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4185A - 인테리어겸용 흡음 및 방음액자 - Google Patents

인테리어겸용 흡음 및 방음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4185A
KR20060114185A KR1020050036193A KR20050036193A KR20060114185A KR 20060114185 A KR20060114185 A KR 20060114185A KR 1020050036193 A KR1020050036193 A KR 1020050036193A KR 20050036193 A KR20050036193 A KR 20050036193A KR 20060114185 A KR20060114185 A KR 20060114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frame
interior
soundproof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5620B1 (ko
Inventor
김태성
Original Assignee
(주)아이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니티 filed Critical (주)아이니티
Priority to KR1020050036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620B1/ko
Publication of KR20060114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23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fibreglass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을 흡수 및 제거하는 인테리어겸용 흡음 및 방음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자틀(11)의 전면에 코팅층(121)이 부착된 코르크층(12)이 형성되고, 상기 코르크층(12)의 배면에 다수의 통공(131)이 형성되는 스펀지(13)가 부착형성되고, 스펀지(13)의 후면에 흡음필터재(14)가 부착되어 배면판(15)으로 마감되는 구성으로 되는 한편, 상기 코르크층(12)의 전면에는 인테리어부재(122)가 부설되어 미감을 일으키는 동시에 흡음 및 방음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극장, 음악실, 강당등의 내측벽에 인접하게 설치하여 소리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되, 소리가 실내 전체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고, 미관이 수려하여 인테리어용 마감재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인테리어, 흡음, 방음, 액자틀, 코르크

Description

인테리어겸용 흡음 및 방음액자{A frame for soundproof and sound absorption with interior}
도 1a 는 종래의 방음판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b 는 종래의 방음판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들을 나열한 내부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이 벽체에 설치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한 설치개념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테리어겸용 흡음 및 방음액자
11 : 액자틀 12 : 코르크층
13 : 스펀지 14 : 흡음필터재
15 : 배면판 100 : 벽체
121 : 코팅재 122 : 인테리어부재
123 : 굴곡부 131 : 통공
본 발명은 인테리어겸용 흡음 및 방음액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형상의 액자틀을 이용하여 건물내의 방음과 인테리어용으로 겸할 수 있으며, 설치와 해체가 손쉬워 유지·보수가 용이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이나 철도변에서는 차량 통행으로 인한 소음이 매우 심해 그 인접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극심한 소음공해에 시달리게 된다. 또한, 대형 공장 등의 주변도 마찬가지로 공장가동에 따른 소음피해의 대상이 되고 있음은 물론이다.
이 같은 소음문제는 산업화 및 도시화에 따라 점차 악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주거지역에 인접한 도로변과 철도변 등에는 인접지역으로의 소음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벽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방음벽은 상호 조립 가능한 적정크기의 패널들로 구성하여 기초 콘크리트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H빔 등의 지주들 사이에 적층형태로 설치함으로써 벽체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방음벽은 소음차단 방식에 따라 반사형과 흡음형으로 대별된다. 반사형은 차량에서 나온 소음을 방음벽에 의해 반대쪽으로 반사하는 방식으로 강변도로에 접한 아파트처럼 도로 한쪽편에만 주거지가 있는 경우에 도로와 주거지 사이에 설치된다.
반면, 흡음형은 음파를 내부 흡음재에 의해 자체적으로 흡수, 감소시키는 방 식으로 도로의 양쪽에 주거지역이 있는 경우에 설치되며, 차량 소음은 방음벽에 부딪힌 후 에너지를 잃어 반사되는 소음레벨 자체가 감소된다.
