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4205A -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4205A
KR20060124205A KR1020050046014A KR20050046014A KR20060124205A KR 20060124205 A KR20060124205 A KR 20060124205A KR 1020050046014 A KR1020050046014 A KR 1020050046014A KR 20050046014 A KR20050046014 A KR 20050046014A KR 20060124205 A KR20060124205 A KR 20060124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gital multimedia
multimedia broadcasting
dmb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46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4205A/ko
Publication of KR2006012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2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DMB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자신이 시청하고자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을 입력 받고,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이 방영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방영을 알리는 방송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고, 방영하려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이 상기 사용자가 제공 받기 원하는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인지 확인하여 상기 확인결과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DMB 제공 서버, 및 상기 DMB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선택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DMB 제공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간단한 선택 입력만으로 DMB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콜백 정보를 방송 안내 메시지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DMB, 이동통신단말기, SMS, 방송 안내 메시지

Description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Informing Servic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o Mobi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신한 방송 안내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DMB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토인단말기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0: DMB 제공 서버
7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720: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730: 방송 제어부 740: 단말기 인터페이스부
750: 방송 제공부
800: 이동통신단말기
810: 메시지 수신부 820: 사용자 입력부
830: 서버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은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DMB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자신이 시청하고자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을 입력 받고,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이 방영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방영을 알리는 방송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 단말기가 대중화되어, 이제 대부분의 일반인들이 핸드폰, PDA 등의 통신 단말기를 항상 소지하고 다닌다. 이에 따라, 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서비스의 일환으로,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고정, 휴대, 차량용 단말기에 제공하는 위성 DMB 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의 방송 서비스가 실시 및 준비되고 있다. 위성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는 통신 단 말기를 통해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이동 중에도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사용자는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 중 자신이 원하는 특정 방송 프로그램만을 시청하길 원하지만,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이 언제 방송되는지 잘 알지 못하거나 알았다 하더라도 다른 일 때문에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한다.
한편, 데이터 제공 서버에서는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 가입자에게 유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데이터 서비스 내용을 메시지에 포함시켜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서비스는 최신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홍보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데이터를 손쉽게 다운로드하도록 하기 위하여, 메시지에 콜백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콜백(Call Back) 정보는 사용자가 특정 키를 누르면 곧바로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기 위한 서버의 URL 정보이다. 즉, 사용자는 메시지에 포함된 콜백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손쉽게 다운로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시청하길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서버에 등록하면, 서버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이 방영할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로 방송 프로그램 방영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DMB 제 공 서버에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자신이 시청하고자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을 입력 받고,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이 방영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방영을 알리는 방송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간단한 선택 입력만으로 DMB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콜백 정보를 방송 안내 메시지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볼 수 없는 경우, 방송 안내 메시지에 포함된 녹화 명령을 선택하여 DMB 제공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상기 사용자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함으로써, 사용자는 방영시간에 상관없이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고, 방영하려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이 상기 사용자가 제공 받기 원하는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인지 확인하여 상기 확인결과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DMB 제공 서버, 및 상기 DMB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선택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DMB 제공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10)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을 시청하기 위하여, DMB 제공 서버(120)에 접속하여 시청하고자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의 방영을 알리는 방송 안내 메시지를 수신할 시간(메시지 전송 시간)도 함께 등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작하기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5분전, 10분전 등) 전에 방송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시작 시간에 방송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DMB 제공 서버(120)로 직접 전화를 걸어서,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 및 상기 메시지 전송 시간을 등록할 수도 있다.
DMB 제공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등록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 정보 및 방송 안내 메시지 전송 시간을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DMB 제공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이 방영하 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기 메시지 전송 시간(방송 안내 메시지 전송 시간)에 방송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는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바로 시청할 수 있도록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대한 콜백(Call Back)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시청을 요청하거나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에 대한 녹화를 요청할 수 있는 선택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기 수신한 방송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선택 명령을 입력 받는다. 상기 선택 명령이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에 대한 시청 명령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는 콜백 정보를 이용하여 DMB 제공 서버(120)로 접속한다. 이에, DMB 제공 서버(120)는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기 수신된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명령이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에 대한 녹화 명령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는 DMB 제공 서버(120)로 녹화 명령을 전송하고 DMB 제공 서버(120)는 상기 녹화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201)에서, DMB 제공 서버(120)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및 메시 지 전송 시간을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301)에 대응하여 단말기 전화번호(302), DMB 프로그램(303), 메시지 전송 시간(304) 및 녹화 정보(305)를 포함한다.
