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589A -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 - Google Patents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29589A KR20060129589A KR1020050048223A KR20050048223A KR20060129589A KR 20060129589 A KR20060129589 A KR 20060129589A KR 1020050048223 A KR1020050048223 A KR 1020050048223A KR 20050048223 A KR20050048223 A KR 20050048223A KR 20060129589 A KR20060129589 A KR 200601295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line
- hole
- warming
- fixture
- b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with a non-rigid pendant, i.e. a cable, wire or cha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온등 보호갓에 결합되는 보온등 고정구의 그 구조를 더욱 단순화시키되, 드라이버 등의 별도 공구의 사용없이도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보온등 고정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는, 결합부재를 통하여 보온등 보호갓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되, 전원선 관통공을 갖는 하부 결합체 및, 상기 하부 결합체에 나사 방식으로 분해 조립 가능하게 체결되되, 전원선 관통공을 갖는 상부 캡으로 이루어지되, 하부 결합체는 전원선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와, 베이스의 양측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보온등 보호갓과의 결합을 위한 슬롯홈이 각각 형성된 날개편과, 전원선 관통공의 외측 둘레에서 베이스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그 외측에는 나사산이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결합구로 구성되며, 상부 캡은베이스의 전원선 관통공과 수직선 상에서 일치하는 전원선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내측 둘레에는 원통형 결합구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과 일치하는 다른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 캡이 베이스 상의 원통형 결합구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보온등 고정구, 보호갓, 베이스, 전원차단기, 날개편, 나사산, 캡, 조임편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보온등 고정구 및 보온등 보호갓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보온등 고정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보온등 고정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다른 보온등 고정구 및 보온등 보호갓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다른 보온등 고정구 및 보온등 보호갓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다른 보온등 고정구 및 보온등 보호갓이 전원차단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등 고정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등 고정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등 고정구 및 보온등 보호갓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등 고정구 및 보온등 보호갓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고정구의 구조에서 전원선의 물림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등 고정구가 전원차단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온등 3 : 전구소켓
3a : 전원선 7 : 행거
50 : 보온등 보호갓 53 : 원형 테두리면
53a : 돌기 55a, 55b : 측벽
56a, 56b : 고리 삽입공 57 : 지지대
58 : 방열공 70 : 전원차단기
100 : 하부 결합체 102 : 베이스
104 : 날개편 104a : 슬롯홈
106 : 원통형 결합구 106a, 204 : 나사산
108 : 원형 조임돌기 200 : 상부 캡
202 : 전원선 관통공 208 : 원형 조임편
본 발명은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사(畜舍)에서 가축(家畜)의 보온 및 성장발육의 촉진을 위하여 사용되는 보온등(保溫燈)을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보온등 보호갓에 결합되는 보온등 고정구의 그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조립성의 향상으로 인한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로 인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그 중량 및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또한 별도의 공구(드라이버 등) 사용없이도 보온등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보온등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축사(돈사, 우사, 계사 등)에서는 어린 가축(주로 갓 태어난 돼지 또는 새끼 돼지나 소 또는 병아리 등)의 보온 및 성장발육 촉진을 위하여 다수의 보온등 및 이의 고정구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보온등으로는, 보온을 위한 열공급기의 역할 뿐만아니라 조명장치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는 다중의 효과를 가진 할로겐 램프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비용적인 문제로 인하여 백열 램프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기능들로 인하여 축사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할로겐 램프나 백열 램프(이하, "보온등"으로 기재하기로 함)에 있어서, 상기 보온등의 불빛이 어린 가축들에게 효율적으로 조사되어 어린 가축들의 성장발육을 더욱 촉진시키거나 또는 상기 보온등의 보호를 위하여, 상기 보온등의 상부에는 보호갓을 설치하여 사용하며, 상기 보온등 및 보호갓을 축사의 벽체 또는 축사 천정 등의 위치에 매달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온등 및 보호갓은 하나의 고정구에 결합시켜 사용한다.
