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304A - 알에프아이디 정보 선택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와 이를이용한 알에프아이디 정보 선택방법 및 시스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알에프아이디 정보 선택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와 이를이용한 알에프아이디 정보 선택방법 및 시스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304A
KR20060119304A KR1020050042055A KR20050042055A KR20060119304A KR 20060119304 A KR20060119304 A KR 20060119304A KR 1020050042055 A KR1020050042055 A KR 1020050042055A KR 20050042055 A KR20050042055 A KR 20050042055A KR 20060119304 A KR20060119304 A KR 20060119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fid
predetermined
rfid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50042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9304A/ko
Publication of KR20060119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 또는 수신하는 정보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 또는 수신된 RFID 식별정보를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수단; 및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시,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또는 칩)를 판별하고, 상기 태그(또는 칩)로부터 상기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독출하는 RFID 정보 독출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RFID 정보 선택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에 대한 것이다. 이에 의해, RFID 정보 독출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에 구매하고자 하는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후, 매장의 진열대에 구비된 다수의 상품 중에서 상기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을 편리하게 검색 및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RFID,정보선택

Description

알에프아이디 정보 선택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알에프아이디 정보 선택방법 및 시스템,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RFID Information, Mobile Devices with Function of Selecting RFID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RFID 선택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의 기능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RFID 리더기와 RFID 태그 간 기능구성에 대한 간단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정보 선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정보 선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정보 선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식별정보 저장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무선 단말기 182 : 수신부
184 : 전송부 186 : 출력부
188 : 입력부 190 : 판단부
192 : 저장부 194 : 독출부
200 : RFID 태그 600 : 서버 또는 장치
605 : 정보 선택부 610 : 저장매체
615 : 정보 제공부 620 : 유선 단말
본 발명은 RFID 정보 독출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에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 또는 수신하여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무선 단말기가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시,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또는 칩)를 판별하고, 상기 태그(또는 칩)로부터 상기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RFID 정보 선택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RFID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에 제안된 일반적인 정보 처리 절차는 RFID 정보 독출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를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시켜 소정의 RFID 정보를 독출한 후, 상기 RFID 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예컨대, 객체네임서버(Object Name Server; ONS) 또는 객체정보서버(Object Information Server; OIS) 또는 PML(Product Markup Language) 서버)로 전송 및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RFID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RFID 시스템은 RFID 태그가 부착된 상품 중에서 구매할 상품을 선택하고, 점대점(Point-T0-Point) 방식의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상기 상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유효하지만, 반면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의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수의 상품 중에서 구매할 상품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유효하지 않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불필요한 객체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서버측(예컨대, 객체네임서버 또는 객체정보서버)과 통신하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RFID 정보 독출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에 객체 정보(또는 RFID 태그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RFID 태그에 대응하는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 또는 수신하여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무선 단말기가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시,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또는 칩)를 판별하고, 상기 태그(또는 칩)로부터 상기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RFID 정보 선택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RFID 정보 선택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는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 또는 수신하는 정보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 또는 수신된 RFID 식별정보를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수단; 및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시,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또는 칩)를 판별하고, 상기 태그(또는 칩)로부터 상기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독출하는 RFID 정보 독출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단말기는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 및/또는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RFID 정보 독 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를 통신망상의 서버 또는 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통신망 상의 서버 또는 장치로부터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RFID 식별정보는 RFID 정보와, RFID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코드 정보와, RFID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또는 물건) 고유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는 RFID 정보 독출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PDA, 휴대 인터넷 폰, RFID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 단말기에 구비된 기록매체에는 상기 무선 단말기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매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RFID 정보 선택 방법은 소정의 정보 입력수단에서 단말로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 또는 제공하는 정보 입력단계; 소정의 정보 저장수단에서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 또는 제공된 RFID 식별정보를 상기 단말 내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단계; 및 상기 단말이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시, 소정의 RFID 정보 독출수단에서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또는 칩)를 판별하고, 상기 태그(또는 칩)로부터 상기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독출하는 RFID 정보 독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RFID 정보 선택 방법은 소정의 정보 출력수단에서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 및/또는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소정의 정보 전송수단에서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를 