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8403A - 애엽추출물 함유 필름코팅정제 - Google Patents

애엽추출물 함유 필름코팅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8403A
KR20060128403A KR1020050049830A KR20050049830A KR20060128403A KR 20060128403 A KR20060128403 A KR 20060128403A KR 1020050049830 A KR1020050049830 A KR 1020050049830A KR 20050049830 A KR20050049830 A KR 20050049830A KR 20060128403 A KR20060128403 A KR 20060128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tablet
ethanol
leaf
leaf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9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5203B1 (ko
Inventor
김범수
진성규
한혜은
권종원
유무희
김정훈
Original Assignee
동아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9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203B1/ko
Publication of KR20060128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2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95Tabletting processes; Dosage units made by direct compression of powders or specially processed granules, by eliminating solvents, by melt-extrusion, by injection molding, by 3D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 애엽추출물을 함유하며 질량편차를 줄일 수 있고 생약 특유의 냄새를 차단할 수 있는 약학적 투여형태, 보다 구체적으로 정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난용성 약물인 애엽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 제형이 위장관 내에서 우수한 용출율을 갖는 제제를 제공하므로써 생체내에 신속하게 흡수시킬 수 있어 생체 이용률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생약 특유의 냄새를 차단할 수 있는 정제 제형을 제공한 것으로서 환자 복용시에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복용할 수 있다.
애엽, 폴록사머, 규산칼슘, 미결정셀루로오스, 필름코팅, 정제

Description

애엽추출물 함유 필름코팅정제{Film coated tablet comprising ARTEMISIA EXTRACT}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 애엽추출물을 함유하며 질량편차를 줄일 수 있고 생약 특유의 냄새를 차단할 수 있는 약학적 투여형태, 보다 구체적으로 정제에 관한 것이다.
애엽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그 추출물은 혈액응고시간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약학회지 28(2): 69-77, 1984), 또한 애엽에서 추출된 플라본(flavone)은 항암활성(Chem. Pharm. Bull. 32(2): 723; 1984), 혈소판응집 억제작용(Zhongguo Zhongyao Zazhi, 17(6): 353, 1992), 항진균활성(J. of Chemical Ecology, 19(11), 1993)을 가지며, 항보체작용을 하여 숙주의 방어체계를 도와 알러지 및 염증 치료에 효과가 있고(Chem. Pharm. Bull. 33(5): 2028-2034, 1985), 혈압강하작용과 진정작용(Indian J. Med. Res. 60, 1972)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 외에도 애엽에서 추출된 유파틸린 (eupatilin)은 항종양제(WO 8803805), 건선치료제(WO 8803800), 알러지치료제(JP 84155314) 및 아구창(aphthous ulcer)치료제(CA 2065496 AA) 등의 용도가 공지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4-00147호에 애엽에서 추출된 유파틸린의 위장질환 치료에 관한 의약적 용도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4-39337호에는 애엽에서 분리된 자세오시딘(jaceosidin)의 위장질환 치료제로서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6-28230호에는 유파틸린과 자세오시딘을 함유한 애엽추출물이 염증성 장질환에도 효과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41628호에는 애엽추출물의 유효성분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유해성분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위장관 질환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가 유해성분을 제거하지 않은 기존의 애엽추출물보다 월등히 우수한 애엽 추출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애엽 추출물 제제는 난용성 약물로 알려져 있어 위장관 질환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서방형 제제와 함께 병용 투여하는 속효성 제제가 요구되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23663호에는 애엽 추출물과 담체로서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여 제조된 