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000A - 난연성 흡음, 단열, 흡진 기능을 갖는 시트소재 및 그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흡음, 단열, 흡진 기능을 갖는 시트소재 및 그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000A
KR20060131000A KR20050050795A KR20050050795A KR20060131000A KR 20060131000 A KR20060131000 A KR 20060131000A KR 20050050795 A KR20050050795 A KR 20050050795A KR 20050050795 A KR20050050795 A KR 20050050795A KR 20060131000 A KR20060131000 A KR 20060131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lame
flame retardant
sound ab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5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민
Original Assignee
박재순
(주)휴먼네이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순, (주)휴먼네이쳐텍 filed Critical 박재순
Priority to KR20050050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1000A/ko
Publication of KR20060131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3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recycled material, e.g.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타이어로부터 추출되는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를 주 성분으로 함유하여 아파트나 건축물, 운송차량의 샌드위치 패널로 사용되는 난연성의 층간 흡음재, 자동차 내장용 단열재, 기계류의 진동 흡진재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를 주 원료로 사용하는 난연성 흡음, 단열, 흡진 기능을 갖는 원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료조성물은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인더 25±5 중량부, 난연제 18±5 중량부, 표면활성물질인 슬폰산 나트륨 0.5±0.2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료성분을 이용하여 난연성의 흡음, 단열, 흡진 기능을 갖는 원료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원료조성물을 이용하여 난연성 흡음, 단열, 흡진 기능을 갖는 시트소재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만들어지는 난연성 흡음, 단열, 흡진 기능을 갖는 시트소재에 관한 것이다.
폐타이어, 폐폴리에스테르코드사, 흡진재, 단열재, 흡음재

Description

난연성 흡음, 단열, 흡진 기능을 갖는 시트소재 및 그 조성물{Seat Materials and it's composition including fuctions of Sound Absorption, Adiabatic Heat, and Andextinction Noise}
도 1 : 단열완충재 물성 시험성적서(서울산업대 건설기술연구소)
도 2 : 난연성 시험성적서(한국건자재 시험연구원)
본 발명은 폐타이어로부터 추출되는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를 주 성분으로 함유하여 건축물의 층간 흡음재, 자동차 및 열차, 전동차, 전철, 항공기, 선박 등운송수단의 내장용 단열재, 샌드위치 패널, 기계류의 진동 흡진재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를 주 원료로 함유하는 난연성 흡음, 단열, 흡진 기능을 갖는 원료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최근 자동차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그 부산물로 급증하고 있는 폐타이어의 처리는 자원의 효율적인 재 활용이라는 측면과 환경 보존적인 측면에서 조속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그동안 폐타이어를 재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왔고 그 중에서 폐 고무를 이용하여 도로면에 탄성 아스콘재, 건축자재 등에 탄성력을 부여한 탄성재 보도블록, 우레탄칩 보도블록 등 많은 관련기술들이 개발,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폐폴리에스테르는 다른 물질과 좀처럼 용융 또는 혼화되지 않는 특성 등으로 인해 마땅한 그 용처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원은 폐폴리에스테르사가 가벼우면서도 매우 질긴 성질의 화학 섬유로서 좀처럼 썩지도 않고 소각할 경우 유독성 물질을 배출하여 환경파괴를 유발시키며 다른 물질과 용융 또는 혼화되지 않는 특성 등으로 인해 그 사용처를 찾지 못하던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의 특성을 활용하여 이를 유용한 자원으로 재활용시켜 아파트나 건축물의 샌드위치 패널, 층간 흡음재, 자동차 등 