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5431A -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25431A KR20060125431A KR1020050047467A KR20050047467A KR20060125431A KR 20060125431 A KR20060125431 A KR 20060125431A KR 1020050047467 A KR1020050047467 A KR 1020050047467A KR 20050047467 A KR20050047467 A KR 20050047467A KR 20060125431 A KR20060125431 A KR 200601254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terminal
- pcb
- rib
- pcb substrate
- elast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 및 후방케이스를 갖는 본체부, 전방 및 후방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탑재되는 PCB기판, PCB기판을 향한 전방 및 후방케이스 중 다른 하나의 일면에 마련되는 리브 및 리브와 PCB기판의 접지부 사이에서 탄성변형하되, 양단이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리브와 PCB기판의 접지부에 각각 접촉되는 탄성디스펜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탄성디스펜서의 구조적인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탄성디스펜서와 PCB기판 간의 차폐효과를 높이고 쇼트(Short)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기술에 따른 탄성디스펜서와 PCB기판 간의 배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전면 개방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단말기의 본체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디스펜서와 PCB기판 간의 배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디스펜서와 PCB기판 간의 배치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탄성디스펜서와 PCB기판 간의 배치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동단말기 10 : 폴더부
20 : 본체부 21 : 전방케이스
22 : 후방케이스 23 : PCB기판
23a : 접지부 26 : 리브
30 : 탄성디스펜서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디스펜서의 구조적인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탄성디스펜서와 PCB기판 간의 차폐효과를 높이고 쇼트(Short)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언제 어디서나 자주 이용되는 이동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플립형, 폴더형 및 슬라이더형 이동단말기로 구분된다. 이하, 폴더형 이동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의 본체부(미도시)는 상호 조립되는 전방케이스(미도시) 및 후방케이스(122)로 이루어져 있다. 전방 및 후방케이스(122) 사이에는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주로 전방케이스의 배면으로 키패드나 PCB기판(123)이 탑재되고, 후방케이스(122)는 전방케이스의 배면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전방케이스를 향한 후방케이스(122)의 일면에는 전방 및 후방케이스(122)를 상호 밀착시키는 역할 외에도 전방케이스에 탑재된 PCB기판(123)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써 리브(126)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126)는 PCB기판(123)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PCB기판(123)을 밀어 가압함으로써 PCB기판(123)과 리브(126) 사이의 노이즈(Noise)를 차폐할 뿐만 아니라 전방 및 후방케이스(122)가 상호 들뜨지 않고 완전히 차폐 혹은 밀폐되도록 한다.
한편, 대부분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리브(126)가 직접 PCB기판(123)에 접촉해서는 아니되기 때문에 리브(126)의 단부에는 탄성재질의 탄성디스펜서(130)가 추가된다. 탄성디스펜서(130)는 전도성 액체를 리브(126)의 단부에 도포한 후, 고화시킴으로써 소정의 탄성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후방케이스(122)의 일면에 마련된 리브(126)에 전술한 방법으로 탄성디스펜서(130)를 형성시킨 후, 탄성디스펜서(130)가 PCB기판(123)의 접지부(123a)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이 사이에서 발생가능한 노이즈(Noise)를 차폐한다.
이 때, 리브(126)의 단부에 형성된 탄성디스펜서(130)를 PCB기판(123)의 접지부(123a)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과정에서 리브(126)의 탄성디스펜서(130)와 PCB기판(123)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탄성디스펜서(130)는 도 1과 같이 단부가 거의 원형상으로 라운딩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경우, 도 1과 같이 탄성디스펜서(130)와 PCB기판(123)의 접지부(123a)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대적으로 길 경우에는 탄성디스펜서(130)의 단부가 PCB기판(123)의 접지부(123a) 영역 모두를 차폐하지 못하기 때문에 차폐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을 보인다.
