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2074A - Ptt 호 셋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ims 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 단말과 ims 서비스 망 및 ims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 - Google Patents

Ptt 호 셋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ims 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 단말과 ims 서비스 망 및 ims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2074A
KR20060112074A KR1020050034483A KR20050034483A KR20060112074A KR 20060112074 A KR20060112074 A KR 20060112074A KR 1020050034483 A KR1020050034483 A KR 1020050034483A KR 20050034483 A KR20050034483 A KR 20050034483A KR 20060112074 A KR20060112074 A KR 20060112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subscriber
call
ptt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0901B1 (ko
Inventor
류주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901B1/ko
Priority to US11/410,898 priority patent/US20060239267A1/en
Publication of KR20060112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84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protection for the eyes, e.g. using shield or vi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8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with supply or suction of gas, air or smoke inside or outside the welding ho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 A41D2600/202We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57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stret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06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angular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TT 호 셋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IMS 서비스 망용 가입자 단말과 IMS 서비스 망 및 IMS 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발신 가입자가 요청하는 PTT(Push-To-Talk) 호를 요청할 해당 PoC(Push-to-talk over Cellular) 서버의 주소를 도메인네임서버에 질의하기 위한 송신부; 상기 도메인네임서버로부터 해당 PoC 서버의 주소를 제공받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PTT 호를 상기 해당 PoC 서버에 직접 제공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IMS 서비스 망용 가입자 단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 가입자로부터 PTT(Push-To-Talk) 호를 직접 제공받으며, 해당 착신 가입자에게 PTT 호를 전송하기 위한 PoC(Push-to-talk over Cellular) 서버; 상기 PoC 서버에 상기 착신 가입자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빙호세션제어부; 복수의 가입자 주소를 저장하며, 상기 서빙호세션제어부의 요청시 해당 착신 가입자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홈가입자서버; 및 질의하는 상기 발신 가입자에게 상기 PTT 호를 요청할 해당 PoC 서버의 주소를 제공하기 위한 도메인네임서버를 포함하는 IMS 서비스 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MS 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을 제공한다.
IMS(Inet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PTT(Push-To-Talk),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GLMS(Group List Management Server), HSS(Home Subscriber Server), MRS(Media Relay Server), RTP(Real-time Transfer Protocol), PoC(Push-to-talk over Cellular).

Description

PTT 호 셋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IMS 서비스 망에서의 가입자 단말과 IMS 서비스 망 및 IMS 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USER EQUIPMENT IN IMS SERVICE NETWORK WITH SHORTENED PTT CALL SETUP TIME AND IMS SERVICE NETWORK AND METHOD FOR SETUP OF PTT CALL IN THE SAM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IMS 서비스 망에 통합된 PTT 서비스 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구성도.
도 2는 도 1의 PTT 서비스 망에서의 호 셋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호 셋업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MS 서비스 망에 통합된 PTT 서비스 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구성도.
도 5는 도 4의 PTT 서비스 망에서의 호 셋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호 셋업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MS 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과정을 도식화한 플로우챠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MS 서비스 망용 가입자 단말을 도시한 블럭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사용자 단말 41 : 프락시호세션제어부
42 : 서빙호세션제어부 43 : 홈가입자서버
44 : PoC 서버 441 : 응용서버
442 : 미디어릴레이서버 45 : 그룹리스트관리서버
46 : 도메인네임서버
본 발명은 PTT 서비스가 통합된 IMS 서비스 망과 IMS 서비스 망 내에서의 PTT 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PTT 호 셋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IMS 서비스 망 및 IMS 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이 발달하고 이에 따라 이동통신망이 진화함에 따라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IMT-2000)은 인터넷 서비스를 필수적으로 제공하며,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로부터 할당받은 고유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가지고 IMT-2000 망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모바일 IP를 제공한다. 이동통신망에서 IP 기반의 인터넷 프로토콜의 수용은 점차적인 추세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인터넷 프로토콜은 이동통신망 일부 요소기술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IMT-2000의 표준을 진행하는 유럽 주도의 3GPP(3rd Generation Project Partnership)와 북미 주도의 3GPP2는 여기에 머물지 않고 한발 더 나아가 이동통신망의 모든 인프라를 IP로 대체하는 일명 'ALL IP NETWORK'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ALL IP 망은 IMT-2000 망의 범주에 포함되지만 하부 인프라가 전혀 다른 차세대 이동통신망이다.
3GPP의 가장 큰 특징은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최초의 3GPP 망이라는 점이다. 이 특징은 구체적으로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새롭게 추가된 노드들에게 구현되며, 이 새로운 노드들을 총칭해서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nternal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이하 IMS라 함)이라고 한다.
