할 수 있다.
기능 수행 제어부(150)는 영상 데이터 비교부(140)로부터 수신한 명령 데이터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디지털 TV인 경우 영상 데이터가 숫자 '10'을 나타내는 경우 해당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채널 숫자 또는 음량의 크기 등을 숫자 '10'으로 나타낼 수 이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통신 단말기인 경우 영상 데이터가 일련의 번호의 조합인 경우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 또는 무선 인터넷 웹사이트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영상 데이터의 처리 흐름도이다.
단계 S210에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기능 모드가 영상 인식 모드로 전환된다. 여기서, 모드의 전환은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거나 또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구비된 촬상부(110)가 미리 설정된 영상 이미지를 사용자로부터 캡춰(capture)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수행된다.
단계 S220에서 촬상부(110)가 대상 물체를 촬상한다. 촬상부(110)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구비되며, 디지털 영상 처리에 출력부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출력부에 출력된 영상을 보면서 영상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촬상부(110)에 구비된 렌즈는 출력부의 전면을 향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영상 데이터 생성부(120)는 촬상부(110)로부터 전달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영상 데이터 비교부(140)로 전달한다. 또한, 영상 데이터 생성부(120)는 촬상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출력부(미도시)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 생성부(120)는 촬상부(110)에 의해 생성된 영상 정보에 대해 영상 분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영상 데이터 생성부(120)는 촬상부(110)에 생성된 영상 정보의 크기(size) 또는 수평 등을 조절하고, 영상 획득 과정에서 추가된 노이즈(noise) 제거, 조명에 의한 영상의 밝기 성분 조절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영상 데이터 비교부(140)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가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기준 영상 데이터가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단계 S250에서, 기능 수행 제어부(150)는 저장부(130)로부터 기준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명령 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기준 영상 데이터가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해당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와 새로운 명령 데이터를 서로 대응시킬 수 있도록 새로운 명령 데이터 등록을 위한 메뉴 생성 데이터를 기능 수행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의 일치 여부는 형상의 유사 여부를 위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대상 물체의 영상과 기준 영상 데이터의 영상이 서로 크기가 달라도 일정한 크기로 축소 또는 확대하여 서로 일치하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60에서 기능 수행 제어부(150)는 영상 데이터 비교부(140)로부터 수신한 명령 데이터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디지털 TV인 경우 영상 데이터가 오른쪽으로 엄지손가락 방향을 가리키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경우, 해당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채널 숫자 또는 음량의 크기 등을 한단계 높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통신 단말기인 경우 영상 데이터가 일련의 번호 및 문자의 조합에 상응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 또는 무선 인터넷 웹사이트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일반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또는 흐름도를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중 모바일 단말기를 기준 으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크게 2가지로 구분되는데, 첫째, 사용자의 손동작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에 부호를 입력하는 방법, 둘째, 사용자의 손동작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에서 가상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나뉜다. 