통신망상의 서버 또는 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소정의 정보 수신수단에서 통신망 상의 서버 또는 장치로부터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RFID 식별정보는 RFID 정보와, RFID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코드 정보와, RFID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또는 물건) 고유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말은 휴대폰, PDA, 휴대 인터넷 폰, RFID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단말 및/또는 유선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RFID 정보 선택 방법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구비된 기록매체에는 상기 RFID 정보 선택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RFID 정보 선택 시스템은 단말로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 또는 제공하는 정보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 또는 제공된 RFID 식별정보를 상기 단말 내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수단; 및 상기 단말이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시,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또는 칩)를 판별하고, 상기 태그(또는 칩)로부터 상기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독출하는 RFID 정보 독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RFID 정보 선택 시스템은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 및/또는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를 통신망상의 서버 또는 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통신망 상의 서버 또는 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통신망 상의 서버 또는 장치로부터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RFID 정보 선택 시스템에 구비되는 각각의 수단은 상기 단말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과 연동하는 장치 또는 서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RFID 식별정보는 RFID 정보와, RFID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코드 정보와, RFID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또는 물건) 고유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말은 휴대폰, PDA, 휴대 인터넷 폰, RFID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단말 및/또는 유선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소정의 수단이 단말측 또는 서버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할 것이며, 당업자의 의도 및/또는 실시방법에 따라 상기 수단은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측에 구비되는 수단은 해당 단말의 기능구성 및/또는 해당 단말이 갖는 고유한 특성(또는 역할)에 따라 상기 단말 내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거나, 및/또는 상기 단말에 탑재되는 장치(예컨대, PCB에 탑재되는 주문형 반도체 또는 IC칩) 내지 이탈착되는 장치(예컨대, 단말에 구비된 슬롯에 이탈착되는 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서버측에 구비되는 수단은 해당 서버의 기능구성 및/또는 해당 서버가 갖는 고유한 특성(또는 역할)에 따라 상기 서버 내 구비된 기록매 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예컨대, 각 수단의 고유한 기능(또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구성부(Function)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거나,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단이 하나의 독립된 서버로서 구성되어 복수의 서버가 소정의 서버간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상기 수단 및/또는 수단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구성을 소정의 서버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서버 내에 구비된 기능구성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소정의 네트워크 및/또는 통신수단을 통해 연동되는(예컨대, 서버 기능실현을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서버에 분리되어 구비되어도 무방함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을 따르는 RFID 선택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100)의 기능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기반하는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는 이동 통신단말이 상기 RFID 정보 선택을 위한 무선 단말기(10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RFID 정보 선택을 위한 상기 이동 통신단말의 바람직한 기능구성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하여 이동 통신단말 이외에 RFID 정보 선택을 위한 다른 무선 단말기(100)(예컨대,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 또는 휴대 인터넷 단말)의 기능 구성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청구 범위가 본 도면1에 예시된 이동 통신단말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단말기는 외형상 몸체(Body)와 스피커와 마이크, 키패드, LCD(Liquid Crystal Display), 안테나와 배터리(12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적으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뎀, CPU/MPU(Central Processing Unit/ Micro Processing Unit), 보코더 등의 기능을 내장한 소정의 모뎀칩(예컨대, 미국 퀄컴(Qualcomm)사의 MSM 시리즈 모뎀칩)과, 각종 메모리 소자, 하나의 안테나에서 송수신 신호를 분리해 주는 듀플렉서 필터,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HPA), 고출력 송신 신호가 반대로 되돌아오는 현상을 막아주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 원하는 대역 외 불요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RF/IF SAW 필터, 송신 경로의 주파수 상향회로, 수신경로의 주파수 하향 변환회로, 기준 클럭원에 해당하는 VCTCXO(Voltage Controlled Temperature Compensated X-tal Oscillator), 주파수 상하향 변환의 국부신호로 사용되는 UHF 주파수 합성기, 및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코덱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와 같은 내부 구성요소는 점차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집적화 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모뎀칩에는 상기와 같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한 핵심적인 구성요소 외에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또는 부가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기능들이 함께 직접화 되고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RFID 정보 선택을 위한 무선 단말기(100)는 기본적으로 제어부(105)와 화면 출력부(110)와 사운드 처리부(115)와 RFID 리더부(120)와 무선 처리부(130)와 키 입력부(135)와 근거리 통신부(140)와 메모리부(170)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25) 및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탑재되는 디지털 카메라(155)와 카메라부(150) 및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165)과 상기 IC칩(165)에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읽고/쓰기 위한 IC칩 리더부(160) 등이 구비되며, 소정의 RFID 태그(200)로부터 소정의 RFID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RFID 리더기 기능을 수행하는 RFID 리더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05)는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구비되는 CPU/MPU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고, 소정의 메모리 소자로부터 무선단말기 특유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 및 이를 위해 구비되는 소정의 전자회로(또는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소정의 메모리 소자 및/또는 칩셋으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특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연산 처리되는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총칭(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RFID 정보 선택을 위해 무선 단말기(100)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을 편의상 본 제어부(105)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함.)