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207A - 방범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207A
KR20060112207A KR1020060027862A KR20060027862A KR20060112207A KR 20060112207 A KR20060112207 A KR 20060112207A KR 1020060027862 A KR1020060027862 A KR 1020060027862A KR 20060027862 A KR20060027862 A KR 20060027862A KR 20060112207 A KR20060112207 A KR 20060112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intruder
monitoring
photographing
monitor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 나카오
신지 후지타
준 마츠자키
요시히토 아카마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간시로켄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간시로켄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간시로켄잔
Publication of KR20060112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21V13/04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eflectors and ref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1Indicating device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 에어리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수단(10)과, 촬영수단(10)으로부터의 촬영 데이터가 보내지는 단말장치(12)와, 단말장치(12)와 통신수단(20)을 통하여 통신접속된 관리장치(8)를 구비한 감시 에어리어를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확실하게 보존할 수 있는 방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12) 및 관리장치(8)는 각각, 단말측 기억수단(30) 및 관리측 기억수단(22)을 구비하고 있고, 촬영수단(10)에 의해 촬영하여 얻어진 촬영 데이터는 단말장치(12)에 보내져 단말측 기억수단(30)에 기억되는 동시에, 통신수단(20)을 통하여 관리장치(8)에 송신되어 관리측 기억수단(22)에 기억된다. 또, 감시 모드로서, 촬영 데이터를 많이 기록하는 제 1 감시 모드와, 촬영 데이터를 적게 기록하는 제 2 감시 모드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을 제공한다.
감시 에어리어, 촬영수단, 단말장치, 통신수단, 관리장치, 단말측 기억수단, 관리측 기억수단, 촬영 데이터

Description

방범 시스템{THE CRIME PREVEN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의한 방범 시스템의 감시 에어리어를 간략적으로 도시하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범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기타의 실시형태의 침입자 검지수단에 의한 감시 에어리어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간략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방범 시스템의 제어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도 4의 플로차트에서의 제 1 감시 모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도 4의 플로차트에서의 제 2 감시 모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방범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부호의 설명)
2, 2A 방범 시스템 6 감시 에어리어
8 관리장치 10 촬영수단
12, 12A 단말장치 14 검지수단
16 경보음 발생수단 20 통신회선
22 관리측 기억수단 30 단말측 기억수단
32 감시 모드 설정수단 34 감시 모드 해제수단
36 제어수단 52 휴대단말장치
66 경보신호 입력수단 72 동작 확인수단
76 동작 응답수단
본 발명은 맨션, 오피스 빌딩, 점포 또는 일반 가옥 등에서의 감시 에어리어 내의 침입자의 유무를 감시하기 위한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맨션, 오피스 빌딩, 점포 또는 일반 가옥 등에서의 감시 에어리어에의 침입자의 유무를 감시하기 위한 방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방범 시스템은 감시 에어리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수단과, 촬영수단으로부터의 촬영 데이터가 보내지는 제어장치 구비하고 있고, 이 제어장치는 촬영수단으로부터의 촬영 데이터가 기억되는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방범 시스템에 의해 감시 에어리어가 감시상태로 되면, 제어장치는 촬영수단을 작동시켜서 감시 에어리어를 촬영하고,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어지는 촬영 데이터는 제어장치에 보내져서 기억수단에 기억된다. 감시 에어리어 내에 침입자가 침입한 경우에는, 촬영수단에 의해 침입자가 촬영되므로, 기억수단에 기억된 촬영 데 이터를 모니터 등으로 확인함으로써, 감시 에어리어 내에 침입한 침입자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2004-310208호 공보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범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감시 에어리어 내에 침입한 침입자가, 감시 에어리어에 설치된 촬영수단이나 제어장치 등에 발각된 경우에는, 증거 은멸을 위해 제어장치가 침입자에 의해 파괴될 우려가 있어, 이렇게 제어장치가 파괴되면, 침입자를 촬영한 촬영 데이터가 파괴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제어장치가 고장 등이 난 경우에는, 감시 에어리어를 촬영한 촬영 데이터가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지 않을 우려가 있어, 방범 시스템의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어장치의 기억 용량에 제한이 있을 때에는, 높은 안전성능을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감시 에어리어를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확실하게 보존할 수 있는 방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방범 시스템은, 감시 에어리어 내의 침입자의 유무를 감시하기 위한 방범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 에어리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의 촬영 데이터가 보내지는 단말장치와, 상기 단말장치와 통신수단을 통하여 통신접속된 관리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관리장치는 각각, 단말측 기억수단 및 관리측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어진 촬영 데이터는,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되어서 상기 단말측 기억수단에 기억되고, 또 상기 단말장치는 이 촬상 데이터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관리장치에 송신하고, 송신된 촬상 데이터는 상기 관리측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방범 시스템에서는, 감시 에어리어 내의 침입자를 검지하기 위한 침입자 검지수단과, 침입자에 대해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감시 모드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감시 모드 설정수단과, 감시 모드의 해제를 행하기 위한 감시 모드 해제수단과, 상기 침입자 검지수단, 상기 경보수단 및 상기 촬영수단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감시 모드 설정수단은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의 촬영 데이터를 많이 기록하는 제 1 감시 모드와,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의 촬영 데이터를 적게 기록하는 제 2 감시 모드로 설정 가능하고,
상기 감시 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제 1 감시 모드 또는 제 2 감시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침입자 검지수단을 작동 상태로 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경보수단의 출력상태를 강제적으로 경보설정 레벨로 설정하고, 또 상기 침입자 검지수단이 감시 에어리어 내의 침입자를 검지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촬영수단을 작동시켜서 감시 에어리어를 촬영하는 동시에, 상기 경보수단을 작동시켜서 상기 경보설정 레벨의 출력상태로써 경보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방범 시스템에서는, 상기 감시 모드 해제 수단에 의해 설정한 제 1 감시 모드 또는 제 2 감시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경보수단의 출력상태를 상기 경보설정 레벨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설정변경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방범 시스템에서는, 상기 감시 모드 설정수단은, 또한 제 3 감시 모드로 설정 가능하고, 상기 감시 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제 3 감시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침입자 검지수단을 작동 상태로 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경보수단의 출력상태를 강제적으로 소음(消音) 상태로 설정하고, 또 상기 침입자 검지수단이 감시 에어리어 내의 침입자를 검지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촬영수단을 작동시켜서 감시 에어리어를 촬영하고, 또 상기 감시 모드 해제수단에 의해 설정한 제 3 감시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경보수단의 출력상태를 소음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설정변경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방범 시스템에서는, 상기 침입자 검지수단은 상기 촬영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의 감시 에어리어의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침입자의 침입을 판정하는 침입자 판정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의 감시 에어리어를 설정하는 감시 에어리어 설정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감시 에어리어 설정수단은 감시 에어리어를 복수의 촬영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촬영영역을 임의로 선택가능하고, 상기 침입자 판정 수단은 상기 감시 에어리어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촬영영역의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침입자의 침입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방범 시스템에서는, 상기 단말장치에 관련하여, 경보신호 입력수단을 구비한 휴대단말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단말장치와 통신접속 되어 있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해서 얻어지는 촬영 데이터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장치에 송신하고, 또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상기 경보신호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경보신호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제어수단은 송신된 상기 경보신호에 대응하는 경보를 상기 경보수단으로부터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방범 시스템에서는, 상기 경보수단은 경보음을 내는 경보음 발생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보설정 레벨은 예비경보 설정 레벨과 본경보 설정 레벨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침입자 검지수단이 감시 에어리어 내의 침입자를 검지하고나서 예비경보 기간이 경과하기 전에는, 상기 예비경보 설정 레벨의 출력상태로써 경보음을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시키고, 또 상기 예비경보 기간의 경과 후의 본경보 기간에는, 상기 본경보 설정 레벨의 출력상태로써 경보음을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방범 시스템에서는, 상기 관리측 기억수단에 관련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동작 확인을 행하는 동작 확인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감시 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제 1 감시 모드 또는 제 2 감시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동작 확인수단은 소정 시간간격마다 동작 확인 신호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 여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침입자 검지수단이 침입자를 검지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동작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되면 시스템 고장으로 판정하고, 상기 침입자 검지수단이 침입자를 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상기 동작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되면 시스템 파손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범 시스템의 1실시형태 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한 방범 시스템의 감시 에어리어를 간략적으로 도시하는 주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범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고, 도 3은 침입자 검지수단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시 에어리어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방범 시스템의 제어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고, 도 5는 도 4의 플로차트에 있어서의 제 1 감시 모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차트이고, 도 6은 도 4의 플로차트에 있어서의 제 3 감시 모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방범 시스템(2)은 예를 들면 맨션, 오피스 빌딩, 점포 또는 일반 가옥 등에서의 감시 에어리어에의 침입자의 유무를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반 가옥(4)에 이 방범 시스템(2)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이 경우, 예를 들면 일반 가옥(4)의 거실 등이 감시 에어리어(6)가 된다. 이하, 이 방범 시스템(2)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방범 시스템(2)은 관리장치(8)와, 감시 에어리어(6)를 촬영하기 위한 촬 영수단(10)과, 촬영수단(10)으로부터의 촬영 데이터가 보내지는 단말장치(12)와, 감시 에어리어(6) 내의 침입자를 검지하기 위한 침입자 검지수단(14)과, 감시 에어리어(6)내의 침입자에 대해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수단으로서의 경보음 발생수단(16)을 구비하고 있다.
