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7108A - First-order loudspeaker crossover network - Google Patents

First-order loudspeaker crossover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108A
KR20060127108A KR1020067015356A KR20067015356A KR20060127108A KR 20060127108 A KR20060127108 A KR 20060127108A KR 1020067015356 A KR1020067015356 A KR 1020067015356A KR 20067015356 A KR20067015356 A KR 20067015356A KR 20060127108 A KR20060127108 A KR 20060127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speaker
crossover
speakers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3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크 프랜시스 룸레이츠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to KR1020067015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7108A/en
Publication of KR20060127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1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04R3/14Cross-ov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04S1/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A first-order crossover network having low-pass and high-pass filters to respectively drive first and second loudspeakers in a loudspeaker system is designed such that the phase difference at a crossover frequency between output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loudspeakers is no greater than 60 degrees, so that the output signals are at least partially in phase. Preferably, the phase difference should be about 40 degrees to create a near in-phase effect. The polarity in which the first loudspeaker is coupled to the first-order crossover network is an inverse of the polarity in which the second loudspeaker is coupled to the crossover network. Optionally, the input signals can be equalized to flatten the magnitude responses of the crossover network.

Description

1차 스피커 크로스오버 네트워크{FIRST-ORDER LOUDSPEAKER CROSSOVER NETWORK}Primary Speaker Crossover Network {FIRST-ORDER LOUDSPEAKER CROSSOVER NETWORK}

본 발명은 스피커 크로스오버 네트워크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2차 스피커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의 몇몇 장점을 가지는 1차 스피커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speaker crossover network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imary speaker crossover network having some advantages of a secondary speaker crossover network.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는 멀티웨이(multi-way) 스피커 시스템에서 입력 오디오 신호를 다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데에 이용되며, 상이한 스피커에 공급하는 각각의 대역은 관련된 주파수 대역에 최적화된다. 하나의 대역을 다른 대역으로부터 분리하는 주파수를 이들 두 대역의 크로스오버 주파수라고 한다. 예컨대, 아래에서 논의될 투웨이(2-way) 스피커 시스템에서, 저주파수 및 고주파수 대역은 우퍼(woofer) 및 트위터(tweeter)에 각각 제공되며, 크로스오버 주파수는 저주파수 대역과 고주파수 대역이 나누어지는 주파수이다. Crossover networks are used to separate an input audio signal into multiple frequency bands in a multi-way speaker system, with each band feeding different speakers to an associated frequency band. The frequency of separating one band from another is called the crossover frequency of these two bands. For example, in a two-way speaker system discussed below, the low and high frequency bands are provided to the woofer and tweeter, respectively, and the crossover frequency is the frequency at which the low and high frequency bands are divided.

1차 버터워쓰 네트워크와 같은 1차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에서, 캐패시터는 본질적으로 저항성인 트위터에 직렬로 결합되어 고주파수 대역 신호를 트위터에 제공하는 고주파수 대역 통과 필터를 형성하며, 인덕터가, 역시 본질적으로 저항성인 우퍼에 직렬로 결합되어 저주파수 대역 신호를 우퍼에 제공하는 저주파수 대역 필 터를 형성한다.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필터의 진폭 응답은 약 -3dB(데시벨)이다. 이러한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2개의 네트워크 사이의 위상차가 90˚이므로, 이러한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의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의 결합된 전압 응답은 0dB이며, 이러한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는 보강 또는 상쇄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In a first-order crossover network, such as a first-order Butterworth network, the capacitor is coupled in series with an inherently resistive tweeter to form a high frequency bandpass filter that provides a high frequency band signal to the tweeter, and the inductor is also inherently resistive. It is coupled in series to the woofer to form a low frequency band filter that provides a low frequency band signal to the woofer. At the crossover frequency, the amplitude response of the low pass and high pass filters is about -3 dB (decibels). Since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two networks at this crossover frequency is 90 °, the combined voltage response at the crossover frequency of this crossover network is 0 dB, and no constructive or destructive interference occurs at this crossover frequency.

전술한 1차 크로스오버 네트워크가 만족할 만큼 동작하더라도, 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필터는 동위상(in-phase)이 아니다. 이처럼, 이러한 1차 네트워크는 아래와 같은 동위상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의 이점, 즉 증가된 정지 대역 제거 및 향상된 극성 동작(로빙, lobing)에 기인하는 보다 부드러운 주파수 응답을 제공할 수 없다. Although the aforementioned first-order crossover network operates satisfactorily, the low pass and high pass filters are not in-phase. As such, this primary network cannot provide a smoother frequency response due to the following in-phase crossover network benefits: increased stop band rejection and improved polarity operation (robbing, lobing).

