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5017A - 나노 실버를 이용한 농작물 살균제 및 그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나노 실버를 이용한 농작물 살균제 및 그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017A
KR20060115017A KR1020050037282A KR20050037282A KR20060115017A KR 20060115017 A KR20060115017 A KR 20060115017A KR 1020050037282 A KR1020050037282 A KR 1020050037282A KR 20050037282 A KR20050037282 A KR 20050037282A KR 20060115017 A KR20060115017 A KR 20060115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nano silver
disease
crop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현
Original Assignee
윤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현 filed Critical 윤종현
Priority to KR1020050037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5017A/ko
Publication of KR20060115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8Immuni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01N25/14Powders or granules wettab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나노 실버를 활성 성분으로 하는 농작물용 살균제. 본 발명에 따른 나노 실버 제제는 농작물 병해 방제제, 종자 소독제, 부패 방지제, 및 농기구 소독제와 같은 농작물 살균제로 유용하다. 본 발명의 나노 실버 제제의 바람직한 사용 방법도 함께 제공된다.
나노 실버, 농작물, 살균제, 병해 방제제, 종자 소독제

Description

나노 실버를 이용한 농작물 살균제 및 그의 사용 방법{PESTICIDES FOR CROPS USING NANO SILVER AND A METHOD OF ITS USE}
도 1은 벼 잎집무늬 마름병균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나노 실버 제제 (30 ppm과 80 ppm)의 방제 효과를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 시험한 결과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2는 벼 도열병균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나노 실버 제제 (30 ppm과 80 ppm)의 방제 효과를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 시험한 결과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3은 사과 부란병 균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나노 실버 제제 (30 ppm과 80 ppm)의 방제 효과를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 시험한 결과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4는 국화 역병균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나노 실버 제제 (80 ppm)의 방제 효과를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 시험한 결과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5는 고추 역병균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나노 실버 제제 (30 ppm과 80 ppm)의 방제 효과를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 시험한 결과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6은 가지 탄저병균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나노 실버 제제 (80 ppm)의 방제 효과를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 시험한 결과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7은 감귤 저장시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나노 실버 제제의 저장 안정성 증진 효과를 무처리 대조균과 비교 시험한 결과를 도시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나노 실버를 이용한 농작물 살균제 및 그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농작물 병해 방제제, 종자 소독제, 부패 방지제, 및 농기구 소독제와 같은 농작물 살균제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은 일정한 장소에서 같은 종류의 식물을 집단적으로 재배하므로 병균의 번식이 잘되고 연작을 하게 되면 더욱 심해진다. 병원균은 물(농용수), 비, 바람, 토양, 접목, 전정, 곤충, 이병식물 등에 의해 전염이 되고 기후조건이 적당하면 대량번식이 되어 농작물을 전멸시킨다. 1845~1846년에 아일랜드에서 감자역병이 만연하여 수확할 수 없게 되어 약 100만 명이 굶어 죽고 150만 명이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한 역사가 있다. 농작물의 병해는 역사를 바꿀 수 있다.
인간은 농경을 시작하면서부터 식물의 병충해 및 잡초와 싸워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완벽한 살균제는 없다. 살균효과가 우수하면 농작물에 약해가 난다든지, 인축(人畜)에 害가 있거나 환경을 심히 오염시킨다든지 하여 활용가치가 없는 경우가 많다. 우리 나라에 지금 농작물 병해방제용으로 등록된 농약은 대략 340 품목이 되고, 친환경 자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도 수십 종은 될 것이다.
