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654A -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구 장치 - Google Patents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654A
KR20060131654A KR1020060053515A KR20060053515A KR20060131654A KR 20060131654 A KR20060131654 A KR 20060131654A KR 1020060053515 A KR1020060053515 A KR 1020060053515A KR 20060053515 A KR20060053515 A KR 20060053515A KR 20060131654 A KR20060131654 A KR 20060131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earth leakage
leakage breaker
rail
recove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0996B1 (ko
Inventor
김태수
고관섭
Original Assignee
하이테콤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테콤시스템(주) filed Critical 하이테콤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060053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996B1/ko
Publication of KR20060131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2071/109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with provisions for selecting between automatic or manual reset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누전차단기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편리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누전차단기의 측벽에 평행하게 설치되되 누전차단기의 손잡이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절개된 가이드 공이 형성된 평판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축이 지지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며, 상기 가이드 공에 가이드되어 직선운동하는 운동변환수단; 상기 운동변환수단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이동되며, 상기 손잡이와 접촉되어 상기 손잡이에 회동시키는 아암; 상기 운동변환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운동변환수단의 이동시에 상기 아암이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아암에 상기 운동변환수단의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상기 아암이 가이드되며 상기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아암 레일; 상기 아암 레일에 설치되며 상기 아암의 상기 수직방향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갖는다.
아암, 아암 랙기어, 아암 레일, 누전차단기, 자동 복구 장치

Description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구 장치{automatic recovery device for earth leakage break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부품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아암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프레임과 아암 랙기어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복구장치에 사용되는 제어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누전차단기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고,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장소나 원격지에서 제어가능하도록 한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누전차단기는 누전상태를 감지하고, 누전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에 전원을 차 단하는 차단기의 일종이다. 또, 자동복구장치는 누전차단기가 누전상태에 따라 전원이 차단된 이후에 복구여부를 판단하여 누전차단기를 자동복구시키는 장치이다.
누전차단기를 트립시키는 누전의 원인은 다양하며, 누전상태 또한 발생된 원인에 의하여 다양하게 나타난다.
전기 누전은 일시적인 누전과 누전원인이 치유되어야 정상상태로 복귀되는 지속적인 누전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일시적인 누전에 대해서는 누전상태가 해소된 뒤에 자동복귀장치는 누전차단기를 재투입하게 되며, 지속적인 누전에 대해서는 누전원인을 치유하기 위하여 누전차단기를 수동으로 동작시켜야 한다. 따라서, 자동복구장치는 누전차단기를 자동으로 차단, 복구동작하도록 할 수 있어야 하며, 필요시에 누전차단기를 수동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종래에 자동복구장치는 누전차단기를 자동과 수동의 동작전환이 매우 어려운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동으로 동작시에 그 신뢰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복구장치는 부피가 크고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였고, 제조비용이 높았다.
또한, 자동복구장치를 동작시키는 전원이 누전차단기의 입력측 전원이나 입력측 전원을 충전한 것이기 때문에, 입력측의 사고에 의하여 자동복구장치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동동작과 자동동작의 전환이 용이한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동작시에 누전차단기의 온/오프 전환동작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를 저비용이면서도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복구장치는 누전차단기의 부하측의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부에 충분한 전기를 저장하여 입력측 전원의 이상여부에 관계없이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의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되는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구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전차단기의 측벽에 평행하게 설치되되 상기 손잡이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절개된 가이드 공이 형성된 평판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축이 지지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며, 상기 가이드 공에 가이드되어 직선운동하는 운동변환수단; 상기 운동변환수단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이동되며, 상기 손잡이와 접촉되어 상기 손잡이를 회동시키는 아암; 상기 운동변환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운동변환수단의 이동시에 상기 아암이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아암에 상기 운동변환수단의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상기 아암이 가이드되며 상기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아암 레일; 상기 아암 레일에 설치되며 상기 아암의 상기 수직방향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운동변환수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기어들; 상기 기어들중 하나에 치합되는 랙기어가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와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 공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아암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아암은 장방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사각형의 전단 개구부와 후단 개구부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단 개구부와 양 측면 사이에는 이동시에 상기 손잡이를 가압하는 두 개의 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후단 개구부와 양측면이 형성하는 길이방향의 테두리는 수직방향으로 상향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누전차단기가 수동으로 동작될 때는 상기 아암레일이 상기 아암에 상기 손잡이와 접촉되지 않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누전차단기가 자동으로 동작될 때는 상기 아암 랙기어의 이동시에 상기 아암의 레일이 상기 손잡이와 접촉되도록 상기 아암을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아암 레일은 상기 아암 랙기어의 수평부에 설치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와 접촉면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두 레일이 통과되는 레일 홈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아암의 전단부와 상기 전단 개구부 사이에는 상기 레일들의 연장선상에 각각 2개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톱퍼는 상기 아암 레일에 탄성력을 갖도록 두 개의 돌출부가 상기 레일들의 연상선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아암에 형성된 홈들에 삽입될 때 상기 아암의 이동은 스톱핑되고, 상기 탄성력보다 큰 외력이 상기 아암에 가해질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아암에 형성된 홈들로부터 이탈되어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아암은 길이방향의 가이드 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 전단부에는 상기 아암의 이동시에 상기 손잡이와 접촉되도록 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아암 레일은 상기 아암 랙기어의 수평부에 설치되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 측부에는 상기 아암을 협지하는 협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아암의 가이드 공내에 위치하여 상기 아암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상기 스톱퍼가 상향 돌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는 누전차단기의 부하측의 전원에 의하여 충전되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전차단기의 입력측으로 부터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충전부에 의하여 상기 자동복구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부품 조립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아암의 조립 사시도이다.
