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105A - 섹터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섹터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105A
KR20060119105A KR1020050041677A KR20050041677A KR20060119105A KR 20060119105 A KR20060119105 A KR 20060119105A KR 1020050041677 A KR1020050041677 A KR 1020050041677A KR 20050041677 A KR20050041677 A KR 20050041677A KR 20060119105 A KR20060119105 A KR 20060119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emergency
tele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국
김상현
박상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1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9105A/ko
Publication of KR20060119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행정구역 경계에 위치한 이동단말기의 긴급전화 시에 올바른 관할 행정구역의 단말기로 상기 긴급전화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섹터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이동단말기와 무선 접속되며, 자신의 커버리지(Coverage) 영역을 복수 개의 섹터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섹터에 해당 섹터 ID를 각각 할당하는 기지국; 및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전송된 전화번호가 긴급전화번호이면, 상기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섹터 단위로 파악하여 상기 섹터ID에 해당하는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로 연결하는 교환기를 포함하여, 긴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행정구역 경계지역에 위치한 이동단말기에서 정확하게 해당 관할 행정관청으로 전화연결을 수행한다.
긴급전화, 기지국, 교환기, 경계구역, 관할 행정관청

Description

섹터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EMERGENCY CALL AUTOMATIC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ING MOBILE STATION BASED ON SECTOR}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셀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 관할의 행정관청으로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섹터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 관할의 행정관청으로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행정경계 지역에 위치한 기지국의 셀 영역을 복수의 섹터로 분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섹터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섹터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200: 이동단말기 300: 기지국
400: 교환기 500: PSTN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긴급전화 자동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행정구역 경계에 위치한 이동단말기의 긴급전화 시에 올바른 관할 행정구역의 단말기로 상기 긴급전화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섹터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통신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게 됨에 따라 통상적인 전화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장소에도 임의의 상대방과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를 수시로 옮겨 다니면서도 음성통신이 용이하도록 소형화되어 휴대가 간편한 이동단말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단말기는 무선 망을 통해 상대방과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된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 통신가입자가 이동하면서 통신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시스템이나 개인통신 시스템에 폭 넓게 보급되고 있다.
한편, 상기 이동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단말기의 전원을 온시키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RF신호처리수단의 복조주파수를 순차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면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캐리어를 검색함과 더불어 입력되는 각 복조신호의 레벨을 근거로 자신이 소속되는 기지국을 파악하게 됨에 따라, 그 파악된 기지국을 통해 상대방측과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바, 이러한 이동단말기에 부여된 고유의 무선이동통신 기능 이외에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배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 능들이 개발되어 채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112나 119로 긴급전화를 걸면, 관할 행정구역의 경찰서나 소방서로 자동으로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행정구역의 경계지역에 기지국에 무선 접속한 서로 다른 이동단말기(100, 200)가 각각 호 접속하여 긴급전화를 걸면, 서로 다른 행정구역 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지역의 관할 행정관청으로 전화를 연결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행정구역 경계지역에서 일 지역에 위치한 기지국에 서로 다른 이동단말기(100, 200)가 각각 호 접속하여 긴급전화를 걸면,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일 지역에 위치하고 다른 이동단말기(200)는 타 지역에 위치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행정구역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두 이동단말기(100, 200) 모두 일 지역 관할 행정관청으로 전화를 연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행정구역의 경계가 산, 강 등과 같은 장애물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더욱 더 정확하게 관할 행정관청으로 전화를 연결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행정구역 경계지역에서의 긴급전화 연결 시 해당 지역의 관할 행정관청으로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는 섹터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섹터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 방법은, (A) 기지국의 셀 영역을 복수 개의 섹터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섹터 정보를 각각 등록받는 단계; (B)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발신전화를 수신하면, 착신 대상 전화번호에 대한 번호번역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번호번역 결과, 상기 전화번호가 긴급전화번호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단말기가 위치한 기지국의 섹터ID에 해당하는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로 상기 전화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기가 위치한 기지국의 섹터 ID정보를 상기 발신전화와 함께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기지국의 위치정보 및 상기 섹터ID를 토대로 상기 이동단말기가 위치한 기지국의 섹터 ID에 해당하는 행정관청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얻는 단계; 및 (C2) 상기 라우팅 정보에 따라 해당 행정관청의 단말기로 전화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섹터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 시스템은 이동단말기와 무선 접속되며, 자신의 커버리지(Coverage) 영역을 복수 개의 섹터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섹터에 해당 섹터 ID를 각각 할당하는 기지국; 및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전송된 전화번호가 긴급전화번호이면, 상기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섹터 단위로 파악하여 상기 섹터ID에 해당하는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로 연결하는 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긴급전화번호 발신과 함께 해당 이동단말기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섹터ID를 수신하면 교환기로 긴급전화번호와 상기 섹터ID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환기는, 각 기지국의 섹터 단위로 등록된 행정구역 정보와 행정구역별 라우팅 정보를 테이블화 하여 등록 및/또는 저장하는 행정구역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교환기는, 기지국별 해당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 전화번호 등록 또는 변경의 경우에,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 전화번호와 섹터ID가 동시에 등록 또는 변경된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 및 섹터ID에 일치하는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 전화번호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섹터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 관할의 행정관청으로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로써, 행정구역 경계지역에 위치한 기지국에 이동단말기(100)가 호 접속하여 긴급전화를 걸면, 상기 기지국을 통해 A지역 관할 행정관청으로 연결하고, 상기 동일한 기지국 내에 이동단말기(200)가 호 접속하여 긴급전화를 걸면 B지역 관할 행정관청으로 전화를 연결한다.
