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5159A -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 Google Patents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159A
KR20060115159A KR1020050037515A KR20050037515A KR20060115159A KR 20060115159 A KR20060115159 A KR 20060115159A KR 1020050037515 A KR1020050037515 A KR 1020050037515A KR 20050037515 A KR20050037515 A KR 20050037515A KR 20060115159 A KR20060115159 A KR 20060115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inlet
pipe
socke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0871B1 (ko
Inventor
우광수
Original Assignee
(주)세원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원콘크리트 filed Critical (주)세원콘크리트
Priority to KR1020050037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0871B1/ko
Publication of KR20060115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0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0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맨홀 입수/배수구측에 배관(파이프)과의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접속구 소켓이 최초 맨홀 제작 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맨홀에 일체형으로 형성토록 함으로써, 배관 연결을 위한 별도의 접속구 소켓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이에 따라 맨홀 제작에 따른 경비 절감 및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은, 입수구를 통해 유입되어 배수구로 유출되는 오폐수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바닥면에는 인버트가 형성되며, 측벽에 형성되는 상기 입수구/배수구 측에는 배관과의 연결을 위한 접속구 소켓이 마련되는 인버트 맨홀에 있어서, 입수구/배수구 측에 배관과의 연결을 위한 상기 접속구 소켓이 최초 인버트 맨홀 제작 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상기 인버트 맨홀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인버트 맨홀, 유입과/유출관, 접속구 소켓