한편, 상기 보온등 고정구는 보온등의 그 효율적인 측면을 위하여 최대한 가축과 근접 설치하여 사용한다. 즉, 상기 보온등은 축사의 바닥면으로부터 약 30~50㎝ 정도되는 비교적 낮은 높이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어린 가축의 성장속도가 매우 빠름에 따라 상기 보온등의 높이 또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기능을 가진 종래의 보온등 고정구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보온등 고정구 및 보온등 보호갓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보온등 고정구는 보온등 보호갓(5)에 결합되는 행거(7)로 이루어져 있다. 즉, 보온등(1)은 전원플러그(미도시)를 갖는 전원선(3a)이 연결된 전구소켓(3)에 결합되고, 상기 전구소켓(3)은 보온등 보호갓(5)의 중앙에 결합되어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보온등 보호갓(5)의 외측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2개의 고리(5a)에는 행거(7)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행거(7)는 도시되지 않은 축사의 측벽에 고정된 고정못에 걸어 고정시키거나 또는 연결줄을 통하여 축사의 천정에 매달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결합을 갖는 종래의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는 단순하다고도 할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전구소켓(3)의 외부 노출로 인한 감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었고,
둘째, 보온등 보호갓(5)에 방열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보온등(1)의 발열로 인한 열이 상기 보온등 보호갓(5)에 직접 전달되어 누적됨에 따라 화상의 위험성이 있었으며,
섯째, 보온등(1) 자체만의 높이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축사에서 어린가축의 활동성이 왕성함에 따라 조사범위를 넓히는 동시에 효율적인 조사가 가능해지도록 상기 보온등(1)만을 상기 축사 바닥면과 근접시켜 설치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한 종래의 보온등 고정구 구조에 있어서는 보온등 보호갓(5)을 완전히 제거하여야 함에 따라, 분해 및 재조립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보온등 보호갓(5)의 제거로 인한 행거(7)의 설치가 불가능해 짐에 따라, 전원선(3a) 자체를 매듭지어 축사 측벽의 고정못에 걸어 고정시키거나 또는 축사 천정에 매달려 고정된 연결줄에 묶어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또한, 상기와 같이 전원선(3a)만이 고정구로서 기능함에 따라 그 고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여러가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현재 출원 중에 있는 특허출원 제2004-107682호(발명의 명칭 : 보온등 고정구 및 보온등 보호갓의 구조)가 있다.
이는 아래의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보온등 고정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다른 보온등 고정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 보온등 고정구는, 상부 고정체(10) 및 하부 결합체(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고정체(10)는 좌우 대칭형의 반원형 몸체(10a, 10b)와, 상기 반원형 몸체(10a, 10b)의 가운데에 일체로 결합 고정되어 돌출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수납돌기(10c) 및, 상기 좌우 반원형 몸체(10a, 10b)의 하부 테두리면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좌우 날개편(12a, 12b)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조에서, 수납돌기(10c)의 내측면 상단에는 제1 반원형 홈(10d)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돌기(10c)의 내측면 중앙부에는 상기 제1 반원형 홈(10d)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제2 반원형 홈(15a)이 구비된 제1 반원형 돌기(15)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좌우 날개편(12a, 12b)에는 도 4에 도시된 공지된 보온등 보호갓(50)과의 결합을 위한 슬롯홈(13a, 13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 반원형 몸체(10a, 10b)의 일측에는 체결부재로서 볼트(30)와 너트(33)의 결합을 위한 볼트공(16a, 16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하부 결합체(20)는 상기 상부 고정체(10)의 수납돌기(10c) 일측(제1 반원형 돌기의 절단면이 위치한 측)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수용구(21)와, 상기 수용구(21)의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돌출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고정체(10)의 제1 반원형 돌기(15)와 