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610A - 기록매체,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및 믹싱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및 믹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610A
KR20060131610A KR1020060023114A KR20060023114A KR20060131610A KR 20060131610 A KR20060131610 A KR 20060131610A KR 1020060023114 A KR1020060023114 A KR 1020060023114A KR 20060023114 A KR20060023114 A KR 20060023114A KR 20060131610 A KR20060131610 A KR 20060131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audio stream
mixer
mixing
inter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6/00219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6135165A1/en
Priority to EP06747498A priority patent/EP1891640A1/en
Priority to JP2008516742A priority patent/JP2008547142A/ja
Priority to US11/450,395 priority patent/US20060287744A1/en
Publication of KR20060131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11B2020/10555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매체,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및 믹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에 있어서, 멀티 채널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단계와,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오디오의 포지셔닝과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제 1 오디오와 믹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의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다양한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광디스크, 오디오 믹싱, 오디오 믹서

Description

기록매체,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및 믹싱장치{Recording medium,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audio data}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적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 기록재생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오디오 믹싱 모델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믹서에서의 오디오 믹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믹서에서의 오디오 믹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믹서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믹싱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믹싱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픽업 15 : 스토리지
17 : 재생시스템
320a ~ 320b : 오디오 디코더
330a ~ 330b : 오디오 믹서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및 믹싱장치와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레벨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의 포지셔닝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및 믹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록매체로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광 디스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에는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와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장시간 동안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고밀도 기록매체, 예를 들어 블루레이 디스크(BD: Blu-ray Disc)와 고밀도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HD-DVD: High Definition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개발되고 있다.
차세대 기록매체 기술인 고밀도 기록매체는 기존의 DVD를 현저하게 능가하는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는 차세대 광기록 솔루션으로 근래에 다른 디지털기기와 함께 이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관련하여, 고밀도 기록매체 규격을 응용한 광 기록재생장치의 개발도 시작되었으나, 아직 고밀도 기록매체 규격이 완전히 완비되지 못한 관계로 완성된 광 기록재생장치를 개발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외부입력신호 및/또는 고밀도 기록매체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함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믹스하는 바람직한 방법 등이 알려진바 없어, 본격적인 고밀도 기록매체 기반의 광 기록재생장치를 개발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외부입력신호 및/또는 고밀도 기록매체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오디오 스트림들을 동적으로 믹스하여,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사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믹스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및 믹싱장치와 상기 커맨드 셋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오디오를 믹스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및 믹싱장치와 상기 메타데이터가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멀티 채널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단계와, (b)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오디오의 포지셔닝과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제 1 오디오와 믹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b)단계의 커맨드 셋은 상기 제 2 오디오에 포함되는 채널별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기록매체에 저 장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은 기록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이고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기록매체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은 (c)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포지셔닝과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b)단계의 결과와 믹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의 커맨드 셋은 상기 인터랙티브 오디오에 포함되는 채널별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랙티브 오디오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랙티브 오디오는 기록매체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은 (c)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b) 단계의 결과와 믹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멀티 채널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멀티 채널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단계와, (b)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오디오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제 1 오디오와 믹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b)단계의 커맨드 셋은 상기 제 2 오디오에 포함되는 채널별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기록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은 기록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이고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기록매체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믹싱방법은 (c)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b)단계의 결과와 믹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의 커맨드 셋은 상기 인터랙티브 오디오에 포함되는 채널별로 정의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랙티브 오디오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랙티브 오디오는 기록매체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믹싱방법은 (c)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b) 단계의 결과와 믹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포지셔닝과 출력 레벨을 조정하고, 제 1 오디오와 믹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오디오 데이터는 제 2 오디오 데이터와 믹스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제 1 디코더 및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제 2 디코더와,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오디오의 포지셔닝과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제 1 오디오와 믹스하는 제 1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데이터 믹싱장치는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포지셔닝과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제 1 믹서의 결과와 믹스하는 제 2 믹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데이터 믹싱장치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포지셔닝과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제 1 믹서의 결과와 믹스하는 제 2 믹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제 1 디코더 및 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제 2 디코더와,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오디오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제 1 오디오와 믹스하는 제 1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데이터 믹싱장치는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제 1 믹서의 결과와 믹스하는 제 2 믹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데이터 믹싱장치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포지셔닝과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제 1 믹서의 결과와 믹스하는 제 2 믹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오디오 스트림의 믹싱에서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는 커맨드 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스트림의 믹싱에서의 포지셔닝을 조정하는 커맨드 셋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스트림은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스트림은 인터랙티브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레벨을 조정하는 커맨드 셋은 상기 오디오 스트림에 포함되는 채널별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지셔닝을 조정하는 커맨드 셋은 상기 오디오 스트림에 포함되는 채널별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맨드 셋은 상기 기록매체 외부에 존재하는 오디오 스트림의 믹싱에서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는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맨드 셋은 상기 기록매체 외부에 존재하는 오디오 스트림의 믹싱에서의 포지셔닝을 조정하는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인터랙티브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오디오와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믹싱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록매체는 제 1 오디오와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믹싱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의 포지셔닝을 조정하는 메타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콘텐츠의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다양한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록매체로서 광 디스크(optical disc) 특히 "블루레이 디스크(BD)"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HD-DVD 등 다른 기록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스토리지(Storage)"라 함은, 광기록재생장치(도 1) 내에 구비된 일종의 저장수단으로서, 필요한 정보 및 데이터를 사용자가 임의로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는 요소를 의미한다. 즉,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토리지로는 "하드디스크(hard disk)", "시스템 메모리(system memory)",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등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스토리지(Storage)"는 기록매체(예를 들어, 블루레이 디스크)와 연관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되며, 상기 기록매체와 연관되어 스토리지 내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외부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 받은 데이터가 일반적이다.
관련하여, 기록매체로부터 일부 허용된 데이터를 직접 독출하거나, 또는 기록매체의 기록재생과 관련된 시스템데이터(예를 들어, 메타데이터(metadata) 등)를 생성하여, 스토리지 내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기록매체 내에 기록된 데이터를 "오리지널 데이터(original data)"로 명명하고, 상기 스토리지 내에 저장된 데이터 중 기록매체와 관련된 데이터를 "어디셔널 데이터(additional data)"로 명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패닝(panning)이라 함은 제 1 오디오의 스테레오 또는 멀티 채널 사운드 필드 내에서 제 2 오디오와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위치를 이동하는 것(positioning)을 말한다. 제 1 오디오와 제 2 오디오, 인터랙티브 오디오에 관해서는 도 3에서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적 이해를 돕기 위해 나타낸 것으로, 광 기록재생장치(10)와 주변기기 간의 통합적 사용의 일 예를 보여주기 위해 나타낸 것이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광 기록재생장치(10)"는 여러 가지 규격의 광 디스크를 기록하거나 재생 가능한 기기로서, 설계에 따라서는 특정규격(예를 들면, BD 또는 DVD)의 광 디스크만을 기록재생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록은 제외하고 재생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관련하여, 본 발명의 "광 기록재생장치(10)"는 컴퓨터 등에 내장가능한 "드라이브(drive)"가 될 수 있음은 이미 널리 알려진 자명한 사실이다.
본 발명의 광 기록재생장치(10)는 광 디스크(30)를 기록재생하는 기능 이외에도, 외부입력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신호처리한 후 또 다른 외부 디스플레이(20)를 통해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 입력가능한 외부신호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디지털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및 인터넷(Internet) 등이 대표적인 외부입력신호가 될 것이며, 특 히, 인터넷(Internet)의 경우 현재 누구나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매체로서 광 기록재생장치(10)를 통해 인터넷(Internet)상의 특정 데이터를 다운로드(download) 받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관련하여, 외부입력 소스(external source)로서 콘텐트(content)를 제공하는 자를 총칭하여 "콘텐츠 제공자(CP:content provider)"로 명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콘텐츠(contents)라 함은 타이틀을 구성하는 내용으로서 기록매체의 제작자(author)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data)를 의미한다.
