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4072A -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폰의 비상 메시지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폰의 비상 메시지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4072A
KR20060114072A KR1020050035188A KR20050035188A KR20060114072A KR 20060114072 A KR20060114072 A KR 20060114072A KR 1020050035188 A KR1020050035188 A KR 1020050035188A KR 20050035188 A KR20050035188 A KR 20050035188A KR 20060114072 A KR20060114072 A KR 20060114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emergency
power
terminal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홍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5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4072A/ko
Publication of KR20060114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에서 주배터리 전원이 소진되면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비상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주배터리 전원이 거의 소진되면 파워를 오프한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이머전시 센터에 전송하는 제1과정과; 이머전시 센터로부터 지시를 받아 파워 오프 응답 메시지내의 보고 주기를 설정한 후 보조배터리 전원 체제로 전환하고 파워를 오프시키거나 디프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제2과정과; 상기 주기에 도달될 때마다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머전시 센터에 현재 위치를 보고하는 제3과정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폰의 비상 메시지 전송 방법{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METHOD USING SUB-BATTERY OF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폰의 비상 메시지 전송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폰에서 긴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비상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전원이 소진된 상태에서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비상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폰의 비상 메시지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휴대폰의 보급률이 급속히 증가되어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매김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은 휴대폰은 고유의 음성통화 서비스는 물론,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므로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라 할 수 있다.
종래의 휴대폰 단말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응급상황에 놓이게 될 때 비상전화번호(예: 911, *911,#911)를 입력하면, 이머전시 센터에서 그 전화번호를 수신한 후 해당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때, 비상 전화번호를 송출한 단말기는 파워를 재공급하기 전까지 다른 단말기로 오리지네이션(Origination)할 수 없는 이머전시 콜 백(Emergency Call-Back) 모드로 동작하여 이머전시 넘버 오리지네이션 또는 수신만 가능하였다.
최근 들어, 휴대폰에서 천재지변이나 사고 발생시 비상 메시지를 전송하는 비상 서비스(Emergency Service)(예: E911)가 실시되고 있어 인명을 구조하는데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주향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E911 서비스를 이용할 때 GPSOne(Qualcomm) 또는 AFLT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단말기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요구가 없거나 배터리 전압이 일정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비상 연락을 취할 수 없게 되어 있어 인명 피해를 입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이 소진되면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보다 오랜 시간동안 응급 구조를 요청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폰의 비상 메시지 전송 방법은, 주배터리 전원이 소진되는 것을 확인하여 파워를 오프한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이머전시 센터에 전송한 후 보조전원 체제로 전환하고 파워를 오프시키거나 디프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기 설정된 주기에 도달될 때마다 SMS를 이용하여 이머전시 센터에 위치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폰의 비상 메시지 전송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배터리 전원이 거의 소진되면 파워를 오프한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이머전시 센터에 전송하는 제1과정과; 이머전시 센터로부터 지시를 받아 파워 오프 응답 메시지내의 보고 주기를 설정한 후 보조배터리 전원 체제로 전환하고 파워를 오프시키거나 디프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제2과정과; 상기 주기에 도달될 때마다 SMS를 이용하여 이머전시 센터에 위치 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비상 메시지 전송 처리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에 소형의 보조 배터리를 추가하는데, 이 보조 배터리로 아주 얇은 두께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예: 100∼400m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말기 충전시 상기 보조 배터리를 먼저 충전시킨 후 주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하였다. 만약 단말기 구조상 상기 보조 배터리를 내장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주배터리를 이원화하여 주배터리 내에 보조 배터리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기의 주배터리 전원이 거의 소진되면 보조배터리 전원 체제으로 전환하기 전에 전력소모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발광다이오드 등의 표시소자를 모두 오프시켜 절전모드로 전환한다.(S1,S2)
그리고, 단말기의 파워를 오프시키기 전에 이머전시 센터에 문자메시지(예: SMS)를 이용하여 파워를 오프한다는 내용을 전달한다.(S3)
이후, 단말기는 일정 시간동안 파워 오프에 관련된 응답 메시지(Periodic-Set-Response)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 상태에 있게 되는데, 상기 응답 메시지에는 단말기가 어느 정도의 주기로 보고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S4)
상기 이머전시 센터에 이머전시 상황이 신고되지 않은 정상적인 상태인 경우 단말기는 파워 오프 응답 메시지내의 보고 주기를 설정한 후 파워를 오프시키거나 디프 슬립(deep sleep) 모드로 진입한다.(S5,S6)
이후, 상기 보고 주기에 도달될 때마다 SMS를 이용하여 이머전시 센터에 위치보고 메시지(Periodic- Report Response)를 전송한다.(S7,S8)
만약, 제3자에 의해 상기 이머전시 센터에 이머전시 상황이 신고된 경우에는 그 센터에서 상기 보고 메시지(Periodic- Report Response)의 주기를 좀더 빠르게 설정하고, 해당 단말기로 하여금 현재의 위치를 보고하도록 그 메시지 내의 필드를 셋팅한다. (S9,S10)
이때에도 단말기에서는 상기 보고 메시지를 통해 현재의 위치를 보고하게 되므로, 상기 이머전시 센터에서는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S11)
