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6118A - 자동 상품모델 추천 로직을 이용한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상품모델 추천 로직을 이용한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6118A
KR20060126118A KR1020050047787A KR20050047787A KR20060126118A KR 20060126118 A KR20060126118 A KR 20060126118A KR 1020050047787 A KR1020050047787 A KR 1020050047787A KR 20050047787 A KR20050047787 A KR 20050047787A KR 20060126118 A KR20060126118 A KR 20060126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roduct information
search
search result
shopping 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7056B1 (ko
Inventor
이향철
문준혁
박범주
최병훈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50047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056B1/ko
Publication of KR20060126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 등록자가 쇼핑몰 서버에 상품을 등록하는 경우, 자동 상품모델 추천 로직에 따라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자동으로 추천하여 상기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선택된 상품모델 식별자를 소정의 매칭 테이블에 저장한 후, 차후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품 정보를 로딩할 시에 상기 매칭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상품 정보의 해당 상품모델을 자동으로 매칭시킴으로써 상품 정보를 쇼핑몰 중개 서버에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은 소정의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소정의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 또는 상품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명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1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상품명을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제2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질의어 중에서 첫 글자가 알파벳이고, 마지막 글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며,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제3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 고,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색 결과, 상기 제2 검색 결과 및 상기 제3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를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품 정보, 상품모델 자동 추천, 쇼핑몰 중개, 데이터베이스 검색

Description

자동 상품모델 추천 로직을 이용한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 시스템{COMMODITY INFORMATION REGISTERING METHOD AND SYSTEM WHICH USES AUTOMATIC COMMODITY MODEL SUGGESTING LOGIC}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쇼핑몰 중개 서버, 쇼핑몰 서버 및 상품 등록자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쇼핑몰 서버에 상품 정보를 등록하는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쇼핑몰 서버의 상품등록툴에 삽입된 자동 상품모델 추천 로직이 실행되어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자동으로 추천하여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검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질의어를 복수의 토큰들로 분리한 후 다양한 처리 로직을 통해 상품명에 매칭되는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을 수행하여 출력될 수 있는 검색 결과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을 수행하여 출력될 수 있는 검색 결과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검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을 수행하여 출력될 수 있는 검색 결과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매칭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의 구성을 도 시한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0: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
1301: 데이터베이스 1302: 제1 수신부
1303: 검색부 1305: 제시부
1306: 제2 수신부 1307: 저장부
1308: 등록부 1311: 로딩부
1312: 식별부 1313: 매칭부
본 발명은 상품 등록자가 쇼핑몰 서버에 상품을 등록하는 경우, 자동 상품모델 추천 로직에 따라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자동으로 추천하여 상기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선택된 상품모델 식별자를 소정의 매칭 테이블에 저장한 후, 차후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품 정보를 로딩할 시에 상기 매칭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상품 정보의 해당 상품모델을 자동으로 매칭시킴으로써 상품 정보를 쇼핑몰 중개 서버에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핑몰 중개 서비스란 서비스 운영 회사와의 계약을 통해 소정의 중개 웹사이트에 입점한 쇼핑몰들을 상품 구매자에게 중개하는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들 입점 쇼핑몰들이 판매하고 있는 상품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소개하거나 동일 상품에 대한 각 입점 쇼핑몰별 가격을 비교하여 제시하는 등의 다양한 정보를 상품 구매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쇼핑몰 중개 서비스는 입점 쇼핑몰들의 상품을 상품 구매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소개하고 상품 구매자가 특정 입점 쇼핑몰이 판매하고 있는 특정 상품을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된 입점 쇼핑몰로 상기 상품 구매자를 중개하여 상품의 실질적인 판매는 제휴 쇼핑몰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쇼핑몰 중개 서비스를 위해서는 각 입점 쇼핑몰에 등록된 상품 정보가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상품 등록 절차로 (1) 상품 등록자가 입점 쇼핑몰 서버에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상품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 (2) 입점 쇼핑몰 서버에서 쇼핑몰 중개 서버로 등록된 상품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3) 쇼핑몰 중개 서버를 관리하는 담당 부서에서 수작업을 통해 상기 입점 쇼핑몰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품 정보의 상품모델 식별자와 해당 카테고리를 일일이 매칭하여 정리하는 과정, (4) 정리된 상품 정보를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했다.
그 결과, 종래의 상품 등록 절차에서는 상품 등록/매칭 작업에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고, 처리되지 못한 상품 정보의 비율이 등록된 상품 정보의 비율을 넘어서는 등의 작업 리소스의 한계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더욱이, 마켓플레이스 영역의 확대로 상품의 계속적인 증가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종래의 상품 등록 절차를 따를 경우 작업 리소스의 한계는 더욱 분명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 내지 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상품명을 정확히 포함하고 있는 검색 결과만을 출력할 수 있을 뿐, 상품명을 다양한 검색 로직에 따라 복수의 단계를 통해 처리하여 상품명에 매칭될 가능성이 높은 소정 개수의 검색 결과를 출력할 수는 없었다.