동위상 응답을 가지기 위하여, 링크위츠-릴리(Linkwitz-Riley) 네트워크와 같은 2차 또는 보다 고차의 크로스오버 네트워크가 이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2차 또는 보다 고차의 네트워크는 추가적인 캐패시터 및 인덕터를 요구한다. 예컨대, 투웨이 링크위츠-릴리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는 우퍼와 병렬 결합되어 저역 통과 필터를 형성하는 추가적인 캐패시터와, 트위터와 병렬 결합되어 고역 통과 필터를 형성하는 추가적인 인덕터를 요구한다.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에서 이용되는 캐패시터 및 인덕터는 그 크기, 용량 및 전력 요건 때문에 통상적으로 고가이므로, 이러한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은 스피커 시스템의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In order to have an in-phase response, a secondary or higher order crossover network, such as a Linkwitz-Riley network, must be used. However, secondary or higher order networks require additional capacitors and inductors. For example, a two-way linkwitz-lily crossover network requires additional capacitors coupled in parallel with the woofer to form a low pass filter, and additional inductors coupled in parallel with the tweeter to form a high pass filter. Capacitors and inductors used in crossover networks are typically expensive because of their size, capacity, and power requirements, so these additional components significantly increase the cost of the speaker system.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각각 스피커 시스템 내의 제1 및 제2 스피커를 구동하기 위한 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필터를 가지는 1차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는 제1 및 제2 스피커 응답 사이의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의 위상차가 60˚이하가 되어 출력 신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위상이 되도록 설계된다. 응답은 전기적 또는 음향적일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imary crossover network having low pass and high pass filters for driving first and second speakers in a speaker system, respectively, has a phase difference at the crossover frequenc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peaker responses. Is below 60 ° so that the output signal is at least partially in phase. The response may be electrical or acoustic.

일 실시예에서, 저역 통과 필터는 제1 극성으로 제1 스피커에 직렬 결합되는 인덕터에 의해서 형성되며, 고역 통과 필터는 제2 극성으로 제2 스피커에 결합되는 캐패시터에 의해서 형성된다. 인덕터 및 캐패시터의 임피던스는 위상차가 60˚이하가 되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위상차는 약 40˚가 되어 거의 동위상의 효과를 나타낸다. In one embodiment, the low pass filter is formed by an inductor coupled in series with the first speaker with a first polarity, and the high pass filter is formed by a capacitor coupled with a second speaker with a second polarity. The impedances of the inductor and capacitor are chosen so that the phase difference is less than 60 degrees. Preferably, the retardation is about 40 degrees, showing almost in-phase effects.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극성은 제1 극성의 반대가 되어 고역 통과 필터에 180˚의 위상 변이를 추가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polarity is reversed to the first polarity to add 180 ° phase shift to the high pass filter.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입력 오디오 신호는 등화되어(equalized), 크로스오버 시스템의 응답을 고르게 한다. 특히, 입력 신호에서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의 레벨이 상승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input audio signal is equalized to even out the response of the crossover system. In particular, the level at the crossover frequency rises in the input signal.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투웨이 스피커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1 illustrates an exemplary two-way speaker system including a crossover network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시스템에서, 우퍼의 저항이 8Ω이고, 고역 통과 필터에서의 캐패시터가 11.5㎌의 캐패시턴스를 가지며, 저역 통과 필터에서의 인덕터가 2.2mH의 인덕턴스를 가지는 경우, 우퍼의 응답을 도시하는 도면.FIG. 2 is a diagram of the woofer in the speaker system shown in FIG. 1, where the woofer has a resistance of 8 kW, the capacitor in the high pass filter has a capacitance of 11.5 Hz, and the inductor in the low pass filter has an inductance of 2.2 mH. A diagram showing the respons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시스템에서, 트위터의 저항이 8Ω이고, 고역 통과 필터에서의 캐패시터가 11.5㎌의 캐패시턴스를 가지며, 저역 통과 필터에서의 인덕터가 2.2mH의 인덕턴스를 가지는 경우, 트위터의 응답을 도시하는 도면.FIG. 3 shows that in the speaker system shown in FIG. 1, the tweeter's resistance is 8 Hz, the capacitor in the high pass filter has a capacitance of 11.5 Hz and the inductor in the low pass filter has an inductance of 2.2 mH. A diagram showing the response.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시스템에서, 우퍼 및 트위터의 저항이 모두 8Ω이고, 고역 통과 필터에서의 캐패시터가 11.5㎌의 캐패시턴스를 가지며, 저역 통과 필터에서의 인덕터가 2.2mH의 인덕턴스를 가지는 경우, 결합된 응답을 도시하는 도면.FIG. 4 shows a case in which the resistance of the woofer and tweeter is 8 kW, the capacitor in the high pass filter has a capacitance of 11.5 Hz, and the inductor in the low pass filter has an inductance of 2.2 mH in the speaker system shown in FIG. , Illustrating the combined response.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시스템에서, 우퍼의 저항이 8Ω이고, 고역 통과 필터에서의 캐패시터가 6.7㎌의 캐패시턴스를 가지며, 저역 통과 필터에서의 인덕터가 3.8mH의 인덕턴스를 가지는 경우, 우퍼의 응답을 도시하는 도면.FIG. 5 shows the woofer in the speaker system shown in FIG. 1, where the resistance of the woofer is 8 kW, the capacitor in the high pass filter has a capacitance of 6.7 kW, and the inductor in the low pass filter has an inductance of 3.8 mH. A diagram showing the response.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시스템에서, 트위터의 저항이 8Ω이고, 고역 통과 필터에서의 캐패시터가 6.7㎌의 캐패시턴스를 가지며, 저역 통과 필터에서의 인덕터가 3.8mH의 인덕턴스를 가지는 경우, 트위터의 응답을 도시하는 도면.FIG. 6 shows that in the speaker system shown in FIG. 1, the tweeter's resistance is 8 kW, the capacitor in the high pass filter has a capacitance of 6.7 kW, and the inductor in the low pass filter has an inductance of 3.8 mH. A diagram showing the response.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시스템에서, 우퍼 및 트위터의 저항이 모두 8Ω이고, 고역 통과 필터에서의 캐패시터가 6.7㎌의 캐패시턴스를 가지며, 저역 통과 필터에서의 인덕터가 3.8mH의 인덕턴스를 가지는 경우, 결합된 응답을 도시하는 도면.FIG. 7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resistance of the woofer and tweeter is 8 kW, the capacitor in the high pass filter has a capacitance of 6.7 kW, and the inductor in the low pass filter has an inductance of 3.8 mH in the speaker system shown in FIG. , Illustrating the combined response.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시스템에서, 우퍼 및 트위터의 저항이 모두 8Ω이고, 고역 통과 필터에서의 캐패시터가 6.7㎌의 캐패시턴스를 가지며, 저역 통과 필터에서의 인덕터가 3.8mH의 인덕턴스를 가지는 경우, 사용될 등화기의 응답을 도시하는 도면.8 shows that in the speaker system shown in FIG. 1, the resistance of both the woofer and the tweeter is 8 kW, the capacitor in the high pass filter has a capacitance of 6.7 kW, and the inductor in the low pass filter has an inductance of 3.8 mH. A diagram showing the response of the equalizer to be used.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시스템에서, 우퍼 및 트위터의 저항이 모두 8Ω이고, 고역 통과 필터에서의 캐패시터가 6.7㎌의 캐패시턴스를 가지며, 저역 통과 필터에서의 인덕터가 3.8mH의 인덕턴스를 가지며, 등화기가 입력 오디오 신호를 등화하는 데에 이용되는 경우, 결합된 응답을 도시하는 도면.FIG. 9 shows that in the speaker system shown in FIG. 1, the resistance of both the woofer and tweeter is 8 kW, the capacitor in the high pass filter has a capacitance of 6.7 kW, the inductor in the low pass filter has an inductance of 3.8 mH, A diagram showing the combined response where an equalizer is used to equalize the input audio signal.

