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7506A - 축포풍선 - Google Patents

축포풍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506A
KR20060117506A KR1020050039321A KR20050039321A KR20060117506A KR 20060117506 A KR20060117506 A KR 20060117506A KR 1020050039321 A KR1020050039321 A KR 1020050039321A KR 20050039321 A KR20050039321 A KR 20050039321A KR 20060117506 A KR20060117506 A KR 20060117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opening
balloon
junction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혜성
Original Assignee
황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혜성 filed Critical 황혜성
Priority to KR1020050039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7506A/ko
Publication of KR20060117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8Throwing or slinging toys, e.g. flying dis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42Toy models or toy scenery not otherwise cover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7/00Jokes; Confetti, streamers, or other dance favours ; Cracker bonbo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25Fabrication methods or special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91Balloons with object inserted within; Means or methods for insertion of object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포풍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차례에 걸쳐 재활용이 가능하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한 축포풍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외측 제1 및 제2 수지시트의 가장자리를 합지하여 제1 접합부를 구성하고 일측에는 체크밸브 형태의 주입구를 마련하여 내부에 매체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밀폐용기를 구성하고, 상기 밀폐용기의 외측에는 소정의 축포공간을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축포풍선에 있어서, 상기 축포공간은 상기 밀폐용기의 일측에 개방부를 마련하고 상기 개방부 내측에 별도의 제3 수지시트와 상기 제1 및 제2 수지시트의 가장자리를 각각 합지하여 제2 접합부 및 제3 접합부를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합부와 상기 제3 접합부 사이에는 개폐부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축포, 풍선, 수지시트, 체크밸브, 주입구