관리장치(8)는, 예를 들면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경비 회사 등의 시스템 관리회사(18)에 설치되어 있다. 이 관리장치(8)는 통신회선(20)을 포함하는 통신수단을 통하여 일반 가옥(4)의 단말장치(12)(후술함)와 통신 접속되고, 예를 들면 서버 등으로 구성되는 관리측 기억수단(22)을 구비하고 있고, 이 관리측 기억수단(22)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신회선(20)을 통하여 단말장치(12)로부터 송신되는 촬영 데이터가 기억된다. 또, 이 관리장치(8)는 각종 처리명령 등을 입력 조작하기 위한 입력수단(24)과, 촬영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나 각종 신호 등을 일반 가옥(4)의 단말장치(12)와의 사이에서 서로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수단(26)과, 촬영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28)을 구비하고 있다. 송수신수단(26)은 각종 데이터나 각종 신호 등을 통신회선(20)을 통하여 일반 가옥(4)의 단말장치(12)에 송신하고, 또 일반 가옥(4)의 단말장치(12)로부터의 각종 데이터나 각종 신호 등을 통신회선(20)을 통하여 수신한다. 입력수단(24)은 예를 들면 마우스나 키보드 등으로 구성되고, 또 표시수단(28)은 예를 들면 CRT나 액정 표시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회선(20)은 인터넷 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휴대전화 회선, 유선전화 회선, 그 밖의 공중 회선, 전용선 또는 그 밖의 네트워크 회선으로 구성 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수단(10)은, 예를 들면 적외선 카메라나 CCD 카메라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반 가옥(4)의 감시 에어리어(6) 내의 벽이나 천장 등에 부착되어(도 1 참조), 감시 에어리어(6)의 거의 전역을 촬영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촬영수단(10)은 전기 케이블(도시 생략)을 통하여 단말장치(12)와 통신 접속되어 있고, 촬영수단(10)에 의해 감시 에어리어(6)를 촬영하면, 감시 에어리어(6)를 촬영한 촬영 데이터(동화상 데이터 또는 정지 화상 데이터)가 촬영수단(10)으로부터 전기 케이블을 통하여 단말장치(12)로 보내진다. 또한, 이 촬영수단(10)은 감시 에어리어(6)를 복수의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복수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단말장치(12)는 예를 들면 일반 가옥(4)의 감시 에어리어(6) 내에 설치되는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함) 등으로 구성되고(도 1 참조), 단말측 기억수단(30), 감시 모드 설정수단(32), 감시 모드 해제수단(34) 및 제어수단(36)을 구비하고 있다. 단말측 기억수단(30)은,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되고, 촬영수단(10)으로부터 전기 케이블을 통하여 보내지는 촬영 데이터가 기억된다. 감시 모드 설정수단(32)은 제 1 감시 모드, 제 2 감시 모드 및 제 3 감시 모드에 각각 설정하기 위한 것이고, 감시 모드 해제수단(34)은 감시 모드 설정수단(32)에 의해 설정된 제 1 감시 모드, 제 2 감시 모드 또는 제 3 감시 모드를 각각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수단(36)은, 촬영수단(10), 검지수단(14) 및 경보음 발생수단(16)(후술함)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침입자 검지수단(14)의 작동을 지연시키는 지연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지연시간 설정수단(38), 경보음 발생수단(16)의 출 력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출력상태 설정수단(40), 침입자의 침입에 의한 이상을 판정하기 위한 이상판정수단(42), 및 경보 기간(이 실시형태에서는, 예비경보 기간 및 본경보 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경보 기간 설정수단(44)(후술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단말장치(12)에는 방범 시스템(2)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편입되어 있고, 감시 모드 설정수단(32), 감시 모드 해제수단(34) 및 제어수단(36)은 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기능된다.
또한, 이 단말장치(12)는 각종 데이터 및 각종 처리명령 등을 입력조작하기 위한 입력수단(46)과, 촬영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나 각종 신호 등을 시스템 관리회사(18)의 관리장치(8)와의 사이에서 서로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수단(48)과, 촬영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50)을 구비하고 있다. 송수신수단(48)은 각종 데이터나 각종 신호 등을 통신회선(20)을 통하여 시스템 관리회사(18)의 관리장치(8)에 송신하고, 또 시스템 관리회사(18)의 관리장치(8)로부터의 각종 데이터나 각종 신호 등을 통신회선(20)을 통하여 수신하고, 관리장치(8) 측의 송수신수단(26), 통신회선(20) 및 단말장치(12) 측의 송수신수단(48)이 관리장치(8)와 단말장치(12)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구성한다. 입력수단(46)은 예를 들면 마우스나 키보드 등으로 구성되고, 또 표시수단(50)은 예를 들면 CRT나 액정 표시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침입자 검지수단(14)은, 예를 들면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반 가옥(4)의 감시 에어리어(6) 내의 벽이나 천장 등에 부착되어 있다(도 1 참조). 침입자 검지수단(14)은 이 검지수단(14)의 전방에 규정되는 검 지 공간(즉, 감시 에어리어(6)) 내의 동적 물체를 검지하고, 이것에 의해, 감시 에어리어(6) 내에 침입한 침입자가 이 검지수단(14)에 의해 검지된다. 이 침입자 검지수단(14)은 전기 케이블(도시 생략)을 통하여 단말장치(12)와 통신 접속되어 있고, 이 검지수단(14)이 감시 에어리어(6) 내의 침입자를 검지하면, 침입자 검지수단(14)으로부터의 검지 신호가 전기 케이블을 통하여 단말장치(12)의 제어수단(36)에 보내진다.
