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3226A - 원격으로 제어하는 팍스시스템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으로 제어하는 팍스시스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3226A
KR20060113226A KR1020050036486A KR20050036486A KR20060113226A KR 20060113226 A KR20060113226 A KR 20060113226A KR 1020050036486 A KR1020050036486 A KR 1020050036486A KR 20050036486 A KR20050036486 A KR 20050036486A KR 20060113226 A KR20060113226 A KR 20060113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patient
hospital
information
web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향신
Original Assignee
류향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향신 filed Critical 류향신
Priority to KR1020050036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3226A/ko
Publication of KR20060113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2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speci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removable cont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병원간에 환자에 대한 진료 정보나 진료 의견을 전자메일이나 무선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호 교환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 방법을 제공하도록 한 원격 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병원간에 진료 정보 및 진료 의견을 송수신하는 웹 서버와, 진료 정보 중 이미지 영상 파일을 저장하고, 변환하는 PACS 서버와, 진료 정보 중 텍스트 파일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병원간에 환자에 대한 의견을 나누도록 화상 회의를 연결하는 화상 회의 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의료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이한 의료 장비 또는 네트워크 장비 및 운영 체계를 사용하는 병원간에 원격 진료가 가능하도록 진료 정보를 해당 병원의 프로토콜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므로, 병원간에 진료 정보 및 진료 의견을 교환할 수 있고, PC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환자에 대한 적절한 의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이동에 따른 시간적, 경제적 비용을 경감할 수 있으며, 우수 의료진과의 협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의료 자원의 합리적인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료 정보의 원활한 이동 및 편리한 사용으로 중복된 의료 기록 발생을 방지하고 중복 검진으로 인한 환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ACS. 서버, 네트워크

Description

원격으로 제어하는 팍스시스템 방법{The PACS system method which it controls with remoteness}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병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의료 서비스 센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서비스 센터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의료 서비스 센터11 : 국내 병원
12 : 외국 병원13 : 환자
20 : 병원21 : PACS 시스템
22 : 의료 장비23 : 필름 디지타이저
24 : PC25, 35 : VPN 라이터
31 : 웹 서버32 : PACS 서버
33 : 데이터베이스36 : 화상 회의 서버
본 발명은 원격 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내 및 국외의 병원간에 실시간으로 환자에 대한 진료 정보나 진료 의견을 전자메일이나 무선 이동 단말기를 통해 상호 교환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 방법을 제공하도록한 원격 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글로벌 네트워크에 의한 정보의 공유가 늘어남에 따라 국내외의 의료업계에서도 어떠한 병에 대한 진료 의견과 같은 진료 정보에 대한 교환이 급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특정 병원의 모병원과 자병원 간에 환자의 병명, 진료 기록, 진료 의견과 같은 진료 정보 교환을 시도하고 있다. 