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4466A - 이기종 망 환경에서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으로부터 셀룰러망으로 음성 데이터 핸드오프 방법 - Google Patents

이기종 망 환경에서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으로부터 셀룰러망으로 음성 데이터 핸드오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4466A
KR20060114466A KR1020050036408A KR20050036408A KR20060114466A KR 20060114466 A KR20060114466 A KR 20060114466A KR 1020050036408 A KR1020050036408 A KR 1020050036408A KR 20050036408 A KR20050036408 A KR 20050036408A KR 20060114466 A KR20060114466 A KR 20060114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ellular network
mobile terminal
handoff
portable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동건
백혜원
문상준
표종범
정흥철
정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6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4466A/ko
Priority to US11/413,195 priority patent/US20060246903A1/en
Publication of KR20060114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4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망 환경에서 휴대인터넷/무선랜 망내에 위치하는 이동단말1과 휴대인터넷/무선랜 망 또는 셀룰러 망내에 위치하는 이동단말2 중 상기 이동단말1이 셀룰러 망으로 음성 데이터 핸드오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1이 상기 셀룰러 망 진입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셀룰러 망에 위치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1이 상기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의 소정의 상위노드로 핸드오프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의 소정의 상위노드가 상기 셀룰러 망의 소정의 상위노드를 통해 상기 셀룰러 망과 상기 이동단말1의 회선 음성 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핸드오프, 셀룰러, 휴대인터넷, WiBro, WLAN

Description

이기종 망 환경에서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으로부터 셀룰러 망으로 음성 데이터 핸드오프 방법{VOICE DATA HANDOFF METHOD FROM WIBRO/WLAN NETWORK TO CELLULAR NETWORK IN HETEROGENEOUS NETWORKS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망과 WiBro 망에서 연속적인 3G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WiBro 망에 있는 이동단말(MT1)과 이동단말2(MT2)가 음성통화를 진행하던 중에 상기 이동단말1이 셀룰러 망으로 핸드오프를 시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상황에서 WiBro 망으로부터 셀룰러 망으로 MT1이 핸드오프할 때의 호 플로우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MT2가 핸드오프하기 이전과 이후의 음성 데이터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라 WiBro 망에 있는 MT1이 셀룰러망에 있는 MT2와 음성통화 중에 상기 MT1이 셀룰러 망으로 핸드오프를 시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상황에서 WiBro 망으 로부터 셀룰러 망으로 이동단말이 핸드오프할 때의 호 플로우
도 7a 및 7b는 도 7a와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MT1이 핸드오프하기 이전과 이후의 음성 데이터 경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이기종 망 환경에서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으로부터 셀룰러 망으로 음성 데이터 핸드오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이하 "IMS"라 한다.) 기반의 이기종 망(Heterogeneous Network) 환경 중 휴대인터넷(이하 "WiBro"라 한다.) 망 또는 무선랜(이하 "WLAN"라 한다.)으로부터 셀룰러 망으로 이동하는 경우 3세대(이하 "3G"라 한다.)의 음성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핸드오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기종 망 중 셀룰러 망(CDMA 2000 1X 시스템)과 WiBro 망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셀룰러 망 중 IMS는 광대역 통합망에서 유무선 통합, 음성ㆍ데이터 통합, 통신ㆍ방송 융합 등의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다. IMS 이용자는 세션 기반 메시지를 통해 그림, 비디오 클립, 사운드 클립 등의 멀티미디어 타입의 컨텐츠를 교환할 수 있다. 예컨대, 세션 설정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이하 "SIP"라 한다.) 메시지가 이에 해당한다.
IMS 서비스를 위한 핵심망(Core Network) 서브시스템의 중요한 기능 요소로는 호 세션 제어 기능(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이하 "CSCF"라 한다.)과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이하 "HSS"라 한다.),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 기능 (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이하 "MGCF"라 한다.) 및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미디어 게이트웨이(IMS-Media Gateway, 이하 "IMS-MGW"라 한다.) 등이 있다. CSCF는 호 및 세션 처리에 관련한 기능을 수행하며 그 역할에 따라 프록시 CSCF(Proxy CSCF, 이하"P-CSCF"라 한다.), 통합 CSCF(Integrating CSCF, 이하 "I-CSCF"라 한다.), 서빙 CSCF(Serving CSCF, 이하 "S-CSCF"라 한다.)로 나뉜다.