경보음 발생수단(16)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용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기 케이블(도시 생략)을 통하여 단말장치(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감시 에어리어(6) 내의 단말장치(12)의 근방 등에 설치된다(도 1 참조). 이 경보음 발생수단(16)은 제 1 또는 제 2 감시 모드의 설정시에는 그 출력상태가 경보설정 레벨(예를 들면, 중음량∼대음량)로 설정되어, 경보음(경보)을 출력하기 위한 경보음 발생장치로서 사용되고, 또 제 1 또는 제 2 감시 모드의 해제시에는, 그 출력상태가 경보설정 레벨을 설정하기 전의 출력 레벨(예를 들면, 중음량 이하 또는 소음(消音) 상태)로 설정되어, 예를 들면 단말장치(12)를 사용하여 음악이나 영화 등을 감상하기 위한 스피커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경보음 발생수단(16)은 제 3 감시 모드의 설정시에는 그 출력상태가 소음 상태로 설정되어, 이 제 3 감시 모드일 때에는 경보음(경보)을 출력하지 않고, 따라서, 야간 등에 있어서 주위에 큰 경보음을 내는 일이 없다. 한편, 제 3 감시 모드의 해제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출력상태가 소음 상태로 설정되기 전의 출력 레벨로 설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 경보설정 레벨은 예비경보 설정 레벨과 본경보 설정 레벨로 설정되도록 구성되고, 예비경보 설정 레벨은 본경보 설정 레벨보다도 낮은 출력상태로 설정된다. 경보음 발생수단(16)의 출력상태는, 제어수단(36)의 출력상태 설정수단(40)에 의해, 예비경보시(후술함)에는 예비경보 설정 레벨로 설정되고, 또 본 경보시(후술함)에는 본경보 설정 레벨로 설정된다. 또, 이 경보음 발생수단(16)은, 제 3 감시 모드의 설정시에는, 그 출력상태가 소음 상태(소리를 발생하지 않는 출력상태)로 설정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침입자 검지수단(14)을 적외선 센서로 구성하고 있지만, 이러한 전용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촬영수단(10)로부터의 촬영 데이터를 사용하여 침입자를 검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단말장치(12)의 제어수단(36)은 침입자 판정 수단(도시 생략)을 포함하고, 감시 모드 설정수단(32)에 의해 감시 모드(제 1∼제 3 감시 모드 모두)를 설정하면, 이때의 촬영수단(10)의 촬영 데이터(촬영정보)가 단말측 기억수단(30)에 기억되고, 침입자 판정 수단은 단말측 기억수단(30)에 기억된 촬영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로 하고, 소정 시간간격, 예를 들면 15초 간격으로 촬영수단(10)이 촬영하는 촬영 데이터를 비교하고, 소정 시간간격에 촬영되는 촬영 데이터에 변화가 없을 때에는 침입자가 없다고 판정하고, 이 촬영 데이터에 어느 정도 큰 변화가 발생했을 때에 침입자 있다고 판정하고, 이렇게 촬영수단(10)의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침입자를 검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촬영수단(14)의 촬영 데이터를 사용하여 침입자를 검지할 때에는, 감시 에어리어를 설정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말장치(12)의 제어수단(36)은 감시 에어리어 설정수단(도시 생략)을 더 포함하고, 촬영수단(10) 의 촬영 에어리어를 복수의 촬영영역으로 분할하고, 이 감시 에어리어 설정수단에 의해, 감시해야 할 원하는 촬영영역을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수단(10)에 의한 촬영 데이터(촬영정보)가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고 하면, 이 감시 에어리어를 예를 들면 바둑판의 눈과 같이 분할하고, 예를 들면 좌우측 방향의 분할된 영역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1」, 「2」…로 번호를 붙이고, 또 예를 들면 상하방향의 분할된 영역을 위에서 아래로 「A」, 「B」…로 기호를 붙이고, 감시 에어리어로부터 벗어나는 촬영영역을 번호와 기호로 선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는, 이러한 선정 대신, 감시 에어리어로부터 벗어나는 감시영역을 입력수단(46)으로서의 마우스(도시 생략)로 클릭하여 선정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감시 에어리어의 촬영 데이터의 화상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고 하면, 실외의 차량, 사람 등의 이동이, 창(W)을 통해서 촬영수단(10)의 촬영 데이터에 들어갈 우려가 있고, 이러한 경우, 감시 에어리어에 침입자가 들어가지 않아도 촬영 데이터가 변화되어서 침입자 검지수단(14)이 침입자를 오검지할 우려가 생긴다. 이러한 오검지를 배제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창(W)을 포함하는 촬영영역, 예를 들면 촬영영역 「1, B」, 「1, C」, 「2, B」 및 「2, C」를 감시 에어리어로부터 벗어나도록, 감시 에어리어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하면 되고, 이렇게 설정했을 때에는, 침입자 판정 수단은 설정한 감시 에어리어의 기준 데이터와 촬영수단(10)으로부터의 설정된 감시 에어리어의 촬영 데이터를 대비하여 침입자의 유무 를 판정하고, 이렇게 하여, 실외의 변동에 영향받지 않고 감시 에어리어의 침입자의 유무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감시 에어리어를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각각 5분할 하여 촬영영역을 25로 분할하고 있는데,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각각 10분할 하여 촬영 에어리어를 100으로 분할해도 좋고, 이러한 분할양식, 분할수는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와 함께 도 4∼도 6을 사용하여, 이 방범 시스템(2)의 제어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일반 가옥(4)에서 단말장치(12)의 전원이 투입되고(스텝S1), 예를 들면 가인(家人)이 집에 있어서 감시 에어리어(6)의 감시를 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S2로부터 스텝S3로 진행되고, 단말장치(12)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로서의 통상의 사용(예를 들면, 워드프로세서나 인터넷 단말 등으로서의 사용)이 이루어진다. 또, 경보음 발생수단(16)의 출력상태는 사용자의 설정출력 레벨, 예를 들면 통상 설정 레벨로 설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경보음 발생수단(16)은, 예를 들면 음악감상용의 스피커로서의 일반적인 출력상태의 음량에서의 사용이 이루어진다.
한편, 예를 들면 가인이 외출할 때에 감시 에어리어(6)의 감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스텝S2로부터 스텝S4로 진행되고, 단말장치(12)의 방범 시스템(2)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시킨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시키면, 단말장치(12)의 표시수단(50)에 제 1 감시 모드, 제 2 감시 모드 및 제 3 감시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제 1 감시 모드는 촬영수단 (10)의 촬영 데이터를 많이 기록하는(예를 들면 1초 1코마의 화상 데이터를 10초간을 1세트로 하여 기록함) 동시에 경보음에 의한 경보의 출력을 행하는 감시 모드로서, 촬영 데이터를 충분히 기록할 때에 이 모드가 선택된다. 제 2 감시 모드는 촬영수단(10)의 촬영 데이터를 적게 기록하는(예를 들면 2초 1코마의 화상 데이터를 6초간을 1세트로 하여 기록함) 동시에 경보음에 의한 경보의 출력을 행하는 감시 모드로서, 단말측 기억수단(30)의 기억 용량이 적을 때에 이 모드가 선택된다. 또, 제 3 감시 모드는 감시 에어리어(6)의 촬영만을 행하는 감시 모드이며, 경보음에 의해 주위에 폐를 끼칠 때에 이 모드가 선택된다. 또한, 이 제 3 감시 모드에서의 촬영수단(10)의 촬영 데이터는 제 1 감시 모드와 동일한 촬영 데이터를 얻도록 해도 좋고, 또 제 2 감시 모드와 동일한 촬영 데이터를 얻도록 해도 좋고, 또는, 이것들의 촬영 데이터를 선택가능하도록 하게 해도 좋다.
많은 촬영 데이터를 얻음과 동시에 경보음에 의한 경보를 행하는 경우에는, 단말장치(12)의 입력수단(46)을 조작하여 표시수단(50)에 표시된 선택화면으로부터 제 1 감시 모드를 선택하고(스텝S5), 이것에 의해 감시 모드 설정수단(32)에 의해 제 1 감시 모드로 설정되어서 방범 시스템(2)이 작동되고, 제 1 감시 모드에 의한 감시가 행해진다(스텝S7).
이 제 1 감시 모드에 의한 감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먼저, 제어수단(36)의 출력상태 설정수단(40)은 경보음 발생수단(16)의 출력상태를 예를 들면, 통상 설정 레벨로부터 예비경보 설정 레벨로 강제적으로 설정변경시킨다(스텝S7-1). 제어수단(36)의 지연시간 설정수단(38)은 제 1 감시 모드로 설정되고나서 침입자 검지수단(14)이 작동 상태로 될 때까지의 지연시간을 설정하고, 이것에 의해 침입자 검지수단(14)은 제 1 감시 모드로 설정되고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면 약 1분 정도) 경과 후에 작동 상태로 된다(스텝S7-2, S7-3). 이와 같이, 제 1 감시 모드로 설정되고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 할 때까지는, 제어수단(36)은 침입자 검지수단(14)을 비작동 상태로 유지하므로, 가인이 감시 에어리어(6)로부터 빠져나갈 때에, 침입자 검지수단(14)이 가인(家人)을 검지하는 일이 없다.