고체분산체를 포함하는 애엽추출물의 속효성 경구용 제제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23664호에는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한 애엽추출물, 오일, 계면활성제 및 공용매가 1:0.5~50:0.1∼50:0.1∼50 중량비로 구성되는 애엽추출물의 속효성 에멀젼 농축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종래 애엽 추출물을 포함한 생약추출물 제제는 경구 투여용 제제로 개발되었으나, 생약제제들은 분말화 하더라도 생약추출물 자체의 흡습성이 강하고 원료의 밀도, 유동성, 부착 응집력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캡슐 충진시에는 많은 편차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어 미세과립으로 제조하여 캡슐에 충진하거나 활택제를 과량 사용하여 캡슐제형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으나, 한 번에 충전되지 않고 여러법 반복하여 충전하는 공정상의 불편함이 있으며, 더구나, 생약제제의 특성상 완제품에서 생약 특유의 냄새가 나는 경우가 많아 복용 환자들에서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애엽추출물 함유제제는 제제에 포함되는 보조제의 종류, 제제화 공정에 필요한 환경요인(예; 습식과립 제조법 등) 또는 보관 환경요인(예; 수분, 온도 등), 제조공정에 따른 기계적 응력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약리활성물질이 약제학적 투여형태에서 쉽게 분해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생약제제, 특히 애엽추출물을 함유하는 경구투여용 제제를 제조하더라도 흡습성, 원료의 밀도, 유동성, 부착 응집력 등에 의한 제제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약학적 투여형태를 연구한 끝에 질량편차를 줄일 수 있고 생약 특유의 냄새를 차단할 수 있는 정제 제형을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애엽추출물을 함유하는 경구투여용 제제에서 질량편차를 줄일 수 있고 생약 특유의 냄새를 차단할 수 있는 정제 제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 다.
또한 본 발명은 난용성 약물인 애엽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 제형이 위장관 내에서 우수한 용출율을 갖는 제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애엽추출물, 규산칼슘, 미결정셀룰로오스, 폴록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하기에 기재하는 코팅제로 코팅된 애엽추출물의 정제제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난용성 약물인 애엽추출물을 위장관 내에서 가용화 할 수 있는 정제제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인 애엽(Artermisia asiatica Nakai)추출물을 활성물질로 함유한다. 애엽추출물은 애엽추출물 1g 당 유파틸린(C18H16O7 :분자량 344.31) 0.8~2.40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약재 애엽은 저급알콜 특히,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며, 95%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애엽추출물은 애엽을 95%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하여 교반추출, 냉침, 여과한 후 78℃ 이하에서 감압농축하여 연조엑스로 제조한다.
본 발명은 특이하게도 애엽추출물과 폴록사머를 에탄올에 용해시켜 애엽 애탄올용액을 제조한 후 다른 부형제 성분과 혼합하여 정제제형으로 제조하면 난용성 약물인 애엽추출물의 위장관 내에서의 용출율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애엽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제형은 에탄올에 폴록사머와 애엽추출물을 용해시킨 애엽에탄올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애엽 95% 에탄올 연조엑스 1 중량부에 대하여 폴록사머 0.05~1중량부를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0.08 중량부 함량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약제제인 애엽추출물을 정제제형으로 타정시 질량편차를 줄일 수 있는 정제제형에 관한 것이다.
활성성분인 애엽추출물은 흡습성이 강하고 온도에 불안정한 물질이어서 정제, 캡슐제 등의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조되는 제제는 질량편차(weight variation)를 최대한 낮게 하여야 하므로 약물의 조성은 뛰어난 흐름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약물 조성의 흐름성 판단 척도에는 여러 가지 평가 방법이 있으나 가장 최근 도입되고 있는 개념은 회전드럼(rotating drum) 내에서 혼합물을 회전시켜 그 혼합물의 운동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Chemical Engineering Science, 51, 1996, p. 4167-4181; AAPS PharmSciTech, 1(3), 2000, article 21).
상기 방법은 롤링(rolling), 슬럼핑(slumping), 슬리핑(slipping), 캐스캐이딩(cascading), 카타락팅(cataracting), 센트리퓨징(centrifuging)의 6가지로 대별 하고 있으며 순차적으로 흐름성이 더욱 악화되는 성상으로 기재하고 있다. 상기 문헌에서는 롤링(rolling) 또는 적어도 슬럼핑(slumping)에 해당하는 흐름성이 확보되어야만 생산에 지장이 없는 흐름성으로 판단하고 있다.