상기 P-CSCF는 단말이 IMS 서비스를 받기 위해 망에 처음 접속할 때 관문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이며, 프록시(Proxy) 및 유저 에이전트(User Agent) 기능을 수행한다. 기본적으로 단말과 망 사이의 SIP 메시지를 중계한다. I-CSCF는 망내의 가입자와 연결하기 위해 진입하는 모든 호에 대해 접점 역할을 수행하며, 착신 가입자의 위치 파악을 위해 HSS를 조회하여 호를 라우팅한다. 또한, I-CSCF는 타 IMS 망과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보안을 위해 망내의 토폴로지(Topology)를 숨기는 방화벽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상기 S-CSCF는 등록할 때 레지스터(Register) 기능과 이에 필요한 각종 인증 기능을 수행한다. S-CSCF는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응용 서버들과 직접 연동하며 트리거링 정보에 기반하여 호를 라우팅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메커니즘도 수행한다.
상기 MGCF는 IMS 망과 PSTN/PLMN(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Plain Land Mobile Network) 망과의 접점에 위치하여 호를 연동시켜 주는 기능을 담당하며, 이에 따라 SIP과 ISUP(ISDN User Part) 시그널링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MGCF는 호 처리를 위해 IMS-MGW 내의 자원을 관리,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MGCF는 별도의 네트워크 구성요소로서 MGC(Media Gateway Controller)라는 명칭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IMS-MGW는 IMS 망내에서 사용되는 MGW로서 PSTN이나 PLMN 망과 연동하기 위해 IP 패킷 미디어 데이터를 회선 교환망의 베어러 상에 전송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트랜스코딩(Transcoding), 에코 말소(Echo Cancelling)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HSS는 기존 HLR(Home Location Resister)의 진화된 형태이며, 이는 기존의 HLR 기능에 AuC(Authentication Center) 기능을 합친 것이다. HSS는 사용자 번호 관련 정보와 위치 정보 및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 등을 관리하는 가입자의 마스터 데이터 베이스이다.
또한, 브레이크아웃 게이트웨이 제어 기능(Breakout Gateway Control Function, 이하 "BGCF"라 한다.)은 IMS로부터 PSTN 또는 PLMN으로 나가는 호에 대해 S-CSCF로부터 호를 수신하여 적절한 MGCF를 선택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WiBro 망의 핵심 기능요소로는 기지국(Radio Access Station, 이하 "RAS"라 한다)과 제어국(Access Control Router, 이하 "ACR"라 한다.) 등이 있다. 상기 RAS는 휴대인터넷의 무선접속 기능과 무선자원 관리 및 제어 기능과 핸드오프 지원 기능 등을 제공한다. 상기 ACR은 IP 라우팅 및 이동성 관리기능 등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기종 망간의 핸드오프(Vertical Handoff) 과정에서 이슈가 되는 것은 핸드오프 시간과 핸드오프로 인한 패킷 손실양이다. 그러므로 이기종 망간의 효율적인 연동 방안은 핸드오프 시간과 패킷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지금까지 이기종 망 환경에서 음성서비스를 사용 중인 사용자가 휴대인터넷 또는 무선랜으로부터 셀룰러 망으로 이동할 경우 필요한 핸드오프 절차에 관해 정의된 규격 등이 없어 이기종 망간의 신속한 핸드오프 수행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기종 망 환경에서 이동단말이 휴대인터넷 또는 무선랜으로부터 셀룰러 영역으로 이동할 때 끊김이 없는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핸드오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방법은, 이기종 망 환경에서 휴대인터넷/무선랜 망내에 위치하는 이동단말1과 이동단말2 중 상기 이동단말1이 셀룰러 망으로 음성 데이터 핸드오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1이 상기 셀룰러 망 진입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셀룰러 망에 위치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1이 상기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의 소정의 상위노드로 핸드오프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의 소정의 상위노드가 상기 셀룰러 망의 소정의 상위노드를 통해 상기 셀룰러 망과 상기 이동단말1의 회선 음성 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이기종 망 환경에서 휴대인터넷/무선랜 망내에 위치하는 이동단말1과 셀룰러 망내에 위치하는 이동단말2 중 상기 이동단말1이 셀룰러 망으로 음성 데이터 핸드오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1이 상기 셀룰러 망 진입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셀룰러 망에 