으로서,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이에 의해 무선단말기에 구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기능들이 실현되며, 또한 상기와 같은 기능들을 실현하기 위해 무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무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상기 제어부(105)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무선단말기에 전원이 입력되면, 소정의 메모리 소자에 저장되어 있던 운영체제 루틴, 시스템 관리 루틴, 및/또는 시스템 변수들이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어 운영체제,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 및/또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변수들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110)는 화면 출력을 위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드라이버(Driver)로서 상기 제어부(105)(예컨대, LCD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루틴)에 의해 키 입력부(135)를 통해 발생하는 키 데이터, 무선단말기에 구비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각종 정보, 신호, 및/또는 컨텐츠(예컨대, 문자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소정의 화면출력장치(예컨대, LCD 패널)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화면 출력부(110)는 화면출력장치(LCD)가 연동하여 RFID 정보 선택 과정에서 서버측(예컨대, 객체네임서버 또는 객체정보서버)으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RFID 객체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는 무선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제어부(105)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05)가 추출 및/또는 생성하는 소정의 사운드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에는 소정의 보코더(Vocoder)와 코덱(Codec)이 구비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와 마이크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에 구비되는 사운드 입력 기능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사운드 처리부(115)와 스피커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에 구비되는 사운드 출력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ID 리더부(120)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 내에서 소정의 RFID 태그(200)로부터 소정의 RFID 정보를 독출하는 RFID 리더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RFID 리더기의 내부 기능구성은 상기 RFID 태그(200)의 기능구성 및/또는 상기 RFID 태그(200)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가변적이다. 다만, 도면2를 통해 바람직한 실시방법을 포함하는 RFID 리더기와 RFID 태그(200)의 기능구성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무선 처리부(130)는 상기 제어부(105)(예컨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루틴)와 연계하여 위치등록 및/또는 슬롯모드(Slot Mode) 및/또는 전력제어(Power Control) 및/또는 핸드오프(Hand-off) 및/또는 호처리(Call Processing) 절차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이동 통신망의 종단에 해당하는 기지국과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RF 처리기능(예컨대, 안테나 제어, 무선 주파수 신호의 변조, 합성, 증폭 및/또는 필터링 등을 수행)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무선 처리부(130)는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단말기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정보 또는 신호를 CDMA 스택으로 가공 처리하거나,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CDMA 스택으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신호를 독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처리부(130)는 RFID 정보 선택 과정에서 상기 RFID 리더부(120)에 의해 상기 RFID 태그(200)로부터 수신(또는 독출)된 소정의 RFID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접속한 이동 통신망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측(예컨대, 객체 네임 서버(ONS))으로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서버측으로부터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객체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서버측으로부터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객체정보가 저장된 서버측(예컨대, 객체 정보 서버(OIS))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기능과, 상기 서버측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객체정보가 저장된 서버측에 접속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본 도면1의 무선 단말기(100)가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라면 상기 무선 처리부(130)는 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하여 RFID 정보 선택을 위한 소정의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또는 본 도면1의 무선 단말기(100)가 휴대 인터넷 단말이라면 상기 무선 처리부(130)는 휴대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RFID 정보 선택을 위한 소정의 휴대 인터넷 서비스(예컨대, 무선 데이터 통신, 또는 VoIP(Voice over IP) 기반의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기능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키 입력부(135)는 다수의 숫자키(Number Key), 문자키(Character Key)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Function Key)를 구비한 소정의 키패드(Keypad)로부터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 또는 신호를 독출(예컨대, 키 데이터와 매칭되는 정보 또는 신호를 저장하는 테이블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제어부(105)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키 입력부(135)와 키패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에 구비되는 정보 입력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부(135)는 RFID 정보 선택 과정에서 무선 단말기(100)에 입력되는 정보 및/또는 명령(예컨대, RFID 태그(200)로부터 소정의 RFID 정보를 수신하는 명령, 또는 RFID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측으로 전송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140)는 적외선(Infrared Ray) 통신 및/또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및/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및/또는 무선랜(Wireless LAN) 및/ 또는 와이파이(Wi-Fi), 초광대역통신(Ultra Wide Band; UWB)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소정의 단말(또는 장치)과 근거리 무선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적외선 통신, RF 통신, 블루투스, 무선랜, 와이파이, 초광대역통신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소정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사익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무선 처리부 이외에 상기 근거리 통신부(140)을 통해 서버측과 통신채널을 연결(예컨대, 근거리 통신부(140)과 연결되는 소정의 근거리 장치(145)를 소정의 네트워크 접속점(Access Point)로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서버측과 통신채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모리부(170)는 무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력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소자의 총칭으로서, 읽기 전용 메모리에 해당하는 ROM(Read Only memory)과 읽기/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FM), 및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ROM은 삭제되면 안되는 시스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는 운영체제 루틴, 호처리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상기 무선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루틴과 이를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며, 상기 EEPROM에는 단말기 등록관련 파라미터와 전화번호(예컨대, 주소록) 또는 상기 무선단말기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중에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70)에는 RFID 정보와, RFID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코드 정보와, RFID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또는 물건) 고유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RFID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영역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RFID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소정의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객체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영역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부(150)는 소정의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 소자로 이루어진 디지털 카메라(155)로부터 래스터(Raster) 기반의 CCD 화상정보를 비트맵 방식으로 독출하고, 상기 화상정보를 제어부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카메라부(ㅌ50)는 화상정보 형태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IC칩 리더부(160)는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등을 포함하는 IC칩 규격을 통해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IC칩 관련 기능구성(예컨대,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IC칩 에이전트 프로그램)과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165) 사이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 교환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IC칩 리더부(160)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상기 IC칩 에이전트 프로그램과 IC칩(165) 사이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 교환을 제 공한다. 