제1실시예의 누전차단기(100)는 좌측에 함체를 구성하여 내부에 자동복구 장치가 설치되며, 우측의 바닥면에 누전차단기 브라켓(260)이 설치되는 바디(230)를 갖는다.
누전차단기 본체(270)는 누전차단기 브라켓(260)의 윗면에 설치되며, 누전차 단기 본체(270)의 측벽에는 평판 형상의 프레임(160)이 설치된다. 프레임(160)은 스위치의 손잡이(271)이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절개된 가이드공(161)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160)에는 모터(170)의 축이 지지되며, 기어커버(190)와 프레임(160) 사이에는 모터(170)에 의하여 회전되는 기어들(180)이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161)과 바디(230) 및 가이드공(161)이 형성된 바디 커버(25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는 컨트롤러(200), 밧데리가 내장설치된다. 바디의 일부에는 내부에 밧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밧데리 케이스(240)가 설치된다. 또한, 컨트롤러(200)의 양측부에는 피시비(PCB) 브라켓(210), (220)이 설치된다.
또한, 아암 랙기어(140)는 하단면에 기어(180)들 중 하나에 치합되는 랙기어가 형성된 수직부(141)와 수직부(141) 상단으로부터 바디 내측, 즉 가이드공(161)의 절개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수평부(142)로 이루어진다.
또한, 프레임 레일(150)은 중앙에 횡방향으로 돌설되어 가이드 공(161)을 통과하여 수직부(141)에 결합된다. 따라서 프레임 레일(150)은 아암 랙기어(140)가 이동을 할 때 아암 랙기어가 폭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진동을 억제하며, 이동길이를 제한하는 스톱퍼 역활을 한다.
또한, 아암 랙기어(140)의 수평부(142)의 상면에는 아암 레일(120)이 설치된다.
아암 레일(120)은 수평부(142)의 크기와 같으며, 저면에 두 개의 길이방향의 레일홈(121), (1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암 레일(120)과 수평부(142) 사이에 형성되는 레일홈(121), (122)을 따라 이동되는 아암(130)이 설치된다.
아암(130)은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되, 전반부에는 사각형의 전단 개구부(131)가, 후반부에는 후단 개구부(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단 개구부(131)와 양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레일(133), (134)은 아암(130)이 레일홈(121), (122)을 따라서 이동되며, 전단 개구부(131)의 전단과 후단이 아암 레일(120)의 레일홈(121), (122) 사이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의하여 접촉됨으로써 이동거리가 제한되게 된다.
