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269B1 -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 - Google Patents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269B1
KR101074269B1 KR1020100057405A KR20100057405A KR101074269B1 KR 101074269 B1 KR101074269 B1 KR 101074269B1 KR 1020100057405 A KR1020100057405 A KR 1020100057405A KR 20100057405 A KR20100057405 A KR 20100057405A KR 101074269 B1 KR101074269 B1 KR 101074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lamp
conductive terminal
power circui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7139A (ko
Inventor
김기주
Original Assignee
김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주 filed Critical 김기주
Priority to KR1020100057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269B1/ko
Publication of KR20100077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02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disturbed, dismounted, or brok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8Suspending from a cable or suspension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6Adjustable mountings using wires or cords
    • F21V21/20Adjustable mountings using wires or cords operated by we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에 관한 것으로, 전원차단기(400) 및 보온등(100)이 전등갓(2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등갓(200) 상부에 연결된 와이어1(511)에 의해 공중에 메달리게 되는 축사용 보온등(100)에 있어서, 상기 전등갓(200) 내부 상면에는 와이어2(512)의 일단이 연결되고, 와이어2(512)의 타단은 전원차단기(400) 내부에 설치된 힌지(410)에 연결되며, +, -극 두 가닥의 전원공급케이블(300)이 상기 전원차단기 내부로 인입된 후 인출되어, 전원차단기(400)의 하부에 부착되는 보온등(100)에 연결됨으로써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 -극 전원공급케이블(300) 중 어느 하나는 전도성 단자1(421)과 전도성 단자2(422)에 의해 단락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도성 단자1(421)은 고정되어 있되 상기 전도성 단자2(422)는 힌지(410)에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힌지(410)의 동작에 의해 전도성 단자1(421)과 접촉되거나 단락됨으로써, 상기 보온등(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은 가축에 의해 잡아 당겨지거나 축사 측벽의 고정못이 노후되어 빠지거나 하여 지면으로 낙하되어 파손될 때 보온등의 전원을 자동으로 OFF시킴으로 화재나 가축이 감전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지렛대 원리를 활용하여 구성이 보다 단순해지고 설치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THE EQUIPMENT CIRCUT BREAKER FOR KEEPING WARM LAMP}
본 발명은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축에 의해 잡아 당겨지거나 축사 측벽의 고정못이 노후되어 빠지거나 하여 지면으로 낙하되어 파손될 때 기구적인 구성에 의하여 상기 보온등의 전원을 자동으로 OFF시킴으로 화재나 가축이 감전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인 공개번호 2010-0007840, 등록번호 10-0668720, 공개번호 2006-0041558, 공개번호 2005-0017411, 공개번호 2010-0007840, 공개번호 2010-0044147에 기재되어있길, 통상적으로, 축사(돈사, 우사, 계사 등)에서는 어린 가축(주로 갓 태어난 돼지 또는 새끼 돼지나 소 또는 병아리 등)의 보온 및 성장발육 촉진을 위하여 다수의 보온등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보온등으로는, 보온을 위한 열공급기의 역할 뿐만 아니라 조명장치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는 다중위 효과를 가진 할로겐 램프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비용적인 문제로 인하여 백열등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기능들로 인하여 축사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할로겐 램프나 백열등에 있어서, 상기 보온등의 불빛이 어린 가축들에게 효율적으로 조사되어 어린 가축들의 성장발육을 더욱 촉진시키기 위한 사유와 또한 상기 보온등의 보호를 위한 사유로 인하여, 상기 보온등의 상부에는 보호갓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보온등은 겨울철에 효율적인 측면을 위하여 최대한 가축과 근접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보온등은 축사의 바닥면으로부터 비교적 낮은 높이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어린 가축의 성장속도가 매우 빠름에 따라 와이어의 길이 조절에 의하여 상기 보온등의 높이 또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축사의 바닥면으로부터 낮은 위치에 함께 설치된 보온등 및 보호갓을, 축사 내의 어린 가축들이 호기심 또는 장난으로 물어뜯거나 잡아당겨, 상기한 보온등을 파손시키는 문제를 유발시켰으며, 한편으로는 상기 보온등을 고정시키고 있던 고정구의 노후로 인한 부식 등에 의하여 상기 보온등이 떨어져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보온등의 파손시에는 전원선의 단락 또는 이로 인한 스파크 또는 누전이 발생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축사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가축이 감전사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어린 가축의 성장속도가 매우 빠름에 따라 작업자에 의한 와이어의 길이 조절에 의하여 상기 보온등의 높이를 계속적으로 조정하여 더 높게 상기 보온등을 설치해 두어야 하지만, 작업자가 이를 깜박 잊거나 또는 많은 수의 보온등을 일일이 처리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높이조정처리를 하지 않음에 따라 축사 화재 발생이나 가축의 감전사와 같은 문제가 번번하게 반복하여 발생되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온등을 