이와는 반대로, 도 2와 같이 탄성디스펜서(130)와 PCB기판(123)의 접지부(123a) 사이의 이격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PCB기판(123)의 접지부(123a)에 배치된 탄성디스펜서(130)의 단부만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넓게 퍼지게 됨으로써 PCB기판(123)에 탑재된 부품(125)과의 쇼트(Short, A 영역)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디스펜서의 구조적인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탄성디스펜서와 PCB기판 간의 차폐효과를 높이고 쇼트(Short)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한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 및 후방케이스를 갖는 본체부, 상기 전방 및 후방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탑재되는 PCB기판, 상기 PCB기판을 향한 상기 전방 및 후방케이스 중 다른 하나의 일면에 마련되는 리브 및 상기 리브와 상기 PCB기판의 접지부 사이에서 탄성변형하되, 양단이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브와 상기 PCB기판의 접지부에 각각 접촉되는 탄성디스펜서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PCB기판은 상기 전방케이스에 탑재되고, 상기 리브 및 상기 탄성디스펜서는 상기 후방케이스에 마련된다.
상기 탄성디스펜서는, 상기 리브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1확경부, 상기 PCB기판의 접지부에 형상맞춤되게 배치되는 제2확경부 및 상기 제1 및 제2확경부로부터 중앙영역을 향해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축경부를 포함하는 장구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확경부, 상기 축경부는 단일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축경부의 중심 선단은 라운딩처리될 수 있다.
상기 축경부의 중심 선단은 상대적으로 뾰족하게 첨예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탄성디스펜서는, 원기둥 형상의 축부, 상기 축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 기 리브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1헤드부 및 상기 축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PCB기판의 접지부에 형상맞춤되게 배치되는 제2헤드부를 포함하는 영문자 "H"형상일 수 있다.
상기 축부, 상기 제1 및 제2헤드부는 단일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전면 개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단말기의 본체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디스펜서와 PCB기판 간의 배치 구조도이다.
도 3을 참조할 때,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1)는, 본체부(20)와, 본체부(20)의 전면을 개폐하는 폴더부(10)와, 본체부(20)와 폴더부(10) 사이에 마련되어 폴더부(10)를 본체부(20)에 대해 회동시키는 힌지(12)와, 본체부(20)의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팩(19)을 갖는다.
본체부(20)의 내면에는 복수의 입력버튼(20a)이 구비되어 있으며, 입력버튼(20a)들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혹은, 음성메시지를 녹음하기 위한 송신부(20b)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0)의 일측면에는 복수의 조정버튼(20c)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조정버튼(20c)들은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버튼(20a)들과는 달리 수신 음량을 조정하거나 혹은 키톤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조정버튼(20c)들의 인접 영역에는 안테나(18)가 마련되어 있다.
폴더부(10)의 내면에는 전화번호, 배터리팩(19)의 충전상태, 진동 여부, 알람상태 표시 등을 확인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창(10a)이 마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창(10a)의 상부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디스플레이창(10a)이 폴더부(10)의 내면에 마련되고 입력버튼(20a)들이 본체부(20)에 마련된 이동단말기(1)에 대해 도시하고 있지만, 디스플레이창(10a)이 입력버튼(20a)들과 함께 본체부(20)에 마련된 이동단말기(미도시)도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다. 이렇듯, 디스플레이창(10a)과 입력버튼(20a)들은 어디에 배치되더라도 본 발명의 사상과는 무관한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는 상호 분해조립가능한 전방 및 후방케이스(21,22)로 이루어져 있다. 전방 및 후방케이스(21,22) 사이에는 각종 부품(25)들이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케이스(21) 내의 전면에는 전술한 입력버튼(20a)을 이루는 키패드(미도시)가 배치되고 키패드의 후방으로 PCB기판(23)이 탑재된다. PCB기판(23)의 노출면에는 솔더크림(24, Solder Cream)이 도포된 후, 각종 부품(25)이 고정되어 있다. 부품(25)이란 PCB기판(23)을 이루는 저항,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CPU 등을 가리킨다.