Description

축포풍선{Salute Balloon}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3은 도2의 종단면도,
도4는 밀폐공간에 공기를 주입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5는 축포풍선으로 활용한 후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생략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결합 상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1 수지시트, 2: 제2 수지시트,
3: 제3 수지시트, 4: 주입구,
5: 축포공간, 6: 개방부,
7: 개폐부재, 8: 막음부재,
9: 축포내용물, 10: 제1 접합부,
20: 제2 접합부, 30: 제3 접합부,
100: 밀폐용기
본 발명은 축포풍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차례에 걸쳐 재활용이 가능하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한 축포풍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축포풍선은 미국특허 제5,338,242호, 미국특허 제5,443,644호, 미국특허 제6,299,502호 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들 선행기술은 모두가 내부에 충진되어 있던 매체를 순간적으로 가압하여 몸체의 외부에 위치하게 되는 축포공간을 가압하고 순간적으로 마감부재가 파열되면서 축포공간의 내부에 있던 내용물을 외부로 확산 배출시키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이 경우에는 일단 마감부재가 파열되면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곧바로 쓰레기로 전락되게 되는 단점이 있고, 제조하는 과정에서 축포공간을 형성함에 있어서 몸체의 내부로 그 일부를 밀어 넣고 축포내용물을 수용시키기 위한 축포공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관계로 제조하는 과정이 기술적으로 까다로운 관계로 수작업에 의존하여 생산이 이루어져야만 하는 단점이 있고, 결국 대량생산이나 생산자동화에는 부적합하며, 생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밀폐용기를 이루면서 이 밀폐용기의 외측에 축포공간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기존과는 판이하게 별도의 수지시트를 활용하여 순차적으로 합 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밀폐용기를 형성한 다음에 외부로부터 이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축포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밀폐용기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축포공간도 미리 확보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이 간편하고 자동화된 생산방식에 응용이 가능하여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축포풍선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축포공간을 이루는 부위에 1회용 마감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여러 차례에 걸쳐 반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개폐부재의 형태로 설치하여 축포풍선을 단 1회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차례에 걸쳐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 쌍의 외측 제1 및 제2 수지시트의 가장자리를 합지하여 제1 접합부를 구성하고 일측에는 체크밸브 형태의 주입구를 마련하여 내부에 매체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밀폐용기를 구성하고, 상기 밀폐용기의 외측에는 소정의 축포공간을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축포풍선에 있어서, 상기 축포공간은 상기 밀폐용기의 일측에 개방부를 마련하고 상기 개방부 내측에 별도의 제3 수지시트와 상기 제1 및 제2 수지시트의 가장자리를 각각 합지하여 제2 접합부 및 제3 접합부를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합부와 상기 제3 접합부 사이에는 개폐부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축포풍선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접합부와 상기 제3 접합부 사이로서 상기 개폐부재가 설치되 는 부위를 제외한 적정 위치에 축포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음부재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축포풍선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하고도 다양한 실시예의 경우에 공통적으로, 한 쌍의 외측 제1 및 제2 수지시트(1,2)의 가장자리를 합지하여 제1 접합부(10)를 구성하고 일측에는 체크밸브 형태의 주입구(4)를 마련하여 내부에 매체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밀폐용기(100)를 구성하고, 상기 밀폐용기(100)의 외측에는 소정의 축포공간(5)을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축포풍선에 있어서, 상기 축포공간(5)은 상기 밀폐용기(100)의 일측에 개방부(6)를 마련하고 상기 개방부(6) 내측에 별도의 제3 수지시트(3)와 상기 제1 및 제2 수지시트(1,2)의 가장자리를 각각 합지하여 제2 접합부(20) 및 제3 접합부(30)를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합부(20)와 상기 제3 접합부(30) 사이에는 개폐부재(7)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수지시트(1), 제2 수지시트(2) 및 제3 수지시트(3)는 다양한 형태의 수지제 시트를 채택하여 사용이 가능하겠으나, 강도가 비교적 우수한 나일론시트와 상호간 접합이 잘 이루어지는 폴리에틸렌시트를 서로 합지하여 구성한 수지시트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제1 내지 제3 접합부(10,20,30)가 형성되는 부위는 합지된 수지시트 중 폴리에틸렌시트가 위치한 부분이 서로 마주한 상태로 하여 서로 접합이 이루 어지게 된다.
상기 주입구(4)는 얇은 수지시트를 서로 접합하여 구성한 통상의 체크밸브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캡으로 막거나 열어 개폐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개폐구를 사용하거나 관계없이 유효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7)의 경우에는 지퍼형태, 벨크로테이프 형태, 버튼 형태 등 반복적으로 개폐작동이 가능한 형태로서 축포기능의 작동상 지장을 초래하지 아니하면 적절한 형태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활용이 가능하고, 도1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접합부(20)와 제3 접합부(30) 사이로서 일부에 걸쳐 설치된 예로서 전방 한 위치에 설치하거나, 별도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전체에 걸쳐 설치한 일례로서 일체로 설치하거나 아니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한 위치 여러 부위에 동시에 설치하여 활용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제2 접합부(20)와 상기 제3 접합부(30) 사이 전체에 걸쳐 일체로 또는 여러 부위에 동시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후술되는 막음부재(8)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더라도 축포내용물(9)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접합부(20)와 상기 제3 접합부(30) 사이로서 상기 개폐부재(7)가 설치되는 부위를 제외한 적정 위치에 축포내용물(9)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음부재(8)를 별도로 마련하여 그 구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막음부재(8)의 경우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수지시트(3)를 재단하는 과정에서 위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미리 감안하여 여유부(80)를 만들었다가 제1 수지시트(1) 및 제2 수지시트(2)와 상기 제3 수지시트(3)를 접합하여 제2 접합부(20) 및 제3 접합부(30)를 형성하여 밀폐용기(100)를 구성하고 상기 여유부(80)를 접어서 상기 막음부재(8)의 역할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그 이외에도 상기 막음부재(8)를 별도로 제작하여 나중에 상기 제2 접합부(20)와 상기 제3 접합부(30)중 적정 위치에 이를 접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겠다.
다음은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축포풍선의 제작과정과 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그 제작과정 중 일례를 살펴보면,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제1 수지시트(1)와 제2 수지시트(2) 각각을 대기시키고, 이들 제1 및 제2 수지시트(1,2) 사이 위치로서 일측에는 주입구(4)를 위치시키고 다른 일측에는 중간부위가 접혀진 상태로서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제3 수지시트(3)를 위치시키되, 상기 제1 및 제2 수지시트(1,2)의 외측 적정 위치에는 개폐부재(7)를 이루게 되는 한 쌍의 것을 나누어 각각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들 제1 내지 제3 수지시트(1,2,3), 주입구(4) 및 개폐부재(7)와 서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면 제1 접합부(10), 제2 접합부(20) 및 제3 접합부(30)가 동시에 형성하게 되면서 하나의 기본제품이 완성되게 되고, 이를 적합하게 필요 없는 부위는 절단하고 상기 제2 및 제3 접합부(20,30)에 의하여 형성되는 축포공간(5)에는 축포내용물(9)을 넣고 개폐부재(7)를 서로 결합하면 제품이 완성되게 된다.
물론, 전술한 방식은 제1 수지시트(1), 제2 수지시트(2) 및 제3 수지시트(3)를 롤 형태로 감겨져 있는 것을 사용하여 연속적인 제조 방식이 가능함을 예시하기 위하여 나타낸 것이지만, 필요시엔 제1 수지시트(1), 제2 수지시트(2), 제3 수지시 트(3), 주입구(4), 개폐부재(7)를 정위치 시킨 상태에서 서로 접합하여 제1 접합부(10), 제2 접합부(20), 제3 접합부(30) 및 개폐부재(7)를 접합하여 축포풍선을 낱개 형태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완성된 축포풍선을 사용하여 축포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주입구(4)를 이용하여 밀폐용기(100)의 내부에 매체, 예를 들면 공기를 팽팽하게 충진하여 축포를 위한 준비작업을 행한다.
다음, 밀폐용기(100)를 외부로부터 순간적으로 가압하게 되면 내부의 매체는 제3 수지시트(3)에도 압력이 점점 크게 작용하게 되어 축포공간(5)은 상대적으로 더욱 좁아지면서 점점 가압되게 되고 개폐부재(7)도 이러한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분리되면서 소리를 발생시키고 팽창되어 동시에 축포내용물(9)이 외부로 비산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축포내용물(9)은 수술, 작은 알맹이, 리본 등의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필요시 여유있게 별도로 준비하였다가 재활용시에 축포공간(5)에 다시 충전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물론 이러한 축포내용물(9)이 별도로 없는 경우에는 이를 다시 충진하지 않고 축포공간(5)과 개폐부재(7)만을 다시 원위치시킨 다음에 재활용하더라도, 개폐부재(7)의 분리시에 발생되는 파열음을 포함하여 축포풍선으로서의 기능은 어느 정도 발휘가 가능하게 되어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축포풍선에 의하면, 밀폐용기(100)를 이루면서 이 밀폐용기(100)의 외측에 축포공간(5)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기존과는 판 이하게 별도의 제3 수지시트(3)를 활용하여 순차적으로 합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밀폐용기(100)를 형성한 다음에 외부로부터 이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축포공간(5)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밀폐용기(10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축포공간(5)도 미리 확보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이 간편하고 자동화된 생산방식에도 쉽게 응용이 가능하여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게 되며, 축포공간(5)을 이루는 부위에 1회용 마감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여러 차례에 걸쳐 반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개폐부재(7)의 형태로 설치하여 축포풍선을 단 1회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차례에 걸쳐 재활용이 가능하여 보다 경제적인 등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한 쌍의 외측 제1 및 제2 수지시트(1,2)의 가장자리를 합지하여 제1 접합부(10)를 구성하고 일측에는 체크밸브 형태의 주입구(4)를 마련하여 내부에 매체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밀폐용기(100)를 구성하고, 상기 밀폐용기(100)의 외측에는 소정의 축포공간(5)을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축포풍선에 있어서,
    상기 축포공간(5)은 상기 밀폐용기(100)의 일측에 개방부(6)를 마련하고 상기 개방부(6) 내측에 별도의 제3 수지시트(3)와 상기 제1 및 제2 수지시트(1,2)의 가장자리를 각각 합지하여 제2 접합부(20) 및 제3 접합부(30)를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접합부(20)와 상기 제3 접합부(30) 사이에는 개폐부재(7)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포풍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7)가 상기 제2 접합부(20)와 상기 제3 접합부(30)의 사이로서 전체 부위에 걸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포풍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7)가 상기 제2 접합부(20)와 상기 제3 접합부(30)의 사이로서 일부분에 걸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포풍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합부(20)와 상기 제3 접합부(30) 사이로서 상기 개폐부재(7)가 설치되는 부위를 제외한 적정 위치에 축포내용물(9)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음부재(8)를 마련하여 그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포풍선.
KR1020050039321A 2005-05-11 2005-05-11 축포풍선 KR20060117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321A KR20060117506A (ko) 2005-05-11 2005-05-11 축포풍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321A KR20060117506A (ko) 2005-05-11 2005-05-11 축포풍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506A true KR20060117506A (ko) 2006-11-17

