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658A -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 - Google Patents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658A
KR20060129658A KR1020050050255A KR20050050255A KR20060129658A KR 20060129658 A KR20060129658 A KR 20060129658A KR 1020050050255 A KR1020050050255 A KR 1020050050255A KR 20050050255 A KR20050050255 A KR 20050050255A KR 20060129658 A KR20060129658 A KR 20060129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pressure
insole
foot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7327B1 (ko
Inventor
박인식
Original Assignee
박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식 filed Critical 박인식
Priority to KR1020050050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327B1/ko
Publication of KR20060129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00Foot or last measuring devices; Measuring devices for shoe parts
    • A43D1/08Measuring devices for sho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8Adapting the inner sole or the side of the upper of the shoe to the sole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일정하게 배열된 다수의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TPS(Triple Pod System) 스캐너에 의해 정적(postural/static) 또는 동적(dynamic)상태에서 측정된 발바닥의 압력분포를 소정의 알고리듬이 구축된 컴퓨터로 분석하여 발바닥의 아치형태나 중족골(中足骨)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및 전족(前足), 중족(中足), 후족(後足)부의 압력비율과 내외족(內外足)의 압력비율을 파악하여 발바닥의 압력 편중으로 인한 질환을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안창(insole)에 부착되는 웨지(wedge)를 적절하게 선정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발의 형태에 맞는 안창을 제공할 수 있다.
발바닥, 압력분포, 웨지, 안창, TPS 스캐너.

Description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Method for selecting wedge of insole by pressure distribution of sole of foot}
도1은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를 선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TPS 스캐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은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를 선정하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4는 발을 4분할에 따른 면적/분포/압력의 측정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5는 정적모드 혹은 동적모드의 측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6은 동적모드에서 측정된 COP(Center Of Pressure)를 보인 화면 예시도이다.
도7은 시각적인 분석이 용이하도록 3차원으로 표시된 측정결과 화면 예시도이다.
도8은 측정결과의 분석으로 얻어진 발의 유형을 표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9는 측정결과를 인쇄하거나 이를 위해 화면에 보여지는 예시도이다.
도10은 이전에 측정한 발에 대한 측정데이터와 새롭게 측정한 발에 대한 측정데이터를 상호 비교 가능하도록 하나의 화면에 표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11은 동적모드에서 측정데이터가 시간의 추이에 따라 변화하는 힘의 정도를 표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TPS 스캐너 11 : 압력센서
12 : 핸들러 20 : TPS 콘트롤 박스
30 : 퍼스널 컴퓨터 40 : 입력수단
50 : 저장장치 60 : 모니터
70 : 프린터
본 발명은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TPS(Triple Pod System) 스캐너에 의해 정적(postural/static) 또는 동적(dynamic)상태에서 측정된 발바닥의 압력분포를 분석하여 발바닥의 아치형태나 중족골(中足骨)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및 전족(前足), 중족(中足), 후족(後足)부의 압력비율과 내외족(內外足)의 압력비율을 파악하여 발바닥의 압력 편중으로 인한 질환을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안창(insole)에 부착되는 웨지(wedge)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발은 직립 시에 지면과 접촉하여 인간의 체중을 지탱함과 동시에 적절한 운동으로 보행이나 운동 등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발바닥 전체가 지면에 맞닿아 인간의 체중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줄 필요가 있으며, 대부분의 정상적인 발의 발바닥은 직립 시에 족궁을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지면에 맞닿아 안정적인 직립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보행이나 달리기 등에서는 족궁이 마치 스프링과 같이 신축하면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주고, 발가락들을 포함한 발의 전단부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여 완만하고 부드러운 보행 및 달리기 등의 운동이 가능하게 한다.