농약품목을 등록하려면 살균제는 방제가가 70% 이상은 되어야 하고 약해가 없어야 한다. 이런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기는 쉽지 않다. 우리 나라 농작물에 큰 피해를 입히는 주요 병해는 벼 도열병, 문고병, 모 잘록병, 고추/감자 등의 역병, 오이/참외 등 호로과의 흰가루병, 노균병, 복숭아/자두 등 핵과류의 세균성구멍병, 잿빛 곰팡이병, 포도/사과/배 등의 탄저병, 적성병, 부란병, 대추의 빗자루병, 담배/오이의 모자이크 바이러스병 등이 큰 피해를 입힌다. 고추역병은 여러 가지 방제약이 있으나 그 효과가 신통치 않고 대추 빗자루병도 방제약으로 옥시테트라 사이크린이 등록되어 있으나 수관 주사제로서 주사액이 주입될 때만 균이 활동을 중지할 뿐 살균력은 없다. 인축에 기생하는 Virus는 특효약이 없듯이, 식물에 기생하는 바이러스나 미코플라즈마에 대해서도 특효약이 없다.
본 발명자는 다양한 식물병에 광범위하게 효과가 있으며 약해가 적고 인간에게도 독성이 없고 환경에도 안전한 물질을 찾던 중, 옛날부터 살균효과가 크고 독성물질과 반응을 잘하는 은(Ag)을 관심있게 연구하였다. 은(Ag)은 살균효과와 독성물질을 감별하기 위해 오랜 옛날부터 왕이나 귀족이 수저나 비녀, 식기, 장식품 등으로 사용하여 왔다. 마침 최근에 나노 실버가 살균력이 강하다는 것이 인정되어 냉장고, 에어컨디셔너 등의 가전제품과 붕대, 반창고 등의 의료용품, 기능성 섬유, 제지(벽지) 등에 살균, 청정제로써 응용되고 있어 농업분야에도 활용하고자 연구를 하던 중, 전술한 세균성병, 진균에 의한 병, 미코플라즈마 등에 효과가 인정되고 특히 사과 부란병, 고추 역병, 벼 문고병, 복숭아 세균성 구멍병, 귤 잿빛 곰팡이병, 배 적성병 등에 효과가 탁월함을 발견하게 되었다.
농작물의 병은 작물별 병균의 종류에 따라 약제의 제형(製形) 살포방법, 살포시기, 살포농도 약량에 따라 약효가 천차만별이므로 가장 적절한 대상과 조건을 규명하여야 한다. 먼저 약제의 성질과 대상작물에 따라 제형을 결정하고 시제품을 제조하여, 실내에서 병균별로 약효여부를 스크린 테스트 하여야 한다. 스크린 테스트에서 약효가 인정되는 병균에 대하여 포장시험을 해야 하며 포장시험은 대상작물과 약의 살포시기, 살포농도, 살포약량 등을 결정해야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예방 또는 치유가 가능한 병을 일부 찾아내고 적용할 수 있는 대상을 광범위하게 계속적으로 연구를 한 결과, 나노 실버의 살균 능력에 주목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나노 실버 제제를 이용하여 농작물의 병해를 방제하는 것이다. 나노 실버는 은의 표면적을 극대화시킨 2~5nm의 초미립자로서 이온화되어 액체 속에서 콜로이드 상태로 부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허 제425976호의 발명자가 제공한 나노 실버 0.685%액 (6,850 ppm) 또는, 순은을 나노분쇄기로 분쇄하여 얻은 99.99% 나노 실버를 필요한 농도로 적절히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농작물용 살균제는 나노 실버를 제제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나노 실버 제제는 벼문고병, 사과부란병, 고추역병, 탄저병, 배 붉은별 무늬병, 복숭아 세균성 구멍병 방제에 효과가 있었다. 대추 빗자루병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300ppm 주사에서 약해가 심하였고 20ppm에서는 약해를 발견할 수가 없었다.
나노 실버 제제의 제조
나노 실버 6,850ppm의 액상원료를 사용하거나, 99.99% 순도의 고체 나노 실버를 사용하여, 각종 제형의 나노 실버 살균제 제제를 제조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각종 성분을 혼합하는데 있어서 특별한 제한 사항은 없다. 액제 이외에도 작물과 사용용도 및 다른 약제와 혼합 등에 따라 수화제, 액상수화제, 유제, 분제, 도포제, 입제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가능한 제형 및 그의 제조방법을 다음에 요약하였다.