오리지널 데이터와 어디셔널 데이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광 디스크 내에 기록된 오리지널 데이터로는 특정 타이틀용의 멀티플렉싱된(multiplexed) AV스트림을 기록해두고, 인터넷상의 어디셔널 데이터로는 상기 오리지널 데이터의 오디오스트림(예를 들어, 한국어)과 상이한 오디오스트림(예를 들어, 영어)을 제공하면, 사용자에 따라서는 인터넷상의 어디셔널 데이터인 오디오스트림(예를 들어, 영어)을 다운로드 받아, 오리지널 테이터인 AV스트림과 함께 재생하거나, 또는 어디셔널 데이터만 재생하고자 하는 요구가 존재할 것이다. 이를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상기 오리지널 데이터와 어디셔널 데이터 간의 연관성을 규정하고, 이들 데이터들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관리/재생하는 체계화된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오리지널 데이터의 오디오스트림과 어디셔널 데이터의 오디오스티림을 함께 재생하는 경우, 상기 스트림들을 믹스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정립된 방법이 요구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크 내에 기록된 신호를 오리지널 데이터로 하고, 디스크 외부에 존재하는 신호를 어디셔널 데이터라고 명명하였으나, 이는 각각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에 따라 구분될 따름이지 오리지널 데이터와 어디셔널 데이터가 반드시 특정의 데이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따라서, 광 디스크 외부에 존재하면서, 오리지널 데이터와 연관된 어떠한 속성의 데이터도 어디셔널 데이터로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 기록재생장치(10)의 전체 구성에 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광 디스크 기록된 오리지널 데이터 및 재생관리 파일정보를 포함한 관리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픽업(11)과 픽업(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보(14), 상기 픽업(11)으로부터 수신된 재생신호를 원하는 신호 값으로 복원해내거나, 기록될 신호를 광 디스크에 기록되는 신호로 변조(modulation)하여 전달하는 신호처리부(13)와 상기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6)이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12)는 사용자명령 등에 의해 광 디스크 외에 존재하는 어디셔널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이를 스토리지(15)에 저장함과 아울러, 스토리지(15) 내 어디셔널 데이터 및/또는 광 디스크 내 오리지널 데이터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재생하게 된다.
재생시스템(17)은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최종적으로 디코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는바, 이는 특히 AV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와 제어부(1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해석하여 재생방향을 결정하는 플레이어 모델로 구성된다.
또한, AV 인코더(18)는 광 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는 기능의 수행을 위해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입력신호를 특정포맷의 신호, 예를 들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부(13)에 제공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오디오 믹싱 모델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오디오 믹싱이라 함은 제 1 오디오 스트림을 제 2 오디오 스트림 및/또는 인터랙티브 오디오와 믹스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도 3에서 도시된 오디오 믹싱 모델은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제 2 오디오 스트림, 인터랙티브 오디오 스트림을 믹싱 계수(mixing coefficients)에 따라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모델은 디코딩과 믹싱을 수행하기 위해, 두 개의 오디오 디코더(D1, D2)와 두 개의 오디오 믹서(M1, M2)를 제공한다. 콘텐츠 제공자는 오디오 믹싱 제어 파라미터들(P1, P2, P3)을 이용하여 오디오 믹싱 과정을 제어하게 된다.
관련하여, 제 1 오디오(primary audio)는 메인 오디오 프로그램을 위한 고비트율(high bit-rate)의 오디오 스트림이다. 제 1 오디오는 기록매체에 포함된 무비 사운드 트랙인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제 1 오디오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스토리지(15)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오디오는 제 1 PID(Packet Identifier) 필터에 의해, PID에 따라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중 필요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이 출력되어 제 1 버퍼(B1 : 310a)를 거쳐 제 1 오디오 디코더(primary audio decoder : 320a)에 제공된다. 제 2 오디오(secondary audio)는 제 1 오디오와 동기화되고 믹스되는 부수적인 오디오를 제공하는 저비트율(lower bit-rate) 오디오 스트림이다. 제 2 오디오는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믹스되 도록 디자인된 감독의 코멘트 또는 부수적인 오디오 스트림으로서 광기록재생기의 스토리지 상에 존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 2 오디오는 제 2 PID 필터에 의해 필요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선택되어 제 2 버퍼(B2 : 310b)를 거쳐 제2 오디오 디코더(secondary audio decoder : 320b)에 제공된다.