서로의 절단면이 일치하여 원형 돌기를 형성하 는 제2 반원형 돌기(27) 및, 상기 제2 반원형 돌기(27)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좌우 날개편(23, 25)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조에서, 제2 좌우 날개편(23, 25)에는 각각 상기 상부 고정체(10)의 볼트공(16a, 16b)과 일치하는 볼트공(23a, 25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볼트공(23a, 25a)을 중심으로 그 둘레에는 보강돌기(23b, 25b)가 일체로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반원형 돌기(27)에는, 상기 상부 고정체(10)의 제1 반원형 돌기(15)에 형성된 제2 반원형 홈(15a)과 일치하여 전원선(3a)(도 4에 도시) 관통공을 이루는 제3 반원형 홈(27a)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구(21)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 고정체(10)의 수납돌기(10c)에 형성된 제1 반원형 홈(10d)과 일치하여 전원선(3a)(도 4에 도시) 관통공을 이루는 제4 반원형 홈(21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 반원형 홈(27a) 및 제4 반원형 홈(21a)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다른 보온등 고정구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종래의 다른 보온등 고정구 구조를 가장 잘 나타내기 위하여 저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고정체(10)의 수납돌기(10c) 좌측으로 하부 결합체(20)의 수용구(21)를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수용구(21)의 제4 반원형 홈(21a)과 상기 수납돌기(10c)의 제1 반원형 홈(10d)이 수평방향의 전원선 통과공(45)(도 2에 도시)을 이루게 되며, 상기 수용구(21)의 제2 반원형 돌기(27)의 절단면이 상기 상부 고정체(10)의 제1 반원형 돌기(15)의 절단면과 맞닿아 제2 반원형 홈(15a)과 제3 반원형 홈(27a)이 하 부 수직방향의 전원선 통과공(42)(도 2에 도시)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결합체(20)의 제2 좌우 날개편(23, 25)에 각각 형성된 볼트공(23a, 25a)은 상기 상부 고정체(10)의 좌우 반원형 몸체(10a, 10b)에 각각 형성된 볼트공(16a, 16b)과 서로 연통되도록 일치된다.
따라서, 서로 연통된 볼트공 측에 볼트(30)를 관통시킨 후 반대측에서 너트(33)를 체결하여 상부 고정체(10)에 하부 결합체(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물론 이 때에 서로 연통되는 상기 전원선 통과공(42, 45)에는 이미 전원선(3a)(도 4에 도시)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하기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기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다른 보온등 고정구와 공지된 보온등 보호갓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종래의 다른 보온등 고정구 및 보온등 보호갓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종래의 다른 보온등 고정구 및 보온등 보호갓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며, 도 6은 종래의 다른 보온등 고정구 및 보온등 보호갓이 전원차단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먼저, 전원플러그(3b)에 결합된 전원선(3a)이 보온등 고정구의 수평방향의 전원선 통과공(45) 및 서로 연통된 하부 수직방향의 전원선 통과공(42)을 통과시켜 외부로 노출시키며, 노출된 전원선(3a)의 말단은 전구소켓(3)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어서, 상기 전구소켓(3)은 보온등 보호갓(5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51)를 통과시켜 상기 보온등 보호갓(50)의 내측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보온등 고정구를 보온등 보호갓(50)의 돌출된 원형 테두리면(53)의 상단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원형 테두리면(53)의 상단에는 돌기(53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보온등 고정구의 하부 밑면과 상기 원형 테두리면(53) 사이에는 상기 돌기(53a) 만큼의 공간(Gap)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보온등(1)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거나 또는 열을 냉각시키는 수단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온등 보호갓(50)의 돌출된 원형 테두리면(53)의 상단에 안착된 보온등 고정구의 제1 좌우 날개편(12a, 12b)의 슬롯홈(13a, 13b)에는 보온등 보호갓(50)의 양 측벽(55a, 55b)을 삽입시켜 상기 제1 좌우 날개편(12a, 12b)의 밑면들이 상기 측벽(55a, 55b) 양측으로 띠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대(57)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밀착시킨다.