① 수화제는 분말상태(325mesh에 98%이상 통과)로 물에 희석하였을 때 현탁되는 제제로서 원료는 순은을 나노 분쇄기로 분쇄하여 얻은 99.99% 순도의 나노 실버 분말 0.1~20% 바람직하게는 1~10%과 화이트 카본 5~60%, 바람직하게는 10~30%, 카올린 5~80%, 바람직하게는 20~70% 및 계면활성제 1~10%, 바람직하게는 2~5%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구체예로서 이하의 실시예 3에 제제가 수화제이며, 여기서, 계면활성제는 SDS와 WP 100((주) 유성화연테크)의 2:1 혼합제이고, 화이트 카본은 로디아 코푸랑(주)의 제품을, 카올린은 성산화학 제품을 사용하였다.
② 액제는 액상으로 물에 희석하였을 때 완전히 용해되는 제제로서 원료는 나노 실버 0.685% 수용액을 0.1~95%, 바람직하게는 50~95%, 계면활성제는 1~30%, 바람직하게는 5~10%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구체예로서 이하의 실시예 1, 4, 및 6의 제제가 액제 형태이며, 이들 실시예에서 사용된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주) 유성화연테크) 제품이었다.
③ 액상수화제는 겔상의 점도가 높은 액체로서 물에 희석하였을 때 현탁되는 제품으로서 원료는 나노 실버 0.685% 수용액 0.1~95%, 바람직하게는 50~80%, 잔탄검 1~10% 바람직하게는 2~5%, 화이트 카본 2~60% 바람직하게는 5~20%, 카올린 5~60% 바람직하게는 10~20%, 계면활성제는 1~10%, 바람직하게는 2~5%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구체예로서 이하의 실시예 2의 제제가 액상수화제 형태이며, 여기서 사용된 계면활성제는 SDS와 WP 100((주) 유성화연테크)의 2:1 혼합제였다.
④ 유제는 유탁액으로 물에 희석하였을 때 우유빛으로 되는 제품으로서 원료는 나노 실버 0.68% 수용액 1~60% 바람직하게는 20~50%, 밀랍 또는 파라핀 10~60% 바람직하게는 30~40%, 유화제 5~25% 바람직하게는 10~15%, 나머지는 물을 가해 제조한다. 구체예로서 이하의 실시예 5의 제제가 유제이며, 여기서 유화제로는 CR-1025we((주) 유성화연테크) 제품을 사용하였다.
⑤ 6-BA 혼합제는 생장촉진 물질인 6-BA(싸이토키닌)와 혼합하여 예컨대 콩나물 생장촉진과 부패방지를 할 수 있는 제품이다. 나노 실버 0.685% 수용액과 6-BA 0.1~10% 바람직하게는 0.2~0.5%, 에탄올은 6-BA 용제로서 5~10% 나머지는 물을 가해 제조할 수 있다.
생장촉진물질로서 6-BA 대신 인돌 아세트아미드, 인돌 아세트산, 지베렐린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 이하의 실시예 4의 제품이 6-BA 혼합제인 액제이다.
⑥ 대추나무 빗자루병균은 미코플라즈마 ((Candidatus phytoplasma)로 바이러스와 유사한 균으로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아직 특효약은 없고 주사제가 있으나 살균은 되지 않고 수관(樹管)주입시 일시활동을 정지시키는 역할 밖에 없다.
전정시 나노 실버 300ppm액으로 전정기구를 소독하면 예방이 되고, 수관주입시 300ppm에서는 약해가 심하였으며 20ppm에서 효과가 인정되었다.
일반 농작물에 살포할 때는 액제로 제조하는 것이 편리하고 전정가위 소독키트는 허리에 매달아 사용하기 좋게 제조한 용기에 스폰지 또는 제오라이트(왕표화학, CEC 120me/100g 이상) 또는 오아시스(절화꽃꽂이용) 등 흡수성이 강한 재료를 80% 정도 충진하고 나노 실버 액제 300ppm 희석액을 포화상태로 넉넉하게 주입하여 가위의 날을 거기에 삽입토록 하여 소독한다.