그런데, 종래의 쇼핑몰 중개 서버는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바, (1) 상품 등록자가 입점 쇼핑몰 서버를 통해 등록한 상품명이 부정확하거나 그 모델명 필드가 비어있는 경우 매칭되는 상품모델을 검색해내는 것이 불가능하고, (2) 상품모델에 등록된 키워드를 검색하지 않으므로 상품명이 특정 키워드로 등록된 경우 매칭되는 상품모델을 검색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3) 검색 엔진에 따른 검색이 아니므로 한글 상품명을 이용하여 검색하는 것이 용이치 않으며, (4) 상품 등록자가 입점 쇼핑몰 서버를 통해 등록한 상품명에 오탈자가 있는 경우 매칭되는 상품모델을 검색해내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 상품모델 추천 로직에 따라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자동으로 추천하여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선택된 상품모델 식별자를 상기 상품 정보의 해당 상품모델을 자동으로 매칭시킴으 로써 상품 정보를 쇼핑몰 중개 서버에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품명을 정확히 포함하고 있는 검색 결과만 제공하는 종래의 데이터베이스 검색 방법으로부터 탈피하고, 상품명을 다양한 검색 로직에 따라 복수의 단계를 통해 처리하여 상품명에 매칭될 가능성이 높은 소정 개수의 검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 시스템은 쇼핑몰 중개 서버에 상품 정보를 등록함에 있어서 상품 등록/매칭 작업의 자동화를 실현하여 관련 작업 리소스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 시스템은 상품 등록자가 쇼핑몰 서버에 입력한 상품명을 정확하게 분석하여 적절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통해 해당 상품에 맞는 상품모델 식별자 및 카테고리를 자동으로 추천함으로써, 상품 등록자의 쇼핑몰 서버에의 상품 등록 과정에서 상품 등록/매칭 작업이 사전에 수행되고, 차후 쇼핑몰 중개 서버에의 상품 등록 시에는 상품 등록/매칭을 위한 별도의 수작업이 불필요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 시스템은 각 상품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검색 로직을 적용함으로써, 해당 질의어에 매칭될 확률이 높은 상품모델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해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은 소정의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소정의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 또는 상품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명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1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상품명을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제2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질의어 중에서 첫 글자가 알파벳이고, 마지막 글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며,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제3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색 결과, 상기 제2 검색 결과 및 상기 제3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를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은 소정의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소 정의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 또는 상품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명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1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상품명을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한 제2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색 결과 또는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를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상품 식별자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응시켜 소정의 매칭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를 로딩(loading)하는 단계, 상기 매칭 테이블에서 상기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에 대응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식별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자동으로 매칭시켜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쇼핑몰 중개 서버(100), 쇼핑몰 서버(110) 및 상품 등록자(120)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은 소정의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쇼핑몰 중개 서버(100) 및 쇼핑몰 서버(110) 상에서 동작하거나, 쇼핑몰 중개 서버(100) 및 쇼핑몰 서버(110) 중 어느 하나 상에서 동작하면서 나머지 하나의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쇼핑몰 중개 서버(100) 및 쇼핑몰 서버(110)와는 별도로 존재하면서 쇼핑몰 중개 서버(100) 및 쇼핑몰 서버(110)와 상호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소정의 쇼핑몰 중개 서버(100)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고, 소정의 쇼핑몰 서버(110)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 또는 상품명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상품명으로부터 질의어를 추출하고, 상기 질의어를 이용하고 소정의 자동 상품모델 추천 로직을 실행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상품 식별자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를 검색한다. 그 후,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상품 등록자(120)에게 제시하고, 상품 등록자(120)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상품 식별자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응시켜 소정의 매칭 테이블에 저장한다.
상기의 과정을 거친 후,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차후 쇼핑몰 서버(110)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를 로딩할 시에, 상기 매칭 테이블에서 상기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에 대응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를 식별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식별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자동으로 매칭시켜 쇼핑몰 중개 서버(100)에 등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은 소정의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쇼핑몰 중개 서버 및 쇼핑몰 서버상에서, 또는 이들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단계(S201)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소정의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
도 3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301)와, 각 상품모델 식별자(301) 별로 해당 카테고리 식별자(302)와 검색 필드(3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모델 식별자(301)는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각 상품모델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별자(ID)이고, 카테고리 식별자(302)는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일정 기준에 따라 분류한 각 상품모델의 소속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 는 식별자이며, 검색 필드(303)는 질의어를 이용하여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를 검색할 시에 검색 대상이 되는 필드로서 브랜드명, 모델명, 아이템명, 키워드 등의 각 상품모델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카테고리 식별자(302)가 검색 필드(303)와는 별도의 데이터 필드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나,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카테고리 식별자(302)는 별도의 데이터 필드가 아닌 검색 필드(303) 내에 포함되어 기록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단계(S202)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소정의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 또는 상품명을 수신한다.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는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각 상품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식별자로서, 각 쇼핑몰 서버에서는 동일한 상품에 대해서도 서로 상이한 상품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렇게 각 쇼핑몰 서버의 상품 식별자가 서로 상이한 이상 이를 그대로 쇼핑물 중개 서버에 등록할 수 없기 때문에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는 동일한 상품이라면 하나의 상품모델 식별자에 이를 매칭시켜 등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품 식별자는 상품 등록자가 자신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관한 상품 정보를 쇼핑몰 서버에 등록 요청한 경우,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상기 등록 요청된 상품 정보에 대해 상품 식별자(PID: Product ID)를 발급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쇼핑몰 서버에 상품 정보를 등록하는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품 등록자는 도면부호(410)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쇼핑몰 서버에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상품명, 등록카테고리, 상품 판매방식, 상품종류, 제조년월, 상품이미지 등의 상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품 등록자는 도면부호(401)과 같은 선택 화면을 통해 자신이 입력한 상품 정보를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되도록 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상품 정보의 입력과 쇼핑몰 중개 서버에의 등록 여부를 선택한 상품 등록자는 도면부호(402)와 같은 '상품등록' 요청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쇼핑몰 서버에 상품 등록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쇼핑몰 서버는 입력된 상품 정보에 대해 소정의 상품 식별자를 발급하여 쇼핑몰 서버에 등록하는 한편, 상품 등록자에게 도면부호(420)과 같은 등록 완료 화면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상품 등록자가 도면부호(401)과 같은 선택 화면에서 상품 정보의 쇼핑몰 중개 서버에의 등록을 선택하고, 쇼핑몰 서버에의 상품 정보 등록이 완료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와 상품명을 수신하고, 소정의 자동 상품모델 추천 로직을 실행하여 도면부호(430)과 같은 상품모델 추천 화면을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상품모델 추천 화면(430)은 등록 완료 화면(420)에 대한 팝업(pop-up)창의 형식으로 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쇼핑몰 서버의 상품등록툴에 삽입된 자동 상품모델 추천 로직이 실행되어,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자동으로 추천하여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상품모델 추천 화면(430)은 도 5와 같은 상품등록툴의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단계(S20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명을 이용하여, 상기 상품명으로부터 질의어를 추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로부터 도면부호(501)과 같은 상품명을 수신하고, 상기 상품명으로부터 질의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S204)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질의어를 이용하고 소정의 자동 상품모델 추천 로직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상품 식별자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를 검색한다.