한편, 사용자가 응급 상황에 처해 있을 때 보다 신속하고 손쉽게 응급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 실시예로써, 사용자가 단말기의 이머전시 키를 길게 누르면 상기 보고 메시지(Periodic-Report Response)를 이머전시 센터에 전송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의 주배터리 전원이 모두 소진되어 보조 배터리 전원을 사용 할 때 단말기의 파워를 오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보조 배터리는 그 특성상 용량이 극히 제한적일뿐더러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지 않고 오랜 시간(예: 수 일)동안 응급상황을 보고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와 같이 파워가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머전시 키가 눌리면, 즉시 부팅하여 현재의 위치를 보고하고 이때의 동작 모습을 표시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그 사실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이 소진되면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응급 구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배터리의 용량에 관계없이 위급한 상황에서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주배터리 전원이 소진되는 것을 확인하여 파워오프 메시지를 이머전시 센터에 전송한 후 보조배터리 전원 체제로 전환하는 제1과정과;
    기 설정된 주기에 도달될 때마다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머전시 센터에 현재 위치를 보고하는 제2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폰의 비상 메시지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보조배터리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폰의 비상 메시지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과정은
    보조 배터리 전원체제으로 전환하기 전에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단말기의 파워를 오프시키기 전에 이머전시 센터에 파워를 오프한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일정 시간동안 파워 오프에 관련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는 단계와;
    파워 오프 응답 메시지내의 보고 주기를 설정한 후 파워를 오프시키거나 디프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폰의 비상 메시지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절전모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발광다이오드 등의 표시소자를 모두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폰의 비상 메시지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2과정은 제3자에 의해 이머전시 센터에 이머전시 상황이 신고된 경우 그 센터에서 단말기로 하여금 보고 메시지의 주기를 좀더 빠르게 설정하도록 전송 메시지 내의 필드를 셋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폰의 비상 메시지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2과정은 사용자가 단말기의 이머전시 키를 길게 누르면 즉시 위치보고 메시지를 이머전시 센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폰의 비상 메시지 전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제2과정의 메시지는 단문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폰의 비상 메시지 전송 방법.
KR1020050035188A 2005-04-27 2005-04-27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폰의 비상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60114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188A KR20060114072A (ko) 2005-04-27 2005-04-27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폰의 비상 메시지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188A KR20060114072A (ko) 2005-04-27 2005-04-27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폰의 비상 메시지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072A true KR20060114072A (ko) 2006-11-06

Family

ID=3765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188A KR20060114072A (ko) 2005-04-27 2005-04-27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폰의 비상 메시지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40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93661C2 (ru) * 2009-04-29 2013-09-2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терминала, координатор и способ администрирования чрезвычайного положения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93661C2 (ru) * 2009-04-29 2013-09-2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терминала, координатор и способ администрирования чрезвычайного положени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5248B2 (en) Disguised power-off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437733B2 (en) Mobile terminal for implementing monitoring management and monitoring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US20110136437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isplaying capacity of bluetooth device on mobile terminal
CN106658386B (zh) 云服务蓝牙紧急救助系统
CN104921426A (zh) 智能拐杖、智能拐杖报警系统及智能拐杖报警方法
CN102348183A (zh) 实现紧急无线通信的方法及系统
US20140167957A1 (en) Locator system,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nd locator
US20130138987A1 (en) Method for entering idle mode and mobile terminal for implementing such method
JP2008153777A (ja) 携帯電話機
KR20120014958A (ko) 비상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안심 서비스 제공 방법
CN207053788U (zh) 一种校园定位卡
KR102106445B1 (ko) 무선 통신 단말기 및 이의 전원 공급 방법
CN102013532B (zh) 终端充电的控制方法和装置
KR20060114072A (ko)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휴대폰의 비상 메시지 전송 방법
CN101651590B (zh) 智能呼救方法及装置
CN203057537U (zh) 一键式紧急无线通信装置
KR20110087197A (ko)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경계 메시지 수신 방법 및 장치
JP2003219032A (ja) リアルタイムに携帯電話状態を通知する方法と携帯電話サービスのコントロールセンタ
JP5623119B2 (ja) 携帯通信機器
CN202334907U (zh) 实现紧急无线通信的系统
CN107172306A (zh) 触摸屏移动终端不能正常拨号状态下的紧急呼叫系统及方法
CN109618322B (zh) 报警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140052316A (ko) 휴대단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긴급 호출장치 및 긴급 호출방법
CN201590846U (zh) 一种移动通信终端
JP4920781B2 (ja) 携帯端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