이때, 해당 모병원과 자병원은 의료 기기 또는 네트워크 장비 및 해당 병원의 운영 체계 등과 같은 병원에서의 모든 요소가 동일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원격 의료 서비스가 동일한 의료 기기 또는 네트워크 장비 및 동일한 운영 체계를 사용하는 특정 병원간에만 제공되므로 상이한 의료 기기 또는 네트워크 장비 및 상이한 운영체계를 사용하는 경우, 원격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환자의 병을 해당 병원에서 진료가 불가능할 경우, 인터넷이나 전화 등을 통해 다른 병원에 해당 병에 대한 진료 정보를 제공받거나 다른 병원으로 환자를 이송해야 하므로 위급한 환자의 치료시에 치료 시간을 넘겨 환자의생 명이 위험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국내 병원뿐만 아니라 국외 병원에서 사용하는 의료 기기 또는 네트워크 장비 및 운영체계가 상이하더라도 해당 병원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원격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 원격 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급한 환자의 치료시에 해당 병원에서 인터넷이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해당 환자의 진료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환자를 치료하도록 한 원격 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병원간에 진료 정보 및 진료 의견을 송수신하는 웹 서버와; 진료 정보 중 이미지 영상 파일을 저장하고, 변환하는 PACS 서버와; 진료 정보 중 텍스트 파일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병원간에 환자에 대한 의견을 나누도록 화상 회의를 연결하는 화상 회의 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병원으로부터 환자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환자의 정보를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환자의 정보를 다른 병원에 전송함과 동시에 전송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다른 병원으로부터 환자에 대한 진료 의견을 웹 서버에 게재하는 과정과; 진료 의견을 병원으로 통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내 병원(11)과, 국외 병원(12)과, 환자(13), 및 의료 서비스 센터(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의 의료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먼저, 국내 병원(11)이나 국외 병원(12)에서 주치의가 환자(13)를 진료하여 새로운 치료 방법이나 해당 환자(13)의 병에 대한 다른 병원에서의 해당 환자(13)에 대한 진료 의견을 듣고 싶으면, 환자(13)의 병력, 현재의 건강 상태, 진료일지, 투약 상황 등의 진료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의료 서비스 센터(10)에 전송한다. 여기서, 환자(13)에 대한 진료 정보는 X-레이와 같은 이미지 영상 정보 또는 일반 텍스트 정보 형태를 가지는데, 해당 의료 서비스 센터(10)는 환자(13)에 대한 진료 기록정보를 수신하여 이미지 영상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을 저장한 후, 해당 이미지 영상 파일을 요청하는 병원의 프로토콜 형식으로 변환하여 다른 병원에게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 1 국내 병원(11-1)에서 환자(13)에 대한 진료 의견을 제 1 국외 병원(12-1) 또는/및 제 2 국내 병원(11-2)으로부터 듣고 싶으면, 해당 환자(13)에 대한 진료 정보를 의료 서비스 센터(10)에 전송하고, 해당 의료 서비스 센터(10)는 해당 진료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해당 진료 정보 중 이미지 영상 파일을 해당 제 1 국외 병원(12-1) 또는/및 제 2 국내 병원(11-2)에서 이용하는 프로토콜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자 메일을 통해 해당 제 1 국외 병원(12-1) 또는/및 제 2국내 병원(11- 2)에 전송한다. 이때, 전자 메일은 해당 환자(13)에 대한 텍스트 파일이 의료 서비스 센터(10)에저장되어 있다고 통보한다.
해당 환자(13)의 진료 정보를 전자 메일을 통해 수신한 제 1 국외 병원(12-1) 또는/및 제 2 국내 병원(11-2)에서 해당 진료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제 1 국외 병원(12-1) 또는/및 제 2 국내 병원(11-2)에서 의료 서비스 센터(10)에 저장된 텍스트 파일을 확인하여 환자(13)에 대한 정보를 더 제공받는다. 이에, 제 1 국외 병원(12-1) 또는/및 제 2 국내 병원(12-2)은 해당 환자(13)에 대한 진료 의견을 의료 서비스 센터(10)의 웹 페이지에 게재하게 되고, 해당 의료 서비스 센터(10)는 환자(13)에 대한 진료 의견을 요청한 제 1 국내 병원(11-1)에게 전자 메일이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진료 의견을 통보한다. 진료 의견을 통보 받은 제 1 국내 병원(11-1)은 해당 진료의견을 확인하여 진료 의견에 대하여 질문 사항이 있을 경우, 전자 메일 또는 화상 회의를 통해 제 1 국외 병원(12-1) 또는/및 제 2 국내 병원(11-2)과 상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국내 병원(11) 및 국외 병원(12)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장비(22) 등에서 환자(13)를 촬영한 필름을 스캐닝하는 필름 디지타이저(23)와, 필름 디지타이저(23)에서 스캐닝한 이미지 영상 파일 및 의료 장비(22)에서 직접 촬영한 이미지 영상 파일을 변환하여 의료 서비스 센터(10)에 전송하는 PACS 시스템(21)과, 환자(13)를 진료하기 위한 의료 장비(22)와, 다른 병원의 의사와 화상을 통해 상담하는화상 회의 시스템(26), 및 환자(13)에 대한 정보 누출을 방지하는 VPN 라우터(Virtual Private Network Route
r)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국내 병원(11) 또는 국외 병원(12)에서 환자에 대한 병력, 현재의 건강 상태, 진료일지, 투약 상황 등의 진료 정보를 PC(24)를 통하여 PACS 시스템(21)에 전달하면, 해당 PACS 시스템(21)은 해당 진료 정보를 의료 서비스 센터(10)에 전송한다. 이때, 해당 진료 정보에는 환자(13)의 이미지 영상 파일과 텍스트 파일이 포함되는데, 해당 이미지 영상 파일은 의료업계의 표준 프로토콜인 DICOM 3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이미지 영상 파일은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 자기공명영상), CT(Computed Tomography ; 컴퓨터 단층촬영) 등과 같은 의료 장비(22)에서 촬영한 필름을 필름 디지타이저(23)로 스캐닝하거나 MRI, CT 등과 같은 의료 장비(22)에서 직접 촬영한 영상 데이터이다.