즉, IMS는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새로 도입된 노드들의 집합이며, 호세션제어서버(Call Session Control Server; 이하 CSCF라 함)와 홈가입자서버(Home Subscriber Server; 이하 HSS라 함) 및 응용서버(Aplication Server; 이하 AS라 함) 등은 IMS를 구성하는 노드들이다.
한편, 푸쉬-투-토크(Push-To-Talk; 이하 PTT라 함)란 일종의 무전기 서비스와 같은 즉석 메신저 서비스로서, 스위치를 누르고 말하면서 즉시 간단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 휴대폰의 대기시간에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빠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PTT에서는 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무전서비스의 경우 즉, 한 사람이 휴대폰으로 말하는 것을 여러 사람이 각자의 휴대폰을 사용해 들을 수 있으며, 전화가 갖고 있는 1대1 통신의 한계를 극복한 것으로, 중소 규모의 그룹을 지정할 수 도 있고 1 대1에 의한 무전 통화도 물론 가능하다.
최근에는 인터넷 메신저의 기능과 결합하여 무전 기능이 없는 일반 휴대폰에서도 PTT 기능을 도입하려고 하고 있다. 즉, IMS 서비스 망에 PTT 서비스가 통합될 경우 PTT 서비스는 단말기 화면에 상대방이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에 대해서 여부를 즉각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그 편리함이 배가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IMS 서비스 망에 통합된 PTT 서비스 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TT 서비스 망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라 함, 10)과, 가입자 데이터에 대한 모든 자료를 보관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프로파일의 관리와 이동성 관리를 위한 정보 관리 기능 및 권한 검증(Authorization)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HSS(13)와, 세션설정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이하 SIP라 함)를 기반으로 하여 멀티미디어 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호세션제어부(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이하 CSCF라 함)와, CSCF 및 사용자 단말과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통해 그룹 멤버의 리스트를 관리하기 위한 그룹리스트관리서버(Group List Management Server; 이하 GLMS라 함, 15)와, IMS 서비스에서 PTT 서비스 호 동작을 위해 PTT 호의 유형을 판단하고 GLMS(15)와 CSCF 및 HSS(13) 등과 연계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PoC(Push-To-Talk over Celular) 서버(1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PoC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PTT 서비스라고도 칭하며, PTT 서비스 기능을 기존 셀룰러폰이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폰 상에 구현한 것을 나타낸다. PoC 서버(14)는 호 처리용 망 구현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서버(Application Server; 이하 AS라 함, 141)와 망 구현시 실제 음성 데이타 전송을 위한 미디어릴레이서버(Media Relay Server; 이하 MRS라 함, 142)로 구성된다.
CSCF는 사용자의 방문 망에서 홈 망으로 등록 및 발착신 호 요구의 전달을 대행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락시호세션제어부(Proxy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이하 P-CSCF라 함)와, 실제 홈 망에서 사용자의 호 요구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서빙호세션제어부(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이하 S-CSCF라 함)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S-CSCF(12) 중에서 사용자의 호 요구에 적합한 S-CSCF(12)를 선택하는 기능과 홈 망에 위치하는 S-CSCF(12)의 구성 정보를 보안 등의 목적으로 타 망에 보여주지 않는 기능을 수행하는 중계호세션제어부(Interrogat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이하 I-CSCF라 함)로 구성된다.
HSS(13)는 PoC 서버(14) 및 S-CSCF(12) 등과 다이어미터(Diameter)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MRS(142)는 UE(10)와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을 사용한다. 한편, RTCP(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는 RTP 제어 프로토콜이다.
도 1의 구성에서 PTT 호 발신시 UE(10)가 전송한 SIP 요구 메시지 중 'INVITE(클라이언트와 서버간에 호를 개시하는 가장 기본이 되며, 사용자가 세션에 참가하도록 하는 메쏘드)' 패킷은 P-CSCF(11)와 S-CSCF(12)를 경유하여 AS(141)로 전달되고, S-CSCF(12)가 AS(141)로 'INVITE' 패킷을 라우팅(Routing)하기 위해 HSS(13)로 호를 시도한 가입자의 정보를 문의하며, 이를 통해 호를 처리할 수 있는 AS(141)를 결정하게 된다.
만약 발신 가입자가 홈 망이 아닌 방문 망에서 호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P-CSCF(11)와 I-CSCF(도시하지 않음)와 S-CSCF(12)를 경유하여 AS(141)로 전달된다.
