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6901A -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과 그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과 그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6901A
KR20060116901A KR1020050039424A KR20050039424A KR20060116901A KR 20060116901 A KR20060116901 A KR 20060116901A KR 1020050039424 A KR1020050039424 A KR 1020050039424A KR 20050039424 A KR20050039424 A KR 20050039424A KR 20060116901 A KR20060116901 A KR 20060116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frequency
timing information
hard handover
hand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0838B1 (ko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9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838B1/ko
Priority to DE602006003593T priority patent/DE602006003593D1/de
Priority to EP06009782A priority patent/EP1722588B1/en
Priority to US11/431,916 priority patent/US7532889B2/en
Priority to AT06009782T priority patent/ATE414392T1/de
Publication of KR20060116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2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and access point 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과 그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단말에 의해 하드 핸드오버가 요청되면,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시 저장된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드 핸드오버의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게 하드 핸드오버를 지시하기 위한 송신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 핸드오버를 요청받는 단계; 저장된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의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한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하드 핸드오버, 타이밍 유지, 소프트 핸드오버, 소스 기지국, 타겟 기지국, 타이밍 계산.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과 그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METHOD FOR HARD HANDOVER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도 1은 WCDMA 이동통신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크워크 제어기를 포함한 이동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크워크 제어기를 포함한 이동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블럭 구성도.
도 4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서의 타이밍 정보의 저장 및 하드 핸드오버를 위한 타이밍 계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을 도식화한 플로우챠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을 도식화한 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 법을 도식화한 플로우챠트.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을 도식화한 플로우챠트.
도 9는 WCDMA 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시의 각 기지국과 단말의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사용자 단말 31 : 제1기지국
32 : 제2기지국 301 : 수신부
302 : 계산부 303 : 저장부
304 : 송신부 305 : 유효성 판단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과 그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Handover)는 이동 중인 단말에게 연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필수적인 기술이다. 이러한 핸드오버는 이동 중인 단말이 핸드 오버를 요청하거나, 혹은 단말을 제어하는 네트워크상에서 단말에게 핸드오버를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이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현재 단말을 제어하는 네트워크는 새롭게 무선 자원을 할당하여 단말에게 새로운 무선자원을 이용하도록 하며, 네트워크상에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경우는 네트워크 운영상 필요에 의해서 단말에게 다른 무선자원을 이용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은 CDMA 기반의 시스템으로 동일 주파수 자원을 가지고 서로 다른 사용자가 각각 서로 다른 코드(Code)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받는다. 또한, 다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면 다른 사용자와 동일 코드를 사용하여도 주파수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사용자가 많은 지역에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용자가 적은 지역에는 하나의 주파수만을 사용한다. 이 때, 사용자가 많은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던 이용자가 하나의 주파수만으로 서비스되는 영역으로 이동할 때, 하나의 주파수로 서비스되는 지역의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었을 경우 이용자는 연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주파수를 바꾸어 사용하여야 한다.
WCDMA 시스템의 일반적인 핸드오버는 소프트 핸드오버로 동일 주파수로 핸드오버를 수행하지만, 위와 같은 경우는 다른 주파수로의 하드 핸드오버를 행하게 된다.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되면, 소프트 핸드오버 보다 성공률 저하는 물론 보다 정교한 핸드오버 알고리즘이 필요하게 된다.
시스템은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에게 다른 주파수를 갖는 셀의 측정값을 보고하도록 하여 보고된 값을 이용하여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를 결정하고 단말에게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를 지시한다. 이 때, 단말에서 보고된 값은 동일 주파수를 갖는 셀의 보고된 값과는 다르다. 동일 주파수를 갖는 셀의 경우 현재 셀과의 타이밍 차이가 정확하게 보고되지만, 다른 주파수를 갖는 셀에 대한 보고된 값은 현재 셀과의 타이밍 정보가 정확하게 보고되지 않는다. 이는 통화 중인 단말이 다른 주파수를 갖는 셀을 검색은 가능하나 정확한 타이밍 정보는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시스템에서는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기존에 통화 중에 사용하던 타이밍 정보와는 다른 타이밍 정보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셀을 준비시키고 단말로 하여금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하면서 새롭게 동기를 잡도록 지시한다.
이런 방식으로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식을 타이밍 재초기화된 하드 핸드오버(Timing Re-Initialized Hard Handover)라 부른다.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 수행시 단말로부터 다른 주파수를 갖는 셀과의 타이밍 차이를 보고 받지 못하므로, 기본적으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셀을 준비 시킬 때 임의의 타이밍 정보를 사용하고, 이를 단말로 하여금 동기를 잡도록 하기 때문에 단말이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 지시를 받으면 단말은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하면서 새롭게 동기를 획득해야 한다.