가축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고공(高空)에 항상 설치해 두게 된다면, 상기 보온등이 가진 열전달 효과 등을 효율성 있게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들은 대부분이 스프링과 마이크로 스위치를 사용하여 ON, OFF를 제어 하였고 이것으로 자동으로 스위치를 ON시켜 화재나 감전과 같은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목적을 충족하지 못하는 결과를 발생하였고,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기 위하여 선행된 장치들은 고가이며, 간단한 고장 수리 시에도 전원 차단기 자체가 교체하는 것에 있어서 이로 인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축에 의해 잡아 당겨지거나 축사 측벽의 고정못이 노후되어 빠지거나 하여 지면으로 낙하되어 파손될 때 보온등의 전원을 자동으로 OFF시킴으로 화재나 가축이 감전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지렛대 원리를 활용하여 구성이 보다 단순해지고 설치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에 관한 것으로, 전원차단기(400) 및 보온등(100)이 전등갓(2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등갓(200) 상부에 연결된 와이어1(511)에 의해 공중에 메달리게 되는 축사용 보온등(100)에 있어서, 상기 전등갓(200) 내부 상면에는 와이어2(512)의 일단이 연결되고, 와이어2(512)의 타단은 전원차단기(400) 내부에 설치된 힌지(410)에 연결되며, +, -극 두 가닥의 전원공급케이블(300)이 상기 전원차단기 내부로 인입된 후 인출되어, 전원차단기(400)의 하부에 부착되는 보온등(100)에 연결됨으로써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 -극 전원공급케이블(300) 중 어느 하나는 전도성 단자1(421)과 전도성 단자2(422)에 의해 단락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도성 단자1(421)은 고정되어 있되 상기 전도성 단자2(422)는 힌지(410)에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힌지(410)의 동작에 의해 전도성 단자1(421)과 접촉되거나 단락됨으로써, 상기 보온등(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은 가축에 의해 잡아 당겨지거나 축사 측벽의 고정못이 노후되어 빠지거나 하여 지면으로 낙하되어 파손될 때 보온등의 전원을 자동으로 OFF시킴으로 화재나 가축이 감전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지렛대 원리를 활용하여 구성이 보다 단순해지고 설치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축사용 보온등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에 전원차단기가 보온등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결합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축사용 보온등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에 전원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에 전원차단기가 보온등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에 전원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은 본 발명의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에 제 2실시례의 전원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본 발명은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에 관한 것으로, 전원차단기(400) 및 보온등(100)이 전등갓(2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등갓(200) 상부에 연결된 와이어1(511)에 의해 공중에 메달리게 되는 축사용 보온등(100)에 있어서, 상기 전등갓(200) 내부 상면에는 와이어2(512)의 일단이 연결되고, 와이어2(512)의 타단은 전원차단기(400) 내부에 설치된 힌지(410)에 연결되며, +, -극 두 가닥의 전원공급케이블(300)이 상기 전원차단기 내부로 인입된 후 인출되어, 전원차단기(400)의 하부에 부착되는 보온등(100)에 연결됨으로써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 -극 전원공급케이블(300) 중 어느 하나는 전도성 단자1(421)과 전도성 단자2(422)에 의해 단락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도성 단자1(421)은 고정되어 있되 상기 전도성 단자2(422)는 힌지(410)에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힌지(410)의 동작에 의해 전도성 단자1(421)과 접촉되거나 단락됨으로써, 상기 보온등(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등갓(200) 상부에는 하변에 관통공1(520)이 형성된 ‘
Figure 112010038884242-pat00001
Figure 112010038884242-pat00002
’형상의 전등걸이구(500)가 형성되어, 상기 전등걸이구(500)에 와이어1(511)의 일단이 결합하며, 상기 전등걸이구(500)의 하변은 전등갓(200) 내부 상면에 설치하게 되어, 와이어2(512)의 일단이 결합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와이어2(512)의 타단이 힌지(410)에 형성된 관통공2(411)에 결합되고, 전도성 단자2(422)는 힌지(410)의 일단에 고정되되, 상기 전도성 단자1(421)과 대응되게 설치되고, 힌지(410)의 타단은 고정부(412)가 형성되어 전원차단기(400) 하우징 내부벽면에 고정부(412)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전도성 단자1(421)은 전원차단기(400) 하우징 내부벽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도성 단자2(422)가 부착되는 힌지(410)의 반대편인 힌지(410) 하부에는 무게추(431)가 부착되며, 무게추(431)의 하부방향으로 전원차단기(400) 하우징 내부벽면에는 상기 무게추(431)와 대응되게 자석(432)이 부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축사용 보온등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에 전원차단기가 보온등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결합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축사용 보온등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에 전원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에 전원차단기가 보온등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에 전원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은 본 발명의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에 제 2실시례의 전원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다.