또, PTT호 착신 시 착신 단말로 전송할 'INVITE' 패킷은 AS(141)에서 S-CSCF(12)와 P-CSCF(11) 및 UE(10)로 역순을 거치게 되며, 착신 가입자의 위치(Location) 정보가 저장된 S-CSCF로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HSS(13)로 착신 가입자의 정보를 조회하여야 한다.
도 2는 도 1의 PTT 서비스 망에서의 호 셋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호 셋업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PTT 서비스 망에서의 호 셋업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에서 'A1'과 'A2'는 발신을 개시할 망을 나타내며, 이 중 'A1'은 홈 망을 나타내며, 'A2'는 방문 망을 나타낸다. 'B'는 착신이 이루어질 망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서 'a ∼ j'는 발신 단말로부터 착신 단말까지의 호 셋업 과정을 나타낸다.
한편, 도 3에서는 P-CSCF_A1과 P-CSCF_A2를 P-CSCF_1으로, I-CSCF_A1과 I-CSCF_A2를 I-CSCF1으로, S-CSCF_A1과 S-CSCF_A2를 S-CSCF_1으로 각각 표시하였다. 아울러, S-CSCF_B를 S-CSCF2로, I-CSCF_B를 I-CSCF2로, P-CSCF_B를 P-CSCF2로 각각 표시하였다.
UE1이 도메인네임서버(Domain Name Server; 이하 DNS라 함)로의 질의(Query)를 통해 호를 요청할 P-CSCF_A1의 주소를 얻은 후, P-CSCF_A1 주소를 이용하여 호를 발신한다(a).
이 때, P-CSCF_A1은 UE1이 홈 망에 위치한 가입자인지 방문 망에 위치한 가입자인지를 판단한다. 'b'의 과정에서는 UE1이 방문 망에 위치한 경우 P-CSCF_A1은 I-CSCF_A1에 호를 전송한다(b).
I-CSCF_A1은 UE1의 호를 처리할 S-CSCF_A2의 주소를 HSS에 문의하고(c), HSS는 UE1의 호를 처리할 S-CSCF_A2의 주소를 I-CSCF_A1으로 전달한다(d).
한편, P-CSCF_A1의 판단 결과 UE1이 홈 망에 위치한 경우에는 P-CSCF_A1은 UE1의 호를 처리할 S-CSCF_A2의 주소를 알고 있으므로, 해당 S-CSCF_A2로 UE1의 호를 전달한다(d').
S-CSCF_A2는 전달된 호를 분석한 후, 호가 UE1으로부터 전달된 PTT 호 임에 따라 HSS에 PoC 서버의 주소를 문의하여 HSS로부터 PoC_A2의 주소를 얻으며(e), 해당 PoC_A2 서버에 PTT 호를 전달한다(f).
PTT 호를 전달받은 PoC_A2 서버는 PTT 호 유형을 판단한다. 즉, PTT 호가 1:1 또는 1:N의 그룹 호 인지를 판단한다. 이 때, 그룹 호일 경우에는 GLMS에 멤버의 조회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한다(g).
이어서, PoC_A2 서버는 S-CSCF_A2로 착신 단말인 UE2로의 호를 요청하고, S-CSCF_A2는 UE2에 호를 전달할 S_CSCF_B의 주소를 HSS에 문의한 후, 이를 수신한다(h).
한편, S-CSCF_A2와 S-CSCF_B의 도메인이 다를 경우, 즉 서로 각각 홈 또는 방문 망일 경우 S-CSCF_A2는 I-CSCF_A2를 경유하여 HSS를 통해 S-CSCF_B의 주소를 얻는다.
S-CSCF_B의 주소를 확보한 S-CSCF_A2는 S-CSCF_B에 UE2의 착신 호를 전달한다(i). S-CSCF_B는 P-CSCF_B로 UE2 착신 호를 전달하고(j), P-CSCF_B는 UE2로 호를 전달한다(k).
이에 대한 응답은 지금까지와는 반대의 경로 'l ∼ q'를 통해 발신 가입자인 UE1에 전송된다.
이와 같은 호처리 절차가 완료되면, UE1과 UE2 사이에 IMS 미디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RTP 연결이 설정되고 PoC 서버에 위치한 MRS를 통해 통화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두 단말 간의 PTT 호 셋업을 위한 절차에 P-CSCF(I-CSCF) 및 S-CSCF 등의 복수의 서버를 반드시 거쳐야 하며, 이들은 또한 HSS를 통해 해당 정보를 얻는 과정을 거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IMS 서비스 망에 PTT 서비스를 적용한 것이므로, PTT 셋업 과정에서 불필요한 과정을 거치게 됨을 알 수 있다.
