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8150A - 전기침 - Google Patents

전기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8150A
KR20060118150A KR1020050040655A KR20050040655A KR20060118150A KR 20060118150 A KR20060118150 A KR 20060118150A KR 1020050040655 A KR1020050040655 A KR 1020050040655A KR 20050040655 A KR20050040655 A KR 20050040655A KR 20060118150 A KR20060118150 A KR 20060118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needle
plate
negative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4106B1 (ko
Inventor
목관호
Original Assignee
목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관호 filed Critical 목관호
Priority to KR20050040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106B1/ko
Publication of KR20060118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2Skin piercing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Cardi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함체형 본체(2)의 내부 공간은 양분하는 격벽(3), 상기 격벽(3)에 의해 형성된 일측 공간의 상기 격벽(3) 측으로 구비되는 판상의 제1음극성금속(4), 상기 제1음극성금속(4)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전위차를 갖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제1양극성금속(5), 상기 격벽(3)에 의해 형성되는 타측 공간의 상기 격벽(3) 측으로 구비되는 판상의 제2양극성금속(6), 상기 제2양극성금속(6)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전위차를 갖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제2음극성금속(7), 상기 양측 공간을 채우는 전해물질(8), 상기 제2음극성금속(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 침(9)을 구비하며, 상기 제1음극성금속(4)과 상제 제2양극성금속(6)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에너지원에 대한 염려가 없으며, 휴대와 이동이 자유로우며 주변환경에 의한 기기의 오작동이 발생될 우려가 없으며, 안전하게 생체전류를 침을 통하여 흐르도록 하는 전기침에 관한 것이다.
전기침, 침, 전극

Description

전기침{Electric Need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 A' 선에 대한 일 실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 A' 선에 대한 다른 실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전기침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전기침의 침결합부에 대한 결합 단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전기침의 침결합부에 대한 분해 단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전기침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전기침 2 : 본체
3 : 격벽 4 : 제1음극성금속
5 : 제1양극성금속 6 : 제2양극성금속
7 : 제2음극성금속 8 : 전해물질
9 : "-" 침 10 : "+" 침
11 : 안테나 12 : -단자
13 : +단자 14 : 스위치
15 : 계기판 16 지지대
20 : 외체 21 : 결합홈
23 : 삽입부
본 발명은 전기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원에 대한 염려가 없으며, 휴대와 이동이 자유로우며 주변환경에 의한 기기의 오작동이 발생될 우려가 없으며, 안전하게 생체전류를 침을 통하여 흐르도록 하는 전기침에 관한 것이다.
자연의 일부인 우리 몸은 전기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인체에는 생체전류가 발생하여 전신을 순환하는 것이다. 이러한 생체전기(bioelectricity)는 생체에서 일어나는 전기현상으로 갈바니에 의해 발견되었다. 통상 출생시 5 ~ 6V의 전기가 몸에 흐르나 생물학적 노인이 되면 2.5V이하로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체내의 생체전류에 이상이 생기면 질병이 생기며, 이러한 생체전류는 한의학의 침요법 및 현대과학의 신 임상치료에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생체전류에 대한 치료법으로 전기침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1816년경에 전기침은 프랑스 베를리오즈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침요법으로 신경통을 치료하는 것을 발표하였으며, 1825년경에 프랑스의 의사인 샤르린디에(Sarlandier)는 전기침을 응용하여 통풍과 신경계통의 치료를 하였다. 또한 1921년 경에 영국인 골든(E.A. Golden)에 의해 현대의 전기침 요법이 기초를 이룩하였으며, 이후 중국, 일본, 독일 등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전기침에 의해 혈자리에 지속적인 전류를 보냄으로 혈주변의 지상세포를 분해 및 배설관을 통해 배설시키도록 하여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며, 수술후 또는 분만 후 급만성 통증의 완화 등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한 현재 전기침에 사용되는 전기 발생은 AC전류를 다운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인체에 미량의 생체전류가 흐르도록 하여야 함에도 전기장치가 오작동이 발생되면 인체에 커다란 전류가 흘러 전기쇼크가 발생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생명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이동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하기 불편한 