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2141A -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2141A
KR20060122141A KR1020050044158A KR20050044158A KR20060122141A KR 20060122141 A KR20060122141 A KR 20060122141A KR 1020050044158 A KR1020050044158 A KR 1020050044158A KR 20050044158 A KR20050044158 A KR 20050044158A KR 20060122141 A KR20060122141 A KR 20060122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top
auxiliary equipment
switching means
light
rotary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044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2141A/ko
Publication of KR20060122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64Removing cooking fumes illumination for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쿡탑과 쿡탑에서 발생하는 조리물의 냄새나 찌꺼기를 흡입 및 토출하기 위한 후드 설비 및 쿡탑의 상부를 비춰주는 라이트와 같은 보조설비를 함께 연동시키는 장치는, 쿡탑의 상측 방향에 설치된 보조설비를 온 오프하기 위한 동작스위치가 설치되고, 설치된 동작스위치로 보조설비를 가동시키는 것 이외에 쿡탑 조작부의 온 오프 스위칭에 의하여 동시 또는 시차를 두고 보조설비가 작동되는 것을 설정하는 것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제 1 스위칭수단, 이렇게 제 1 스위칭수단이 온 되어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가 구현되고 쿡탑 조작부의 스위칭에 의해 보조설비도 함께 스위칭시키기 위한 제 2 스위칭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쿡탑과 후드 및 라이트와 같은 보조설비를 함께 연동되도록 스위칭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별도로 보조설비의 조작부를 조작할 필요가 없어서 편리하고,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방지된다.
쿡탑, 연동, 스위칭

Description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LINKING APPARATUS OF A COOK TOP AND A SUPPORTING EQUIPM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쿡탑, 후드 및 라이트 설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라이트 설비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에 대한 개략도,
도 4는 도 3의 보조설비 중 라이트 설비를 일 실시예로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도 4의 제 2 스위칭수단이 오프 상태인 것을 도시한 상세도,
도 6은 도 4의 제 2 스위칭수단이 온 상태인 것을 도시한 상세도,
도 7은 도 3의 보조설비 중 라이트 설비를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도 7의 제 2 스위칭수단 및 제 3 스위칭수단의 온 오프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그리고
도 9는 도 8의 제 2 스위칭수단 및 제 3 스위칭수단을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원단자 200 : 동작스위치
201 : 제 1 릴레이 202 : 제 2 릴레이
300 : 보조설비 301 : 라이트
400 : 쿡탑 가열원 500 : 쿡탑 조작부
501 : 제 1 스위칭수단 502 : 제 2 스위칭수단
502-1 : 회전노브 502-2 : 마이크로스위치
502-3 : 스냅단자 502-4 : 라운드형 홈
600 : 전원단자 700 : 쿡탑 조작부
701 : 제 1 스위칭수단 702 : 제 2 스위칭수단
702-1 : 회전노브 702-2 : 마이크로스위치
702-3 : 라운드형 홈 702-4 : 스냅단자
703 : 제 3 스위칭수단 703-1 : 회전노브
703-2 : 마이크로스위치 703-3 : 라운드형 홈
703-4 : 스냅단자 704 : 제 2 스위칭수단
704-1 : 회전노브 704-2 : 마이크로스위치
704-3 : 제 1 라운드형 홈 704-4 : 스냅단자
704-5 : 제 2 라운드형 홈 705 : 제 3 스위칭수단
705-1 : 회전노브 705-2 : 마이크로스위치
705-3 : 제 1 라운드형 홈 705-4 : 스냅단자
705-5 : 제 2 라운드형 홈 800 : 쿡탑 가열원
900 : 라이트
본 발명은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쿡탑 조작부의 동작스위치가 동작됨에 따라 보조설비도 동시 및 시차를 두고 작동되게 함으로써, 쿡탑 가열원으로 조리물을 조리하면서 요구되는 보조설비를 사용자가 별도로 조작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모드에 의해 쿡탑과 보조설비가 함께 동작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는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쿡탑과 보조설비인 후드 및 라이트 설비의 구성은 쿡탑이 오븐과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별도의 쿡탑으로만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쿡탑의 상부에는 쿡탑에서 발생하는 조리물 등의 냄새나 찌꺼기 등을 흡입 및 토출하기 위한 후드 기능과 쿡탑 상부를 밝게 비춰주는 라이트가 구비되어 라이트 기능을 갖춘 빌트 인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빌트 인 시스템으로 구성된 종래의 쿡탑 및 보조설비가 도 1에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열원(21)을 가동시키기 위한 쿡탑 조작부(22)가 쿡탑의 전방에 설치되고, 조리물을 조리하면서 발생하는 냄새와 찌꺼기 등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후드 설비와 어두운 조리공간을 밝히기 위한 라이트(12)가 구비된다.