그리고, PACS 시스템(21)은 병원에서 사용되는 각종 의료 영상, 예를 들어 X선 촬영 장치, 초음파 영상진단기, CT장치, MRI 장치 등을 입력 및 저장하고 원하는 장소로 전송 및 출력하는 시스템이다.
이후, 의료 서비스 센터(10)로부터 환자(13)에 대한 진료 의견을 전자 메일이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하면, 해당 진료 의견을 확인한다. 이때, 진료 의견에 대한 의문이 있을 경우, 화상 회의 시스템(26)이나 전자 메일을 통해진료 의견을 제시한 다른 병원과 상담한다.
한편, 국내 병원(11) 및 국외 병원(12) 간에 진료 정보와 진료 의견을 송수신하는 의료 서비스 센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내 병원(11) 및 국외 병원(12)에서 접속하는 웹 서버(35)와, 국내 병원(11) 및 국외 병원(12)에서 전송되는 이미지 영상 파일을 저장하고 변환하는 PACS 서버(32)와, 국내 병원(11) 및 국외 병원(12)에서 전송되는 텍스트 파일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3)와, 병원간의 상담시 화상을 통해 연결하는 화상 회의 서버(36)와, 환자(13) 및 병원(20)에 대한 정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VPN 라우터(3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의료 서비스 센터(10)의 웹 서버(31)가 국내 병원(11) 또는 국외 병원(12)으로부터 각 환자에 대한 진료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진료 정보 중 이미지 영상 파일은 PACS 서버(32)에 저장하고, 텍스트 파일은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한다. 그리고, 해당 PACS 서버(32)에서는 이미지 영상 파일을 환자(13)에 대한 진료 의견을 제시하는 병원(이하, '의견 제시 병원'이라 함)의 프로토콜 형식인 DICOM 3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미지 영상 파일을 전자 메일을 통해 의견 제시 병원으로 전송한다.
이후, 의견 제시 병원에서는 이미지 영상 파일을 확인하고, 의료 서비스 센터(10)의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된 환자(13)에 대한 텍스트 파일을 확인한 후, 진료 의견을 웹 서버(31)의 웹 페이지에 게재하면, 해당 의료 서비스 센터(10)의 웹 서버(31)는 진료 의견을 게재됐음을 전자 메일이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진료 의견을 의뢰한 국내병원(11) 또는 국외 병원(12)으로 통보한다. 이때, 환자(13)에게도 전자 메일이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진료의견 게재를 통보한다. 이에, 환자(13)가 해당 웹 서버(31)에 접속하여 데이터베이스(33)를 통해 본인의 치료 과정 및 진행 상태를 확인하거나 치료 결과를 조회해 볼 수 있다. 또한, 환자(13)는 의료 서비스 센터(10)를 통해 해당 병원에 의료 검진을 예약하거나 취소할 수 있고, 자신의 병에 대하여 인터넷이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후, 국내 병원(11) 또는 국외 병원(12)에서 화상 회의 요청이 오면, 화상 회의 서버(36)를 통해 진료 의견을 요청한 국내 병원(11) 또는 국외 병원(12)과 의견 제시 병원을 연결하여 상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국내외 병원(11)(12)과 의료 서비스 센터(10)의 VPN 라우터(25)(35)는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과 같은 인터넷 전용 회선을 기반으로 하되,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VPN 프로토콜과 방화벽(Firewall) 시스템을 채택하여 크래커(Cracker)나 해커(Hacker)의 침입이나 외부로의 정보 누출을 방지하는데, 해당 VPN은 터널링이라는 기술을 사용한다. 해당 터널링 기술은 인터넷 네트워크 상에서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는 가상적인 터널을 형성해 정보를 주고받는 기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에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이한 의료 장비 또는 네트워크 장비 및 운영 체계를 사용하는 병원간에 원격 진료가 가능하도록 진료 정보를 해당 병원의 프로토콜 형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므로, 병원간에 진료 정보 및 진료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C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환자에 대한 적절한 의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이동에 따른 시간적, 경제적 비용을 경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 의료진과의 협진을 가능하게 함으 로써 의료 자원의 합리적인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료 정보의 원활한 이동 및 편리한 사용으로 중복된 의료 기록 발생을 방지하고 중복 검진으로 인한 환자의 부담을 경감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병원간에 진료 정보 및 진료 의견을 송수신하는 웹 서버와;
    진료 정보 중 이미지 영상 파일을 저장하고, 변환하는 PACS 서버와;
    진료 정보 중 텍스트 파일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병원간에 환자에 대한 의견을 나누도록 화상 회의를 연결하는 화상 회의 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으로 제어하는 PACS시스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ACS 서버는,
    이미지 영상 파일을 DICOM 3 파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원격으로 제어하는 PACS시스템 방법.