이 지연시간이 경과하고 침입자 검지수단(14)이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침입자가 감시 에어리어(6) 내에 침입하면, 이 검지수단(14)이 이 침입자를 검지하고(스텝S7-4), 침입자 검지수단(14)으로부터의 검지 신호가 전기 케이블을 통하여 제어수단(36)에 보내진다. 이러한 검지 신호가 보내지면, 이상판정 수단(42)은 이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감시 에어리어(6) 내에 침입자가 침입했다고 판정한다(스텝S7-5). 이와 같이 이상판정 수단(42)이 이상이라고 판정하면, 제어수단(36)은 경보음 발생수단(16)을 작동시켜 예비경보 설정 레벨의 출력상태로써 경보음을 출력시키고(스텝S7-6), 침입자에 대해 예비적인 위협을 행하는 예비경보가 행해진다. 이 예비경보가 행해지는 기간(즉, 예비경보 기간)은, 제어수단(36)의 경보 기간 설정수단(44)에 의해 설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예비경보는 검지수단(14)이 침입자를 검지하고나서 예비경보 기간(예를 들면 약 1 분 정도로 설정됨)이 경과 할 때까지 행해진다. 이 예비경보는, 예를 들면 「머지않아 경보가 작동합니다.」 등의 음성에 의한 예를 들면 중음량 레벨의 경보음이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반복하여 경보음 발생수단(16)으로부터 출력됨으로써 행해진다.
이와 같이 예비경보가 행해짐과 동시에, 제어수단(36)은 촬영수단(10)을 작동시켜서 감시 에어리어(6)를 촬영하고(스텝S7-7), 이것에 의해 감시 에어리어(6) 내에 침입한 침입자가 촬영수단(10)에 의해 촬영되고, 촬영수단(10)으로부터의 촬영 데이터가 전기 케이블을 통하여 단말장치(12)로 보내져서 단말측 기억수단(30)에 기억된다(스텝S7-8). 또, 단말장치(12)는 촬영수단(10)으로부터 보내진 촬영 데이터를 단말장치(12)의 송수신수단(48)에 의해 통신회선(20)을 통하여 관리장치(8)에 송신하고(스텝S7-9), 이 송신된 촬영 데이터는 관리장치(8)의 송수신수단(26)에 의해 수신되어 관리측 기억수단(22)에 기억된다(스텝S7-10). 이것에 의해, 촬영 데이터는 단말장치(12)의 단말측 기억수단(30) 및 관리장치(8)의 관리측 기억수단(22) 양쪽에 기억(보존)되어, 가령 단말장치(12)가 파괴되었다고 해도, 이 촬영 데이터는 관리측 기억수단(22)에 남게 되어, 감시 에어리어(6)에 침입한 침입자의 촬영 데이터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이 예비경보 기간이 경과하면, 침입자에 대해 본격적인 위협을 행하는 본경보가 행해진다. 이 본경보가 행해지는 기간(즉, 본경보 기간)은 제어수단(36)의 경보 기간 설정수단(44)에 의해 설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본경보는 예비경보 기간의 경과 후, 본경보 기간(예를 들면 10분 정도로 설정됨)이 경과 할 때까지 행해지게 된다. 또, 예비경보 기간이 경과하면, 제어수단(36)의 출력상태 설정수단(40)은 경보음 발생수단(16)의 출력상태를 예비경보 설정 레벨로부터 본경보 설정 레벨로 설정변경시키고, 제어수단(36)은 이 본경보 설정 레벨의 출력상태로써 경보음을 경보음 발생수단(16)으로부터 출력시킨다(스텝S7-11, S7-12). 이 본경보는, 예를 들면, 대음량 레벨의 사이렌 소리 등의 경보음이 경보음 발생수단(16)으로부터 출력됨으로써 행해지고, 이것에 의해 침입자를 위협해서 감시 에어리어(6)로부터 물러나도록 하는 것이다. 본경보 기간이 경과하면, 스텝S7-13로부터 스텝S7-14로 진행되고, 제어수단(36)은 경보음 발생수단(16)으로부터의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촬영수단(1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스텝S7-15). 그 후에 스텝S7-4로 되돌아오고, 제 1 감시 모드에 의한 감시 에어리어(6)의 감시가 계속해서 행해진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경보음 발생수단(16)에 의한 본경보를 본경보 기간(예를 들면 10분 정도) 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성 대신에, 경보음 발생수단(16)에 의한 본경보 및 촬영수단(10)에 의한 감시 에어리어(6)의 촬영 데이터의 취득을, 예를 들면 침입자가 감시 에어리어(6)로부터 빠져나갈 때까지, 즉 침입자 검지수단(14)이 침입자를 검지하지 못하게 될 때까지 계속해서 행하도록 해도 좋다.
다시 스텝S7-4로 되돌아오고, 제 1 감시 모드 설정중에, 예를 들면 귀가한 가인이 감시 에어리어(6) 내에 들어가면, 침입자 검지수단(14)이 가인을 검지하고, 스텝S7-4로부터 스텝S7-10이 상기한 바와 같이 실행되어, 상기한 바와 동일하게 예비경보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 예비경보 기간 내에, 가인이 단말장치(12)의 입력수단(46)을 해제조작 하면, 감시 모드 해제수단(34)은 해제신호에 기초하여 설정된 제 1 감시 모드를 해제하고(스텝S7-11, S7-16), 제어수단(36)은 이 경보음 발생수단(16)으로부터의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촬영수단(10) 및 침입자 검지수단(14)의 작동을 정지시킨다(스텝S7-17,S7-18). 또, 제어수단(36)의 출력상태 설정수단(40)은 경보음 발생수단(16)의 출력상태를 예비경보 설정 레벨로부터 제 1 감시 모드 설정 전의 원래의 상태(즉, 예를 들면 통상설정 레벨)로 설정변경한다(스텝S7-19).
이러한 제 1 감시 모드의 해제는, 본경보 기간 내에서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본경보 기간 내에 입력수단(46)에 의해 해제조작하면, 상기한 것과 동일하게, 감시 모드 해제수단(34)은 해제신호에 기초하여 설정된 제 1 감시 모드를 해제하고, 제어수단(36)은 경보음 발생수단(16)의 경보음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촬영수단(10) 및 침입자 검지수단(14)의 작동을 정지하고, 또 경보음 발생수단(16)의 출력상태를 본경보 설정 레벨로부터 제 1 감시 모드 설정 전의 출력 레벨로 되돌린다.
이와 같이 제 1 감시 모드를 해제한 후, 가인이 단말장치(12)의 입력수단(46)을 조작함으로써, 단말측 기억수단(30)에 기억된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또는, 화상정보)을 표시수단(50)에 표시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가인의 부재중에 있어서의 감시 에어리어(6)의 모습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예를 들면 단말장치(12)의 문제 등에 의해 촬영 데이터가 단말측 기억수단(30)에 기억되어 있지 않았을 때에는, 단말장치(12)의 입력수단(46)을 조작함으로써, 관리장치(8)의 관리측 기억수단(22)에 기억된 촬영 데이터가 통신회선(20)을 통하여 단말장치(12)의 송수신수단(48)에 의해 수신되고, 이 수신된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또는, 화상정보)을 단말장치(12)의 표시수단(50)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침입자에 의해 단말장치(12)가 파괴된 경우라도, 촬영 데이터는 관리장치(8)의 관 리측 기억수단(22)에 기억되어 있으므로, 시스템 관리회사(18)에서,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또는, 화상정보)을 관리장치(8)의 표시수단(28)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가인의 부재중에 있어서의 감시 에어리어(6)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감시 모드에서, 침입자 검지수단(14)이 감시 에어리어(6) 내의 침입자를 검지했을 때에, 단말장치(12)가 감시 에어리어(6) 내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이상발생 신호 등을 통신회선(20)을 통하여 관리장치(8)에 송신하고, 송신된 이상발생 신호에 기초하는 경보표시가 관리장치(8)의 표시수단(50)에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이 표시를 본 시스템 관리회사(18)의 오퍼레이터는 관리장치(8)의 입력수단(24)을 조작하여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또는, 화상정보)을 표시수단(50)에 리얼타임으로 표시되게 하여 감시 에어리어(6)의 모습을 확인하고, 감시 에어리어(6) 내에 침입자가 침입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시스템 관리회사(18)의 경비원 등을 이 일반 가옥(4)으로 향하게 할 수 있고, 또 경찰 등에 통보하여 경찰관을 일반 가정(4)으로 출동요청 할 수도 있다.
