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542A - 푸시-투-토크 공지 메시지의 플러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푸시-투-토크 공지 메시지의 플러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542A
KR20060111542A KR1020067010536A KR20067010536A KR20060111542A KR 20060111542 A KR20060111542 A KR 20060111542A KR 1020067010536 A KR1020067010536 A KR 1020067010536A KR 20067010536 A KR20067010536 A KR 20067010536A KR 20060111542 A KR20060111542 A KR 20060111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eiver
message
wireless communication
ptt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0364B1 (ko
Inventor
타리크 에이. 핫산
비제이크리슈나 사다고판
Original Assignee
키오세라 와이어리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오세라 와이어리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키오세라 와이어리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111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표적 송수신기는 다수의 기지국을 통해, 상기 표적 송수신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저 호출 메시지가 전송되는 과정 없이 브로드캐스팅되는 PTT 콜 공지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다수의 기지국은 표적 송수신기가 위치하고 있다고 기대되는 지리적 영역을 담당한다. 따라서 표적 송수신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호출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함에 따른 콜 설정 지연 시간이 감소한다. 거대한 공지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함에 따른 네트워크의 부가적인 부담도 피할 수 있다. 왜냐하면 FCCCH(Forward Common Control CHannel)의 유효 대역폭이 상기 거대한 메시지를 어떤 네트워크의 성능 저하 없이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공지 메시지는 간소화되어, 데이터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에 가해지는 어떤 부가적인 부담도 감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푸시-투-토크 공지 메시지의 플러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DIRECTED FLOOD OF PUSH-TO-TALK ANNOUNCE MESSAGE}
본 출원은 동출원인의 U.S. 특허 출원 No.10/730,520 "OPTIMIZED PUSH-TO-TALK CALL SETUP"에 연관되어 있고, 본원에서 이를 참조로 인용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며, 더욱 세부적으로는 무선 통신 기기들 간의 푸시-투-토크 통신을 확립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PTT(Push-To-Talk) 콜을 확립하기 위한 종래의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긴 콜 설정 시간이 단점이다. 요청하는 송수신기로부터의 콜 메시지를 PTT 서버가 수신하여, 공지 메시지(announce message)를 표적 송수신기로 발송한다. 그러나 상기 공지 메시지를 표적 송수신기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먼저 표적 송수신기의 위치가 파악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시스템은 우선적으로 호출 메시지(page message)를 지정된 지리적 영역에 걸쳐 브로드캐스팅하여, 상기 표적 송수신기의 위치를 파악한다.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호출 메시지에 응답하면, 그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특정 셀 안의 송수신기 위치가 식별되고, 상기 공지 메시지는 특정 셀에 대한 특정 기지국을 통해 상기 표적 송수신기로 전송된다. PTT 콜을 확립하기 위한 종래 방식의 심각한 문제점은 표적 송수신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시간을 많이 소비한다는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수신기의 주기적인 등록이 요구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등록 메시지들 간의 필요한 시간이 몇 분에서 몇 시간으로 다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표적 송수신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최근에 상기 송수신기가 네트워크에 등록되지 않았거나, 그곳에서 이동하였을 경우, 다수의 호출 메시지가 넓은 지리적 영역에 걸쳐 전송될 필요가 있다. 상기 다수의 호출 메시지는 PTT 콜 설정 시간을 증가시킨다.
덧붙이자면, 상기 표적 송수신기의 위치가 파악되고, 표적 송수신기가 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응답하면, PTT 서버가 연결 상태 메시지를 요청하는 송수신기에게 다시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연결 상태 메시지는, 기지국에서 우선 통신 네트워크가 PTT 콜을 위한 트래픽 채널을 확립할 때까지, 지연된다. 상기 트래픽 채널이 확립되면, 그 후 상기 연결 상태 메시지가 상기 트래픽 채널을 건너 상기 요청하는 송수신기로 전송된다. 이러한 연결 상태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있어 지연이 PTT 콜 설정 시간을 증가시킴이 명백하다.
그러므로 무선 통신 기기들 간에 PTT 통신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확립하고, 종래 시스템에서의 시간 소비에 관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요구된다.