이하에서 차례대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손동작과 이에 대응하는 촬상 소자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손동작을 대상 물체로 설정하였으나, 사용자가 일정한 영상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형태(예를 들어, 얼굴 표정, 몸 전체의 형상, 특정한 형상을 가진 물체 등)이고, 이를 촬상부(110)에 입력하여 영상 데이터 생성부(120) 및 영상 데이터 비교부(140)에서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라면 본 발명의 대상 물체로 적용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은 5개 손가락을 모두 편 상태로서, 이러한 모양은 아라비아 숫자 중 '5'를 나타내고, 영상 출력부(310)는 사용자의 손 모양에 상응하는 아라비아 숫자 5를 출력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손 모양과 출력되는 부호의 관계는 사용자 또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 모양과 출력되는 아라비아 숫자 간에 직관적 관련성은 없어도 상관없으나,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호간에 직관적 관련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또한, 영상 출력부(310)의 특정 위치(도 3에서는 영상 출력부(310)의 우측 상부)에는 촬상부(11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손 모양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화면상 이미지(320)는 사용자가 자신의 동작을 영상 출력부(310)를 통하여 체크하면서, 손동작을 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은 5개 손가락을 모두 오무려서 주먹을 쥔 상태로서, 이러한 모양은 아라비아 숫자 중 '0'를 나타내고, 영상 출력부(310)는 사용자의 손 모양에 상응하는 아라비아 숫자 0을 출력한다. 여기서 미리 표시된 아라비아 숫자 5와 현재 입력된 아라비아 숫자 0은 서로 일렬로 배열되어 표시되며, 표시되는 순서 및 위치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모바일 단말기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영상 출력부(310)의 우측 상부에는 촬상부(11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손 모양이 화면상 이미지(420)로 출력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은 5개 손가락 중 두개만 편 상태로서, 이러한 모양은 아라비아 숫자 중 '2'를 나타내고, 영상 출력부(310)는 사용자의 손 모양에 상응하는 아라비아 숫자 2을 출력한다. 영상 출력부(310)의 우측 상부에는 촬상부(11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손 모양이 화면상 이미지(520)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아라비아 숫자를 모두 입력하고, 통화 버튼과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영상 데이터(예를 들면, 양손의 열손가락을 모두 쥔 경우)를 입력하면, 통화 버튼의 클릭 신호가 입력되어 해당 전화번호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대한 개괄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모 바일 단말기는 촬상부(110) 및 카메라 프로세서(600)를 포함하며, 카메라 프로세서(600)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120), 저장부(130), 영상 데이터 비교부(140), 가상 캐릭터 동작 제어부(610), 가상 캐릭터 육성부(620) 및 영상 출력부(6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 설명된 내용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가상 캐릭터 동작 제어부(610)는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가 기준 영상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저장부(130)로부터 기준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가상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명령 데이터에 상응하여 상기 가상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가상 캐릭터는 현실 세계에서 강아지, 고양이, 꽃 등을 키우듯이 가상 공간에서 육성되는 애완 동물이나 식물 등이 될 수 있다. 가상 캐릭터는 2D 또는 3D(Dimension)로 제작하는가 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가 기능으로 캐릭터 키우기 게임을 추가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일부(얼굴, 손 등)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캐릭터를 키울 수 있다. 명령 데이터는 예를 들면, 가상 캐릭터의 전면 도시, 측면 도시, 일정한 행위(예를 들면, 가상 캐릭터가 음식을 섭취하는 영상) 도시, 가상 캐릭터를 변경/삭제하는 메뉴 도시, 대상 물체의 거리에 따라 가상 캐릭터의 크기를 변경하여 도시, 대상 물체의 수평/수직 회전에 따른 가상 캐릭터의 회전 도시 등과 관련된 데이터이다.
가상 캐릭터 육성부(620)는 가상 캐릭터의 성장 시간을 체크하여 미리 설정 된 가상 의식주 요구에 상응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가상 캐릭터를 성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상 의식주 요구는 예를 들면, 음식물 섭취, 가상 의류 착용, 가상 주택 마련 등의 가상 캐릭터를 키우는데 필요한 행위에 대한 요구이다.
