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238B1 -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238B1
KR100610238B1 KR1020050128711A KR20050128711A KR100610238B1 KR 100610238 B1 KR100610238 B1 KR 100610238B1 KR 1020050128711 A KR1020050128711 A KR 1020050128711A KR 20050128711 A KR20050128711 A KR 20050128711A KR 100610238 B1 KR100610238 B1 KR 100610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mobile terminal
authentication device
public switched
switched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스에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스에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스에이티
Priority to KR1020050128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내장된 휴대 단말기와 통신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지역 내에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데 사용된다.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위치 인증 장치로부터 공중교환전화망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특정 영역 내에 있다는 사실을 인증받고, 이 정보를 이용해서 이동통신 사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근거 자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위치 인증 장치, 위치 확인 서비스, 위치 기반 서비스, 근거리 무선 통신, 공중교환전화망(PSTN), 발신자 번호(Caller Identification: CID), 휴대 단말기, 이동 통신 시스템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 Authentication of Mobile Terminal by Using Caller Identification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and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도 1은 이동통신에서 셀 기반 구성을 간단하게 표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위치 인증 장치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개념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위치 인증 장치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위치 인증 장치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위치 인증 장 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위치 인증 장치 502: 제어부
504: 복합 주파수 부호 신호 발생부 506: 메모리
508: 표시부 510: 근거리 무선 통신 통신부
512: 전원부 514: 공중교환 전화망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지역 내에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특정 영역 내에 있다는 사실을 인증받고, 이 정보를 이용해서 이동통신 사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게 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음성 통신 이외 에도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역시 이런 서비스들 중 하나이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동성이 보장된 휴대 단말기에 현재 위치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서비스의 총칭이다. 이를 위해서 이동통신 사업자는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현재 특정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어야만 한다.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영역 내에 있는지 알 수 있는 방법 중, 셀 기반 방식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셀 기반 방식을 이용한 위치 확인 방법은 휴대 단말기가 사용하고 있는 기지국의 정보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즉 휴대 단말기가 통신하는 데 사용하고 있는 기지국의 정보를 이용하면 휴대 단말기가 해당 기지국의 통신 범위 안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2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 번째는 기지국의 범위가 겹치는 곳에 휴대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생기는 문제이다.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여러 개의 기지국을 설치해서 사용하다. 이 경우에 기지국이 처리할 수 있는 영역은 도 1과 같이 기지국을 중심으로 원형을 그리게 된다. 하지만, 무선의 특성상 경우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육각형의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럴 경우에 도 1의 색칠한 부분처럼 인접한 기지국끼리 범위가 겹치는 경우가 발생한다. 두 개의 셀이 겹치는 지역에서는 휴대 단말기가 통신 환경에 따라서 같은 위치라도 다른 기지국을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상황은 셀의 반경이 좁은 도시 지역에서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같은 위치에서도 휴대 단말기가 사용하는 기지국의 정보가 다른 경우가 발생하므로, 기지국 정보만을 이용해서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두 번째 문제점은 광중계기의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이다. 복잡한 도심 지역에서는 도 1과 같이 정확하게 서비스 영역이 나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동통신 사용자의 수에 따라서 범위가 더욱 좁아질 수도 있다. 이럴 경우 기지국을 설치하는 비용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요즘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들은 기지국 투자 비용과 유지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광중계기와 같은 소형 중계기들을 기존의 기지국에 추가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휴대 단말기가 사용하는 중계기가 위와 같은 소형 중계기의 경우에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지국의 정보가 자신의 위치와 전혀 다른 곳에 있는 기지국의 정보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럴 경우에는 기지국 정보를 전혀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부정확한 기지국의 정보에 의존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에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해서 위도와 경도를 비교하는 방법이 있다. GPS를 휴대 단말기에 설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셀 기반 방식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GPS는 인공 위성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해야 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GPS는 건물 내, 건물 사이, 지하와 같이 인공 위성과의 통신을 할 수 없는 사각 지대가 존재하며, 기상 상태에 따라 그 성 능이 불안정한 문제점, GPS 장치를 장착해야 할 경우 발생되는 휴대 단말기의 생산 원가 상승에 관한 문제점이 도출된다.