위치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1이 상기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의 소정의 상위노드로 핸드오프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의 소정의 상위노드가 상기 셀룰러 망의 소정의 상위노드를 통해 상기 셀룰러 망과 상기 이동단말1의 회선 음성 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 표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었으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망과 WiBro 망에서 연속적인 3G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WiBro 망(110)은 셀룰러 망(120)의 내부중 일부에 위치하여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듀얼밴드 듀얼모드(Dual Band Dual Mode, 이하 "DBDM"이라 한다.) 이동단말(100)이 3G 서비스 중에 특정 핫스팟(WiBro 영역)에 진입한 경우에는 WiBro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상기 WiBro 망(110)과 셀룰러 망(120)의 셀들은 경우에 따라 양자 모두에 대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중첩 구성을 취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서비스만을 지원하는 개별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상기 셀의 구체적인 기술특징은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적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DBDM 이동단말, S-CSCF, IMS-MGC 및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이하 "MSC"라 한다.)의 일반적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상기 DBDM 단말은 WiBro영역의 WiBro 시그널의 수신 세기가 일정 문턱값 이하로 떨어지면 CDMA 모뎀 구동한다(WiBro 및 CDMA 이중 활성화 상태). 망 경계영역에서 있는 상기 DBDM 이동단말은 이중 활성화 상태에서 3G 셀룰러 망에 위치등록 한다. 상기 DBDM 이동단말은 200 OK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정보를 추출하여 CDMA 모듈로 전달한다. 상기 DBDM 이동단말은 re-INVITE 메시지를 생성할 때 세션 ID, 타겟 셀 ID, 셀룰러 망으로의 핸드오프 지시자(Handoff Indicator) 등을 포함한다.
상기 S-CSCF는 핸드오프 지시자(Handoff Indicator)를 포함한 re-INVITE를 수신한 P-CSCF는 기존의 MT1과 MT2 세션 해제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IMS-MGC는 핸드오프 지시자(Handoff Indicator)를 포함한 re-INVITE를 수신하여 3G 셀룰러 망과의 호 설정을 위해 MT2와 새로운 세션을 설정한다. 핸드오프 지시자(Handoff Indicator)를 포함한 re-INVITE를 수신한 IMS-MGC는 IOS(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에서 정의한 MSC간 하드 핸드오프 절차의 서빙 MSC의 역할을 수행한다. IMS-MGC는 MT2과의 새로운 세션 설정이 끝나면 MSC로 FACDIR(FacilitiesDirective) 메시지를 전송한다. IMS-MGC는 FACDIR 메시지에서 채널정보를 추출하여 200 OK 메시지의 바디(Body)에 삽입한다.
상기 MSC은 IMS-MGC로부터 FACDIR를 수신하여 IOS에서 정의한 MSC간 하드 핸드오프 절차의 타겟 MSC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WiBro 망에 있는 이동단말(MT1)과 이동단말2(MT2)가 음성통화를 진행하던 중에 상기 이동단말1이 셀룰러 망으로 핸드오프를 시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DBDM 이동단말1(210, Mobile Terminal1 이하 "MT1"라 한다.)과 이동단말2(220, Mobile Terminal2 이하 "MT2"라 한다.)는 모두 WiBro 망(230)에서 서로 VoIP(Voice over IP)로 통화중인 상태이고, MT1(210)이 WiBro 망(230)으로부터 셀룰러 망(240)으로 진입하기 위해 이동중인 상황을 가정한다. 또한 WiBro 망(230)은 WiBro 망(230)의 셀과 셀룰러 망(240)의 셀이 중첩됨을 가정한다. MT1은 WiBro 신호의 수신세기가 소정의 문턱값 이하로 떨어지면 CDMA 모뎀을 켜서 CDMA 정보를 수신한다. MT1은 수신한 CDMA 오버헤드 메시지(Overhead Message)에 WiBro 셀 존재를 알리는 지시자(indicator)가 없다면, 셀룰러 망만의 영역으로 진입하고 있음을 인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상황에서 WiBro 망으로부터 셀룰러 망으로 MT1이 핸드오프할 때의 호 플로우이다. 도 3에 나타낸 메시지들은 3GPP(3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 정의된 규격을 따르는 메시지를 사용함으로 각각의 메시지 정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301 내지 304 단계에서 WLAN/WiBro 신호세기가 특정 기간동안 소정의 문턱값 미만으로 감소할 때 MT1은 셀룰러 망으로 이동중임을 판단하여 CDMA 모뎀을 시동한다. MT1은 이중 활성화 상태에서 셀룰러 망에 위치등록을 수행한다.