운송수단의 내장용 단열재, 기계류의 진동 흡진재 등으로 활용케 하여 환경오염문제를 해소할 뿐만 아니라 뛰어난 난연성 효과를 갖고 흡음, 단열, 흡진 효능을 갖는 물성의 소재를 제공하여 각종 건축물 관련자재, 철도차량용 자재, 샌드위치 패널, 기계용품 자재 등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난연성 단열, 흡음, 흡진 기능 소재를 제공할 수 있는 원료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불연성과 단열효과를 갖는 고밀도의 섬유로 형성되며 에스테르기를 연결기로 고분자를 형성한 것을 통상 폴리에스테르로 부르고 있고 이러한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섬유는 에틸렌글리콜과 테레프탈산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유리섬유에 비하여 다공질이며 부서지는 성질이 없고 무게가 가벼우며 유연성이 풍부하고 다른 복합소재와 함께 사용하면 열전달 현상이 거의 없으므로 단열효과가 높으며 흡음 성능도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어 자동차 타이어의 코드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 타이어의 외면은 일반 경질 고무로 되어 있으나, 그 내면은 폴리에스테르사, 폴리아미드계 또는 강력 인견 등의 섬유를 특수 가공처리한 보강사로 이루어지게 되며 타이어가 자기의 사명을 다한 후에는 환경오염원으로 남게 되므로 오염원을 해소하며 타이어의 고급 고무소재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타이어를 분쇄하게 되는바, 폐타이어의 분쇄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무소재는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각종 소재로 다양하게 재활용되고 있으나 폐고무와 함께 배출되는 내면의 섬유 보강 고무층인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는 좀처럼 다른 물질과 용융 또는 혼화되지 않는 특성을 가질 뿐 아니라 썩지도 않고 소각할 경우 유독성 물질을 배출하여 환경파괴를 유발시키게 되므로 매립에 의존해야 하는 폐기물로 그 사용처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원에서는 이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이하 폐타이어를 분쇄하여 얻은 폴리에스테르사, 폴리아미드계 또는 강력 인견 등의 섬유보강 코드사를 총징하여 '폐폴리에스테르사'로 칭함) 를 유용한 자원으로 재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원은 폐 타이어로부터 추출되는 페폴리에스테르 코드사가 좀처럼 다른 물질과 용융 또는 혼화되지 않는 물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인더 25±5 중량부, 난연제 18±5 중량부, 표면활성물질인 슬폰산 나트륨 0.5±0.2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료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층간 흡음재, 자동차 등 운송차량의 내장용 단열재, 난연성 샌드위치패널, 기계류의 진동 흡진재 등으로 유용하게 재활용케 함으로써 상기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 처리 시 발생되는 환경오염문제 및 매립으로 인한 예산낭비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페폴리에스테르 코드사의 물성을 살려 유용한 건축자재 및 기계자재에서 흡음, 단열, 흡진 기능을 갖는 소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생활의 주변에서 또는 산업분야에서 흔히 방음, 방진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무판 등의 고무제품은 단가도 높을 뿐 아니라 내마모성, 강도 및 경도 등의 물성이 낮아서 쉬 부서지거나 금방 마모되어 장기간 사용에 어려움이 많았었다.
본 발명에 의한 폐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방음, 단열, 방진재는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무계 바인더 25±5 중량부, 난연제 18±5 중량부, 표면활성물질인 슬폰산 나트륨 0.5±0.2 중량부를 필수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원의 폐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난연성 방음, 단열, 방진재로서 사용가능한 시트의 제조공정을 기술하여 보면, 폐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인더 25±5 중량부, 난연제 18±5 중량부, 표면활성물질인 슬폰산 나트륨 0.5±0.2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원료성분을 밤바리 믹서에서 충분히 혼련하여 2개의 로울러 사이를 통과시켜 시이트(sheet)상태가 만들어지도록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로울러 사이를 통과시키는 공정; 시이트 상태의 혼합물을 원하는 용도에 따라 압연성형(calendering), 압출성형(extruding), 금형성형(molding) 등에 의해 성형시키는 공정; 성형 후 통상의 건조공정 및 각 용도에 따른 마무리공정을 거침으로써 난연성 방음, 단열, 방진재의 