인터랙티브 오디오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의해 활성화되는 LPCM 오디오로서, 제 3 버퍼(B3 : 310c)를 거쳐 제 2 믹서(330b)에 제공되어 제 1 오디오와 믹스된다. 상기 제 1 오디오는 제 2 오디오가 오디오 효과의 일부분으로서 제공된 경우, 제 2 오디오와 믹스된 후 인터랙티브 오디오와 믹스된다. 인터랙티브 오디오 스트림은 스토리지 또는 기록매체 상에 있을 수 있으며 버튼 사운드와 같은 인터랙티브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동적 사운드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관련하여, 상기 모델은 LPCM(Linear Pulse Code Modulation) 믹싱에 기초한다. 즉, 모든 오디오 데이터는 LPCM으로 디코드되어 출력에 앞서 믹스된다. D1은 제 1 오디오 디코더(320a)이다. D1(320a)은 제 1 오디오 스트림을 LPCM으로 디코드한다. D1(320a)은 제 1 오디오 사운드트랙에 존재하는 모든 채널들을 디코드하거나 다운믹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2는 제 2 오디오 디코더(320b)이다. D2(320b)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LPCM으로 디코드한다. 아울러,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에 포함된 믹싱 메타데이터(mixing metadata)를 추출하여 상기 데이터를 믹스 매트릭스 형태로 전환하고 상기 믹스 매트릭스를 제 1 믹서(330a)에 전달한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믹싱과정을 제어하는데 이용되게 된다. 제 2 오디오 디코더(320b)는 제 2 오디오 사운드트랙에 포함된 모든 채널을 디코드하거나 다운믹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오디오 디코더(320b)로부터 디코드된 각 채널 결과는 제 1 오디오 디코더(320a)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채널 출력과 믹스될 수 있다.
관련하여, 믹스 매트릭스는 콘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s)에 의해 제공되는 믹싱 파리미터(mixing parameters)에 맞추어 만들어진다. 믹스 매트릭스는 합(summing) 전에 레벨 조정을 위해 제 1 스트림(M1 믹서(330a)에서의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M2 믹서(330b)에서의 M1(330a)의 출력 스트림)의 각 채널에 적용되는 계수와 제 2 스트림(M1 믹서(330a)에서의 제 2 오디오 스트림과 M2 믹서(330b)에서의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각 채널에 적용되는 계수를 포함한다.
제 2 오디오 스트림으로부터의 메타데이터가 믹싱 파라미터의 소스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소스로서 커맨드 셋(command set)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맨드 셋은 광기록재생기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일종의 프로그램 모음을 말한다. 상기 커맨드 셋에 의해 광기록재생기 기능과 인터페이스를 이루게 되며, 상기 커맨드 셋에 의해 광기록재생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맨드 셋의 대표적인 예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있다. 이하, 커맨드 셋으로 API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관련하여, 상기 커맨드 셋은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광기록재생기에 공급될 수 있으나, 광기록재생기 제작시에 상기 광기록재생기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믹싱 모델은 콘텐츠 제공자에게 믹싱 파라미터를 제공한다. 상기 믹싱 파라미터로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패닝 조정에 이용되는 파라 미터,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레벨 조정에 이용되는 파라미터와 인터랙티브 오디오 스트림의 패닝/레벨 조정에 이용되는 파라미터가 있다. 도 3 이하에서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패닝 조정 파라미터를 P1,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레벨 조정 파라미터를 P2, 인터랙티브 오디오 스트림의 패닝/레벨 조정 파라미터를 P3라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기 파라미터들의 명칭에 구애되는 것은 아니며, 기능에 따라 통합적 또는 분리되어 별개의 파라미터가 존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관련하여, 메타데이터 온/오프 API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으로부터의 오디오 믹싱 메타데이터의 처리를 온/오프 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조정이 온(ON)인 경우,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패닝 조정 파라미터(P1)는 D2(320b)로부터 온다. 오프(OFF)인 경우,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패닝 조정 파라미터(P1)은 본 발명에 따른 API로부터 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API와 같은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제 2 오디오를 패닝하고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레벨을 조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믹서에서의 오디오 믹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M1 믹서(330a)에서 제 2 오디오를 패닝(panning)하여 믹싱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M1 믹서(330a)는 디코드된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디코드된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믹스 매트릭스(401)에 따라 믹스한다. 본 발명에서는 오디오 믹싱 과정을 커멘드 셋에 의해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믹싱 파라미터(P1, P2, P3)는 커맨드 셋을 갖는다. M1 믹서(330a)는 P1과 P2 믹싱 파라미터에 의해 제어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P1 믹싱 파라미터는 메 타데이터 온/오프 API를 이용하여 제 2 오디오 디코더(320b)로부터의 메타데이터와 API사이에서 스위치된다. 즉, 제 2 오디오의 패닝 조정 파라미터(P1)는 API와 제 2 오디오 메타데이터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2 오디오의 패닝 조정 파라미터(P1)가 제 2 오디오 메타데이터로부터 제공되고 제 1 오디오와 제 2 오디오의 레벨 조정 파라미터(P2)에 API가 적용되는 경우, 메타데이터와 API가 함께 믹싱 과정을 제어하게 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모노이고 M1믹서는 5.1 채널 출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제 2 오디오 메타데이터가 오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기록재생기에 존재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패닝 조정 API와 레벨 조정 API를 믹스 매트릭스(401)로 전환하여 제 1 믹서(330a)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패닝하기 위해, 제 1 오디오와의 통합(summation)에 앞서,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5개의 채널로 전환되고 각각의 이득이 각 채널에 적용된다. 따라서, 믹스 매트릭스(401)에 따라 제 2 오디오는 'Gs1×M, Gs2×M, Gs3×M, Gs4×M, Gs5×5'가 되고(402), 제 1 오디오는 'Gp1×L, Gp2×R, Gp3×C, Gp4×LFE, Gp5×Ls, Gp×Rs'가 되어(403) 더해지게 된다(404). M1 믹서(330a)에서 더해진 결과의 출력값(404)은 M2 믹서(330b)에 제공되어 인터랙티브 오디오와 믹스된다.