쿡탑의 조작부(22)는 가스레인지로 구비된 가열원(21)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기계식 푸쉬 투 턴 방식의 회전로브가 4개의 가열원(21)의 수 만큼 4개로 구비된 다.
또한, 후드(13) 및 라이트(12)의 경우와 같은 보조설비는 쿡탑의 상측에 다른 기능없이 후드와 라이트 기능만이 구현되거나, OTR(Over The Range)과 같이 전자레인지(미도시)나 식기세척기(미도시) 등과 같은 제품이 추가되어 다 기능화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1)가 쿡탑 상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쿡탑의 가열원(21)을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쿡탑 조작부(22)를 이용하여 소정의 가열원(21)을 동작시키고, 이에 따른 후드 및 라이트 설비를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후드 및 라이트 조작부(11)에 마련된 후드 및 라이트의 온오프 버튼, 후드의 세기 및 라이트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버튼을 별도로 조작하여야 한다.
쿡탑 조작부(22)와 별도로 조작하여야 하는 라이트 조작부(11)는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라이트 설비는 라이트(12)로 전원이 인가되기 위한 전원단자(14), 전원이 인가되어 라이트 조작부(11)를 조작하여 라이트의 밝기를 약하게 조절하기 위한 제 1 스위칭부(15), 라이트(12)의 밝기를 강하게 하기 위한 제 2 스위칭부(16)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두 조작부(11, 22)를 이용하여 각각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쿡탑 가열원(21)에 의하여 조리물을 모두 조리하고 가열원(21)을 오프한 상태에서도 후드(13) 및 라이트(12)가 계속하여 동작하게 되면 후드설비(13)의 모터(미도시)가 필요없는 구동을 하면서 소음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열원(21)으로 인하여 조리를 마친 상태에서도 후드 및 라이트(13, 12)가 스위칭 온 상태에 있으면 불필요한 전기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조리가 종료된 시점에서 후드설비(13)나 라이트(12)를 오프하려면, 쿡탑의 상측 방향에 설치된 후드 및 라이트 조작부(11)에 사용자의 손이 접근되어야 하는바, 이 때에 쿡탑 가열원(21)에서 발생된 잔여분의 뜨거운 열기로 인하여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쿡탑 조작부 내의 동작스위치와 연동하여 후드 및 라이트와 같은 보조설비를 가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쿡탑의 조작부와 보조설비의 조작부를 별도로 사용하거나 쿡탑 조작부의 동작스위치의 조작만으로 보조설비도 동시 또는 시차를 두고 가동되도록 하는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는, 쿡탑 및 보조설비가 갖춰진 빌트 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쿡탑의 조작부에 의해 상기 보조설비의 작동 유무를 수동 설정하기 위한 제 1 스위칭수단, 상기 제 1 스위칭수단이 스위칭 온 되면, 상기 쿡탑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보조설비 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 2 스위칭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스위칭수단은 상기 제 2 스위칭수단과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동작스위치에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스위칭수단은 상기 쿡탑의 가열원을 스위칭하면서 상기 보조설비가 스위칭되도록 하기 위한 소정의 홈이 외주연에 형성되는 회전노브 및 상기 회전노브의 외주연과 스냅형 접점단자가 맞닿으며, 상기 회전노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냅형 접점단자의 접점 위치가 변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정의 홈은 라운드된 형상이며, 상기 회전노브의 외주연에 굴곡이 상이한 다수 개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스위칭수단의 양 단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위칭수단이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스위칭수단이 스위칭 온 되고, 상기 제 2 스위칭수단의 스위칭 온 상태의 전기 신호를 인가받은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상기 보조설비가 스위칭 온 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스위칭수단이 스위칭 오프로 전환하는 전기 신호를 인가받은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보조설비가 동작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동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쿡탑과 보조설비(300)의 연동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쿡탑과 보조설비(300)의 연동장치는 보조설비(300)를 스위칭하여 온 오프시키기 위한 동작스위치(200), 쿡탑의 조작부(500)에 있는 가열원 가동스위치를 이용하여 주방과 같은 곳에 빌트 인 시스템으로 갖춰진 보조설비(300)도 함께 구동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기 위한 제 1 스위칭수단(501), 제 1 스위칭수단(501)을 온 상태로 하여 보조설비(300)가 연동되도록 설정하면, 동작스위치(200)의 작동에 상관없이 쿡탑의 가열원 가동스위치에 의해 가열원(400)과 보조설비(300)를 함께 스위칭되도록 하는 제 2 스위칭수단(502)을 포함한다.