이하에서는 단계(S203)과 단계(S204)에 의한 구체적인 데이터베이스 검색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S601)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품명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1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품명에서 ' ', '/', '-', '+' 등을 제거하여 상기 제1 질의어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제1 질의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602)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기준치는 2 내지 10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기준치가 5인 경우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단계(S602)에서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5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음 단계의 진행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S602)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610)로 진행하여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로서 출력하게 되지만, 단계(S602)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S603)으로 진행한다.
단계(S603)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상품명을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만 이루어진 단어를 제2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품명을 ' '로 분리하고 알파벳, 숫자, '/', '-', '+' 로만 이루어진 단어들을 상기 제2 질의어로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영단어들이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가정하에 수행되는 것이며, 상기 가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검색에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단어들이 제 거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단계(S604)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례로 상기 기준치가 5인 경우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단계(S604)에서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5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음 단계의 진행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S604)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610)로 진행하여 상기 제1 검색 결과와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로서 출력하게 되지만, 단계(S604)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S605)로 진행한다.
단계(S605)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제2 질의어 중에서 첫 글자가 알파벳이고, 마지막 글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며,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제3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이 경우,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복수개 존재하는 상기 제3 질의어를 길이에 따른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순서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질의어를 복수의 토큰들로 분리한 후 다양한 처리 로직을 통해 상품명에 매칭되는 검색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단계(S701) 내지 단계(S708)은 도 1의 단계(S605)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S701)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제3 질의어를 알파벳끼리 혹은 숫자끼리의 그룹으로 된 토큰들로 분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DGB-020BE 라는 제3 질의어를 'DGB' '020' 'BE'와 같이 알파벳끼리 혹은 숫자끼리의 그룹으로 된 복수의 토큰들로 분리할 수 있다.
단계(S702)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토큰들을 스페이스 ' ' 로 연결하여 제4 질의어를 생성하고, 단계(S703)에서 상기 제4 질의어에 포함된 상기 토큰들의 수를 상기 제4 질의어의 후단에서부터 줄여가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반복적으로 검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DGB 020 BE', 'DGB 020', 'DGB'의 순서대로 상기 제4 질의어에 포함된 토큰들의 수를 후단에서부터 줄여나가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반복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단계(S704)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단계(S703)의 수행 중 남은 토큰들이 알파벳끼리의 그룹으로 된 토큰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704)에서의 판단 결과 남은 토큰들이 알파벳끼리의 그룹으로 된 토큰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706)으로 진행하여 검색 결과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지만, 단계(S704)에서의 판단 결과 남은 토큰들이 알파벳끼리의 그 룹으로 된 토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단계(S705)로 진행한다.
단계(S705)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남은 토큰들 사이의 스페이스를 제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KTF-X5500라는 제3 질의어를 단계(S701)에서 'KTF' 'X' '5500'과 같이 알파벳끼리 혹은 숫자끼리의 그룹으로 된 복수의 토큰들로 분리하고, 단계(S702)에서 상기 토큰들을 스페이스로 연결하여 'KTF X 5500'과 같은 제4 질의어를 생성하고, 단계(S703)에서 상기 제4 질의어의 후단에서부터 토큰을 줄여나가며 'KTF X 5500', 'KTF X'로 검색하던 도중, 단계(S704)에서 'KTF X'와 같이 남은 토큰들이 알파벳끼리의 그룹으로 된 토큰인 것으로 판단하면, 단계(S705)에서 상기 남은 토큰들 사이의 스페이스를 제거하여 'KTFX'를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S706)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단계(S705)에서의 검색 과정의 수행 중 검색 결과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검색 결과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S707)에서 상기 검색 과정을 중단한다. 그러나, 검색 결과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단계(S703)으로 진행하여 상기 검색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앞의 예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단계(S705)에서 'KTFX'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지만, 단계(S706)에서의 판단 결과 검색 결과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단계(S703)으로 진행하여 'KTF X', 'KTF'와 같이 다시 후단부터 토큰의 수를 줄여가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반복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단계(S703) 내지 단계(S705)의 수행 도중, 단계(S706)에서 검색 결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단계(S707)에서 상기 반복 검색 과정을 중단하고, 존재하는 검색 결과를 단계(S708)에서 상기 제3 검색 결과로 생성한다.
이상 도 7을 참조하여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단계(S605)의 세부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단계(S606)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제1 내지 제3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례로 상기 기준치가 5인 경우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단계(S606)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5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음 단계의 진행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S606)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내지 제3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610)로 진행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검색 결과를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로서 출력하게 되지만, 단계(S606)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내지 제3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S607)로 진행한다.
단계(S607)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상품명을 소정의 엔진 색인기를 이용하여 토큰 분리하고, 상기 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4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단계(S608)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제1 내지 제4 검색 결과 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608)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내지 제4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610)로 진행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검색 결과를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로서 출력하게 되지만, 단계(S608)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내지 제4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S609)로 진행한다.
단계(S609)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토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5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즉,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지금까지의 검색 결과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토큰들이 하나라도 들어 있는 단어들에 대해서 모두 검색을 수행한다.
단계(S610)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제1 내지 제5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상품명에 매칭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로 출력하며, 단계(S610)는 도 2의 단계(S207)에 해당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을 수행하여 출력될 수 있는 검색 결과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쇼핑몰 중개 서버는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바, 상품 등록자가 입점 쇼핑몰 서버를 통해 등록한 상품의 상품명이 부정확하거나 그 모델명 필드가 비어있는 경우 매칭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검색해내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도면부호(80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검색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부호(801)과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모델명 필드가 비어있는 경우 에는 매칭 작업에 실패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모델명 필드가 비어있는 경우에도 상품명(802)을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다양한 검색 로직에 따라 처리하여 검색을 수행하므로, 도면부호(803)과 같이 상품명(802)에 매칭되는 상품모델을 정확히 검색해낼 수 있다.