이어 상기 제1 좌우 날개편(12a, 12b)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양 측벽(55a, 55b)에 형성된 고리 삽입공(56a, 56b)에는 행거(7)의 고리(7a, 7b)를 삽입시켜 행거를 결합시킨다.
다음에 상기 전구소켓(3)에 보온등(1)을 결합시킨 후 행거(7)를 축사의 적정위치에 매달아 고정시킨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행거(7)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기출원된 전원차단기(70)에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전원차단기(70)의 구조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출원 제2003-0053308호, 특허출원 제2004-0040272호 및 특허출원 제2004-090806호에서 공지된 바, 이에 대한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보온등 고정구 및 보온등 보호갓의 모든 결합이 완료되고, 행거에 의해 축사의 적정위치에 고정되면, 전원플러그(3b)를 전원공급구에 접속시켜 보온등(1)이 켜지도록 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사용 중 보온등(1)을 보온등 보호갓의 하부로 내려서 사용할 경우에는, 보온등 고정구에 체결된 볼트와 너트를 풀고, 보온등 고정구의 수평방향의 전원선 통과공(45) 및 서로 연통된 하부 수직방향의 전원선 통과공(42)을 통해 하부로 전원선(3a)을 더 늘어 뜨린 후 다시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보온등 고정구를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기 전원선(3a)에 접속된 전구소켓(3)이 보온등 보호갓의 하부로 내려옴에 따라 보온등(1)이 원하는 곳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상기 보온등(1)을 상부로 올려서 사용할 경우에는 위와 반대로 전원선(3a)을 상부로 잡아 당겨 고정시키면 된다.
따라서 보온등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 및 결합관계를 갖는 종래의 다른 보온등 고정구는, 종래의 보온등 고정구에 비하여 중량 및 부피를 감소시킨 효과가 있었으며, 또한 종래에 비해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가진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다른 보온등 고정구는, 반드시 볼트(30)와 너트(33)로 이루어진 체결부재의 분리 및 결합을 통해서 만이 상부 고정체(10) 및 하부 결합체(20)를 서로 분해 또는 체결시킬 수 있음에 따라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온등의 높낮이 조절은 상기한 볼트(30)와 너트(33)로 이루어진 체결부재의 분리 및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반드시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해야만 하는 등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온등을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를 더욱 단순화시킴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그 중량 및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 보온등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라이버 등의 별도 공구 사용없이도 보온등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보온등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보온등 고정구는,
결합부재를 통하여 보온등 보호갓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되, 전원선 관통공을 갖는 하부 결합체 및, 상기 하부 결합체에 나사 방식으로 분해 조립 가능하게 체결되되, 전원선 관통공을 갖는 상부 캡으로 이루어지되, 하부 결합체는 전원선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와, 베이스의 양측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보온등 보 호갓과의 결합을 위한 슬롯홈이 각각 형성된 날개편과, 전원선 관통공의 외측 둘레에서 베이스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그 외측에는 나사산이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결합구로 구성되며, 상부 캡은베이스의 전원선 관통공과 수직선 상에서 일치하는 전원선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내측 둘레에는 원통형 결합구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과 일치하는 다른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부 캡이 베이스 상의 원통형 결합구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그 구조가 더욱 단순해짐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중량 및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고, 조립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드라이버 등의 별도 공구 사용없이도 보온등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온등 고정구는 결합부재인 행거를 통해 공지된 보온등 보호갓과 결합되며, 행거는 축사의 천정이나 벽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거나 또는 전원차단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온등 고정구에 구비되는 상부 캡의 외측면에는 슬립방지용 돌기가 더 형성되어, 나사 방식에 의한 본 발명의 보온등 고정구의 체결 