이를 위하여,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의 셀을 복수의 섹터로 분할한 후, 상기 이동단말기(200)가 위치한 섹터정보를 상기 긴급전화 호 접속 시 함께 전송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첨부된 도4 및 도5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섹터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단말기(100, 200); 상기 이동단말기(100, 200)와 무선 접속하는 기지국(300); 상기 기지국(300)과 접속하는 교환기(400); 상기 교환기(400)와 IWF(inter-working function)(미도시)를 통해 접속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500); 및 상기 PSTN(500)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미도시)를 포함한다.
기지국(300)은 이동단말기(100)와 무선으로 정합하여 가입자에게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지국(300)은 자신의 커버리지 영역을 복수 개의 섹터로 분할하고 분할된 섹터에 섹터 ID를 각각 부여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300)은 이동단말기(100)로부터 긴급전화번호 발신과 함께 해당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상기 기지국(300)의 섹터ID(SECID)를 수신하면 교환기(400)로 긴급전화번호와 상기 섹터ID를 전송한다.
교환기(400)는 기지국(300)으로부터 전송된 긴급전화번호 및 섹터 ID를 전송받아 번호번역을 통해 긴급전화번호 임을 인지하고, 각 기지국(300)의 섹터 단위로 등록된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로 PSTN(500)을 통해 연결한다. 이러한 교환기(400)는 각 기지국(300)의 섹터 단위로 등록된 행정구역 정보와 행정구역별 라우팅 정보를 테이블화 하여 등록/저장하는 행정구역DB(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교환 기(400)는 기지국(300)별 긴급전화번호 등록을 섹터단위까지 저장하여 해당 기지국(300)으로부터 긴급전화번호 수신 시에, 상기 DB를 토대로 섹터 단위까지 판단하여 해당 섹터에 대응되는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로 자동연결을 수행한다.
또한, 교환기(400)는 기지국(300)별 해당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 전화번호 등록 또는 변경의 경우에, 섹터ID없이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 전화번호만 등록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300)에 대한 섹터 구분을 하지 않고 동일한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로 연결하며,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 전화번호와 섹터ID가 동시에 등록된 경우에는 기지국(300) 및 섹터ID에 해당하는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 전화번호로 연결한다.
이동단말기(100)는 상기 기지국(300)의 섹터단위에 해당하는 위치정보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위치정보 획득은 상기 기지국(300)과의 호 접속을 위한 협상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액세스 채널을 통해서나, GPS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섹터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섹터ID없이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 전화번호만 교환기(400)에 등록된 경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이동단말기(100)가 긴급전화번호(예컨대, 112, 119등)를 발신한다(S510). 이때, 이동단말기(100)는 자신이 위치한 해당 기지국(300)의 섹터ID를 함께 전송한다.
이어, 기지국(300)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긴급전화번호 및 섹터ID를 자신의 기지국 ID와 함께 교환기(400)로 전송한다(S520).
그러면, 교환기(400)는 상기 기지국(300)으로부터 전송된 전화번호에 대한 번호번역을 수행한다(S530). 상기 번호번역 결과, 상기 전화번호가 긴급전화번호가 아니라 다른 이동단말기(100)의 전화번호라면, 해당 이동단말기(100)가 속한 교환기(400) 또는 기지국(300)으로 연결하여 해당 전화번호와 연결한다(S540, S560).
그러나, 교환기(400)는 상기 번호번역 결과, 상기 전화번호가 긴급전화번호 인 경우에는,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위치한 기지국(300)의 섹터ID에 해당하는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로 연결한다(S540-S550).
즉, 교환기(400)는 이동단말기(100)가 위치한 기지국(300)의 위치정보 및 섹터ID를 토대로 행정구역DB에 저장된 행정구역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기지국(300)의 위치정보 및 섹터 ID에 해당하는 행정관청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얻은 후, 상기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와 PSTN(500)을 통해 연결한다.