의외로 본 발명자는 규산칼슘과 미결정셀룰로오스 혼합물을 상기 애엽 에탄올용액과 연합하여 건조 후 과립형으로 정립하면 슬럼핑(slumping) 또는 롤링(rolling) 상 흐름성을 갖게 되어 질량편차 없이 원활하게 정제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애엽 95% 에탄올 연조엑스 1 중량부에 대하여 규산칼슘 : 미결정셀루로오스 = 0.2~1 : 1~2중량부를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0.3 : 1.7 중량부 함량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약제제인 애엽추출물을 정제제형으로 타정시 생약제제가 갖는 불쾌한 냄새를 차단할 수 있는 정제제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에 기재된 코팅제로 필름코팅정제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코팅제 A, 코팅제 B 및 코팅제 C는 하기 조성물을 정의한 것이다.
코팅제 A는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 54.85중량%, 산화티탄 22.86 중량%, 에칠셀룰로오스 13.72% 및 디에칠프탈레이트 8. 57 중량%를 혼합한 조성물이다.
코팅제 B는 폴리비닐알콜 45.52 중량%, 산화티탄 22.30 중량%, 탈크 20.00중 량%, 타르트라진 알미늄레이트(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정청 인정타르색소) 5.00 중량%, 브릴리안트블루 FCF 알미늄레이크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정청 인정타르색소) 3. 00 중량%, 레시틴 2.00 중량%, 인디고카르민 알미늄레이크(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정청 인정타르색소) 1.70 중량% 및 산탄검 0.48 중량%를 혼합한 조성물이다.
코팅제 C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54.16 중량%, 말토덱스트린 20.79 중량%, 포도당 16.95 중량%, 레시틴 6.10 중량% 및 구연산나트륨 0.48 중량%를 혼합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상기 코팅제 A, B 및 C를 각각 적량 사용하여 통상적인 필름코팅 방법에 의해 코팅한다.
본 발명은 필름코팅을 한 정제 제형으로서 생약제제 특유의 냄새를 차단할 수 있어 환자의 복용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제 제조방법에서 하기와 같은 단계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⑴ 생약재를 조말하여 적절한 기간동안 추출용매에 교반추출, 냉침한 후 여과 및 농축하여 연조엑스를 제조한다.
⑵ 잔사를 ⑴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연조엑스를 제조한 한 후 ⑴항의 연조엑스와 혼합한다.
⑶ ⑴ 및 ⑵에서 혼합된 연조엑스와 폴록사머를 혼합하여 용매 에탄올에 용해시켜 애엽 에탄올용액을 제조한다.
⑷ 규산칼슘 및 미결정셀룰로오스를 혼합 제조한다. 이 때, 부형제 및 붕해 제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⑸ ⑶항에서 제조된 에탄올 용액과 ⑷항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연합, 건조 및 정립한다.
⑹ ⑸항에서 제조된 과립과 활택제를 혼합하여 타정한다.
⑺ 각각의 코팅제를 적량 취하여 에탄올 및 물과 혼합하여 코팅액을 제조한다.
⑻ ⑹항에서 제조된 나정에 ⑺항에서 제조된 코팅액으로 코팅하여 필름코팅정제를 제조한다.