305 단계에서 MT1은 현재 진행 중인 VoIP SIP 세션에 대하여 re-INVITE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re-INVITE 메시지 내에 현재 진행 중인 세션 ID(Session ID), 타겟 셀 ID(Target Cell ID), 셀룰러 망으로 핸드오프 중임을 알리는 지시자(Indicator) 등의 정보가 바디(Body)내의 소정의 필드에 포함된다. P-CSCF는 핸드오프 지시자를 가진 re-INVITE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에는 MT1과 MT2의 세션 해제(Network Initiated Session Release) 절차를 수행한다.
306 내지 308 단계에서 re-INVITE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MGC는 MT2와 새로운 세션을 설정한다.
309 단계에서 MGC는 타겟 셀 ID 망의 MSC로 핸드오프 절차를 시작하라는 FACDIR(FacilitiesDirective) 메시지를 전송한다. 310 내지 312 단계에서 FACDIR(FacilitiesDirective) 메시지를 수신한 MSC는 타겟 BSC로 핸드오프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 타겟 BSC는 타겟 BTS의 자원을 할당한 후 타겟 MSC로 핸드 오프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313 단계에서 MSC는 MGC로 FACDIR 메시지를 전송하여 핸드오프 준비가 되었음을 통지하며, 이때 타겟 셀의 채널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314 단계에서 FACDIR 메시지를 수신한 MGC는 MT1에게 핸드오프를 시작하라는 지시를 200 OK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며, 채널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315 단계에서 MT1 은 200 OK 에 대한 응답으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316 단계에서 MT1은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셀룰러 망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며, 핸드오프 절차가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타겟 BTS/BSC에게 전송한다. 317 단계에서 타겟 BSC는 타겟 MSC에게 핸드오프 절차가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318 단계에서 타겟 MSC는 이동단말까지의 음성 경로 설정이 완료되었다는 MSONCH(Mobile Station on Channel) 메시지를 MGC로 전송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MT2가 핸드오프하기 이전과 이후의 음성 데이터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MT2(420)가 셀룰러 망(440)으로 핸드오프하기 이전에 MT1(410)과 MT2(420)는 모두 WiBro 망(430)에 존재한다. 즉, MT1(410)과 MT2(420)는 WiBro 망(430)내에 위치하는 RAS(490) 및 ACR(485)을 통해 음성 데이터 경로가 설정된다. 이와 같은 설정된 음성 데이터 경로는 핸드오프 후에는 도 4b와 같이 음 성 데이터 경로가 형성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MT2(420)가 셀룰러 망(440)으로 핸드오프한 후에 MT1(410)과 MT2(420)간 음성 데이터 경로는 셀룰러 망(440)과 WiBro 망(430)을 관통하는 형태를 취한다. 즉, MT1(410)과 MT2(420)간의 음성 데이터 경로는 WiBro 망(430)내에 위치하는 MT1(410)을 시작으로 WiBro 망(430)의 구성요소인 RAS(490), ACR(485) 및 MGW(480)를 차례로 통과하여 셀룰러 망(440)의 구성요소인 교환국(450), 제어국(460), 기지국(470) 및 MT2(420) 순서로 설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라 WiBro 망에 있는 MT1이 셀룰러망에 있는 MT2와 음성통화 중에 상기 MT1이 셀룰러 망으로 핸드오프를 시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셀룰러 망과 WiBro 망의 사업자는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DBDM MT1(510)은 WiBro 망(530)내에 존재하고 MT2(520)는 셀룰러 망(540)에 존재하여 서로 이기종 망간에 통화중인 상태이며, MT1(510)이 WiBro 망(530)으로부터 셀룰러 망(540)으로 진입하기 위해 이동중인 상황을 가정한다. 또한 WiBro 망(530)은 WiBro 망(530)의 셀과 셀룰러 망(540)의 셀이 중첩됨을 가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상황에서 WiBro 망으로부터 셀룰러 망으로 이동단말이 핸드오프할 때의 호 플로우이다. 도 6에 나타낸 메시지들은 3GPP(3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 정의된 규격을 따르는 메시지를 사용함으로 각각의 메시지 정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601 내지 604 단계에서 WLAN/WiBro 신호세기가 특정 기간동안 소정의 문턱값 미만으로 감소할 때 듀얼모드 단말은 셀룰러 망으로 이동중임을 판단하여 CDMA 모뎀을 시동한다. 단말은 이중 활성화 상태에서 셀룰러 망에 위치등록을 수행한다.
