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0520A - 메뉴 코드가 그림과 함께 인쇄된 메뉴 선택 카드를 가진로봇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뉴 코드가 그림과 함께 인쇄된 메뉴 선택 카드를 가진로봇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0520A
KR20060130520A KR1020060064195A KR20060064195A KR20060130520A KR 20060130520 A KR20060130520 A KR 20060130520A KR 1020060064195 A KR1020060064195 A KR 1020060064195A KR 20060064195 A KR20060064195 A KR 20060064195A KR 20060130520 A KR20060130520 A KR 20060130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code
picture
robot
selection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8275B1 (ko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오. 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오. 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오. 테크
Priority to KR1020060064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8275B1/ko
Priority to US11/640,884 priority patent/US20070166004A1/en
Publication of KR20060130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8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8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 시스템에 있어서, 선택하고자 하는 동작 명령이나 멀티미디어 콘텐츠나 타장치 제어 명령(이하, 총칭하여 “메뉴” 라고 칭함) 등의 각종 선택 메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단번에 정확하게 선택하여 홈로봇 또는 홈로봇용 원격 서버에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로봇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봇 시스템에서 선택가능한 메뉴들에 대응하는 미세한 코드가 상기 메뉴들에 대응하는 그림들과 함께 인쇄된 메뉴 선택 카드와; 사용자가 상기 메뉴 선택 카드에서 특정 그림을 선택하면 이 특정 그림에 대응하는 상기 미세한 코드를 인식하는 광학 판독 장치와; 상기 광학 판독 장치에서 인식된 미세한 코드를 수신하여 이 코드에 대응하는 처리 또는 동작을 수행하는 로봇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이용하면, 홈로봇 시스템에 있어서 선택하고자 하는 동작 명령이나 멀티미디어 콘텐츠나 타장치 제어명령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하면서 단번에 선택할 수 있게 되고, 선택된 것을 홈로봇 또는 원격 서버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로봇, 광학 판독 장치, 메뉴선택카드, 그림, 코드

Description

메뉴 코드가 그림과 함께 인쇄된 메뉴 선택 카드를 가진 로봇 시스템{Robot System with Manu Selection Card Having Printed Manu Code and Figure}
도1은 본 발명의 메뉴 선택 카드에 인쇄된 미세한 코드를 도시함
도2는 메뉴에 대응하는 그림과 미세한 코드가 인쇄된 메뉴 선택 카드를 도시함.
도3은 본 발명의 메뉴 선택 카드를 이용한 홈로봇 시스템을 도시함.
도4는 본 발명의 메뉴 선택 카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를 홈로봇에 전달하는 과정을 도시함.
도5는 본 발명에서 로봇 본체의 선택 버튼부을 확대한 그림을 가지는 메뉴 선택 카드를 도시함
도6은 본 발명의 메뉴 선택 카드를 가지는 메뉴북의 특정 페이지를 도시함
본 발명은 광학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미세한 코드가 그림과 함께 인쇄된 카드를 가지는 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미래에는 다양한 홈로봇이 각 가정마다 보급되어, 홈로봇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그 대표적인 이용분야가 구연동화 들려주기, 영어 교육 등의 음성 및 영상 콘텐츠(이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에 의한 교육 분야 또는 홈로봇을 이용하여 타 장치를 제어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리모콘 홈로봇 분야이다.
그런데, 종래의 홈로봇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홈로봇의 선택 버튼 또는 리모콘의 선택버튼을 통해, 계층구조 방식으로 동작 명령을 선택하거나 또는 재생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였으나, 이러한 선택 버튼 방식은 동작 명령과 멀티미디어 콘텐츠과 타장치 제어 명령의 가지수가 적을 때에는 이 선택 버튼에 의해 단번에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많아지면 홈로봇이나 리모콘에 설치가능한 선택버튼의 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계층구조 방식(톱다운 방식)으로 수차례에 걸쳐 버튼을 선택하여 원하는 동작명령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타장치 제어 명령을 선택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단번에 선택하기가 어려워서 사용하기가 불편하다.