소프트 핸드오버의 단말은 핸드오버 해야 할 셀과 현재 통화 중인 셀의 타이 밍 차이를 보고하고, 시스템은 이를 이용하여 목적 셀을 준비시키기 때문에 단말은 새롭게 동기를 획득할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해,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는 새롭게 동기를 획득해야 하므로 핸드오버 성공률이 저하되고, 또한 새롭게 동기를 획득해야 하는 과정을 거치므로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 시 통화 단절 시간이 그 만큼 증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 수행에 따른 새로운 동기를 획득 과정으로 인한 핸드오버 성공률 저하를 방지하고, 핸드오버시 소용되는 시간 증가로 인한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시 통화 단절 시간을 감소 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과 그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단말에 의해 하드 핸드오버가 요청되면,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시 저장된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드 핸드오버의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게 하드 핸드오버를 지시 하기 위한 송신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단말에 의해 하드 핸드오버가 요청되면,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시 상기 저장된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드 핸드오버의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부; 및 상기 저장된 타이밍 정보가 유효한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게 적절한 타이밍에서의 하드 핸드오버를 지시하기 위한 송신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 핸드오버를 요청받는 단계; 저장된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의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프트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하드 핸드오버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저장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의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 핸드오버를 요청받는 단계; 저장된 소프트 핸드오버 를 지원하는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의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타이밍 정보가 유효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타이밍 정보가 유효함에 따라, 상기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프트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하드 핸드오버를 요청받는 단계; 저장된 상기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의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타이밍 정보가 유효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타이밍 정보가 유효함에 따라, 상기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함에 있어서 타이밍 정보를 활용하여 하드 핸드오버 성공률 향상은 물론 하드 핸드오버로 인한 통화 단절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한다. 즉, 단말로부터 보고되지 않은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여 단말에서 새로운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기존에 유지하던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동일 주파수간 소프트 핸드오버시 단말에서 보고된 값을 내부 테이블화하여 저장하여 둔다.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단말에서 보고 되지 않은 타이밍 정보를 내부 테이블에서 획득하여 단말에게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를 지시한다. 이와 같이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되면 단말은 새롭게 동기를 획득해야 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핸드오버 성공률이 향상되며, 또한 동기를 획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필요없게 되어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시 통화 단절 시간을 감소 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WCDMA 이동통신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WCDMA 이동통신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 부 시스템(A)과 단말(13)로 이루어진다.
무선 네트워크 부 시스템(A)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함, 10)와, 2FA와 1FA의 두 개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제1기지국(11)과, 1FA의 하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제2기지국(12)과 단말(1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기지국의 수를 2개로 한정하였으며, 사용 주파수를 두개로 한정하였다.
RNC(10)은 제1기지국(11)과 제2기지국(12)을 직접 제어하며, 제1기지국(11) 또는 제2기지국(12)을 통해 단말(13)을 제어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지국(11) 지역은 사용자가 많아서 하나의 주파수(FA1)로는 모든 사용자에게 서비스 제공이 힘들기 때문에 또 다른 주파수(FA2)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반면, 제2기지국(12) 지역은 하나의 주파수(FA1)로 제2기지국(12)의 사용자가 충분히 사용 가능하므로 하나의 주파수만을 사용하도록 설계를 한다.
본 발명은 단말(13)이 제1기지국(11)의 주파수 FA2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 중에 제2기지국(12) 지역으로 이동시 제2기지국 (12)에는 주파수 FA2가 없으므로 주파수 FA2에서 FA1로 핸드오버 하는 과정, 즉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하는 과정에 있어서 성능향상을 위한 것이다.
단말(13)이 다른 주파수에 대한 타이밍 정보를 보고하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은 이를 계산할 수 있도록 사전에 제1기지국(11)의 FA1에서 제2기지국(12)의 FA1 으로 핸드오버하는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제1기지국(11)의 주파수 FA1과 제2기지국(12)의 주파수 FA1의 타이밍 차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을 하고, 제1기지국(11)의 주파수 FA2에서 제2기지국(12)의 주파수 FA1로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단말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한다.