상기 IC칩 리더부(160)는 상기 IC칩(165)에 구비된 소정의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88)와, 상기 입력된 RFID 식별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70)에 저장하는 저장부(192)와, 상기 RFID 리더부(120)를 통해 소정의 RFID 태그(200)로부터 소정의 RFID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부(194)와, 상기 독출된 RFID 정보가 상기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RFID 식별정보에 매칭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독출한 RFID 정보 및/또는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186) 및/또는 상기 RFID 정보를 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측으로 전송하는 전송부(184)와, 상기 서버측으로부터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객체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1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부(188)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소정의 기능구성과 연동하여 RFID 정보와, RFID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코드 정보와, RFID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또는 물건) 고유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RFID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188)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 에 구비된 키 입력부(135)와 연동하여 키 데이터 형태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무선 처리부(130) 또는 네트워크 접속점에 해당하는 근거리 장치(145)와 연결된 근거리 통신부(1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동하여 네트워크 상의 서버(600) 또는 장치(600)로부터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입력하는 정보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입력부(188)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카메라부(150)과 연동하여 화상정보 형태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사운드 처리부와 연동하여 사운드(또는 음성) 형태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수단(예컨대, 음성형태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소정의 음성인식 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이 가능)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188)가 상기 무선 처리부(130) 또는 근거리 통신부(140)과 연동하여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부터 상기 RFID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88)는 상기 RFID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객체정보를 더 포함하여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부(192)는 상기 입력부(188)를 통해 입력(또는 수신)된 RFID 식별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7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RFID 식별정보에 해당 RFID 객체정보가 더 포함되어 수신되는 경우, 상 기 RFID 객체정보를 상기 메모리부(170)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192)는 상기 메모리부(17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 또는 수신된 RFID 식별정보를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독출부(194)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시, 상기 RFID 리더부(120)와 연동하여 EPC(Electronic Product Code) 및/또는 U-코드 및/또는 ISO/IEC 15963 규격을 따르는 코드값 및/또는 임의의 코드값(예컨대, 서비스 목적에 따라 정의된 코드값)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RFID 정보를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해 소정의 RFID 태그(200)로부터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부(190)는 상기 독출부(194)에 의해 독출된 RFID 정보와 매칭되는 소정의 RFID 식별정보가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70)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독출부(194)와 RFID 리더부(120) 및 판단부(190)가 연동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시, 상기 메모리부(170)에 기 저장된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또는 칩)를 판별하고, 상기 태그(또는 칩)로부터 상기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독출하는 RFID 정보 독출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은 실시 일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시, 상기 메모리부(170)로부터 RFID 정보와 매칭되는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RFID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소정의 RFID 정보를 독출(예컨대, 점대점 방식으로 RFID 정보 독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는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시, 상기 무선 단말기(100) 주의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RFID 태그(200)로부터 하나 이상의 RFID 정보를 독출하고, 소정의 RFID 정보와 매칭되어 상기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RFID 식별정보가 상기 독출된 RFID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출력부(186)는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 및/또는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화면 출력부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100) 화면에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사운드 처리부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100)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186)는 상기 화면 출력부와 연동하여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 및/또는 상기 RFID 정보에 대 응하는 화상 데이터 형태의 RFID 객체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 화면에 출력하는 정보 출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사운드 처리부와 연동하여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 및/또는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 형태의 RFID 객체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 스피커에 출력하는 정보 출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전송부(184)는 상기 무선 처리부(130) 및/또는 근거리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접속한 무선 네트워크 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연동하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측으로 소정의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는 데이터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독출된 RFID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송부(184)와 무선 처리부, 또는 상기 전송부(184)와 근거리 통신부가 연동하여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를 통신망상의 서버(600) 또는 장치(600)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신부(182)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와 상기 서버측 사이에 연결된 데이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서버측으로부터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객체정보(예컨대, RFID 정보에 대응하여 무선 RFID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부(182)와 무선 처리부, 또는 상기 수신부(182)와 근거리 통신부가 연동하여 통신망 상의 서버(600) 또는 장치(600)로부터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RFID 