또한, 선택 버튼 방식에서는 리모콘이나 홈로봇의 선택버튼 근처에 동작명령이나 멀티미디어 콘텐츠나 타장치 제어 명령에 대한 설명에 해당하는 단어나 아주 작은 그림이 그려져 있어, 사용자 특히 유아 또는 초등학생이 이 단어나 아주 작은 그림을 보고 각 버튼이 무슨 동작 명령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또는 타 장치 제어 명령을 선택하는지를 구분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래서, 상기의 계층 구조의 버튼 방식에서 각 버튼이 의미하는 바를 용이하게 인식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리모콘이나 홈로봇에 소형화면을 두고 이 소 형화면에 동작 명령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에 대응하는 그림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선택하여, 동작 명령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을 선택하도록 하는 방식도 있으나, 이 방법 역시 소형화면으로 인하여 많은 그림을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동작 명령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가지수가 많아지면 이 방법 역시 계층 구조 방식으로 수차례 스크린을 터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화면 크기를 늘린다고해도 역시 표시 가능한 그림수를 늘리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른 종래기술에서는 음성으로 명령을 하면 홈로봇 또는 원격의 서버가 이 음성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선택 또는 명령을 인식하게 하게 하는데, 이 방법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음성 명령어를을 모두 인지해야 한다는 불편이 있고, 설령 인지하고 있다고 해도 상이한 발음으로 인하여 인식도가 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한 방법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로봇 시스템에 있어서 선택하고자 하는 동작 명령이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타 장치 원격 제어 명령 등(이하, 총칭하여 “메뉴” 라고 칭함)의 각종 선택 메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단번에 정확하게 선택하여 홈로봇 또는 홈로봇용 원격 서버에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광학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미세한 코드가, 각 메뉴에 대응하는 그림과 함께 인쇄된 카드(이하, “메뉴 선택 카드”라고 칭함)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 그림들을 보면서 광학 판독 장치로 특정 그림(특정 동작 명령이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해당함)을 선택하면 이 선택된 그림과 함께 인쇄된 미세한 코드(이하, “메뉴 코드”라고 칭함)가 광학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되어 홈로봇 또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로봇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봇 시스템에서 선택가능한 메뉴들에 대응하는 미세한 코드가 상기 메뉴들에 대응하는 그림들과 함께 인쇄된 메뉴 선택 카드와; 사용자가 상기 메뉴 선택 카드에서 특정 그림을 선택하면 이 특정 그림에 대응하는 상기 미세한 코드를 인식하는 광학 판독 장치와; 상기 광학 판독 장치에서 인식된 미세한 코드를 수신하여 이 코드에 대응하는 처리 또는 동작을 수행하는 로봇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메뉴 선택 카드상에서 메뉴 그림과 함께 인쇄된 미세한 메뉴 코드를 광학 판독 장치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기재한다.
일반적인 인쇄기술에 있어서는 파랑(cyan : C), 빨강(magenta : M), 노랑(yellow :Y), 검정(black:K)색의 잉크를 조합하여 원하는 색깔을 얻고, 색상(hue)은 상기 C, M, Y의 조합을 조절하고, 밝기(brightness)는 K를 조절하여 얻는다.
한편, 인쇄된 코드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적외선을 사용하는 광학 판독 장 치(예를들면, 2D 바코드 판독장치나 미국특허출원번호 2003/0133164A1에 기재된 SONIX TECHNOLOGY사의 판독장치)를 사용한다.
이때, 적외선은 C, M, Y에 대해서는 높은 투과율을 가지지만, K는 흡수하기 때문에, 적외선은 C, M, Y에 대해서는 높은 밝기를 가지지만, K에 대해서는 낮은 밝기를 가진다.
그래서, 카드에 그림은 C, M, Y의 조합으로 인쇄하고, 특히 그림용 검정색은 C, M, Y를 조합하여 거의 블랙(Near K)(남색계열 블랙(dark indigo) 또는 고동색 계열 블랙(dark black))으로 인쇄하여도 사람은 시각적으로 검정이라고 인식을 한다. 그리고 코드를 위해서는 순수 블랙(K)을 사용한다.
이렇게 하면, 광학 판독 장치로 그림(C, M, Y의 조합으로 인쇄)과 함께 코드(K로 인쇄)가 인쇄된 카드에 적외선으로 비추면, 그림 부분은 밝게 보이고, 코드 부분은 검게 보여, 도1과 같이 어둡게 나타난 코드 부분이 보이게 된다.
이러한 코드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을 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도1에서의 하나의 코드는, 가로/세로 6개의 점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코드 지시부(1)로 구성되는데, 하나의 코드 지시부(1)는 가로/세로 방향으로 6개의 점이 모두 존재하여 코드의 기준에 해당하는 헤더부(2)와, 이 헤더부(2) 내부에 존재하여 코드 값을 지칭하는 코드 정보부(3)로 구성된다.