보조설비(300)는 보통 쿡탑의 상측 방향에 설치되어 쿡탑의 가열원(400)에 의해 익혀진 조리물 등의 냄새나 찌꺼기와 같은 것을 흡입 및 토출하기 위한 후드설비(미도시), 쿡탑의 상부를 밝게 비춰주기 위한 라이트(미도시), 사용자가 조리하는 중에 미리 설정해 놓은 주파수의 방송을 청취하기 위한 라디오수신기(미도시) 등과 같은 편의 설비가 장착될 수 있다.
보통, 사용자는 쿡탑의 상부에 놓여진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쿡탑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가열원을 가동시키며, 조리물이 조리되면서 발생하는 냄새나 찌꺼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후드설비(미도시)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쿡탑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 후드설비의 조작부(미도시)를 별도로 조작한다.
마찬가지로, 쿡탑 조작부(500)로 인해 쿡탑 상부의 가열원(400)을 가동시키 고, 쿡탑 상부의 조리공간을 비추기 위한 라이트(미도시)를 켜기 위해서는 별도의 온오프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한다.
아울러, 제 1 스위칭수단(501)은 쿡탑의 가열원(400)과 보조설비(300)가 쿡탑 조작부(500)에 의하여 함께 연동되도록 할 것인지, 아니면 각각의 조작부에 의해 별도로 조작할 것인지를 초기에 세팅하기 위한 것이므로, 그 위치가 쿡탑 조작부(500), 또는 보조설비 조작부(미도시) 중 어느 곳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후드 기능이나 라이트 기능은 쿡탑과 함께 빌트 인 시스템의 일환으로 주로 조리물의 조리 시에 사용되는 기능이므로, 가스레인지(미도시)나 전기레인지(미도시)로 구비된 쿡탑의 조작부(500)를 조작하면서 쿡탑의 가열원(400)을 가동하고 보조설비(300)인 후드설비(미도시)나 라이트(미도시)를 동시에 동작케 하면 보다 편리한 주방 빌트 인 시스템을 구현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쿡탑의 조작부(500)에 의하여 라이트 설비(미도시)가 함께 동작하는 것을 설정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도 3의 보조설비(300) 중 라이트(301)를 일 실시예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301)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기 위한 전원단자(100), 쿡탑의 상부에 마련된 조리공간을 밝게 하기 위하여 구비된 라이트(301), 라이트(301)의 밝기를 구분하여 조작할 수 있는 라이트 조작부(미도시)의'밝게'버튼을 이용한 전압 인가에 따라 스위칭되는 제 1 릴레이(201), 라이트 조작 부(미도시)의'조금 밝게'버튼을 이용한 전압 인가에 따라 스위칭되며 제 1 릴레이(201)에 병렬로 연결된 제 2 릴레이(202)를 포함하며 간단한 라이트 설비가 구현된다.
아울러, 제 2 릴레이(202)의 라이트 측에는 제 2 릴레이(202)를 통하는 전류를 조절하여 라이트(301)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다이오드((202-1)가 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본적으로 구현된 라이트 설비에 쿡탑의 스위칭과 연동하여 동시에 라이트(301)가 스위칭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구성이 요구될 것이다.
추가적인 구성으로는, 쿡탑 조작부(500)에 설치되어 제 1 릴레이(201) 및 제 2 릴레이(202)가 스위칭 온되지 않아도 쿡탑 조작부(500)의 온 오프 스위칭에 의하여 라이트(301)가 작동되도록 할 것인지 아니면 별도의 라이트 조작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일일이 사용자가 조작할 것인지를 설정하기 위한 제 1 스위칭수단(501), 제 1 스위칭수단(501)이 온 되어 쿡탑과 라이트(301)가 연동되도록 설정되면 제 1 스위칭수단(501)에 직렬 연결되어 쿡탑 조작부(500)의 조작에 의해 동시에 라이트(301)가 온 오프되도록 하는 제 2 스위칭수단(502)이 더 포함된다.