또는 분리 시 작업자의 손에서 상부 캡의 미끌림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보온등 고정구에 구비되는 베이스에 형성된 전원선 관통공 둘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면을 갖는 원형 조임돌기가 상향 돌출되어 더 형성되고, 상부 캡의 전원선 관통공 둘레에는 원형 조임돌기를 수용하는 원형 조임편이 하향 돌출되어 더 형성되되, 원형 조임편의 내측면은 상부가 좁고 하 부가 넓은 피라밋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 시 내부에 위치한 전원선의 조임력을 증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온등 고정구에 구비되는 베이스의 중앙 하단면에는 전원선 관통공을 중심으로 하는 보강 안내돌기가 하향 돌출되어 더 형성됨으로써, 전원선의 안내구로서의 기능을 하는 동시에 베이스의 전원선 관통공을 보강하여 이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등 고정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등 고정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온등 고정구는, 플라스틱이나 아스탈 등의 비교적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져, 보온등 보호갓(50)(도 9에 도시)에 결합되는 하부 결합체(100)와, 상기 하부 결합체(100)에 체결되는 상부 캡(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결합체(100)는, 전원선(3a)(도 9 내지 도 11에 도시)이 관통하는 전원선 관통공(미도시)이 중앙에 형성된 베이스(102)와, 상기 베이스(102)의 양측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도 9에 도시된 보온등 보호갓(50)과의 결합을 위한 슬롯홈(104a)이 각각 형성된 날개편(104)과, 상기 전원선 관통공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102)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그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106a)이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결합구(10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 캡(200)은 원형 캡으로써, 상부면에는 상기 베이스(102)의 전원선 관통공과 수직선 상에서 일치하는 전원선 관통공(202)이 형성되고, 그 내측 둘레에는 상기 원통형 결합구(106)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106a)과 일치하는 나사산(204)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보온등 고정구 및 보온등 보호갓의 결합관계에 대해 하기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등 고정구 및 보온등 보호갓의 분리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특허출원 제2004-107682호(발명의 명칭 : 보온등 고정구 및 보온등 보호갓의 구조)에 보온등 보호갓에 대해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에 대해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온등 보호갓(50)은 그 상단 중앙에 개구부(51)를 갖는 원형 테두리면(53)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형 테두리면(53)의 외측에는 본 발명의 보온등 고정구의 날개편(104)에 형성된 슬롯홈(104a)에 각각 삽입되어 돌출되는 블럭 형상 의 측벽(55a, 55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55a, 55b)에는 행거(7)의 고리(7a, 7b)가 삽입되는 고리 삽입공(56a, 56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온등 보호갓(50)의 상부면 외측 둘레에는 다수의 방열공(5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온등 보호갓(50)의 돌출된 원형 테두리면(53)의 상단에는 본 발명의 보온등 고정구의 하부 밑면 즉, 베이스(102) 하부 밑면과의 이격 공간을 확보하여 보온등(1)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거나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보온등(1)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53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작용효과는 도 9의 화살표로 도시되었는데, 상기 화살표는 보온등 보호갓(50)의 외부로 유출되거나 보온등 보호갓(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또한, 상기 측벽(55a, 55b)의 양측에는 지지대(57)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온등 고정구의 날개편(104)이 행거(7)의 고리(7a, 7b)에 의하여 상기 측벽(55a, 55b)에 고정 결합되었을 때, 상기 날개편(104)을 하부에서 지지하여 상기 날개편(104)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도 8과 도 9 및 아래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보온등 고정구와 상기한 구조의 공지된 보온등 보호갓과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등 고정구 및 보온등 보호갓의 결합 상태를 나 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전원플러그(3b)에 결합된 전원선(3a)을, 보온등 고정구의 상부 캡(200)에 형성된 전원선 관통공(202) 및 하부 결합체(100)의 전원선 관통공(미도시)을 차례로 통과시킨다. 이때 상기 상부 캡(200)과 하부 결합체(100)는 분리된 상태에 있다.