또한, 후단 개구부(132)와 양측면이 형성하는 길이방향의 테두리는 후단부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절곡부(139)를 형성하고 있어, 수동과 자동동작의 전환시에 절곡부(139)를 밀고 당김으로써 아암을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아암(130)의 전단부와 전단 개구부(131) 사이에는 레일(134)의 연장선상에 관통홈(135), (137)이 형성되어 있으며, 레일(133)의 연장선상에는 관통홈(136), (13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암 레일(120)의 상면의 전단부에는 아암 스톱퍼(110)가 설치된다. 아암 스톱퍼(110)는 아암 레일(120)의 상면에 부착되는 수평부와 수평부로 부터 하향 절곡되는 절곡부와 절곡부의 하단으로 부터 수평으로 돌출되는 두 개의 수평 돌출판(111), (112)으로 이루어지며, 수평 돌출판(111), (112)에는 하향되는 하향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아암 스톱퍼(11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수동조작을 위하여 아암(130)의 절곡부(139)를 손으로 전방을 향하여 밀어 전진시키면 아암 스톱퍼(110)의 수평 돌출판(111), (112)에 형성된 하향 돌출부가 관통홈(136), (138)에 삽입되게 되어 아암(130)을 고정시킨다. 자동 조작을 위하여 아암(130)의 절곡부(139)를 잡고 힘을 가하여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아암 스톱퍼(110)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관통홈(136), (138)로부터 수평 돌출판(111), (112)에 형성된 하향돌출부가 이탈되게 되고, 아암을 계속적으로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하향돌출부가 관통홈(135), (137)에 삽입되게 되어 더 이상 아암(130)은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아암 스톱퍼(110)는 아암(130)의 이동길이를 제한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아암(130)과 손잡이(271)가 접촉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누전차단기가 자동복구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복구되거나 차단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누전차단기 본체(270)의 손잡이(271)가 아암(130)의 후단 개구부(132) 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는 아암 스톱퍼(110)의 수평 돌출판(111), (112)의 하향 돌출부가 아암(130)의 관통공(135), (137)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콘트롤러(200)가 누전차단기의 동작상태를 전환하기 위하여 모터(170)를 동작시키면 모터 축에 의하여 기어(180)는 회전되고, 기어(180)들 중 하나에 치합된 아암 랙기어(140)는 프레임 레일(150)에 의하여 프레임(160)의 가이드 공(161)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아암(130)은 손잡이(271)를 측면에서 밀치게 됨으로서 누전차단기의 온/오프 상태를 전환시킨다.
누전차단기 본체(270)를 수리하거나 교체하기 위해서 누전 차단기를 수동으 로 동작하게 된다. 아암(130)의 위치가 자동복구상태에 있는 경우에 아암(130)의 절곡부(139)를 전방향으로 밀게 되면 아암 스톱퍼(110)의 수평 돌출판(111), (112)의 하향 돌출부가 아암(130)의 관통공(135), (137)으로 이탈되게 되고, 계속 밀게되면 아암(130)은 전진하게 되어 결국 아암 스톱퍼(110)의 수평 돌출판(111), (112)의 하향 돌출부가 아암(130)의 관통공(136), (138)에 삽입되게 되어 전진을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아암(130)과 손잡이(271)가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수동조작을 할 수 있게 되고, 손잡이(271)를 사람이 수동조작함으로써 누전차단기를 온/오프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누전차단기 본체(40)의 상부에는 손잡이(41)가 돌출되어져 있다. 누전차단기가 트립되게 되면 손잡이(41)는 온 상태에서 본체 내부의 회로와 기구물에 의하여 다른 쪽으로 회전하여 오프 상태로 되고, 사용자가 온 상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으로 손잡이(41)를 반대로 회전시키거나 아암(22)의 이동에 의하여 손잡이(41)가 원래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또한, 누전차단기 본체(40)의 우측의 점선부분의 공간에는 원격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누전차단기를 차단 또는 복귀시키는 콘트롤러 및 축전지 및 충전회로로 이루어진 충전부가 설치된다.
누전차단기 본체(40)의 측벽에는 판상의 프레임(30)이 설치되고, 프레임(30)의 외측으로는 기어들(12), (13)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30)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부면과 평행하게 절개된 가이드공(3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33)을 따라서 아암 랙기어(20)가 이동된다.
누전차단기 본체(40) 하부에 설치되는 모터(10)의 회전축의 종단부는 프레임(3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외주면에 구동기어(11)가 설치되며, 구동기어(11)에는 감속기어인 중간기어(12)가 치합되고, 중간기어(12)에는 피니언(13)이 치합되어져 있다. 아암 랙기어(20)는 저면이 피니언(13)과 치합되고, 가이드공(33)을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핀들(31)이 돌설된 수직부(21)와 수직부(21)의 상면으로 부터 수평으로 절곡된 수평부로 이루어진다. 수평부의 상면에는 수평부와 일체로 이동되도록 아암 레일(23)이 설치된다. 아암 레일(23)은 수평부의 상면과 대접되는 저면과 저면 양측부에 협지부를 갖으며, 협지부에는 아암(22)이 협지된다. 따라서 아암 랙기어(20)가 좌, 우 이동되면 아암 레일(23) 및 아암(22)이 이동된다. 또한, 아암(22)의 전단 하면에는 하향 돌설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아암(22)의 좌, 우 이동에 따라서 손잡이(41)가 걸림턱에 밀려 회전된다.