활성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를을 포함한다. 사용된 특별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는 활성성분인 애엽추출물이 적용되는 수단 및 목적에 따를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정제제제는 희석제, 활택제 붕해제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약제학 분야에서 정제제형의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성분들인 부형제, 붕해제, 활택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부형제는 유당, 전분, 락토오스 , 만니톨, 카올린 무기염(예: 염화나트륨), 분말화 당 및 분말화 셀루로오스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특이하게도 규산칼슘과 미결정셀룰로오스 혼합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과립형은 슬럼핑(slumping) 또는 롤링(rolling) 상 흐름성을 갖게 되어 질량 편차 없이 용이하게 정제제형으로 타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활택제를 포함할 수 있다. 활택제는 전형적으로 정제 및 펀치가 다이에 점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기 위해 본 발명의 정제 제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활택제는 탈크, 스테아린 푸마르산 나트륨, 스테아린산 또는 그의 염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활택제는 탈크와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이다.
또한 본 발명은 투여 후 정제 제형을 붕해시켜 애엽추출물을 방출하기 위해 붕해제를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적절한 붕해제는 크로스카르멜로스나트륨, 전분글리콜산 나트륨, 등이 있으며, 크로스카르멜로스나트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애엽 연조엑스의 제조
조말로 한 애엽 1㎏에 95% 에탄올 8ℓ를 넣어 실온에서 20시간 냉침하여 여과한 후, 잔류물에 다시 동량의 95% 에탄올을 넣어 4시간 냉침하고 여과한다. 전 여액을 합하여 78℃ 이하에서 감압농축하여 약 60g의 애엽 연조엑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애엽 필름코팅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애엽 연조엑스를 폴록사머 5g을 혼합하여 95% 에탄올 10㎖에 용해시켜 애엽 에탄올용액을 제조하였다. 별도로 규산칼슘 20g, 미결정셀루로오스 100g, 유당 133g 및 크로스카르멜로스나트륨 5g을 균질하게 혼합한 후, 제조된 애엽 에탄올용액을 상기 혼합물에 서서히 가하면서 연합하고 45℃ 에서 건조하여 24메쉬 체가 장착된 롤러컴팩터에 주입하여 80메쉬 이상의 과립 입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과립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과 탈크를 적량 가하여 균질하게 혼합하고 연속타정기(Erweka, 독일)를 이용하여 장경 8.1mm, 단경 4.1mm의 장방형 정제를 제조한 후 코팅제 A, B 및 C를 각각 적량 혼합하여 적절한 크기의 필름-코팅 장치에서 필름코팅하였다.
<실시예 3> 기타 부형제(유당 및 크로스카르멜로스나트륨)을 포함하지 않은 애엽 필름코팅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애엽 연조엑스를 폴록사머 5g을 혼합하여 95% 에탄올 10㎖에 용해시켜 애엽 에탄올용액을 제조하였다. 유당 및 크로스카르멜로스나트륨을 포함하지 않고 규산칼슘 20g 및 미결정셀루로오스 100g를 균질하게 혼합한 후, 그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규산칼슘 및 미결정셀루로오스를 혼합하지 않은 애엽 필름코팅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애엽 연조엑스를 폴록사머 5g을 혼합하여 95% 에탄올 10㎖에 용해시켜 애엽 에탄올용액을 제조하였다. 규산칼슘 및 미결정셀루로오스를 혼합하지 않고 유당 133g 및 크로스카르멜로스나트륨 5g만을 균질하게 혼합한 후, 그 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규산칼슘을 포함하지 않은 애엽 필름코팅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애엽 연조엑스를 규산칼슘을 포함하지 않고 95% 에탄올 10㎖에 용해시켜 애엽 에탄올용액을 제조한 후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미결정셀루로오스를 포함하지 않은 애엽 필름코팅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애엽 연조엑스를 95% 에탄올 10㎖에 용해시켜 애엽 에탄올용액을 제조하고, 미결정셀루로오스를 포함하지 않고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폴록사머, 규산칼슘 및 미결정셀루로오스를 혼합하지 않은 애엽 필름코팅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애엽 연조엑스를 폴록사머를 혼합하지 않고 95% 에탄올 10㎖에 용해시켜 애엽 에탄올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후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5> 폴록사머를 함유하지 않은 애엽 필름코팅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애엽 연조엑스를 폴록사머를 혼합하지 않고 95% 에탄올 10㎖에 용해시켜 애엽 에탄올용액을 제조한 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용출시험
실시예 2 및 3, 비교예 1 내지 5에서 필름코팅 된 정제를 대한약전 일반시험법 제 2 법에 따라 50 r.p.m.으로 용출시험을 실시하여 시험시작 후 5, 10, 15, 30, 및 60분에 용출액을 취하여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으로 분석하였다. 용출시험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및 3, 비교예 1 내지 3은 난용성 약물인 애엽추출물에 폴록사머를 혼합한 후 연조엑스 에탄올 용액을 다른 함유성분과 혼합하여 제조된 필름코팅정제이며, 비교예 4 및 5는 폴록사머를 함유하지 않고 제조된 필름코팅정제이다.