흡음형 방음패널은 도 1a 및 도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갤러리(gallery)형의 슬롯(slot:2)을 다수 갖는 전면판(1)과 배면판(3) 사이에 글래스 울(glass wool)이나 폴리에스터 등과 같은 흡음재(5)를 내장하고 있으며, 흡음재(5)와 배면판(3) 사이에 비이드(bead:4)에 의한 공기층(6)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면판(1)의 슬롯(2)으로 유입된 음파가 흡음재(5)의 전면에 부딪쳐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흡음재(5)를 투과하게 된다. 흡음재(5)로 투과된 음파는 일부가 열에너지로 소멸되어 1차 감쇠된 후 배면판(3)에서 반사되어 다시 흡음재(5)로 입사하게 된다. 이 때, 일부가 배면판(3)과 흡음재(5)간을 오가면서 에너지를 잃고, 이후 전술한 전파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소음을 흡수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방음패널로 유입된 소음은 흡음재(5)의 표면을 지나면서 감쇠되기 때문에 방음벽의 흡음성능은 음파가 실제적으로 만나게 되는 흡음재(5)의 표면적과 비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방음패널의 흡음재(5)는 전 표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주변 전체가 측판(7)에 밀착되는 구조이므로 음파가 실제로 만나는 흡음재(5)의 표면적은 그 전면(前面)의 면적에 불과하다. 따라서, 흡음재(5)의 전체 표면적이 흡음면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게 됨은 물론 흡음재(5)의 전면에서 반사된 음파가 흡음재(5)로 재진입하기 어려워 그만큼 흡음재(5)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흡음재(5)로 주로 사용되는 글래스 울은 눈이나 비 등에 의한 습기의 차단과 유리섬유의 비산을 막기 위해 외부를 폴리 비닐 등의 얇은 필름으로 감싸게 되는 바, 고주파수 대역에서 흡음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며 구조적으로 충격에 매우 취약한 단점도 있다.
특히, 위와 같은 흡음형 방음벽 구조로 얻을 수 있는 최대 흡음률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현재 표준형으로 널리 사용되는 두께 100㎜의 방음벽은 NRC 기준으로 대략 0.70~0.75의 흡음률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흡음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는 흡음성능이 뛰어난 재질의 선택과 흡음 재의 두께 및 흡음 면적의 증가, 주위를 둘러싼 프레임 구조의 음향학적인 설계를 들 수 있는데, 저가의 고흡음성 재질의 출현 기대는 요원하고 흡음재(5)의 두께도 사실상 제한되어 있어 방음벽의 흡음성능 향상은 대부분 방음패널의 구조 등 음향학적 변수에 의존하고 있다.
그리고 소음이 많이 발생되는 장소에는 흡음성이 뛰어난 암면, 유리면 등과 같은 무기 섬유계통의 패널을 표면에 유리섬유직물 또는 일반직물로 피복하여, 이를 실내의 벽면에 부착함으로써 소음을 소멸 내지는 감소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음장치는 시공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공해문제로 사용이 억제되고 있으며, 방음작업 완료 후 별도의 인테리어 마감재를 설치해야하므로 비용 및 공사기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극 장, 음악실, 강당등은 물론 일반사무실의 내측벽에 인접하게 설치하여 소리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되, 소리가 실내 전체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고, 일반적인 흡음재로 인한 공해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조립식으로서 시공상의 편의는 물론 미관이 수려하여 인테리어용 마감재로도 사용할 수 있는 인테리어겸용 흡음 및 방음액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흡음재의 표면적 증가에 의해 음파가 실제로 부딪치는 흡음면적을 확대시킴으로써 흡음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흡음형 방음액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음부재를 다층으로 배열할 경우 흡음면적이 대폭 확대되어 특히 우수한 흡음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흡음형 방음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소음을 흡수 및 제거하는 흡음 및 방음판넬에 있어서, 액자틀의 전면에 코팅층이 부착된 코르크층이 형성되고, 상기 코르크층의 배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스펀지가 부착형성되고, 스펀지의 후면에 흡음필터재가 부착되어 배면판으로 마감되는 구성으로 되는 한편, 상기 코르크층의 전면에는 인테리어부재가 부설되어 미감을 일으키는 동시에 흡음 및 방음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흡음필터재는 글라스울 또는 락울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겸용 흡음 및 방음액자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첨부된 도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들을 나열한 내부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이 벽체에 설치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한 설치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인테리어겸용 흡음 및 방음액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형상의 액자틀을 이용하여 건물내의 방음과 인테리어용으로 겸할 수 있으며, 설치와 해체가 손쉬워 유지·보수가 용이한 것에 관한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인테리어겸용 흡음 및 방음액자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2와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틀(11)과 전면에 코팅이 된 코르크층(12)과 다수의 통공(131)이 형성된 스펀지(13) 및 흡음필터재(14)와 배면판(15)으로 구성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액자틀(11)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보는 이로 하여금 미적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코르크층(12)은 액자틀(11)의 전면에 코팅층(121)이 부착되게 되며, 코르크층(12)의 전면은 부드럽게 마감처리가 되지 않은 울퉁불퉁한 굴곡부(123)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코팅층(121)은 폴기우레탄으로 코팅되며, 인테리어의 기능을 살리기 위해 코르크층(12)은 착색되어 설치되게 된다.