기초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상기 기본조성에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원하는 물성을 추가하기 위하여 상기 조성 이외에 경도조절제, 용융조제, 가류제, 용융촉진제, 아연화, 고무 등을 추가하는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본배합의 원료조성비는 각각 사용하는 원료의 상한 또는 하한을 넘는 경우에는 신장률과 영구 압축력이 낮아지고 원하는 제품 물성을 충족시킬 수가 없어 부적당 하며, 또 상기 상한을 초과할 경우에는 다른 성분과의 조화가 이뤄지지 않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의 주 원료인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는 폐타이어의 분쇄 시 연쇄적으로 발생되는 0.1 ∼ 3.0mm 직경의 분쇄입자를 재가공 없이 그대로 재활용할 수 있는바, 본원의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의 사용량은 사용바인더 량의 3 ~ 5에 이르는 코드사 배합이 적당하며 5배 이상을 초과할 경우에는 비중은 가벼우나 방음제품으로서 내압성이 떨어지므로 상기 범위 내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의 사용하는 바인더류는 고무계 바인더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 사용량의 20~30% 정도 사용량이 사용될 때 원하는 물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최근 교통기술의 발달로 각 도시별로 지하철 생활문화를 이루고 있는바, 불행하게도 대구지하철 화재사고로 인하여 많은 희생자가 있었으며, 또한 어린 유치원 학생들이 야영회 연수중 화재사고도 있었으며, 천안에서는 중학교 체육부 학생들의 합숙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여 아까운 인명사고 등이 있었는바 이들을 목도하면서 난연성 소재개발이 얼마나 시급한 문제인지를 인식하고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최근의 문화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주거환경에서도 방음시설이 구비된 공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은바, 즉 거실이나 음악감상실, 영화감상실 등은 다른 공간과 소음을 차단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건물에서도 난연성을 갖는 방음, 단열, 방진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되었다.
본원에서는 상기 다중이용시설에 화재 발생시 유해가스나 검은 연기 등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므로 본원의 방음, 단열, 방진재에 일정량의 난연제를 사용하고자 하며 방음, 단열, 방진소재의 유연성 그리고 난연성 및 저 발연성을 향상시키고자 할로겐계 유기 난연제 또는 적인, 3산화안티몬 등을 배합시켜 사용하고자 하였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할로겐계 유기 난연제로는 염소화파라핀, 데카브로모디페닐에테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등이 사용 가능하다.
본원에서는 표면활성물질로 슬폰산 나트륨 등을 상기 조성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것은 슬폰산 나트륨이 최종제품의 물리적 성질을 안정되게 하여 줄 뿐만 아니라, 소정의 강도를 부여하며, 또 원자재의 투입율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 및 감소시켜 줌으로써 원하는 흡음, 단열, 흡진의 효율을 얻으면서 제조단가는 낮춰줄 수 있 는 최적의 조성비를 이룰 수 있음을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술폰산 나트륨(R-SO 3 Na)은 화학세제를 만드는 주요원료로서 R은 표면 활성화 물질인 라우릴기를 말하는데, 상기 술폰산 나트륨(R-SO 3 Na)을 사용하여 제조된 세제(고체 및 가루비누 등)를 그 대체소재로 사용할 수도 있는바 술폰산 나트륨(R-SO 3 Na)은 분산시키고자 하는 폴리에스테르 코드사 입자의 점성을 유지 및 강화시켜 주기 위하여 표면활성화 물질로 작용하게 된다.
본원의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를 주 성분으로 함유하는 원료조성을 이용하여 흡음, 단열, 방진효능을 시험하고자 아래의 제조공정을 거쳐 시험편 시트를 얻고 그 방음성능 및 난연성능을 실험하고자 하였다.
시험편 시트 제조 실시예
폐 타이어의 분쇄물로 부터 얻은 0.1 ∼ 3.0mm 직경의 분쇄입자 폐폴리에스 테르 코드사 100 ㎏에 대한폴리텍주식회사에서 제조 및 공급하는 고무접착바인더(모델명: JL-KCB30) 25 kg를 넣고, 여기에 난연제 데카브로모디페닐에테르 0.8kg, 염소화파라핀 0.45kg, 삼산화안티몬 0.35kg , 활성물질인 슬폰산 나트륨 0.5 ㎏ 을 니이더(kneader)에 넣고 60정도 충분히 혼련하고, 혼련된 혼합물을 2개의 로울러 사이를 통과시켜 시이트(sheet)상태로 만들면서 그 위에 유황가루를 2.0 ㎏ 를 분무하여 상기 혼합물 내에 골고루 완전히 혼화되도록 반복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된 상기 로울러 사이를 통과시키는 압연공정을 거쳐서 시이트 상태의 시험편을 가로×세로×높이=450×450×10㎜ 의 규격으로 만들어 실험을 위한 RP-Mat 시이트로 제조 하였다.