관련하여, 도 4의 실시예에서, "Gs"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이득(gain)을 의미하며 "Gp"는 제 1 오디오 스트림의 이득(gain)을 의미한다. "M"은 모노(Mono), "L"은 왼쪽(Left), "R"은 오른쪽(Right), "C"는 중앙(Center), "S"는 서라운드(Surround), "Ls"는 왼쪽 서라운드(Left Surround), "Rs"는 오른쪽 서라운드(Right Surround), "LFE"는 저주파 효과(Low Frequency Effects) 채널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믹서에서의 오디오 믹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M2 믹서(330b)에서 인터랙티브 오디오를 패닝(panning)하여 믹싱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인터랙티브 오디오는 모노이다. M2 믹서(330b)는 M1 믹서(330a)의 출력(output) 스트림과 인터랙티브 오디오를 믹스 매트릭스(501)에 따라 믹스한다.
관련하여,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믹싱에 있어서, 메타데이터가 이용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오디오 믹서에 제공되거나 기록매체 외부로부터 스토리지(15)로 인터랙티브 오디오 데이터와 함께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믹스 매트릭스(501)는 광기록재생기에 의해 API는 물론 메타데이터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상기 API 및/또는 메타데이터는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패닝 조정 및/또는 레벨 조정을 수행하게 된다. 패닝 조정 및/또는 레벨 조정된 인터랙티브 오디오(502)은 M1 믹서(330a)의 출력 스트림(404)과 합해져 출력되게 된다(503).
도 4 및 도 5에서 제 2 오디오와 인터랙티브 오디오가 모노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제 2 오디오와 인터랙티브 오디오가 각각 멀티 채널 스트림일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 2 오디오와 인터랙티브 오디오가 멀티 채널인 경우에는 패닝없이 레벨 조정만을 수행되어 제 1 오디오와 믹스될 수 있다. 다만, 보다 풍부한 사운드를 위하여 오디오 스트림에 포함된 각 채널별로 패닝된 후 레벨이 조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관련하여, 제 2 오디오 및/또는 인터랙티브 오디오가 멀티 채널인 경우, 본 발명에서는 각 채널별로 패닝 및/또는 레벨을 조정하는 커맨드 셋이 정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제 2 오디오가 'L'과 'R' 채널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L' 채널에 대한 패닝 및/또는 레벨 조정 커맨드 셋이 정의되고 상기 'R' 채널에 대한 패닝 및/또는 레벨 조정 커맨드 셋이 상기 'L' 채널에 대한 커맨드 셋과는 별도로 정의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믹서의 일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믹서는 5.1 채널 믹서로서, 두 믹싱 블록으로 믹서가 도시되어 있다. 첫 번째 블록 즉, M1 믹서(330a)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에 포함된 메타데이터 및/또는 커맨드 셋의 제어에 따라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믹스한다. 두 번째 블록 즉, M2 믹서(330b)는 M1 믹서(330a)의 출력을 인터랙티브 오디오와 믹스한다. 상기 M2 믹서(330b)에서의 믹싱 과정은 메타데이터 및/또는 커맨드 셋에 의해 제어된다.
관련하여, 제 2 오디오 스트림에 포함된 이득 및 팬 데이터는 오디오 샘플링 속도보다 훨씬 낮은 비율로서 주기적으로 믹서에 공급된다. 들을 수 있는 인공음(예를 들어, 페이드 또는 팬 작용 동안 들리는 지퍼 노이즈 또는 인접한 오디오 샘플들 사이에서의 갑작스러운 이득 변화에 의한 클릭 사운드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메타데이터를 통해 전달되는 이득 값은 컨트롤 스무더(control smoother : 610a, 610b, 610c)를 통해 오디오 샘플링 속도까지 스무드 된다.