즉, 도 8에서 상품명(802)은 "[무이자6개월/5%즉시할인]휴대용 멀티미디어 레코더(PMP) AV340R (40GB)"인데, 이를 단계(S605)를 통해 처리하면, 우선 상품명(802)을 스페이스로 쪼개고, 다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로만 이루어진 단어를 추출하고, 또 다시 첫글자는 알파벳이고 마지막 글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며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가 제3 질의어가 된다. 따라서, 상품명(802)을 단계(S605)에 의해 처리하여 생성된 제3 질의어는 'AV340R'로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제3 질의어인 'AV340R'를 단계(S701)에서 알파벳끼리 혹은 숫자끼리의 그룹으로 된 토큰들로 나누고 단계(S702)에서 이 토큰들을 스페이스로 연결하여 제4 질의어를 생성한다. 따라서, 제4 질의어는 'AV 340 R'로 결정된다.
또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단계(S703)에서 제4 질의어의 후단에서부터 토큰들의 수를 줄여나가면서 데이터베이스를 반복적으로 검색한다. 따라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AV 340 R', 'AV 340', 'AV'의 순서로 데이터베이스를 반복적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 도중 검색 결과가 존재하면(S706) 반복 검색을 중단하고(S707) 그 검색 결과를 제3 검색 결과로 생성할 수 있다(S708).
도 8을 참조하면 도면부호(803)에서 상품모델 식별자가 "AV340(40G)"인 검색 결과가 출력되었는바,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AV 340'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후 상품모델 식별자가 "AV340(40G)"인 검색 결과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반복 검색을 중단하고 이를 검색 결과 화면에 출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델명 필드가 비어있는 경우에도 상품명(802)을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다양한 검색 로직에 따라 처리하여 검색을 수행하므로, 도면부호(803)과 같이 상품명(802)에 매칭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정확히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을 수행하여 출력될 수 있는 검색 결과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쇼핑몰 중개 서버는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바, 상품 등록자가 입점 쇼핑몰 서버를 통해 등록한 상품의 상품명에 오탈자가 있는 경우 매칭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검색해내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명에 오탈자가 있는 경우에도 상품명(901)을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다양한 검색 로직에 따라 처리하여 검색을 수행하므로, 도면부호(902)와 같이 상품명(901)에 매칭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정확히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다양한 검색 로직에 따른 검색 과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상품모델 식별자는 가전/컴퓨터 계열로 분류된 상품모델의 식별자일 수 있다.
가전/컴퓨터 계열로 분류된 상품모델의 경우, 그 상품모델 식별자가 대부분 알파벳, 숫자, 특수기호의 조합으로 되어 있고, 한글의 경우 대부분 제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한 경우가 많으므로, 도 6과 도 7에 도시된 검색 과정에 따른 검색이 수행될 시에 매우 적합한 검색 결과가 출력될 가능성이 높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검색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검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1001)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품명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1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단계(S1002)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상기 기준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1002)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1006)으로 진행하여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로서 출력하게 되지만, 단계(S1002)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S1003)으로 진행한다.
단계(S1003)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상품명을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한 제2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단계(S1004)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제1 검색 결과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1004)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검색 결과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1006)으로 진행하여 상기 제1 검색 결과와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로서 출력하게 되지만, 단계(S1004)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검색 결과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S1005)로 진행한다.
단계(S1005)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상품명을 형태소 분석하여 생성된 제3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단계(S1006)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제1 내지 제3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상품명에 매칭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로 출력하며, 단계(S1006)는 도 2의 단계(S207)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검색 로직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상품모델 식별자는 화장품, 분유, 기저귀, 또는 기타 일반상품 계열로 분류된 상품모델의 식별자일 수 있다.
화장품, 분유, 기저귀, 또는 기타 일반상품 계열로 분류된 상품모델의 경우, 그 상품모델 식별자가 대부분 한글명인 경우가 많으므로, 도 6과 도 7에 따른 검색 과정 보다는 도 10에 따른 검색이 수행될 시에 매우 적합한 검색 결과가 출력될 가능성이 높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을 수행하여 출력될 수 있는 검 색 결과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쇼핑몰 중개 서버는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나, 검색 엔진에 따른 검색이 아니므로 한글 상품명을 이용하여 검색하는 것이 용이치 않았으며, 화장품, 분유 등의 경우 한글 상품명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종래기술에 따라 검색 결과를 출력해내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한글 상품명 검색의 경우에도 상품명(1101)을 도 10에 도시된 다양한 검색로직에 따라 처리하여 검색을 수행하므로, 도면부호(1102)와 같이 상품명(1101)에 매칭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정확히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S207)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도면부호(502)와 같은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단계(S208)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한 선택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는 "DSC-W12"가 상품 등록자로부터 선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단계(S203)에서 상품명으로부터 질의어가 추출된 경우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만일 단계(S203)에서 특수한 사정으로 인해 상품명으 로부터 질의어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질의어 수동 입력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경우, 또는 단계(S208)에서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한 선택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205)와 단계(S206)에 의한 수동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S205)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상품모델 식별자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수동으로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도 5의 도면부호(503)과 같은 검색창을 통해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키워드를 수동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단계(S206)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입력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상품 식별자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모델 식별자를 검색하고, 단계(S207)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상기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며, 단계(S208)에서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품 등록자로부터 선택된 상품모델 식별자에 상품 정보를 자동으로 매칭시켜서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S209)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단계(S202)에서 수신된 쇼핑몰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 식별자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응시켜 소정의 매칭 테이블에 저장한다.
도 12는 상기 매칭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매칭 테이블은 쇼핑몰 식별자(1201), 상품 식별자(1202), 상품모델 식별자(1203), 카테고리 식별자(1204)를 포함할 수 있다.
쇼핑몰 식별자(1201)는 상품 정보의 출처가 되는 각 쇼핑몰 서버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단계(S202)에서 상품 식별자(1202)와 함께 수신될 수 있고, 상품 식별자(1202)는 상기 각 쇼핑몰 서버에서 각 상품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식별자로서 등록 요청된 상품 정보에 대해 발급된다.
또한, 상품모델 식별자(1203)는 복수의 각 쇼핑몰 서버를 중개하는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각 상품모델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별자이고, 카테고리 식별자(1204)는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일정 기준에 따라 분류한 각 상품모델의 소속 카테고리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별자이다.