단열방음성능실험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시료의 단열, 방음, 방진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산업대학교 부설 건설기술연구소에 시료시편을 제출하여 밀도, 흡수량, 동탄성계수, 손실계수, 열전도율, 가열 후 치수안정성 등의 항목에 대하여 시험을 의뢰하였으며 시험결과 아래의 결과치를 얻었다.
시험결과
시험항목 및 시험규정 시험 결과 평가 기준
밀도 [KS M ISO 845] 554.2 kg/m2 ·
동탄성계수 [KS F 2868] 38.0 x 105 N/m2 40 × 105 N/m2 이하
손실계수 [KS F 2868] 0.28 0.1 ~ 0.3
가열 후 치수안정성 [KS M ISO 4898] 치수변화없음 5% 이하
흡수량 [KS M ISO 4898] 3.6% (v/v) 4% (v/v) 이하
동탄성계수(가열 후) [KS F 2868] 34.4 x 105 N/m2 (9% 변화) 가열전원 20% 이하
손실계수(가열 후) [KS F 2868] 0.29 0.1~ 0.3
열전도율 [KS F 2463] 0.051 W/m·K 단열기준에 준함
우측에 기재한 평가기준은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4-71호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인정 및 관리기준"에서 요구하는 층간 소음평기기준 내용인바, 본원의 시험편은 상기의 평가결과와 같이 모두 합격판정을 득하는 합격판정을 받을 수 있었다.[첨부자료 1 참조]
또한 상기 시험편 시트의 난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에 난연성 성능시험을 의뢰하였으나 그 시험결과치는 아래와 같다.
시험결과
시험항목 결과 시험 방법
1 2 3
난연성 (1급) 표면 시험 전체 두께에 걸친 응용 없음 없음 없음 KS F 2271-'9S
방화상 해로운 변형 없음 없음 없음
뒷면의 균열(mm) 0 0 0
잔열(초) 0 0 0
발열계수(CA) 210.0 220.8 199.6
온도시간면적 (°C·min) 3분이내 0 0 0
3분이후 0 0 0
상기의 시험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원의 시트물품은 난연1급을 담보할 수 있는 시트소재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첨부자료 2 참조]
상기의 시험성적서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는바와 같이 본원의 폐폴리에스테르섬유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난연성 흡음, 단열, 흡진 기능을 갖는 원료조성물은 폐폴리에스테르사가 매우 질긴 성질의 화학 섬유로서 좀처럼 썩지도 않고 소각할 경우 유독성 물질을 배출하여 환경파괴를 유발시키며 다른 물질과 용융 또는 혼화되지 않는 특성 등으로 인해 그 사용처를 찾지 못하던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의 특성을 활용하여 이를 유용한 자원으로 재활용시켜 아파트나 건축물의 층간 흡음재, 난영성 샌드위치패널, 자동차 내장용 단열재, 기계류의 진동 흡진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케 하여 환경오염문제를 해소할 뿐만 아니라 뛰어난 흡음, 단열, 흡진 등의 효능을 갖는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폐타이어로부터 추출되는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를 주 성분으로 함유하여 난연성 흡음, 단열, 흡진 기능을 갖는 원료조성물에 있어서,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무계바인더 25±5 중량부, 난연제 18±5 중량부, 솔폰산 나트륨 0.5±0.2 중량부를 포함하는 원료성분을 갖고 난연성 흡음, 단열, 흡진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난연제는 3산화안티몬, 염소화파라핀, 데카브로모디페닐에테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적인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조성물.