하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및 3, 비교예 1 내지 3은 30분이내에 모두 85% 이상의 용출율을 나타내었으며, 폴록사머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에 4 및 5는 60분이 경과되었을 때에도 50% 이하의 용출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난용성 약물인 애엽추출물과 가용화제로서 폴록사머를 함유하는 정제 제형인 본 발명은 위장관 내에서 우수한 용출율을 갖는 제제임을 알 수 있다.
용출률(%)
5분 10분 15분 30분 60분
실시예 2 75.7 85.6 87.1 88.8 90.2
실시예 3 75.5 85.7 87.3 88.7 90.1
비교예 1 71.1 84.2 84.5 85.2 85.8
비교예 2 64.8 75.3 79.2 85.4 85.4
비교예 3 71.0 84.5 84.8 85.7 85.7
비교예 4 4.4 9.8 15.6 28.1 34.3
비교예 5 12.4 19.5 26.5 39.7 48.9
<실험예 2> 애엽추출물 함유 혼합물의 흐름성 및 정제의 제조 가능시험
실시예 2 및 3, 비교예 1 내지 5에서 타정기에 의해 정제로 제조되기 전의 애엽추출물 함유 혼합 조성물을 회전드럼(rotating drum) 내에서 회전시켜 흐름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연속타정기(Erweka, 독일)를 이용하여 정제로 제조가 가능한지도 알아보았다.
실시예 2 및 3, 비교예 5는 생약재인 애엽추출물을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에서 규산칼슘 및 미결정셀루로오스를 혼합하여 제조된 혼합물이며, 비교예 1 내지 4는 규산칼슘 및/또는 미결정셀루로오스를 혼합하지 않고 제조된 혼합물이다.
하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및 3, 비교예 5는 정제로 제조 가능한 슬럼핑(slumping) 또는 롤링(rolling)의 흐름성을 나타내어 쉽게 정제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4는 최종 혼합물이 매우 불량한 슬리핑(slipping) 흐름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로 인해 정제 제형으로의 제조시 질량편차가 많은 불량 정제가 생산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애엽 에탄올용액과 규산칼슘과 미결정셀룰로오스 혼합물을 연합하여 제조한 과립을 타정한 정제로서 슬럼핑(slumping) 또는 롤링(rolling) 상 흐름성을 갖는 것이며, 원활하게 정제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2 및 3, 비교예 5 비교예 1 내지 4
최종 혼합물의 흐름성 상태 slumping 또는 rolling slipping
타정에 의한 정제화 원활 불량
<실험예 3> 질량편차시험
실시예 2 및 3, 비교예 1 내지 5에서 타정기에 의해 정제로 제조된 제제를 각각 20개씩 무작위로 취하여 질량 편차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게를 측정하여 그 질량편차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 평가는 대한약전에 기재된 질량편차 시험 기준을 따랐다.
질량편차 시험 평가 기준 : 나정 20개를 가지고 그 질량을 정밀하게 달아 평균 질량을 계산할 때 그 값과 개개 질량과의 편차는 다음 값을 넘는 것이 있어도 2개 이하이고 2배 넘는 것이 없을 때 적합하다.