  3. 병원으로부터 환자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환자의 정보를 변환하는 과정과;
    변환된 환자의 정보를 다른 병원에 전송함과 동시에 전송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다른 병원으로부터 환자에 대한 진료 의견을 웹 서버에 게재하는 과정과;
    진료 의견을 병원으로 통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원격으로 제어하는 PACS시스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웹 서버로부터 수신한 진료 의견을 확인한 후 보다 상세한 진료 의견을 요구하면, 웹 서버가 다른 병원과 화상 회의 상태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으로 제어하는 PACS시스템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웹 서버가 병원으로 진료 의견을 전자메일이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의료 서비스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웹 서버가 다른 병원과 화상 회의 상태로 연결하기 전에 다른 병원으로 전자메일을 통해 화상 회의 상태 연결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으로 제어하는 PACS시스템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변환된 환자의 정보를 다른 병원에 전송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병원에 변환된 환자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격으로 제어하는 PACS시스템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환자의 진료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해당되는 파일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으로 제어하는 PACS시스템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환자가 진료를 받는 중이면, 환자의 바이탈 사인을 웹 서버에 전달하고, 웹 서버가 해당 환자의 바이탈 사인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으로 제어하는 PACS시스템 방법.
KR1020050036486A 2005-04-30 2005-04-30 원격으로 제어하는 팍스시스템 방법 KR200601132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486A KR20060113226A (ko) 2005-04-30 2005-04-30 원격으로 제어하는 팍스시스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486A KR20060113226A (ko) 2005-04-30 2005-04-30 원격으로 제어하는 팍스시스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226A true KR20060113226A (ko) 2006-11-02

Family

ID=3765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486A KR20060113226A (ko) 2005-04-30 2005-04-30 원격으로 제어하는 팍스시스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32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749B1 (ko) * 2006-05-24 2007-12-18 양윤석 출산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749B1 (ko) * 2006-05-24 2007-12-18 양윤석 출산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62637A1 (en) Cloud-based Medical Imaging Viewer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Cloud-based Medical Consultation Session
WO2011108867A2 (ko) 협의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Chatrath et al. Telemedicine and anaesthesia
Hasan Effective telemedicine project in Bangladesh: Special focus on diabetes health care delivery in a tertiary care in Bangladesh
Prabhakaran et al. Telemedicine for trauma and emergency management: an overview
Rosser Jr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portable low-bandwidth telemedical applications for postoperative followup: initial results1
JP2006146934A (ja) 通信能力を強化した事業用医療撮像及び情報管理システム
Fisher et al. Telehealth for Australian general practice: The present and the future
CN111180089A (zh) 一种多学科远程医疗云平台配置系统和方法
Blakeslee et al. Practice of otolaryngology via telemedicine
Wiweko et al. Overview the development of tele health and mobile health application in Indonesia
KR20000049915A (ko) 인터넷을 통한 의료 영상 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600747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directed digital medical image transmittal device
Hameed et al. An efficient emergency, healthcare, and medical information system
KR20010109941A (ko) 원격 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13226A (ko) 원격으로 제어하는 팍스시스템 방법
US20100306328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invitation relating to a medical dicom image
US20220375626A1 (en) Telehealth System and Method
Samuel et al. Telemedicine: the future of office visits
Mrs Rakhi SEMINAR ON TELEMEDICINE
Panchbudhe et al. TELEMEDICINE–A STEP TO BETTER PATIENT CARE
JP2013125280A (ja) 遠隔医療支援システム
Aida et al. Telemedicine’s Patients and Their Protection: What Does The International Law Offer?(A Perspective From Indonesia)
Narenthiranathan et al. Tailoring teleconsultation to meet the current needs of neurosurgical services: a multimodality oriented neurosurgical consultation
Soegoto et al. Utilizing E-Health Website Application to Generalize Health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