직렬로 연결된 제 1 스위칭수단(501)과 제 2 스위칭수단(502)은 병렬로 연결된 제 1 릴레이(201)와 제 2 릴레이(202)의 양 단측에 병렬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스위칭수단(502)은 쿡탑 조작부(500)에 일반적으로 설치되고 외주연에 소정의 라운드형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쿡탑의 가열원(400)을 스위칭하기 위한 회전노브(미도시), 회전노브(미도시)의 외주연에 스냅형 접점단자(미도시)가 일정한 간격으로 맞닿도록 설치되고 회전노브(미도시)가 회전하면서 회전노브(미도시)의 외주연에 형성된 라운드형 홈(미도시)에 따라 스냅형 접점단자(미도시)가 스냅되면서 접점위치가 변하는 마이크로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쿡탑조작부(500)의 가열원(400)을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는 가스레인지의 경우에 기계식 푸쉬 투 턴 방식의 노브(미도시)가 주로 사용되며, 전기레인지의 경우에는 기계식 노브나 고급 사향인 전자식 버튼(미도시)이 사용된다.
또한, 전자식 버튼(미도시)의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지는 않으나, 당업자의 관점에서 버튼이 온 오프되면서 마이크로스위치(미도시)의 스냅단자(미도시)가 함께 연동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제 2 스위칭수단(502)이 오프 상태인 것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노브(502-1)는 쿡탑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일반적으로 잠겨져 있어야 하는 바, 초기 설정의 회전노브(502-1)는 오프 상태이다.
쿡탑의 오프 상태에서, 회전노브(502-1)의 외주연에 형성된 라운드형 홈(502-4)의 위치는 마이크로스위치(502-2)의 스냅단자(502-3)가 최대한 돌출되도록 스냅단자(502-3)가 위치한 곳에 대칭하여 라운드형 홈(50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스위치(502-2)의 스냅단자(502-3)가 최대한 돌출한다는 것의 의미 는, 스냅단자(502-3)는 스프링(미도시)과 같은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있어서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며 내부 양 전극판(미도시)을 단락 및 개방시키는 것으로, 스냅단자(502-3)가 탄성력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502-2)에 형성된 형공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양 전극판(미도시)에 가하는 압력이 떨어지면서 양 전극판(미도시)이 개방되어 오프 스위칭하게 된다.
도 6은 도 4의 제 2 스위칭수단(502)이 온 상태인 것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초기 설정인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는 회전노브(502-1)를 회전시켜 쿡탑의 가열원(400)을 가동시키면, 회전노브(502-1)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노브(502-1)의 외주연에 형성된 라운드형 홈(502-4)도 회전하게 된다.
라운드형 홈(502-4)은 회전노브(502-1)의 외주연 일부에만 형성되어져 있어서, 라운드형 홈(502-4) 이외의 부분은 굴곡되지 않기 때문에, 위와 같이 스냅단자(502-3)에 대칭하여 임시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노브(502-1)가 회전하면 라운드형 홈(502-4)이 돌출된 스냅단자(502-3)를 이탈하여 회전노브(502-1)의 다른 외주연과 맞닿는 스냅단자(502-3)는 마이크로스위치(502-2) 내부로 들어가 스위치(미도시)를 접점하게 된다.
아울러, 라운드형 홈(502-4)은 회전노브(502-1)의 회전에 따라 스냅단자(502-3)의 접점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것이므로, 회전노브(502-1)의 회전력을 무리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라운드형 홈(502-4)의 모든 형태가 라운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4의 제 2 스위칭수단(502)을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 설비는 전원이 인가되기 위한 전원단자(600), 쿡탑의 상측 방향에 구비된 라이트(900), 라이트(900)를 밝기에 따라 스위칭 선택되는 제 1 릴레이(901) 및 제 2 릴레이(902)를 포함하여 기본적으로 구비된다.
쿡탑 및 라이트 설비의 연동장치는, 쿡탑 가열원(800)을 가동시키면서 라이트 설비를 동시에 동작시킬지 아니면, 쿡탑 조작부(700)에 의해서가 아니라 라이트 설비의 조작부(미도시)만으로 라이트(900)를 온 오프 시킬지를 세팅하기 위한 제 1 스위칭수단(701), 제 1 스위칭수단(701)이 온 되어 쿡탑 가열원(800)과 라이트 설비가 연동 모드로 된 후, 쿡탑 조작부(700)에 설치된 회전노브(미도시)를 회전시켜 마이크로스위치(미도시)를 접점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칭수단(702), 쿡탑 조작부(700)에 설치된 회전노브(미도시)를 회전시켜 마이크로스위치(미도시)를 접점 스위칭하는 제 3 스위칭수단(703)이 더 포함된다.