도 12를 예로 들면, "GS shop"이라는 쇼핑몰 식별자(1201)를 갖는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1202) "phone_123a"는,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1203) "KTF-X5500" 및 해당 카테고리 식별자(1204) "가전.핸드폰 > 핸드폰/PDA/네비게이션 > 핸드폰"에 대응하여 매칭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S210)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를 로딩(loading)하며, 이 경우 상기 매칭 테이블을 참조하여 단계(S211)에서 상기 매칭 테이블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에 대응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를 식별한다.
도 12를 예로 들면, 단계(S210)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이 "GS shop"이라는 쇼핑몰 식별자(1201)를 갖는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품 식별자(1202)가 "phone_123a"인 상품 정보를 로딩하는 경우,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단계(S211)에서 상기 매칭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품 식별자(1202) "phone_123a"에 대응하는 쇼핑몰 중개 서버의 상품모델 식별자(1203)로 "KTF-X5500"를, 쇼핑몰 중개 서버의 해당 카테고리 식별자(1204)로 "가전.핸드폰 > 핸드폰/PDA/네비게이션 > 핸드폰"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S212)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식별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자동으로 매칭시켜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한다. 이 경우,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식별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뿐만 아니라 상기 식별된 해당 카테고리 식별자에 자동으로 매칭시켜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1300)은 데이터베이스(1301), 제1 수신부(1302), 검색부(1303), 제시부(1305), 제2 수신부(1306), 저장부(1307), 등록부(1308)를 포함할 수 있고, 검색부(1303)는 제1 검색부(1321), 제2 검색부(1322), 제3 검색부(1323)를 포함할 수 있고, 등록부(1308)는 로딩부(1311), 식별부(1312), 매칭부(1313)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1)는 소정의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포함하여 유지한다.
제1 수신부(1302)는 소정의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 또는 상품명을 수신한다.
제1 검색부(1321)는 상기 상품명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1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제2 검색부(1322)는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상품명을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제2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제3 검색부(1323)는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질의어 중에서 첫 글자가 알파벳이고, 마지막 글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며,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제3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또한, 제3 검색부(803)는 도 7에 도시된 단계(S701) 내지 단계(S708)을 수행할 수 있다.
제시부(1305)는 상기 제1 검색 결과, 상기 제2 검색 결과 및 상기 제3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를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한다.
제2 수신부(1306)는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한 선택을 수신한다.
저장부(1307)는 쇼핑몰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 식별자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응시켜 소정의 매칭 테이블에 저장한다.
등록부(1308)는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역할을 하며, 구체적으로 로딩부(1311), 식별부(1312), 매칭부(1313)를 포함할 수 있다.
로딩부(1311)는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를 로딩(loading)하며, 이 경우 식별부(1312)는 상기 매칭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매칭 테이블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에 대응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를 식별한다.
매칭부(1313)는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식별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자동으로 매칭시켜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한다. 이 경우, 매칭부(1313)는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식별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뿐만 아니라 상기 식별된 해당 카테고리 식별자에 자동으로 매칭시켜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을 도 13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1300)도 데이터베이스(1301), 제1 수신부(1302), 검색부(1303), 제시부(1305), 제2 수신부(1306), 저장부(1307), 등록부(1308)를 포함할 수 있고, 검색부(1303)는 제1 검색부(1321), 제2 검색부(1322), 제3 검색부(1323)를 포함할 수 있고, 등록부(1308)는 로딩부(1311), 식별부(1312), 매칭부(13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다른 구성요소의 동작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나, 제1 검색부(1321), 제2 검색부(1322), 제3 검색부(1323)의 동작만이 다소 상이하므로, 이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제1 검색부(1321)는 상품명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1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제2 검색부(1322)는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상품명을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한 제2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제3 검색부(1323)는 상기 제1 검색 결과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상품명을 형태소 분석하여 생성된 제3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1400)은 데이터베이스(1401), 제1 수신부(1402), 분리부(1421), 결정부(1423), 검색부(1403), 제시부(1405), 제2 수신부(1406), 저장부(1407), 등록부(1408)를 포함할 수 있고, 등록부(1408)는 로딩부(1411), 식별부(1412), 매칭부(14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다른 구성요소의 동작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나, 분리부(1421), 결정부(1423), 검색부(1403), 제시부(1405)의 동작만이 다소 상이하므로, 이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분리부(1421)는 상품명을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한다.
결정부(1423)는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만 이루어진 단어를 검색 질의어로 결정한다.
검색부(1403)는 상기 검색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 고,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제시부(1405)는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상품명에 매칭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로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을 도 14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1400)은 데이터베이스(1401), 제1 수신부(1402), 분리부(1421), 추출부(1422), 결정부(1423), 검색부(1403), 제시부(1405), 제2 수신부(1406), 저장부(1407), 등록부(1408)를 포함할 수 있고, 등록부(1408)는 로딩부(1411), 식별부(1412), 매칭부(14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다른 구성요소의 동작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나, 추출부(1422), 결정부(1423), 검색부(1403), 제시부(1405)의 동작만이 다소 상이하므로, 이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추출부(1422)는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만 이루어진 단어를 추출한다.
결정부(1423)는 상기 추출된 단어 중에서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고,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검색 질의어로 결정한다.
검색부(1403)는 상기 검색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생성한다.
제시부(1405)는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상품명에 매칭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로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을 도 14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1400)은 데이터베이스(1401), 제1 수신부(1402), 분리부(1421)와 추출부(1422)를 포함하는 토큰 생성부(1410), 결정부(1423), 검색부(1403), 제시부(1405), 제2 수신부(1406), 저장부(1407), 등록부(1408)를 포함할 수 있고, 등록부(1408)는 로딩부(1411), 식별부(1412), 매칭부(14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다른 구성요소의 동작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나, 분리부(1421)와 추출부(1422)를 포함하는 토큰 생성부(1410), 결정부(1423), 검색부(1403), 제시부(1405)의 동작만이 다소 상이하므로, 이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토큰 생성부(1410)는 상품명을 소정의 분리 로직에 따라 처리하여 복수의 토큰들을 생성한다.