도 10은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60˚이하의 위상차를 가지는 1차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를 구비하는 스피커 시스템으로부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10 illustrates a metho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generating an output signal from a speaker system having a primary crossover network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less than 60 degrees at a crossover frequency.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1차 크로스오버 네트워크(105)를 이용하는 투웨이 스피커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투웨이 스피커 시스템(100)은 도 1에서 저항기로 표시된 트위터(110)와, 도 1에서 역시 저항기로 표시된 우퍼(150)를 포함한다. 트위터(110) 및 우퍼(150)는 각각 (도 1에서 "+"로 도시된)양의 단자 및 (도 1에서 "+"로 표시된 단자의 반대편의)음의 단자를 가진다. 크로스오버 네트워크(105)로의 입력 오디오 신호는 증폭기(170)에 의해서 증폭될 수 있을 것이다. 크로스오버 네트워크(105)는 트위터(110)에 직렬 결합되어 고주파수 대역 입력 신호를 트위터에 제공하는 고역 통과 필터를 형성하는 캐패시터(120)와, 우퍼(150)에 직렬 결합되어 저주파수 대역 입력 신호를 우퍼(15)에 제공하는 저역 통과 필터를 형성하는 인덕터(160)를 포함한다. 인덕터(160)는 제1 극성으로 우퍼(150)에 결합되며, 캐패시터는 제1 극성과 반대인 제2 극성으로 트위터(110)에 결합된다. 이러 한 예에서, 인덕터(160)는 우퍼(150)의 양의 단자에 결합되지만, 캐패시터(120)는 트위터(110)의 음의 단자에 결합된다. 1 illustrates a two-way speaker system 100 using a primary crossover network 105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way speaker system 100 includes a tweeter 110, denoted by a resistor in FIG. 1, and a woofer 150, also denoted by a resistor in FIG. 1. The tweeter 110 and the woofer 150 each have a positive terminal (shown as "+" in FIG. 1) and a negative terminal (opposite to the terminal shown as "+" in FIG. 1). The input audio signal to the crossover network 105 may be amplified by the amplifier 170. The crossover network 105 is a capacitor 120 that is coupled in series to the tweeter 110 to form a high pass filter for providing a high frequency band input signal to the tweeter, and a woofer 150 that is coupled in series to the woofer 150. An inductor 160 forming a low pass filter provided to 15. The inductor 160 is coupled to the woofer 150 with a first polarity and the capacitor is coupled to the tweeter 110 with a second polarity opposite to the first polarity. In this example, the inductor 160 is coupled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woofer 150, while the capacitor 120 is coupled to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tweeter 110.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캐패시터(120)의 캐패시턴스와 인덕터(160)의 인덕턴스는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의 고역 통과 필터의 응답과 저역 통과 필터의 응답 사이의 위상차가 60˚이하가 되도록 선택된다. (크로스오버 주파수는 크로스오버 네트워크(105)가 오디오 입력 신호를 고주파수와 저주파수 대역으로 나누는 주파수이다.) 바람직하게, 위상차는 약 40˚이다. 본 발명자는 위상차가 60˚이하인 경우에는 두 필터의 응답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위상임을 인지하였다. 이처럼, 스피커 시스템은 증가된 정지 대역 제거와 향상된 극성 동작에 기인하여 보다 부드러운 주파수 응답을 생성한다. 극성 동작은 두 스피커의 결합된 방사 패턴의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의 음향 출력 그래프를 봄으로써 가장 잘 이해된다. 보다 나은 극성 동작은 비축(off-axis) 청취자들을 위한 오디오의 질 저하를 감소시킨다. 위상차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위상인 경우에, 불일치 구동기에 대한 방사 패턴은 모든 주파수에 대하여 축상(on-axis)인 경우에 가까와져, 적어도 부분적인 보강 간섭을 생성하여 극성 동작을 향상시킨다. 예컨대, 위상차가 60˚인 경우에, 두 응답은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적어도 50%의 보강 간섭을 생성한다. 위상차가 180˚인 경우에는 두 응답은 완전히 역위상이 되어, 100% 감쇄 간섭을 생성하는데, 이는 물론 바람직하지 않다. 1차 버터워쓰 필터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과 같이 위상차가 90˚인 경우에, 두 응답은 직교가 되어 보강 간섭, 감쇄 간섭 모두를 생성하지 않는다. 2차 링크위츠-릴리 필터에 의해서 생성되는 것과 같이 위상차가 0인 경우에, 두 응답은 완전히 동위상이 되어, 100% 보강 간섭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1차 크로스오버 네트워크(105)는 통상적인 1차 크로스오버 네트워크에 비하여 0˚에 매우 근접한 위상차를 생성한다.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acitance of capacitor 120 and the inductance of inductor 160 are selected such that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response of the high pass filter and the response of the low pass filter at the crossover frequency is less than or equal to 60 degrees. (The crossover frequency is the frequency at which the crossover network 105 divides the audio input signal into high and low frequency bands.) Preferably, the phase difference is about 40 degrees. The inventors have recognized that the response of the two filters is at least partially in phase when the phase difference is less than 60 degrees. As such, the speaker system produces a smoother frequency response due to increased stop band rejection and improved polarity operation. Polarity operation is best understood by looking at the acoustic output graph at the crossover frequency of the combined radiation pattern of the two speakers. Better polarity operation reduces audio degradation for off-axis listeners. If the phase difference is at least partially in phase, the radiation pattern for the mismatched driver is close to on-axis for all frequencies, creating at least partial constructive interference to improve polarity operation. For example, if the phase difference is 60 degrees, the two responses produce at least 50% constructive interference at the crossover frequency. If the phase difference is 180 °, the two responses are completely out of phase, producing 100% attenuation interference, which is of course undesirable. In the case where the phase difference is 90 °, as produced by the first-order Butterworth filter, the two responses are orthogonal and do not produce both constructive and decay interference. In the case where the phase difference is zero, as produced by the second order link-release filter, the two responses are completely in phase, creating 100% constructive interference. The primary crossover network 105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a phase difference very close to zero degrees compared to a conventional primary crossover network.