객체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전송부(184)의 RFID 정보 전송 과정 및/또는 상기 정보 수신부(182)의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객체정보 수신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182)는 상기 서버측으로부터 상기 RFID 대응하는 RFID 객체정보에 대한 위치정보(예컨대,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접속한 무선 네트워크 또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연동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객체정보가 저장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며, 상기 RFID 객체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버측으로부터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RFID 객체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측으로부터 상기 RFID 객체정보가 저장된 위치정보 수신 및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버측에 접근하여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RFID 객체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접속한 무선 네트워크 상에 구비된 소정의 중계서버를 통해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실시 방법들에 따르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휴대폰, PDA, 휴대 인터넷 폰, RFID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휴대용 RFID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RFID 리더기와 RFID 태그(200) 간 기능구성에 대한 간단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RFID 시스템은 본 도면2와 같이 소정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는 RFID 태그(200)(트랜스폰더:외부 신호에 감응하여 자동적으로 특정의 신호를 되돌려 보내는 무선 송수신기의 총칭)와 상기 RFID 태그(200)에 저장된 상기 고유 정보를 독출 및 판독(해독) 기능을 수행하는 RFID 리더기(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는 생략되었으나 상기 고유 정보에 대한 소정의 정보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정보처리단말(또는 서버)과 응용 소프트웨어 및 네트워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RFID 태그(200)는 IC칩과 안테나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당업자의 의도 및/또는 상기 RFID 태그(200)가 적용되는 분야 및/또는 수동형/능동형 여부 및/또는 주파수 영역(또는 주파수 변조 방식)에 따라, 상기 IC칩은 소정의 논리소자와 메모리 소자가 구비된 간단한 RF칩부터 비접촉식 IC카드용 IC칩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도면2에 도시된 RFID 태그(200)의 기능구성은 트랜스폰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MCU(MicroController Unit) 블록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RFID 태그(200)의 기능구성이 본 도면2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RFID 태그(200)는 RFID 리더기(120)로부터 소정의 주파수대의 무선 주파수 신호(전파)를 송수신하는(또는 에너지원(전원)을 공급받는) 역할을 수행하는 안테나부(255)(본 도면2에서는 편의상 외장형으로 도시함)와, 소정의 고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75)와, 클럭 발생부(260)와, 전원부(265)와, 명령어 검출부(270)와, 엔코더부(280)와, 변조 절차부(285) 및 변조 스위치부(290)로 구성되는데, 상기 RFID 태그(200)의 메모리부(275)는 EPC(Electronic Product Code) 및/또는 U-코드 및/또는 ISO/IEC 15963 및/또는 당업자의 의도(또는 적용분야)에 따른 임의의 코드값을 포함하는 고유 정보를 미리 정의된 메모리 구조에 따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265)는 수동형 RFID 태그(200)의 경우 상기 안테나부(255)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소정의 전압치를 갖는 소정의 전원을 생성하거나, 능동형 RFID 태그(200)의 경우 소정의 전원을 충전하여 저장하며, 상기 전원은 상기 RFID 태그(200) 전체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클럭 발생부(260)는 상기 안테나부(255)로부터 입력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기반으로 소정의 클럭을 발생하고, 상기 명령어 검출부(270)는 상기 안테나부(255)로부터 입력된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소정의 명령어를 검출하는데, 상기 클럭과 상기 명령어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275)로부터 소정의 고유 정보가 추출되어 상기 엔코더부(280)로 제공된다. 상기 엔코더부(280)에 의해 엔코딩된 상기 고유 정보는 상기 변조 절차부(285)에 의한 소정의 변조 절차에 기반으로 상기 변조 스위치부(290)에 의해 변조되어 상기 안테나부(255)를 통해 상기 RFID 리더기(120)로 송신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275)는 읽기전용 메모리(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및/또는 읽기/쓰기 메모리(예컨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M(Flash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및/또는 한 번 쓰고 여러 번 읽기(Write Once Read Many: WORM) 메모리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RFID 리더기(120)는 RFID 태그(200)를 향해 소정의 전파를 방출하거나 또는 받아들이는 전자회로와, 상기 전자회로와 연계하여 상기 RFID 태그(200)로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출 및/또는 받아들이는 안테나와, 상기 RFID 태그(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Signal)를 판독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추출 및 검증(Check)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RFID 태그(200)에 구비된 기능구성 및/또는 RFID 시스템의 적용분야(예컨대, 물류/유통분야, 제조업분야, 의료/동물관리분야 등등)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구성, 또는 상기 데이터를 소정의 정보처리단말(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구성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도면2에 도시된 RFID 리더기(120)의 기능구성은 RFID 태그(200)와 상호 작용하는 RFID 리더기(120)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RFID 리더기(120)의 기능구성이 본 도면2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RFID 리더기(120)는 상기 안테나부(225)(본 도면2에서는 편의상 외장형으로 도시함)를 통해 방출(송출)할 무선 주파수 신호를 위한 발진부(210)와 상기 안테나부(225)를 통해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 송출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215)와,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안테나부를 통해 방출(송출)하기 위해 전력을 증폭하는 전력 증폭부(220) 및 상기 안테나부(225)를 통해 상기 RFID 태그(2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로부터 피크(Peak)를 검출하는 피크 검출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검출된 피크를 정형화(Shaping)하는 정형부(245) 및/또는 상기 피크를 증폭(Amplifying)하는 증폭부(240) 및/또는 상기 피크를 필터링(Filtering)하는 필터부(2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215)는 상기 피크(예컨대, 정형화 및/또는 증폭 및/또는 필터링된 피크)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판독(해독)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데이터는 상기 RFID 리더기(120) 내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소정의 정보처리단말(또는 서버)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RFID 리더기(120)와 RFID 태그(200) 간 무선 주파수 신호 송수신은 진폭변조(Amplitude Shift Keying; ASK), 주파수 변조(Frequency Shift Keying; FSK), 위상 변조(Phase Shift Keying; PSK)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조 방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RFID 리더기(120)와 RFID 태그(200) 간 무선 주파수 신호 송수신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ISO/IEC 15963에 정의된 ISO/IEC 코드 규격을 따르는 RFID 정보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ISO/IEC 코드 규격은 FDIS(Final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단계에 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포함되는 RFID 정보가 본 도면3에 도시된 ISO/IEC 코드의 경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최종안이 정의되거나, 또는 최종안에 소정의 정보가 추가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하는 것임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3의 (가)를 참조하면, 상기 ISO/IEC 코드는 할당 클래스(Allocation Class; AC)와 UID(Unique ID) 발급자 등록 번호와 유일한 인식을 위한 번호 체계인 일련 번호(Serial Number)로 이루어지며, 상기 할당 클래스는 8비트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할당 클래스에 따라 UID의 발급을 담당하는 기관의 UID 발급자 등록 번호가 정해지며, 상기 일련 번호는 상기 할당 클래스와 UID 발급자 등록 번호에 의해 설정된다.