결국 이러한 호 셋업 시간의 지연은 일반 휴대폰의 대기시간에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빠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장점으로 하는 PTT의 장점을 퇴색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PTT 호 셋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IMS 서비스 망에서의 가입자 단말과 ISM 서비스 망 및 IMS 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신 가입자가 요청하는 PTT(Push-To-Talk) 호를 요청할 해당 PoC(Push-to-talk over Cellular) 서버의 주소를 도메인네임서버에 질의하기 위한 송신부; 상기 도메인네임서버로부터 해당 PoC 서버의 주소를 제공받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PTT 호를 상기 해당 PoC 서버에 직접 제공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IMS 서비스 망용 가입자 단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신 가입자로부터 PTT 호를 직접 제공받으며, 해당 착신 가입자에게 PTT 호를 전송하기 위한 PoC 서버; 상기 PoC 서버에 상기 착신 가입자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빙호세션제어부; 복수의 가입자 주소를 저장하며, 상기 서빙호세션제어부의 요청시 해당 착신 가입자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홈가입자서버; 및 질의하는 상기 발신 가입자에게 상기 PTT 호를 요청할 해당 PoC 서버의 주소를 제공하기 위한 도메인네임서버를 포함하는 IMS 서비스 망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PTT 호를 요청할 PoC 서버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주소가 획득된 PoC 서버에 PTT 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PTT 호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PTT 호가 1:1 타입임에 따라 서빙호세션제어 부에 착신 가입자의 주소를 문의하는 단계; 상기 서빙호세션제어부에 해당 착신 가입자의 주소가 존재함에 따라 상기 서빙호세션제어부로부터 상기 PoC 서버로 상기 해당 착신 가입자의 주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PoC 서버를 통해 상기 해당 착신 가입자에게 상기 PTT 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MS 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발신 단말로부터 PTT 호 발생시 이를 P-CSCF로 전달하지 않고 발신 단말의 DNS 질의를 통해 얻은 PoC 서버(구체적으로는, PoC 서버의 AS)로 PTT 호를 직접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IMS 서비스 망에서 PTT 호 셋업시 거치는 서버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HSS는 가입자의 주소를 저장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MS 서비스 망용 가입자 단말을 도시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IMS 서비스 망용 가입자 단말은, 발신 가입자가 요청하는 PTT 호를 요청할 해당 PoC 서버의 주소를 도메인네임서버(DNS)에 질의하기 위한 송 신부(101)와, 도메인네임서버(DNS)로부터 해당 PoC 서버의 주소를 제공받기 위한 수신부(102)와, PTT 호를 해당 PoC 서버에 직접 제공하기 위한 제어부(103)로 이루어진다.
수신부(102)는 PTT 호의 착신시 PoC 서버를 통해 PTT호를 직접 제공받으며, 발신 가입자는 로그 인 후 도메인네임서버(DNS)에 PTT 호를 요청할 해당 PoC 서버의 주소를 질의하고, 도메인네임서버(DNS)로부터 해당 PoC 서버의 주소를 수신한다.
PoC 서버는 착신 가입자의 정보를 서빙호세션제어부에 제공하고, 홈가입자서버는 복수의 가입자 주소를 저장하며, 서빙호세션제어부의 요청시 해당 착신 가입자의 정보를 서빙호세션제어부에 제공한다. PoC 서버와 가입자 단말 및 PoC 서버와 서빙호세션제어부 사이에서는 각각 별도로 설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MS 서비스 망에 통합된 PTT 서비스 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TT 서비스 망은 PoC 서버(44)로 직접 호를 전달하는 사용자 단말(이하 UE라 함, 40)과, 가입자 데이터에 대한 모든 자료를 보관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프로파일의 관리와 이동성 관리를 위한 정보 관리 기능 및 권한 검증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HSS(43)와, 세션설정프로토콜(이하 SIP라 함)를 기반으로 하여 멀티미디어 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호세션제어부(이하 CSCF라 함)와, CSCF 및 사용자 단말과 HTTP를 통해 그룹 멤버의 리스트를 관리하기 위한 그룹리스트관리서버(이하 GLMS라 함, 45)와, IMS 서비스 망에서 PTT 호 동작을 위해 PTT 호의 유형을 판단하고 GLMS(45)와 CSCF 및 HSS(43) 등과 연계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PoC 서버(44)와, UE(40)가 PoC 서버(44)로 직접 호를 전달하기 위해 질의 시 해당 PoC 서버(44, 구체적으로는 AS(441))의 주소를 UE(40)에 제공하는 도메인네임서버(이하 DNS라 함, 4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UE(40)로부터 AS(441)로의 직접적인 호 요청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양측간의 적절한 프로토콜을 설정하여야 하며, 이는 AS(441)와 S-CSCF(42) 간에도 적용된다. 적절한 프로토콜은 해당 시스템에 맞쳐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PoC 서버(44)는 호 처리용 망 구현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서버(이하 AS라 함, 441)와 망 구현시 실제 음성 데이타 전송을 위한 미디어릴레이서버(이하 MRS라 함, 442)로 구성된다.