이어지는 제1 및 제2 예의 설명에서는 트위터(110)와 우퍼(150)의 내부 저항이 8Ω이며, 크로스오버 주파수는 1,000㎐인 것으로 가정된다. 트위터(110)와 우퍼(150)의 임피던스는 순 저항성인 것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트위터(110) 및 우퍼(150) 각각의 음향 응답은 전기적 응답과 동일하다. 스피커의 음향 응답은 스피커의 음향 출력에 의한 응답이며, 전기적 응답은 스피커의 두 단자 양단에서 발생된 전압에 의한 응답이다. 실제에 있어서, 스피커는 순수하게 저항성인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저항성이다. 따라서, 스피커의 전기적 응답은 음향 응답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xamples, it is assumed that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tweeter 110 and the woofer 150 is 8 kHz and the crossover frequency is 1,000 kHz. Since the impedance of tweeter 110 and woofer 150 is treated as purely resistive, the acoustic response of each of tweeter 110 and woofer 150 is equal to the electrical response. The acoustic response of the speaker is the response of the speaker's acoustic output, and the electrical response is the response of the voltage generated across the two terminals of the speaker. In practice, speakers are not purely resistive, but substantially resistive. Thus, the electrical response of the speaker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coustic response.

제1 예에서, 크로스오버 네트워크(105)는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약 60˚의 위상차를 생성한다. 이러한 위상차를 생성하는 예는 캐패시터(120)에 대하여 1.5㎌의 캐패시턴스를 선택하고, 인덕터(160)에 대하여 2.2mH의 인덕턴스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러한 값들의 세트로, 저역 통과 필터는 약 60˚의 양의 위상 변이를 생성하고, 고역 통과 필터는 약 60˚의 음의 위상 변이를 생성한다. 그러나, 저역 통과 필터는 우퍼(150)의 양의 단자에 접속되지만, 고역 통과 필터는 트위터(110)의 음의 단자에 접속되기 때문에, 즉, 트위터(110)의 극성이 우퍼(160)의 특성에 대하여 반전되므로, 트위터(110)는 실제로 180˚의 양의 위상 변이를 고역 통과 필터에 추가한다. 극성을 반전시키는 것이 180˚를 고역 통가 필터에 추가하는 이유 는 유입되는 신호가 필연적으로 반전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양의 입력은 음의 입력이 되어 트위터(110)의 진동판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것이다. 따라서, 고역 통과 필터의 결과적인 위상 변이는 실제로는 약 120˚의 양의 위상 변이이다. 따라서, 저역 통과 필터의 응답과 고역 통과 필터의 응답 간의 위상차는 약 60˚이다.In a first example, the crossover network 105 produces a phase difference of about 60 degrees at the crossover frequency. An example of generating such a phase difference is to select a capacitance of 1.5 mA for the capacitor 120 and an inductance of 2.2 mH for the inductor 160. With this set of values, the low pass filter produces a positive phase shift of about 60 degrees, and the high pass filter produces a negative phase shift of about 60 degrees. However, while the low pass filter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woofer 150, the high pass filter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tweeter 110, that is, the polarity of the tweeter 110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woofer 160 Since it is inverted relative to, the tweeter 110 actually adds a positive phase shift of 180 ° to the high pass filter. Inverting the polarity adds 180 ° to the high pass filter because the incoming signal is necessarily reversed. For example, a positive input will be a negative input and move the diaphragm of tweeter 110 in the opposite direction. Thus, the resulting phase shift of the high pass filter is actually a positive phase shift of about 120 °. Thus,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response of the low pass filter and the response of the high pass filter is about 60 degrees.

제2 예에서, 크로스오버 네트워크(105)는 약 40˚의 위상차를 생성한다. 이러한 위상차를 생성하는 예는 캐패시터(120)에 대하여 6.7㎌의 캐패시턴스를 선택하고, 인덕터(160)에 대하여 3.8mH의 인덕턴스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러한 값들의 세트로, 저역 통과 필터는 약 71˚의 양의 위상 변이를 생성하고, 고역 통과 필터는 약 71˚의 음의 위상 변이를 생성한다. 그러나, 트위터(110)는 극성의 반전으로 인하여 180˚의 양의 위상 변이를 고역 통과 필터에 추가한다. 따라서, 고역 통과 필터의 결과적인 위상 변이는 실제로는 109˚의 양의 위상 변이이다. 따라서, 저역 통과 필터의 응답과 고역 통과 필터의 응답 간의 위상차는 약 38˚이다. In a second example, the crossover network 105 produces a phase difference of about 40 degrees. An example of generating such a phase difference is to select a capacitance of 6.7 GHz for the capacitor 120 and an inductance of 3.8 mH for the inductor 160. With this set of values, the low pass filter produces a positive phase shift of about 71 degrees, and the high pass filter produces a negative phase shift of about 71 degrees. However, tweeter 110 adds a 180 ° positive phase shift to the high pass filter due to the inversion of polarity. Thus, the resulting phase shift of the high pass filter is actually a positive phase shift of 109 °. Thus,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response of the low pass filter and the response of the high pass filter is about 38 degrees.

도 2, 3 및 4는 제1 예에서의 크로스오버 네트워크(105)의 진폭과 주파수 응답을 나타낸다. 도 2는 저역 통과 필터의 응답을 나타내며, 도 3은 고역 통과 필터의 응답을 나타내며, 도 4는 결합된 응답을 나타낸다. 도 2 및 3에 도시된 통과 대역은 90˚의 위상차를 가지는 통상적인 1차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보다 좁다. 고역 통과 및 저역 통과 필터는 각각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6dB의 진폭 응답을 가지며, 결합된 진폭은 약 -1dB이다. 2, 3 and 4 show the amplitude and frequency response of the crossover network 105 in the first example. 2 shows the response of the low pass filter, FIG. 3 shows the response of the high pass filter, and FIG. 4 shows the combined response. The passbands shown in Figures 2 and 3 are narrower than a typical primary crossover network with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The high pass and low pass filters each have an amplitude response of -6 dB at the crossover frequency and the combined amplitude is about -1 dB.