도면3의 (나)를 참조하면, 상기 ISO/IEC 코드의 발급자는 상기 할당 클래스에 의해 정해지는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의 (나)를 통해 할당 클래스와 UID 발급자 사이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항 상세한 생략은 설명한다. 다만, 예를 들어 EPC(Electronic Product Code)를 이용하는 UID를 이용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등록기관은 "EAN.UCC" 할당 클래스 "11100010"를 EPC 앞에 붙여 사용하게 된다.
도면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미국의 Auto-ID 센터(최근 EAN/UCC(GS1으로 통합)에 의해 EPC global로 재편)에서 제안된 EPC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도시한 것으로서, 모든 종류의 물체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메타 코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EPC는 EPC 태그 데이터 표준 버전 1.1(EPC Tag Data Standard Version 1.1)까지 발표되었으며, 상기 버전에는 64비트와 96비트 메타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포함되는 RFID 정보가 본 도면4에 도시된 EPC의 경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버전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추가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하는 것임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4의 (가)를 참조하면, EPC는 상기 EPC의 길이와 식별 형식 등을 결정하는 8비트 해더와, 특정 산업과 관련된 도메인(Domain) 내의 물체 식별을 위한 식별 체계에 해당하는 도메인 식별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선택적으로 상기 해더와 도메인 식별자 사이에 효과적인 EPC 판독을 위한 소정의 필터값(옵션)이 추가되는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4의 (나)를 참조하면, 상기 EPC 해더는 64비트 또는 96비트의 도메인 식별자를 정의하고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의 (나)를 통해 해더에 정의된 내용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항 상세한 생략은 설명한다. 다만, 본 도면4의 (나)를 참조하면, 상기 EPC 해더는 향후 확장성을 고려하여 8비트 이상의 해더를 사용하기 위해 "0000 0000"예약하고 있다.
도면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일본의 유비쿼터스 ID 센터에 의해 제안된 U-코드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도시한 것으로서, 모든 종류의 물체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메타 코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자체 용량이 충분할 경우 상기 RFID 정보 내에 소정의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포함되는 RFID 정보가 본 도면5에 도시된 U-코드의 경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버전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추가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5의 (가)를 참조하면, U-코드는 서비스 해더와 서비스 식별자와 서비스 데이터 및 EDC(Error Detect Code)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비스 해더와 서비스 식별자와 서비스 데이터 및 EDC의 길이(예컨대, 비트수)는 가변적이다. 예컨대, 상기 U-코드를 물품관리에 적용하고, 서비스 식별자의 길이가 36비트로 정의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식별자는 EAN 코드(국제 물품 번호 코드)에 대응한다.
도면5의 (나)를 참조하면, U-코드는 코드의 전체 길이는 128비트 단위로 확장(예컨대, 128비트, 256비트, 384비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통해 U-코드의 특징적인 내용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항 상세한 생략은 설명한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정보 선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소정의 유선 단말(620)(예컨대,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또는 노트북)에서 네트워크 상의 서버(600) 또는 장치(600)에 접속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단말기(100)로 전송할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서버(600) 또는 장치(600)에서 소정의 무선 네트워크(예컨대,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상기 RFID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하여 다양한 RFID 정보 선택 시스템(예컨대, 소정의 무선 단말기(100)에서 네트워크 상의 서버(600) 또는 장치(600)에 접속하여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무선 단말기(100)로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6을 참조하면, 서버(600) 또는 장치(600)는 소정의 유선 단말(620)이 접속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제공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식별정보를 선택하는 정보 선택부(605)와,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제공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식별정보를 구비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저장매체(610)와, 상기 정보 선택부(605)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식별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6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 선택부(605)와 저장매체(610) 및 정보 제공부(615)는 상기 서버(600) 또는 장치(600)를 연결하는 무선 네트워크와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무선 처리부 및 입력부(188)와 연동하여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수신하는 정보 입력수단을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유선 단말(620)이 개인 컴퓨터라면, 상기 유선 단말(620)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서버(600) 또는 장치(600)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600) 또는 장치(600)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RFID 식별정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식별정보를 선택 및 상기 무선 단말기(100)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600) 또는 장치(600)로 전송하면, 상기 서버(600) 또는 장치(600)에서 상기 선택된 RFID 식별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정보 선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무선 단말기(100)에서 소정의 정보 입력수단(예컨대, 키 데이터 형태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수단, 또는 화상정보 형태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수단, 또는 사운드(또는 음성) 형태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수단)을 통해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메모리부(170)에 저장한 후, 상기 RFID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시, 상기 RFID 태그(200)로부터 상기 RFID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소정의 RFID 정보를 독출하는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소정의 정보 입력수단을 통해 RFID 정보와, RFID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코드 정보와, RFID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또는 물건) 고유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RFID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70)에 저장한 후(700),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소정의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하는지 확인한다(75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키 입력부를 통해 소정의 RFID 정보 독출 명령이 입력(또는 실행)되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RFID 리더부가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를 발산하는지 등을 감지함으로써 확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했다면(710),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메모리부(17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식별정보를 추출하고(715), 상기 근접한 RFID 태그(200)로부터 상기 RFID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시도한다(720).