따라서 가상 캐릭터 육성부(620)는 통신 단말기의 이용습성에 대한 정보 및 가상 캐릭터를 육성하는 등의 일련의 정보를 통해 통신 단말기상에서 가상 캐릭터의 행동을 제어하여, 가상 캐릭터에 대한 현재 육성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육성 과정에 따라 육성이 완료된 가상 캐릭터를 별도로 저장하고, 현재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육성하고 있는 가상 캐릭터에 필요한 각종 소품, 액세서리, 먹이 등을 무선 인터넷 상에서 공급하도록 웹서버와 접속 운영되는 콘텐츠 제공 사이트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요구는 가상 캐릭터 게임에 저장된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당연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영상 출력부(630)는 대상 물체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움직이는 가상 캐릭터와 대상 물체의 영상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 출력부(630)를 통하여 가상 캐릭터의 움직임을 볼 수 있고, 대상 물체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출력부(630)는 대상 물체와 촬상부(110)와의 거리에 따라 대상 물체에 대한 영상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여 대상 물체의 원근을 표현할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가상 캐릭터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가상 캐릭터를 입체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7 내지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손동작과 이에 상응하는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화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대상 물체로서 사용자의 손은 5개 손가락을 모두 편 상태로서, 이러한 대상 물체(730)는 현재 육성 중인 가상 캐릭터 중에 미리 설정된 가상 캐릭터를 표시한다. 이하 현재 선택된 가상 캐릭터가 토끼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촬상부(110)가 대상 물체(730)를 촬상하면, 카메라 프로세서(600)는 해당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후 영상 출력부(630)는 대상 물체(730)에 상응하는 가상 캐릭터(710), 대상 물체의 원근감을 도시하기 위한 제1 대상 물체 영상(715), 사용자가 대상 물체의 형상을 파악하기 위한 제2 대상 물체 영상(720)이 도시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 출력부(630)는 제1 대상 물체 영상(715) 및/또는 제2 대상 물체 영상(720)을 출력하지 않고, 대상 물체(730)의 형상에 상응하여 동작하는 가상 캐릭터(710)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메뉴를 선택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대상 물체(830)의 형상 및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화면이 도시된다. 대상 물체로서 사용자의 두 손은 5개 손가락을 모두 편 상태로서, 이러한 대상 물체(830)는 현재 육성 중인 가상 캐릭터에 대한 메뉴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810)을 출력한다. 도 8에서는 '모드 전환', '캐릭터 변경', '캐릭터 삭제'의 메뉴가 도시되어 있으며, '모드 전환'의 메뉴가 음영으로 선택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드 변경을 위한 대상 물체(830)의 형상을 생성하여, 별도의 장치없이도 가상 캐릭터에 대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상 캐릭터가 음식물을 섭취하도록 하는 대상 물체(930)의 형상 및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화면이 도시된다. 대상 물체로서 사용자의 두 손은 2개 손가락을 편 상태로서, 이러한 대상 물체(930)는 현재 육성 중인 가상 캐릭터가 음식물을 섭취하도록 하는 화면(910)을 출력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대상 물체(1030)와 촬상부(110)간의 거리에 따라 가상 캐릭터(1010)의 크기 및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화면이 도시된다. 대상 물체(1030)와 촬상부(110)간의 거리가 큰 경우 제1 대상 물체 영상(1015)의 크기는 작아지므로, 원근감이 표현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대상 물체(1130)와 촬상부(110)간의 거리가 짧은 경우 제1 대상 물체 영상(1115)의 크기는 커지므로, 원근감이 표현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대상 물체(1230)의 형상이 지면과 평행하게 회전하는 경우 및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화면이 도시된다. 저장부(130)에 저장된 기준 영상 데이터와 각각의 좌표값을 계산하여 좌표값들의 차이에 상응하는 벡터를 추출하여 회전방향 및 크기를 산출함으로써 대상 물체(1230)의 형상이 지면과 평행하게 회전하는지 여부가 파악될 수 있다. 따라서 가상 캐릭터(1210)는 회전하는 방향과 크기에 상응하여 회전을 하여 출력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대상 물체(1300(a), 1300(b), 1300(c))의 형상이 지면과 수직하게 회전하는 경우 및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화면이 도시된다. 대상 물체(1300(a), 1300(b), 1300(c))의 형상이 지면과 수직하게 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대상 물체(1230)의 형상이 지면과 평행하게 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과 유사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방법 외에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용될 수 있는 영상 처리 방법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캐릭터(1310(a), 1310(b), 1310(c))는 2차원인 상태에서 대상 물체(1300(a), 1300(b), 1300(c))의 회전과 상응하여 형상이 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가상 캐릭터(1310(a), 1310(b), 1310(c))는 3차원인 상태에서 대상 물체(1300(a), 1300(b), 1300(c))의 회전과 상응하여 형상이 변할 수 있다. 즉, 대상 물체(1300(a), 1300(b), 1300(c))가 회전하는 경우 가상 캐릭터(1310(a), 1310(b), 1310(c))가 도시되는 측면은 옆면에서 아래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원격 제어 장치와 같은 보조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기능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대상 물 체의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특정 번호, 특정 사이트 또는 특정 버튼의 입력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에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면서도 원하는 기능을 작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가상 캐릭터의 동작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 캐릭터의 움직임으로부터 재미를 얻을 수 있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가상 캐릭터를 양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기준 영상 데이터, 상기 기준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며 통신 시스템 연결에 관련된 명령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대상 물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대상 물체의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