후방케이스(22)는 전방케이스(21)의 배면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방케이스(21)를 향한 후방케이스(22)의 일면에는 전방 및 후방케이스(21,22)를 상호 밀착시키는 역할 외에도 전방케이스(21)에 탑재된 PCB기판(23)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써 리브(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브(26)의 단부에는 탄성디스펜서(30)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디스펜서(30)는 PCB기판(23)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PCB기판(23)을 밀어 가압함으로써 PCB기판(23)과 리브(26) 사이의 노이즈(Noise)를 차폐할 뿐만 아니라 전방 및 후방케이스(21,22)가 상호 들뜨지 않고 완전히 차폐 혹은 밀폐되도록 한다. 이러한 탄성디스펜서(30)는 리브(26)와 PCB기판(23)의 접지부(23a) 사이에서 탄성변형하되, 양단이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리브(26)의 단부에 형성된 탄성디스펜서(30)를 PCB기판(23)의 접지부(23a)로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과정에서 리브(26)의 탄성디스펜서(30)와 PCB기판(23)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디스펜서(30)의 구조적인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리브(26)의 탄성디스펜서(30)와 PCB기판(23) 간의 이격거리와 관계없이 쇼트(Short)의 위험 없이 동일한 차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제1실시예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26)의 단부에 형성된 탄성디스펜서(30)는 양단이 상호 대칭적인 구조의 예로써 장구형상을 갖는다. 즉, 탄성디스펜서(30)는 리브(26)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1확경부(31)와, PCB기판(23)의 접지부(23a)에 배치되는 제2확경부(32)와, 제1 및 제2확경부(31,32)로부터 중앙영역 을 향해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축경부(33)로 이루어져 있다. 제2확경부(32)는 PCB기판(23)의 접지부(23a)에 형상맞춤된다.
이들 제1 및 제2확경부(31,32), 축경부(33)는 전도성 액체를 리브(26)의 단부에 도포한 후, 고화시키는 과정에서 장구 형상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축경부(33)의 중심 선단은 라운딩처리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탄성디스펜서(30)의 제2확경부(32)를 PCB기판(23)의 접지부(23a)에 배치한 다음, 전방 및 후방케이스(21,22)를 상호 조립한다. 그러면 탄성디스펜서(30)가 탄성적으로 압착되면서 해당 영역을 기밀하게 차폐한다.
이 때, 탄성디스펜서(30)의 제2확경부(32)는 PCB기판(23)의 접지부(23a)에 형상맞춤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확경부(31,32)와 더불어 축경부(33)에서 스프링 형태의 변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 5와 같은 기준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탄성디스펜서(30)와 PCB기판(23)의 접지부(23a) 간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지더라도 차폐효과가 감소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도 7과 같이, 탄성디스펜서(30)와 PCB기판(23)의 접지부(23a) 간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더라도 탄성디스펜서(30)의 제1 및 제2확경부(31,32)와 더불어 축경부(33)에서 스프링 형태의 변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PCB기판(23)의 주변 부품(25)과의 쇼트(Short) 발생을 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디스펜서와 PCB기판 간의 배치 구조도이다.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경우, 탄성디스펜서(30)의 축경부(33)의 중심 선단은 라운딩처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이, 탄성디스펜서(30)의 축경부(33)의 중심 선단이 뾰족하게 첨예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2실시예와 같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는 데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
제3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탄성디스펜서와 PCB기판 간의 배치 구조도이다. 전술한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탄성디스펜서(30)는 모두가 장구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탄성디스펜서(30a)는 영문자 "H"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탄성디스펜서(30a)는, 원기둥 형상의 축부(33a)와, 축부(33a)의 일단에 형성되고 리브(26)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1헤드부(31a) 및 축부(33a)의 타단에 형성되고 PCB기판(23)의 접지부(23a)에 형상맞춤되게 배치되는 제2헤드부(32a)로 이루어져 있다.