앞에서 설명한 방법들은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약 조건들이 많고, 이런 제약 조건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이 분명치 않거나 많은 비용이 든다. 위치 기반 서비스에는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 서비스의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자나 사용자들이 모두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지역 내에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특정 영역 내에 있다는 사실을 인증받고, 이 정보를 이용해서 이동통신 사업자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게 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위치 인증 장치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임의의 상기 위치 인증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위치 인증 장치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휴대 단말기 발신자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수신된 상기 휴대 단말기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복합 주파수 부호(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d) 생성된 상기 복합 주파수 부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공중교환전화망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e)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 단계 (c)에서 연결을 시도하는 상기 위치 인증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증 발신자 번호 및 상기 휴대 단말기에 상기 단계 (a)에서 기등록되어 있는 위치 인증 장치의 발신자 번호를 비교하는 단계; (f) 상기 단계 (e)의 비교 결과, 상기 인증 발신자 번호와 기등록된 상기 위치 인증 장치의 상기 발신자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 위치 인증 장치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시도하는 단계; 및 (g)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이 성공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위치 인증 장치의 통신 범위 내에 있다는 결과를 위치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위치 인증 장치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위치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발신자 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복합 주파수 부호(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합 주파수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의 연결을 시도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위치 인증 장치의 인증 발신자 번호를 전송하는 복합 주파수 부호 신호 발생부; 및 상기 복합 주파수 부호 신호 발생부를 통한 상기 연결이 시도된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인증 발신자 번호와 기등록된 상기 위치 인증 장치의 상기 발신자 번호를 인증하여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와 무선 채널을 형성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수행 결과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위치 인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위치 인증 장치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개념을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증 장치(200)를 이용한 위치 확인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에게 신뢰성 있는 위치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증 장치(200)를 이용한 위치 확인 서비스는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인증할 영역 중심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 인증 장치(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서 통신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자신의 위치를 인증받고 싶은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위치 인증 장치(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설정 신호를 이용해서 통신을 시도하고 이 결과를 설정 신호를 이용해서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알려준다. 즉, 도 2에서처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위치 인증 장치(200)와 통신에 성공했는지 여부에 따라 이동통신 사업자는 위치 인증 장치(200)가 인증해주는 범위인 인증 영역 내에 해당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서 휴대 단말기 A(202)의 경우에는 위치 인증 장치(200)를 중심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 범위 안에 있기 때문에 위치 인증 장치(200)와 통신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 A(202)가 위치 인증 장치(200)의 통신 범위 안에 있다는 것이 증명되는 것이다. 하지만, 휴대 단말기 B(204)의 경우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범위 밖에 존재하기 때문에 위치 인증 장치(200)와 통신을 할 수 없으므로 위치 인증 장치(200)는 휴대 단말기 B(204)가 자신의 통화 범 위 안에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위치 인증 장치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위치 인증 장치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시스템은 위치 인증 장치(200), 휴대 단말기(300), 공중교환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302) 및 이동통신사 네트워크(3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300)는 이동통신사 네트워크(304)를 이용하여 위치 서비스 서버(미도시)에 위치 인증 장치(200)의 고유 코드와 발신자 번호(CID: Caller Identification)를 등록한다. 위치 인증 장치(200)에서는 휴대 단말기(300)로부터 휴대 단말기(300)의 발신자 번호를 수신하면, 공중교환전화망(302)을 이용해서 휴대 단말기(300)에 위치 인증 장치(200)의 발신자 번호를 알려 주고, 휴대 단말기(300)가 이 발신자 번호와 위치 서비스 서버에게서 받은 발신자 번호를 비교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3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해서 위치 인증 장치(200)와 연결을 시도한 결과를 위치 서비스 서버에 전송한 후, 위치 서비스 서버가 그 연결 결과에 따라 서비스의 제공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위치 인증 장치(200)의 자세한 내부 구성은 이하 도 5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위치 인증 장치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위치 인증 장치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과정은 등록(S400), 인증(S402) 및 사용(S404)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처음에는 3단계를 모두 거쳐야 하지만 그 이후에는 사용(S404) 단계만으로도 본 발명의 위치 인증을 할 수 있다. 각 단계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위치 서비스 서버에 위치 인증 장치(200)의 고유 코드 및 발신자 번호를 등록하는 가입 단계를 거친 이후에만 동작한다.