종래의 시스템이 PTT 콜을 확립하기 위해 소모하는 상당한 시간이 무선 통신 분야에 있어 큰 문제점이었다. 평균적으로 종래의 시스템은 PTT 콜을 확립하기 위해 2.5 초 정도의 시간을 더 소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설정 시간을 감소시키는 PTT 콜 확립에 관한 개선된 방법을 제공한다.
PTT 콜 공지 메시지가 PTT 서버에 의해 상기 표적 송수신기로 전송될 때, 상기 표적 송수신기가 위치하고 있다고 기대되는 지리적 영역을 담당하는 다수의 기지국을 통해, 상기 공지 메시지가 브로드캐스팅된다. 따라서 표적 송수신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호출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함에 따른 콜 설정 지연 시간이 감소한다. 거대한 공지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함에 따른 네트워크의 부가적인 부담도 피할 수 있다. 왜냐하면 FCCCH(Forward Common Control CHannel)의 유효 대역폭이 상기 거대한 메시지를 어떤 네트워크의 성능 저하 없이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PTT 콜을 촉진시키도록 설정된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한 예를 도식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PTT 콜을 확립하기 위한 메시지 시퀀스의 한 예를 도식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내의 다수의 셀을 도식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무선 통신 기기에서의 오디오 채널의 한 예를 도식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PTT 콜을 확립하기 위한 요청하는 송수신기의 프로세스를 도식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PTT 콜을 확립하기 위한 표적 송수신기의 프로세스를 도식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에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기기의 바람직한 예를 도식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바람직한 예를 도식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PTT 콜 설정을 최적화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령, 본원에서 언급하는 하나의 방법에 의해, PTT 콜 공지 메시지가 다수의 기지국을 통해 표적 송수신기로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다수의 기지국은 상기 표적 송수신기가 위치하고 있다고 기대되는 지리적 영역을 담당한다. 따라서 표적 송수신기의 위치를 찾기 위해 호출 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른 추가적인 PTT 콜 설정 지연 시간이 감소된다.
도 1은 PTT 콜을 촉진시키도록 설정된 무선 통신 시스템(10)을 도식하는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시스템(10)은 송수신기(20, 30)같은 다수의 무선 통신 기기(이른바“무선 기기”, 또는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기는 기지국(40, 50)을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35)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35)에 연결되어 있는 것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Packet Data Service Node), 가령 PDSN(60, 70)이다. 각각의 PDSN은 데이터 저장 영역, 가령, 데이터 저장 영역(62, 72)을 갖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35)는 또한 다른 통신 네트워크, 가령 네트워크(90)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35)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2000(CDMA 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네트워크이며,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3GPP2)에 의한 기술 문서가 본원에서 인용된다. 가령, 무선 통신 네트워크(35)는 CDMA2000 버전 A 네트워크일 수 있다. 네트워크(90)는 방대한 네트워크 중 임의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가령, 회선 교환 방식의 전화 네트워크이거나, 인터넷 같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PTT 서버(80)는 네트워크(90)를 통해 PDSN들과 송수신기에 연결되어 있다. 또는, 상기 PTT 서버(8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35)의 한 부분일 수 있다. PTT 서버(80)는 또한 데이터 저장 영역(82)을 갖고 설정된다.
당업자가 이해하고 있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35)를 통한 패킷 데이터 통신은, 다수의 PDSN, 가령 PDSN(60, 70)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과하고 넘어서, 가령 네트워크(90)로 경로 설정(라우팅)된다. PTT 콜은 송수신기들 간에서 음성을 패킷 데이터로서 운반하기 위해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법을 이용하는 패킷 데이터 통신이다.
일반적으로, PTT 콜에서, 요청하는 송수신기는 표적 송수신기와의 연결을 확립하고, 전화하는 사람(콜러)은 전화기를 통해 말할 수 있다. 상기 콜러의 음성은 수천개의 데이터 패킷으로 분할되어, 각각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35)를 통해, PTT 서버(80)로 전송된다. PDSN은 이러한 패킷을 무선 통신 네트워크(35)를 통해 최종 도착지, 가령, PTT 서버(80), 또는 표적 송수신기(30)로 라우팅한다. 확립된 PTT 콜의 관리에 관한 것은 기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원에서는 상 세히 언급하지 않겠다.