아암 레일(23)의 저면에는 스토퍼 핀(24), (25)이 상향으로 돌설되어 있으며, 아암(22)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공(26), (27)이 형성되어지며, 스토퍼 핀(24), (25)은 가이드 공(26), (27)을 통과하게 되고, 아암(22)의 전, 후의 이동이 스톱퍼 핀(24), (25)에 의하여 가이드되며, 이동길이가 제한되게 된다.
도 6은 도 4에서 프레임과 아암 랙기어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A-A'선의 단면도이다.
아암 랙기어(20)에는 프레임(30)의 가이드 공(33)을 따라서 가이드 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핀(31)이 설치된다. 가이드 핀(31)은 아암 랙기어(20)에 결합되어 가이드 공을 관통하여 프레임(30)의 반대편에서 가이드 공(33)보다 큰 너트(32)에 의하여 결합된다. 아암 랙기어(20)는 가이드 핀(31)이 가이드 공(33)을 따라서 이동되기 때문에 가이드 공(33)의 길이와 아암 랙기어(20)에 설치된 가이드 핀(31)의 위치에 따라서 이동길이가 결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복구장치에 사용되는 제어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복구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회로(50)의 제어부(51)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일련의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바람직하다. 제어부(51)에는 누전차단기의 본체(40)에 연결된 부하측 라인에 연결되어 부하측 전원으로부터 충전되는 충전부(53)가 연결되어 제어부(51)의 제어를 받아 충전되게 된다. 또한, 제어부(51)에는 누전차단기 본체(40)의 내부회로와 연결되어 누전차단기의 도통 및 트립상태를 판단하며, 누전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52)가 연결되고,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모터 구동부(54)가 연결된다. 또한, 제어부(51)에는 인터페이스(55)가 연결되어져 원격지의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51)에는 저장수단(미도시)과 연결되어 저장수단내에 저장된 정상상태의 조건과 비교하여 정상, 비정상상태를 판정하고, 이에 따른 차단상태의 유지나 차단상태로부터 정상상태로의 복구동작을 하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1) 자동복구장치의 자동상태와 수동상태를 편리하게 전환할 수 있다.
(2) 자동상태인 경우에 자동복귀장치의 동작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3) 자동복귀장치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결국 누전차단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4) 충전부의 충전을 차단기 부하측으로 부터 입력받음으로써 입력측의 전원이 낙뢰등으로 단전되는 경우에도 누전차단기를 스스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다.

Claims (8)

  1.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의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되는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구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전차단기의 측벽에 평행하게 설치되되 상기 손잡이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절개된 가이드 공이 형성된 평판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축이 지지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며, 상기 가이드 공에 가이드되어 직선운동하는 운동변환수단;
    상기 운동변환수단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이동되며, 상기 손잡이와 접촉되어 상기 손잡이를 회동시키는 아암;
    상기 운동변환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운동변환수단의 이동시에 상기 아암이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아암에 상기 운동변환수단의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상기 아암이 가이드되며 상기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아암 레일;
    상기 아암 레일에 설치되며 상기 아암의 상기 수직방향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수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기어들;
    상기 기어들중 하나에 치합되는 랙기어가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와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 공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아암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장방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사각형의 전단 개구부와 후단 개구부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단 개구부와 양 측면 사이에는 이동시에 상기 손잡이를 가압하는 두 개의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후단 개구부와 양측면이 형성하는 길이방향의 테두리는 수직방향으로 상향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차단기가 수동으로 동작될 때는 상기 아암 레일이 상기 아암에 상기 손잡이와 접촉되지 않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누전차단기가 자동으로 동작될 때는 상기 아암 랙기어의 이동시에 상기 아암의 레일이 상기 손잡이와 접촉되도록 상기 아암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레일은 상기 아암 랙기어의 수평부에 설치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부에 접촉되는 접촉면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두 레일이 통과되는 레일 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의 전단부와 상기 전단 개구부 사이에는 상기 레일들의 연장선상에 각각 2개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톱퍼는 상기 아암 레일에 탄성력을 갖도록 두 개의 돌출부가 상기 레일들의 연상선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아암에 형성된 홈들에 삽입될 때 상기 아암의 이동은 스톱핑되고, 상기 탄성력보다 큰 외력이 상기 아암에 가해질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아암에 형성된 홈들로부터 이탈되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구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길이방향의 가이드 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 전단부에는 상기 아암의 이동시에 상기 손잡이와 접촉되도록 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아암 레일은 상기 아암 랙기어의 수평부에 설치되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 측부에는 상기 아암을 협지하는 협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아암의 가이드 공내에 위치하여 상기 아암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상기 스톱퍼가 상향 돌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구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는 누전차단기의 부하측의 전원에 의하여 충전되는 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전차단기의 입력측으로 부터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충전부에 의하여 상기 자동복구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구장치.