Description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Pipe connector soket one body type Invert manhole}
도 1은 종래 접속구 소켓이 설치된 인버트 맨홀과 하수 배관과의 연결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버트 맨홀의 접속구 소켓에 배관이 체결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 설명>
10...맨홀
11...입수구
12...배수구
13...인버트
14...접속구 소켓
14a...단턱
14b...볼팅공
본 발명은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맨홀 입수/배수구측에 배관(파이프)과의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접속구 소켓이 최초 맨홀 제작 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맨홀에 일체형으로 형성토록 함으로써, 배관 연결을 위한 별도의 접속구 소켓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이에 따라 맨홀 제작에 따른 경비절감 및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에 관한 것이다.
맨홀은 지하의 하수관·수도관·지하 케이블 및 포장도로 등을 검사하거나 청소하기 위하여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설물로서, 관의 굵기나 방향이 바뀌는 곳, 기점이나 교차점 및 길이가 긴 직선부의 중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맨홀의 설치 거리는 50∼100m 또는 100∼150m 정도이며, 보통 관거(管渠)의 바로 위에 설치된다.
종래 맨홀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맨홀(100)의 측면에 입수구(110)와 배수구(120)가 각각 형성되며, 그 상단에는 맨홀공(210)이 천공된 슬래브가 안착된 상태에서 맨홀뚜껑(300)으로 맨홀공(21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맨홀(100)의 바닥에는 유입관/유출관의 급격한 단면 확대/ 축소에 의한 수리적 손실을 방지하고자 인버트(1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버트(130)는 맨홀 내로 유입된 하수 등에 섞인 오물이 퇴적되어 발생하는 악취를 억제 내지 방지하고 하수의 흐름을 원활케 할 목적으로 시설하는 맨홀의 바닥구조물로서, 맨홀의 측벽의 입수구(110)와 배수구(120)에 각각 설치되는 유입관과 유출관(P)의 하반원에 상당하는 크기의 수로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유입관과 유출관이 연결되는 맨홀의 입수구/배수구(110,120)에는 오폐수 유입관/유출관(이하 "배관"이라 통칭 함)과의 연결을 위한 접속구 소켓(140)이 설치되는 데, 이 접속구 소켓(140)에는 인버트(130)와 연통되어 오폐수가 흐를 수 있도록 배관(P)의 선단부가 끼워지며, 접속구와 연결을 위하여 상기 배관에 선단에 형성된 확장형 단턱 후방에는 오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킹(150)이 끼워진다. 그리고, 고무패킹(150) 후방에서는 플랜지(160)가 볼트(B)로서 상기 접속구 소켓(140)과 체결되어 고무패킹(150)을 포함한 배관(P)을 접속구 소켓(140)에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구 소켓(140)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며, 배관의 선단과 이 선단에 형성된 배관단턱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그 내경이 단턱지게 형성되어 있고 맨홀 외부로 노출되는 전(前)면의 원주 방향으로는 등간격에 걸쳐 볼팅공(142)이 천공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구 소켓(140)을 맨홀의 배수구와 입수구 측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우선 콘트리트 타설에 의해 맨홀 제작 시 입수구/배수구의 직경을 접속구 소켓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한 후, 상기 입수구/배수구에 접속구 소켓(140)을 끼운다. 다음, 입수구/배수구와 접속구 소켓의 직경 차이로 인하여 형성되는 공간부로 몰타르(170) 등을 주입시켜 경화토록 함으로써 맨홀의 입수구/배수구에 접속구 소켓을 매설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맨홀과 접속구 소켓이 별개의 구성품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맨홀 제작 시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구 소켓을 별도로 제작한 후 몰타르 등으로 맨홀의 입수/배수구 측에 고정시켜야 했으므로, 그 만큼 비용 및 공정이 증대됨과 아울러 조립 및 양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접속구 소켓을 맨홀의 입수구/배수구에 고정시켜주는 몰타르의 주입이 불량할 경우에는 접속구 소켓과 맨홀의 입수구/배수구 사이가 완전하게 밀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틈새가 발생되어 이 틈새를 통하여 오폐수가 누출됨으로써 그 주변의 지반을 오염시켜 환경을 파괴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시키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맨홀의 측벽에 관통 형성된 입수구/배수구 측에 배관(파이프)과의 연결을 위한 접속구 소켓을 최초 인버트 맨홀 제작 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배관 연결을 위한 접속구 소켓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 인하여 맨홀 인버터 제작에 따른 경비절감 및 양산성을 향상시키며, 접속구 소켓 설치에 따른 맨홀 인버터와의 틈새 발생의 요인을 없애 오폐수의 누출이 없는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은, 입수구를 통해 유입되어 배수구로 유출되는 오폐수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바닥면에는 인버트가 형성되며, 측벽에 형성되는 상기 입수구/배수구 측에는 배관과의 연결을 위한 접속구 소켓이 마련되는 인버트 맨홀에 있어서, 입수구/배수구 측에 배관과의 연결을 위한 상기 접속구 소켓이 최초 인버트 맨홀 제작 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상기 인버트 맨홀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맨홀(10)의 바닥에는 배관을 통해 오폐수가 유입/유출될 때 맨홀내에서 급격한 단면 변화에 의한 수리적 손실을 방지하고자 인버트(13)가 형성되며, 상기 인버트(13) 양 선단의 맨홀 측벽에는 오폐수의 유입/유출이 이루어지며 배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입수구/배수구(11,12)가 맨홀 내측과 연통되도록 관통되고, 상기 입수구/배수구에는 배관과의 연결을 위한 접속구 소켓(14)이 마련되는 데,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접속구 소켓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최초 맨홀 제작 시 상기 입수구/배수구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맨홀은 원하는 형태로 거푸집을 제작한 후 이에 시멘트와 몰타르, 물 등을 배합한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양생시킴으로서 제작하게 되는데, 상기 거푸집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입수구/배수구가 형성될 맨홀의 바닥부에 접속구 소켓 형상과 대응되는 외형을 갖는 코어(CORE)를 설치하면, 거푸집에 콘리리트를 주입하여 양생시켰을 때 맨홀 측벽의 입수구/배수구 측에 접속구 소켓이 맨홀과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질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접속구 소켓(14)은 배관의 선단과 이 배관 선단에 일체 형성된 확장단턱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그 내경에 단턱부(14a)가 형성되며, 맨홀 외부로 노출되는 외면의 원주 방향으로는 플랜지가 결합될 수 있도록 등간격에 걸쳐 볼팅공(14b)이 형성되는 데, 이 볼팅공(14b)에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그 내주면에 나선을 형성한 체결구가 삽입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버트 맨홀의 접속구 소켓(14)에 배관이 체결된 것을 보인 단면도 로서, 접속구 소켓(14)에 확장단턱을 갖는 배관(P)의 선단부를 끼운 후, 상기 확장단턱 후방에는 연결부위의 틈새 등으로 인한 오폐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패킹(15)을 끼운다. 그리고, 고무패킹(15) 후방에는 이 고무패킹(15)을 덮으면서 동시에 이를 가압하여 배관 선단의 확장단턱부가 접속구 소켓(14a)의 단턱부에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플랜지(16)를 끼우는 데, 이 플랜지(16)는 볼트 등을 매개로하여 상기 접속구 소켓 외주에 형성된 볼팅공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은, 맨홀의 측벽에 관통 형성된 입수구/배수구 측에 배관(파이프)과의 연결을 위한 접속구 소켓이 최초 인버트 맨홀 제작 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맨홀과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배관 연결을 위한 접속구 소켓을 별도로 매설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종래 접속구 소켓을 별도로 매설하기 위해 몰타르를 주입했을 때 몰타르 주입 불량에 의한 틈새 발생이 전혀 없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로 접속구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 인하여 맨홀 인버터 제작에 따른 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제품의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에 의하면, 맨홀의 측벽에 관통 형성된 입수구/배수구 측에 배관(파이프)과의 연결을 위한 접속구 소켓이 최초 인버트 맨홀 제작 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맨홀과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배관 연결을 위한 별도의 접속구 소켓이 필요 없게 되어 인버트 맨홀 제작에 따른 경비 절감 및 양산성이 향상되며, 종래와는 달리 접속구 소켓 설치에 따른 맨홀 인버터와의 틈새 발생의 요인이 전혀 없어 오폐수의 누설이 예방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