만약 상기 RFID 정보 독출 시도 과정에서 상기 RFID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RFID 정보가 독출되지 않는다면(725),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본 발명을 따르는 RFID 선택 과정을 종료하는데, 실시 방법에 따라서는 종래의 RFID 정보 처리 절차에 따라 상기 근접한 RFID 태그(200)로부터 소정의 RFID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RFID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서버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측으로부터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RFID 객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출력하여도 무방하다.
반면 상기 RFID 정보 독출 시도 과정에서 상기 RFID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RFID 정보가 독출된다면(725),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독출된 RFID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출력하고(730), 상기 메모리부(170)에 상기 독출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객체정보가 저장되어있는지 확인한다(735).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RFID 객체정보는 상기 RFID 식별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서버(600) 또는 장치(600)로부터 제공받는 과정에서 상기 RFID 식별정보와 함께 제공받아 상기 메모리부(170)에 저장하는 가능하다.
만약 상기 메모리부(170)에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RFID 객체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740),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RFID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RFID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서버측으로 전송하고(745),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측으로부터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RFID 객체정보를 수신하여(750),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RFID 객체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출력한다(760).
반면 상기 메모리부(170)에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RFID 객체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740),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메모리부(170)로부터 상기 RFID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객체정보를 추출하고(755),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RFID 객체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출력한다(760).
도면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정보 선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상기 도면7과 같이 무선 단말기(100)에서 소정의 정보 입력수단을 통해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메모리부(170)에 저장한 후, 상기 RFID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시, 상기 RFID 태그(200)로부터 상기 RFID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소정의 RFID 정보를 독출하는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소정의 정보 입력수단을 통해 RFID 정보와, RFID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코드 정보와, RFID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또는 물건) 고유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RFID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메모리부(170)에 저장한 후(800),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소정의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정보가 독출되는지 확인한다(805).
만약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정보가 독출되면(810),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독출된 RFID 정보가 상기 메모리부(17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RFID 식별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단하는데(815), 상기 과정에 서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RFID 태그(200)로부터 독출된 상기 RFID 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판단결과 상기 독출된 RFID 정보가 상기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소정의 RFID 식별정보와 매칭되지 않는다면(820),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종래의 RFID 정보 처리 절차에 따라 상기 독출된 RFID 정보를 네트워크 상의 서버측으로 전송하고(825),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측으로부터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RFID 객체정보를 수신하여(830),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RFID 객체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출력한다(835).
반면 상기 판단결과 상기 독출된 RFID 정보가 상기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소정의 RFID 식별정보와 매칭된다면(820),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메모리부(170)에 상기 독출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객체정보가 저장되어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RFID 객체정보를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서버측으로부터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객체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과정(735~765)을 수행한다.
도면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RFID 식별정보 저장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무선 단말기(100)에서 네트워크 상의 서버(600) 또는 장치(600)로부터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입력하는 정보 입력수단을 통해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메모리부(170)에 저장하는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RFID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소정의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시, 상기 메모리부(170)에 저장된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또는 칩)를 판별하고, 상기 태그(또는 칩)로부터 상기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독출하는 과정은 상기 도면7 내지 도면8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면9를 참조하면, 유선 단말(620)은 네트워크 상의 서버(600) 또는 장치(600)에 접속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제공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식별정보를 선택하고(900), 상기 서버로 상기 선택된 RFID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무선 단말기(100) 정보를 전송한 후(905),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상기 선택된 RFID 식별정보를 제공하도록 요청한다(910)
상기 서버는 상기 요청에 의해 상기 무선 단말기(100)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무선 단말기(100)로 상기 유선 단말(620)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정보를 제공하고(915),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RFID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170)에 저장한다(920).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서버가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상기 RFID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서버는 소정의 객체정보서 버와 연동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상기 RFID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RFID 객체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무선 단말기(100)로 RFID 식별정보가 수신되어 저장된 후,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도면7 내지 도면8에 도시된 바와 같은 RFID 정보 선택 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RFID 정보 독출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에 구매하고자 하는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하거나,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 후, 매장의 진열대에 구비된 다수의 상품 중에서 상기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을 편리하게 검색 및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2)

  1.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 또는 수신하는 정보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 또는 수신된 RFID 식별정보를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수단; 및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시,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또는 칩)를 판별하고, 상기 태그(또는 칩)로부터 상기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독출하는 RFID 정보 독출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 및/또는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를 통신망상의 서버 또는 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 보 선택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통신망 상의 서버 또는 장치로부터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식별정보는,
    RFID 정보와, RFID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코드 정보와, RFID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또는 물건) 고유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휴대폰, PDA, 휴대 인터넷 폰, RFID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무선 단말기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 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8. 소정의 정보 입력수단에서 단말로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 또는 제공하는 정보 입력단계;
    소정의 정보 저장수단에서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 또는 제공된 RFID 식별정보를 상기 단말 내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단계; 및
    상기 단말이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시, 소정의 RFID 정보 독출수단에서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또는 칩)를 판별하고, 상기 태그(또는 칩)로부터 상기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독출하는 RFID 정보 독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소정의 정보 출력수단에서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 및/또는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소정의 정보 전송수단에서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를 통신망상의 서버 또는 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소정의 정보 수신수단에서 통신망 상의 서버 또는 장치로부터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방법.