제3실시예와 같더라도 탄성디스펜서(30a)와 PCB기판(23)의 접지부(23a) 간의 거리가 멀던 가깝던 간에 제1 및 제2헤드부(31a,32a)와 더불어 축부(33a)에서 스프링식 변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변 부품(25)과의 쇼트(Short) 발생을 저지하면서도 원하는 차폐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를 보면, 폴더형 이동단말기에 대해 도시되어 있지만, 플립형이나 혹은 슬라이더형 이동단말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디스펜서의 구조적인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탄성디스펜서와 PCB기판 간의 차폐효과를 높이고 쇼트(Short)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 및 후방케이스를 갖는 본체부;상기 전방 및 후방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탑재되는 PCB기판;상기 PCB기판을 향한 상기 전방 및 후방케이스 중 다른 하나의 일면에 마련되는 리브; 및상기 리브와 상기 PCB기판의 접지부 사이에서 탄성변형하되, 양단이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브와 상기 PCB기판의 접지부에 각각 접촉되는 탄성디스펜서;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PCB기판은 상기 전방케이스에 탑재되고, 상기 리브 및 상기 탄성디스펜서는 상기 후방케이스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탄성디스펜서는,상기 리브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1확경부;상기 PCB기판의 접지부에 형상맞춤되게 배치되는 제2확경부; 및상기 제1 및 제2확경부로부터 중앙영역을 향해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작게 형 성되는 축경부;를 포함하는 장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확경부, 상기 축경부는 단일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축경부의 중심 선단은 라운딩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축경부의 중심 선단은 상대적으로 뾰족하게 첨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탄성디스펜서는,원기둥 형상의 축부;상기 축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리브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1헤드부; 및상기 축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PCB기판의 접지부에 형상맞춤되게 배치되는 제2헤드부;를 포함하는 영문자 "H"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축부, 상기 제1 및 제2헤드부는 단일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7467A KR101134042B1 (ko) | 2005-06-02 | 2005-06-02 | 이동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7467A KR101134042B1 (ko) | 2005-06-02 | 2005-06-02 | 이동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25431A true KR20060125431A (ko) | 2006-12-06 |
KR101134042B1 KR101134042B1 (ko) | 2012-04-13 |
Family
ID=37729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47467A KR101134042B1 (ko) | 2005-06-02 | 2005-06-02 | 이동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4042B1 (ko)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2624Y1 (ko) * | 1988-09-21 | 1991-04-2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기전자제품의 푸쉬노브 고정장치 |
TW456685U (en) * | 2000-03-03 | 2001-09-21 | Hon Hai Prec Ind Co Ltd | Shielding member of mobile phone |
-
2005
- 2005-06-02 KR KR1020050047467A patent/KR10113404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34042B1 (ko) | 2012-04-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01212B2 (en) | Portable wireless apparatus and antenna structure | |
US7082322B2 (en) | Portable radio terminal unit | |
KR100313144B1 (ko) |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 |
US6148183A (en) | Switch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 |
US7834863B2 (en) | Stylus pen combined with antenna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US20030186728A1 (en) | Portable radio unit | |
KR20030050277A (ko) | 회전가능한 액정표시장치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 |
US20100279694A1 (en) | Display panel structur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mobile information equipment | |
JP2003069441A (ja) | 折り畳み型携帯無線機 | |
US20030211835A1 (en) | Mobile phone with changeable keypad | |
EP1083623A1 (en) | Antenna device installed in flip cover of flip-up type portable phone | |
CN109066056B (zh) | 天线组件以及电子设备 | |
JP2000036705A (ja) | アンテナ・アセンブリ | |
KR101134042B1 (ko) | 이동단말기 | |
KR100310854B1 (ko) | 휴대용 복합 무선단말기의 엘씨디 모듈 고정구조 | |
KR20020059150A (ko) |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펜 겸용 안테나 장치 | |
KR100383616B1 (ko) | 가변성 및 착탈성 기능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
KR100810385B1 (ko) |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스타일러스 겸용 안테나 장치 | |
JP2009239683A (ja) | 通信機器 | |
KR101126380B1 (ko) |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 |
JP2007043503A (ja) | 折畳み型携帯端末 | |
KR100849337B1 (ko) | 액정표시장치의 보강 장치 | |
JP4896806B2 (ja) | 通信機器 | |
KR20040110827A (ko) | 휴대 단말기의 키 버튼 장치 | |
KR200242606Y1 (ko) |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수납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