제1기지국(11)에서의 FA1과 FA2 사이의 타이밍 차이와 단말(13)과 기지국 사이에 존재하는 오프셋은 이미 설정된 값이므로(이러한 타이밍 차이와 오프셋이 '0'일 경우에는 더욱 명확해짐), 제1기지국(11)의 주파수 FA1과 제2기지국(12)의 주파수 FA1의 타이밍 차이 만으로 제1기지국(11)의 주파수 FA2에서 제2기지국(12)의 주 파수 FA1로의 하드 핸드오버 시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RNC(10)는 이러한 제1기지국(11)의 주파수 FA1과 제2기지국(12)의 주파수 FA1의 타이밍 차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제1기지국(11)의 주파수 FA2에서 제2기지국(12)의 주파수 FA1로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단말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크워크 제어기를 포함한 이동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시스템은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각 기지국간 및 기지국과 단말 간의 타이밍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타이밍 정보를 통해 하드 핸드오버시 단말로부터 보고되지 않은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20)와, F1과 F2의 두 개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소스 기지국인 제1기지국(21)과, F1의 하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타겟 기지국인 제2기지국(12)과, 단말(13)로 이루어진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20)는 각 타이밍 정보 등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201)와,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203)와, 단말에 의해 하드 핸드오버가 요청되면, 소프트 핸드오버시 저장된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의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부(202)와,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하드 핸드오버를 지시하기 위한 송신부(20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서의 타이밍 정보의 저장 및 하드 핸드오버를 위한 타이밍 계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타이밍 정보 저장 과정을 나타낸다.
다른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 시 단말은 (기지국을 경유하여)RNC에 현재 소스 기지국에서의 제1주파수와 타겟 기지국의 제2주파수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보고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시스템에서 계산하기 위해 단말이 보고하는 소프트 핸드오버 정보를 저장한다.
도 4의 (a)에서 단말(40)은 소스 기지국의 주파수 FA1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이며, 타겟 기지국의 주파수 FA1으로 동일 주파수간 소프트 핸드오버를 하는 경우이다. 이 때, 단말은 두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FA1 간의 타이밍 차이를 'a'와 같이 RNC(41)에 보고한다.
RNC(41)는 단말(40)이 보고한 타이밍 차이와 타겟 기지국의 주파수 FA1에서 통화중인 단말의 타이밍 정보를 저장하며, 'b'와 같이 소프트 핸드오버를 수락한다.
도 4의 (b)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 시 단말의 타이밍 차이에 대한 보고없이 시스템에서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이를 계산하고, 이 계산된 값에 의해 단말은 새롭게 동기를 획득하지 않고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의 (b)에서 소스 기지국의 주파수 FA2를 이용하던 단말(40)이 타겟 기지국의 주파수 FA1으로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를 'p'와 같이 요청하면, RNC(41)는 단말(40)로부터 소스 기지국의 주파수 FA2와 타겟 기지국 주파수 FA1의 타이밍 차 이를 계산한다. 이러한 계산을 사용하지 않는 종래의 경우에는 RNC(41)가 소스 기지국에서의 주파수 FA1과 타겟 기지국의 주파수 FA2 사이의 타이밍 차이를 모르기 때문에 타겟 기지국의 주파수 FA1에 임의의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40)로 하여금 동기를 획득하도록 지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RNC(41)에서 타이밍 차이를 계산하여 타겟 기지국의 주파수 FA1을 단말(40)의 동기에 맞도록 설정하고, 이를 단말(40)에게 알려주므로 단말은 새로운 동기를 획득하지 않아도 된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저장된 정보가 현재 유효한 정보인지 체크를 해 보는 기능 또한 추가적으로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전에 동일 주파수간 소프트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소스 기지국의 주파수 FA1과 타겟 기지국의 주파수 FA1 사이의 타이밍 차이를 저장해 두었으나, 특정 상황에 소스 기지국 혹은 타겟 기지국이 재시동 되었을 경우 이전에 저장한 정보는 의미없는 값이므로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하면서 현재 저장되어져 있는 정보가 유효한지 체크를 하여야 한다. 만약, 유효성 체크시 저장된 정보가 유효하지 않은 값으로 판명이 되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이 값을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종래의 방식대로 단말로 하여금 새롭게 동기를 획득하여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하여야 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저장된 타이밍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기능을 추가로 실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크워크 제어기를 포함한 이동통신시스템을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시스템은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각 기지국간 및 기지국과 단말 간의 타이밍 정보를 저장하고, 하드 핸드오버 수행시 저장된 타이밍 정보를 통해 단말로부터 보고되지 않은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고, 저장된 타이밍 정보의 유효성까지 판단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와, F1과 F2의 두 개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소스 기지국인 제1기지국(31)과, F1의 하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타겟 기지국인 제2기지국(32)과, 단말(33)로 이루어진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는 각 타이밍 정보 등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301)와,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303)와, 단말에 의해 하드 핸드오버가 요청되면, 소프트 핸드오버시 저장된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의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부(302)와, 저장된 타이밍 정보가 유효한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단말(33)에게 적절한 타이밍에서의 하드 핸드오버를 지시하기 위한 송신부(30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송신부(304)는 저장부(303)에 저장된 타이밍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한 별도의 유효성 판단부(305)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은 동기를 새롭게 획득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핸드오버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다.