우선, 첫 번째는 등록 단계(S400)이다. 이 단계는 휴대 단말기(300)에 최초로 위치 인증 장치(200)의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만 사용한다. 일단 휴대 단말기(300)에 해당 위치 인증 장치(200)의 정보가 입력되면 다시 거치지 않는 단계이다.
등록 단계(S40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해서 등록하고자 하는 위치 인증 장치(200)의 고유 코드를 입력하여 이동 통신 사업자의 위치 서비스 서버에 해당 위치 인증 장치(200)의 발신자 번호를 요청한다(S402). 이 때 SMS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동통신 사업자의 위치 서비스 서버는 위치 인증 장치(200)의 고유 코드를 이용해서 해당하는 발신자 번호를 SMS 등을 이용해 휴대 단말기(300)에 알려준다(S404). 휴대 단말기(300)는 위치 인증 장치(200)의 고유 코드와 해당 발신자 번호 를 저장한다.
두 번째는 인증 단계(S410)이다. 이 단계는 휴대 단말기(300)가 위치 인증 장치(200)와 통신을 해서 인증을 받는 단계이다. 휴대 단말기(300)는 위치 서비스 서버로부터 받은 발신자 번호와 공중교환전화망(302)을 통해 얻은 위치 인증 장치(200)의 발신자 번호를 비교해서 같은 경우에 위치 인증 장치(200)가 설치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았다는 사실을 인증받게 된다. 이 과정은 위치 인증 장치(200)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거나 공중교환전화망(302)과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가 아닌 경우에는 다시 반복되지 않는다.
인증 단계(S41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휴대 단말기(300)가 위치 인증 장치(200)에 자신의 발신자 번호를 알려준다(S412). 위치 인증 장치(200)는 휴대 단말기(300)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해서 복합 주파수 부호(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생성한다(S414). 위치 인증 장치(200)는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신호를 이용하여 공중교환전화망(302)을 통해 휴대 단말기(300)로 연결을 시도한다(S416). 연결을 요청받은 휴대 단말기(300)에서는 위치 서비스 서버에서 받은 위치 인증 장치(200)의 발신자 번호와 자신에게 연결을 시도하는 위치 인증 장치(200)의 발신자 번호를 비교한다(S418). 이 때 두 발신자 번호가 같다면 인증에 성공한 것이고, 다른 경우에는 실패한 것이다.
마지막 단계는 사용 단계(S420)이다. 이 단계는 휴대 단말기(300)가 위치 확인을 받을 때마다 거쳐야만 하는 단계로, 휴대 단말기(300)가 단계 S420에서 인증된 위치 인증 장치(200)와 통신을 통하여 해당 위치 인증 장치(200)의 통신 범위 안쪽에 있다는 사실을 확인받는 과정이다. 이 때 위치 인증 장치(200)의 전원 공급이 중단된 적이 있거나 공중교환전화망(302)과 연결이 끊어진 경우가 있는 경우에는, 다시 인증 단계(S410)를 거쳐서 위치 인증 장치(200)를 인증받아야 한다. 그리고 그 후에 다시 사용 단계(S420)를 거쳐서 위치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제공 여부를 판단하게 한다.