상기와 같이 통과된 전원선(3a)의 말단은 납땜이나 볼트 체결 등에 의하여 전구소켓(3)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한편, 전원선(3a)이 통과하고 있는 상기 상부 캡(200)은 작업자가 손으로 돌려 상기 하부 결합체(100)의 베이스(102)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결합구(106)에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부 캡(200)을 작업자가 손으로 돌려 하부 결합체(100)의 원통형 결합구(106)에 결합시킬 때, 상기 상부 캡(200)이 작업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캡(200)의 외측면에는 슬립방지용 돌기(200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 전원선(3a)의 말단이 접속된 전구소켓(3)은 보온등 보호갓(5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51)를 통과시켜 상기 보온등 보호갓(50)의 내측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온등 고정구를 보온등 보호갓(50)의 돌출된 원형 테두리면(53)의 상단에 안착시킨다.
즉, 상기 하부 결합체(100)의 베이스(102) 하부 밑면을 보온등 보호갓(50)의 돌출된 원형 테두리면(53)의 상단에 안착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형 테두리면(53)의 상단에는 돌기(53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102)의 하부 밑면과 상기 원형 테두리면(53) 사이에는 상기 돌기(53a) 만큼의 공간(Gap)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보온등(1)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거나 또는 열을 냉각시키는 수단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온등 보호갓(50)의 돌출된 원형 테두리면(53)의 상단에 안착된 베이스(102)의 양측 말단에 일체로 형성된 각 날개편(104)의 슬롯홈(104a)에는 보온등 보호갓(50)의 양 측벽(55a, 55b)을 삽입시켜 상기 날개편(104)의 밑면들이 상기 측벽(55a, 55b) 양측으로 띠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대(57)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밀착시킨다.
이어서, 상기 날개편(10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양 측벽(55a, 55b)에 형성된 고리 삽입공(56a, 56b)에는 각각 행거(7)의 고리(7a, 7b)를 삽입시켜 행거를 결합시킨다.
상기한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전구소켓(3)에 보온등(1)을 결합시킨 후 행거(7)를 축사의 천정면이나 벽면 등의 적정위치에 매달아 고정시킨다.
한편,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행거(7)는 와이어 등의 연결수단을 통해 전원차단기(70)에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전원차단기(70)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기출원된 특허출원 제2003-0053308호와 특허출원 제2004-0040272호 및 특허출원 제2004-090806호 뿐만아니라 이미 공지공연 실시되고 있음에 따라 이의 구조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보온등 고정구 및 보온등 보호갓의 모든 결합이 완료되고, 행거 에 의해 축사의 적정위치에 고정되면, 전원플러그(3b)를 전원공급구에 접속시켜 보온등(1)이 켜지도록 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사용 중 보온등(1)만을 보온등 보호갓(50)의 하부로 내려서 사용할 경우에는, 보온등 고정구의 상부 캡(200)을 작업자가 체결과 반대방향으로 돌려 상기 상부 캡(200)을 하부 결합체(100)의 베이스(102)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결합구(106)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어, 상기 상부 캡(200)의 전원선 관통공(202) 밑에서 전원선(3a)을 잡아 당겨 상기 상부 캡(200)의 전원선 관통공(202)을 통해 하부로 전원선(3a)을 더 늘어 뜨리고, 상기 베이스(102)의 전원선 관통공 밑에서 전원선(3a)을 잡아 당겨 상기와 같이 늘어져 있는 전원선(3a)을 팽팽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선(3a)에 접속된 전구소켓(3)이 보온등 보호갓(50)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내려가, 사육하는 가축과 더 근접된 곳에 보온등(1)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보온등(1)이 내려와 원하는 곳에 위치하게 되면, 분리되어 있는 상부 캡(200)을 돌려 상기 베이스(102) 상단의 원통형 결합구(106)에 체결시켜 둔다.