디코드된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믹싱 API 및/또는 'Gain/Pan LUT(Look Up Table)'이 전환된 믹스 매트릭스에 의해 패닝된 후 출력 레벨이 조정되어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합해지게 된다.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은 디코드되어 믹스 매트릭스에 따라 출력 레벨이 조정된 데이터이다.
M1 믹서(330a)의 출력값은 M2 믹서(330b)에 제공되어 인터랙티브 오디오와 합해진다. 상기 인터랙티브 오디오는 상기 M1 믹서(330a)의 출력값과 합해지게 되기 전에, 믹싱 API 및/또는 메타데이터로부터 생성된 믹스 매트릭스에 따라 패닝된 후 출력 레벨이 조정된다. 상기 M2 믹서(330b)의 믹싱 결과가 그대로 또는 다운믹스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관련하여, 제 2 오디오와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믹싱은 기설정된(pre-determined) 시간에 일어나고 디스크 제작 과정 동안 생성되는 기설정된 믹싱 파라미터(mixing parameters)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믹싱 파라미터의 정확한 용법(usage)에 의해, 제 1 오디오와 제 2 오디오 스트림의 믹싱이 믹서의 오버로드를 유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M2 믹서(330b)에서의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부가는 기설정된 시간에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M2 믹서 출력값(output)이 오버로드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피크 리미팅/오버로드 방지(peak limiting/overload protection : 620)가 상기 믹서의 출력값에 적용된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믹싱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과 도 8은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오디오 믹싱을 조정하는 점에서 공통되나, 도 7의 실시예에서 패닝 조정과 출력 레벨 조정을 수행하는 반면,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출력 레벨만이 조정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기록매체 및/또는 스토리지로부터 제공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의 클립 이 AV 스트림이 오디오 믹싱 모델에 제공된다.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PID 필터를 거쳐 PID에 따라 필요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선별되어 오디오 디코더에 제공되게 된다. 제 1 오디오 디코더(320a)와 제 2 오디오 디코더(320b)에서 제 1 오디오 스트림(primary audio stream)와 제 2 오디오 스트림(secondary audio stream)이 각각 디코드된다(S710).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제 1 믹서(330a)에서 패닝되고 출력 레벨이 조정된다(S720). 관련하여, 상기 패닝과 출력 레벨의 조정은 제 2 오디오 스트림에 포함된 채널별로 정의된 커맨드 셋 예를 들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에 의해 수행되게 된다. 패닝되고 출력 레벨이 조정된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제 1 믹서(330a)에서 믹스된다(S730). 제 1 오디오 스트림이 제 2 오디오 스트림과 합해지기 전에 믹스 매트릭스에 따라 출력 레벨이 조정될 수 있음은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제 1 믹서(330a)에서의 출력값(output)은 제 2 믹서(330b)에 제공되게 된다. 상기 제 2 믹서(330b)에서는 인터랙티브 오디오가 채널별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패닝되고 출력 레벨이 조정된다(S740). 패닝되고 출력 레벨이 조정된 인터랙티브 오디오는 제 1 믹서(330a)에서의 출력값과 믹스되어(S750)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관련하여,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제공되지 않은 경우 제 1 믹서(330a)에서의 출력값은 제 1 오디오 스트림의 출력 레벨이 조정된 값이 된다. 결국,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제공되지 않은 경우, 인터랙티브 오디오는 출력 레벨이 조정된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믹스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오디오는 제공되고 인터랙티브 오디 오가 제공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오디오와 제 2 오디오의 믹싱 결과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믹싱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서도 도 7에서와 마찬가지로 오디오 믹싱과정에서 채널별 커맨드 셋이 이용된다. 다만,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제 2 오디오 및/또는 인터랙티브 오디오가 멀티 채널인 경우 패닝을 수행하지 않고 출력 레벨만을 조정하는 'gain control'만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도 7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관련하여, 도 7의 실시예에서 제 2 오디오와 인터랙티브 오디오는 모노일수도 멀티 채널일 수도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제 2 오디오 스트림이 디코딩(S810)되어 오디오 믹서에 제공되는 것은 도 7에서와 같다. 다만, 제 2 오디오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경우, 제 1 믹서(330a)는 제 2 오디오의 출력 레벨을 조정(S820)하여 제 1 오디오와 믹스(S830)한다. 상기 제 1 믹서(330a)의 출력값은 제 2 믹서(330b)에 제공되어 인터랙티브 오디오와 믹싱된다(S850). 상기 인터랙티브 오디오가 멀티 채널인 경우, 출력 레벨이 조정(S840)되어 상기 제 1 믹서(330a)의 출력값과 합해지게 된다. 즉, 도 8의 실시예에서, 멀티 채널 인터랙티브 오디오는 믹싱 과정에서 패닝되지 않는다.
