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6013A -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 및 그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 및 그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6013A
KR20060126013A KR1020050047572A KR20050047572A KR20060126013A KR 20060126013 A KR20060126013 A KR 20060126013A KR 1020050047572 A KR1020050047572 A KR 1020050047572A KR 20050047572 A KR20050047572 A KR 20050047572A KR 20060126013 A KR20060126013 A KR 20060126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temperature
air pollution
home automat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현기
이지수
Original Assignee
한솔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건설(주) filed Critical 한솔건설(주)
Priority to KR1020050047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6013A/ko
Publication of KR20060126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공동 주택이나 오피스텔에 설치되어 가전제품 및 디지털 제품의 동작여부를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홈오토메이션에 있어서, 상기 홈오토메이션에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측정부와, 상기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설정 값과 비교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상기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홈오토메이션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측정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가 설정 값을 벗어날 경우 음성으로 통보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부와, 상기 측정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통해 에어컨, 전동창문, 가습기, 보일러, 공기청정기 등을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가동시키는 연동 모드 선택부로 이루어진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홈오토메이션, 온도/습도/공기오염도 측정부, 디스플레이부, 연동모드선택부

Description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 및 그 운용방법{Home automation having combining function of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의 운용방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
100: 홈오토메이션 101: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측정부
102: 제어부 103: 디스플레이부
104: 스피커부 105: 연동모드 선택부
본 발명은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에 대해 상시 확인을 하는 것이 어려움으로 홈오토메이션에 그 기능을 내장시켜 홈오토메이션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하고 설정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에 도달 시 음성 및 화면에 문자로 상태를 알리는 기능과 동시에 연동이 가능한 에어컨, 전동창문, 가습기, 보일러, 공기청정기 등이 가동되도록 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도록 하는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오토메이션은 가정내에 존재하는 가전제품 및 디지털 제품의 동작여부를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홈오토메이션은 자동으로 기기들을 조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람들에게 많은 편리함을 주었지만, 실내 환경 관리에 대해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등을 측정하여 실내 환경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은 미흡한 실정이며,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기기는 있지만, 공기오염도까지 측정하는 일체형 기기는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동 주택이나 오피스텔에 설치되어 있는 홈오토메이션에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측정 일체형 기기를 내장하여 설정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 수치를 벗어나면 음성 및 화면에 문자로 통보하여 소비자가 거기에 맞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연동모드를 선택할 시 전동창문, 보일러, 에어컨, 가습기, 공기청정기 등이 동작하여 설정된 실내 환경을 유지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동 주택이나 오피스텔에 설치되어 가전제품 및 디지털 제품의 동작여부를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홈오토메이션에 있어서, 상기 홈오토메이션에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측정부와, 상기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설정 값과 비교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상기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홈오토메이션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측정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가 설정 값을 벗어날 경우 음성으로 통보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부와, 상기 측정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통해 에어컨, 전동창문, 가습기, 보일러, 공기청정기 등을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가동시키는 연동 모드 선택부로 이루어진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설정 값은 17℃ 내지 20℃의 온도와, 40% 내지 60%의 습도와, 0.005ppm 내지 0.007ppm의 공기오염도에 범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설정 값은 계절 또는 날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공동 주택이나 오피스텔에 설치되어 가전제품 및 디지털 제품의 동작여부를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홈오토메이션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측정기를 내장한 홈오토메이션에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와, 상기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상기 홈오토메이션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표시 단계와, 상기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공기 오염도가 설정 값을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설정 값 판단 단계와, 상기 설정 값 판단 단계에서 설정 값을 벗어날 경우 음성 및 화면에 문자로 통보해 주는 통보 단계와, 상기 통보 단계에서 통보해준 결과에 의해 연동되는 에어컨, 전동창문, 가습기, 보일러, 공기청정기 등을 선택하는 연동기기 선택 단계와, 상기 연동기기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연동기기가 설정 값으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동기기 조절 단계를 포함하여 연동기기를 가동하는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 및 그 운용방법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의 구성도이다.
공동 주택이나 오피스텔에 설치되어 가전제품 및 디지털 제품의 동작여부를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홈오토메이션(100)에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일체형으로 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측정부(101)를 내장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측정하고, 상기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측정부(101)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17℃ 내지 20℃의 온도와, 40% 내지 60%의 습도와, 0.005ppm 내지 0.007ppm의 공기오염도에 범위로 설정된 설정 값과 비교하여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02)를 구성하며 상기 측정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상기 홈오토메이션(100)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103)를 구성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설정 값을 벗어날 경우 음성으로 통보할 수 있는 스피커부(104)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음성 통보로 소비자는 음성 통보에 맞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동시에 연동이 가능한 에어컨(111), 전동창문(112), 가습기(113), 보일러(114), 공기청정기(115) 등을 선택적으로 가동시키는 연동모드 선택부(105)를 형성하여 상황에 맞는 연동기기를 선택하고 가동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의 운용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공동 주택이나 오피스텔에 설치되어 가전제품 및 디지털 제품의 동작여부를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홈오토메이션(100)에 일체형으로 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측정부(101)를 내장하여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측정하고(S1), 상기 측정된 값을 홈오토메이션의 모니터에 나타내며(S2), 상기 측정된 값이 17℃ 내지 20℃의 온도와, 40% 내지 60%의 습도와, 0.005ppm 내지 0.007ppm의 공기오염도에 범위로 설정된 설정 값을 벗어나는지를 판단하여(S3) 상기 측정된 값이 설정 값을 벗어날 경우 "실내 온도가 덥습니다", "실내 온도가 춥습니다", "환기를 시키세요", "건조합니다 가습하세요" 등으로 음성 및 화면에 문자로 통보를 하고(S4), 상기 음성 및 화면 문자 통보에 의해 소비자가 적절한 대처를 취함과 동시에 연동되는 기기를 선택하고(S5), 선택된 연동기기를 설정된 실내 환경에 맞게 유지하도록 조절하여(S6) 연동기기를 가동해(S7)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 및 그 운용방법은 공동 주택이나 오피스텔에 설치되어 있는 홈오토메이션 기능에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측정 일체형 측정기를 내장시켜 설정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 수치를 벗어나면 음성 및 화면에 문자로 통보하여 소비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하고 이와 동시에 연동모드를 선택할 시 에어컨, 전동창문, 가습기, 보일러, 공기청정기 등을 동작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공동 주택이나 오피스텔에 설치되어 가전제품 및 디지털 제품의 동작여부를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홈오토메이션에 있어서,
    상기 홈오토메이션에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측정부;
    상기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설정 값과 비교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부;
    상기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홈오토메이션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측정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가 설정 값을 벗어날 경우 음성으로 통보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부;
    상기 측정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통해 에어컨, 전동창문, 가습기, 보일러, 공기청정기 등을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가동시키는 연동 모드 선택부;로 이루어진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값은 17℃ 내지 20℃의 온도와, 40% 내지 60%의 습도와, 0.005ppm 내지 0.007ppm의 공기오염도에 범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관 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
  3. 공동 주택이나 오피스텔에 설치되어 가전제품 및 디지털 제품의 동작여부를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홈오토메이션의 그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측정기를 내장한 홈오토메이션에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측정하는 측정 단계;
    상기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공기오염도를 상기 홈오토메이션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표시 단계;
    상기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공기 오염도가 설정 값을 벗어나는지 판단하는 설정값 판단 단계;
    상기 설정값 판단 단계에서 설정 값을 벗어날 경우 음성 및 화면에 문자로 통보해 주는 통보 단계;
    상기 통보 단계에서 통보해준 결과에 의해 연동되는 에어컨, 전동창문, 가습기, 보일러, 공기청정기 등을 선택하는 연동기기 선택 단계;
    상기 연동기기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연동기기가 설정 값으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동기기 조절 단계;를 포함하여 연동기기를 가동하는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의 그 운용방법.
KR1020050047572A 2005-06-03 2005-06-03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 및 그운용방법 KR20060126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572A KR20060126013A (ko) 2005-06-03 2005-06-03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 및 그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572A KR20060126013A (ko) 2005-06-03 2005-06-03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 및 그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013A true KR20060126013A (ko) 2006-12-07