도 2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PTT 콜을 확립하기 위한 예제 시퀀스를 도식한 흐름도이다. 도식된 실시예에서, 요청하는 송수신기(20)가 표적 송수신기(30)에 대한 PTT 콜을 요청한다. 상기 PTT 콜을 확립하기 위하여, 일련의 메시지가 두 송수신기를 연결하고 있는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다. 추가로, 본 실시예에서, PTT 서버가 처리 과정을 관리한다. 무선으로(over the air), 통신이 각각의 송수신기(20, 30)와 각각 대응하는 기지국(40, 50) 사이에서 이뤄진다. 2개의 기지국이 나타나지만, 상기 송수신기들이 서로 가깝게 위치할 경우, 하나의 기지국으로 충분할 수도 있다. 덧붙이자면, 상기 송수신기가 이동할 경우, 추가적인 기지국이 요구될 수도 있다.
먼저, 요청하는 송수신기(20)에서, 콜러는 PTT 콜을 개시한다. 가령, PTT 콜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콜러가 송수신기(20)의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일련의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콜러가 PTT 콜을 확립하기 위한 지시어를 제공하면, 상기 송수신기(20)는 CALL 메시지를 기지국(40)에 전송한다. 상기 CALL 메시지는 38.4 kbyte/s 데이터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는 역방향 확장 접근 채널(REACH: Reverse Enhanced Access CHannel)을 이용하여 무선으로(over the air) 전송된다.
기지국(40)이 CALL 메시지를 송수신기(20)로부터 수신하면, 기지국(40)은 사기 CALL 메시지를 PTT 서버(80)로 발송한다. 상기 메시지는 패킷 데이터로서 무선 광역 네트워크(WWAN: Wireless Wide Area Network) 부분을 통해 전송된다. PTT 서 버가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CALL 메시지를 수신하면, PTT 서버(80)는 ANNOUNCE 메시지를 생성하여, 표적 송수신기(30)로 전송한다. 상기 PTT 서버(80)는 ANNOUNCE 메시지를 WWAN을 통해, 송수신기(30)가 위치하고 있는 지리적 영역을 관할하는 다수의 기지국을 관리하는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송수신기(3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PAGE 메시지가 다수의 기지국을 통해 브로드캐스팅된다. PAGE 메시지가 제어 채널, 가령 순방향 공통 제어 채널(FCCCH: Forward Common Control CHannel)에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송수신기(30)가 이를 수신하면, 상기 송수신기는 채널 REACH에서 전송된 RESPONSE 메시지를 이용하여 답장을 보낸다. 상기 RESPONSE 메시지가 특정 기지국(50)에서 수신되기 때문에, PAGE와 RESPONSE 메시지의 조합(100)이 정확하게 송수신기(3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30)의 위치가 정확히 파악되면, 같은 기지국(50)이 ANNOUNCE 메시지를 FCCCH 채널에 있는 송수신기(30)로 전송하고, 상기 ANNOUNCE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고, PTT 콜을 허락하는 상기 송수신기(30)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한다. 상기 송수신기(30)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는 ANNOUNCE ACKNOWLEDGEMENT(AACK)이다.
또한, FCCCH 채널의 다수의 기지국을 통해 PAGE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한다기 보다는, ANNOUNCE 메시지 스스로 FCCCH 채널의 다수의 기지국을 통해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상기 ANNOUNCE 메시지의 크기가 PAGE 메시지의 크기보다 클지라도,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부담을 주는 추가 리소스는, FCCCH 채널의 명확한 대역폭 가용성 때문에 무시된다. 따라서 상기 송수신기(30)가 있다고 기대되어 지는 지 리적 영역에 해당하는 다수의 기지국을 통해 ANNOUNCE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설정 프로세스에서의 부가적인 시간이 절약된다.