상기에서 상부 캡(200)을 원통형 결합구(106)로부터 분리시킨 후 전원선(3a)을 잡아 당겨 늘어 뜨리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 캡(200)의 전원선 관통공(202) 및 베이스(102)의 전원선 관통공 직경은 동일하되, 그 직경은 전원선(3a)의 직경 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전원선(3a)이 상부 캡(200)의 전원선 관통공(202) 및 베이스(102)의 전원선 관통공 내에서 꽉 조여 물려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부 캡(200)과 원통형 결합구(106)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전원선(3a)을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와 같이 2군데에서의 조임력에 의하여 상기 전원선(3a)이 쉽게 당겨져 내려 오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상부 캡(200)을 원통형 결합구(106)로부터 분리시킨 후 전원선(3a)을 잡아 당겨 늘어 뜨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사육하는 가축이 성장함에 따라 상기 보온등(1)을 상부로 올려서 사용할 경우에는, 상부 캡(200)을 원통형 결합구(106)로부터 분리시킨 후 전원선(3a)을 상부로 잡아 당긴 후 다시 상부 캡(200)을 원통형 결합구(106)에 체결하여 결합시키면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드라이버 등의 별도 공구 없이도 보온등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반복적으로 전원선(3a)을 잡아 당겨 보온등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면, 상기 전원선(3a)의 외부 피복이 닳아 상부 캡(200)의 전원선 관통공(202) 및 베이스(102)의 전원선 관통공에서의 조임력이 상실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전원선(3a)이 적은 힘으로도 상부 캡(200) 및 베이스(102)의 전원선 관통공을 쉽게 통과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결합체(100)의 베이스(102) 중앙에 형성된 전원선의 관통공 둘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면을 갖는 원형 조임돌기(108)가 상향 돌출되어 더 형성되고, 상부 캡(200)의 전원선 관통공(202) 둘레에 는 상기 원형 조임돌기(108)를 수용하는 원형 조임편(208)이 하향 돌출되어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형 조임편(208)의 내측면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상협하광(上狹下廣)의 피라밋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원선(3a)이 상기 상부 캡(200)의 전원선 관통공(202) 및 원형 조임편(208)을 통과하고, 상기 베이스(102)의 원형 조임돌기(108) 및 전원선 관통공을 통과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캡(200)을 베이스(102) 상의 원통형 결합구(106)에 체결하여 결합시키면, 상기 상부 캡(200)의 원형 조임편(208) 내에 상기 베이스(102)의 원형 조임돌기(108)가 수용된다. 이때 상기 원형 조임편(208)의 내측면은 상협하광의 피라밋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면을 갖는 원형 조임돌기(108)가 상기 원형 조임편(208)의 내측면으로 모아져, 내부의 전원선(3a)을 견고히 물게 된다.
반복적으로 전원선(3a)을 잡아 당겨 보온등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원선(3a)의 외부 피복이 많이 닳아도,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상부 캡(200)의 전원선 관통공(202) 및 베이스(102)의 전원선 관통공에서의 전원선(3a) 조임력 상실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전원선(3a)이 상부 캡(200) 및 베이스(102)의 전원선 관통공을 쉽게 통과하는 문제점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102)의 중앙 하단면에는 전원선 관통공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보강 안내돌기(109)가 하향 돌출되어, 전원선(3a)의 안내구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이에 더하여 상기 베이스(102)의 전원선 관통공을 보강하여 이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첨부 도면 중 도 11은 본 발명의 고정구의 구조에서 전원선의 물림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등 고정구가 전원차단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는 보온등을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더욱 단순해짐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그 중량 및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는 드라이버 등의 별도 공구 사용없이도 보온등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에 의하여 전원선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7)