사용 단계(S42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휴대 단말기(300)는 저장되어 있는 위치 인증 장치(200)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시도한다(S422). 이 경우에 해당 위치 인증 장치(200)는 단계 S410의 인증 단계를 거친 이후여야 한다. 위치 인증 장치(200)가 휴대 단말기(300)의 근거리 무선 통신 시도 요청에 대해서 응답하여 통신이 성공하면(S424), 휴대 단말기(300)에서는 위치 인증 장치(200)에서 받은 결과를 이동통신 사업자의 위치 서비스 서버에 알려준다(S426). 이 경우에는 콜 셋업(Call Setup)이나 SMS 등의 방법을 이용해서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통신에 성공한 경우라 함은 해당 휴대 단말기(300)가 위치 인증 장치(200)의 통신 범위 안에 있다는 의미이고, 통신에 실패한 경우라 함은 해당 휴대 단말기(300)가 위치 인증 장치(200)의 통신 범위 밖에 있다는 의미이다. 위치 서비스 서버에서는 휴대 단말기(300)로부터 받은 결과에 따라서 서비스 제공의 가부를 결정한다(S428).
여기서, 휴대 단말기(300)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위치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는 채널 형성은 부호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통신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무선 채널은 페이징(Paging) 채널, 데이터 채널, 트래픽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위치 인증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증 장치(200)는 제어부(502), 복합 주파수 부호 신호 발생부(504), 메모리(506), 표시부(508), 근거리 무선 통신부(510) 및 전원부(5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2)는 각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506)는 휴대 단말기(300)로부터 받는 휴대 단말기 발신자 번호 등과 같은 정보를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508)는 위치 인증 장치(200)의 작동 상태를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512)는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해주며 전력 공급이 끊어지는 것을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주파수 부호 신호 발생부(504)는 메모리(506)에 저장된 휴대 단말기(300)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복합 주파수 부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합 주파수 부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300)로의 연결을 시도하며, 휴대 단말기(300)로 위치 인증 장치(200)의 인증 발신자 번호를 전송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복합 주파수 부호 신호 발생부(504)는 위치 인증 장치(200)가 설치된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부분이다. DTMF란 공중교환전화망(302)에서 연결할 상대방의 주소를 알려주기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이다. 공중교환전화망(302)에서는 사용자가 전화기 버튼을 누르면 그 번호에 해당하는 특정 음을 만들어내고, 전화국에서는 그 음을 분석하여 번호를 추출해낸다. 예전의 다이얼 방식은 다이얼이 연속적으로 몇 번 울리나를 체크하여 그 상대방의 주소를 확인했다. 그러나 톤(Tone) 방식이 나오면서 이러한 고전적 방식이 아니라, 특정 주파수의 음으로 번호를 식별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초반에 사용된 Single Tone 방식은 사람이 흉내 내는 것이 가능하며 유출의 우려가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많았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나온 방식이 현재 사용되는 DTMF 방식이다. DTMF 방식은 번호를 누를 때마다 동시에 두 개의 주파수가 발생되어 합성된 음이 나오기 때문에 사람이 흉내 내거나 가로챌 수 없다.