또한,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의 경우 단말이 특정 시간에 주파수를 바꾸기 때문에 순간적인 통화 단절이 생긴다. 이 때, 통화 단절로부터 다시 통화가 가능하 게 되는데, 통화가 가능한 시간은 단말이 주파수를 바꾸고 동기를 획득하고 난 후부터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동기 획득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면 통화단절 시간도 줄일 수 있다. 더불어,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 수행시 단말에서 동기획득을 위해 필요로 하는 단말 동작의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동기획득 실패 및 동기획득으로 인한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 실패를 막을 수 있어 결론적으로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용한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을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을 도식화한 플로우챠트이다.
단말이 소스 기지국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하드 핸드오버를 요청하게 되면(501),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자신의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 핸드오프 시의 기지국 간의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한다(S502).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프를 실시한다(S503). 새로운 동기 획득없이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실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을 도식화한 플로우챠트이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소프트 핸드오버 시의 타이밍 정보와 소스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 사이의 소프트 핸드오버 시의 타이 밍 정보를 수신부를 통해 수신받아 저장부에 저장한다(S601).
단말이 소스 기지국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하드 핸드오버를 요청하게 되면(602),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자신의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 핸드오프 시의 기지국 간의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한다(S603).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프를 실시한다(S605). 즉, 새로운 동기 획득없이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실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을 도식화한 플로우챠트이다.
단말이 소스 기지국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하드 핸드오버를 요청하게 되면(701),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자신의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 핸드오프 시의 기지국 간의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한다(S702).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하면서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밍 정보가 유효한지를 판단한다(S703).
유효성의 판단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두 기지국에 대해 소프트 핸드오버 시 제공받은 타이밍 정보 후 타이밍이 바뀔만한 이벤트 예컨대, 기지국의 오프 등과 같은 이벤트가 존재하였는 지를 두 기지국에 문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판단 결과, 저장된 타이밍 정보가 유효할 경우에는 새로운 동기 획득없이 계 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실시한다.(S704).
반면, 저장된 타이밍 정보가 유효하지 않을 경우에는 새로운 동기를 획득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실시한다.(S705).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을 도식화한 플로우챠트이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소프트 핸드오버 시의 타이밍 정보와 동일 기지국에서의 서로 다른 주파수간의 타이밍 차이 및 단말과 각 기지국 간의 해당 주파수에서의 오프셋 정보를 수신부를 통해 수신받아 저장부에 저장한다(S801).
단말이 소스 기지국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하드 핸드오버를 요청하게 되면(802),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자신의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 핸드오프 시의 기지국 간의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한다(S803).
한편,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할 때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 핸드오프 시의 기지국 간의 타이밍 정보 뿐만아니라 동일 기지국에서의 서로 다른 주파수간의 타이밍 차이 및 단말과 각 기지국 간의 해당 주파수에서의 오프셋 정보를 고려하나, 이는 오프셋 정보로 하나의 상수로 인식이 되어지므로 소프트 핸드오프 시의 저장된 정보가 주 고려 대상이 된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하면서 저장부에 저장된 타이 밍 정보가 유효한지를 판단한다(S804).
판단 결과, 저장된 타이밍 정보가 유효할 경우에는 새로운 동기 획득없이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실시한다.(S805).
반면, 저장된 타이밍 정보가 유효하지 않을 경우에는 새로운 동기를 획득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실시한다.(S806).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하드 핸드오버 방식을 WCDMA 시스템에 적용한 실제 적용 예를 통해 살펴본다.
도 9는 WCDMA 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시의 각 기지국과 단말의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BFN(Node B Frame Number)은 하나의 Node B에 대한 고유한 프레임 넘버(Frame Number(0 ~ 4095))를 나타내며, SFN(System Frame Number)은 하나의 셀(Cell)에 대한 고유한 프레임 넘버(0 ~ 4096)를 나타내며, BFN 과 T_Cell 만큼 차이가 난다. T_Cell은 하나의 셀에 부여되는 값으로 BFN으로부터 SFN을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즉, 하나의 Node B에 속한 여러 개의 셀들은 동일한 BFN을 갖으며, 서로간의 타이밍 차이는 각각 부여된 T_cell에 의한다. 만약, 하마의 기지국에 속한 셀들에 동일 T-cell을 사용하면 모든 셀들은 동일 BFN에 동일 SFN을 사용하게 된다.