도 5, 6 및 7은 각각 제2 예에서의 크로스오버 네트워크(105)의 저역 통과 필터, 고역 통과 필터 및 결합된 응답의 진폭 및 위상 응답을 나타낸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 대역은 제1 예에서보다 좁다. 고역 통과 및 저역 통과 필터는 각각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10dB의 진폭 응답을 가지며, 결합된 진폭은 약 -4.5dB이다. 5, 6 and 7 respectively show the amplitude and phase response of the low pass filter, high pass filter and combined response of the crossover network 105 in the second example.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pass band is narrower than in the first example. The high pass and low pass filters each have an amplitude response of -10 dB at the crossover frequency and the combined amplitude is about -4.5 dB.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위상인 1차 네트워크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고역 통과 및 저역 통과 필터의 개별적인 응답은 약 -6dB 또는 그보다 작아야 함을 알게 되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예에서의 개별적인 응답은 각각 약 -6dB 및 -10dB이다. 도 4 및 7에 도시된 중역 하강(midrange dip)은 필요한 경우에 등화기(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가 크로스오버 네트워크(105)에 진입하기 전에 입력 신호를 등화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입력 신호는 증폭기(170)에 의해서 증폭되기 전에 바람직하게 등화된다. It has been found that the individual responses of the high pass and low pass filters should be about -6 dB or less to obtain at least partially in-phase first order network. For example, the individual responses in the first and second examples are about -6 dB and -10 dB, respectively. The midrange dips shown in FIGS. 4 and 7 can be improved by equalizing the input signal before it enters the crossover network 105 using an equalizer (not shown) if necessary. The input signal is preferably equalized before being amplified by the amplifier 170.

예컨대, 제2 예에서 입력 신호가 크로스오버 네트워크(105)에 진입하기 전에 입력 신호를 등화하는 데에 도 8에 도시된 응답을 가지는 등화기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결합된 응답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평탄할 것이다. For example, in the second example where the equalizer with the response shown in FIG. 8 is used to equalize the input signal before the input signal enters the crossover network 105, the combined response is as shown in FIG. 9. It will be nearly flat as well.

1,000㎐의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가지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1,700㎐와 같은 다른 크로스오버 주파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트위터(110) 및 우퍼(150)의 내부 저항이 8Ω인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6Ω과 같은 다른 저항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트위터(110)의 내부 저항은 우퍼(150)의 내부 저항과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필터가 동일한 양 및 상이한 방향을 가지는 위상 변이를 생성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두 위상 변이의 절대량은 서로 다를 수 있을 것 이다. 마지막으로, 투웨이 스피커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쓰리웨이 또는 다른 멀티웨이 스피커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원리는 쓰리웨이 스피커 시스템에서의 저역 통과 필터 및 대역 통과 필터와, 대역 통과 필터 및 고역 통과 필터의 설계에 이용될 수 있다. Although described as having a crossover frequency of 1,000 Hz, other crossover frequencies, such as 1,700 Hz, may be used. In addition, although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tweeter 110 and the woofer 150 is described as 8 kΩ, other resistors such as 6 kΩ may be used, and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tweeter 110 is different from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woofer 150. can do. Further, although the low pass and high pass filters have been described to produce phase shifts with the same amount and different directions, the absolute amounts of the two phase shifts may be different. Finally, although described as being used in two-way speaker systems,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three-way or other multi-way speaker systems. For example,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design of low pass and band pass filters, band pass filters and high pass filters in a three way speaker system.

도 10은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60˚이하의 위상차를 가지는 1차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를 가지는 스피커 시스템으로부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다. 단계 1010에서, 오디오 신호는 각각 우퍼 및 트위터에 결합된 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필터를 가지는 1차 패시브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로 보내어진다. 단계 1020에서, 우퍼에 대한 트위터의 극성이 반전된다. 단계 1030에서, 두 필터의 개별적인 응답이 크로스 오버 주파수에서 -6dB 또는 그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6dB와 -10dB 사이가 되고, 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필터로부터의 각각의 출력 신호 간의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의 위상차가 60˚이하가 되도록 저역 통과 필터 및 고역 통과 필터의 임피던스가 선택된다. 이것은 60˚ 이상의 저역 통과 위상 변이 및 -60˚이하의 고역 통과 위상 변이를 생성할 것이다. 극성이 반전되어, 트위터는 +180˚의 위상 변이를 고역 통과 필터에 추가하며, 이는 +120˚이하의 등가의 고역 통과 변이를 야기한다. 따라서, 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필터 사이의 위상차는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60˚이하이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위상이다. 선택적으로, 단계 1040에서, 결합된 응답이 획득되고, 입력 신호가 등화되어 크로스오버 주파수 근처의 영역에서의 하강을 보상한다. 10 illustrates a metho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generating an output signal from a speaker system having a primary crossover network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less than 60 degrees at a crossover frequency. In step 1010, the audio signal is sent to a primary passive crossover network having low pass and high pass filters coupled to the woofer and tweeter, respectively. In step 1020, the polarity of the tweeter relative to the woofer is reversed. In step 1030, the individual responses of the two filters are -6 dB or less at the crossover frequency, preferably between -6 dB and -10 dB, and at the crossover frequency between the respective output signals from the low pass and high pass filters. The impedances of the low pass filter and the high pass filter are selected so that the phase difference is less than 60 °. This will produce a low pass phase shift of greater than 60 degrees and a high pass phase shift of less than -60 degrees. With the polarity reversed, the tweeter adds a + 180 ° phase shift to the high pass filter, resulting in an equivalent high pass shift of less than + 120 °. Thus,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low pass and high pass filters is less than 60 degrees, or at least partially in phase, at the crossover frequency. Optionally, in step 1040, a combined response is obtained and the input signal is equalized to compensate for the fall in the region near the crossover frequency.