종자소독제는 종자를 액에 침지하거나 분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저장과일 소독 및 저장기간 연장용으로는 밀랍을 유화하고 나노 실버를 혼합한 액상수화제 또는 겔상의 유제로 제조하여 사용한다.
작물에 병균이 감염되면 식물체가 약해지기 쉽기 때문에 영양물질을 함께 공급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의 영양원은 질소, 인산, 칼리, 칼슘, 유황, 규소, 마그네슘, 철, 망간, 붕소, 아연, 구리, 몰리브덴, 염소 등으로 질소, 인산, 칼리 처럼 다량흡수 하는 원소와 붕소, 구리처럼 미량 흡수하는 원소가 있으나 식물의 생육에는 꼭 필요한 원소이다.
병균에 의해 뿌리의 흡수력이 약해지거나 대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엽면 시비 등으로 양분을 공급해주어야 한다. 나노 실버 액에 식물에 필요한 원소를 혼합하여 동시에 작물에 처리하므로 병해의 방제와 동시에 작물의 생육도 촉진시켜 병해를 쉽게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처방이 될 것이다. 이러한 원소들은 음이온염 또는 양이온염으로 존재할 수 있다.
나노 실버는 0.001~99%의 액상 또는 분상을 사용할 수는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0.1 ~ 5% 를 함유하는 액을 20~300ppm으로 희석하여 사용한다.
나노 실버 제품의 함량과 살포농도(희석농도)를 한정하는 이유는 상기 범위에서 가장 좋은 효과를 얻기 때문이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모든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1>
원료명 혼합비율 (%) 1 kg 생산시 원단위 비고
나노 실버 (0.685%) 88 880 0.6% (6000 ppm)액 200배 희석 30 ppm
계면활성제 5 50
증류수 7 70
100 1,000
상기 표 1의 원단위와 같이 투입하여 0.6% (6000ppm) 액제 1kg을 생산하였다.
<실시예 2>
원료명 혼합비율 (%) 1 kg 생산시 원단위 비고
NS (0.685 %) 74 740 0.5% (5000ppm) 166배 희석 30ppm
계면활성제 5 50
잔탄검 2 20
화이트 카본 5 50
카올린 14 140
100 1000
상기 표 2의 원단위와 같이 투입하여 0.5% (5000ppm) 액상수화제 1kg을 생산하였다.
<실시예 3>
원료명 혼합비율 (%) 1 kg 생산시 원단위 비고
NS (99.99 %) 3 30 1000배 희석 30ppm
계면활성제 10 100
화이트 카본 22 220
카올린 65 650
100 1000
상기 표 3의 원단위와 같이 투입하고 골고루 혼합하여 3% 수화제 1kg을 생산하였다.
<실시예 4>
원료명 혼합비율 (%) 1 kg 생산시 원단위 비고
NS (0.685%) 74 740 0.5% 액 (5000ppm) 0.31%
6-BA (97%) 0.32 3.2
에탄올 5 50
나머지 247
100 1000
상기 표 4의 원단위와 같이 투입하고 골고루 용해 혼합하여 액제 1 kg을 생산하였다.
<실시예 5>
원료명 혼합비율 (%) 1 kg 생산시 원단위 비고
NS (0.685%) 44 440 0.3% (3000ppm) 액 100 배 희석시 30ppm
밀랍 35 350
유화제 15 150
6 60
100 1000
상기 표 5의 원단위와 같이 밀랍과 유화제를 가열하여 용융하고 물을 가하여 유화시킨 후, 나노 실버 액을 가하여 호모게나이저로 혼합분쇄하여 겔상의 유제 제품을 1 kg 생산하였다.
<실시예 6>
원료명 혼합비율 (%) 1 kg 생산시 원단위 비고
NS (0.685%) 74 740 0.5% 액 (5,000ppm) N : 2.3 K : 3.0 Ca : 1.2 B : 0.1 Zn : 0.2
요소 (N: 4.6%) 5 50
염화카리 (K: 60%) 5 50
구연산칼슘 (Ca: 24%) 5 50
붕산 (B: 21%) 0.5 5
황산아연 (Zn: 40.5%) 0.5 5
10 100
100 1,000
상기 표 6의 원단위와 같이 투입하고 용해 혼합하여 액제 1kg을 생산하였다.