α는 노멀(Normal) DL DPCH(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nom에 대한 첫번째 수신된 DL DPCH 핑거(Finger)를 나타내며, BFNNo는 B 프레임의 넘버(카운터)이며, CFN은 CPCH와 관련된 접속 프레임 넘버(Connection frame number)를 나타낸다. HO는 핸드오버(Handover)를 나타내며, NBx는 노드 B를 나타내는 바, x가 1 일 경우는 소스 기지국을 나타내고, x가 0인 경우는 타겟 기지국을 나타낸다.
오프(OFF)는 0부터 255 프레임 까지의 범위에서의 오프셋을 나타내며, RFN은 RNC 프레임 넘버를 나타내고, RNC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를 나타내며, SFNSy는 스템 프레임 넘버(stem Frame Number)를 나타낸다.
T_cell은 BFN에 대한 SFN의 지연을 나타내며, Tm은 핸드오버시 사용자 단말에 의해 측정된 값으로, 0에서 38399칩의 범위를 가진다. To는 1024 칩들의 상수이며, 사용자 단말에서 TUETx와 첫번째로 수시한 DPCH 핑거(DL DPCHnom) 사이의 근소한 차이이다. Tpx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셀 X로의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을 나타내며, TUETx는 사용자 단말이 UL(UpLink) DPCH를 전송한 시간을 나타낸다.
프레임 오프셋(Frame offset)은 10ms 단위로 SFN과 CFN의 10ms 단위의 차이를 의미하고, 칩 오프셋(Chip offset)은 1칩 단위로 SFN과 CFN의 차이 중 프레임 오프셋을 제외한 부분이다. 오프(OFF)는 현재 CFN과 타겟 셀(Target Cell)의 SFN의 10ms 단위의 차이를 의미하며, Tm은 현재 CFN과 타겟 셀의 SFN의 차이 중 오프를 제외한 부분이다.
도 9는 상기한 용어의 실제 사용예를 소스 기지국(NB1)에서 타겟 기지국(NB2)으로 핸드오버 하는 과정으로 나타냈다.
도 4의 (a)에서 사용되는 타이밍 정보 저장 방식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소스 기지국의 주파수 FA1은 NB1 에 해당하며, 타겟 기지국의 주파수 FA1은 NB2에 해당한다.
NB1의 T_Cell을 1, 프레임 오프셋을 2, 칩 오프셋을 10240, 오프를 3, Tm을 12672라 가정하면, NB1의 주파수 FA1과 NB2의 주파수 FA1의 SFN간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1프레임 오프셋 및 1오프는 10ms를 의미하며, 이는 38400 칩으로 환산된다).
SFN간의 차이는 소스 기지국인 NB1의 오프셋 정보(칩으로 환산하여 2*38400 + 10240)에서 타겟 기지국인 NB2의 측정된 오프셋 정보(칩으로 환산하여 3*38400 + 12672)의 차이를 계산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를 다시 10ms 단위의 차이 Diff_Frame과 칩 단위의 차이인 Diff_Chip으로 환산한다. 즉 SFN간의 차이는 Diff_Frame + Diff_Chip이다.
Diff_Frame = (((2+256)*38400 + 10240 - 3*38400 - 12672)/38400)%256 = 254이고, Diff_Chip = ((2+256)*38400 + 10240 - 3*38400 - 12672)%38400 = 35986이다. 여기서, 프레임 오프셋 256을 더하는 이유는 계산결과가 '0' 보다 작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즉, NB1의 주파수 FA1과 NB2의 SFN 차이는 프레임 오프셋 254, 칩 오프셋 35986이 저장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값은 NB1의 주파수 FA2와 NB2의 주파수 FA1의 차이이므로, 이를 계산하기 위해 먼저 NB1의 주파수 FA1과 NB2의 주파수 FA1의 차이를 계산하고, 다음에 NB1의 주파수 FA1과 NB1의 주파수 FA2의 차이를 계산한다.
NB1의 주파수 FA2와 NB1의 주파수 FA1의 차이는 동일 기지국 내의 차이이므로, 이는 T_Cell 만큼 차이가 나게 된다. 즉, NB1의 주파수 FA2의 T_Cell을 '2'로 가정하면, NB1의 주파수 FA1의 T_Cell이 '1'이므로 256 칩 차이가 난다(1 T_Cell = 256 칩).
이어서, 구하고자 하는 NB1의 주파수 FA2와 NB2의 주파수 FA1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Diff(NB1 FA2 ↔ NB2 FA1) = Diff (NB1 FA1 ↔ NB2 FA1) - Diff (NB1 FA1 ↔ NB1 FA2)로 계산하며, 10ms 단위의 차이 Diff_Frame_1과 칩 단위의 차이 Diff_Chip_1을 계산하면 Diff_Frame_1 = 254이고, Diff_Chip_1 = 35986 -256 = 35730이다.