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너지원에 대한 염려가 없으며, 휴대와 이동이 자유로우며 주변환경에 의한 기기의 오작동이 발생될 우려가 없으며, 안전하게 생체전류를 침을 통하여 흐르도록 하는 등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함체형 본체의 내부 공간은 양분하는 격벽, 상기 격벽에 의해 형성된 일측 공간의 상기 격벽 측으로 구비되는 판상의 제1음극성금속, 상기 제1음극성금속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전위차를 갖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제1양극성금속, 상기 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타측 공간의 상기 격벽 측으로 구비되는 판상의 제2양극성금속, 상기 제2양극성금속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전위차를 갖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제2음극성금속, 상기 양측 공간을 채우는 전해물질, 상기 제2음극성금속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 침을 구비하며, 상기 제1음극성금속과 상제 제2양극성금속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침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양극성금속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 침을 구비하고, 상기 전해물질과 접하도록 연결되는 안테나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음극성금속과 상기 "-" 침을 연결 및 단속하는 -단자와 상기 제1양극성금속과 상기 "+" 침을 연결 및 단속하는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 침과 상기 "+" 침 사이의 전기를 단속 및 연결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 침과 상기 "+" 침 사이의 전압을 나타내는 계기판을 구비하는 전기침을 제공한다. 상기 안테나는 상부는 소정두께를 갖는 원판형이고, 하부는 상기 원판형에 접하여 환봉으로 구성되어 전해질과 접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침을 내측에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되, 일측이 개방된 결합홈을 형성한 함체형으로 형성되는 외체와, 상기 결합홈의 일측 벽에 고정용 내홈을 형성 하며, 상기 침을 일측에 구비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 그리고 상기 내홈에 결합되어 사용시 상기 외체로부터 상기 침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해물질은 수분을 포함하는 섬유펄프, 스폰지 또는 펄프로 구비되며, 상기 본체, 상기 제1음극성금속, 상기 제1양극성금속, 상기 제2음극성금속, 상기 제2양극성금속 및 상기 격벽을 잇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전기침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양극성금속은 은판이며, 상기 제1음극성금속은 아연판이며, 상기 제2양극성금속은 구리판이며, 상기 제2음극성금속은 아연판인 전기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로 침과 일체로 형성되는 함체형 본체의 내부 공간은 양분하는 격벽, 상기 격벽에 의해 형성된 일측 공간의 상기 격벽 측으로 구비되는 판상의 제1음극성금속, 상기 제1음극성금속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전위차를 갖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제1양극성금속, 상기 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타측 공간의 상기 격벽 측으로 구비되는 판상의 제2양극성금속, 상기 제2양극성금속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전위차를 갖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제2음극성금속, 상기 양측 공간을 채우는 전해물질을 구비하고, 상기 제2음극성금속과 상기 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음극성금속과 상제 제2양극성금속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해물질과 접하여 연결되도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기침을 제공한다.
이하 본원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 선에 대한 일 실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 - A' 선에 대한 다른 실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전기침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 전기침의 침결합부에 대한 결합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 전기침의 침결합부에 대한 분해 단면 예시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 전기침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 전기침(1)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형 본체(2)의 내부 공간은 양분하는 격벽(3), 상기 격벽(3)에 의해 형성된 일측 공간의 상기 격벽(3) 측으로 구비되는 판상의 제1음극성금속(4), 상기 제1음극성금속(4)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전위차를 갖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제1양극성금속(5), 상기 격벽(3)에 의해 형성되는 타측 공간의 상기 격벽(3) 측으로 구비되는 판상의 제2양극성금속(6), 상기 제2양극성금속(6)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전위차를 갖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제2음극성금속(7), 상기 양측 공간을 채우는 전해물질(8), 상기 제2음극성금속(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 침(9)을 구비하며, 상기 제1음극성금속(4)과 상제 제2양극성금속(6)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구비한 것이다.