CSCF는 사용자의 방문 망에서 홈 망으로 등록 및 발착신 호 요구의 전달을 대행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락시호세션제어부(이하 P-CSCF라 함, 41)와, 실제 홈 망에서 사용자의 호 요구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서빙호세션제어부(이하 S-CSCF라 함, 42)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S-CSCF(42) 중에서 사용자의 호 요구에 적합한 S-CSCF(42)를 선택하는 기능과 홈 망에 위치하는 S-CSCF(42)의 구성 정보를 보안 등의 목적으로 타 망에 보여주지 않는 기능을 수행하는 중계호세션제어부(이하 I-CSCF라 함)로 구성된다.
HSS(43)는 PoC 서버(44) 및 S-CSCF(42) 등과 다이어미터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MRS(442)는 UE(40)와 RTP/RTCP를 사용한다.
종래의 경우 PTT 호 발신시 UE(40)가 전송한 SIP 요구 메시지 중 'INVITE' 패킷은 P-CSCF(41)와 I-CSCF(방문 망의 경우) 및 S-CSCF(42)를 경유하여 AS(441)로 전달되고, S-CSCF(42)가 AS(441)로 'INVITE' 패킷을 라우팅하기 위해 HSS(43)로 호를 시도한 가입자의 정보를 문의하며, 이를 통해 호를 처리할 수 있는 AS(441)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서비스 망의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UE(40)가 PTT 호를 AS(441)에 직접 전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종래와 달리 HSS(43)가 가입자의 주소를 저장하고 있어야 하며, UE(40)로부터 질의가 있을 경우 해당 AS(441)를 알려줄 수 있는 DNS(46)가 필요하다.
이렇듯 DNS(46) 질의를 통해 PoC 서버(44)의 주소를 얻기 때문에 UE(40)에서는 홈 망에 있는 PoC 서버(44)의 주소를 얻진 못하고, 방문 망에 있는 PoC 서버(44)의 주소를 얻게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UE(40)가 PTT 호를 반드시 홈 망에 있는 PoC 서버(44)로 올리야 하는 제약이 없다. 즉, UE(40)가 어느 AS(441)로 PTT 호를 올리더라도 처리가 가능하다.
통상의 경우 UE(40)가 로그 인(Log-in)을 하면 S-CSCF(42)가 HSS(43)에 가입자 정보를 업데이트(Update)할 것을 요청한 뒤, 해당 AS(441)로 UE(40)가 로그 인 하였음을 알려주는 '3'rd party registration' 절차가 있는 반면,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3'rd party registration' 절차 없이 UE(40)가 로그 인을 하면 S-CSCF(42)가 HSS(43)에만 UE(40)의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로그 인 절차가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PTT호 발신 전에는 AS(441)가 UE(40)의 로그 인 유무 를 전혀 알지 못한다.
도 5는 도 4의 PTT 서비스 망에서의 호 셋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호 셋업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PTT 서비스 망에서의 호 셋업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5에서 'A1'과 'A2'는 발신을 개시할 망을 나타내며, 이 중 'A1'은 방문 망을 나타내며, 'A2'는 홈 망을 나타낸다. 'B'는 착신이 이루어질 망을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에서 'r ∼ w'는 발신 단말(UE1)로부터 착신 단말(UE2)까지의 호 셋업 과정을 나타낸다.
UE1이 DNS 질의(Query)를 통해 호를 요청할 PoC_A1 서버의 주소를 얻은 후, 해당 PoC_A1 서버에 PTT 호를 발신한다(r).
즉, 본 발명의 경우 UE1이 P-CSCF_A1과 I-CSCF_A1 및 S-CSCF_A1으로 이루어진 IMS 서비스 망을 거치지 않고 DNS 질의(Query)를 통해 얻은 PoC-A1 서버에 직접 PTT 호를 요청한다.
PTT 호를 요청받은 PoC_A1 서버는 PTT 호 유형을 판단한다. 즉, PTT 호가 1:1 또는 1:N의 그룹 호 인지를 판단한다. 이 때, 그룹 호일 경우에는 GLMS에 멤버의 조회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한다(s).
이어서, PoC_A1 서버는 S-CSCF_A1으로 착신 단말인 UE2의 위치를 조회한다(t). UE2가 다른 도메인에 로그 인 되어 있으므로, S-CSCF_A1은 HSS로 UE2의 주소를 조회한다(u).