    상기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가 상기 미리 저장된 기준 영상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데이터 비교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가 상기 기준 영상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기준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명령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명령 데이터에 상응하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수행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상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복수의 특정 버튼의 클릭 신호에 상응하는 데이터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데이터는 특정 번호 클릭, 특정 전화번호 연결, 특정 인터넷 사이트 연결 중 어느 하나인 촬상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데이터에 상응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는 영상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수행 제어부가 상기 명령 데이터를 추출하는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영상 인식 모드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
  6. 기준 영상 데이터, 상기 기준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며 캐릭터 동작에 관련된 명령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대상 물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대상 물체의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
    상기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가 상기 미리 저장된 기준 영상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데이터 비교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대상 물체의 영상 데이터가 상기 기준 영상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기준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가상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명령 데이터에 상응하여 상기 가상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가상 캐릭터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상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캐릭터의 성장 시간을 체크하여 가상 의식주 요구에 상응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가상 캐릭터를 성장시키는 가상 캐릭터 육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기준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가상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데이터는 상기 가상 의식주 요구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촬상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캐릭터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부는 가상 캐릭터 및 상기 대상 물체의 영상을 미리 설정된 위치에 출력하는 촬상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캐릭터 동작 제어부가 상기 명령 데이터를 추출하는 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영상 인식 모드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소자를 이용한 단말기.
KR1020050052923A 2005-06-20 2005-06-20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0743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923A KR100743239B1 (ko) 2005-06-20 2005-06-20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923A KR100743239B1 (ko) 2005-06-20 2005-06-20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207A true KR20060133207A (ko) 2006-12-26
KR100743239B1 KR100743239B1 (ko) 2007-07-27

Family

ID=37812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923A KR100743239B1 (ko) 2005-06-20 2005-06-20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23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8767B1 (ko) * 1992-12-28 1999-05-15 윤종용 손가락 모양을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3239B1 (ko) 200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61865B (zh) 一种拍摄方法及终端
CN108848308B (zh) 一种拍摄方法及移动终端
US7940986B2 (en) User interface system based on pointing device
WO2018077206A1 (zh) 增强现实场景生成方法、装置、系统及设备
CN109600550B (zh) 一种拍摄提示方法及终端设备
JP574341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809115B (zh) 拍摄方法及电子设备
CN108712603B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移动终端
WO2019174628A1 (zh) 拍照方法及移动终端
WO2013001902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KR20130083179A (ko) 증강 현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8924412B (zh) 一种拍摄方法及终端设备
JP2013186691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22227393A1 (zh) 图像拍摄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3172432A (ja)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機器制御プログラム、及び集積回路
CN111047511A (zh) 一种图像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7330859B (zh)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20120027305A1 (en) Apparatus to provide guide for augmented reality object 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CN107948498B (zh) 一种消除相机摩尔条纹方法及移动终端
EP3462375A1 (en) Body information analysis apparatus with augmented reality and eyebrow shape preview method thereof
CN110827195B (zh) 虚拟物品添加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2048373A1 (zh) 图像处理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1177420A (zh) 一种多媒体文件显示方法、电子设备及介质
WO2015159775A1 (ja) 画像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並びに撮像装置
CN110650367A (zh) 视频处理方法、电子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