본 발명의 도 3, 도 4에 도시된 실시례의 보온등은, 상기 전원차단기은 전등갓 내부에 설치되되, 전원차단기 상부에는 전등걸이구가 와이어1과 와이어2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차단기 하우징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케이블로 되어 있고, 전원차단기 하부에는 보온등이 결합되며, 전원차단기 하우징 내부 가운데 부분에는 힌지가 있는데 이 힌지의 끝부분의 위쪽 부분에는 전도성 단자1이 그리고 아래 부분에는 자석에 잘 붙을 수 있는 성질을 가진 무게추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힌지와 와이어2와 연결되어 있는데 보온등 및 전원차단기의 자체 무게에 의하여 전원차단기가 하부로의 하중을 받게 되므로, 전원차단기 하우징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전도성 단자1과 힌지 끝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전도성 단자2가 접촉하게 되어, 평상시에는 보온등에 전원이 ON되어 있다가 전등걸이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1또는 와이어2가 끊어지거나 하면 보온등 및 전원차단기의 자체 무게에 의하여 전원차단기가 하부로의 하중을 받게 되는 것이 없어지고 그래서 힌지 끝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무게추의 무게와 전원차단기 하우징 내부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자석에 의해서 힌지 끝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전도성 단자1과 전도성 단자2의 접촉하는 것이 떨어지면서 전원이 OFF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등이다.
전원 차단기 내부의 상단 좌측에는 전도성 단자1이 형성 되어 있고, 전도성 단자1의 모양은 ‘
Figure 112010038884242-pat00003
’ 형성 되어 있으며, 전도성 단자1에는 +전원입력케이블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전원 차단기 가운데 부분에는 힌지(중간에 철심이 길게 붙어있는 지렛대형식)가 있으며, 상기 힌지의 중심부 보다 조금 옆에는 힌지를 지렛대형식처럼 움직이면서 고정 할 수 있는 고정부가 있고, 상기 힌지 끝부분에는 전도성 단자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도성 단자2의 모양은 ‘
Figure 112010038884242-pat00004
’ 형성 되어 있고, 상기 힌지 끝부분의 아래 부분에는 자석에 잘 붙을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무게추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원차단기 하우징 내부 아래쪽에는 무게추와 붙을 수 있는 자석이 형성되어 있고, 전도성 단자1에는 +전원출력케이블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에 연결되어 있는 전도성 단자2 바로 옆에는 와이어2가 연결할 수 있는 관통공2가 형성되어 있고, 전도성 단자1과 전도성 단자2는 전류가 잘 통하는 철이나 구리등으로 형성되어있다. 여기서 전도성 단자1과 전도성 단자2에는 -전원입력케이블 미 -전원출력케이블과 연결할 수도 있다.(도 4참조)
전등골이구의 상단에는 와이어1이 하단에는 와이어2가 연결되어 있으며, 와이어1은 보온등과 전등갓을 연결하여 지탱하기 위해서 와이어2보다 더 굵은 와이어야 하며 와이어2는 와이어1보다 얇은 와이어로 되어있고, 전등골이구의 모양은 ‘
Figure 112010038884242-pat00005
’ 로 형성되어 있으며, 아래의 가운데 부분에는 와이어2가 묶을 수 있는 관통공1이 형성된다.
보온등이 천정에 설치될 경우에 중력에 의하여 전등갓은 지면을 향하고 보온등 및 전원차단기의 자체 무게에 의하여 전원차단기가 하부로의 하중을 받게 되므로, 와이어2가 한지의 전도성 단자2가 있는 부분을 끌어 올리게 되어서 전원차단기 하우징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전도성 단자1와 전도성 단자2가 접촉하게 되어, 전도성 단자1에 +전원입력케이블을 통해서 유입된 전류를 전도성 단자2를 통해 +전원출력케이블로 공급되며 -전원케이블과 회로가 구성되어 전등갓의 전원이 ON되게 된다.