S-CSCF_A1은 HSS로 문의하여 얻은 UE2의 주소를 PoC-A1 서버에 전달하고(v), PoC_A1 서버는 UE2에 PTT 호를 전달한다(w).
이에 대한 응답은 지금까지와는 반대의 경로인 'x'와 'y'를 통해 발신 가입자인 UE1에 전송된다.
이와 같은 호처리 절차가 완료되면, UE1과 UE2 사이에 IMS 미디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RTP 연결이 설정되고 PoC 서버에 위치한 MRS를 통해 단말 간의 통화가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MS 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과정을 도식화한 플로우챠트로서, 이를 참조하여 PTT 호 셋업 과정을 살펴본다.
단말의 로그 인 시 S-CSCF는 HSS에만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로그 인 절차는 완료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3'rd party registration'을 하지 않는다.
단말은 DNS 질의를 통해 호를 요청할 PoC 서버의 주소를 얻은 후, 해당 PoC 서버에 PTT 호를 전송한다(S701).
단말로부터 PTT 호를 요청받은 PoC 서버는 PTT 호 유형을 판단(PoC 세션 타입을 판단)한다. 즉, PTT 호가 1:1 또는 1:N의 그룹 호 인지를 판단한다.
PoC 세션 타입이 그룹 타입이 아님에 따라 PoC 서버는 S-CSCF로 착신 가입자(단말)의 주소를 문의한다(S703).
PoC 세션 타입이 그룹 호일 경우, PoC 서버는 그룹 타입 중에서 그룹 챗(Group chat)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S704), 그룹 챗이 아닌 경우에는 GLMS에 멤 버의 조회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한 다음, S-CSCF로 착신 가입자(단말)의 주소를 문의한다(S703)
그룹 챗인 경우에는 챗 그룹(Chat group)이 존재하는 지를 확인한다(S706). 챗 그룹이 없을 경우 챗 그룹을 생성할 수도 있으며(S707), 챗 그룹이 존재할 경우 발신 가입자를 챗 그룹에 조인(Join)시킬 수도 있다(S708).
한편, PoC 서버로부터 착신 가입자를 주소를 문의 받은 S-CSCF는 자신에게 착신 가입자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PoC 서버의 AS로 착신 가입자의 주소를 전달하고(S711), 자신에게 착신 가입자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HSS로 착신 가입자의 주소를 조회한(S710) 후, 착신 가입자의 주소를 얻고 이를 AS로 전달한다(S711).
착신 가입자의 주소를 전달받은 PoC 서버는 착신 가입자에게 직접 PTT 호를 전달하고(S712),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발신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IMS 서비스 망에서 PTT 호 셋업시 P-CSCF를 거치지 않고 단말이 직접 AS에 PTT 호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호 셋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을 실시예를 통해 알아보았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IMS 서비스 망에서 PTT 호 셋업 시간을 줄여 PTT의 가장 큰 장점인 빠른 접속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PTT 서비스가 통합된 IMS 망 서비스의 경쟁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발신 가입자가 요청하는 PTT(Push-To-Talk) 호를 요청할 해당 PoC(Push-to-talk over Cellular) 서버의 주소를 도메인네임서버에 질의하기 위한 송신부;
    상기 도메인네임서버로부터 해당 PoC 서버의 주소를 제공받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해당 PoC 서버의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PTT 호를 상기 해당 PoC 서버에 직접 제공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는 IMS 서비스 망용 가입자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PTT 호의 착신시 상기 PoC 서버를 통해 PTT호를 직접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망용 가입자 단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가입자는 로그 인 후 상기 도메인네임서버에 상기 PTT 호를 요청할 해당 PoC 서버의 주소를 질의하고, 상기 도메인네임서버로부터 해당 PoC 서버의 주소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망용 가입자 단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PoC 서버는 착신 가입자의 정보를 서빙호세션제어부에 제공하고, 홈가입자서버는 복수의 가입자 주소를 저장하며, 상기 서빙호세션제어부의 요청시 해당 착신 가입자의 정보를 상기 서빙호세션제어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망용 가입자 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PoC 서버와 상기 가입자 단말 및 상기 PoC 서버와 상기 서빙호세션제어부 사이에서는 각각 별도로 설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망용 가입자 단말.