Family

ID=37730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572A KR20060126013A (ko) 2005-06-03 2005-06-03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 및 그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601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384B1 (ko) * 2007-05-23 2008-04-17 (주) 인바이런먼트 리딩 테크놀러지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
CN104456733A (zh) * 2014-12-02 2015-03-25 芜湖中艺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系统
CN105955131A (zh) * 2016-05-31 2016-09-21 张习梅 一种家居环境动态监控器
WO2018034420A1 (ko) * 2016-08-17 2018-02-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숲 치유 방 및 이를 포함하는 숲 치유 시스템
CN111692711A (zh) * 2019-03-12 2020-09-22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多空气调节设备控制方法及控制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384B1 (ko) * 2007-05-23 2008-04-17 (주) 인바이런먼트 리딩 테크놀러지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
CN104456733A (zh) * 2014-12-02 2015-03-25 芜湖中艺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系统
CN105955131A (zh) * 2016-05-31 2016-09-21 张习梅 一种家居环境动态监控器
WO2018034420A1 (ko) * 2016-08-17 2018-02-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숲 치유 방 및 이를 포함하는 숲 치유 시스템
CN111692711A (zh) * 2019-03-12 2020-09-22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多空气调节设备控制方法及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43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wireless device as a sensor for an energy management system
Schibuola et al. CO2 based ventilation control in energy retrofit: An experimental assessment
KR100546619B1 (ko) 공조 시스템의 공기 청정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9188508B1 (en) Method and system using an HVAC air handler and thermostat for building energy loss testing, monitoring and cost control
US202201549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oor air quality
US20110160913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isplaying energy savings from an hvac system
JP6004328B2 (ja) 断熱性能推定装置
Ioannou et al. In-situ and real time measurements of thermal comfort and its determinants in thirty residential dwellings in the Netherlands
Leivo et al. Indoor thermal environment, air exchange rates,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before and after energy retro fits in Finnish and Lithuanian multi-family buildings
Kalmár Investigation of thermal perceptions of subjects with diverse thermal histories in warm indoor environment
KR20060126013A (ko) 실내 환경 관리 연동 기능이 있는 홈오토메이션 및 그운용방법
Andersen et al. Modelling window opening behaviour in Danish dwellings
JP5173356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
Moreno-Rangel et al. Thermal comfort assessment of the first residential Passivhaus in Latin America
Law An increasing resistance to increasing resistivity
WO2016075877A1 (ja) 断熱性能推定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705348B1 (ja) 空調システムのアドバイス装置
JP2008259308A (ja) 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サーバ、および、電力管理方法
KR100785866B1 (ko) 친환경적인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멀티 콘센트
JP6325994B2 (ja) 空調システムのアドバイス装置
Straka et al. Post-occupancy evaluation
Urban et al. A Data-Driven Framework for Comparing Residential Thermostat Energy Performance
WO2016042723A1 (ja) 通風制御装置、通風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De Sutter et al. TVOC concentrations measured in Belgium dwellings and their potential for DCV control
KR102603645B1 (ko) 거주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월패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