주방의 쿡탑에는 하나의 가열원(미도시)만 가지고 조리를 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가열원(미도시)이 가동되어 한꺼번에 여러 가지 요리를 조리할 수 있도록 설비되므로, 다수의 가열원(미도시)에 따라 쿡탑 가열원(800)에는 다수의 회전노브(미도시)가 설치되어 각 회전노브(미도시)의 회전으로 인해 라이트 설비가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7의 제 2 스위칭수단(702) 및 제 3 스위칭수단(703)의 온 오프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스위칭수단(702)은 회전노브(702-1)가 오프 상태로 있어서 회전노브(702-1)의 오프 상태에 라운드형 홈(702-3)의 위치는 마이크로스위치(702-2)의 스냅단자(702-4)가 최대한 돌출되도록 스냅단자(702-4)가 있는 곳에 형성되어 스냅단자(702-4)에 대칭하여 임시 체결된다.
또한, 제 3 스위칭수단(703)은 회전노브(703-1)가 온 상태로 회전되어 쿡탑 가열원(800)이 가동되고, 이에 따라 라운드형 홈(703-3)이 함께 회전되면서 라운드형 홈(703-3) 이외의 회전노브(703-1)의 외주연이 스냅단자(703-4)와 맞닿게 됨으로써, 스냅단자(703-4)가 마이크로스위치(703-2) 내부로 들어가 제 2 스위칭수단(702) 및 제 3 스위칭수단(703)이 각각 연결된 라이트 설비가 접점 스위칭되어 동작되는 구조이다.
도 9는 도 8의 제 2 스위칭수단(702) 및 제 3 스위칭수단(703)을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스위칭수단(704) 및 제 3 스위칭수단(705)의 각 회전노브(704-1, 705-1)에는 라운드형 홈(704-3,704-5,705-3,705-5)이 여러개 형성되어 진다.
형성된 라운드형 홈(704-3,704-5,705-3,705-5)은 회전노브(704-1,705-1)가 회전되면서 쿡탑 가열원(800)이 단순히 온 오프되는 것이 아니라, 쿡탑 가열원(800)이 온 상태로 되어 단계적으로 가열원(800)의 열기가 조절되도록 스위칭이 세분화 되었을 경우에, 회전노브(704-1,705-1)가 단계적으로 회전되면서 라이트(900)의 밝기도 조절 가능하도록 회전노브(704-1,705-1)의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라운 드형 홈(704-3,704-5,705-3,705-5)이 제 각각 굴곡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노브(704-1,705-1)가 단계적으로 회전되면서 마이크로스위치(704-2,705-2)의 스냅단자(704-4,705-4)에 맞닿는 회전노브(704-1,705-1)의 외주연 위치가 상이해지므로, 굴곡된 높낮이가 상이하게 형성된 라운드형 홈(704-3,704-5,705-3,705-5)도 회전노브(704-1,705-1)의 단계적 회전에 대응하여 단계적으로 스냅단자(704-4,705-4)에 맞닿는 라운드형 홈(704-3,704-5,705-3,705-5)이 바뀌면서 탄성력에 의해 스냅하는 스냅단자(704-4,705-4)의 접점 위치도 변하여 라이트(900)의 밝기가 조절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단계적으로 라이트(900)의 밝기가 조절되기 위해서는 회전노브(704-1,705-1)에 형성된 다수의 라운드형 홈(704-3,704-5,705-3,705-5)이 일정한 굴곡 비율에 따른 순서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된 제 2 스위칭수단(704)은 쿡탑 가열원(800)이 오프 상태에 있으며, 제 1 라운드형 홈(704-3)에 스냅단자(704-4)가 대칭하여 임시 체결되어 스냅단자(704-4)가 최대로 돌출하여 마이크로스위치(704-2)가 개방되므로써, 라이트(900)가 오프된다.