인간들의 발은 외회 운동이 4 내지 6°, 내회 운동이 4 내지 6°, 도합 8 내지 12°의 움직임을 가지는 인체 역학적으로 정상적인 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외에도 인간들의 발은 여러 가지 형태의 비정상적인 발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대개 발바닥이 지면과 고르게 맞닿지 못하고 발바닥의 외측이 들어올려지는 외회(supination)와 발바닥의 내측이 들어올려지는 내회(pronation) 및 족궁이 거의 없이 발바닥의 내측이 과도하게 들어올려지는 과내회(hyperpronation) 등으로 언급되는 기형으로 구분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외회화(supinated), 내회화(pronated) 및 과내회화(hyperpronated) 등의 비정상적인 형태의 발들은 달리기와 같은 격렬한 운동은 물론 보행과 같은 기본적인 것에서도 불편함을 느낄 뿐만 아니라 직립상태를 유지하는데 상당한 곤란을 초래하고, 통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신발은 각기 다른 개개인의 발의 형태와 구조에 맞게 신발의 모양을 맞춘 것이 아니라 신발의 모양에 발을 맞추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자연히 발에 무리가 가고, 발에 무리가 감으로써 한 갱의 운동사슬로 연결된 몸의 다른 부위에 부조화와 불균형을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발, 발목, 다 리, 무릎, 골반, 허리, 상체는 기능적 운동사슬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발에 구조적인 이상이 있거나, 기능적으로 잘못된 움직임을 계속할 때 그것은 발의 문제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리, 무릎, 골반, 척추 등에 부조화와 불균형을 초래하여 몸의 각 부위에 통증으로 나타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종래에는 발을 교정하기 위한 교정기구와 발의 운동을 도와줄 수 있는 신발들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발의 교정을 위한 교정기구나 발에 잘 맞는 신발을 제작하기 위하여 적용대상이 되는 인간의 발을 석고붕대를 사용하여 주형을 만들고, 이 주형을 바탕으로 하여 적절한 물성의 합성수지로 교정기구를 만들거나, 신발 속에 투입될 수 있는 발 교정용 안창(insole)을 제작했었다.
그러나, 석고붕대에 의한 주형의 제작 및 그 주형을 바탕으로 하는 교정기구나 발 교정용 안창의 제작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특정인을 대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개별적인 제작만이 가능하다. 또한, 이는 대량생산이 불가능하고 특정인 이외의 자에 대해서는 기 제작된 교정기구나 발 교정용 안창을 사용할 수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97701호에 개시된 스키부츠용 안창은 발의 압력분포에 따라 전족부와 후족부의 두께를 달리하여 형성된 안창이다. 이는 특정인의 발의 압력분포를 개별적으로 측정한 후 그에 적절한 두께를 산술적으로 계산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안창의 두께에 따라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불가능하고, 기 제작된 안창을 다른 사람의 발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173096호(1999. 01. 15 공고)에 개시된 "발 교정 용 안창"은 외회나 내회 및 과내회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기본형 안창판의 전족부와 후족부에 각각 다양한 전단 웨지 및/또는 후단 웨지 등을 덧대어 지면에 대한 각도를 조절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중족부에도 내측아치 또는 외측아치의 웨지를 덧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지(lower limb)의 많은 관절축을 가능한 한 바른 위치에서 기능하게 하고, 하지에서 발생하는 기계적인 압박(mechanical stress)을 최소화하여 통증을 완화하고 근골격계의 정열을 올바른 상태로 유지하게 하여 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기본형의 안창판에 덧댈 수 있는 각종 웨지들이 허리레벨이나 골반 좌우 기울기 및 수평 회전 혹은 경사회전 등과 같은 골반 회전도, 골반의 앞뒤 기울기, 다리나 무릎의 전후좌우 기울기, 중족골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 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는 고도한 전문지식을 가진 의사나 전문가들에 의해서만 진단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안창판에 웨지를 덧대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고도한 지식을 가지는 전문가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문지식을 가진 의사나 전문가를 통하지 않고도 일정하게 배열된 다수의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TPS 스캐너에 의해 정적 및/또는 동적상태에서 측정된 발바닥의 압력분포를 이용하여 발바닥의 아치형태나 중족골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및 전족, 중족, 후족부의 압력비율과 내외족의 압력비율을 분석하여 발바닥의 압력 편중으로 인한 질환을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안창(insole)에 부착되는 웨지(wedge)를 적절하게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은,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배치된 다수의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TPS 스캐너(Triple Pod System scanner)를 이용하여 정적(postural/static) 또는 동적(dynamic)상태에서 발바닥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제1단계; 상기 TPS 스캐너의 압력센서들에 의해 측정되는 발바닥에 의해 형성되는 압력데이터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퍼스널 컴퓨터에 전송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발바닥의 아치형태나 중족골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및 전족, 중족, 후족부의 압력비율과 내외족의 압력비율을 