도1의 코드 정보부(3)는 5X5의 배열로 되어 있어 이 도트의 패턴에 의해 코드 값을 인식하게 된다.
다음으로, 선택 가능한 메뉴에 대응하는 그림과 미세한 메뉴 코드가 인쇄된 메뉴 선택 카드에서, 그림부분 및 설명 글씨 부분에 대해 도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메뉴 선택 카드에는 다양한 메뉴의 의미를 용이하게 인식하게 하기 위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예를들어, 도2의 1번째 행 7번째부터 2번째 행 마지막까지는 홈로봇용 동작 명령을 선택하는 메뉴를 위한 그림이 그래져 있고, 4번째 행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그림이 그려져 있으며, 각 그림의 직사각형 테두리 내부에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각 그림에 해당하는 미세한 코드가 인쇄되어 있다. 3번째 행은 사용자가 필요한 그림과 설명 글씨를 직접 그려 넣을 수 있는 행이고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제, 광학 판독장치로 특정 그림을 선택을 하게 되면 도1에서와 같은 미세한 메뉴 코드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동작 명령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해당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하여, 이 메뉴 선택 카드를 보면서 특정 그림을 광학 판독장치로 선택을 하면, 이 그림과 함께 인쇄된 코드 영상을 광학 판독장치가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각 그림의 의미를 사용자가 보다 잘 인식하게 하게 하기 위하여 각 그림의 하단에는 도2에서와 같이 설명 글씨 부분(예를들면, “소리크게”)을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이 설명 글씨 부분에도 그림부분과 동일한 미세한 코드가 함께 인쇄되어 있다.
이제, 이러한 본 발명의 메뉴 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고 홈로봇이 메뉴 코드를 인식하게 되는 과정을 도3, 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홈로봇(11)의 사용자는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기 위하여, 도2에서와 같은 메뉴 선택 카드를 보면서 광학 판독장치(12)로 원하는 그림을 터치하게 된다(S1). 도3에서는 광학 판독 장치(12)가 메뉴 선택 카드(13)의 2행에 있는 좌향좌 동작 메뉴를 선택하였다. 물론 설명 글씨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이 설명 글씨 부분을 터치를 해도 된다.
그러면, 광학 판독장치(12)는 그림/글씨와 함께 인쇄된 미세한 코드를 인식하여(S2) 그 메뉴 코드를 무선으로 홈로봇(11)에게 전달한다(S3).
이렇게 메뉴 코드를 전달받은 홈로봇(11)은 이 메뉴 코드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동작 명령 또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가 무엇인지를 인식하게 되어, 동작 명령 선택의 경우에는 각 모터나 릴레이의 구동신호를 형성하는 등의 관련 처리(좌향좌 동작을 위한 각 모터의 구동 데이터를 자체적으로 형성하거나 원격의 서비스 서버에서 수신함)를 수행하게 되고, 멀티미디어 콘텐츠 선택의 경우에는 그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S4).
결국, 이상과 같이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와 관련된 미세한 메뉴 코드를, 그 메뉴를 나타내는 그림과 함께 인쇄를 한 메뉴 선택 카드를 사용하여, 이 메뉴 선택 카드의 특정 그림을 사용자가 선택하게 한다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선택 가능한 메뉴가 하나의 카드 상에 모두 포함되어 있으므로 단번에 원하는 메뉴(동작 명령이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게 되어 종래기술에서처럼, 수차례 선택 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선택 가능한 메뉴와 관련된 그림이 도2처럼 그려져 있기 때문에, 그 메뉴의 의미를 그림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특히 유아나 초등학생에게는 매우 편리한 홈로봇용 메뉴 선택 카드가 된다.