<시험예 1>
○ 도열병, 문고병 : 벼농사에 가장 피해가 큰 병으로 방제약제는 많은 종류가 개발되어 있으나 독성과 잔류성이 있는 농약들이다. 본 발명자는 나노 실버를 이용하여 방제하고자 한다.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약제가 모두 효과가 있을 것이나 본 시험에는 실시예 1의 약제를 나노 실버 30ppm과 80ppm이 되게 희석하여 각각 도열병균과 문고병균을 접종하여 10일간 배양한 후 표 7 및 표 8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벼 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에 대한 효과시험 (단위:ppm, %)
무처리 10 30 80 비고
균총의 직경 76.17 41.89 23.1 22.9
억제율 45.0 69.7 69.9
결과 : 벼 잎집무늬마름병균에 대하여 30ppm에서 무처리에 비해 약 70%의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음 (도 1).
벼 도열병균(Magnaporthe grisea)에 대한 효과시험 (단위:ppm, %)
무처리 10 30 80 비고
균총의 직경 83.24 55.11 34.18 25.97
억제율 33.8 58.9 68.8
결과 : 벼 도열병균에 대하여 80ppm 처리하여 10일간 배양 후 무처리에 비하여 약 69%의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음(도 2).
<시험예 2>
○ 부란병은 사과나무에 주로 발생하는 병으로 가지나 줄기에 발생하며 3~5 월에 최대 발생한다. 병은 껍질이 갈색으로 되어 약간 부풀어 오르고 쉽게 벗겨지며 알콜 냄새가 난다. 병이 진전되면 까만 병자각이 생기고 병자각에서 노란 포자퇴가 나오며 비, 바람에 의해 전염된다. 이 병원균은 침입력이 약하여 정상적인 표피에는 침입하지 못하고 동해, 전정, 해충가식부 등 상처를 통하여 침입한다. 본 시험은 부란병균의 증식억제 효과시험으로 실시예 1의 약제를 배지에 10, 30, 80ppm으로 처리하여 부란병균을 접종하고 10일간 배양한 후 표 9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약제를 30ppm 농도로 월동 후에 살포하고 이미 발병된 부위는 80ppm으로 희석하여 도포해 주면 완전 방제가 가능하다.
사과 부란병균(Valsa ceratosperma)에 대한 효과시험 (단위:ppm, %)
무처리 10 30 80 비고
균총의 직경 59.65 55.08 17.05 16.18
억제율 4.5 71.4 72.9
결과 : 사과 부란병균에 대하여 30ppm과 80ppm에서 무처리에 비해 약 72%의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음(도 3).
<시험예 3>
○ 역병은 밤나무, 무화과, 오이, 호박, 토마토, 피망, 고추, 국화, 딸기 등에 발생하며 특히 고추에 피해가 크다. 잎, 줄기, 과실, 뿌리에 발생하고 땅 근처 줄기에 암갈색 수침상의 병반이 생기고 진전되면 상부는 위축되어 고사한다. 고추 역병은 피해가 커 밭 전체가 말라죽는 경우가 많다.
실시예 2의 제제를 30ppm 으로 희석하여 토양에 관주하거나 줄기에 살포하면 효과가 있다. 시험 결과를 표 10 및 표 11에 표시하였다.
국화 역병균(Phytophthora cactorum)에 대한 효과시험 (단위:ppm, %)
무처리 10 30 80 비고
균총의 직경 65.89 54.68 18.91 18.05
억제율 17.0 71.3 72.6
결과 : 국화 역병균에 대하여 80ppm에서 무처리에 비해 약 73%의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음(도 4).
고추 역병균(Phytophthora capsici)에 대한 효과시험 (단위:ppm, %)
무처리 10 30 80 비고
균총의 직경 84.13 83.96 66.18 38.86
억제율 0.2 21.3 53.8
결과 : 고추 역병균에 대하여 80ppm으로 처리하여 10일간 배양 후 무처리에 비해 약 54%의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음(도 5 참조).
