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170A - 무선 리모콘 컨트롤러부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리모콘 컨트롤러부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170A
KR20060131170A KR1020050051405A KR20050051405A KR20060131170A KR 20060131170 A KR20060131170 A KR 20060131170A KR 1020050051405 A KR1020050051405 A KR 1020050051405A KR 20050051405 A KR20050051405 A KR 20050051405A KR 20060131170 A KR20060131170 A KR 20060131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terminal
free
remote control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3352B1 (ko
Inventor
이양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1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3352B1/ko
Priority to JP2006165284A priority patent/JP4382773B2/ja
Priority to US11/453,942 priority patent/US7694879B2/en
Publication of KR20060131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3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3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핸즈 프리 기능을 함과 아울러 티비(TV), 동영상 시청을 위한 채널 전환 및 볼륨을 조절하는 리모콘 장치를 구성한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티브이(TV) 및 동영상 시청을 위한 액정표시부와, 볼륨조절이 가능한 스피커 장치와, 마이크 장치가 구성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연결부와, 핸즈 프리 장치가 구비되고, 그 일단은 상기 연결부와 착탈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티브이(TV) 및 동영상 시청을 위한 채널을 전환시키거나 상기 스피커 장치의 볼륨을 조절하는 리모콘 컨트롤러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사용에 따라서 착탈되는 리모콘 장치를 구성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별도로 보관함이 필요없어 부품비용을 절감하며,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악세서리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휴대 단말기, 연결부, 핸즈 프리 장치, 리모콘 컨트롤러부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REMOTE CONTROLLER WITH HANDS FREE FOR MOBILE PHON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를 핸즈 프리 기능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서 핸즈 프리 기능을 함과 아울러 티비(TV), 동영상 시청을 위한 채널 전환 및 볼륨을 조절하는 리모콘 장치를 구성한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로는 HHP, CT-2 셀룰라 폰, 디지털 폰, PCS 폰 및 PDA등를 칭하며, 외형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무선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무선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 장치에 의해 플립이나 커버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무선 단말기는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하우징을 1/2정도 슬라이딩 이동시켜 개폐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처음에는 단순히 음성 통신에만 이용하였지만 근래에는 데이터 통신에도 이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동 통신 서비스 사업자들이 무선 인터넷 휴대폰으로 뉴스, 은행거래, 전자 상거래, 게임 및 동영상등을 시청할 수 있게 수백개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단말기를 이용한 AM 또는 FM 라디오 방송 청취하거나, 단말기의 액정표시부(LCD)를 통해 티브이(TV)를 시청하거나. 인터넷 MP3 뮤직(Music)을 오디오 파일 포맷(파일 확장자 mp3)으로 다운로드 받아 단말기 내부의 메모리 장치에 저장시킨 후 필요할 때 재생하여 듣거나 영화 같은 동영상을 다운로드 받아 단말기의 액정표시부(LCD)를 통해 시청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들이 출시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티브이(TV) 및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음악을 청취중에 단말기로 전화가 걸려오면, 단말기를 들고 상기 티브이 시청 및 음악 청취 취소버튼을 누르고, 다시 통화버튼을 누른 다음 단말기를 사용자의 귀에 대고 통화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를 거치대에 올려놓고 티브이 및 동영상을 시청시 사용자가 다른 채널을 전환시 일일이 단말기에 제공된 채널전환 버튼을 눌려야 하고, 볼륨을 조절시에도 마찬가지고 단말기를 직접 잡고 볼륨조절버튼을 눌려야 함으로 단말기의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는 단말기를 사용자의 머리에 대고 직접 통화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에 귀에 착용하여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단말기와 통신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핸즈 프리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핸즈 프리 장치는 수신용 이어폰과 발신용 마이크로폰, 그리고 통화중에는 신호를 끊을 수 있고, 통화 대기중에는 마지막으로 통화한 착신측으로 신호를 연결시키는 자동다이얼링의 기능을 하는 다수개의 키들로 이루어진 키패드가 구성된다.