반면 상기 전등걸이구에 연결 되어 있는 와이어1또는 와이어2가 가축들이 잡아당기는 힘을 이지기 못해서 풀어지거나 혹은 끊어지거나, 고정못이 노후되어 빠지거나 할 때 와이어가 전원차단기 하우징 내부에 있는 힌지를 끌어당기지 못하고 힌지의 아래쪽에 있는 무게추 자체의 힘과 자석과 무게추가 붙는 힘 그리고 지렛대 원리를 이용해 전도성 단자1과 전도성 단자2가 떨어지게 되며 그러므로 +전원입력케이블을 통해서 유입된 전류를 +전원출력케이블과 단락되어 보온등의 전원은 OFF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에 제 2실시례가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도 5의 구성은 전원차단기 및 보온등이 전등갓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등갓 상부에 연결된 와이어1에 의해 공중에 메달리게 되는 있으며, 상기 전등갓 내부 상면에는 와이어2의 일단이 연결되고, 와이어2의 타단은 전원차단기 내부에 설치된 연결단자에 있는 관통공2에 연결되는데 연결단자의 위치는 전원차단기 내부 센터에 위치되어 있으며, 관통공2는 연결단자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고 연결단자 아래 부분에는 무게추가 설치되어져 있으며, +, -극 두 가닥의 전원공급케이블이 상기 전원차단기 내부로 인입되어 +전원입력케이블은 전도성 단자1에 연결되고 +전원출력케이블은 전도성 단자2에 연결 되는데 전도성 단자1과 전도성 단자2는 상기 전원차단기 내부에 각각 양쪽으로 전도성 단자1, 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원케이블과 +전원출력케이블이 전원차단기 내부에서 인출되어, 전원차단기의 하부에 부착되는 보온등에 연결됨으로써 전원을 공급된다.
여기서 보온등이 천정에 설치될 경우에 중력에 의하여 전등갓은 지면을 향하고 보온등 및 전원차단기의 자체 무게에 의하여 전원차단기가 하부로의 하중을 받데 되므로, 와이어1, 2가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서 상기 연결단자는 전도성 단자1과 전도성 단자2와 접촉하게 되어 전도성 단자1에 +전원입력케이블을 통해서 유입된 전류를 전도성 단자2를 통해 +전원출력케이블로 공급되며 -전원케이블과 회로가 구성되어 보온등의 전원이 ON된다.
반면 가축들이 잡아당기는 힘을 이기지 못해서 풀어지거나 혹은 끊어지거나, 고정못이 노후되어 빠지거나 할 때 와이어가 전원차단기 하우징 내부에 있는 상기 연결단자를 끌어당기지 못하고 연결단자의 아래쪽에 있는 무게추 자체의 힘에 의해서 낙하하게 되어 전도성 단자1와 전도성 단자2가 연결단자와 떨어지게 되며 그러므로 +전원입력케이블을 통해서 유입된 전류를 +전원출력케이블과 단락되어 보온등의 전원은 OFF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은 가축에 의해 잡아 당겨지거나 축사 측벽의 고정못이 노후되어 빠지거나 하여 지면으로 낙하되어 파손될 때 보온등의 전원을 자동으로 OFF시킴으로 화재나 가축이 감전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구성이 보다 단순해지고 설치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100 : 보온등 200 : 전등갓
300 : 전원공급케이블 310 : +전원입력케이블
320 : +전원출력케이블 330 : -전원케이블
400 : 전원차단기 410 : 힌지
411 : 관통공2 412 : 고정부
421 : 전도성 단자1 422 : 전도성 단자2
431 : 무게추 432 : 자석
500 : 전동걸이구 511 : 와이어1
512 : 와이어2 520 : 관통공1
600 : 연결단자

Claims (6)

  1. 전원차단기(400) 및 보온등(100)이 전등갓(2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등갓(200) 상부에 연결된 와이어1(511)에 의해 공중에 메달리게 되는 축사용 보온등(100)에 있어서, 상기 전등갓(200) 내부 상면에는 와이어2(512)의 일단이 연결되고, 와이어2(512)의 타단은 전원차단기(400) 내부에 설치된 힌지(410)에 연결되며, +, -극 두 가닥의 전원공급케이블(300)이 상기 전원차단기 내부로 인입된 후 인출되어, 전원차단기(400)의 하부에 부착되는 보온등(100)에 연결됨으로써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 -극 전원공급케이블(300) 중 어느 하나는 전도성 단자1(421)과 전도성 단자2(422)에 의해 단락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도성 단자1(421)은 고정되어 있되 상기 전도성 단자2(422)는 힌지(410)에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힌지(410)의 동작에 의해 전도성 단자1(421)과 접촉되거나 단락됨으로써, 상기 보온등(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2(512)의 타단이 힌지(410)에 형성된 관통공2(411)에 결합되고, 전도성 단자2(422)는 힌지(410)의 일단에 고정되되, 상기 전도성 단자1(421)과 대응되게 설치되고, 힌지(410)의 타단은 고정부(412)가 형성되어 전원차단기(400) 하우징 내부벽면에 고정부(412)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전도성 단자1(421)은 전원차단기(400) 하우징 내부벽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등갓(200) 상부에는 하변에 관통공1(520)이 형성된 ‘
    Figure 112010038884242-pat00006
    ’형상의 전등걸이구(500)가 형성되어, 상기 전등걸이구(500)에 와이어1(511)의 일단이 결합하며, 상기 전등걸이구(500)의 하변은 전등갓(200) 내부 상면에 설치하게 되어, 와이어2(512)의 일단이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단자2(422)가 부착되는 힌지(410)의 반대편인 힌지(410) 하부에는 무게추(431)가 부착되며, 무게추(431)의 하부방향으로 전원차단기(400) 하우징 내부벽면에는 상기 무게추(431)와 대응되게 자석(432)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