<시험예 4>
○ 탄저병
모든 과실과 열매, 채소에 발생하며 잎, 줄기, 과실에 발생한다. 감염되면 잎에는 부정형 암갈색 반점이 생기고 과실에 발병하면 담갈색 내지 흑갈색으로 변하고 나중에는 검게 썩는다. 전염은 공기 보다 빗물에 의해 전염된다.
모든 과실에 큰 피해를 주는 병이다. 실시예 1의 제제를 5월 상순부터 수 회 살포하면 방제할 수 있다. 가지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다음 표 12에 나타내었다.
가지 탄저병(Colletotrichum circinans)에 대한 효과시험 (단위:ppm, %)
무처리 10 30 80 비고
균총의 직경 33.27 28.31 12.25 11.09
억제율 14.9 63.2 66.7
결과 : 가지 탄저병균에 대하여 80ppm에서 무처리에 비해 약 67%의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음(도 6 참조).
<시험예 5>
○ 붉은별무늬병
향나무에서 생긴 동포자퇴가 바람에 의해 전염되어 4월 하순~5월 중순 어린 잎에 등황색 반점이 나타나게 된다. 잎과 과실에 발생하며 배나무에 피해가 큰 병이다.
방제약제는 많은 종류가 등록되어 있다. 실시예 1의 나노 실버 제제를 30ppm으로 희석하여 4월 중순부터 5월 상순까지 10일 간격으로 수회 살포하면 방제가 될 수 있다. 배나무 적성병균에 대해 실험한 결과를 다음 표 13에 나타내었다.
배나무 적성병균(Gymnosporangium haraeanum)에 대한 효과시험 (단위:ppm, %)
무처리 10 30 80 비고
균총의 직경 48.55 43.84 16.12 15.56
억제율 9.7 66.8 67.9
결과 : 배나무 적성병균에 대하여 80ppm에서 무처리에 비해 약 67%의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음.
<시험예6>
○ 세균성 구멍병
핵과류의 열매와 잎, 가지에 많이 발생하고 잎에는 수침상 반점이 생기고 갈변하여 구멍이 뚫린다. 열매에는 수침반점이 생겨 점차 갈색으로 변하고 움푹 파인다.
병원균은 세균으로 껍질조직의 세포가 파괴된 곳에서 월동한다. 비나 이슬에 녹아 바람에 의해 전염된다. 실시예 1의 제제를 30ppm으로 희석하여 5월 하순부터 수회 살포하면 방제가 될 수 있다. 복숭아 세균성 구멍병균에 대해 실험한 결과를 다음 표 14에 나타내었다.
복숭아 세균성구멍병균(Erwinia campestris)에 대한 효과시험 (단위:ppm, %)
무처리 10 30 80 비고
균총의 직경 46.23 39.97 13.30 13.38
억제율 13.5 71.2 71.5
결과 : 복숭아 세균성구멍병균에 대하여 30ppm과 80ppm에서 무처리에 비해 약 71%의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음.
<시험예7>
○ 잿빛곰팡이병
잿빛곰팡이병은 딸기, 감귤에 피해가 큰 병으로 특히 감귤을 수확 후 저장 중에 부패시키는 병이다.
수확 직전 또는 수확 후에 실시예 6의 겔상 액제를 100배 희석하여 과실에 살포한 결과 저장 중 잿빛곰팡이 병과 탄저병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저장 중 수분증발도 억제되어 저장기간을 연장할 수 있었다. 잿빛 곰팡이병균에 대해 실험한 결과를 다음 표 15에 나타내었다. (도 7 참조)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에 대한 효과시험 (단위:ppm, %)
무처리 10 30 80 비고
균총의 직경 62.88 51.89 17.54 17.62
억제율 17.5 72.1 72.0
결과 : 잿빛곰팡이병균에 대하여 30ppm과 80ppm에서 무처리에 비해 약 72%의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으며, 감귤에 살포하여 3주보관(실온)한 결과 무처리는 부패 또는 변색되거나 물러서 상품가치가 없어지는 반면 처리한 것은 90%이상이 완전하였다(도 6).