또한, 종래의 핸즈 프리 장치는 근거리에서 통화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별도의 리모콘 기능이 없어 단말기의 채널 전환 및 볼륨조절시에는 단말기를 직접들고 전환 및 조절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핸즈 프리 장치는 휴대시 별도의 보 관장소가 필요함으로 부품비용이 증가하며 또한, 분실의 위험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핸즈 프리 기능을 함과 아울러 티비(TV), 동영상 시청을 위한 채널 전환 및 볼륨을 조절하는 리모콘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에 따라서 착탈되는 리모콘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별도의 보관힘이 필요없어 부품비용을 절감하며,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티브이(TV) 및 동영상 시청을 위한 액정표시부와, 볼륨조절이 가능한 스피커 장치와, 마이크 장치가 구성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연결부; 및
핸즈 프리 장치가 구비되고, 그 일단은 상기 연결부와 착탈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티브이(TV) 및 동영상 시청을 위한 채널을 전환하거나 상기 스피커 장치 의 볼륨을 조절하는 리모콘 컨트롤러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휴대 단말기(1)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10)는 연결부(20)와, 리모콘 컨트롤러부(3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와 착탈되도록 상기 단말기(1)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는 핸즈 프리 장치가 내장되고, 상기 연결부(20)와 착탈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1)의 티브이(TV) 및 동영상 시청을 위한 채널을 전환시키거나 단말기(1)의 스피커 장치(3)의 볼륨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상기 단말기(1)에는 상기 연결부(20)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단말기(1)에 장착되도록 와이어 연결부(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연결부(21)의 일단은 상기 단말기(1)에 형성된 고리(5)에 장착되고, 타일단은 상기 연결부(20)와 연결되어 있다.
도 2와 같이,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는 연결 부재(31)와, 키입력부(3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연결 부재(31)는 상기 단말기(1)의 일단에 구비된 상기 연결부(20)와 착탈되도록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키입력부(32)는 채널 전환 및 볼륨을 조절하도록 다수개의 키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의 연결부재(31)와 상기 연결부(20)는 착탈가능하도록 나사체결되어 있다.
도 2와 같이, 상기 키입력부(32)는 채널전환 키(32a)와, 볼륨조절 키(32b)와, 핸즈 프리 통화/종료키(32c)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채널전환 키(32a)는 상기 단말기(1)의 티브이(TV) 및 동영상 시청을 하기 위해 무선으로 채널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의 전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볼륨조절 키(32b)는 상기 단말기(1)의 소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의 전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핸즈 프리 통화/종료키(32c)는 상기 단말기(1)와 핸즈 프리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의 전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는 상기 핸즈 프리 기능을 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1)와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33)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에는 핸즈 프리 기능으로 사용하기 위해 스피커(34) 및 마이크 장치(35)가 구성되어 있다.
도 3과 같이,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에는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를 핸즈 프리 기능으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귀에 걸려 구속시키거나 이탈 시킬 수 있도록 후크(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바타입으로 제공되어 있다.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의 전면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기 연결 부재 (31), 스피커 장치(34), 상기 키입력부(32) 및 상기 마이크 장치(35)를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휴대 단말기(1)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10)는 단말기(1)에 형성된 고리(5)에 와이어 연결부(21)의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 연결부(21)의 타일단에 구비된 연결부(20)와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의 연결 부재(31)와 나사체결되어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단말기(1)의 액정표시부(2)를 통해 티브이(TV)를 시청할 경우 상기 연결부(20)에 나사체결된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의 연결 부재(31)를 회전시켜 분리한다.
이때, 도 2와 같이, 상기 단말기(1)를 거치대(6)를 이용하여 바닥에 세우고, 상기 단말기(1)를 티비(TV)모드의 기능으로 사용한다.
이때, 사용자가 다른 채널로 전환할 경우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에 구비된 키입력부(32)의 채널전환 키(32a)를 누른다.
상기 채널전환키(32a)를 누름과 동시에 사용자가 보고 싶은 채널을 찾아 시청한다.
이때, 티브이(TV) 시청을 하면서 소리를 크게 하고 싶으면, 상기 키입력부 (32)의 볼륨조절 키(32b)를 눌려 조절하면 된다.