사용자 식별자(301)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DMB 제공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이름(장동건, 심은하) 또는 사용자 ID(Identifier)를 사용자 식별자(301)로 입력 받고,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단말기 전화번호(302)는 사용자 식별자(301)와 연관하여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방영을 알리는 방송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단말기 전화번호이다.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303)은 특정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프로그램(스포츠 중계, 게임 중계)일 수도 있고, 특정 프로그램(해신, 섹션TV)일 수도 있다. 따라서, DMB 제공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가 등록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303)이 방영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방송 안내 방송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303)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언제든지 갱신 가능하다.
메시지 전송 시간(304)은 단말기 전화번호(302)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방송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시간정보이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시청하려고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이 방영하기 5분전에 방송 안내 메시지를 수신 받기를 원할 수도 있고,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시작 시간에 방송 안내 메시지를 수신 받기를 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DMB 제공 서버(120)는 메시지 전송 시간(304)을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방송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녹화 정보(305)는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하지 못하는 경우, 나중에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MB 제공 서버(120)는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직접 녹화한 자료를 기록해둘 수도 있고,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이 어떤 프로그램인지 기록해둘 수도 있다. 따라서, 녹화 정보(305)는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에 대한 방영 날짜(프로야구(5.20, SK:삼성), 방영 시간, 방영 내용(신입사원 10회)을 기록한 것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202)에서, DMB 제공 서버(120)는 각각의 사용자 식별자(301)에 대응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사용자 식별자(301)와 연관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이 방영하려고 하는 경우, 방송 안내 메시지를 생성한다. DMB 제공 서버(120)는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에 콜백 정보를 포함시킨다. 즉, DMB 제공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의 원 클릭 입력으로 곧바로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상기 디 지털멀티미디어방송에 대한 녹화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사항에 대응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DMB 제공 서버(120)는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시작 시간,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단계(203) 및 단계(204)에서, DMB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메시지 전송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메시지 전송 시간에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205)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DMB 제공 서버(120)로부터 방송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신한 방송 안내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방송 안내 메시지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에 대한 간략한 소개(프로야구 SK:삼성)와 함께 선택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는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시작 시간(5월 20일 오후 7시) 및 방송 채널(17번 채널)도 포함한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사용자는 "1. 방송 시청하기" 또는 "2. 방송 녹화하기"의 선택 사항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206)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선택 명령을 DMB 제공 서버(120)로 전송한다. 이하,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501)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기 사용 자로부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시청 명령을 입력 받고, DMB 제공 서버(120)로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시청 명령을 전송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키패드 상에서 숫자키 "1"을 입력하여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시청 명령을 할 수 있다.
단계(502)에서, DMB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시청 명령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10)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제공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601)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녹화 명령을 입력 받고, DMB 제공 서버(120)로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녹화 명령을 전송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키패드 상에서 숫자키 "2"를 입력하여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녹화 명령을 할 수 있다.
단계(602)에서, DMB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녹화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저장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DMB 제공 서버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DMB 제공 서버(7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10),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720), 방송 제어부(730), 단말기 인터페이스부(740), 방송 제공부(75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10)는 사용자로부터 제공 받기 원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입력 받는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1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방영 시작 시간보다 소정 시간 이전에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방영 시작 시간에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시간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720)는 상기 입력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 정보 및 메시지 전송 시간을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여 유지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720)는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단말기 전화번호, 녹화 정보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방영 제어부(730)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720)를 참조하여, 방영하려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이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인 경우, 방영 제어부(730)는 방송 안내 메시지를 생성한다.
단말기 인터페이스부(740)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720)를 참조하여, 상기 메시지 전송 시간에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방송 제공부(750)는 단말기 인터페이스부(74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시청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제공한다.
또한, 방송 제어부(730)는 단말기 인터페이스부(74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에 대한 녹화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720)에 기록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토인단말기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사용자 단말기, 800)는 메시지 수신부(710), 사용자 입력부(820), 서버 인터페이스부(830)를 포함한다.
메시지 수신부(810)는 DMB 제공 서버(700)로부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부(820)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에 포함된 소정의 선택 정보 중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의 선택 명령을 입력 받는다. 상기 선택 명령은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시청 명령 또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녹화 명령일 수 있다.