현재 NB1의 주파수 FA2에서 통화 중인 단말의 프레임 오프셋은 1, 칩 오프셋은 1024라 가정하면, 현재 단말이 NB1의 주파수 FA2에서 통화중 사용하고 있는 오프셋 정보(칩으로 환산하여 1 *38400 + 1024)에서 도 4와 같은 과정에서 저장되어져 있는 NB1의 주파수 FA2에서 NB1의 주파수 FA1의 오프셋 정보(칩으로 환산하여 254*38400 + 35730)의 차이를 계산하면 된다. 이렇게 하여 계산된 차이는 10ms 단위의 Calculated_OFF와 칩 단위의 차이인 Calculated_Tm으로 계산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동일 주파수일 경우 단말이 보고하는 오프(10ms 단위의 오프셋)와 Tm(칩 단위의 차이)값을 다른 주파수일 경우에는 단말이 보고하지 못하기 때문에 시스템에서 이를 계산하여 Calculated_OFF를 가상으로 단말이 보고한 오프 값으로 판단하고 Calculated_Tm을 가상으로 단말이 보고한 Tm 값으로 판단하여 핸드오버를 처리하면, 단말이 보고를 못하기 때문에 보고하지 않았던 오프 및 Tm 값을 시스템에서 계산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 이 값을 알고 있는 경우에는 타이밍 유지로 하드 핸드오버를 처리하게 된다.
Calculated_OFF = (((1+256)*38400 + 1024 - 254*38400 - 35730)/38400)%256 = 2이고, Calculated_Tm = ((1+256)*38400 + 1024 - 254*38400 - 35730)%38400 = 3694이다.
종래의 방식대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면 그림 4와 같은 과정이 없으므로, NB1의 주파수 FA2와 NB2의 주파수 FA1의 SFN 간의 차이를 알 수가 없으므로, 핸드오버 과정에 있어서 단말로 하여금 새로운 CFN을 계산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하는 타이밍 재 초기화(Timing Re-Initialize)로 처리하도록 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시한 방식에서는 NB1의 주파수 FA2와 NB2의 주파수 FA1의 SFN간 차이를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서 계산하여 단말로 하여금 현재의 CFN을 그대로 유지하는 타이밍 유지로 처리가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단말로부터 보고되지 않은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여 단말에서 새로운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기존에 유지하던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함으로써, 하드 핸드오버 시 단말이 새롭게 동기를 획득해야 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도록 하여 하드 핸드오버 성공률을 높이고, 동기를 획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생략하여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시 통화 단절 시간을 감소 시킬 수 있음을 실시예를 통해 알아보았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 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하드 핸드오버의 성능 향상과 하드 핸드오버의 성공율을 높임으로써,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무선 네크워크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이동통신시스템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단말에 의해 하드 핸드오버가 요청되면,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시 저장된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드 핸드오버의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게 하드 핸드오버를 지시하기 위한 송신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하드 핸드오버 시 타겟 기지국에 대한 새로운 동기 부여없이 상기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1주파수와 제2주파수를 사용하는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제1주파수를 이 용하다가 상기 제2주파수를 사용하는 타겟기지국으로 하드 핸드오버 시,
    상기 두 기지국 간의 제2주파수에 대한 타이밍 정보와 상기 소스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간의 상기 제1주파수에 대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된 상기 소스 기지국의 제1주파수와 상기 타겟 기지국의 제2주파수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4.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단말에 의해 하드 핸드오버가 요청되면,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시 상기 저장된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드 핸드오버의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기 위한 계산부; 및
    상기 저장된 타이밍 정보가 유효한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에게 적절한 타이밍에서의 하드 핸드오버를 지시하기 위한 송신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저장된 타이밍 정보가 유효함에 따라, 상기 단말이 하드 핸드오버 시 타겟 기지국에 대한 새로운 동기 부여없이 상기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1주파수와 제2주파수를 사용하는 상기 소스 기지국과 상기 제1주파수를 이용하다가 상기 제2주파수를 사용하는 타겟기지국으로 하드 핸드오버 시,
    상기 두 기지국 간의 제2주파수에 대한 타이밍 정보와 상기 소스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간의 상기 제1주파수에 대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된 상기 소스 기지국의 제1주파수와 상기 타겟 기지국의 제2주파수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저장된 타이밍 정보가 유효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단말이 하드 핸드오버 시 타겟 기지국에 대한 새로운 동기를 부여받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8. 하드 핸드오버를 요청받는 단계;
    저장된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의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단말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하드 핸드오버를 요청하며,
    상기 단말은 하드 핸드오버 시 타겟 기지국에 대한 새로운 동기 부여없이 상기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1주파수와 제2주파수를 사용하는 소스 기지국과 상기 제1주파수를 이용하다가 상기 제2주파수를 사용하는 타겟기지국으로 하드 핸드오버 시,
    상기 두 기지국 간의 제2주파수에 대한 타이밍 정보와 상기 소스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간의 상기 제1주파수에 대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된 상기 소스 기지국의 제1주파수와 상기 타겟 기지국의 제2주파수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
  11. 소프트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하드 핸드오버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저장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의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단말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하드 핸드오버를 요청하며,
    상기 단말은 하드 핸드오버 시 타겟 기지국에 대한 새로운 동기 부여없이 상기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1주파수와 제2주파수를 사용하는 소스 기지국과 상기 제1주파수를 이용하다가 상기 제2주파수를 사용하는 타겟기지국으로 하드 핸드오버 시,