퍼스널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된 알고리듬에 의해 비교 분석하여 안창제조를 위해 안창판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는 웨지의 종류와 부착위치를 선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컴퓨터는, 정적 및/또는 동적상태에서 발바닥에 의해 TPS 스캐너의 압력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을 반복 측정하고, 이의 평균값을 안창제조를 위해 안창판에 부착되는 웨지의 위치와 종류를 선정하기 위한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컴퓨터는, 상기 TPS 스캐너에 맞닿은 발바닥을 면적에 비례하게 전후로 4분할하고, 상기 4분할된 각 부분에 의해 TPS 스캐너에 가해진 압력을 백분율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웨지는, 상기 전족부에 부착되는 전단 웨지나 상기 후족부에 부착되는 후단 웨지 및 상기 중족부에 부착되는 내측 아치 및 외측아치를 포함하는 웨지 중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웨지의 종류는, 웨지의 두께 및 크기와 문양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컴퓨터는, 발의 형태와 발바닥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및 안창을 구성하는 안창판에 부착되는 웨지의 종류 및 위치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에 의해 TPS 스캐너에 가해지는 압력이 모니터를 통해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고객의 발바닥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을 구성하는 안창판에 부착되는 웨지의 종류 및 위치를 선정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먼저, 고객의 발바닥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TPS 스캐너(1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 TPS 스캐너(10) 상부에는 다수의 압력센서(11)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TPS 스캐너(10)에는 각 압력센서(11)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데이터를 수집하여 TPS 콘트롤 박스(20)에 전송하는 핸들러(12)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압력센서(11)의 개수는 고객의 발바닥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고객의 발 형태의 분석이나 고객의 발에 맞는 신발 안창을 제조하기에 충분하게 측정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압력센서(11)가 가로세로로 각각 30줄씩 배치된 것을 예로 설명한다. 물론, 보다 정밀한 측정데이터를 얻기 위해 개수를 얼마든지 늘릴 수도 있다.
상기 TPS 콘트롤 박스(20)는 퍼스널 컴퓨터(30)의 제어로 TPS 스캐너(10)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TPS 스캐너(10)의 핸들러(12)를 통해 전송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압력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30)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의 압력데이터로 변환하여 퍼스널 컴퓨터(30)에 전송한다.
상기 퍼스널 컴퓨터(30)는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등과 같은 통상의 컴퓨터를 일컫는 것으로서, 이 퍼스널 컴퓨터(30)에는 키보드나 마우스, 스캐너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수단(40)과 각종 알고리듬이나 측정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50), 모니터(60) 및 프린터(70) 등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퍼스널 컴퓨터(30)의 저장장치(50)에는 TPS 스캐너(10)를 구성하는 압력센서(11)에 의해 측정되는 고객의 발바닥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데이터를 근거로 발바닥의 아치형태나 중족골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및 전족, 중족, 후족부의 압력비율과 내외족의 압력비율을 분석하여, 안창제조를 위해 안창판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는 웨지의 종류와 부착위치를 선정하기 위한 알고리듬이 저장되어 있다. 물론, 이의 실행은 퍼스널 컴퓨터(30)의 프로세서가 담당한다.
여기서, 퍼스널 컴퓨터(30)는 도4에서와 같이 고객의 발바닥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데이터를 근거로 위와 같이 안창제조를 위해 발바닥의 압력분포를 분석하기도 하지만, 도4에서와 같이 발바닥을 4분할하고, 이렇게 4분할된 발바닥의 각 부분에 의해 TPS 스캐너(10)의 압력센서(11)에 가해지는 압력비율을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퍼스널 컴퓨터(30)는 정적모드 및/또는 동적모드에서 발바닥에 의해 TPS 스캐너(10)의 압력센서(11)에 가해지는 압력을 1회 혹은 반복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얻어진 압력값의 평균값을 구해 발의 형태를 분석하거나 안창제조를 위해 안창판에 부착되는 웨지의 위치와 종류를 선정하기 위한 자료를 사용한다.
상기 안창을 제조하기 위해 안창판에 부착되는 웨지는 안창판의 전족부에 부착되는 전단 웨지나 안창판의 후족부에 부착되는 후단 웨지 및 안창판의 중족부에 부착되는 내측아치 및 외측아치를 포함하는 웨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외에도 편안한 보행이나 구보 등이 가능하도록 발바닥의 균형을 잡아주기 위해 안창판의 특정 부위에 부착되는 웨지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렇게 고객의 발바닥 특성에 맞게 안창을 제조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 분석하는 퍼스널 컴퓨터(30)는 고객의 발바닥에 대한 자료를 수집 분석하는 과정이나 이 과정에서 얻어지는 각종 정보, 그 결과로서 얻어진 발의 형태와 발바닥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및 안창을 구성하는 안창판에 부착되는 웨지의 종류 및 위치를 모니터(60)에 표시한다.