605 단계에서 MT1은 현재 진행 중인 VoIP SIP 세션에 대하여 re-INVITE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re-INVITE 메시지 내에는 현재 진행 중인 세션 ID, 타겟 셀 ID, 셀룰러 망으로 핸드오프 중임을 알리는 지시자(Indicator) 등의 정보가 바디(body)내의 특정 필드에 포함되어야 한다. P-CSCF는 핸드오프 지시자를 가진 re-INVITE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에는 MT1 과 MT2의 세션 해제(Network Initiated Session Release) 절차를 수행한다.
606 내지 608 단계에서 re-INVITE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MGC는 MT2와 새로운 세션을 설정한다. 609단계에서 MGC는 타겟 셀 ID 망의 MSC에게 핸드오프 절차를 시작하라는 FACDIR(FacilitiesDirective) 메시지를 전송한다.
610 내지 612단계에서 FACDIR(FacilitiesDirective) 메시지를 수신한 MSC는 타겟 BSC로 핸드오프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 타겟 BSC는 타겟 BTS의 자원을 할당한 후 타겟 MSC로 핸드 오프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613단계에서 MSC는 MGC로 FACDIR 메시지를 전송하여 핸드오프 준비가 되었음을 알린다. 이때 타겟 셀의 채널정보도 포함된다. 614단계에서 FACDIR 메시지를 수신한 MGC는 MT1로 핸드오프를 시작하라는 지시를 200 OK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며, 채널정보도 함께 전달한다.
615단계에서 MT1은 200 OK 에 대한 응답으로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616단계에서 MT1은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셀룰러 망으로 핸드오프를 수행하며, 핸드오프 절차가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타겟 BTS/BSC로 전송한다. 617단계에서 타겟 BSC는 타겟 MSC로 핸드오프 절차가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618단계에서 MSC는 MGC로 트렁크 해제를 요청하기 위하여 MGC로 FACREL(FacilitiesRelease) 메시지를 전송한다. 619단계에서 MGC는 FACREL를 메시지를 수신하면 MGW와 통신하여 트렁크를 아이들(idle)상태로 바꾸고, FACREL 메시지로 응답한다.
도 7a 및 7b는 도 7a와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MT1이 핸드오프하기 이전과 이후의 음성 데이터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MT1(710)이 WiBro 망(730)으로 핸드오프하기 이전에 MT1(710)과 MT2(720)간의 음성 데이터 경로는 셀룰러 망(740)과 WiBro 망(730)을 관통하는 형태를 취한다. 즉, MT1(710)과 MT2(720)간의 음성 데이터 경로는 WiBro 망(730)내에 위치하는 MT1(710)을 시작으로 WiBro 망(730)의 구성요소인 RAS(790), ACR(785) 및 MGW(780)를 차례로 통과하여 셀룰러 망(740)의 구성요소인 교환국( MSC, 770), 제어국(BSC, 760), 기지국(BTS, 750) 및 MT2(720) 순서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설정된 음성 데이터 경로는 핸드오프 후에는 도 7b와 같이 음성 데이터 경로가 형성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MT1(710)이 셀룰러 망(740)으로 핸드오프한 후에 MT1(710)과 MT2(720)는 모두 셀룰러 망(740)내에 존재한다. 즉, MT1(710)과 MT2(720)는 셀룰러 망(740)내에 위치하는 교환국(MSC, 770)을 정점으로 제어국(BSC, 760) 및 기지국(BTS, 750)을 통해 음성 데이터 경로가 설정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셀룰러 망과 휴대인터넷의 신속한 핸드오프 과정을 제안함으로써 원폰 서비스 경쟁력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선망을 가진 사업자가 유무선 통합 음성서비스를 쉽게 런칭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유무선 통합 음성서비스를 활성화하는 촉매기술로서의 역할을 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3)

  1. 이기종 망 환경에서 휴대인터넷/무선랜 망내에 위치하는 이동단말1과 이동단말2 중 상기 이동단말1이 셀룰러 망으로 음성 데이터 핸드오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1이 상기 셀룰러 망 진입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셀룰러 망에 위치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1이 상기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의 소정의 상위노드로 핸드오프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의 소정의 상위노드가 상기 셀룰러 망의 소정의 상위노드를 통해 상기 셀룰러 망과 상기 이동단말1의 회선 음성 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망의 진입여부 판단기준은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의 신호세기가 특정 기간동안 소정의 문턱값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1이 상기 셀룰러 망으로 진입하면 셀룰러 모뎀을 구동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를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이동단말1과 상기 이동단말2에 대한 세션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 2와 상기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의 소정의 상위노드와 새로운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를 요청하는 과정에서, 이동단말1은 세션 ID, 타겟 셀 ID 및 핸드오프 지시자(Indicator) 등을 포함하는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 음성 호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의 소정의 상위노드는 상기 이동단말1로 상기 셀룰러 망의 기지국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1은 상기 셀룰러 망의 기지국과 회선 음성 호 설정 후에 휴대인터넷/무선랜 모뎀의 구동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이기종 망 환경에서 휴대인터넷/무선랜 망내에 위치하는 이동단말1과 셀룰러 망내에 위치하는 이동단말2 중 상기 이동단말1이 셀룰러 망으로 음성 데이터 핸드오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1이 상기 셀룰러 망 진입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셀룰러 망에 위치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1이 