    상기 두 기지국 간의 제2주파수에 대한 타이밍 정보와 상기 소스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간의 상기 제1주파수에 대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된 상기 소스 기지국의 제1주파수와 상기 타겟 기지국의 제2주파수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
  14. 하드 핸드오버를 요청받는 단계;
    저장된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의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타이밍 정보가 유효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타이밍 정보가 유효함에 따라, 상기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단말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하드 핸드오버를 요청하며,
    상기 단말은 하드 핸드오버 시 타겟 기지국에 대한 새로운 동기 부여없이 상기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타이밍 정보가 유효하지 않음에 따라, 하드 핸드오버 시 타겟 기지국에 대한 새로운 동기를 부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1주파수와 제2주파수를 사용하는 소스 기지국과 상기 제1주파수를 이용하다가 상기 제2주파수를 사용하는 타겟기지국으로 하드 핸드오버 시,
    상기 두 기지국 간의 제2주파수에 대한 타이밍 정보와 상기 소스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간의 상기 제1주파수에 대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된 상기 소스 기지국의 제1주파수와 상기 타겟 기지국의 제2주파수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
  18. 소프트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단계;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기지국간 타이밍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하드 핸드오버를 요청받는 단계;
    저장된 상기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의 소스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타이밍 정보가 유효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타이밍 정보가 유효함에 따라, 상기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단말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하드 핸드오버를 요청하며,
    상기 단말은 하드 핸드오버 시 타겟 기지국에 대한 새로운 동기 부여없이 상기 계산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타이밍 정보가 유효하지 않음에 따라, 하드 핸드오버 시 타겟 기지국에 대한 새로운 동기를 부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1주파수와 제2주파수를 사용하는 소스 기지국과 상기 제1주파수를 이용하다가 상기 제2주파수를 사용하는 타겟기지국으로 하드 핸드오버 시,
    상기 두 기지국 간의 제2주파수에 대한 타이밍 정보와 상기 소스 기지국과 다른 기지국간의 상기 제1주파수에 대한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된 상기 소스 기지국의 제1주파수와 상기 타겟 기지국의 제2주파수 사이의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버 방법.
KR1020050039424A 2005-05-11 2005-05-11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과 그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KR100770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424A KR100770838B1 (ko) 2005-05-11 2005-05-11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과 그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DE602006003593T DE602006003593D1 (de) 2005-05-11 2006-05-11 Verfahren zur harten Weiterreichung und eine Funknetzkontrolleinheit dafür in einem Mobilfunktelekommunikationssystem
EP06009782A EP1722588B1 (en) 2005-05-11 2006-05-11 Hard handover method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therefor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11/431,916 US7532889B2 (en) 2005-05-11 2006-05-11 Hard handover method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therefor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AT06009782T ATE414392T1 (de) 2005-05-11 2006-05-11 Verfahren zur harten weiterreichung und eine funknetzkontrolleinheit dafür in einem mobilfunktelekommunikations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424A KR100770838B1 (ko) 2005-05-11 2005-05-11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과 그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901A true KR20060116901A (ko) 2006-11-16
KR100770838B1 KR100770838B1 (ko) 2007-10-26

Family

ID=36609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424A KR100770838B1 (ko) 2005-05-11 2005-05-11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과 그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32889B2 (ko)
EP (1) EP1722588B1 (ko)
KR (1) KR100770838B1 (ko)
AT (1) ATE414392T1 (ko)
DE (1) DE602006003593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3696B2 (en) 2007-08-16 2012-07-17 Ntt Docomo, Inc. Handover controlling method, radio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KR101282827B1 (ko) * 2007-03-17 2013-07-0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랜덤 액세스 채널(rach)을 사용하지 않고 소스 기지국과 타깃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49274B1 (en) * 2007-04-27 2017-04-05 Optis Wireless Technology, LLC Handover using dedicated resources reserved for a limited time interval
US8223724B2 (en) * 2007-11-01 2012-07-17 Nokia Siemens Networks Oy Frame and chip offset for SRNC in UE involved relocation on carrier sharing
US8472374B2 (en) * 2007-11-07 2013-06-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istinguishing between synchronized and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s
EP2375823B1 (en) 2008-04-01 2018-01-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tivation time for target based high speed serving cell change
JP5233454B2 (ja) * 2008-07-08 2013-07-10 富士通株式会社 移動端末局および受信品質測定方法