이때 제1양극성금속(5) 및 제2양극성금속(6)은 모든 양극성금속이 사용가능하다. 이에 본원발명에서는 특히 제1양극성금속(5)은 은판으로 하여 구비하며, 제2양극성금속(6)은 구리판으로 하여 구비하였다. 또한 제1음극성금속(4) 및 제2음극 성금속(7)은 모든 음극성금속이 사용가능하나 본원발명에서는 특히 아연판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양극성금속(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 침(10)을 구비하고, 상기 전해물질(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11)를 구비하였으며, 상기 제2음극성금속(7)과 상기 "-" 침(9)을 연결 및 단속하는 -단자(12)와 상기 제1양극성금속(5)과 상기 "+" 침(10)을 연결 및 단속하는 +단자(13)를 구비하며, 상기 "-" 침(9)과 상기 "+" 침(10) 사이의 전기를 단속 및 연결하는 스위치(14)를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 침(9)과 상기 "+" 침(10) 사이의 전압을 나타내는 계기판(15)을 구비하였다. 그리고 안테나(11)는 상부가 소정크기를 갖는 원판형이고, 하부가 소정 크기의 환봉(11')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판에서 양전기를 쉽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이 흡수된 양전기를 환봉(11')을 통하여 전해물질(8)로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양전하를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안테나(11)는 상부는 아연판이고, 하부 환봉(11')은 구리봉 등으로 하여 구비한 것이다.
그리하여 전해물질(8)로 채워진 공간 내의 제1음극성금속(4)인 아연판과 제1양극성금속(5)인 은판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제1음극성금속(4)은 "-" 전기를, 그리고 제1양극성금속(5)은 "+" 전기를 갖게 된다. 마찬가지로 전해물질(8)로 채워진 공간 내의 제2음극성금속(7)인 아연판과 제2양극성금속(6)인 구리판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제2음극성금속(7)은 "-" 전기를, 그리고 제2양극성금속(6)은 "+" 전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제1음극성금속(4)과 제2양극성금속(6)이 격벽(3)에 의해 나뉘어져 있지만 전기 선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결국 제1음극성금속(4)에는 음전하가 더욱 많이 모이도록 하였으며, 마찬가지로 제2양극성금속(6)에는 양전하가 더욱 많이 모이도록 구비하였다.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제1양극성금속(5)과 제2음극성금속(7) 사이의 전위차가 가장 높도록 구비하여, 제1양극성금속(5)과 제2음극성금속(7)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전기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적용하도록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해물질(8)은 음극성금속 및 양극성물질에 이용되는 액상물질을 이용하도록 하며, 일반적으로 물. 황산 등이 가능하며, 또한 수분을 포함하는 섬유펄프, 스폰지 또는 펄프로 구비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2) 및 격벽(3)에 상기 제1음극성금속(4), 상기 제1양극성금속(5), 상기 제2음극성금속(7), 상기 제2양극성금속(6)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대(16)를 구비하였다. 이때 지지대(16), 격벽(3) 및 본체(2)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전해물질(8)에 접촉하여도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원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형 본체(2)를 대체적으로 원통형 함체로 하여 구비하였으나, 직육면체 또는 변형된 형태의 함체로 구비가 가능하며, 이는 사용하기 편리한 형태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비가 가능하다. 본원발명에서는 원통형 함체로 하여 구비된 본체(2)를 예로하여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각각 금속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3)을 중심으로 하여 일렬로 하여 배열되도록 구비하였다. 그리고 다른 실시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3)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본체(2)의 내벽을 따라 원형배열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배열되는 각각의 금속판의 크기는 1×5 의 크기 비율로 하여 두께는 0.2배로 하여 구비하였다. 그리고 도 2의 실시에서는 제1음극성금속(4)과 제1양극성금속(5) 사이의 간극, 그리고 제2음극성금속(7)과 제2양극성금속(6) 사이의 간극이 0.3배의 크기로 하여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구비될 경우에는 제1양극성금속(5) 및 제2음극성금속(7) 사이의 전위차인 "+" 침(10)과 "-" 침(9) 사이의 전위차는 통상 1.5V ~ 2V (약 0.1mA) 정도로 하여 전기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전류가 발생되면, 출력측에 전압증폭을 위한 증폭기인 변압기의 구비가 가능하다. 