Family

ID=37704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321A KR20060117506A (ko) 2005-05-11 2005-05-11 축포풍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75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529Y1 (ko) * 2022-02-07 2022-06-15 주식회사 파페로 컨페티 분사 장치
KR102426872B1 (ko) * 2022-05-17 2022-07-29 주식회사 다이브 탄성 발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529Y1 (ko) * 2022-02-07 2022-06-15 주식회사 파페로 컨페티 분사 장치
KR102426872B1 (ko) * 2022-05-17 2022-07-29 주식회사 다이브 탄성 발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8892B2 (en) Air bag packaging arrangement and self-adhesive checking valve thereof
KR101341284B1 (ko) 여러 번 공기 주입 및 방출이 가능한 공기 차단 구조
KR200397141Y1 (ko) 공기 주입식 완충 포장재 구조
CN109368029B (zh) 多层式空气包装装置及其制造方法
WO2015192708A1 (zh) 方形空气包装装置及其制造方法
JP4272941B2 (ja) 空気封入緩衝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359731B1 (ja) 袋用閉止弁を備えた袋及び食品用脱気袋
JP2003175944A (ja) 気体密封袋
JPH08504393A (ja) 膨張式パッケージバック
JPWO2003072456A1 (ja) 空気緩衝機能を備えた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製袋
CA2587746A1 (en) Package having a fluid actuated closure
JP2008127104A (ja) ギャップ孔型の空気弁を有するエアーシールとギャップ孔型の空気弁
CN100497105C (zh) 密封袋的通气路的结构及密封袋及密封袋的制造方法
EP1251080A1 (en) Inflating type cushioning package body
WO2015192707A1 (zh) 立体折叠式空气包装装置及其制造方法
WO2014069209A1 (ja) 空気クッション材
US20040098807A1 (en) Multi cell tube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060117506A (ko) 축포풍선
US20200062480A1 (en) Inflatable packaging cushion
JP2005237635A (ja) 空気膨張体の開閉口の開閉構造
KR200336865Y1 (ko) 시트 풍선 및 이와 유사한 물품용 밸브
JPH0595851U (ja) 流体用密封袋
JP6186526B1 (ja) 一体型逆止弁機能を有するエアー緩衝材
KR20060000176A (ko) 공기주입식 완충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JP3134676U (ja) 物品収納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