이때 퍼스널 컴퓨터(30)에 의해 모니터(60)상에 표시되는 발바닥에 의해 TPS 스캐너(10)에 가해지는 압력은 시각적으로 그 결과를 확인 분석하기에 용이하도록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퍼스널 컴퓨터(30)에 의해 얻어지는 각종 측정데이터나 이를 분석하여 얻어진 고객의 발에 대한 각종 정보는 저장장치(50)에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프린터(70)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도3은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를 선정하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보인 것으로서, 특정 고객의 발에 적합하도록 신발에 장착되는 안창을 제조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당 고객의 정보를 입력한다(S31). 이는 해당 고객의 발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발 질환의 치료나 질환이 치료되는 과정 및 질환치료를 위해 차후 고객의 신발 안창을 제조하기 위한 자료 등으로 활용된다.
고객정보가 입력된 후 퍼스널 컴퓨터(30)는 TPS 스캐너(10)를 이용하여 발바닥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정적모드 혹은 동적모드 등과 같은 측정모드로 설정된다(S32)(S33)(S34).
여기서, 정적모드라 함은 TPS 스캐너(10) 위에 고객이 서 있는 상태에서 발바닥에 의해 각 압력센서(11)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일컬으며, 동적모드라 함은 고객이 TPS 스캐너(10) 위를 딛고 지나갈 때 발바닥에 의해 각 압력센서(11)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렇게 정적모드 및/또는 동적모드에서 고객의 발바닥에 의해 TPS 스캐너(10)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한 퍼스널 컴퓨터(30)는 정적모드와 동적모드에서 반복 측정된 압력값의 평균값을 구한다(S35)(S36).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30)는 이를 근거로 저장장치(50)에 저장된 알고리듬에 의해 고객의 발바닥 아치형태나 중족골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및 전족, 중족, 후족부의 압력비율, 내외족의 압력비율을 분석하여, 해당 고객만을 위한 안창제조를 위해 안창판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는 웨지의 종류와 부착위치를 선정한다(S37)(S38).
- 실시예 -
먼저, 다수의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TPS 스캐너의 의해 측정되는 압력데이터를 근거로 고객의 발바닥 아치형태나 중족골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및 전족, 중족, 후족부의 압력비율, 내외족의 압력비율을 분석하여, 해당 고객만을 위한 안창제조를 위해 안창판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는 웨지의 종류와 부착위치를 선정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퍼스널 컴퓨터에 장착된다. 물론, TPS 스캐너와 TPS 콘트롤 박스, 키보드나 마우스 같은 입력수단, 모니터 및 프린터 등이 퍼스널 컴퓨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신규 검사시 사용자는 우선적으로 퍼스널 컴퓨터의 작업환경과 함께 고객정보를 입력하는데, 이 고객정보로는 고객의 이름과 신발 사이즈 등을 들 수 있다. 이렇게 고객정보를 입력한 후 정적모드(postural/static test) 혹은 동적모드(dynamic test) 등과 같은 측정모드가 선택되면, 화면에 도5와 같은 영상이 출력된다.
우선, 정적모드를 선택했을 때에는 모니터 하단에 시간막대가 빨간색으로 가득 찬 후 TPS 스캐너 위에 고객이 올라 선 상태에서 "시작"버튼이 조작되면, 모니터 하단의 시간 막대가 빨간색으로 가득 차면서 족압의 분포가 나타나는 한편 모니터의 우측에 각종 측정수치가 나타난다.
여기서, 족압은 압력이 적은 쪽은 파란색으로 높은 쪽은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모니터의 우측에 나타나는 측정수치로서는 앞발(forefoot)의 센서의 최고압력, 뒷발(rearfoot)의 센서의 최고압력, 전체압력에서 앞발의 압력비율, 전체압력에서 뒷발의 압력비율, 아치의 형태(H high/high/M high/normal/M flat/flat 등을 말한다.), 센서당 평균압력, 감응센서의 총수, 뒤꿈치에서 발볼까지의 길이, 뒤꿈치에서 발끝까지의 길이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동적모드를 선택했을 때에는 모니터 하단의 "시작"버튼을 조작한 후 고객이 시간차를 두고 왼발과 오른발로 TPS 스캐너를 밟고 지나가도록 한다. 고객이 TPS 스캐너를 밟고 지나가면 모니터 하단의 시간막대가 빨간색으로 가득 찰 때까지 지다릴 필요없이 정지버튼을 눌러 결과를 확인하며 다음 모니터 상단의 RF 버튼을 눌러 화면을 되감은 후 FF 버튼을 눌러 한 프레임씩 발의 움직임과 압력 및 압력 중심점(COP:Center Of Pressure)을 관찰한 후 다음 평균 표시버튼을 눌러 동적모드에서의 발의 압력분포를 모니터 오른쪽에 나타난 측정수치들로 확인한다.