이때 다이오드를 이용하거나 또는 DC-DC 컨버터에 의한 증폭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원발명의 침(9)(10)이 분리 및 결합되도록 하여 침(9)(10)을 위생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제1양극성금속(5) 및 제2음극성금속(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침(9)(10)을 내측에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며, 일측이 개방된 결합홈(21)을 형성한 함체형으로 형성되는 외체(20)를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21)의 일측 벽에 고정용 내홈(22)을 형성하였으며, 또한 상기 침(9)(10)을 일측에 구비하며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되는 삽입부(23)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내홈(22)에 결합되어 상기 외체(20)로부터 상기 침(9)(1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돌기(24)를 상기 삽입부(23) 일측에 돌출 형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특히 결합홈(21) 내측에는 탄성체인 스프링(25)을, 스프일(25)의 외측으로는 누름판(26)을 구비하였다. 그리하여 침(9)(10)을 외체(20)에 결합하려면 침의 삽입부(23)를 외체(20)의 결합홈(21)에 삽입하며, 이때 삽입부(23)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24)가 용이하게 이동되는 이송로가 결합홈(21)의 내벽에 형성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삽입부(23)를 결합홈(21) 내측으로 밀어넣게 되면 삽입부(23)의 일측면이 스프링(25)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누름판(26)을 내측으로 밀게되며, 삽입이 완료되면 침(9)(10) 또는 삽입부(23)를 일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돌기(24)가 내홈(22)에 삽입결합되게 된다. 그리하여 내홈(22)에 회전되어 결합된 돌기(24)에 의하여 침(9)(10)이 외체(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 침(9)(10)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시술한 후, 치료가 끝나면, 침(9)(10) 또는 삽입부(23)를 돌려 내홈(22)으로부터 돌기(24)가 이탈되도록 하여 침(9)(10)을 분리하여, 사용된 침을 폐기하거나 또는 소독을 위하여 분리보관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 (30)과 일체로 구비되는 함체형 본체(31)를 구비하여, 본체(31) 내측에 격벽(32)에 의해 구분되는 공간에 각각 전해물질(33)이 함유되며 각각 제1음극성금속(35), 제1양극성금속(34), 제2음극성금속(37) 및 제2양극성금속(36)을 구비하여 상기의 다른 실시와 같이 발생되는 전기에 의해 환자를 치료하도록 구비하였다. 그리하여 간단하게 구비되는 전기침에 의하여 시술이 편리하도록 구비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원발명은 에너지원에 대한 염려가 없으며, 휴대와 이동이 자유로우며 주변환경에 의한 기기의 오작동이 발생될 우려가 없으며, 안전하게 생체전류를 침을 통하여 흐르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함체형 본체(2)의 내부 공간은 양분하는 격벽(3),
    상기 격벽(3)에 의해 형성된 일측 공간의 상기 격벽(3) 측으로 구비되는 판상의 제1음극성금속(4),
    상기 제1음극성금속(4)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전위차를 갖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제1양극성금속(5),
    상기 격벽(3)에 의해 형성되는 타측 공간의 상기 격벽(3) 측으로 구비되는 판상의 제2양극성금속(6),
    상기 제2양극성금속(6)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전위차를 갖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제2음극성금속(7),
    상기 양측 공간을 채우는 전해물질(8),
    상기 제2음극성금속(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 침(9)을 구비하며,
    상기 제1음극성금속(4)과 상제 제2양극성금속(6)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양극성금속(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 침(10)을 구비하고,
    상기 전해물질(8)과 접하여 연결되도록 상부가 아연판이고 하부가 구리봉으 로 이루어진 안테나(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음극성금속(7)과 상기 "-" 침(9)을 연결 및 단속하는 -단자(12)와 상기 제1양극성금속(5)과 상기 "+" 침(10)을 연결 및 단속하는 +단자(13)를 구비하며,
    상기 "-" 침(9)과 상기 "+" 침(10) 사이의 전기를 단속 및 연결하는 스위치(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 침(9)과 상기 "+" 침(10) 사이의 전압을 나타내는 계기판(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침을 내측에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성하되, 일측이 개방된 결합홈(21)을 형성한 함체형으로 형성되는 외체(20)와,
    상기 결합홈(21)의 일측 벽에 고정용 내홈(22)을 형성하며,
    상기 침을 일측에 구비하며 상기 결합홈(21)에 삽입되는 삽입부(23),
    그리고 상기 삽입부(23)는 상기 내홈(22)에 결합되어 사용시 상기 외체로부터 상기 침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돌기(2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물질(8)은 수분을 포함하는 섬유펄프, 스폰지 또는 펄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침.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 상기 제1음극성금속(4), 상기 제1양극성금속(5), 상기 제2음극성금속(7), 상기 제2양극성금속(6) 및 상기 격벽(3)을 잇는 지지대(1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침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양극성금속(5)은 은판이며,
    상기 제1음극성금속(4)은 아연판이며,
    상기 제2양극성금속(6)은 구리판이며,
    상기 제2음극성금속(7)은 아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침.