한편, 스펀지(13)는 상기 코르크층(12)의 배면에 설치되게 되며, 스펀지(13)의 특성상 다수의 통공(13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스펀지(13)의 후면에는 흡음필터재(14)가 부착되어 배면판(15)으로 마감되는 구성으로 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코르크층(12)의 전면에는 미적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인테리어부재(122)가 부착되게 됨으로써 미감을 일으키는 동시에 흡음 및 방음기능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음필터재(14)는 글라스울 또는 락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코르크층(12)의 전면에 굴곡부(123)가 형성되어 음파가 실제로 부딪치는 흡음면적이 크게 확대됨은 물론 그 표면에 부딪친 음파가 굴곡부(123)에 의해 난반사됨으로써 대부분 코르크층(12)으로 재입사되어 소멸되게 되므로 방음벽의 흡음성능 향상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르크층(12)의 배면에는 다수의 통공(131)이 형성되어 공기층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스펀지(13)가 부착되는데, 상술한 공기층인 통공(131)은 저주파수, 특히 200㎐~250㎐대의 음파 흡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코르크입자를 접착제와 섞어서 열압(熱壓)하여 판상으로 재생한 것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열하여 판상으로 한 것이 있다.
앞의 것을 압착코르크판이라고 하며,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가열시에 코르 크 자체에서 분비되는 수지(樹脂)에 의하여 굳어 성형한 것을 탄화(炭化)코르크판이라고 한다.
코르크입자는 보통 제품을 뽑은 뒤의 찌꺼기, 또는 불량품의 생코르크를 부순 것을 사용한다. 압착코르크판에는 코르크 입자와 함께 삼찌꺼기 ·대패밥을 섞어서 사용한다. 탄화코르크판은 입자의 지름을 4∼22 mm로 체질하여 압착형으로 채우고 전기로(電氣爐) 등에서 직접 가열하여 만든다.
내구성이 있고 단열 ·흡음 ·방습성이 풍부하여 용도가 다양하다. 특히 탄화코르크판은 냉동실의 열절연재, 저온용의 보온재(保溫材)로 사용된다. 또 압착코르크판은 벽 ·천장재로 사용되는 외에, 내마모성 ·전기절연성을 살려 바닥재로서도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코르크층(12)은 일반적인 코르크판처럼 압착하여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전면의 표면이 불규칙하게 굴곡되어 돌기, 즉 굴곡부(123)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음파가 실제로 부딪치는 흡음면적이 크게 확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흡음재의 표면이 평면이 종래에 비해 소음 흡수율이 크게 증가하는 것이다. 예컨대, 표면이 평면인 것에 대해 반경 1㎝의 반구로 표면을 올록볼록 하게 형성한 경우 표면적이 약 78% 증가하며, 이는 흡음능력이 더욱 더 커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흡음부재로 코르크와 스펀지 및 울등의 흡음필터재를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흡음 및 방음판넬 보다도 그 효과가 뛰어나게 되며, 코르크층의 전면을 굴곡부로 형성하여 음파가 실제로 부딪치는 흡음면적이 크게 확대됨은 물론 그 표면에 부딪친 음파가 굴곡부들에 의해 난반사됨으로써 대부분 코르크층으로 재입사되어 소멸되게 되므로 소음 흡수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극장, 음악실, 강당등의 내측벽에 인접하게 설치하여 소리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되, 소리가 실내 전체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고, 미관이 수려하여 인테리어용 마감재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소음을 흡수 및 제거하는 흡음 및 방음부재에 있어서, 액자틀(11)의 전면에 코팅층(121)이 부착되며 다수의 굴곡부(123)가 구비된 코르크층(12)이 형성되고, 상기 코르크층(12)의 배면에 다수의 통공(131)이 형성되는 스펀지(13)가 부착형성되며, 스펀지(13)의 후면에는 흡음필터재(14)가 부착되어 배면판(15)으로 마감되는 구성으로 되는 한편, 상기 코르크층(12)의 전면에는 인테리어부재(122)가 부설되어 미감을 일으키는 동시에 흡음 및 방음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겸용 흡음 및 방음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필터재(14)는 글라스울 또는 락울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겸용 흡음 및 방음액자.