<시험예 8>
○ 전정가위와 톱 소독
사과, 배, 포도, 복숭아, 대추 나무는 세균, 바이러스, 미코플라즈마 등 전염성 병이 전지시 가위나 톱으로 옮길 수 있는 확률이 크다.
따라서 전정나무를 옮겨 갈 때는 반드시 실시예 1의 액을 300ppm 으로 희석한 액에 담긴 키트에 소독 후 사용하여야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결과를 표 16ㅊ에 나타내었다.
전정가위 소독시험
무처리 300ppm 처리 비고
균수 약 106 12.0
살균율(%) 99.9
Erwinia Campestris 균을 희석한 액에 전지가위 두 개를 날 부분만 담그어 접종하고 무처리는 그대로 살균된 물에 100㎖로 흘려씻고 한 개는 소독키트에 15분간 담근 후 살균된 물 100㎖로 흘려씻어 ㎖당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99.9% 살균되었음.
<시험예9>
○ 종자소독
종자전염되는 병해를 방제하기 위하여 실시예 4의 약을 30~50 ppm 으로 희석하여 파종 전 침지하거나 실시예 3의 수화제를 탈크나 카오린 등 증량제로 1000배 희석하여 분의하여 파종하면 종자전염병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를 표 17에 나타내었다.
콩나물콩 종자소독 효과시험 (단위:g, %)
총생체중 증수율 부패 및 미발아 방제가 비고
무처리 2,178 232
처 리 2,729 25.3 68 70.7
결과 : 콩나물콩 750g을 실시예 4 액제로 종자소독 하여 재배한 결과 무처리에 비하여 70.7%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며, 25.3% 증수가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농약이 아닌 친환경적인 나노 실버를 이용하는 것으로 각종 난방제병을 쉽게 방제할 수 있다. 또한, 저렴한 가격으로 농가에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독성이 거의 없으면서도, 약효지속기간이 길고, 내성이 생기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농약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농약중독이나 농약잔류로 인한 주변 환경이나, 농민, 소비자에 피해가 없다. 뿐만 아니라, 외국으로부터 수입되는 해당 농약원제를 대체할 수 있어 외화를 절약할 수 있다.

Claims (10)

  1. 활성 성분으로서 나노 실버 0.1 내지 30 중량%를 함유하는 농작물 병해방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농작물 병해가 도열병, 문고병, 부란병, 역병, 탄저병, 붉은별 무늬병, 또는 세균성 구멍병인 농작물 병해 방제제.
  3. 활성 성분으로서 나노 실버 0.1 내지 30 중량%와 6-BA, 인돌 아세트아미드, 인돌 아세트산, 지베렐린 중에서 선택된 생장 촉진 물질 0.1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는 농작물 종자소독제.
  4. 제3항에 있어서, 농작물이 콩나물인 종자 소독제.
  5. 활성 성분으로서 나노 실버 0.1 내지 30 중량%를 함유하는 저장 농산물의 부패방지제.
  6. 활성 성분으로서 나노 실버 0.1 내지 30 중량%를 함유하는 원예 기구용 소독제.
  7. 제6항에 있어서, 원예 기구가 전정 가위 또는 적과 가위인 소독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시 20 내지 300 ppm으로 희석하여 사용되는 것이 특징인 제제.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질소, 인산, 칼리, 칼슘, 유황, 규소, 마그네슘, 철, 망간, 붕소, 아연, 구리, 몰리브덴, 염소 중에서 선택된 식물 영양 물질을 추가로 함유하는 제제.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 0.685% 농도의 나노 실버 88 중량%, 계면활성제 5 중량%, 및 증류수 7 중량%로 이루어진 0.6% 나노 실버 액제;
    - 0.685% 농도의 나노 실버 74 중량%, 계면활성제 5 중량%, 잔탄검 2 중량%, 화이트 카본 5 중량% 및 카올린 14 중량%로 이루어진 0.5% 나노 실버 액상수화제.