휴대 단말기(300)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서 위치 인증 장치(200)와 통신에 성공했다는 사실은, 휴대 단말기(300)가 위치 인증 장치(200)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 있다는 사실만을 증명해 준다. 따라서 위치 인증 장치(200)가 설치된 위치에서 이동됐을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런 점을 공중교환전화망(302)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해서 해결했다. 복합 주파수 부호 신호 발생부(504)는 위치 인증 장치(200)가 공중교환전화망(302)을 통하여 위치 인증 장치(200)의 발신자 번호를 휴대 단말기(300)에 전달하 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즉, 위치 인증 장치(200)는 휴대 단말기 발신자 번호로 DTMF 신호를 만들어 낸다. 그 후, 위치 인증 장치(200)는 공중교환전화망(302)을 통해서 DTMF 신호가 가리키는 휴대 단말기(300)에 자신의 발신자 번호를 알려준다. 휴대 단말기(300)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위치 서비스 서버에서 전달받은 위치 인증 장치(200)의 발신자 번호와 공중교환전화망(302)을 거쳐서 획득한 위치 인증 장치(200)의 발신자 번호가 같은 경우에 위치 인증 장치(200)가 기존에 설치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통신부(504)는 복합 주파수 부호 신호 발생부(504)를 통한 연결이 시도된 휴대 단말기(300)에서 인증 발신자 번호와 기등록된 위치 인증 장치(200)의 발신자 번호를 인증하여 인증에 성공한 경우, 휴대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휴대 단말기(300)와 무선 채널을 형성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의 수행 결과를 휴대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근거리 무선 통신부(510)는 위치 인증 장치(200)와 휴대 단말기(300) 사이의 무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부분인데, 블루투스(Bluetooth), IR(InfraRed), 지그비(ZigBe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초광대역 통신(Ultra Wide Band) 등의 근거리 무선기기 규격을 이용해서 채널을 형성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통신부(504)는 위치 인증 장치(200)를 이용한 지역 할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증 영역을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 Class 1을 사용할 경우에 위치 인증 장치(200)가 인증할 수 있 는 범위는 위치 인증 장치(200)를 중심으로 100m 이내이다. 즉 휴대 단말기(300)는 위치 인증 장치(200)와 블루투스를 위치 인증 장치(200) 중심으로 100m 이내에 있을 경우에만 통신이 가능하고, 이를 반대로 이용해서 휴대 단말기(300)가 위치 인증 장치(200)와 통신이 가능하다면 100m 이내에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무선 규격이기 때문에, 인증할 수 있는 영역은 주변 전파 환경에 따라서 바뀔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서 휴대 단말기(300)가 위치 인증 장치(200) 주위에 있는지를 확인해서 위치를 인증해 줄 수 있고, 공중교환전화망(302)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해서 설치된 위치 인증 장치(200)가 올바른 위치에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주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사업자는 이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요금 할인과 특정 지역에 한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위치 인증 장치를 이동한 후에 사용하는 문제의 경우에도 발명에서 사용한 발신자 번호를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해서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위치 확인 서비스를 이동통신 사업자와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모두 신뢰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위치 인증 장치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임의의 상기 위치 인증 장치를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위치 인증 장치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휴대 단말기 발신자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수신된 상기 휴대 단말기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복합 주파수 부호(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d) 생성된 상기 복합 주파수 부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공중교환전화망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e)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 단계 (c)에서 연결을 시도하는 상기 위치 인증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증 발신자 번호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상기 단계 (a)에서 기등록되어 있는 위치 인증 장치의 발신자 번호를 서로 비교하는 단계;
    (f) 상기 단계 (e)의 비교 결과, 상기 인증 발신자 번호와 기등록된 상기 위치 인증 장치의 상기 발신자 번호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는 상기 위치 인증 장치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시도하는 단계; 및
    (g)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이 성공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위치 인증 장치의 통신 범위 내에 있다는 결과를 위치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위치 인증 장치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상기 등록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위치 인증 장치의 고유 코드를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에서는 상기 위치 인증 장치의 상기 발신자 번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 상기 고유 코드 및 상기 발신자 번호를 저장하는 과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위치 인증 장치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g)의 상기 결과는 콜 셋업(Call Setup) 또는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형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위치 인증 장치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는 상기 단계 (g)의 상기 결과에 따라 위치 서비스 제공의 가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위치 인증 장치의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
  5.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위치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발신자 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복합 주파수 부호(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합 주파수 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의 연결을 시도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위치 인증 장치의 인증 발신자 번호를 전송하는 복합 주파수 부호 신호 발생부; 및
    상기 복합 주파수 부호 신호 발생부를 통한 상기 연결이 시도된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인증 발신자 번호와 기등록된 상기 위치 인증 장치의 상기 발신자 번호를 인증하여 인증에 성공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와 무선 채널을 형성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수행 결과를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위치 인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이 시도된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인증 발신자 번호와 기등록된 상기 위치 인증 장치의 상기 발신자 번호를 인증하는 것은, 상기 인증 발신자 번호와 상기 위치 인증 장치의 상기 발신자 번호가 같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위치 인증 장치.