이후, 사용자는 분석버튼을 눌러 안창제조를 위해 안창판에 부착되는 웨지의 종류나 위치를 얻는다.
도6은 동적모드에서의 COP를 볼 수 있는 것으로서, 각 프레임 단위로 분석하고자 할 때에는 애니메이션 버튼을 이용할 수 있으며, 평균표시는 모든 프레임을 평균하여 나타낸 값이다.
여기서, 동적모드에서는 멀티스캔모드(multi scan mode)가 있는데, 이는 정적모드 실행을 2 내지 6회 실시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터 및 결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즉, 원하는 회수만큼 정적모드를 실행한 후 평균분석을 원하지 않은 화면을 제외시킨 후 COP나 발의 모양이 가장 잘 나온 화면의 분석버튼을 누르면 평균분석결과가 나온다.
이후, 평균 분석버튼을 누른 후 사용자는 결과보기(report preview)를 눌러 평균분석에 의한 발의 형태, 데이터, 안창제조를 위한 안창판에 부착되는 웨지의 종류 및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TPS 스캐너에 의해 측정된 발바닥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도7에서와 같이 3차원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되므로 시각적인 분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본 발명은 3차원 영상을 축소/확대, 이동, 회전할 수 있을 뿐더러 색상의 변경이나 빛의 조절, 선 종류의 선택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도8은 최종결과를 보인 것으로서, 최종결과는 발의 유형이 P형(일반발), S형(요족), H형(평발) 중 어느 것인지를 구분하고, 이에 따른 결과로서 내측아치와 외측아치 그리고 척골 돔(metatarsal dome) 등이 좌우측 발의 측정결과에 따라 얻어진다.
도9는 도8과 같이 측정된 결과가 모니터나 프린터 등을 통해 나타난 것을 보인 것이다.
도10은 고객이 이전에 측정한 발에 대한 측정데이터와 현재 측정한 발에 대한 측정데이터를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하여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 비교는 정적모드와 동적모드를 서로 분리해서 해야 함은 당연하다.
도11은 동적모드에서 고객의 발을 측정하였을 때 시간의 추이에 따른 힘의 정도를 표시하는 화면 예로서, 화면에서 좌측은 왼발, 오른쪽은 오른발을 나타내고 있으며 좌우의 대칭성을 비교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에서 좌측 하단의 X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Y축은 힘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하 화살표를 누름으로 화면에 표시된 그래프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정하게 배열된 다수의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TPS 스캐너에 의해 정적 및/또는 동적상태에서 측정된 발바닥의 압력분포를 이용하여 발바닥의 아치형태나 중족골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및 전족, 중족, 후족부의 압력비율과 내외족의 압력비율을 분석하여 발바닥의 압력 편중으로 인한 질환을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안창(insole)에 부착되는 웨지(wedge)를 적절하게 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도한 전문지식을 가진 의사나 전문가 등을 통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발에 맞는 신발의 안창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배치된 다수의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TPS 스캐너(Triple Pod System scanner)를 이용하여 정적(postural/static) 또는 동적(dynamic)상태에서 발바닥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제1단계;
    상기 TPS 스캐너의 압력센서들에 의해 측정되는 발바닥에 의해 형성되는 압력데이터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퍼스널 컴퓨터에 전송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발바닥의 아치형태나 중족골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및 전족, 중족, 후족부의 압력비율과 내외족의 압력비율을 퍼스널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된 알고리듬에 의해 비교 분석하여 안창제조를 위해 안창판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는 웨지의 종류와 부착위치를 선정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컴퓨터는, 정적 및/또는 동적상태에서 발바닥에 의해 TPS 스캐너의 압력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을 반복 측정하고, 이의 평균값을 안창제조를 위해 안창판에 부착되는 웨지의 위치와 종류를 선정하기 위한 자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컴퓨터는, 상기 TPS 스캐너에 맞닿은 발바닥을 면적에 비례하게 전후로 4분할하고, 상기 4분할된 각 부분에 의해 TPS 스캐너에 가해진 압력을 백분율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는, 상기 전족부에 부착되는 전단 웨지나 상기 후족부에 부착되는 후단 웨지 및 상기 중족부에 부착되는 내측 아치 및 외측아치를 포함하는 웨지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의 종류는, 웨지의 두께 및 크기와 문양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컴퓨터는, 발의 형태와 발바닥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및 안창을 구성하는 안창판에 부착되는 웨지의 종류 및 위치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바닥에 의해 TPS 스캐너에 가해지는 압력이 모니터를 통해 2차원 또는 3차 원 영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