관련하여,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믹싱에 있어서, 메타데이터가 이용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므로, 전술한 도 7과 도 8의 실시예에서 패닝과 출력 레벨 조정에 메타데이터가 이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커맨드 셋과 함께 또는 따로 메타데이터가 믹스 매트릭스(501)로 전환되어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출력 및/또는 패닝 조정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입력신호 및/또는 고밀도 기록매체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오디오 스트림들을 보다 동적으로 믹스하는 것이 가능해져, 콘텐츠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변화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더욱 다양한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4)

  1.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에 있어서,
    (a) 멀티 채널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단계와,
    (b)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오디오의 포지셔닝과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제 1 오디오와 믹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디오에 포함되는 채널별로, 상기 (b)단계의 커맨드 셋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기록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은 기록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이고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기록매체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c)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포지셔닝과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b)단계의 결과와 믹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오디오에 포함되는 채널별로, 상기 (c)단계의 커맨드 셋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오디오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오디오는 기록매체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c)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b) 단계의 결과와 믹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10.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에 있어서,
    (a) 멀티 채널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멀티 채널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단계와,
    (b)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오디오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제 1 오디오와 믹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디오에 포함되는 채널별로, 상기 (b)단계의 커맨드 셋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기록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디오 스트림은 기록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이고 상기 제 2 오디오 스트림은 기록매체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c)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b)단계의 결과와 믹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오디오에 포함되는 채널별로, 상기 (b)단계의 커맨드 셋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오디오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오디오는 기록매체 외부에 존재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18. 제 10 항에 있어서,
    (c)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b) 단계의 결과와 믹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19. 오디오 데이터 믹싱장치에 있어서,
    제 1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제 1 디코더 및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제 2 디코더와,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오디오의 포지셔닝과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제 1 오디오와 믹스하는 제 1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포지셔닝과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제 1 믹서의 결과와 믹스하는 제 2 믹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포지셔닝과 출력 레벨을 조정 하고 상기 제 1 믹서의 결과와 믹스하는 제 2 믹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장치.
  22. 오디오 데이터 믹싱장치에 있어서,
    제 1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제 1 디코더 및 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제 2 디코더와,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오디오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제 1 오디오와 믹스하는 제 1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커맨드 셋을 이용하여, 둘 이상의 채널을 포함하는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제 1 믹서의 결과와 믹스하는 제 2 믹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포지셔닝과 출력 레벨을 조정하고 상기 제 1 믹서의 결과와 믹스하는 제 2 믹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 믹싱장치.
  2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디오 스트림과,
    상기 오디오 스트림의 믹싱에서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는 커맨드 셋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스트림의 믹싱에서의 포지셔닝을 조정하는 커맨드 셋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스트림은 제 2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스트림은 인터랙티브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레벨을 조정하는 커맨드 셋은 상기 오디오 스트림에 포함되는 채널별로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을 조정하는 커맨드 셋은 상기 오디오 스트림에 포함되는 채널별로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1.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셋은 상기 기록매체 외부에 존재하는 오디오 스트림의 믹싱에서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는 커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셋은 상기 기록매체 외부에 존재하는 오디오 스트림의 믹싱에서의 포지셔닝을 조정하는 커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3.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오디오 스트림과 인터랙티브 오디오 스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오디오와 상기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믹싱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제 1 오디오와 상기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믹싱에 있어 서, 상기 인터랙티브 오디오의 포지셔닝을 조정하는 메타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60023114A 2005-06-15 2006-03-13 기록매체,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및 믹싱장치 KR20060131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6/002194 WO2006135165A1 (en) 2005-06-15 2006-06-08 Recording medium, apparatus for mixing audio data and method thereof