    - 99.99% 농도의 나노 실버 3 중량%, 계면활성제 10 중량%, 화이트 카본 22 중량%, 및 카올린 65 중량%로 이루어진 3% 나노 실버 수화제.
    - 0.685% 농도의 나노 실버 74 중량%, 6-BA 0.32 중량%, 에탄올 5 중량% 및 잔량의 물로 이루어진 0.5% 나노 실버 액제;
    - 0.685% 농도의 나노 실버 44 중량%, 밀랍 35 중량%, 유화제 15 중량%, 및 물 6 중량%로 이루어진 0.3% 나노 실버 유제; 및
    - 0.685% 농도의 나노 실버 74 중량%, 요소(N:4.6%) 5 중량%, 염화카리(K: 60%) 5 중량%, 구연산칼슘 (Ca:24%) 5 중량%, 붕산 (B:21%) 0.5 중량%, 황산아연 (Zn: 40.5%) 0.5 중량% 및 물 10%로 이루어진 0.5% 나노 실버 액제.
KR1020050037282A 2005-05-03 2005-05-03 나노 실버를 이용한 농작물 살균제 및 그의 사용 방법 KR20060115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282A KR20060115017A (ko) 2005-05-03 2005-05-03 나노 실버를 이용한 농작물 살균제 및 그의 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282A KR20060115017A (ko) 2005-05-03 2005-05-03 나노 실버를 이용한 농작물 살균제 및 그의 사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017A true KR20060115017A (ko) 2006-11-08

Family

ID=3765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282A KR20060115017A (ko) 2005-05-03 2005-05-03 나노 실버를 이용한 농작물 살균제 및 그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50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289A (ko) 2019-12-09 2021-06-17 배주영 소독제 및 소독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289A (ko) 2019-12-09 2021-06-17 배주영 소독제 및 소독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30797B (zh) 一种防治黄瓜真菌病害的方法
CN101904338A (zh) 一种防治柑橘溃疡病的复方药剂
EP3646730A1 (en) Miticide and application thereof
CN104430357A (zh) 一种含有丁香菌酯及起协同作用的杀菌剂的组合物
CN106069391A (zh) 一种桃树流胶病的防治方法
KR20060015600A (ko) 항균ㆍ항바이러스 조성물
CN102696652A (zh) 一种防治水稻稻瘟病的杀菌组合物
KR101253712B1 (ko) 식물병원균 예방 및 방제용 키토산과 키토올리고당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병원균 방제 및 식물 생육 촉진 방법
CN109792991A (zh) 一种含ε-聚赖氨酸和氨基寡糖素的杀菌剂
CN113749130B (zh) 一种甘蔗生物种茎包衣剂及其制备方法
EP3357340B1 (en) An ecological agricultural soil disinfectant composition comprising a mixture of capsicum extract, marigold extract and garlic extract
KR20060115017A (ko) 나노 실버를 이용한 농작물 살균제 및 그의 사용 방법
WO2019012541A1 (en) MICROBIAL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385557B1 (ko) 식물병원균 예방 및 방제용 키토산과 키토올리고당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원균 방제 및 식물생육촉진 방법
CN105053023A (zh) 一种采用微生物的种子处理剂
CN105360146A (zh) 一种含吡唑醚菌酯和速克灵的杀菌组合物
CN105475313A (zh) 一种含吡唑醚菌酯和菌核净的杀菌组合物
KR101817513B1 (ko)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CN110463709A (zh) 组合物、制剂及其应用
CN103210937A (zh) 一种含有丁香菌酯与其它杀菌剂的组合物
JP2009019011A (ja) うどんこ病防除剤及び防除方法
CN108651458A (zh) 一种含香芹酚和己唑醇的杀菌组合物
KR100933724B1 (ko) 화훼류 선도 유지 및 병 방제용 코팅 전처리제
KR20020001902A (ko) 고분자 키틴, 키토산을 이용한 감귤 병충해 방제방법
US20230124125A1 (en) Protected plants and methods of obtaining th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