  6. 발신 가입자로부터 PTT 호를 직접 제공받으며, 해당 착신 가입자에게 PTT 호를 전송하기 위한 PoC 서버;
    상기 PoC 서버에 상기 착신 가입자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빙호세션제어부;
    복수의 가입자 주소를 저장하며, 상기 서빙호세션제어부의 요청시 해당 착신 가입자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홈가입자서버; 및
    질의하는 상기 발신 가입자에게 상기 PTT 호를 요청할 해당 PoC 서버의 주소를 제공하기 위한 도메인네임서버
    를 포함하는 IMS 서비스 망.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가입자는 로그 인 후 상기 도메인네임서버에 상기 PTT 호를 요청할 해당 PoC 서버의 주소를 질의하고, 상기 도메인네임서버로부터 해당 PoC 서버의 주소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망.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그룹 가입자들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빙호세션제어부의 요청시 상기 서빙호세션제어부에 상기 그룹 가입자들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그룹리스트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망.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PoC 서버는, 상기 PTT 호의 셋업을 위한 응용서버와, 상기 PTT 호 셋업 완료시 상기 발신 가입자와 상기 착신 가입자 사이에 IMS 미디어 트래픽 전송을 위 한 프로토콜 연결을 설정하고 실제 음성 데이타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미디어릴레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망.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은 RTP(Realtome Transport Protoc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망.
  11.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PoC 서버와 상기 가입자 사이 및 상기 PoC 서버와 상기 서빙호세션제어부 사이에서는 각각 별도로 설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망.
  12. 발신 가입자가 PTT 호를 요청할 PoC 서버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주소가 획득된 PoC 서버에 PTT 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PTT 호의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PTT 호가 1:1 타입임에 따라 서빙호세션제어부에 착신 가입자의 주소를 문의하는 단계;
    상기 서빙호세션제어부에 해당 착신 가입자의 주소가 존재함에 따라 상기 서빙호세션제어부로부터 상기 PoC 서버로 상기 해당 착신 가입자의 주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PoC 서버를 통해 상기 해당 착신 가입자에게 상기 PTT 호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MS 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PoC 서버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는, 발신 가입자가 도메인네임서버에 상기 해당 PoC 서버의 주소를 질의하고, 상기 도메인네임서버로부터 상기 해당 PoC 서버의 주소를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호세션제어부에 해당 착신 가입자의 주소가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서빙호세션제어부로부터 홈가입자서버로 상기 해당 착신 가입자의 주소를 조회한 후, 상기 홈가입자서버로부터 상기 해당 착신 가입자의 주소를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
  15.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PTT 호가 1:N임에 따라 상기 PoC 서버는 상기 PTT 호가 그룹 챗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PTT 호가 그룹 챗임에 따라 챗 그룹이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챗 그룹에 존재함에 따라 상기 발신 가입자를 상기 챗 그룹에 조인시킬 것인 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챗 그룹이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챗 그룹을 생성할 것인 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PTT 호가 그룹 챗이 아님에 따라, 상기 PoC 서버는 그룹리스트관리서버에 멤버의 조회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한 다음, 서빙호세션제어부로 착신 가입자의 주소를 문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
  20.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PoC 서버는, 상기 PTT 호의 셋업을 위한 응용서버와, 상기 PTT 호 셋업 완료시 상기 발신 가입자와 상기 착신 가입자 사이에 IMS 미디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연결을 설정하고 실제 음성 데이타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미디어릴레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은 RT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
  22.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PoC 서버와 상기 가입자 간의 사이 및 상기 PoC 서버와 서빙호세션제어부는 각각 별도로 설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MS 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
KR1020050034483A 2005-04-26 2005-04-26 Ptt 호 셋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ims 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 단말과 ims 서비스 망 및 ims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 KR100770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483A KR100770901B1 (ko) 2005-04-26 2005-04-26 Ptt 호 셋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ims 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 단말과 ims 서비스 망 및 ims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
US11/410,898 US20060239267A1 (en) 2005-04-26 2006-04-26 User equipment in an IMS service network with a shortened PTT call setup time, IMS service network, and PTT call setup method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483A KR100770901B1 (ko) 2005-04-26 2005-04-26 Ptt 호 셋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ims 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 단말과 ims 서비스 망 및 ims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074A true KR20060112074A (ko) 2006-10-31
KR100770901B1 KR100770901B1 (ko) 2007-10-26

Family

ID=37186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483A KR100770901B1 (ko) 2005-04-26 2005-04-26 Ptt 호 셋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ims 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 단말과 ims 서비스 망 및 ims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239267A1 (ko)
KR (1) KR100770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456A (ko) * 2016-08-12 2018-02-21 (주)티아이스퀘어 Ims 망을 이용하여 반이중 통화, 전이중 통화, 컨퍼런스 및 문자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ptt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350407T3 (da) * 2000-12-04 2009-12-07 Nokia Corp Brugerenhed, fremgangsmåde og kommunikationssystem til etablering af en forbindelse til et fungerende netværkselement