토큰 생성부(1410)는 상품명을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는 분리부(1421)와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만 이루어진 단어를 추출하는 추출부(14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된 단어를 알파벳끼리 혹은 숫자끼리의 그룹으로 된 복수의 토큰들로 분리하거나, 상기 추출된 단어를 특수문자로 분리하여 복수의 토큰들을 생성할 수 있다.
결정부(1423)는 상기 복수의 토큰들을 스페이스로 연결하여 검색 질의어로 결정한다.
검색부(1403)는 상기 검색 질의어에 포함된 상기 토큰들의 수를 상기 검색 질의어의 후단에서부터 줄여가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반복적으로 검색하고, 검 색 결과를 생성한다.
제시부(1405)는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상품명에 매칭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로 출력한다.
이상에서는 쇼핑몰 서버의 상품 식별자와 쇼핑몰 중개 서버의 상품모델 식별자를 매칭시킴으로써 쇼핑몰 서버로부터 로딩된 상품 정보를 쇼핑몰 중개 서버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쇼핑몰 서버의 상품 식별자와 쇼핑몰 중개 서버의 카테고리 식별자를 매칭시킴으로써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로딩된 상품 정보를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 경우, 양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 의해서 각각 수행되거나 또는 함께 연동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은 소정의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쇼핑몰 중개 서버 및 쇼핑몰 서버상에서, 또는 이들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단계(S1501)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소정의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카테고리 식별자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는 도 3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S1502)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소정의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 또는 카테고리명을 수신한다.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는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각 상품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식별자로서, 각 쇼핑몰 서버에서는 동일한 상품에 대해서도 서로 상이한 상품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렇게 각 쇼핑몰 서버의 상품 식별자가 서로 상이한 이상 이를 그대로 쇼핑물 중개 서버에 등록할 수 없기 때문에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는 동일한 상품이라면 하나의 카테고리 식별자에 이를 매칭시켜 등록할 필요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품 등록자가 도면부호(401)과 같은 선택 화면에서 상품 정보의 쇼핑몰 중개 서버에의 등록을 선택하고, 쇼핑몰 서버에 상품 정보 등록이 완료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와 카테고리명을 수신하고, 소정의 자동 카테고리 추천 로직을 실행하여 도면부호(430)과 같은 카테고리 추천 화면을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카테고리 추천 화면(430)은 등록 완료 화면(420)에 대한 팝업(pop-up)창의 형식으로 제시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도면부호(430)은 실시예에 따라 상품모델 추천 화면 또는 카테고리 추천 화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또는 상품모델 추천과 카테고리 추천이 도면부호(430)와 같은 하나의 화면 상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쇼핑몰 서버의 상품등록툴에 삽입된 자동 카테고리 추천 로직이 실행되어,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카테고리 식 별자를 자동으로 추천하여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카테고리 추천 화면(430)은 도 5와 같은 상품등록툴의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단계(S1503)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카테고리명을 이용하여, 상기 카테고리명으로부터 카테고리 키워드를 추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로부터 도면부호(501)과 같은 카테고리명을 수신하고, 상기 카테고리명으로부터 카테고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부호(50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테고리명이 "가전/생활/디카/광학줌디카"인 경우,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카테고리명으로부터 "가전", "생활", "디카", 또는 "광학줌" 등과 같은 카테고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S1504)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카테고리 키워드를 이용하고 소정의 자동 카테고리 추천 로직에 기초하여,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상품 식별자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추천 카테고리 식별자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필드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추출된 "가전", "생활", "디카", 또는 "광학줌"과 같은 카테고리 키워드에 매칭되는 항목이 포함된 검색 필드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식별자를 식별해낼 수 있다.
단계(S1505)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카테 고리 식별자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도면부호(504)와 같은 카테고리 식별자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도면부호(504)를 참조하면, "가전", "생활", "디카", 또는 "광학줌"과 같은 카테고리 키워드를 이용하여 "가전/영상음향/디지털카메라/광학줌카메라", " 가전/영상음향/디지털카메라/일반카메라", "가전/영상음향/디지털카메라/카메라악세사리"와 같은 추천 카테고리 식별자를 검색하고, 이를 검색 결과로서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단계(S1506)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 식별자에 대한 선택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는 "가전/영상음향/디지털카메라/광학줌카메라"가 상품 등록자로부터 선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단계(S1503)에서 카테고리명으로부터 카테고리 키워드가 추출된 경우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만일 단계(S1503)에서 특수한 사정으로 인해 카테고리명으로부터 카테고리 키워드가 추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카테고리 수동 입력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경우, 또는 단계(S1506)에서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추천 카테고리 식별자에 대한 선택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S1507)과 단계(S1508)에 의한 수동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S1507)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카테고리 식별자를 상기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도 5의 도면부호(505)와 같은 '수동입력' 버튼이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클릭되는 경우 상기 상품 등록자에게 상기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카테고리 식별자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508)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상기 제시된 카테고리 식별자 중 특정 카테고리 식별자에 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품 등록자로부터 선택된 카테고리 식별자에 상품 정보를 자동으로 매칭시켜서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S1509)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단계(S1502)에서 수신된 쇼핑몰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 식별자를 상기 선택된 추천 카테고리 식별자에 대응시켜 소정의 매칭 테이블에 저장한다.
단계(S1510)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를 로딩(loading)하며, 이 경우 상기 매칭 테이블을 참조하여 단계(S1511)에서 상기 매칭 테이블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에 대응하는 추천 카테고리 식별자를 식별한다.