상기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의 소정의 상위노드로 핸드오프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의 소정의 상위노드가 상기 셀룰러 망의 소정의 상위노드를 통해 상기 셀룰러 망과 상기 이동단말1의 회선 음성 호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망의 진입여부 판단기준은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의 신호세기가 특정 기간동안 소정의 문턱값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망으로 진입하면 셀룰러 모뎀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를 요청하는 과정에서, 이동단말1은 세션 ID, 타겟 셀 ID 및 핸드오프 지시자(Indicator) 등을 포함하는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선 음성 호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의 소정의 상위노드는 상기 이동단말1로 상기 셀룰러 망의 기지국 채널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1은 상기 셀룰러 망의 기지국과 회선 음성 호 설정 후에 휴대인터넷/무선랜 모뎀의 구동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50036408A 2005-04-29 2005-04-29 이기종 망 환경에서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으로부터 셀룰러망으로 음성 데이터 핸드오프 방법 KR2006011446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408A KR20060114466A (ko) 2005-04-29 2005-04-29 이기종 망 환경에서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으로부터 셀룰러망으로 음성 데이터 핸드오프 방법
US11/413,195 US20060246903A1 (en) 2005-04-29 2006-04-28 System and method for voice data handoff between cellular network and WiBro/WLAN network in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408A KR20060114466A (ko) 2005-04-29 2005-04-29 이기종 망 환경에서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으로부터 셀룰러망으로 음성 데이터 핸드오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466A true KR20060114466A (ko) 2006-11-07

Family

ID=3765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408A KR20060114466A (ko) 2005-04-29 2005-04-29 이기종 망 환경에서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으로부터 셀룰러망으로 음성 데이터 핸드오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44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469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voice data handoff between cellular network and WiBro/WLAN network in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JP4763723B2 (ja) 回線交換無線ネットワークとパケット交換データ無線ネットワークとの間における呼ハンドオフの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US8155084B2 (en) User equipment, call continuity application server, and network handover method
US8442005B2 (en) Seamless handoff across heterogeneous access networks using a handoff controller in a service control point
KR100943556B1 (ko) 하이브리드 가입자 유닛의 시스템간 액티브 핸드오프 방법및 장치
US86817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technology handoff between a packet data network and a circuit switched network
EP2130311B1 (en) Handover apparatus and method in a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9509479A (ja) コールの継続を支援する無線通信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900739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technology handoff of a user equipment
WO2008022145A1 (en) Managing mobility of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KR20090008376A (ko) Cs 대 voip 핸드오프를 위한 cs 호의 동적 앵커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80014862A (ko) 아이피-씨에이엔과 씨에스 네트워크들 간의 음성 호 연속성애플리케이션 서버
WO2007025473A1 (fr) Systeme de terminaison d'appel de domaine cs, procede et reseau
WO2008014101A2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circuit switched call at a dual mode access terminal
US200900881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IP Multimedia Subsystem for voice call continuity based on media-independent handover
US20080037483A1 (en) Managing mobility of different communication technologies
KR20060114465A (ko) 이기종 망 환경에서 셀룰러 망으로부터 휴대인터넷/무선랜망으로 음성 데이터 핸드오프 방법
US8908639B2 (en) Methods for handoff of an active communication connection from a macrocell to a femtocell
EP22327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technology handoff of a terminating mobile station during an alerting procedure
KR20090016363A (ko)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가입자가통화중에 도메인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60114466A (ko) 이기종 망 환경에서 휴대인터넷/무선랜 망으로부터 셀룰러망으로 음성 데이터 핸드오프 방법
EP2561705B1 (en) Methods for handoff of an active communication connection from a macrocell to a femto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