US8230073B1 (en) 2005-01-21 2012-07-24 Apple Inc. Service templates for an IP multimedia subsystem
US20080016158A1 (en) * 2006-07-13 2008-01-17 Comverse Ltd. Method for appending a signature to a size limited text message
US8363560B2 (en) * 2006-11-01 2013-01-29 Inceptia Ll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proxy component
US8019820B2 (en) * 2007-06-27 2011-09-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ervice gateway decomposition in a network environment including IMS
US8706075B2 (en) * 2007-06-27 2014-04-22 Blackberry Limited Architecture for service delivery in a network environment including IMS
DE602007013884D1 (de) * 2007-06-27 2011-05-26 Research In Motion Ltd Dienstgateway-Zerlegung in einer Netzwerkumgebung mit IMS
US8559446B2 (en) * 2007-06-27 2013-10-15 Blackberry Limited Signaling architecture for decomposed service network elements operable with IMS
DE102009013411B4 (de) * 2009-03-18 2012-08-23 Vodafone Holding Gmbh Parallele Vermittlung einer Nachricht an mehrere Endgeräte in einem Mobilfunknetz
CN102695292B (zh) * 2009-08-21 2015-09-30 黑莓有限公司 用于移动网络设备间通信的系统和方法
US8254510B2 (en) * 2009-12-23 2012-08-2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carrier interference cancellation
US20120275444A1 (en) * 2011-04-28 2012-11-01 Salah Shahsavari Push-to-multimedia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multimedia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82895A1 (en) 2000-08-15 2002-02-2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voice dispatch call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US6725053B2 (en) 2001-05-15 2004-04-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latency in waking up a group of dormant communication devices
US20030154243A1 (en) * 2002-02-14 2003-08-14 Crockett Douglas M.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gistering a user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DE10223248A1 (de) * 2002-05-22 2003-12-04 Siemens Ag Verfahren zum Registrieren eines Kommunikationsendgeräts
US7480915B2 (en) * 2002-10-03 2009-01-20 Nokia Corporation WV-IMS relay and interoperability methods
KR20040091231A (ko) * 2003-04-21 2004-10-28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효율적인 그룹통신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7574736B2 (en) * 2004-03-03 2009-08-1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transferring media across firewalls
US20050233776A1 (en) * 2004-04-16 2005-10-20 Allen Andrew M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group address cre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456A (ko) * 2016-08-12 2018-02-21 (주)티아이스퀘어 Ims 망을 이용하여 반이중 통화, 전이중 통화, 컨퍼런스 및 문자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ptt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901B1 (ko) 2007-10-26
US20060239267A1 (en) 200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901B1 (ko) Ptt 호 셋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ims 서비스망에서의 가입자 단말과 ims 서비스 망 및 ims서비스 망에서의 ptt 호 셋업 방법
EP1758323B1 (en) A method for terminal identifying capability interaction route control while ims and cs are coinstantaneous
EP2399367B1 (en) Location-based ims server selection
JP4549393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登録
JP4804244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をフィルタリングする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9641624B2 (en) Service provisioning in a communications system
CA2605475C (en) Session initiation from application servers in an ip multimedia subsystem
US200803170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ignaling optimization in ims services by using a service delivery platform
US20080254816A1 (en) Method for Supporting Combinatorial Cs Call and Ims Session
JP2006517064A (ja) 一時的に利用不可能なネットワークユーザーへのメッセージのルーティング方法、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装置
KR20070077419A (ko) IMS 도메인을 통한 실시간 서비스를 포함하는 VoIP단말의 호 요청을 CSI 단말이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6064347A1 (en) Method and system to the instant transfer of multimedia files between mobile radio users within the scope of combinational services
US201101945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call pick up using gruu an ims network
KR20060113284A (ko) 이종망간에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아이엠에스 시스템 및그에 따른 호 설정 방법
WO2010091588A1 (zh) 区分共享同一公共用户标识的多个用户设备的方法及装置
US8837463B2 (en) IP multimedia subsystem (IMS) and method for routing an HTTP message via an IMS
KR20080018699A (ko) 통신시스템에서 미디어 송신 방법 및 장치
US20040243711A1 (en) Method, system and network element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in a network environment
JP2013502784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方法及び装置
KR100775540B1 (ko) Ims 망에서의 단말 위치 등록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890827B1 (ko) Ims망에서의 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360151B1 (ko) Gruu 사용 가입자 간의 ims망에서의 sip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100933781B1 (ko)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치 등록처리 방법
KR20080018753A (ko) Ims 단말과 csi 단말간의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050103048A (ko)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세션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