KR1020050128711A 2005-12-23 2005-12-23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10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711A KR100610238B1 (ko) 2005-12-23 2005-12-23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711A KR100610238B1 (ko) 2005-12-23 2005-12-23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0238B1 true KR100610238B1 (ko) 2006-08-14

Family

ID=37594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711A KR100610238B1 (ko) 2005-12-23 2005-12-23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23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7739A (ja) * 1996-03-05 1997-09-19 Rookasu:Kk 位置検索方式
KR20010020055A (ko) * 1999-08-31 2001-03-15 최용원 위치추적 시스템
KR20030038258A (ko) * 2001-11-10 2003-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정보 처리방법
US20040085948A1 (en) * 2002-10-30 2004-05-06 Joseph Cabana Software method utilizing caller ID for maintaining connectivity during communications over distinct wireless networks by mobile computer terminals
KR20040078844A (ko) * 2003-03-05 2004-09-13 김동욱 억세스 채널 수신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추적 시스템
KR20050027389A (ko) * 2003-09-15 2005-03-21 (주) 콘텔라 이동 단말기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KR20050050451A (ko) * 2003-11-25 2005-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7739A (ja) * 1996-03-05 1997-09-19 Rookasu:Kk 位置検索方式
KR20010020055A (ko) * 1999-08-31 2001-03-15 최용원 위치추적 시스템
KR20030038258A (ko) * 2001-11-10 2003-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정보 처리방법
US20040085948A1 (en) * 2002-10-30 2004-05-06 Joseph Cabana Software method utilizing caller ID for maintaining connectivity during communications over distinct wireless networks by mobile computer terminals
KR20040078844A (ko) * 2003-03-05 2004-09-13 김동욱 억세스 채널 수신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추적 시스템
KR20050027389A (ko) * 2003-09-15 2005-03-21 (주) 콘텔라 이동 단말기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KR20050050451A (ko) * 2003-11-25 2005-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20055
102005002738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4528B2 (ja) 遠隔通信システム及び加入者確証方法
JP5178690B2 (ja) 通信システム、当該システムの携帯端末、および当該システムのセンタ
JP5170105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位置・経路登録更新手順
US20100232401A1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can based on location
KR20120129249A (ko) Qr 코드 및 음파를 이용한 무선랜 접속 설정 방법 및 실내 위치 확인 방법
JP2005531982A (ja) Ueによるシステムデータベース更新
US2010026014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base station of a wireless cellular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07222860A (zh) 一种识别伪基站的方法和装置
JP200802889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70086831A (ko) 이동 통신들에 사용하기 위한 이동국, 시스템, 네트워크처리기 및 방법
WO2003065754A1 (en) Authorizing provision of data in a communications network
KR100610238B1 (ko) 근거리 무선 통신망 및 공중교환전화망에서 발신자 번호를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인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06093B1 (ko)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을위한 방법 및 그 이동통신시스템
CN107786937B (zh) 移动终端本地化漫游的实现方法、移动终端及漫游服务器
JP6749882B2 (ja) 移動管理装置と連携したシステムのユーザ識別方法、アクセス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601870B1 (ko) 무선 근거리 ap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관리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
KR100650202B1 (ko) 홈존 모뎀을 이용한 홈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006013A (ja) 接続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接続方法
KR20060111062A (ko) Rfid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세부 위치 등록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60119105A (ko) 섹터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전화 자동연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8432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78513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홈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2482B1 (ko) 인증을 통한 단말기 분실관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461991B1 (ko) 발신정보 인증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신정보 제공 시스템및 그 제공 방법
KR20180086593A (ko) 무선 네트워크 전용망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