JP5293199B2 (ja) * 2009-01-08 2013-09-18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制御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10099049A2 (en) * 2009-02-24 2010-09-02 Eamonn Gormley Base station reference frequency and timing correction
WO2010098971A2 (en) * 2009-02-24 2010-09-02 Eamonn Gormley Base station reference frequency correction and timing correction using transceiver feedback
US8634340B2 (en) * 2009-08-02 2014-01-21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DCCH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043015A1 (ja) * 2009-10-07 2011-04-14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ゲートウェイ、移動通信システム、並びにこれらに用いるハンドオーバ先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545997B (zh) * 2010-12-31 2014-12-10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确定系统帧号的方法、通信系统和设备
WO2013160708A1 (en) 2012-04-23 2013-10-31 Ericsson Nikola Tesla D.D. Automatic identification of neighbors in wcdma network
RU2667067C1 (ru) 2014-10-08 2018-09-14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Измерения синхронизации мобильности
EP3316630B1 (en) * 2015-08-07 2022-03-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Time synchroniz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788B1 (ko) * 1998-06-15 2000-09-01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중 주파수간 핸드 오프 방법
GB9819482D0 (en) 1998-09-07 1998-10-28 Nokia Telecommunications Oy Communication system
US6845238B1 (en) 1999-09-15 2005-01-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frequency measurement and hando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100384899B1 (ko) * 2001-01-10 2003-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끊김없는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 방법
US20030007471A1 (en) * 2001-07-03 2003-01-09 Daisuke Terasawa Operation of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base stations
JP4196322B2 (ja) * 2002-09-20 2008-12-17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方式移動通信方法及び端末
US7085570B2 (en) * 2002-12-23 2006-08-01 Nokia Corporation Handover method, system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KR100486414B1 (ko) * 2002-12-24 2005-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손실이 없는 하드 핸드-오버 방법 및 시스템
CN1839567B (zh) * 2003-08-21 2010-05-26 株式会社Ntt都科摩 移动通信系统、移动站以及无线控制装置
KR20060032541A (ko) * 2004-10-12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간 하드 핸드오프 시스템 및 그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827B1 (ko) * 2007-03-17 2013-07-0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랜덤 액세스 채널(rach)을 사용하지 않고 소스 기지국과 타깃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US8509791B2 (en) 2007-03-17 2013-08-13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223696B2 (en) 2007-08-16 2012-07-17 Ntt Docomo, Inc. Handover controlling method, radio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6003593D1 (de) 2008-12-24
US20060270406A1 (en) 2006-11-30
ATE414392T1 (de) 2008-11-15
KR100770838B1 (ko) 2007-10-26
EP1722588B1 (en) 2008-11-12
US7532889B2 (en) 2009-05-12
EP1722588A1 (en) 200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83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과 그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US6892071B2 (en) Handover method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STS
EP1967033B1 (en) A method of synchronizing with an uplink channel by determining a propagation dela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0810479B1 (ko) 시스템간 기지국 핸드오버
JP455850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ー方法
US783982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handoff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US7054638B2 (en) Controlling transmission of cell information between control nodes in radio access network
JP2014140205A (ja) Hs−dschサービングセル変更改善の構成
US200803185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Handover
EP1865734A1 (en) Handover system
US20110299505A1 (en) Base station device,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id communication system
KR100376580B1 (ko) 동기 시스템과 비동기 시스템간의 핸드오프 방법
KR10037658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역방향 동기 전송 방식의 지원을위한 핸드오프 방법
US20240040452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activate secondary cell group (scg) selectively
KR10055645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하드 핸드오프 구현방법
KR10082285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전송 방식으로의변환 방법
US20020058509A1 (en) Intersystem call transfer method for use in cellular mobile radio systems
KR100276720B1 (ko) 셀룰러 시스템에서 페이징부하 계산방법
WO2024104733A1 (en) Shortening of service interruption time for llm in ran4
KR19990042505A (ko) 무선 특성 이동교환국간 핸드오프 알고리즘
KR20040050173A (ko) 동기 타이밍 오류에 대한 핸드오버 수행 방법
KR20010082940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 오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