스텝S4에서, 경보음에 의한 경보를 행하는데, 촬영수단(10)에 의한 촬영 데이터를 적게 하는 경우에는, 단말장치(12)의 입력수단(46)을 조작하여 표시수단(50)에 표시된 선택화면으로부터 제 2 감시 모드를 선택하고(스텝S8), 이것에 의해 감시 모드 설정수단(32)에 의해 제 2 감시 모드로 설정되어 방범 시스템(2)이 작동되고, 제 2 감시 모드에 의한 감시가 행해진다(스텝S8).
이 제 2 감시 모드에 의한 감시는, 상기한 제 1 감시 모드에 의한 감시와 동일하게 행해지고, 촬영수단(10)에 의해 얻어지는 촬영 데이터의 기록량이 제 1 감 시 모드보다도 적은 점을 제외하면 그 밖은 제 1 감시 모드의 제어와 동일하고, 그렇기 때문에, 이 제 2 감시 모드에 의한 감시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 스텝S4에서 촬영수단(10)에 의한 촬영 데이터를 취득하지만, 경보음에 의한 경보를 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말장치(12)의 입력수단(46)을 조작하여 표시수단(50)에 표시된 선택화면으로부터 제 3 감시 모드를 선택하고(스텝S10), 이것에 의해 감시 모드 설정수단(32)에 의해 제 3 감시 모드로 설정되어 방범 시스템(2)이 작동되고, 제 3 감시 모드에 의한 감시가 행해진다(스텝S11). 이 제 3 감시 모드에 의한 감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제 3 감시 모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수단(36)의 지연시간 설정수단(38)에 의해 지연시간이 설정되고, 이것에 의해 침입자 검지수단(14)은 제 3 감시 모드로 설정되고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면, 1분 정도) 경과 후에 작동 상태로 된다(스텝S11-1, S11-2).
이 지연시간이 경과하고 침입자 검지수단(14)이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침입자가 감시 에어리어(6) 내에 침입하면, 침입자 검지수단(14)이 이 침입자를 검지하고(스텝S11-3), 이 검지수단(14)으로부터의 검지 신호가 전기 케이블을 통하여 제어수단(36)으로 보내진다. 이렇게 검지 신호가 보내지면, 이상판정 수단(42)은 이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감시 에어리어(6) 내에 침입자가 침입했다고 판정한다(스텝S11-4). 이와 같이 이상판정 수단(42)이 이상이라고 판정하면, 제어수단(36)은 촬영수단(10)을 작동시켜 감시 에어리어(6)를 촬영하고(스텝S11-5), 이것에 의해 감시 에어리어(6) 내에 침입한 침입자가 촬영수단(10)에 의해 촬영되고, 촬영수단 (10)으로부터의 촬영 데이터가 전기 케이블을 통하여 단말장치(12)에 보내져 단말측 기억수단(30)에 기억된다(스텝S11-6). 또, 단말장치(12)는 촬영수단(10)으로부터 보내진 촬영 데이터를 단말장치(12)의 송수신수단(48)에 의해 통신회선(20)을 통하여 관리장치(8)에 송신하고(스텝S11-7), 이 송신된 촬영 데이터는 관리장치(8)의 송수신수단(26)에 의해 수신되어 관리측 기억수단(22)에 기억된다(스텝S11-8). 이와 같이 촬영 데이터는 단말장치(12)의 단말측 기억수단(30) 및 관리장치(8)의 관리측 기억수단(22) 쌍방에 기억(보존)되므로, 가령 단말장치(12)가 파괴되었다고 해도, 이 촬영 데이터는 관리측 기억수단(22)에 남게 된다.
그 후, 침입자가 감시 에어리어(6)로부터 빠져나가 침입자 검지수단(14)이 침입자를 검지하지 못하게 되면, 제어수단(36)은 촬영수단(10)의 작동을 정지하고(스텝S11-9, S11-10), 다시 스텝S11-3으로 되돌아와, 제 3 감시 모드에 의한 감시 에어리어(6)의 감시가 계속해서 행해진다.
스텝S8-3에서, 제 3 감시 모드 설정중에, 예를 들면 귀가한 가인이 감시 에어리어(6) 내에 들어왔을 때에는, 상기한 것과 동일하게 스텝S11-3으로부터 스텝S11-8까지가 실행되고, 촬영수단(10)에 의한 감시 에어리어(6)의 촬영이 행해지고, 그 촬영 데이터가 단말측 기억수단(30)에 기억된다. 이때, 가인이 단말장치(12)의 입력수단(46)을 해제조작 하면, 감시 모드 해제수단(34)은 설정된 제 3 감시 모드를 해제하고(스텝S11-9, S11-11), 제어수단(36)은 촬영수단(10) 및 침입자 검지수단(14)의 작동을 정지시키고(스텝S11-12), 이렇게 하여 제 3 감시 모드에 의한 감시가 종료한다.