KR1020050036193A 2005-04-29 2005-04-29 인테리어겸용 흡음 및 방음액자 KR100745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193A KR100745620B1 (ko) 2005-04-29 2005-04-29 인테리어겸용 흡음 및 방음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193A KR100745620B1 (ko) 2005-04-29 2005-04-29 인테리어겸용 흡음 및 방음액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104U Division KR200389324Y1 (ko) 2005-04-29 2005-04-29 인테리어겸용 흡음 및 방음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185A true KR20060114185A (ko) 2006-11-06
KR100745620B1 KR100745620B1 (ko) 2007-08-03

Family

ID=3765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193A KR100745620B1 (ko) 2005-04-29 2005-04-29 인테리어겸용 흡음 및 방음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6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8356A (zh) * 2015-11-19 2016-02-03 衡阳泰豪通信车辆有限公司 一种具有降噪功能的百叶窗
KR101686648B1 (ko) * 2016-03-24 2016-12-14 주식회사 코르크월드코리아 건축물 외벽 마감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847B1 (ko) 2016-02-03 2017-10-18 (주)밴엔지니어링 액자형 흡음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8356A (zh) * 2015-11-19 2016-02-03 衡阳泰豪通信车辆有限公司 一种具有降噪功能的百叶窗
KR101686648B1 (ko) * 2016-03-24 2016-12-14 주식회사 코르크월드코리아 건축물 외벽 마감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5620B1 (ko) 200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39795B (zh) 声学面板、墙结构和路旁屏障
US5923002A (en) Acoustical room paneling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6098743A (en) Acoustical speaker housing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6015026A (en) Acoustical diffuser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20050167193A1 (en) Acoustic construction element
US6015025A (en) Diffuser panel with built-in speaker arrangement and methods of installation
KR100468296B1 (ko) 방음패널 및 그를 위한 다공판
RU2721615C1 (ru)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 звукоизолированное помещение
KR100745620B1 (ko) 인테리어겸용 흡음 및 방음액자
CN213297747U (zh) 一种超构材料隔声门
KR200389324Y1 (ko) 인테리어겸용 흡음 및 방음액자
JP2011017236A (ja) 遮音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て形成さした遮音室
KR200450881Y1 (ko) 복합 방음 패널
KR101783688B1 (ko) 공동주택용 현관 바닥의 소음방지 구조
KR100400886B1 (ko) 흡음형 방음패널
JPH0740002Y2 (ja) レゾネータ型防音パネル
KR102133435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천장 및 벽체 패널과 이의 시공방법
KR20170095575A (ko) 흡음 패널
CN211548197U (zh) 一种防水隔音保温混凝土墙体
Khan et al. Noise Control in Buildings
CN210421479U (zh) 一种室内分户隔声板
CN114961091B (zh) 一种梯形超材料聚氨酯三明治混凝土夹心墙板
KR20060013009A (ko) 이동식 방음장치
CN201195895Y (zh) 一种吸声格栅
KR200343202Y1 (ko) 방음패널 및 그를 위한 다공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