본 발명이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많은 다른 모드 및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실시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ome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many other modes and embodiments may be practic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26)

각각의 임피던스를 가지는 제1 및 제2 스피커- 각각의 스피커는 양 및 음의 단자를 가짐 -를 구비하는 스피커 시스템에서 입력 오디오 신호를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고주파수 및 저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1차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로서, A primary crossover network that separates an input audio signal from a crossover frequency into high and low frequency bands in a speaker system having first and second speakers having respective impedances, each speaker having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as, 상기 제1 스피커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스피커에 저주파수 대역 신호를 제공하는 저역 통과 필터를 형성하는 제1 컴포넌트와, A first component coupled to the first speaker to form a low pass filter for providing a low frequency band signal to the first speaker; 상기 제2 스피커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스피커에 고주파수 대역 신호를 제공하는 고역 통과 필터를 형성하는 제2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A second component coupled to the second speaker to form a high pass filter for providing a high frequency band signal to the second speaker; 상기 저역 통과 및 상기 고역 통과 필터는 1차 필터이고, 상기 제1 및 제2 컴포넌트의 임피던스는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의 각각의 응답 사이의 위상차가 60˚이하가 되도록 선택되는 크로스오버 네트워크.The low pass and high pass filters are primary filters, and the impedan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nents are selected such that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each response of the first and second speakers at the crossover frequency is less than or equal to 60 °. Crossover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응답은 음향 응답인 크로스오버 네트워크.The response is an acoustic respons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응답은 전기적인 응답인 크로스오버 네트워크.The response is an electrical respons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컴포넌트는 상기 제1 스피커에 제1 극성으로 직렬 결합되고, 상기 제2 컴포넌트는 상기 제2 스피커에 상기 제1 극성과는 반대되는 제2 극성으로 직렬 결합되는 크로스오버 네트워크. The first component is serially coupled to the first speaker in a first polarity, and the second component is serially coupled to the second speaker in a second polarity opposite to the first polarity.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 컴포넌트는 인덕터이며, 상기 제2 컴포넌트는 캐패시터이며, 상기 인덕터와 상기 캐패시터의 임피던스는 각각의 필터에 대한 위상 변이가 60˚이상이 되도록 선택되는 크로스오버 네트워크.Wherein the first component is an inductor, the second component is a capacitor, and the impedances of the inductor and the capacitor are selected such that the phase shift for each filter is greater than 60 °.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는 등화되어 상기 제1 및 제2 입력 스피커의 결합된 응답을 평탄하게 하는 크로스오버 네트워크.And the input audio signal is equalized to smooth the combined response of the first and second input speakers.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의 상기 결합된 응답이 상승되는 크로스오버 네트워크.A crossover network in which the combined response at the crossover frequency is raised.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의 상기 결합된 응답은 약 4.5dB 만큼 상승되는 크로스오버 네트워크.The combined response at the crossover frequency is raised by about 4.5 dB.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의 결합된 응답은 -6dB 이하인 크로스오버 네트워크.The combined response of the first and second speakers is less than -6 dB.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결합된 응답은 -10dB 이상인 크로스오버 네트워크.The combined response is at least -10 dB.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위상차는 약 40˚인 크로스오버 네트워크.The phase difference is about 40 degrees. 스피커 시스템으로서, As a speaker system, 각각의 임피던스를 가지는 제1 및 제2 스피커- 각각의 스피커는 양 및 음의 단자를 가짐 -와, First and second speakers having respective impedances, each speaker having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and 입력 오디오 신호를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고주파수 및 저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는 1차 네트워크인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A crossover network, which is a primary network that separates an input audio signal from a crossover frequency into a high frequency and a low frequency band, 상기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에 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에 저주파수 대역 및 고주파수 대역 신호를 각각 제공하는 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필터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저역 통과 및 상기 고역 통과 필터는 1차 필터이고, 상기 제1 및 제2 컴포넌트의 임피던스는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의 각각의 응 답 사이의 위상차가 60˚이하가 되도록 선택되는 스피커 시스템.The crossover network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peakers, respectively, to form first and second low pass and high pass filters for providing a low frequency band and a high frequency band signal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peakers, respectively. A component, wherein the low pass and high pass filters are primary filters, and impedan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mponents are phase differences between respective responses of the first and second speakers at the crossover frequency. Speaker system selected to be less than 60 degrees.