아울러, 제 3 스위칭수단(705)은 쿡탑 가열원(800)이 제 1 단계로 가동되어 가열원(800)의 열기가 약하게 동작하도록 설정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회전노브(705-1)가 회전되어서 제 1 라운드형 홈(705-3)보다 얕게 형성된 제 2 라운드형 홈(705-5)에 스냅단자(705-4)가 임시 체결되면서 스냅단자(705-4)가 내부 접점스위치 (미도시)를 눌러, 스위치(미도시)가 작은 면적으로 접점되어 라이트(900)가 약한 불빛으로 스위칭 온 된다.
추가적으로 제 3 스위칭수단(705)의 회전노브(705-1)가 제 2 단계로 회전되면 라운드형 홈(705-3,705-5)이 형성되지 않은 회전노브(705-1)의 외주연에 스냅단자(704)가 맞닿아, 스냅단자(704)는 접점스위치(미도시)가 완전히 접점되어 라이트(900)가 강한 불빛을 내도록 스위칭 온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동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미도시)는 쿡탑의 조작부(미도시)에 있는 가열원(미도시)의 가동 스위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주방과 같은 곳에 빌트 인 시스템으로 갖춰진 보조설비(미도시)도 함께 구동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기 위한 제 1 스위칭수단(미도시), 제 1 스위칭수단(미도시)을 온 상태로 하여 보조설비(미도시)가 연동되도록 설정하면, 동작스위치(미도시)의 작동에 상관없이 쿡탑 가열원의 가동스위치(미도시)에 의해 가열원(미도시)과 보조설비(미도시)를 동시 또는 시차를 두고 스위칭되도록 하는 제 2 스위칭수단(미도시)이 포함된다.
이에 추가하여, 쿡탑의 가열원(미도시)에 의한 조리물의 조리시간이 짧을 경우에는 보조설비(미도시)인 후드 및 라이트의 기능이 불필요할 수가 있어서 제 1 스위칭수단(미도시)이 스위칭 온 되고, 제 2 스위칭수단(미도시)의 스위칭 온 상태의 전기 신호를 인가받은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보조설비(미도시)가 스위칭 온 되도록 설정된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조리가 끝난 후에도 조리로 인한 냄새와 찌꺼기를 외부로 배출할 필요 가 있기 때문에 조리 종료 후, 일정한 단 시간동안 후드설비(미도시)가 가동되어야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스위칭수단(미도시)이 스위칭 온 되고, 제 2 스위칭수단(미도시)으로 인하여 보조설비(미도시)인 후드설비(미도시)나 라이트(미도시)가 동작되며, 소정의 조리가 종료된 후, 다시 제 2 스위칭수단(미도시)이 스위칭 오프로 전환하면서 발생되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미도시)가 인가받은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동안 보조설비(미도시)가 동작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리가 종료된 후에도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한 보조설비(미도시)는 후드 기능이 있는 설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쿡탑 조작부(500)에 장착된 제 1 스위칭수단(501)을 이용하여, 조리 시에 쿡탑 가열원(400)을 가동함과 동시에 라이트 설비가 동작되는 것과, 쿡탑의 상측방향에 설치된 라이트 조작부(500)를 이용하여 쿡탑 조작부(500)가 조작되는 것과는 상관없이 조작부(미도시)를 사용자가 일일이 스위칭함으로써 라이트(301)가 온 오프되는 것 중, 선택한다.
사용자가 쿡탑 가열원(400)을 가동시킬 때에 라이트 설비도 동시에 동작되도록 제 1 스위칭 수단(501)을 설정하게 되면, 이 후로 사용자가 쿡탑 조작부(500)만을 조작함으로써 라이트(301)도 함께 온 오프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쿡탑 조작부(500)의 회전노브(502-1)를 눌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쿡탑 가열원(400)이 온 상태로 되고, 마이크로스위치(502-2)의 내부 스위칭(미도시)을 스냅하여 접점시키기 위한 스냅단자(502-3)에 대칭하여 임시 체결된 회전노브(502-1)의 라운드형 홈(502-4)이 회전되어 스냅단자(502-3)를 마이크로스위치(502-2)의 내부로 밀어 넣으며 임시 체결상태를 벗어난다.