  3.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를 이용하여 난연성 흡음, 단열, 흡진 기능을 갖는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폐폴리에스테르 코드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무계바인더 25±5 중량부, 난연제 18±5 중량부, 솔폰산 나트륨 0.5±0.2 중량부를 혼합기에서 혼련하고, 혼련된 혼합물을 2개의 로울러 사이를 통과시켜 시이트(sheet)상태로 만들면서 그 위에 유황가루를 2.0±5 중량부를 분무하여 혼화시키고 로울러를 이용한 압연공정을 거쳐서 시트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흡음, 단열, 흡진 기능을 갖는 시트소재의 제조방법.
  4. 제3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만들어진 난연성 흡음, 단열, 흡진 기능을 갖는 시트소재.
KR20050050795A 2005-06-14 2005-06-14 난연성 흡음, 단열, 흡진 기능을 갖는 시트소재 및 그조성물 KR20060131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50795A KR20060131000A (ko) 2005-06-14 2005-06-14 난연성 흡음, 단열, 흡진 기능을 갖는 시트소재 및 그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50795A KR20060131000A (ko) 2005-06-14 2005-06-14 난연성 흡음, 단열, 흡진 기능을 갖는 시트소재 및 그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000A true KR20060131000A (ko) 2006-12-20

Family

ID=3781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50795A KR20060131000A (ko) 2005-06-14 2005-06-14 난연성 흡음, 단열, 흡진 기능을 갖는 시트소재 및 그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10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990B1 (ko) 2007-12-28 2008-12-17 주식회사 우진아이소 층간소음재 조성물
KR102347206B1 (ko) * 2020-10-19 2022-01-06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폐타이어를 이용한 리싸이클링 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990B1 (ko) 2007-12-28 2008-12-17 주식회사 우진아이소 층간소음재 조성물
KR102347206B1 (ko) * 2020-10-19 2022-01-06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폐타이어를 이용한 리싸이클링 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shani et al. A sustainable application of recycled tyre crumbs as insulator in lightweight cellular concrete
Echeverria et al. Engineered hybrid fibre reinforced composites for sound absorption building applications
Silva et al. Evaluation of rubber powder waste as reinforcement of the polyurethane derived from castor oil
JP2000507660A (ja) リサイクル廃棄物からの複合建材
Massoudinejad et al. Use of municipal, agricultural, industrial,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in thermal and sound building insulation materials: A review article
CN108045050A (zh) 一种低voc泡沫夹心轻质高强无卤阻燃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Wong et al. Development of thermal insulation sandwich panels containing end-of-life vehicle (ELV) headlamp and seat waste
CN113248907B (zh) 一种无机填料复合聚氨酯保温板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mohana et al. Producing sustainable concrete with plastic waste: A review
KR102282177B1 (ko) 향상된 단열성 및 항균성을 갖는 복합방수공법
WO2020127494A1 (en) Insulation material
Pahlevani et al. Waste glass powder–Innovative value-adding resource for hybrid wood-based products
Gedif et al. Recycling of 100% Cotton Fabric Waste to Produce Unsaturated Polyester‐Based Composite for False Ceiling Board Application
KR20060131000A (ko) 난연성 흡음, 단열, 흡진 기능을 갖는 시트소재 및 그조성물
Buddhacosa et al. Crush behaviour and vibration damping properties of syntactic foam incorporating waste tyre-derived crumb rubber
CA3099141A1 (en) High performance glossy finish green hybrid composites with variable density and an improved process for making thereof
KR100630863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조성물
KR100549192B1 (ko) 난연성 흡음, 단열, 흡진 기능을 갖는 건축물 층간소음저감재 및 그 원료조성물
WO2020121319A1 (en) A glossy finish sandwich composit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CN1213100C (zh) 防火膨胀型酚醛树脂基无机纤维增强复合材料与制作方法
KR100877198B1 (ko) 콜크를 이용한 경량성 흡차음 댐핑 발포 시트 및 제조방법
KR101488320B1 (ko) 흡음재, 흡차음재 및 이의 제조방법
Mohammadi et al. Foam for Sound Insulation
KR100935422B1 (ko) 층간소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73990B1 (ko) 층간소음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