제 3 감시 모드를 해제한 후, 가인이 단말장치(12)의 입력수단(46)을 조작함으로써, 단말측 기억수단(30)에 기억된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또는, 화상정보)을 표시수단(50)에 표시되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가인의 부재중에 있어서의 감시 에어리어(6)의 모습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가인의 부재중에 감시 에어리어(6)에 이상이 없던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 단말장치(12)의 입력수단(46)을 조작하여 단말측 기억수단(30)에 기억된 촬영 데이터를 소거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는, 단말측 기억수단(30)에는, 소정 작동 회수, 예를 들면 50개분(즉, 방범 시스템(2)의 작동 50회분)의 촬영 데이터가 축적되어 기억되도록 하고, 50개분의 촬영 데이터가 단말측 기억수단(30)에 축적되어 있는 상태에서, 새롭게 최신의 촬영 데이터가 기억되면, 그것과 동시에 가장 오래된 촬영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소거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시스템 관리회사(18)의 오퍼레이터가 관리장치(8)의 표시수단(28)에 리얼타임으로 표시된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또는, 화상정보)을 감시해 두도록 하고, 오퍼레이터가 감시 에어리어(6) 내에 침입자가 침입한 것을 확인했을 때에, 시스템 관리회사(18)의 경비원 등을 일반 가옥(4)으로 향하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방범 시스템(2)에서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가 달성된다. 촬영수단(10)에 의해 촬영하여 얻어지는 촬영 데이터는 단말장치(12)의 단말측 기억수단(30) 및 관리장치(8)의 관리측 기억수단(22) 쌍방에 기억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침입자가 감시 에어리어(6)에 설치된 단말장치(12)를 파괴한 경우나, 단말장치(12) 및 관리장치(8)의 어느 한쪽이 고장난 경우라도, 감시 에어리어 (6)를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확실하게 보존할 수 있어, 감시 에어리어(6) 내에 침입한 침입자를 확실하게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한 방범 시스템(2)은 기존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짜 넣음으로써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고, 또 기존의 음악감상용 스피커 등을 경보음 발생수단(16)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방범 시스템(2)의 도입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방범 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방범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7에서, 도 1∼도 5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의 구성요소와 실질상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서, 이 밖의 실시형태의 방범 시스템(2A)에서는, 단말장치(12A)에 관련하여 휴대단말장치(52)가 설치되고, 단말장치(12A)와 휴대단말장치(52)가 통신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휴대단말장치(52)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나 휴대정보 단말 등으로 구성되고, 통신회선(20)을 통하여 일반 가옥(4)의 단말장치(12A)와 통신접속되어 있다. 이 휴대단말장치(52)는 휴대단말 본체(54)와, 각종 처리명령이나 각종 신호 등을 입력조작하기 위한 입력수단(56)과, 촬영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58)과, 촬영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나 각종 신호 등을 일반 가옥(4)의 단말장치(12A)와의 사이에서 서로 송수신 하기 위한 송수신수단(60)으로 구성되고, 휴대단말장치(52)측의 송수신수단(60), 통신회선(20) 및 단말장치(12A)측의 송수신수단(48)이 휴대단말장치(52)와 단말장치(12A)의 사이에 서 송수신 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구성한다. 이 휴대단말 본체(54)는 휴대단말측 제어수단(62)과, 촬영 데이터가 기억되는 휴대단말측 기억수단(63)을 구비하고 있다. 입력수단(56)은 텐키(64) 및 경보신호 입력수단(66)으로 구성되고, 또 표시수단(58)은 액정표시 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수단(56)의 경보신호 입력수단(66)은, 예를 들면 음성 마이크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육성에 기초하는 경보신호(음성신호)가 이 경보신호 입력수단(66)으로부터 입력된다. 또, 단말장치(12A)의 제어수단(36A)은 휴대단말장치(52)의 경보신호 입력수단(66)로부터의 경보신호를 요구되는 대로 처리하기 위한 경보신호 처리수단(68)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밖의 실시형태의 방범 시스템(2A)에서는, 제 1 감시 모드 또는 제 2 감시 모드의 설정시에 검지수단(14)이 침입자를 검지한 경우에는, 단말장치(12A)의 제어수단(36A)은 이상발생 신호를 송수신수단(60) 및 통신회선(20)을 통하여 휴대단말장치(52)의 휴대단말 본체(54)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송신된 이상발생 신호를 송수신수단(60)을 통하여 휴대단말 본체(54)가 수신하면, 휴대단말 본체(54)의 휴대단말측 제어수단(62)은 감시 에어리어(도시 생략) 내에 침입자가 침입한 것을 나타내는 경보표시를 휴대단말장치(52)의 표시수단(58)에 표시되게 한다. 휴대단말장치(52)를 휴대하고 있는 외출지의 가인은, 휴대단말장치(52)의 표시수단(58)에 표시된 경보표시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감시 에어리어 내에 침입자가 침입한 것을 알 수 있다.
감시 에어리어의 모습을 확인하는 경우에는, 휴대단말장치(54)의 입력수단(56)을 입력조작하여 촬영수단(10)의 촬영 데이터를 얻도록 하면 되고, 이렇게 입 력 조작하면, 휴대단말장치(54)의 휴대단말측 제어수단(62)은 송신지령 신호를 통신회선(20)을 통하여 단말장치(12A)에 송신하고, 단말장치(12A)는 수신한 송신지령 신호에 기초하여 촬영 데이터를 송수신수단(48) 및 통신회선(20)을 통하여 휴대단말장치(52)에 송신한다. 이 송신된 촬영 데이터는 휴대단말측 기억수단(63)에 기억되는 동시에,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또는, 화상정보)이 표시수단(58)에 리얼타임으로 표시되고, 이것에 의해 가인이 외출지 등에서 일반 가옥(4)의 감시 에어리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에어리어 내에 침입자가 침입한 것을 확인했을 때에는, 시스템 관리회사(18)나 경찰에 통보하는 등의 적절한 처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 3 감시 모드의 설정시에도 동일하게, 외출지의 가인은, 휴대단말장치(52)의 입력수단(56)을 조작함으로써,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또는, 화상정보)을 표시수단(58)에 리얼타임으로 표시시킬 수 있어, 감시 에어리어 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밖의 실시형태에서는, 휴대단말장치(52)의 경보신호 입력수단(66)을 향해서 육성으로 소리냄으로써, 감시 에어리어(6) 내에 침입한 침입자에 대해 직접적으로 경보를 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인의 육성에 의한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입력수단(66)에 입력되면(경보신호 입력수단(66)을 향해서 육성으로 소리 내면), 경보신호 입력수단(66)에 입력된 경보신호는, 휴대단말장치(52)의 송수신수단(60) 및 통신회선(20)을 통하여 단말장치(12A)에 송신되고, 제어수단(36A)의 경보신호 처리수단(68)은 송신된 경보신호를 송수신수단(48)을 통하여 수신하여 요구되는 대 로 처리하고, 이것에 의해 제어수단(36A)은 이 경보신호에 대응하는 경보음(경보)을 경보음 발생수단(16)으로부터 출력시킨다. 예를 들면, 「즉시 감시 에어리어로부터 물러나라.」 등의 가인의 육성이 경보음 발생수단(16)으로부터 출력되고, 이것에 의해 효과적으로 침입자를 위협할 수 있다. 또한, 제 3 감시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는, 제어수단(36A)의 출력상태 설정수단(40)은 경보음 발생수단(16)의 출력상태를 소음 상태로 설정하므로 휴대단말장치(52)를 사용한 이러한 위협을 행할 수는 없다.
이러한 휴대단말장치(52)에 의한 경보는, 도 1∼도 6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의 경보음 발생수단(16)에 의한 경보(예를 들면, 사이렌 소리 등에 의한 경보)에 더하여 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경보를 행함으로써 침입자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위협을 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 대신, 휴대단말장치(52)에 의한 경보만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입력수단(56)의 텐키(64)를 조작함으로써, 휴대단말측 제어수단(62)이 경보지령 신호를 통신회선(20)을 통하여 단말장치(12A)에 송신하고, 단말장치(12A)의 제어수단(36A)은 이 경보지령 신호에 기초하여 경보음 발생수단(16)으로부터 경보설정 레벨의 출력상태로써 사이렌 소리 등의 경보음을 출력시켜도 좋다. 또는, 감시 에어리어에 집음 마이크(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단말장치(12A)의 제어수단(36A)이 집음 마이크로부터의 음 신호를 통신회선(20)을 통하여 휴대단말장치(52)에 송신하도록 구성하고, 휴대단말장치(52)에 설치한 스피커(도시 생략)에 의해 감시 에어리어 내의 소리를 출력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밖의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단말장치(12A)의 동작 확인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관련하여, 관리장치(8A)에는 동작 확인수단(72) 및 시간측정 수단(74)이 설치되고, 또 단말장치(12A)의 제어수단(36A)에는 동작 응답 수단(76) 및 시간측정 수단(78)이 설치된다. 관리장치(8A)의 동작 확인수단(72)은 동작 확인 신호를 소정 시간간격, 예를 들면 10분 간격으로 생성하고, 단말장치(12A)의 동작 응답수단(76)은 상기 동작 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 응답신호를 생성한다. 또, 시간측정 수단(74, 78)은 시각을 측정한다.