- 전원선 관통공이 형성되고, 결합부재를 통하여 보온등 보호갓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결합체 및;상기 하부 결합체의 전원선 관통공과 동일한 전원선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결합체에 나사 방식으로 분해 조립 가능하게 체결되는 상부 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체는, 전원선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 말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보온등 보호갓과의 결합을 위한 슬롯홈이 각각 형성된 날개편과, 상기 전원선 관통공의 외측 둘레에서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그 외측에는 나사산이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결합구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캡은 상기 베이스의 전원선 관통공과 수직선 상에서 일치하는 전원선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내측 둘레에는 상기 원통형 결합구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과 일치하는 다른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캡이 상기 베이스 상의 원통형 결합구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축사의 임의 위치에 고정되는 행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의 외측면에는 슬립방지용 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전원선 관통공 둘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면을 갖는 원형 조임돌기가 상향 돌출되어 더 형성되고, 상기 상부 캡의 전원선 관통공 둘레에는 상기 원형 조임돌기를 수용하는 원형 조임편이 하향 돌출되어 더 형성되되, 상기 원형 조임편의 내측면은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피라밋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 시 내부에 위치한 전원선의 조임력을 증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연결수단을 통해 전원차단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중앙 하단면에는 전원선 관통공을 중심으로 하는 보강 안내돌기가 하향 돌출되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8223A KR20060129589A (ko) | 2005-06-07 | 2005-06-07 |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8223A KR20060129589A (ko) | 2005-06-07 | 2005-06-07 |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29589A true KR20060129589A (ko) | 2006-12-18 |
Family
ID=37810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48223A KR20060129589A (ko) | 2005-06-07 | 2005-06-07 |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129589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5913B1 (ko) * | 2010-01-28 | 2012-01-17 | 이창현 | 보온등 |
KR101115188B1 (ko) * | 2011-06-16 | 2012-02-24 | 백송희 | 축사 천장용 발열등 |
KR102564596B1 (ko) * | 2022-12-12 | 2023-08-07 | 이수암 | 교체 가능한 전등갓 |
-
2005
- 2005-06-07 KR KR1020050048223A patent/KR20060129589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5913B1 (ko) * | 2010-01-28 | 2012-01-17 | 이창현 | 보온등 |
KR101115188B1 (ko) * | 2011-06-16 | 2012-02-24 | 백송희 | 축사 천장용 발열등 |
KR102564596B1 (ko) * | 2022-12-12 | 2023-08-07 | 이수암 | 교체 가능한 전등갓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03581B2 (en) | Rotating light emitting diode driver mount | |
CA2621765A1 (en) | Light with heater | |
KR20060129589A (ko) |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 | |
US20110192470A1 (en) | Safety device for ventilating heat emitting light fittings ancillary equipment and wiring | |
KR101105913B1 (ko) | 보온등 | |
KR101856650B1 (ko) | 동물용 보온등 | |
KR101074269B1 (ko) |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 | |
KR200430029Y1 (ko) | 보온기능을 갖는 축사용 보호갓 | |
US6234653B1 (en) | Brooder lamp fixture with power cord suspended enclosure | |
KR102265147B1 (ko) | 다수의 열전구를 갖는 전열장치 | |
KR20060068808A (ko) | 보온등 고정구 및 보온등 보호갓의 구조 | |
KR200364142Y1 (ko) | 보온등 연결용 와이어의 길이 조정구 | |
US10736181B2 (en) | Basking heater and methods | |
US20140001171A1 (en) | Heater for reptile breeding | |
KR20120091517A (ko) | 식물재배용 원적외선 램프 | |
KR100668720B1 (ko) | 보온등용 전원 차단기 | |
KR200325266Y1 (ko) | 축사용 보온등의 체결구조 | |
KR102595810B1 (ko) | 수직반사판을 이용하여 바닥 가열 구역을 제한하는 가축 사육용 원형 보온등 | |
WO2017095318A1 (en) | Safety device of a lamp including cooling means | |
KR101321905B1 (ko) | 보온기 | |
KR200461005Y1 (ko) | 시설물용 방열파이프 어셈블리 | |
KR102524719B1 (ko) | 사각형태로 바닥을 가열하기 위한 가축 사육용 원형 보온등 | |
KR102023922B1 (ko) | 가축 사육용 전열기기 | |
KR101927210B1 (ko) | 동물 부화 및 사육용 전열기구 | |
KR100663922B1 (ko) | 보온등용 전원 차단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