임시 체결상태를 벗어난 스냅단자(502-3)는 라운드형 홈(502-4)이 형성되지 않은 회전노브(502-1)의 외주연과 맞닿으며 탄성력 있는 스냅단자(502-3)가 내부로 밀려 들어가 두 전극판(미도시)에 압박을 가하여 두 전극판(미도시)이 서로 맞닿아 라이트(301)가 온 상태로 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조리물을 모두 조리한 후, 쿡탑 가열원(400)을 오프시키기 위하여 회전로브(502-1)를 시계 방향으로 재 회전하여 가열원(400)을 오프 시키며, 함께 회전되는 라운드형 홈(502-4)도 스냅단자(502-3)가 있는 위치로 돌아와 마이크로스위치(502-2)의 내부로 밀려 들어 갔던 스냅단자(502-3)가 다시 탄성 돌출되면서 대응하는 라운드형 홈(502-4)에 재 임시 체결되어 라이트(301)가 소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쿡탑 조작부 내의 동작스위치와 연동하여 후드 및 라이트와 같은 보조설비를 가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쿡탑 조작부의 동작스위치만을 조작하여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모드에 의해 후드 및 라이트와 같은 보조설비를 동작시킬 수 있어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쿡탑 및 보조설비가 갖춰진 빌트 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쿡탑의 조작부에 의해 상기 보조설비의 작동 유무를 수동 설정하기 위한 제 1 스위칭수단;
    상기 제 1 스위칭수단이 스위칭 온 되면, 상기 쿡탑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보조설비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 2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수단은,
    상기 보조설비의 조작부 또는 상기 쿡탑의 조작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수단은,
    상기 제 2 스위칭수단과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동작스위치에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수단은,
    상기 쿡탑의 가열원을 스위칭하면서 상기 보조설비가 스위칭되도록 하기 위한 소정의 홈이 외주연에 형성되는 회전노브; 및
    상기 회전노브의 외주연과 스냅형 접점단자가 맞닿으며, 상기 회전노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냅형 접점단자의 접점 위치가 변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홈은,
    라운드된 형상이며, 상기 회전노브의 외주연에 굴곡이 상이한 다수 개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라운드형 홈은,
    굴곡률에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수단의 양 단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스위칭수단이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 및 보조설비의 연동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수단이 스위칭 온 되고, 상기 제 2 스위칭수단의 스위칭 온 상태의 전기 신호를 인가받은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후에 상기 보조설비가 스위칭 온 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 및 보조설 비의 연동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수단이 스위칭 오프로 전환하는 전기 신호를 인가받은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보조설비가 동작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 및 보조설비의 연동장치.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조설비는,
    후드설비 및 라이트설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 및 보조설비의 연동장치.
KR1020050044158A 2005-05-25 2005-05-25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 KR20060122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158A KR20060122141A (ko) 2005-05-25 2005-05-25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158A KR20060122141A (ko) 2005-05-25 2005-05-25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141A true KR20060122141A (ko) 2006-11-30

Family

ID=3770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158A KR20060122141A (ko) 2005-05-25 2005-05-25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21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713B1 (ko) * 2007-01-03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713B1 (ko) * 2007-01-03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9716B2 (en) Dual load control device
US11569818B2 (en) Load control device having a capacitive touch surface
WO2012158383A2 (en) Control device having a night light
US8558686B2 (en) Remote control device that uses color to indicate change in status
WO2011084729A1 (en) Lighting control switch harness for gas taps of for cooking appliances with optical indication of opening of the gas tap
US20050034967A1 (en) Operating unit and stove
PL207393B1 (pl) Wielofunkcyjny przełącznik elektryczny ścienny
KR20060122141A (ko) 쿡탑과 보조설비의 연동장치
EP2920884A1 (en) Modular touch switch
US11968761B2 (en) Load control device responsive to non-contact actuations
GB2427463A (en) Device comprising a central unit for actuating a domestic appliance
JP2006013572A (ja) リモコン装置およびこれを具備する照明器具
JP2006073220A (ja) スイッチ遠隔制御装置
EP4233175A1 (en) Load control device having a capacitive touch surface
US8115128B2 (en) Multifunction wall switch
US9155173B2 (en) Dual-mode dimmable receptacle
CN1302241C (zh) 家用电器
CN211600797U (zh) 发光旋钮及炉具
KR200320782Y1 (ko) 다기능 전기 스탠드
CN212587415U (zh) 一种时间敏感开关
KR20060122143A (ko) 써미스터를 구비한 후드설비와 쿡탑의 연동장치
CN116347725A (zh) 可控制点灯时间的节能装置
KR200203771Y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오븐램프와 바비큐 모터와 타이머연동회로
CN2393299Y (zh) 照明遥控开关
CN115175507A (zh) 一种智能开关的控制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