단말장치(12A)의 동작 확인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감시 모드 설정수단(32)에 의해 제 1(또는 제 2, 제 3) 감시 모드가 설정되면, 이 설정신호가 통신회선(20)을 통하여 관리장치(8A)에 송신되고, 제 1(또는 제 2, 제 3) 감시 모드에 의한 감시 동안에 걸쳐 동작 확인이 행해진다. 즉, 관리장치(8A)의 동작 확인수단(72)은 소정 시간간격마다 동작 확인 신호를 생성하고, 이 동작 확인 신호를 통신회선(20)를 통하여 단말장치(12A)에 송신한다. 한편, 단말장치(12A)의 동작 응답수단(76)은 동작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동작 응답신호를 생성하고, 이 동작 응답신호를 통신회로(20)를 통하여 관리장치(8A)에 송신하고, 관리장치(8A)의 동작 확인수단(72)이 이 동작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동작 확인 신호에 응답하는 동작 응답신호를 수신하므로, 이 동작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되면 단말장치(12A)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한 것이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동작 확인수단(72)은, 침입자 검지수단(14)이 침입자를 검지하고 있지 않을 때에 이 동작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되면 시스템에 어떠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하여 시스템 고장 으로 판정하고, 그 내용을 표시수단(28)에 표시하고, 이것에 의해 관리장치(8A)측에서 시스템 고장을 알 수 있고, 또 침입자 검지수단(14)이 침입자를 검지하고 있을 때에 이 동작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되면 단말장치(12A)가 침입자에 의해 파손되었다고 간주하여 시스템 파손으로 판정하고, 그 내용을 표시수단(28)에 표시하고, 이것에 의해 관리장치(8A)측에서 시스템 파손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시스템 고장 또는 시스템 파손이 발생했을 때에, 관리장치(8A)로부터 휴대단말장치(52)에 그 취지를 메일 등으로 송신하도록 하여 가인에게 알리도록 해도 좋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단말장치(12A)가 시간 측정 수단(78)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 시간 측정 수단(78)의 시각정보를 이용하여, 촬영수단(10)의 촬영 데이터에 이 시간 측정 수단(78)의 시각 데이터를 조합시킨 시각표시 촬영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 시각표시 촬영 데이터를 단말측 기억수단(30)에 기억함과 동시에, 관리측 기억수단(22)에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시각 데이터를 조합함으로써, 침입자의 감시 에어리어에의 침입 이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촬영 데이터의 재생이 대단히 용이하게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휴대단말장치(52)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 휴대단말장치(52)를 사용하여 제 1, 제 2 또는 제 3 감시 모드의 설정과, 제 1, 제 2 또는 제 3 감시 모드의 설정 해제를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범 시스템의 각종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변형 내지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및 감시 모드에서, 경보음 발생수단(16)으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음에 의해 경보를 행하도록 구성했지만, 이 경보음에 의한 경보와 함께, 플래시 라이트나 적색 등 등의 경보광에 의한 경보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는, 경보음에 의한 경보를 행하지 않고, 경보광에 의한 경보만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촬영수단(10), 단말장치(12(12A)), 침입자 검지수단(14) 및 경보음 발생수단(16)을 감시 에어리어(6) 내에 설치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감시 에어리어(6) 밖에 적당하게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단말장치(12(12A))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 후, 단말장치(12(12A))의 입력수단(46)을 조작함으로써, 예비경보 설정 레벨, 본경보 설정 레벨, 지연시간, 예비경보 기간 및 본경보 기간 등을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방범 시스템에 의하면,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해서 얻어진 촬영 데이터는, 단말장치에 송신되어 단말측 기억수단에 기억되고, 또 단말장치는 이 촬영 데이터를 통신수단을 통하여 관리장치에 송신하고, 송신된 촬영 데이터는 관리측 기억수단에 기억되므로, 예를 들면 감시 에어리어에 침입한 침입자에 의해 단말장치가 파괴된 경우나, 단말장치 및 관리장치 중 한쪽이 고장난 경우라도, 촬영 데이터는 단말장치의 단말측 기억수단 및 관리장치의 관리측 기억수단의 어느 한쪽에 확실하게 보존된다. 이것에 의해, 감시 에어리어 내에 침입한 침입자를 확실하게 특정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방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방범 시스템에 의하면, 감시 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촬영 데이터를 많이 기록하는 제 1 촬영 모드와, 촬영 데이터를 적게 설정하는 제 2 촬영 모드로 설정 가능하여, 단말장치의 단말측 기억수단의 기록용량이 작을 때에는 제 1 촬영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또 촬영 데이터를 많게 할 때에는 제 2 촬영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촬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 감시 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제 1 또는 제 2 감시 모드로 설정되면, 제어수단은 침입자 검지수단을 작동 상태로 되게 함과 동시에, 경보수단의 출력상태를 강제적으로 경보설정 레벨로 설정하므로, 감시 모드의 설정전에 있어서의 경보수단의 출력상태에 관계되지 않고, 제 1 또는 제 2 감시 모드의 설정후에서 경보설정 레벨의 출력상태로써 확실하게 경보를 경보수단으로부터 출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보설정 레벨이란, 경보수단의 예를 들면 최대 출력 레벨이며, 이러한 출력 레벨로 설정함으로써, 침입자에 대해 충분한 위협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방범 시스템에 의하면, 감시 모드 해제수단에 의해 제 1 또는 제 2 감시 모드가 해제되면, 제어수단은 경보수단의 출력상태를 경보설정 레벨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설정변경 하므로, 제 1 또는 제 2 감시 모드의 해제 후에 경보수단이 의도 없이 큰 출력 레벨로 출력되는 일이 없고, 또 경보수단을 그대로 다른 용도(예를 들면 음악감상용의 스피커 등)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방범 시스템에 의하면, 감시 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제 3 감시 모드가 설정 가능하고, 이 제 3 감시 모드가 설정되면, 감시 에어리어의 감시는 행해지지만, 경보수단의 출력상태가 강제적으로 소음 상태로 설정된다. 따라서, 야간 등과 같이 주위에 폐를 끼치는 사용환경에서는, 이 제 3 감시 모드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방범 시스템에 의하면, 침입자 검지수단은 침입자의 침입을 판정하는 침입자 판정 수단 및 감시 에어리어를 설정하는 감시 에어리어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감시 에어리어 판정 수단은 설정된 감시 에어리어의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침입자의 침입을 판정하므로, 예를 들면 도로에 면한 실내에서, 도어, 창문을 통해서 차량이 주행하는 것이 보이는 것과 같은 실내환경이더라도, 차량의 주행이 보이는 영역을 감시 에어리어로부터 제외함으로써, 감시 에어리어에의 침입자의 침입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방범 시스템에 의하면, 단말장치에 관련하여 휴대단말장치가 설치되고, 단말장치는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어지는 촬영 데이터를 통신수단을 통하여 휴대단말장치에 송신하므로, 예를 들면 출장지 등에서, 휴대단말장치에 송신된 촬영 데이터에 의해 감시 에어리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장치의 경보신호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경보신호는 통신수단을 통하여 단말장치에 송신되고, 제어수단은 송신된 경보신호에 대응하는 경보를 경보수단으로부터 출력시키므로, 예를 들면 출장지 등에서, 휴대단말장치에 송신된 촬영 데이터에 의해 침입자가 감시 에어리어 내에 침입한 것을 확인한 경우에, 출장지 등에서 촬영 데이터를 보면서 경보를 경보수단으로부터 적당하게 출력시켜서 침입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위협할 수 있고, 보다 신뢰성이 높은 방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방범 시스템에 의하면, 제어수단은 침입자 검지수단이 감시 에어리어 내의 침입자를 검지하고나서 예비경보 기간이 경과하기 전에는, 예비경보 설정 레벨의 출력상태로써 경보음을 경보음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시키고, 또 예비경보 기간의 경과 후의 본경보 기간에서는, 본경보 설정 레벨의 출력상태로써 경보음을 경보음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시키므로, 제 1 또는 제 2 감시 모드의 설정중에 방범 시스템의 이용자가 감시 에어리어 내에 들어간 경우에, 예비경보 기간 내에 감시 모드 해제수단에 의해 제 1 또는 제 2 감시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방범 시스템의 이용자에 대해 본경보 설정 레벨의 출력상태로써 경보음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예비경보 설정 레벨은, 예를 들면 침입자(이용자)에게 알리는 정도의 크기의 출력 레벨로 설정되고, 또 본경보 설정 레벨은, 예를 들면 침입자를 위협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출력 레벨로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방범 시스템에 의하면, 관리측 기억수단에 관련하여 동작 확인수단이 설치되고, 제 1 또는 제 2 감시 모드가 설정되면, 동작 확인수단은 소정 시간간격, 예를 들면 10분 간격으로 동작 확인 신호를 단말장 치에 송신하고, 이 동작 확인 신호에 대한 단말장치로부터의 동작 응답신호에 기초하여 동작 확인을 행하므로, 감시 에어리어를 감시중에 있어서는 단말장치(통신수단을 포함함)의 동작 상태를 항상 확인할 수 있다. 또, 이 동작 확인수단은 침입자 검지수단에 의해 침입자를 검지하지 않는 상태에서 동작 응답신호가 없어지면 시스템 고장으로 판정하고, 침입자 검지수단에 의해 침입자를 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동작 응답신호가 없게 되면 시스템 파괴로 판정하므로, 사용자는 시스템의 고장 원인을 파악하여 정확한 대응을 취할 수 있다.