단계(S1512)에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은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식별된 추천 카테고리 식별자에 자동으로 매칭시켜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 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카테고리 식별자를 추천하고 상품 정보를 여기에 자동으로 매칭시켜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1600)은 데이터베이스(1601), 제1 수신부(1602), 추출부(1603), 검색부(1604), 제시부(1605), 제2 수신부(1606), 저 장부(1607), 등록부(1608)를 포함할 수 있고, 등록부(1608)는 로딩부(1611), 식별부(1612), 매칭부(16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1601)는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이며, 소정의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카테고리 식별자를 포함하여 유지한다. 데이터베이스(1601)는 도 3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수신부(1602)는 소정의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 또는 카테고리명을 수신하고, 추출부(1603)는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카테고리명을 이용하여, 상기 카테고리명으로부터 카테고리 키워드를 추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수신부(1602)는 상기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로부터 도면부호(501)과 같은 카테고리명을 수신하고, 추출부(1603)는 상기 카테고리명으로부터 카테고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부호(50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테고리명이 "가전/생활/디카/광학줌디카"인 경우, 추출부(1603)는 상기 카테고리명으로부터 "가전", "생활", "디카", 또는 "광학줌" 등과 같은 카테고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검색부(1604)는 상기 카테고리 키워드를 이용하고 소정의 자동 카테고리 추천 로직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1601)에서 상기 상품 식별자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추천 카테고리 식별자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검색부(1604)는 데이터베이스(1601)의 검색 필드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추출된 "가전", "생활", "디카", 또는 "광학줌"과 같은 카테고리 키워드에 매칭되는 항목이 포함된 검색 필드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식별자를 식별해낼 수 있다.
제시부(1605)는 상기 하나 이상의 추천 카테고리 식별자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제시부(1605)는 도면부호(504)와 같은 카테고리 식별자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도면부호(504)를 참조하면, 제시부(1605)는 "가전", "생활", "디카", 또는 "광학줌"과 같은 카테고리 키워드를 이용하여 검색된 "가전/영상음향/디지털카메라/광학줌카메라", " 가전/영상음향/디지털카메라/일반카메라", "가전/영상음향/디지털카메라/카메라악세사리"와 같은 추천 카테고리 식별자를 검색 결과로서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2 수신부(1606)는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카테고리 식별자에 대한 선택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는 "가전/영상음향/디지털카메라/광학줌카메라"가 상품 등록자로부터 선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저장부(1607)는 쇼핑몰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 식별자를 상기 선택된 추천 카테고리 식별자에 대응시켜 소정의 매칭 테이블에 저장한다.
등록부(1608)는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선택된 추천 카테고리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역할을 하며, 구체적으로 로딩부(1611), 식별부(1612), 매칭부(1613)를 포함할 수 있다.
로딩부(1611)는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를 로딩(loading)하며, 이 경우 식별부(1612)는 상기 매칭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매칭 테이블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에 대응하는 추천 카테고리 식별자를 식별한다.
매칭부(1613)는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식별된 추천 카테고리 식별자에 자동으로 매칭시켜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17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1720)과 롬(ROM: Read Only Memory)(17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7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7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17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17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1720) 및 롬(17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17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17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17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17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7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7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17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 상품모델 추천 로직에 따라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자동으로 추천하여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선택된 상품모델 식별자를 상기 상품 정보의 해당 상품모델을 자동으로 매칭시킴으로써 상품 정보를 쇼핑몰 중개 서버에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명을 정확히 포함하고 있는 검색 결과만 제공하는 종래의 데이터베이스 검색 방법으로부터 탈피하고, 상품명을 다양한 검색 로직에 따라 복수의 단계를 통해 처리하여 상품명에 매칭될 가능성이 높은 소정 개수의 검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쇼핑몰 중개 서버에 상품 정보를 등록함에 있어서 상품 등록/매칭 작업의 자동화를 실현하여 관련 작업 리소스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상품 등록자가 쇼핑몰 서버에 입력한 상품명을 정확하게 분석하여 적절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통해 해당 상품에 맞는 상품모델 식별자 및 카테고리를 자동으로 추천함으로써, 상품 등록자의 쇼핑몰 서버에의 상품 등록 과정에서 상품 등록/매칭 작업이 사전에 수행되고, 차후 쇼핑몰 중개 서버에의 상품 등록 시에는 상품 등록/매칭을 위한 별도의 수작업이 불필요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각 상품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검색 로직을 적용함으로써, 해당 질의어에 매칭될 확률이 높은 상품모델을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해낼 수 있다.

Claims (25)

  1.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 의한 상품 정보 등록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소정의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 또는 상품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명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1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상품명을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제2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질의어 중에서 첫 글자가 알파벳이고, 마지막 글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며,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제3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색 결과, 상기 제2 검색 결과 및 상기 제3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를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식별자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응시켜 소정의 매칭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를 로딩(loading)하는 단계;
    상기 매칭 테이블에서 상기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에 대응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식별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자동으로 매칭시켜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상품명을 소정의 엔진 색인기를 이용하여 토큰 분리하고, 상기 토큰을 이용하여 상 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4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는 상기 제4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토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5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는 상기 제5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질의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복수의 상기 제3 질의어를 길이에 따른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된 순서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질의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3 질의어를 알파벳끼리 혹은 숫자끼리의 그룹으로 된 토큰들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토큰들을 스페이스로 연결하여 제4 질의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4 질의어에 포함된 상기 토큰들의 수를 상기 제4 질의어의 후단에서부터 줄여가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반복적으로 검색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과정의 수행 중 검색 결과가 있는 경우, 이를 상기 제3 검색 결과로 생 성하고 상기 과정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과정의 수행 중 남은 토큰들이 알파벳끼리의 그룹으로 된 토큰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남은 토큰들 사이의 스페이스를 제거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모델 식별자는 가전/컴퓨터 계열로 분류된 상품모델의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11.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 의한 상품 정보 등록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소정의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 또는 상품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명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1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상품명을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한 제2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검색 결과 또는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를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상품명을 형태소 분석하여 생성된 제3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는 상기 제3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모델 식별자는 화장품, 분유, 기저귀, 또는 기타 일반상품 계열로 분류된 상품모델의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14.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 의한 상품 정보 등록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소정의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 또는 상품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명을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검색 질의어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검색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를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15.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 의한 상품 정보 등록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소정의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 또는 상품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명을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단어 중에서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고,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검색 질의어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검색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를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16.