이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상기 단말기(1)로 전화가 걸려오면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에 구비된 핸즈 프리 통화/종료키(32c)를 누르면, 상기 단말기(1)와 무선으로 통화할 수 있게 핸즈 프리 기능으로 사용한다. 이때, 사용자의 귀에 스피커 장치(34)를 삽입하고, 사용자의 입 주의에는 마이크 장치(35)가 제공되며,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에 제공된 후크(4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귀에 걸어 장착시킨다.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에는 상기 단말기(1)와 무선으로 상기 핸즈 프리 기능을 하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33)이 내장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통화기능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1)의 액정표시부(2)를 통해 티브이(TV)시청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상기 핸즈 프리 통화/종료 키를 누르면, 단말기의 통화가 종료되고,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를 리모콘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1)의 티브이(TV) 시청이 끝나면,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30)의 연결 부재(31)를 상기 단말기(1)에 장착된 연결부(20)에 나사체결하여 상기 단말기(1)와 함께 휴대할 수 있다.
또한, 티브이(TV) 시청 중 상기와 같이 통화를 하기 위해 핸즈 프리 통화/종료 키(32c)를 누르면, 자동으로 현재 티브이(TV)볼륨을 줄이거나 뮤트시키고, 통화가 끝났을때 상기 핸즈 프리 통화/종료 키(32c)를 다시 누르면, 통화가 종료됨과 동시에 티브이(TV)불률 조절로 복원되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에 장착되어 함께 이동함으로 휴대성이 좋고, 별도의 보관공간이 필요없어 사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에서 핸즈 프리 기능을 함과 아울러 티비(TV), 동영상 시청을 위한 채널 전환 및 볼륨을 조절하는 리모콘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고, 휴대 단말기에 사용에 따라서 착탈되는 리모콘 장치를 구성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별도로 보관함이 필요없어 부품비용을 절감하며,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악세서리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티브이(TV) 및 동영상 시청을 위한 액정표시부와, 볼륨조절이 가능한 스피커 장치와, 마이크 장치가 구성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연결부; 및
    핸즈 프리 장치가 구비되고, 그 일단은 상기 연결부와 착탈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티브이(TV) 및 동영상 시청을 위한 채널을 전환시키거나 상기 스피커 장치의 볼륨을 조절하는 리모콘 컨트롤러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단말기에 장착되는 와이어 연결부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는, 상기 컨트롤러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와 착탈되는 연결 부재와,
    채널 전환 및 볼륨을 조절하는 다수개의 키들로 이루어진 키입력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의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부는 서로 나사체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티브이(TV)의 채널을 전환시키는 채널전환키와,
    상기 단말기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 조절 키와,
    상기 단말기와 핸즈 프리기능으로 사용할 있게 핸즈 프리 통화/종료키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는 상기 핸즈 프리 기능을 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와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이 내장되고,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를 통화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게 스피커 및 마이크 장치가 더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에는 사용자의 귀에 걸려 구속시 키거나 이탈시키는 후크가 더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컨트롤러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바타입으로 제공되고,
    상기 연결부, 스피커 장치, 상기 키입력부 및 상기 마이크 장치를 상기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
  9. 액정표시부와, 볼륨조절이 가능한 스피커 장치와, 마이크 장치가 구성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핸즈 프리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티브이(TV) 및 동영상 시청을위한 채널을 전환시키거나 상기 스피커 장치의 볼륨을 조절하는 리모콘 기능을 하는 장치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
KR1020050051405A 2005-06-15 2005-06-15 무선 리모콘 컨트롤러부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 KR100713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405A KR100713352B1 (ko) 2005-06-15 2005-06-15 무선 리모콘 컨트롤러부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
JP2006165284A JP4382773B2 (ja) 2005-06-15 2006-06-14 携帯端末のハンズフリー兼用リモコン装置
US11/453,942 US7694879B2 (en) 2005-06-15 2006-06-15 Remote controller with hands-free function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405A KR100713352B1 (ko) 2005-06-15 2005-06-15 무선 리모콘 컨트롤러부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170A true KR20060131170A (ko) 2006-12-20
