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3028A -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3028A
KR20060113028A KR1020050035827A KR20050035827A KR20060113028A KR 20060113028 A KR20060113028 A KR 20060113028A KR 1020050035827 A KR1020050035827 A KR 1020050035827A KR 20050035827 A KR20050035827 A KR 20050035827A KR 20060113028 A KR20060113028 A KR 20060113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humbnail
thumbnail image
image processing
comple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0024B1 (ko
Inventor
이명훈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5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0024B1/ko
Publication of KR20060113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은, 썸네일 검색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현재화면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화면전환 신호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화면전환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 및 다음화면의 썸네일 이미지를 현재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썸네일 이미지 선택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현재 화면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에 의하면 선택한 썸네일 이미지를 누적적으로 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수많은 사진 중에서 여러개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원하는 파일관리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File managing method for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의 썸네일 검색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도 2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4의 파일 관리 방법의 실시예를 25개의 썸네일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의 썸네일 검색 방법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썸네일 검색 모드에서 첫번째 9개의 썸네일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화면전환 지시를 입력하면 처음 1,2,3 번째 이미지는 스크롤되어 사라지고 그 다음의 4~12번째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는 방식으로 화면이 전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의 썸네일 이미지 검색방법은 한 화면에서 비교하면서 볼 수 있는 선택 후보 이미지가 제한되므로, 수많은 사진 중에서 여러개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원하는 파일관리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택한 썸네일 이미지를 누적적으로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은, 썸네일 검색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현재화면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화면전환 신호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화면전환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 및 다음화면의 썸네일 이미지를 현재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썸네일 이미지 선택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현재 화면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일 관리 방법은 썸네일 이미지 선택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파일 관리 방법은 썸네일 이미지 선택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들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파일 관리 방법은 썸네일 이미지 선택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들을 다른 저장매체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파일 관리 방법은 썸네일 이미지 선택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들을 외부의 프린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 안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DSP(7)는 타이밍 회로(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auto gain control, AGC)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DSP(7)는 CDS-ADC 소자(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4)에는 DSP(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 및 기타 임시 처리 데이터가 임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에는 DSP(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DSP(Digital Signal Processor, 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LCD 구동부(14)에서 LCD 패널의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되어 칼라 LCD 패널(17)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DSP(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18)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8)와 그 접속부(19)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9) 및 비데오 출력부(20)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DSP(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DSP(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능 선택 버튼, 줌 버튼, 방향이동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을 발생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는 렌즈 구동부(1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및 조리개(aperture) 모터(MA)가 광학계(OPS) 안의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조리개를 각각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12)는 플래시-광량 센서(1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5)를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의 기능은 DSP(7)와 원칩(one chip)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는, 도 2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사양에 따라 그 구성요소 중 일부가 삭제되거나, 또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변형되거나, 여러 구성요소의 기능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도 2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에는, 뷰 파인더(100), 자동초점램프(101), 플래시 상태램프(102), 모드다이얼(103), 광각줌 버튼(104), 망원줌 버튼(105), 5기능버튼(106), 스피커(107), 외부출력단자(108), DC전원입력단자(109), 재생모드버튼(110), LCD 모니터(111), 현재 설정된 촬영정보를 모니터에 표시하거나 LCD모니터를 턴오프/턴온하는 LCD 버튼(112), 수동초점 버튼(113), 일시 정지 버튼(114) 등이 구비된다.
여기서 5기능 버튼(106)은 중앙에 메뉴(MENU)진입/확인(OK) 버튼, 상하좌우 방향 버튼을 구비한다. 모니터에 메뉴가 표시된 경우에 상하좌우 방향 버튼은 방향이동이 아닌 특수한 기능 버튼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여러 기능 버튼들은 그 명칭에서 나타나는 기능 이외에도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썸네일 검색 모드가 선택된다(S100).
그리고 사용자의 5방향 버튼(도 3의 106) 조작에 의하여 현재화면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한다(S102). 그리고 현재화면에서의 썸네일 이미지 선택과정은 화면전환 신호가 발생할 때까지 계속된다(S104).
만일 화면전환 신호가 발생하면,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 및 다음화면의 썸네일 이미지를 현재화면에 함께 표시한다(S106). 다시 말해 이미 선택된 썸네일 이미 지는 스크롤되지 않고 현재화면에 계속 남아 있는 것이 본 발명의 기본개념이다.
썸네일 이미지 선택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S102 단계로 진행하여 썸네일 이미지의 선택과정을 계속한다(S108).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썸네일 이미지 선택과정이 종료되면, 한 화면에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 파일들을 한 묶음으로 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S108 단계 후에 화면에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선택되지 않은 이미지들은 삭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들이 저장될 때 별도의 이미지 폴더를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S108 단계 후에 화면에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들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S108 단계 후에 화면에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들을 다른 저장매체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S108 단계 후에 화면에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들을 외부의 프린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실행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4의 파일 관리 방법의 실시예를 25개의 썸네일이 표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설명한 것이다.