Claims (8)

  1. 감시 에어리어 내의 침입자의 유무를 감시하기 위한 방범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 에어리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의 촬영 데이터가 보내지는 단말장치와, 상기 단말장치와 통신수단을 통하여 통신접속된 관리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장치 및 상기 관리장치는 각각, 단말측 기억수단 및 관리측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어진 촬영 데이터는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되어 상기 단말측 기억수단에 기억되고, 또 상기 단말장치는 이 촬상 데이터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관리장치에 송신하고, 송신된 촬상 데이터는 상기 관리측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감시 에어리어 내의 침입자를 검지하기 위한 침입자 검지수단과, 침입자에 대하여 경보를 출력하는 경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감시 모드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감시 모드 설정수단과, 감시 모드의 해제를 행하기 위한 감시 모드 해제수단과, 상기 침입자 검지수단, 상기 경보수단 및 상기 촬영수단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감시 모드 설정수단은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의 촬영 데이터를 많이 기록하는 제 1 감시 모드와,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의 촬영 데이터를 적게 기록하는 제 2 감시 모드로 설정 가능하고,
    상기 감시 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제 1 감시 모드 또는 제 2 감시 모드가 설 정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침입자 검지수단을 작동 상태로 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경보수단의 출력상태를 강제적으로 경보설정 레벨로 설정하고, 또 상기 침입자 검지수단이 감시 에어리어 내의 침입자를 검지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촬영수단을 작동시켜서 감시 에어리어를 촬영하는 동시에, 상기 경보수단을 작동시켜서 상기 경보설정 레벨의 출력상태로써 경보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모드 해제수단에 의해 설정한 제 1 감시 모드 또는 제 2 감시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경보수단의 출력상태를 상기 경보설정 레벨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설정변경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모드 설정수단은, 또한 제 3 감시 모드로 설정가능하고, 상기 감시 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제 3 감시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침입자 검지수단을 작동 상태로 되게 함과 동시에, 상기 경보수단의 출력상태를 강제적으로 소음 상태로 설정하고, 또 상기 침입자 검지수단이 감시 에어리어 내의 침입자를 검지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촬영수단을 작동시켜서 감시 에어리어를 촬영하고, 또 상기 감시 모드 해제수단에 의해 설정한 제 3 감시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경보수단의 출력상태를 소음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설정변경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자 검지수단은 상기 촬영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의 감시 에어리어의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침입자의 침입을 판정하는 침입자 판정 수단과, 상기 촬영수단의 감시 에어리어를 설정하는 감시 에어리어 설정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감시 에어리어 설정수단은 감시 에어리어를 복수의 촬영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촬영영역을 임의로 선택 가능하고, 상기 침입자 판정 수단은 상기 감시 에어리어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촬영영역의 촬영 데이터에 기초하여 침입자의 침입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에 관련하여, 경보신호 입력수단을 구비한 휴대단말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단말장치와 통신접속 되어 있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하여 얻어지는 촬영 데이터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휴대단말장치에 송신하고, 또 상기 휴대단말장치는 상기 경보신호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경보신호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제어수단은 송신된 상기 경보신호에 대응하는 경보를 상기 경보수단으로부터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
  7. 제 2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 경보음을 내 는 경보음 발생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보설정 레벨은 예비경보 설정 레벨과 본경보 설정 레벨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침입자 검지수단이 감시 에어리어 내의 침입자를 검지하고나서 예비경보 기간이 경과하기 전에는, 상기 예비경보 설정 레벨의 출력상태로써 경보음을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시키고, 또 상기 예비경보 기간의 경과 후의 본경보 기간에는, 상기 본경보 설정 레벨의 출력상태로써 경보음을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측 기억수단에 관련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동작 확인을 행하는 동작 확인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감시 모드 설정수단에 의해 제 1 감시 모드 또는 제 2 감시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동작 확인수단은 소정 시간간격마다 동작 확인 신호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침입자 검지수단이 침입자를 검지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동작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되면 시스템 고장으로 판정하고, 상기 침입자 검지수단이 침입자를 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상기 동작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되면 시스템 파손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
KR1020060027862A 2005-04-26 2006-03-28 방범 시스템 KR200601122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27534 2005-04-26
JP2005127534 2005-04-26
JPJP-P-2006-00027911 2006-02-06
JP2006027911A JP2006331388A (ja) 2005-04-26 2006-02-06 防犯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207A true KR20060112207A (ko) 2006-10-31

Family

ID=3755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862A KR20060112207A (ko) 2005-04-26 2006-03-28 방범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331388A (ko)
KR (1) KR200601122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3002B2 (en) 2010-10-22 2014-02-0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1131B2 (ja) * 2007-02-14 2012-05-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4981500B2 (ja) * 2007-03-28 2012-07-18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災害発生時における工事現場通信システム
JP2011135494A (ja) * 2009-12-25 2011-07-07 Aiphone Co Ltd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12150592A (ja) * 2011-01-18 2012-08-09 Sumitomo Electric Networks Inc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監視装置
JP2012159366A (ja) * 2011-01-31 2012-08-23 Chino Corp 発火監視システムおよび発火監視システムの動作方法
JP2014026308A (ja) * 2012-07-24 2014-02-06 Takenaka Engineering Co Ltd WiFi接続対応のセキュリティ端末機器
KR102104411B1 (ko) * 2013-12-19 2020-04-2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시스템
JP2018042144A (ja) * 2016-09-08 2018-03-15 東京瓦斯株式会社 監視カメラ制御装置、監視カメラ制御方法、及び監視カメラ制御プログラム
JP2019102863A (ja) 2017-11-29 2019-06-2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報知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報知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3002B2 (en) 2010-10-22 2014-02-0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31388A (ja)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2207A (ko) 방범 시스템
US6930599B2 (en) Security system
KR101566839B1 (ko) 자가진단 기능을 가진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자가진단 방법
US7812855B2 (en) Glassbreak noise detector and video positioning locator
KR100888951B1 (ko) 경보장치를 갖는 다기능 배전반
CN107067612B (zh) 一种便携式红外报警及无线录像的监控系统及监控方法
US20140218518A1 (en) Firearm Discharge Detection and Response System
KR101321447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현장 모니터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140138418A (ko)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JP2009015536A (ja) 不審者通報装置、不審者監視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遠隔監視システム
CN106991775A (zh) 一种智能防盗报警系统
KR101046819B1 (ko) 소프트웨어 휀스에 의한 침입감시방법 및 침입감시시스템
JP4516715B2 (ja) 非常報知システム
KR20090125608A (ko) 영상 보안 시스템
KR101452874B1 (ko) 주택 보안 시스템
JP2006185127A (ja) 警備装置、監視システム、警備方法
KR101509223B1 (ko) 모니터링 자동 포착기능이 구비된 보안 시스템 및 그 보안 처리방법
KR100368448B1 (ko) 다목적 경보 시스템
JP3874539B2 (ja) 画像監視装置
KR20150015814A (ko) 비상 알림을 위한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153191B1 (ko) 음향 인식을 이용한 주차장 방범 시스템 및 방법
JPH10188183A (ja) 自火報設備用表示操作装置
KR100734494B1 (ko) 음향 측정 수단을 이용한 방범시스템
JP3650612B2 (ja) 来訪者監視装置
KR102383171B1 (ko) 경찰차 무선 마이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