KR100713352B1 KR100713352B1 (ko) 2007-05-04

Family

ID=3758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405A KR100713352B1 (ko) 2005-06-15 2005-06-15 무선 리모콘 컨트롤러부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94879B2 (ko)
JP (1) JP4382773B2 (ko)
KR (1) KR100713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68112A (ja) * 2016-02-16 2019-04-25 有限会社ヘルス・アンド・ヒーリング・オペレーション 携帯電話とヘッドセットを脱着可能に接続する装置
CN112771590B (zh) * 2020-04-27 2023-05-09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遥控器及遥控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584A (ja) 1991-09-30 1993-04-09 Toshiba Corp イヤホン
JPH05327844A (ja) 1992-05-18 1993-12-10 Sony Corp 携帯用電話機及びそのイヤホンマイク
JP3062135B2 (ja) 1997-09-25 2000-07-10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イヤホンシステム
KR20000056051A (ko) * 1999-02-12 2000-09-15 조양제 휴대용 디지털오디오데이터 재생기 겸용 휴대폰
AU2001265022A1 (en) * 2000-05-25 2001-12-03 Healthetech, Inc. Physiological monitoring using wrist-mounted device
DE10103610A1 (de) * 2001-01-28 2002-08-14 Audioton Kabelwerk Gmbh Freisprecheinrichtung für den Betrieb von Mobiltelefonen in Kraftfahrzeugen
DE10103609A1 (de) * 2001-01-28 2002-08-14 Audioton Kabelwerk Gmbh Freisprecheinrichtung für den Betrieb von Mobiltelefonen in Kraftfahrzeugen
JP2002271459A (ja) 2001-03-09 2002-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及びリング装置
US6559866B2 (en) * 2001-05-23 2003-05-06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reign language support for a remote control device
KR100556881B1 (ko) * 2003-08-29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모콘 연결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용 리모콘 장치
US7170420B2 (en) * 2003-11-13 2007-01-30 James Phifer Ergonomic television remote control
JP2005151093A (ja) 2003-11-14 2005-06-09 Nec Access Technica Ltd テレビ放送受信機能を備えた携帯電話端末
US20060176660A1 (en) * 2005-02-07 2006-08-10 Ahmad Amiri Ultra mobile communicating computer
US20080313574A1 (en) * 2007-05-25 2008-12-18 Veveo, Inc. System and method for search with reduced physical interaction requir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52882A (ja) 2006-12-28
US7694879B2 (en) 2010-04-13
KR100713352B1 (ko) 2007-05-04
US20070002187A1 (en) 2007-01-04
JP4382773B2 (ja)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8029B2 (en) Headset system with two user interfaces
TWI331871B (en) Mobile phone
KR100754614B1 (ko) 착탈식 헤드셋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기기
US6226501B1 (en) Radiotelephone having a primary keypad and a movable flip cover that contains a secondary keypad
JPH06292195A (ja) 携帯無線式tv電話
WO2006088273A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mobile phones
US7103395B2 (en) Folding mobile terminal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nd transmitting sound while folded
KR100713352B1 (ko) 무선 리모콘 컨트롤러부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핸즈 프리 겸용 리모콘 장치
CN100490462C (zh) 具有免提扬声器部的移动通信终端
US20130336473A1 (en) Display device
US20070072654A1 (en) Multi speaker two part electronics device
KR20020014143A (ko) 외장 액세서리가 착탈가능한 휴대폰
JP3763995B2 (ja) 携帯電話機
JP4667227B2 (ja) 携帯電話機
KR20020011488A (ko) 리시버-라우드 스피커 통합형의 이중 스피커 및 그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78373A (ko) 삼중 폴더형 단말기
KR100849138B1 (ko) 무선 헤드셋
KR20050111273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어마이크장치
KR1006983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432588B1 (ko) 휴대 단말기
KR100690769B1 (ko) 디엠비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모드 전환장치
KR200299823Y1 (ko) 슬라이딩 폴더형 휴대용 단말 전화기
KR100901189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20050003552A (ko) 이어마이크잭을 통해 외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13353B1 (ko) 휴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