송수신기(30)는 STATUS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기(30)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영역을 담당하는 기지국에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주기적으로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등록 프로세스는 기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원에서의 상세한 언급은 피하겠다. 상기 등록 프로세스의 이점은 상기 송수신기(30)가 성공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고 기대되는 이산적이고 한정된 기지국의 집합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상기 송수신기(30)가 AACK 메시지에 응답하면, 기지국(50)이 AACK 메시지를 WWAN을 통해 PTT 서버(80)로 발송한다. 상기 PTT 서버(80)가 기지국(40)을 통해 CONNECTION STATUS 메시지(110)를, 요청하는 송수신기(20)로 전송한다. 무선으로(over the air), 상기 기지국(40)으로부터, 상기 STATUS 메시지(110)가 FCCCH 채널의 송수신기(20)로 전송된다. 상기 STATUS 메시지(110)를 FCCCH 채널의 송수신기(20)로 전송하는 것에 의해, 트래픽 채널을 확립하고, 상기 STATUS 메시지(110)를 상기 트래픽 채널의 송수신기(20)로 전송하기 위해 대기함으로써 발생하는 임의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요청하는 송수신기(30)에서, STATUS 메시지(110)가 수신되면, 상기 송수신기(20)가 자신의 오디오 채널을 개방하고, 콜러(즉, 송수신기(20)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기 시작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트래픽 채널이 확립될 때까지 상기 송수신기(20)에 버퍼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래픽 채널 이 확립되면, 버퍼링된 오디오가 트래픽 채널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기(30)로 전송될 수 있으며, PTT 콜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다수의 셀을 도식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식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셀이 자신의 지리적 영역을 담당하는 셀(120, 140, 160)을 도식한다. 셀(120, 140, 160)은 각각 기지국(130, 150, 170)이 담당한다. 송수신기(25)는 셀(160)내에 위치하고, 기지국(170)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over the air communication)을 확립할 수 있다.
송수신기(25)가 PTT 콜을 요청하는 하나의 실시예에서, FCCCH 채널에서, 송수신기(25)가 CALL 메시지를 기지국(170)에 전송하고, 또한 FCCCH 채널에서 기지국(170)으로부터 수신된 STATUS 메시지가 송수신기(25)로 전송된다.
송수신기(25)가 PTT 콜에 대한 표적 송수신기인 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기지국(130, 150, 170)은 ANNOUNCE 메시지를 셀(120, 140, 160)에 각각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따라서 송수신기(25)는 ANNOUNCE 메시지를 기지국(170)으로부터 수신하여, 무선으로 적정 AACK 메시지를 기지국(170)으로 전송한 다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PTT 서버로 다시 전송된다.
도 4는 무선 통신 기기에서의 오디오 채널의 예제를 도식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식된 실시예에서, 오디오 채널은 마이크로폰(200)과, 코덱(210)과, 보코더(220)를 포함한다. 이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요소도 역시 오디오 채널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알고 있을 것이다. 또한, 데이터 저장 영역(232)을 갖도록 설정된 프로세서(230)가 도식된다.
표준 작동 중에, 콜이나 그 밖의 다른 오디오 입력 기능이 사용중이지 않을 때, 오디오 채널의 구성요소의 전원은 꺼진다. 가령, 마이크로폰(200)의 기능이 억제되고, 코덱(210)과 보코더(220)의 파워는 억제된다. 오디오 채널의 전원이 꺼짐으로써, 필요하지 않은 때는 송수신기상의 필요한 시스템 리소스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실시예에서, 송수신기가 기지국으로부터 STATUS 메시지를 수신할 때, PTT 콜에 대한 트래픽 채널이 아직 확립되지 않았을지라도, 프로세서(230)가 오디오 채널은 활성화시켜 콜러가 PTT 콜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러로부터의 오디오 입력(즉, 음성)이 코덱(210) 및 보코더(22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프로세서(230)는 마이크로폰의 기능은 억제하고, 코덱(210) 및 보코더(220)를 활성화시킨다. 이렇게 처리된 오디오 입력은 프로세서(230)에 의해 데이터 저장 영역(32)에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저장 영역은 FLASH 메모리, 또는 버퍼, 또는 다른 종류의 휘발성/비휘발성 저장매체일 수 있다. 트래픽 채널이 확립되면, 처리되고 버퍼링된 오디오 콘텐트가 트래픽 채널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표적 송수신기로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요청하는 송수신기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PTT 콜을 확립하는 한 가지 예를 도식한 흐름도이다. 먼저, 스텝(310)에서, 요청하는 송수신기는 PTT 개시 명령어를 콜러로부터 수신한다. 가령, 상기 콜러가 PTT 콜을 개시하기 위해, 송수신기의 특정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이를 대체하거나, 이와 조합하여, 상기 콜러는 상기 PTT 콜을 개시하는 다양한 메뉴 아이템, 아이콘, 옵션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할 수 있다.