이에 따라 긴급전화번호를 발신한 이동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을 통해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와 자동으로 연결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 기반의 셀 단위로 처리하던 긴급전화번호를 섹터 단위로 처리함으로써, 긴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행정구역 경계지역에 위치한 이동단말기에서 정확하게 해당 관할 행정관청으로 전화연결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A) 기지국의 셀 영역을 복수 개의 섹터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섹터 정보를 각각 등록받는 단계;
    (B)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발신전화를 수신하면, 착신 대상 전화번호에 대한 번호번역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번호번역 결과, 상기 전화번호가 긴급전화번호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단말기가 위치한 기지국의 섹터ID에 해당하는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로 상기 전화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터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기가 위치한 기지국의 섹터 ID정보를 상기 발신전화와 함께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터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기지국의 위치정보 및 상기 섹터ID를 토대로 상기 이동단말기가 위치한 기지국의 섹터 ID에 해당하는 행정관청에 대한 라우팅 정보를 얻는 단계; 및
    (C2) 상기 라우팅 정보에 따라 해당 행정관청의 단말기로 전화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터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 방법.
  4. 이동단말기와 무선 접속되며, 자신의 커버리지(Coverage) 영역을 복수 개의 섹터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섹터에 해당 섹터 ID를 각각 할당하는 기지국; 및
    상기 이동단말기에서 전송된 전화번호가 긴급전화번호이면, 상기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섹터 단위로 파악하여 상기 섹터ID에 해당하는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로 연결하는 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터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긴급전화번호 발신과 함께 해당 이동단말기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섹터ID를 수신하면 교환기로 긴급전화번호와 상기 섹터ID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터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 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각 기지국의 섹터 단위로 등록된 행정구역 정보와 행정구역별 라우팅 정보를 테이블화 하여 등록 및/또는 저장하는 행정구역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터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 시스템.
  7. 제4항 또는 제5항 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기지국별 해당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 전화번호 등록 또는 변경의 경우에,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 전화번호와 섹터ID가 동시에 등록 또는 변경된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 및 섹터ID에 일치하는 관할 행정관청의 단말기 전화번호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섹터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 시스템.
KR1020050041677A 2005-05-18 2005-05-18 섹터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19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677A KR20060119105A (ko) 2005-05-18 2005-05-18 섹터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677A KR20060119105A (ko) 2005-05-18 2005-05-18 섹터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105A true KR20060119105A (ko) 2006-11-24

Family

ID=37706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677A KR20060119105A (ko) 2005-05-18 2005-05-18 섹터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91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8466A (ko) * 2009-10-08 2011-04-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긴급 호 설정 시스템 및 긴급 호 설정 방법
WO2018052932A1 (en) * 2016-09-13 2018-03-22 Ferguson Donald Lee Next generation emergency call routing over diverse network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8466A (ko) * 2009-10-08 2011-04-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긴급 호 설정 시스템 및 긴급 호 설정 방법
WO2018052932A1 (en) * 2016-09-13 2018-03-22 Ferguson Donald Lee Next generation emergency call routing over diverse networks
US10542146B2 (en) 2016-09-13 2020-01-21 Donald Lee Ferguson Next generation emergency call routing over diverse networ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374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a call from a first telephone to a designated telephone in close proximity
CN1973564B (zh) 用于控制和分析电话网络中的通信的方法
US7272385B2 (en) Activating an interactive multimedia terminal
US7058415B2 (en) System for providing unified cellular and wire-line service to a dual mode handset
JP5170105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位置・経路登録更新手順
KR100548673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유니트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
US20070202866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Handover To Small Radio Base Station Of The Same
RU2001105979A (ru)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услуги местной зоны для абонентов мобильных телефонов в системе подвижной радиосвязи
US92644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a designated call to a cellular telephone
KR100532676B1 (ko) 방문자 인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US7620032B2 (en) Mobile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telephone communication switching method
KR20060119105A (ko) 섹터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5060236A1 (en) Method for adding characterization data during an image capture
KR100269135B1 (ko) 지리정보서비스장치및그방법
US8229429B2 (en) Position registering method, radio control station, and exchange
US73338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two-way radio communications over a computer network
KR100601870B1 (ko) 무선 근거리 ap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관리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
US20050221831A1 (en) Routing area selection for a communication device accessing a network through a secondary communication network
KR100652183B1 (ko) Mac 존 id를 이용한 지역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381436B1 (ko) 종합 사설 서비스망에서 dect호처리 영역 확장을 위한호처리 제어방법과 장치
KR100610238B1 (ko)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
JPH0121661B2 (ko)
JP2834095B2 (ja) 広域無線呼出システムの位置登録方式
KR19980030938A (ko)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의 마이크로시스템 및 그 호처리 방법
JP2003174663A (ja) 位置特定システム及び課金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