  9. 침과 일체로 형성되는 함체형 본체(2)의 내부 공간은 양분하는 격벽(3),
    상기 격벽(3)에 의해 형성된 일측 공간의 상기 격벽(3) 측으로 구비되는 판상의 제1음극성금속(4),
    상기 제1음극성금속(4)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전위차를 갖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제1양극성금속(5),
    상기 격벽(3)에 의해 형성되는 타측 공간의 상기 격벽(3) 측으로 구비되는 판상의 제2양극성금속(6),
    상기 제2양극성금속(6)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전위차를 갖도록 구비되는 판상의 제2음극성금속(7),
    상기 양측 공간을 채우는 전해물질(8)을 구비하고,
    상기 제2음극성금속(7)과 상기 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음극성금속(4)과 상제 제2양극성금속(6)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해물질(8)과 접하여 연결되도는 안테나(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침.
KR20050040655A 2005-05-16 2005-05-16 전기침 KR100724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40655A KR100724106B1 (ko) 2005-05-16 2005-05-16 전기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40655A KR100724106B1 (ko) 2005-05-16 2005-05-16 전기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150A true KR20060118150A (ko) 2006-11-23
KR100724106B1 KR100724106B1 (ko) 2007-06-04

Family

ID=3770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40655A KR100724106B1 (ko) 2005-05-16 2005-05-16 전기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1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324A (ko) * 2017-11-08 2019-05-16 목관호 생체전기를 발생하는 쑥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5712A1 (en) * 2007-07-04 2011-01-20 Kwan Ho Mok Living body electricity need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298A (ko) * 1989-11-28 1991-06-28 김도성 인체의 경낙(徑絡)에 자력선(磁力線)과 전기자극(電氣刺極)을 간헐적(間歇的)으로 부가하여 귀금속이온의 인체침투를 촉진하는 방법
KR20030039660A (ko) * 2001-11-14 2003-05-22 정주호 전침을 이용한 관절염 치료방법
KR100509887B1 (ko) 2003-02-05 2005-08-25 주식회사 헬스피아 경혈점 자극 치료 시스템
KR102407406B1 (ko) * 2017-06-23 2022-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장식 인쇄 부재 및 장식 인쇄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324A (ko) * 2017-11-08 2019-05-16 목관호 생체전기를 발생하는 쑥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4106B1 (ko)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1451A (ko) 재사용 가능한 절전 제어기가 구비된 전자 운송 장치(Electrotransport Device Having Reusable Controller Power Saver)
JP2016163663A (ja) 筋肉電気刺激装置
JP2011529378A5 (ko)
CN104225787B (zh) 伤口敷料
US73415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lytic hydrotherapy
KR102527290B1 (ko) 피부 관리 기기
WO2016171161A1 (ja) 筋肉電気刺激装置
US3842843A (en) Biogalvanic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KR20110054997A (ko) 탈부착이 쉬운 마사지기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JP2017006644A (ja) 筋肉電気刺激装置
KR20180090403A (ko) 수소수 생성기
KR101603723B1 (ko) 미세전류 침대
KR20180000827U (ko) 수소수 생성기의 전극 개량 구조
KR100724106B1 (ko) 전기침
KR100877598B1 (ko) 생체전기 발생 침
US10675464B2 (en)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instrument
US200801618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lytic hydrotherapy
KR101369409B1 (ko) 전기 및 미세전류 생성기
US3884243A (en) Implantable heart pacer or the like with internal cell electrode
US8688240B1 (en) Device for neuro-physiologic stimulation
JP2017006215A (ja) 筋肉電気刺激装置
KR20110048149A (ko) 금속의 이온화 경향을 이용한 이온 도입장치를 갖는 용기
KR20110042976A (ko) 이온 도입장치를 갖는 용기
RU2134595C1 (ru) Электростимулятор желудочно-кишечного тракта
KR20090009330U (ko) 갈바니이온영동도입기능을 갖는 화장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