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 의한 상품 정보 등록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소정의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 또는 상품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명을 소정의 분리 로직에 따라 처리하여 복수의 토큰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토큰들을 스페이스로 연결하여 검색 질의어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검색 질의어에 포함된 상기 토큰들의 수를 상기 검색 질의어의 후단에서부터 줄여가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반복적으로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를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명을 소정의 분리 로직에 따라 처리하여 복수의 토큰들을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품명을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단어를 알파벳끼리 혹은 숫자끼리의 그룹으로 된 복수의 토큰들로 분리하거나, 상기 추출된 단어를 특수문자로 분리하여 복수의 토큰들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9.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소정의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 또는 상품명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상품명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1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제1 검색부;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상품명을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제2 질의어로 하 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제2 검색부;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와 상기 제2 검색 결과의 개수의 합이 상기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질의어 중에서 첫 글자가 알파벳이고, 마지막 글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며,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제3 질의어로 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3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제3 검색부;
    상기 제1 검색 결과, 상기 제2 검색 결과 및 상기 제3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를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는 제시부;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제2 수신부;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등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식별자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응시켜 소정의 매칭 테이블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록부는,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를 로딩(loading)하는 로딩부;
    상기 매칭 테이블에서 상기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에 대응하는 추천 상품 모델 식별자를 식별하는 식별부;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식별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자동으로 매칭시키는 매칭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
  21.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소정의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 또는 상품명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상품명에서 스페이스 또는 특수문자를 제거한 제1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1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제1 검색부;
    상기 제1 검색 결과의 개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상품명을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한 제2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제2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제2 검색부;
    상기 제1 검색 결과 또는 상기 제2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를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는 제시부;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제2 수신부;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쇼핑 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등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
  22.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소정의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 또는 상품명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상품명을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검색 질의어로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검색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를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는 제시부;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제2 수신부;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등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
  23.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소정의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 또는 상품명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상품명을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단어 중에서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고, 적어도 하나의 숫자를 포함하는 단어를 검색 질의어로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검색 질의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를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는 제시부;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제2 수신부;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등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
  24.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쇼핑몰 중개 서버에서 사용되는 상품모델 식별자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소정의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상품 정보의 상품 식별자 또는 상품명을 수신하는 제1 수신부;
    상기 상품명을 소정의 분리 로직에 따라 처리하여 복수의 토큰들을 생성하는 토큰 생성부;
    상기 복수의 토큰들을 스페이스로 연결하여 검색 질의어로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검색 질의어에 포함된 상기 토큰들의 수를 상기 검색 질의어의 후단에서부터 줄여가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반복적으로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의 리스트를 상품 등록자에게 제시하는 제시부;
    상기 상품 등록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제2 수신부; 및
    상기 상품 정보를 상기 선택된 추천 상품모델 식별자와 연관하여 상기 쇼핑몰 중개 서버에 등록하는 등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생성부는,
    상품명을 스페이스에 따라 복수의 단어로 분리하는 분리부; 및
    상기 복수의 단어 중에서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추출하는 추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된 단어를 알파벳끼리 혹은 숫자끼리의 그룹으로 된 복수의 토큰들로 분리하거나, 상기 추출된 단어를 특수문자로 분리하여 복수의 토큰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등록 시스템.
KR1020050047787A 2005-06-03 2005-06-03 자동 상품모델 추천 로직을 이용한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시스템 KR101137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787A KR101137056B1 (ko) 2005-06-03 2005-06-03 자동 상품모델 추천 로직을 이용한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787A KR101137056B1 (ko) 2005-06-03 2005-06-03 자동 상품모델 추천 로직을 이용한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118A true KR20060126118A (ko) 2006-12-07
KR101137056B1 KR101137056B1 (ko) 2012-04-20

Family

ID=37730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787A KR101137056B1 (ko) 2005-06-03 2005-06-03 자동 상품모델 추천 로직을 이용한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70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070A (ko) * 2015-07-21 2017-02-02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키워드 광고 랜딩 페이지 설정 방법, 키워드 광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42888A (ko) * 2016-10-18 2018-04-27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검색광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갖는 검색광고 서비스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색광고 정보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065B1 (ko) * 1997-10-14 2001-05-02 정선종 전자상거래상품정보검색용자연언어질의어처리방법
KR100491250B1 (ko) * 2002-09-04 2005-05-25 차상영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070A (ko) * 2015-07-21 2017-02-02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키워드 광고 랜딩 페이지 설정 방법, 키워드 광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42888A (ko) * 2016-10-18 2018-04-27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검색광고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갖는 검색광고 서비스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색광고 정보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7056B1 (ko) 201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406B1 (ko) 카테고리별 검색 로직을 이용한 상품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0705410B1 (ko) 상품모델과 카테고리를 자동으로 매칭시키는 상품 정보등록 방법 및 시스템
US7096218B2 (en) Search refinement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1395605B (zh) 比较性web搜索
JP3597370B2 (ja) 文書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4962967B2 (ja) Webページ検索サーバ及びクエリ推薦方法
US7702700B2 (en) Automatic matching method and automatic matching system
US20070016581A1 (en) Category setting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JP5027803B2 (ja) クエリマッチング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CN112269816B (zh) 一种政务预约事项相关性检索方法
KR20140019987A (ko) 토픽 맵 기반 온라인 중고 상품 거래 시스템, 상품 목록 추가 방법, 상품 검색 방법 및 키워드 확장 방법
KR101137056B1 (ko) 자동 상품모델 추천 로직을 이용한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시스템
KR100709984B1 (ko) 질의어를 다양한 로직에 따라 처리하여 매칭되는 결과를출력하는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시스템
JP4852834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要件設計支援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105947B1 (ko) 상품모델을 자동으로 매칭시키는 상품 정보 등록 방법 및시스템
CN104376034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107548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a database having data sets
JP2019133367A (ja) 営業支援装置及び方法
KR100769465B1 (ko) 카테고리 매칭을 이용한 질의어 매칭 방법 및 질의어 매칭시스템
WO2017199415A1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2013545190A (ja) 商品情報検索
KR100623628B1 (ko) 질의어 매칭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070233657A1 (en) Searching method for a patent database system and generating a brief from of search results
JPH11338873A (ja) 再検索方法及び装置及び再検索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及び追加検索語候補提示方法及び装置及び追加検索語候補提示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CN110704729A (zh) 应用搜索方法及云端服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