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응답은 음향 응답인 스피커 시스템.The response is an acoustic response. 제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응답은 전기적인 응답인 스피커 시스템.The response is an electrical response. 제1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1 컴포넌트는 상기 제1 스피커에 제1 극성으로 직렬 결합되고, 상기 제2 컴포넌트는 상기 제2 스피커에 상기 제1 극성과는 반대인 제2 극성으로 직렬 결합되는 스피커 시스템.And the first component is serially coupled to the first speaker with a first polarity and the second component is serially coupled to the second speaker with a second polarity opposite to the first polarity. 제1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1 컴포넌트는 인덕터이며, 상기 제2 컴포넌트는 캐패시터이며, 상기 인덕터와 상기 캐패시터의 임피던스는 각각의 필터에 대한 위상 변이가 60˚이상이 되도록 선택되는 스피커 시스템.The first component is an inductor, the second component is a capacitor, and the impedances of the inductor and the capacitor are selected such that the phase shift for each filter is 60 ° or more. 제1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등화하여 상기 제1 및 제2 입력 스피커의 결합된 응답을 평탄하게 하는 등화기를 더 포함하는 스피커 시스템.And an equalizer to equalize the input audio signal to smooth the combined response of the first and second input speakers. 제1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의 상기 결합된 응답이 상승되는 스피커 시스템.The combined response at the crossover frequency being raised. 제1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의 상기 결합된 응답은 약 4.5dB 만큼 상승되는 스피커 시스템.The combined response at the crossover frequency is raised by about 4.5 dB. 제1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의 결합된 응답은 -6dB 이하인 스피커 시스템.The combined response of the first and second speakers is less than -6 dB. 제2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결합된 응답은 -10dB 이상인 스피커 시스템.And the combined response is greater than -10 dB. 제1 및 제2 스피커를 구비하는 스피커 시스템으로부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A method of generating an output signal from a speaker system having first and second speakers, the method comprising: 오디오 신호를 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필터를 포함하는 1차 크로스오버 네트워크로 보내는 단계와, Sending an audio signal to a first-order crossover network including low pass and high pass filters, 상기 저역 통과 필터를 상기 제1 스피커에 제1 극성으로 결합하고, 상기 고 역 통과 필터를 상기 제2 스피커에 상기 제1 극성과는 반대인 제2 극성으로 결합하는 단계와, Coupling the low pass filter to the first speaker with a first polarity and coupling the high pass filter to the second speaker with a second polarity opposite to the first polarity; 각각의 필터가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6dB이하의 주파수 응답을 가지고, 상기 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필터의 출력 신호의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의 위상차가 60˚ 이하가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필터의 임피던스를 선택하는 단계Each filter has a frequency response of -6 dB or less at the crossover frequency, and the impedances of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are adjusted such that the phase difference at the crossover frequency of the output signal of the low pass and high pass filters is 60 ° or less. Step to choose 를 포함하는 방법.How to include. 제2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2, 입력 신호를 등화시켜 상기 스피커 시스템의 응답을 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Equalizing an input signal to equalize a response of the speaker system. 제2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위상차는 약 40˚인 방법.The phase difference is about 40 degrees. 제2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제1 스피커의 임피던스는 상기 제2 스피커의 임피던스와 동일한 방법.The impedance of the first speaker is equal to the impedance of the second speaker. 제2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의 임피던스는 서로 다른 방법.The impedance of the first and second speakers are different.
KR1020067015356A 2006-07-28 2004-01-30 First-order loudspeaker crossover network KR200601271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5356A KR20060127108A (en) 2006-07-28 2004-01-30 First-order loudspeaker crossover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5356A KR20060127108A (en) 2006-07-28 2004-01-30 First-order loudspeaker crossover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108A true KR20060127108A (en) 2006-12-11