  12. 제 8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식별정보는,
    RFID 정보와, RFID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코드 정보와, RFID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또는 물건) 고유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방법.
  13. 제 8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휴대폰, PDA, 휴대 인터넷 폰, RFID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단말 및/또는 유선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방법.
  14. 제 8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5. 단말로 소정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 또는 제공하는 정보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 또는 제공된 RFID 식별정보를 상기 단말 내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수단; 및
    상기 단말이 RFID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또는 칩)에 근접시,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또는 칩)를 판별하고, 상기 태그(또는 칩)로부터 상기 RFID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RFID 정보를 독출하는 RFID 정보 독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 및/또는 상기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시스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를 통신망상의 서버 또는 장치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시스템.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통신망 상의 서버 또는 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시스템.
  19. 제 15항에 있어서,
    통신망 상의 서버 또는 장치로부터 상기 RFID 정보 독출수단이 독출한 RFID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시스템.
  20. 제 15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단은,
    상기 단말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과 연동하는 장치 또는 서버에 구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시스템.
  21. 제 15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식별정보는,
    RFID 정보와, RFID 정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 코드 정보와, RFID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또는 물건) 고유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시스템.
  22. 제 15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휴대폰, PDA, 휴대 인터넷 폰, RFID 무선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단말 및/또는 유선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정보 선택 시스템.
KR1020050042055A 2005-05-19 2005-05-19 알에프아이디 정보 선택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와 이를이용한 알에프아이디 정보 선택방법 및 시스템, 기록매체 KR20060119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055A KR20060119304A (ko) 2005-05-19 2005-05-19 알에프아이디 정보 선택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와 이를이용한 알에프아이디 정보 선택방법 및 시스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055A KR20060119304A (ko) 2005-05-19 2005-05-19 알에프아이디 정보 선택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와 이를이용한 알에프아이디 정보 선택방법 및 시스템, 기록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113A Division KR20100057773A (ko) 2010-05-19 2010-05-19 알에프아이디 정보 선택 시스템
KR1020110092618A Division KR20110107781A (ko) 2011-09-14 2011-09-14 선택적 알에프아이디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304A true KR20060119304A (ko) 2006-11-24

Family

ID=37706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055A KR20060119304A (ko) 2005-05-19 2005-05-19 알에프아이디 정보 선택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와 이를이용한 알에프아이디 정보 선택방법 및 시스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93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467B1 (ko) * 2006-04-26 2007-08-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fid 포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467B1 (ko) * 2006-04-26 2007-08-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fid 포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97809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 제공 서버와기록매체
KR20060097802A (ko) 고객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고객 정보 관리 서버와 정보 저장매체와 기록매체
KR20110107781A (ko) 선택적 알에프아이디 운영 방법
KR20060119304A (ko) 알에프아이디 정보 선택 기능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와 이를이용한 알에프아이디 정보 선택방법 및 시스템, 기록매체
KR101083769B1 (ko) 알에프아이디 운용방법 및 시스템, 알에프아이디 단말과알에프아이디 운용 서버, 기록매체
KR100811145B1 (ko) 무선 단말장치를 이용한 정보 처리시스템과 무선 단말장치
KR20120139647A (ko) 정보 제공 방법
KR20100057773A (ko) 알에프아이디 정보 선택 시스템
KR101241414B1 (ko) 무선인식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KR101213245B1 (ko) 무선단말
KR20060097814A (ko) 정보 제공 단말 및 그 방법과 시스템, 기록매체
KR20060108085A (ko) 전화번호 정보를 구비하는 알에프아이디 태그와 이를이용한 알에프아이디 운용방법 및 시스템, 알에프아이디운용 단말과 알에프아이디 운용 서버, 기록매체
KR20100041722A (ko) 정보 제공 서버
KR101461148B1 (ko) 데이터 변환 출력 방법
KR101593137B1 (ko) 데이터 부호화 송출 방법
KR101612528B1 (ko) 선택적 프로그램 구동 방법
KR101133010B1 (ko) 무선 단말장치를 이용한 정보 처리방법
KR100918419B1 (ko) 카드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휴대폰에서의 금융거래 화면출력방법
KR101508760B1 (ko) 데이터 변환 출력 방법
KR101403710B1 (ko) 코드 부호화 출력 방법
KR101402850B1 (ko) 데이터 변환 출력 방법
KR20120041195A (ko) 고객 관계 관리 방법
KR20130012080A (ko) 고객 관계 관리 방법
KR20140048907A (ko) 정보 제공 방법
KR20100127737A (ko) 알에프아이디 정보 변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