그리고, 선택 가능한 동작 명령과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코드가 홈로봇으로 전달되므로, 종래기술처럼 음성 명령하는 경우에 인식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들어, 도2에서는 홈로봇의 각종 메뉴를 위한 그림(미세한 코드가 함께 인쇄됨)이 하나의 카드에 모두 배치되는 형태이지만, 본 발명의 명령 선택 카드는 각 응용 분야(콘텐츠)에 대응하는 전용 카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인의 선행출원인 특허2006-2553호에 기재된 멀티미디어 출판물을 홈로봇에서 재생하는 경우(예를들어, 동물의 세계에 대한 멀티미디어 출판물의 경우에는 각종 동물 그림과 이 동물에 대응하는 바코드를 이상에서의 방법을 이용하여 함께 인쇄하여, 사용자가 광학 판독 장치로 특정 동물을 선택하면 이 특정동물에 대응하는 음성 및 영상이 홈로봇에서 재생됨)에, 각 멀티미디어 출판물과 함께 이 출판물에 적합한 명령 선택 카드를 출판물과 함께 제작하여 판매한다면, 사용자는 새로운 멀티미디어 출판물과 명령 선택 카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동작 명령은 명령 선택 카드의 관련 그림을 선택하여 명령 선택 코드를 홈로봇에 전달하고, 원하는 동물에 대한 설명은 멀티미디어 출판물 상의 동물 그림을 선택하여 선택된 동물에 대한 코드 정보를 홈로봇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에서는 하나의 메뉴 선택 카드에 모든 메뉴가 존재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수많은 동작 메뉴가 있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존재하여 하나의 메뉴 선택 카드에 전체 메뉴용 그림을 넣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다수의 메뉴 선택 카드를 가진 메뉴북을 마련하여 각 페이지에, 관련된 메뉴가 모두 존재하는 방식(도6에서는 메뉴북의 각 카드가 “개인정보”, “생활정보”, “뉴스”용 메뉴 선택 카드임)을 이용할 수도 있다. 물론 메뉴북의 이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목차를 둔다면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용이하게 찾아 선택하게 된다.
한편, 도2의 3번째 행처럼 사용자가 자신의 특유한 동작(안녕, 놀람, 즐거움 등)을 구성할 수 있도록, 그림이 없고 미세한 코드(순수 블랙(K)로 인쇄됨)만이 존 재하는 행을 두어,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에 대한 그림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을 순수 블랙(K)을 제외한 색으로 그려 넣고, 1행과 2행의 기본 동작을 조합하여 원하는 동작을 구성하도록 홈로봇 또는 서비스 서버에서 프로그래밍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카드에 인쇄된 미세한 코드가 스크래치 또는 노후화로 인식이 불량한 경우를 대비하여, 글씨 설명 부분에 코드 번호를 함께 인쇄한다면, 광학 판독장치로 이 코드를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이 코드값을 사용자가 홈로봇에 있는 숫자버튼을 누르게 하여 코드를 직접 입력하거나 이 코드를 발음하여 음성인식하게 하여, 카드가 노후화된 경우에도 명령 코드가 홈로봇에 전달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카드에 인쇄된 미세한 코드가 스크래치 또는 노후화로 인식이 불량한 경우를 대비하고, 종래기술의 음성인식 방법에서 사용자가 명령 표현을 모두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여 동일한 명령에 대해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표현(“소리 크게”를 “소리 올려”, "볼륨 크게“, ”음량 크게“ 등으로 다르게 표현하는 경우)하여 발음함으로써 인식율이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명 글씨 부분에 기재된 글씨(”소리크게“)를 그대로 발음하여 홈로봇 측에서 이 발음을 인식하여 명령을 인식하게 하는 방법을 보조적으로 사용하면, 동일한 명령에 대하여 동일하게 표현을 하게 되므로 음성 인식율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가라오케 콘텐츠용 노래 메뉴북과 같은 경우에는 각 노래를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도6에서와 같이 하나의 노래에 대하여, 최신 곡, 인기곡, 동요, 팝송, 클레식 등의 분류에 대응하는 그림(도6에서는 최신곡을 나타내는 그림)과 함께 노래제목(도6에서는 “백지영의 사랑안해”) 과 노래 번호(도6에서는 “33292”)를 인쇄한다면, 사용자는 그림을 통해 각 노래의 분류를 알게 되고, 노래 제목을 통해 특정 노래를 인식하게 되고, 광학판독장치를 사용하여 장르 그림, 노래제목 또는 노래번호 부분을 선택하거나, 사용자가 이 노래 번호를 발성하여 홈로봇이 인식하게 하거나, 홈로봇의 번호버튼으로 이 노래번호를 눌러 노래번호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이용하면, 홈로봇 시스템에 있어서 선택하고자 하는 각종 메뉴(동작 명령이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등)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하면서 단번에 선택할 수 있게 되고, 선택된 것을 홈로봇 또는 원격 서버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로봇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봇 시스템에서 선택가능한 메뉴들에 대응하는 미세한 코드가 상기 메뉴들에 대응하는 그림들과 함께 인쇄된 메뉴 선택 카드와;
    사용자가 상기 메뉴 선택 카드에서 특정 그림을 선택하면 이 특정 그림에 대응하는 상기 미세한 코드를 인식하는 광학 판독 장치와;
    상기 광학 판독 장치에서 인식된 미세한 코드를 수신하여 이 코드에 대응하는 처리 또는 동작을 수행하는 로봇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한 코드에 대응하는 설명 글씨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한 코드에 대응하는 코드 번호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은 사용자가 제공하는 그림이고, 사용자가 이 그림에 대응하는 처리를 상기 로봇 본체가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선택 카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별 전용카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선택 카드를 다수개 이용하는 메뉴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는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가 상기 로봇시스템의 동작을 선택하는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가 상기 로봇시스템을 이용하여 타 장치를 제어하는 명령을 선택하는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시스템.