도 5는 썸네일 검색 모드에서 처음 25개의 썸네일 이미지 중 1, 3, 4, 5, 9, 12, 16, 17, 25 번째 이미지가 선택된 것을 별표(★)로 나타내었다. 이미지의 선택 은 사용자가 5방향 버튼(도 3의 106)의 상하좌우 버튼 및 확인(OK) 버튼을 입력하는 것에 실행될 수 있다.
도 5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화면전환 지시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은 도 6의 상태가 된다. 즉 이전화면에서 선택된 1, 3, 4, 5, 9, 12, 16, 17, 25 번째 이미지와 나머지 디스플레이 가능한 26~40번째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이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34, 35, 36, 37 번째 이미지가 선택되었다.
도 6의 상태에서 화면전환 지시가 입력되면 도 7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태가 되며, 이후 반복적인 이미지 선택과정이 진행된다. 즉 도 7에서는 이미 선택된 1, 3, 4, 5, 9, 12, 16, 17, 25, 34, 35, 36, 37 번째 이미지는 스크롤되지 않고 그 다음 41~51번째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된다.
도 8은 마지막 168번째 이미지까지 총 25개의 이미지가 선택되어 한 화면에 표시된 상태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촬영되어 저장된 이미지의 썸네일 검색모드가 실행 가능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에도 적용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최근에 각광받기 시작한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에도 적용될 수 있다. PMP는 MP3와 같은 음악 재생, 방송수신, 게임, 전자사전, 동영상 재생, 디지털카메라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갖춘 휴대형의 차세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이 다. 이와 같이 촬영되어 저장된 이미지의 썸네일 검색모드가 실행 가능한 PMP에도 본 발명의 개념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에 의하면, 선택한 썸네일 이미지를 누적적으로 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수많은 이미지 중에서 여러개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원하는 파일관리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썸네일 검색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현재화면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화면전환 신호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화면전환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 및 다음화면의 썸네일 이미지를 현재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썸네일 이미지 선택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현재 화면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썸네일 이미지 선택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썸네일 이미지 선택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들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썸네일 이미지 선택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들을 다른 저장매체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썸네일 이미지 선택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들을 외부의 프린터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
KR1020050035827A 2005-04-29 2005-04-29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 KR101120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827A KR101120024B1 (ko) 2005-04-29 2005-04-29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827A KR101120024B1 (ko) 2005-04-29 2005-04-29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028A true KR20060113028A (ko) 2006-11-02
KR101120024B1 KR101120024B1 (ko) 2012-03-15

Family

ID=3765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827A KR101120024B1 (ko) 2005-04-29 2005-04-29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0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1538A2 (ko) * 2011-04-15 2012-10-18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방법 및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222B1 (ko) * 2001-08-01 2010-03-24 소니 주식회사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KR20040023082A (ko) * 2002-09-10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정지영상 디스플레이방법
JP4175900B2 (ja) * 2003-01-06 2008-11-0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4282224A (ja) * 2003-03-13 2004-10-07 Fuji Xerox Co Ltd 写真印刷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1538A2 (ko) * 2011-04-15 2012-10-18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방법 및 기록매체
WO2012141538A3 (ko) * 2011-04-15 2013-01-10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336847B1 (ko) * 2011-04-15 2013-12-04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방법 및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0024B1 (ko)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6883B2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portable digital apparatus and portable digit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0627047B1 (ko) 디지털 카메라 및 그 파일관리방법
KR101120024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파일 관리 방법
KR101113238B1 (ko)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표시방법
KR101149090B1 (ko) 개인적 촬영 조건들을 사용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20040052020A (ko) 재압축을 수행하는 디지털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
KR101156684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분할촬영 방법
KR101113234B1 (ko)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표시방법
KR101156685B1 (ko) 디지털 이미지의 설정변경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이미지 처리장치
KR101105849B1 (ko) 디지털 이미지 재생방법 및 장치
KR101156683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분할촬영 방법
KR101236466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의 이미지 표시 방법
KR101156686B1 (ko) 오토 브래킷 디지털 이미지의 처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KR20060102887A (ko) 촬영 위치의 명칭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KR100910773B1 (ko) 이미지 확대 재생방법
KR101080406B1 (ko) 이미지 재생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KR100697519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의 이미지 검색 방법
KR101109585B1 (ko)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재생방법
KR101113239B1 (ko)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표시방법
US20050083416A1 (en) Method for managing data files in portable digital apparatus utilizing date data and portable digit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101214154B1 (ko) 이미지를 확대 재생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KR1012048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음성 출력을 이용한 기능 안내 방법
KR10161244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76180B1 (ko)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표시방법
KR101246292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이미지 편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