KR1020060053515A 2005-06-16 2006-06-14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구 장치 KR100740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515A KR100740996B1 (ko) 2005-06-16 2006-06-14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51770 2005-06-16
KR1020050051770 2005-06-16
KR1020060053515A KR100740996B1 (ko) 2005-06-16 2006-06-14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654A true KR20060131654A (ko) 2006-12-20
KR100740996B1 KR100740996B1 (ko) 2007-07-19

Family

ID=3751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515A KR100740996B1 (ko) 2005-06-16 2006-06-14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40996B1 (ko)
CN (1) CN100585769C (ko)
MY (1) MY150863A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33B1 (ko) * 2007-01-02 2008-03-27 임중우 누전차단기의 자동 레버 회동장치
KR100900845B1 (ko) * 2007-09-20 2009-06-04 임중우 자동 누전 차단기의 레버 회동장치
CN104766766A (zh) * 2015-04-10 2015-07-08 厦门宏发开关设备有限公司 一种漏电重合闸断路器的传动机构
CN105405687A (zh) * 2013-08-02 2016-03-16 胡小青 小型低压开关远程控制操作机构
CN105428169A (zh) * 2013-08-02 2016-03-23 胡小青 一种小型断路器
CN105513911A (zh) * 2013-08-02 2016-04-20 胡小青 一种具有电动机构的小型断路器远程控制操作机构
CN105719922A (zh) * 2013-08-02 2016-06-29 申清章 小型断路器
CN105742134A (zh) * 2013-08-02 2016-07-06 申清章 电动分合闸式小型断路器
CN105742132A (zh) * 2013-08-02 2016-07-06 申清章 一种具有电动分合闸装置的小型断路器
CN105742133A (zh) * 2013-08-02 2016-07-06 申清章 一种电动分合闸式小型断路器
CN105762037A (zh) * 2013-08-02 2016-07-13 申清章 具有电动分合闸功能的小型断路器
CN105762030A (zh) * 2013-08-02 2016-07-13 申清章 具有电动分合闸装置的小型断路器
CN105762031A (zh) * 2013-08-02 2016-07-13 申清章 一种具有电动分合闸功能的小型断路器
CN105788980A (zh) * 2013-08-02 2016-07-20 申清章 一种小型断路器
CN116660742A (zh) * 2023-08-02 2023-08-29 青岛市产品质量检验研究院(青岛市产品质量安全风险监测中心) 一种断路器检测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67053A (zh) * 2012-03-27 2013-10-23 苏州工业园区新宏博通讯科技有限公司 保护器
CN103456574B (zh) * 2013-08-02 2016-02-17 宏秀电气有限公司 用于小型断路器的电动分合闸机构
CN106158543A (zh) * 2013-08-02 2016-11-23 胡小青 一种小型低压开关
CN106158534A (zh) * 2013-08-02 2016-11-23 胡小青 一种小型断路器远程控制操作机构
CN106206106A (zh) * 2013-08-02 2016-12-07 乐清市华尊电气有限公司 一种小型低压开关
CN103400729B (zh) * 2013-08-02 2016-05-04 国网山东省电力公司莱西市供电公司 一种小型断路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5189A (en) 1985-09-20 1986-11-25 Cooper Industries, Inc. Circuit recloser with actuator for trip, close and lock out operation
US5742219A (en) 1994-04-28 1998-04-21 Siemens Electromechanical Components, Inc. Switchable circuit breaker
JP4891495B2 (ja) 2001-07-06 2012-03-07 ティケイディ株式会社 開閉器用操作器
KR100424897B1 (ko) * 2001-08-22 2004-04-03 승림전기주식회사 전력개폐장치용 조작기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533B1 (ko) * 2007-01-02 2008-03-27 임중우 누전차단기의 자동 레버 회동장치