Family

ID=37730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356A KR20060127108A (en) 2006-07-28 2004-01-30 First-order loudspeaker crossover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710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24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virtual third channel in a two-channel amplifier
US20140219480A1 (en) Phase-Unified Loudspeakers: Parallel Crossovers
KR20010071499A (en) Capacitor-less crossover network for electro-acoustic loudspeakers
CN104284003B (en) Mobile device
US5937072A (en) Audio crossover circuit
US4593405A (en) Loudspeaker system with combination crossover and equalizer
US20070121964A1 (en) First-order loudspeaker crossover network
US5568560A (en) Audio crossover circuit
US20080044038A1 (en) Stereophonic sound system
KR20060127108A (en) First-order loudspeaker crossover network
US6707919B2 (en) Driver control circuit
CN110740403B (en)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line array loudspeaker system and line array loudspeaker system
JP2004266329A (en) Speaker system
US7085389B1 (en) Infinite slope loudspeaker crossover filter
CN1458809B (en) Expansion stereo acoustic circuit with tune compensation
CN109863760B (en) Improved balanced armature drive
JP2013255050A (en) Channel divider and audio reproduc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172489B1 (en) Crossover Network, Multiway Speaker System and Audio System Using the Same, Frequency Dividing Method of Crossover Network
WO2023167113A1 (en) Speaker device and sound system
US7443990B2 (en) Voltage biased capacitor circuit for a loudspeaker
Fincham Multiple-driver loudspeaker systems
JPS62295597A (en) Speaker equipment
JPS5814795B2 (en) Multiway speaker drive circuit system
JPS6048960B2 (en) Wiring method between speaker system and speaker drive amplifier
JPH0290895A (en) Speak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