평균질량(g) 편차(%)
0.12미만 10
0.12 이상 0.3 미만 7.5
0.3 이상 5
하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및 3, 비교예 5는 애엽추출물에 규산칼슘과 미결정셀룰로오스 혼합물을 연합하여 제조한 과립으로 타정한 정제로서 모두 질량편차 시험에서 대한약전 기준에 적합하였으나, 규산칼슘 및/또는 미결정셀루로오스를 혼합하지 않고 정제로 제조된 비교예 1 내지 4는 모두 적합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애엽 에탄올용액과 규산칼슘과 미결정셀룰로오스 혼합물을 연합하여 제조한 과립형을 타정한 정제는 슬럼핑(slumping) 또는 롤링(rolling) 상 흐름성을 갖게 되어 질량편차 없이 원활하게 정제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구분 평균질량 (g) 편차 (갯수) 편차 2배이상(갯수) 편차 정상(갯수) 판정
실시예 2 0.333 5%이상 - - 20 적합
실시예 3 0.195 7.5% 이상 - - 20 적합
비교예 1 0.213 7.5% 이상 4 5 부적합
비교예 2 0.313 5%이상 13 3 4 부적합
비교예 3 0.233 7.5% 이상 11 2 7 부적합
비교예 4 0.208 7.5% 이상 12 3 5 부적합
비교예 5 0.328 5%이상 - - 20 적합
<실험예 4> 본 발명 정제에 관한 생약 특유의 냄새 관능시험
위장질환을 앓고 있는 지원자 각각 5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2 및 3에서 필름코팅 된 정제 복용시 및 복용 후 불쾌감 정도를 관능시험 하고 표 3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실시예 2 및 3에서 필름코팅 되지 않은 나정을 사용하였다.
하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필름코팅 정제는 거의 불괘감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조군으로 사용된 나정을 복용한 시험군에서는 대부분 복용은 하였으나, 매우 불쾌감을 나타냈으며 그 중 일부는 복용 후 심한 구토 증세를 보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필름코팅을 한 정제 제형으로서 생약제제 특유의 냄새를 차단할 수 있어 환자의 복용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구분 복용시 복용 후
실시예 2 50 47
+ 2
++ 1
+++
++++
실시예 3 50 45
+ 5
++
+++
++++
대조군
+
++ 3
+++ 45 39
++++ 5 7
* 전혀 불쾌감이 없음 :
조금 불쾌감이 있음 : +
불쾌감이 많음 : ++
불괘감이 아주 많음 : +++
복용거부 또는 복용 후 구토 :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애엽추출물을 함유하는 생약제제이나 흡습성, 원료의 밀도, 유동성, 부착 응집력 등에 의한 제제화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정제 제형으로 제조하더라도 제조 가능한 슬럼핑(slumping) 또는 롤링(rolling)의 흐름성을 나타내어 질량편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용성 약물인 애엽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 제형이 위장관 내에서 우수한 용출율을 갖는 제제를 제공하므로써 생체내에 신속하게 흡수시킬 수 있어 생체 이용률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은 생약 특유의 냄새를 차단할 수 있는 정제 제형을 제공한 것으로서 환자 복용시에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복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애엽추출물과 폴록사머를 95% 에탄올에 용해시켜 애엽 에탄올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애엽에탄올 용액과 규산칼슘, 미결정셀루로오스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혼합하여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과립에 활택제를 혼합하여 타정하는 단계;
    상기 타정된 나정을 코팅제에 의해 필름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엽추출물 함유 필름코팅정제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애엽추출물은 95% 에탄올에 의해 추출된 연조엑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엽추출물 함유 필름코팅 정제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애엽추출물은 애엽추출물 1g 당 유파틸린(C18H16O7 :분자량 344.31) 0.8~2.4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엽추출물 함유 필름코팅 정제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애엽 95% 에탄올 연조엑스 1 중량부에 대하여 폴록사머 0.05~1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엽추출물 함유 필름코팅 정제의 제조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애엽 95% 에탄올 연조엑스 1 중량부에 대하여 규산칼슘 : 미결정셀루로오스 = 0.2~1 : 1~2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엽추출물 함유 필름코팅 정제의 제조방법.