  1. 입수구를 통해 유입되어 배수구로 유출되는 오폐수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바닥면에는 인버트가 형성되며, 측벽에 형성되는 상기 입수구/배수구 측에는 배관과의 연결을 위한 접속구 소켓이 마련되는 인버트 맨홀에 있어서,
    입수구/배수구 측에 배관과의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상기 접속구 소켓이 최초 인버트 맨홀 제작 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상기 인버트 맨홀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KR1020050037515A 2005-05-04 2005-05-04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KR100680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515A KR100680871B1 (ko) 2005-05-04 2005-05-04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515A KR100680871B1 (ko) 2005-05-04 2005-05-04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637U Division KR200390947Y1 (ko) 2005-05-04 2005-05-04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159A true KR20060115159A (ko) 2006-11-08
KR100680871B1 KR100680871B1 (ko) 2007-02-09

Family

ID=37652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515A KR100680871B1 (ko) 2005-05-04 2005-05-04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08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218B1 (ko) * 2006-12-14 2008-04-18 신승섭 인버트 타설일체형 맨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038B1 (ko) 2011-08-08 2013-07-17 (주)서원산업 맨홀 접속구 및 맨홀 접속관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960Y1 (ko) * 2002-06-10 2002-09-19 정우흄관 주식회사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 맨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218B1 (ko) * 2006-12-14 2008-04-18 신승섭 인버트 타설일체형 맨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0871B1 (ko) 200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3252Y1 (ko) 하수도, 도로, 하천, 환경시설공사 등에 사용되는 맨홀누수방지구조
KR100680871B1 (ko)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KR100877990B1 (ko) 벽체 매립 상자
KR100623240B1 (ko) 배수관이 일체로 형성된 맨홀.
KR200390947Y1 (ko)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KR200464418Y1 (ko) 지중관로용 관로구 몸체
KR20070036101A (ko) 지수단관 일체형 맨홀
JP4327026B2 (ja) コンクリ−ト製ますの補修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642295B1 (ko) 맨홀 접속관 및 그 연결구조
KR101080118B1 (ko) 맨홀과 하수관의 연결 구조
KR200275363Y1 (ko) 거푸집 설치가 필요 없는 조립식 원형 도로 배수관
KR101069882B1 (ko) 침하 및 수밀방지용 연결부를 갖는 맨홀
KR200178968Y1 (ko) 조립체 맨홀
KR20210015070A (ko) 모듈식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KR20080030812A (ko) 맨홀용 고무 커넥터 및 그 시공방법
KR100646447B1 (ko) 인서트 연결구를 갖는 맨홀
KR200231021Y1 (ko) 합성수지 라이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맨홀
KR101304987B1 (ko) 소켓 및 커넥터 일체형 조립식 pc맨홀
KR200192083Y1 (ko) 조립식 맨홀
KR100894896B1 (ko) 맨홀의 배수관 연결구조
KR100613881B1 (ko) 도로맨홀 인버트용 거푸집
KR200310034Y1 (ko) 맨홀과 관 사이의 밀봉구조
KR200345670Y1 (ko) 관로구용 방수 덮개구조
KR102382132B1 (ko) 맨홀의 배관 연결구조
KR200434156Y1 (ko) 맨홀과 접속관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114

Effective date: 200811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1231

Effective date: 2009120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106

Effective date: 2010092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