KR100900845B1 (ko) * 2007-09-20 2009-06-04 임중우 자동 누전 차단기의 레버 회동장치
CN105551901A (zh) * 2013-08-02 2016-05-04 胡小青 小型断路器远程控制操作机构
CN105719922A (zh) * 2013-08-02 2016-06-29 申清章 小型断路器
CN105428169A (zh) * 2013-08-02 2016-03-23 胡小青 一种小型断路器
CN105428104A (zh) * 2013-08-02 2016-03-23 胡小青 一种小型低压开关远程控制操作机构
CN105428103A (zh) * 2013-08-02 2016-03-23 胡小青 具有导轨式卡装部的小型低压开关远程控制操作机构
CN105470009A (zh) * 2013-08-02 2016-04-06 胡小青 一种具有导轨式卡装部的小型低压开关远程控制操作机构
CN105513911A (zh) * 2013-08-02 2016-04-20 胡小青 一种具有电动机构的小型断路器远程控制操作机构
CN105513912A (zh) * 2013-08-02 2016-04-20 胡小青 具有电动机构的小型断路器远程控制操作机构
CN105788980A (zh) * 2013-08-02 2016-07-20 申清章 一种小型断路器
CN105405687A (zh) * 2013-08-02 2016-03-16 胡小青 小型低压开关远程控制操作机构
CN105742134A (zh) * 2013-08-02 2016-07-06 申清章 电动分合闸式小型断路器
CN105742132A (zh) * 2013-08-02 2016-07-06 申清章 一种具有电动分合闸装置的小型断路器
CN105742133A (zh) * 2013-08-02 2016-07-06 申清章 一种电动分合闸式小型断路器
CN105762037A (zh) * 2013-08-02 2016-07-13 申清章 具有电动分合闸功能的小型断路器
CN105762030A (zh) * 2013-08-02 2016-07-13 申清章 具有电动分合闸装置的小型断路器
CN105762031A (zh) * 2013-08-02 2016-07-13 申清章 一种具有电动分合闸功能的小型断路器
CN104766766A (zh) * 2015-04-10 2015-07-08 厦门宏发开关设备有限公司 一种漏电重合闸断路器的传动机构
CN116660742A (zh) * 2023-08-02 2023-08-29 青岛市产品质量检验研究院(青岛市产品质量安全风险监测中心) 一种断路器检测设备
CN116660742B (zh) * 2023-08-02 2023-10-13 青岛市产品质量检验研究院(青岛市产品质量安全风险监测中心) 一种断路器检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81509A (zh) 2006-12-20
CN100585769C (zh) 2010-01-27
MY150863A (en) 2014-03-14
KR100740996B1 (ko) 200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996B1 (ko)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구 장치
US7361857B2 (en) External operating handle mechanism for mold cased circuit breaker
KR100576952B1 (ko) 전기 기구 모듈용 로킹 장치를 구비한 저전압 스위치 기어
EP2309525A1 (en) Circuit breaker
EP2482400B1 (en) Withdrawable circuit breaker shutter systems
US6490149B2 (en) Drawing apparatus for a drawer type electrical machinery
CN210723927U (zh) 一种小单元抽屉用推进合闸联锁机构及合闸联锁单元
KR101105212B1 (ko) 배선용차단기의 스위치레버 전환장치
CN109243928A (zh) 机构嵌入式塑壳断路器
CN215869103U (zh) 操作机构
CN202423099U (zh) 断路器操纵装置
CN209607684U (zh) 断路器的驱动模块
CN112582932A (zh) 一种直流断路器小车
KR101494793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장치
CN201532899U (zh) 电动操动机构指示联锁装置
CN109308981A (zh) 断路器的驱动模块
CN217240440U (zh) 一种高稳定性微电机
CN216698140U (zh) 一种新型断路器三相联动弹簧操动机构手动闭锁装置
CN216624140U (zh) 一种储能开关转换装置及断路装置
CN220353598U (zh) 用于开关柜后门的反闭锁装置和开关柜
CN219696377U (zh) 一种电机外置式断路器弹簧操作机构
CN111223726B (zh) 一种智能断路器电动操作装置驱动及脱扣结构
CN108365554B (zh) 一种侧装断路器的提升装置
CN212695095U (zh) 断路器分合闸到位信号采集装置
JPS612528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