  6. 애엽추출물, 폴록사머, 규산칼슘 및 미결정셀루로오스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정제이고 정제가 코팅된 것인 약학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애엽추출물 함유 필름코팅정제.
  8. 애엽추출물과 폴록사머를 95% 에탄올에 용해시켜 애엽 에탄올용액을 제조한 후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혼합하여 과립형으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엽추출물의 가용화 방법.
KR1020050049830A 2005-06-10 2005-06-10 애엽추출물 함유 필름코팅정제 KR100905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830A KR100905203B1 (ko) 2005-06-10 2005-06-10 애엽추출물 함유 필름코팅정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830A KR100905203B1 (ko) 2005-06-10 2005-06-10 애엽추출물 함유 필름코팅정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808A Division KR100908193B1 (ko) 2008-10-22 2008-10-22 애엽추출물의 가용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403A true KR20060128403A (ko) 2006-12-14
KR100905203B1 KR100905203B1 (ko) 2009-06-26

Family

ID=3773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830A KR100905203B1 (ko) 2005-06-10 2005-06-10 애엽추출물 함유 필름코팅정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8340A1 (en) * 2007-09-21 2009-03-26 Dong-A Pharm.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artemisia extract using gastro-retentive drug delivery system and its oral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751B1 (ko) * 1994-12-30 1999-05-01 유충식 위장질환 치료제용 쑥추출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8340A1 (en) * 2007-09-21 2009-03-26 Dong-A Pharm.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artemisia extract using gastro-retentive drug delivery system and its oral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5203B1 (ko) 200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6989C2 (ru) Твердые лекарственные формы, содержащие тадалафил
KR101835893B1 (ko) 인테그라제 억제제를 함유하는 고형 제약 조성물
EP2162119A2 (en) Stable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a dpp-iv inhibitor
KR100930329B1 (ko) 6-머캅토퓨린의 개선된 제제
KR20070115918A (ko) 멀티플 유닛형 경구 서방성 제제 및 그 제조방법
US20100136119A1 (en) Controlled-release preparation containing cilostazol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WO2006115770A2 (en) Orally disintegrating pharmaceutical tablet formulations of olanzapine
EP2255810A1 (de) Arzneiformen mit kontrollierter Bioverfügbarkeit, die Vardenafil enthalten
KR101050015B1 (ko) 위체류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한 애엽 추출물의 약학조성물및 이를 이용한 서방성 경구용 제제
WO2006123213A1 (en) Modified release formulations of gliclazide
WO2005060941A1 (en) Extended release antibiotic composition
US20210244730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n antitumor agent
KR100905203B1 (ko) 애엽추출물 함유 필름코팅정제
WO2019012552A4 (en) Compositions of ferric organic compounds
KR20080096494A (ko) 애엽추출물의 가용화 방법
WO200806533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memantine
EP2593081B1 (en) Ferrimannitol-ovalbumin tablet composition
KR101779513B1 (ko) 애엽의 이소프로판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20090971A1 (ja) 抗腫瘍剤を含む錠剤
CN105407875A (zh) 包含异烟肼颗粒和利福喷汀颗粒的呈包衣片剂形式的抗结核病的稳定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0501631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nateglinide and a high amount of a water-soluble filler
KR101037808B1 (ko) 가용화된 니플루믹산을 함유하는 서방성 정제
KR20180036654A (ko) 갈조류의 고체 약제학적 조성물
TW201300106A (zh) 治療hcv感染之醫藥組合物
KR20170001668A (ko) 애엽의 이소프로판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