상기 선택 명령이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시청 명령인 경우, 서버 인터페이스부(830)는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에 포함된 콜백 정보를 이용하여 DMB 제공 서버(800)로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서버 인터페이스부(830)는 DMB 제공 서버(800)로부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선택 명령이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녹화 명령인 경우, 서버 인터페이스부(830)는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에 포함된 콜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DMB 제공 서버로 상기 녹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MB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자신이 시청하고자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을 입력 받고,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이 방영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방영을 알리는 방송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간단한 선택 입력만으로 DMB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콜백 정보를 방송 안내 메시지에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볼 수 없는 경우, 방송 안내 메시지에 포함된 녹화 명령을 선택하여 DMB 제공 서버에서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상기 사용자와 연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함으로써, 사용자는 방영시간에 상관없이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Claims (13)

  1. 사용자 단말기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고, 방영하려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이 상기 사용자가 제공 받기 원하는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인지 확인하여 상기 확인결과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DMB 제공 서버; 및
    상기 DMB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선택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DMB 제공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시스템
  2. 사용자 단말기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DMB 제공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제공 받기 원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입력 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입력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사용자와 연관된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여 유지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방영하려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이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인지 확인하는 방송 제어부; 및
    상기 확인결과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는 상기 DMB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제공 받을 수 있는 콜백 정보를 포함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제공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방영 시작 시간보다 소정 시간 이전에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방영 시작 시간에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송 안내 메시지 전송 시간을 입력 받고,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입력된 방송 안내 메시지 전송 시간을 유지하고,
    상기 방송 제어부는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 전송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 전송 시간에 상기 사용 자 단말기로 방송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제공 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시청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제공하는 방송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제공 서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에 대한 녹화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 제공 서버.
  6. DMB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DMB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에 포함된 소정의 선택 정보 중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의 선택 명령을 입력 받은 사용 자 입력부; 및
    상기 선택된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DMB 제공 서버로 접속하는 서버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명령이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시청 명령인 경우, 상기 서버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에 포함된 콜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DMB 제공 서버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명령이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녹화 명령인 경우, 상기 서버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에 포함된 콜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DMB 제공 서버로 상기 녹화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9. DMB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DMB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
    상기 DMB 제공 서버에서 방영하려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이 상기 사용자가 제공 받기 원하는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DMB 제공 서버에서 상기 확인결과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는 상기 DMB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제공 받을 수 있는 콜백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DMB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수신한 방송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에 포함된 소정의 선택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MB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방영 시작 시간보다 소정 시간 이전에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방영 시작 시간에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송 안내 메시지 전송 시간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방송 안내 메시지 전송 시간을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 전송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 전송 시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방송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시청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콜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DMB 제공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DMB 제공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시청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녹화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방송 안내 메시지에 포함된 콜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DMB 제공 서버로 상기 녹화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DMB 제공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에 대한 녹화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을 상기 사용자 식별자 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50046014A 2005-05-31 2005-05-31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60124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014A KR20060124205A (ko) 2005-05-31 2005-05-31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014A KR20060124205A (ko) 2005-05-31 2005-05-31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205A true KR20060124205A (ko) 2006-12-05

Family

ID=37728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014A KR20060124205A (ko) 2005-05-31 2005-05-31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42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940B1 (ko) * 2006-12-08 2013-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호 방송 프로그램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방송 수신 단말
WO2016006884A1 (ko) * 2014-07-09 2016-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940B1 (ko) * 2006-12-08 2013-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호 방송 프로그램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방송 수신 단말
WO2016006884A1 (ko) * 2014-07-09 2016-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US10477276B2 (en) 2014-07-09 2019-11-12 Lg Electronics Inc.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device,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method
US10721535B2 (en) 2014-07-09 2020-07-21 Lg Electronics Inc.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device,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method
US11128922B2 (en) 2014-07-09 2021-09-21 Lg Electronics Inc.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device,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41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sources of location relevant content to a user of a mobile radio terminal
US78179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cheduling the recording of audio and/or visual content
JP5044175B2 (ja) カスタマイズされ、該当する場合には対話型であるコンテンツを、通信ネットワークに接続された端末装置にブロードキャスト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90304115A1 (en) Decoding media content at a wireless receiver
US7555288B2 (en) Mobile device control of mobile television broadcast signals from broadcaster
KR101304059B1 (ko) 인터랙티브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67979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서의 가입자 관리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212076B1 (ko) 사용자 신원확인 방법들 및 장치들 그리고 멀티미디어 콘텐트의 통보
KR101290977B1 (ko) 푸쉬 서버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902154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Broadcasted Content
US7764952B1 (en) Distribution of audio content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s
EP24879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files
KR20060124205A (ko)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593788B1 (ko) 셋톱박스를 이용한 전화연결 방법 및 그 장치, 셋톱박스
JP4869728B2 (ja) 通信端末、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70006196A (ko) Dmb 방송을 이용한 이동전화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46938A (ko) 문자서비스를 이용한 실시간 방송 부가정보 획득 방식 및시스템 구성
KR100808562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dmb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방법 및 서버
KR100731666B1 (ko) Cbs 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컨텐츠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0815240B1 (ko) Dmb와 연동하여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통신 단말기
KR101294147B1 (ko) 타 서비스 사용자와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48607B1 (ko) 휴대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장치, 및 시스템
KR20130078033A (ko) 인기 어플리케이션 추천 기능을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19744B1 (ko) 방송 수신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방송프로그램과연관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83405B1 (ko) 데이터 방송 정보 활용을 위한 방송형 휴대단말기 및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