KR1020060064195A 2006-01-10 2006-07-10 메뉴 코드가 그림과 함께 인쇄된 메뉴 선택 카드를 가진로봇 시스템 KR100708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195A KR100708275B1 (ko) 2006-07-10 2006-07-10 메뉴 코드가 그림과 함께 인쇄된 메뉴 선택 카드를 가진로봇 시스템
US11/640,884 US20070166004A1 (en) 2006-01-10 2006-12-19 Robot system using menu selection card having printed menu codes and pictorial symbo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195A KR100708275B1 (ko) 2006-07-10 2006-07-10 메뉴 코드가 그림과 함께 인쇄된 메뉴 선택 카드를 가진로봇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520A true KR20060130520A (ko) 2006-12-19
KR100708275B1 KR100708275B1 (ko) 2007-04-16

Family

ID=3781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195A KR100708275B1 (ko) 2006-01-10 2006-07-10 메뉴 코드가 그림과 함께 인쇄된 메뉴 선택 카드를 가진로봇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82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162B1 (ko) * 2012-04-18 2013-09-23 주식회사 로보메이션 로봇용 타일
KR102218424B1 (ko) * 2019-08-20 2021-02-19 김철회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조건을 코딩하는 코딩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6087A (ja) * 1991-09-12 1993-03-26 Seiko Epson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0187554A (ja) 1998-12-24 2000-07-04 Casio Comput Co Ltd 入力装置
KR100605489B1 (ko) * 2002-06-12 2006-07-28 현대디지텍 주식회사 Lcd 화면에 한글 메뉴를 표시하여 기능버튼을공용화하는 홈오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1463052A1 (en) * 2003-03-25 2004-09-29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for representing animated menu butt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162B1 (ko) * 2012-04-18 2013-09-23 주식회사 로보메이션 로봇용 타일
KR102218424B1 (ko) * 2019-08-20 2021-02-19 김철회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조건을 코딩하는 코딩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8275B1 (ko) 2007-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6570B2 (en) Method for producing indicators and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utilizing the indicators
US7123742B2 (en) Print user interface system and its applications
CA2243581C (en) Apparatus and method of assisting visually impaired persons to generate graphical data in a computer
US20100009322A1 (en) Teaching aid
KR101395723B1 (ko) 전자칠판 시스템
KR100708275B1 (ko) 메뉴 코드가 그림과 함께 인쇄된 메뉴 선택 카드를 가진로봇 시스템
KR20020079239A (ko) 학습기
KR101246919B1 (ko) 오아이디 코드가 인쇄된 매트를 매개로 한 음성출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70166004A1 (en) Robot system using menu selection card having printed menu codes and pictorial symbols
JP5608847B2 (ja) 情報読取出力装置および情報読取出力システム
CN1469294B (zh) 印刷用户介面系统及其应用
CN1842830A (zh) 交互式印制材料和传感器设备
KR100222982B1 (ko) 다목적학습기
KR20140049102A (ko)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운드 북 제공 시스템 및 사운드 북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JP7030231B1 (ja) 知育玩具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120943A (ko) 두뇌 훈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3106896U (ja) イメージコード化電子ブックの構造
CN100373933C (zh) 利用字幕信息生成剧本功能的图像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JP2004173723A (ja) 電子遊戯システム、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電子遊戯装置、及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記憶媒体・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表示媒体
KR20230102788A (ko) 색-기반 학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102785A (ko) 색-기반 학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RU2401462C2 (ru) Программно-аппарат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обучения печати на клавиатуре
JP2012022423A (ja) ストリームドットを用いた入力処理システム、入出力処理システムおよび印刷制御システム
KR20050115101A (ko) 디지탈카메라의 문자삽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