  5. 전원차단기(400) 및 보온등(100)이 전등갓(2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등갓(200) 상부에 연결된 와이어1(511)에 의해 공중에 메달리게 되는 축사용 보온등(100)에 있어서, 상기 전등갓(200) 내부 상면에는 와이어2(512)의 일단이 연결되고, 와이어2(512)의 타단은 전원차단기(400) 내부에 설치된 연결단자에 연결되며, +, -극 두 가닥의 전원공급케이블(300)이 상기 전원차단기 내부로 인입된 후 인출되어, 전원차단기(400)의 하부에 부착되는 보온등(100)에 연결됨으로써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 -극 전원공급케이블(300) 중 어느 하나는 전도성 단자1(421)과 전도성 단자2(422)에 의해 단락되게 구성되며, 상기 전도성 단자1(421), 단자2(422)는 연결단자에 의해 온오프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단자에는 무게추가 설치되어, 전등걸이구(500)에 연결된 와이어1(511) 또는 연결단자에 연결된 와이어2(512)가 끊어지면, 연결단자가 무게에 의해 낙하하게 되어 전도성 단자1(421), 단자2(422)가 단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
  6. 삭제
KR1020100057405A 2010-06-17 2010-06-17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 KR101074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405A KR101074269B1 (ko) 2010-06-17 2010-06-17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405A KR101074269B1 (ko) 2010-06-17 2010-06-17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139A KR20100077139A (ko) 2010-07-07
KR101074269B1 true KR101074269B1 (ko) 2011-10-17

Family

ID=42638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405A KR101074269B1 (ko) 2010-06-17 2010-06-17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2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927A (ko) 2020-08-13 2022-02-23 채영경 축사 화재 초기 진압용 살수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211B1 (ko) * 2015-06-25 2016-07-04 김규열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led 보온등
KR200489364Y1 (ko) * 2017-12-26 2019-06-07 권혜경 안전장치를 갖춘 카바이트통이 분리 형성된 폭음기
KR20200062489A (ko) 2018-11-27 2020-06-04 이규호 축사용 보온등 걸이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927A (ko) 2020-08-13 2022-02-23 채영경 축사 화재 초기 진압용 살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139A (ko) 201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269B1 (ko)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
CN104520636A (zh) 具有以太网供电的供电装置的照明设备
CN105470867A (zh) 一种基于无人机的自动登杆方法及其装置
CN205489259U (zh) 一种基于无人机的自动登杆装置
US6725805B1 (en) Pet shelter/incubator
CN112713537B (zh) 一种智能三防配电柜
KR200430029Y1 (ko) 보온기능을 갖는 축사용 보호갓
US2830556A (en) Electric animal restraining device
KR101147488B1 (ko)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보온등
CN205811650U (zh) 一种eps应急电源箱
KR100668720B1 (ko) 보온등용 전원 차단기
CN209626141U (zh) 遇火自动断电装置
KR101120318B1 (ko) 축사용 보온등 전원차단기가 설치된 축사용 보온등.
KR20060129589A (ko) 보온등 고정구의 구조
CN209262979U (zh) 一种led驱动电源保护装置
CN209029949U (zh) 一种手电筒智能充电柜
TWM443949U (en) Built-in power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controlled power socket
CN208015204U (zh) 一种可控通风降温型箱式变电站
KR101838438B1 (ko) Led 조형 플라워
KR101175012B1 (ko) 실외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육추기
CN205655153U (zh) 一种具有无线充电功能的台灯
CN219959871U (zh) 一种智能监控节能配电柜
CN203152322U (zh) 一种太阳能诱虫灭虫灯
CN207219950U (zh) 一种薰衣草除虫装置
CN217273687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家居落地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