EP06747498A EP1891640A1 (en) 2005-06-15 2006-06-08 Recording medium, apparatus for mixing audio data and method thereof
JP2008516742A JP2008547142A (ja) 2005-06-15 2006-06-08 記録媒体、オーディオデータミキシング装置及びミキシング方法
US11/450,395 US20060287744A1 (en) 2005-06-15 2006-06-12 Recording medium, apparatus for mixing audio data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9052305P 2005-06-15 2005-06-15
US60/690,523 2005-06-15
US70346205P 2005-07-29 2005-07-29
US60/703,462 2005-07-29
US70980705P 2005-08-22 2005-08-22
US60/709,807 2005-08-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610A true KR20060131610A (ko) 2006-12-20

Family

ID=3781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114A KR20060131610A (ko) 2005-06-15 2006-03-13 기록매체,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및 믹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287744A1 (ko)
JP (1) JP2008547142A (ko)
KR (1) KR200601316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11565A1 (en) * 2007-10-19 2010-07-28 Panasonic Corporation Audio mixing device
JP5719966B2 (ja) 2011-04-08 2015-05-20 ドルビー ラボラトリーズ ライセンシ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2つのエンコードされたビットストリームからのオーディオストリームの混合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メタデータの自動設定
US8605564B2 (en) * 2011-04-28 2013-12-10 Mediatek Inc. Audio mixing method and audio mixing apparatus capable of processing and/or mixing audio inputs individually
US9129607B2 (en) 2011-06-28 2015-09-08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digital signals
EP3337065B1 (en) * 2016-12-16 2020-11-25 Nxp B.V. Audio processing circuit, audio unit and method for audio signal blendi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2800A (en) * 1995-10-20 1998-12-22 Liquid Audi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controlled modulation and mixing of digitally stored compressed data
EP0907947A4 (en) * 1996-06-24 1999-10-20 Koevering Company Van MUSIC INSTRUMENT SYSTEM
US6298025B1 (en) * 1997-05-05 2001-10-02 Warner Music Group Inc. Recording and playback of multi-channel digital audio having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channels
JPH11213558A (ja) * 1998-01-27 1999-08-06 Toshiba Corp 音声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並びに音声データ処理方法
ID30033A (id) * 1999-11-10 2001-11-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embawa rekaman, peranti pemutar ulang pembawa rekaman, metoda pemutaran ulang pembawa rekaman, peranti untuk merekam pembawa rekaman dan metoda untuk merekam pembawa rekaman
JP2001142496A (ja) * 1999-11-11 2001-05-25 Sony Corp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7376475B2 (en) * 2001-03-05 2008-05-20 Microsoft Corporation Audio buffer configuration
CN101510980B (zh) * 2003-01-31 2011-06-1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再现装置、记录方法以及再现方法
US7343210B2 (en) * 2003-07-02 2008-03-11 James Devito Interactive digital medium and system
US20050058307A1 (en) * 2003-07-12 2005-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udio stream for mixing,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7492915B2 (en) * 2004-02-13 2009-02-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ynamic sound source and listener position based audio rendering
US8280233B2 (en) * 2005-01-28 2012-10-02 Panasonic Corporation Reproduction device, program, reproduction method
US7844355B2 (en) * 2005-02-18 2010-11-30 Panasonic Corporation Stream reproduction device and stream suppl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87744A1 (en) 2006-12-21
JP2008547142A (ja) 2008-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65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mmodating primary content audio and secondary content remaining audio capability in the digital audio production process
US63517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mmodating primary content audio and secondary content remaining audio capability in the digital audio production process
CN1560848B (zh) 信息信号再现设备
US66620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playback with title specific parameters
US200401388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audio stre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thereof
JP2007504595A (ja) コンテント及びユーザ選択に従ってレシーバを遠隔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0500583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udio stream for mixing,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4264037B2 (ja) 音響装置および再生モード設定方法
US200401867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audio stre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thereof
KR20060131610A (ko) 기록매체, 오디오 데이터 믹싱방법 및 믹싱장치
CN101199015A (zh) 记录介质、用于混合音频数据的装置及其方法
KR100584571B1 (ko) 오디오 스트림 믹싱 방법
EP1891640A1 (en) Recording medium, apparatus for mixing audio data and method thereof
KR100584572B1 (ko) 오디오 스트림 믹싱 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JP4325657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67367A (ja) 符号化オーディオ信号の編集装置
Proper et al. Surround+ immersive mastering
JP2005011432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KR100429821B1 (ko) 썸네일 데이터 재생장치
Eagle Output and Export
JP2006031866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6109290A (ja) 復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