KR1020050050255A 2005-06-13 2005-06-13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 KR100697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255A KR100697327B1 (ko) 2005-06-13 2005-06-13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255A KR100697327B1 (ko) 2005-06-13 2005-06-13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658A true KR20060129658A (ko) 2006-12-18
KR100697327B1 KR100697327B1 (ko) 2007-03-20

Family

ID=37810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255A KR100697327B1 (ko) 2005-06-13 2005-06-13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3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875A (ko) * 2012-07-13 2014-01-23 주식회사 학산 족압 분석 및 인솔용 패드 선정 시스템
CN112449576A (zh) * 2018-07-05 2021-03-05 脚踏平衡系统有限公司 获得脚部分析数据的方法和系统
KR20210127013A (ko) * 2020-04-13 2021-10-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평발화 예방용 신발 안창
KR102581588B1 (ko) * 2022-08-08 2023-09-26 주식회사 로고스바이오일렉트로닉스 사용자 맞춤형 깔창 제작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843B1 (ko) 2007-03-07 2008-03-31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신발창 접착용 프레스의 휴대형 압력 측정장치를 위한켈리브레이터
KR200489173Y1 (ko) 2016-12-20 2019-05-17 바이오메카닉스(주) 발과 발목 관절 각도계측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753A (ko) * 2002-04-12 2003-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 측정용 적외선 검출 수단을 갖는 튜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875A (ko) * 2012-07-13 2014-01-23 주식회사 학산 족압 분석 및 인솔용 패드 선정 시스템
CN112449576A (zh) * 2018-07-05 2021-03-05 脚踏平衡系统有限公司 获得脚部分析数据的方法和系统
KR20210127013A (ko) * 2020-04-13 2021-10-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평발화 예방용 신발 안창
KR102581588B1 (ko) * 2022-08-08 2023-09-26 주식회사 로고스바이오일렉트로닉스 사용자 맞춤형 깔창 제작 장치 및 방법
WO2024035020A1 (ko) * 2022-08-08 2024-02-15 주식회사 로고스바이오일렉트로닉스 사용자 맞춤형 깔창 제작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7327B1 (ko) 200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302467B2 (en) Multi-component footbeds
EP197194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insoles for footware
US7617068B2 (en) Method for determining relative mobility or regions of an object
Mandato et al. The effects of increasing heel height on forefoot peak pressure
US75524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ustom orthotic footbeds that accommodate the effects of tibial torsion
AU2001247427B2 (en) A method for computer aided orthotic inlay fabrication
KR100697327B1 (ko) 발바닥의 압력분포에 의해 안창의 웨지 선정방법
KR101445488B1 (ko) 맞춤형 인솔제작 시스템
JP2021501955A (ja) 身体情報測定用チルティング制御器
KR102309534B1 (ko) 족부 맞춤 3d 인솔 모델링 방법 및 서버
US81923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fitting insoles to a patient
Luximon et al. Biomechanical evaluation of heel elevation on load transfer—experimental measurement and finite element analysis
KR102232443B1 (ko) 족저압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285315B1 (ko) 족압 측정 장치
Pineda-Lopez et al. A low cost baropodometric system for children's postural and gait analysis
KR100864967B1 (ko) 공기압을 이용한 공기압 교정 안창과 그를 위한 족부압력 측정장치
KR102197859B1 (ko) 발본기구 시스템
Lu et al. Reshaping the wearing condition of high-heeled shoes by insole design to avoid hallux valgus
KR102578079B1 (ko) 온라인 개인 맞춤형 인솔 제작 시스템
KR102625651B1 (ko) 족부 맞춤 3d 인솔 모델링 방법 및 서버
KR101150053B1 (ko) 발바닥 고유감각수용체를 자극하는 신발
IL19307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fitting an insole to a patient
Hall Computerized Electronic Foot Pressure Analysis--What Does All This Data Mean? Part I.
ITRM20080276A1 (it) Kit per incrementare il benessere del piede e metodo per scegliere un plant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