콜러에 의해, PTT 콜이 송수신기에서 개시되면, 스텝(320)에서, 송수신기는 무선으로 CALL 요청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기가 위치하고 있는 특정 지리적인 셀 영역을 담당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기 CALL 요청은 REACH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이러한 콜 요청에 응답하여, 스텝(330)에서, 상기 송수신기는 PTT 콜의 확립을 확인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무선 통신(over the air communication)을 수신한다. 이러한 연결 STATUS 메시지는 상기 PTT 콜 동안 VOIP 데이터 패킷을 운반하기 위해 트래픽 채널이 개방되었는지를 필수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아니나, 표적 송수신기가 위치하고 있는지와 PTT 콜에 대해 가용한지를 나타낸다. 상기 연결 STATUS 메시지는 FCCCH 제어 채널의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다.
STATUS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다음에, PTT 콜이 시작되도록, 상기 송수신기가 오디오 채널을 스텝(340)에서 활성화시킨다. 덧붙이자면, 또한 상기 송수신기는 오디오 입력을 수신할 준비를 하는 콜러를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에 비추어, 상기 송수신기에 의해 콜러로부터 수신된 임의의 음성 데이터(즉, 오디오 입력)가 오디오 채널에서 처리되고, 상기 송수신기에 버퍼링된다(스텝(350)).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계속 버퍼링하고, PTT 콜에 대한 트래픽 채널이 확립되기를 대기한다(스텝(360)). 상기 트래픽 채널이 확립되어 있지 않는 동안에, 상기 송수신기는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계속 버퍼링한다. 상기 트래픽 채널이 확립되면, 스텝(370)에서, 상기 송수신기가 버퍼링된 오디오 데이터를 트래픽 채널의 표적 송수신기로 전송하고, 그에 따라 PTT 콜이 뒤따른다.
도 6은 표적 송수신기가 무선 통신을 통한 PTT 콜을 확립하는 예를 도식한 흐름도이다. 먼저, 스텝(400)에서, 표적 송수신기는 무선으로 무선 통신내의 ANNOUNCE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ANNOUNCE 메시지는 FCCCH 제어 채널에서 표적 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된다. 상기 ANNOUNCE 메시지를 수신하면, 표적 송수신기는 AACK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다시 돌려보낸다(스텝(410)). 상기 AACK 메시지는 REACH 제어 채널에서 전송된다.
다음은, 스텝(420)에서, PTT 콜에 대한 트래픽 채널이 표적 송수신기에 대해 확립되도록, PTT 서버의 경로를 설정(라우팅)하는 REACH 채널에서, 상기 표적 송수신기가 CALL 요청을 전송한다. 상기 CALL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송수신기는 채널 할당을 수신한다(스텝(430)). 채널이 PTT 콜에 대해 할당되면, 그 후 상기 송수신기는 할당된 트래픽 채널에서 오디오를 수신하기 시작하고(스텝(440)), 요청하는 송수신기와 표적 송수신기 사이의 PTT 콜이 발생한다.
도 7은 본원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와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기기(450)의 바람직한 예를 도식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가령,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통신 기기(450)는 요청하는 송수신기나, 표적 송수신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무선 통신 기기나 장치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도식된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통신 기기(450)는 안테나(452), 멀티플렉서(454),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456), 파워 증폭기(PA)(458), 모듈레이션 회로(460), 베이스밴드 프로세서(462), 스피커(464), 마이크로폰(466), CPU(468), 데이터 저장소(470) 및 하드웨어 인터페이스(472)를 포함한다. 무선 통 신 기기(450)에서, RF 신호가 안테나(452)에 의해 전송되고 수신된다. 멀티플렉서(454)는 송신과 수신 신호 경로 사이에서 안테나(452)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 기능을 한다. 상기 수신 경로에서, 수신된 RF 신호는 멀티플렉서(454)에서 LNA(456)로 연결되어 있다. LNA(456)는 상기 수신된 RF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된 신호를 모듈레이션 회로(460)의 디-모듈레이션 부로 연결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모듈레이션 회로(460)는 디-모듈레이터와 모듈레이터를 하나의 집적 회로(IC)로 통합한 것이다. 상기 디-모듈레이터와 모듈레이터는 또한 개별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디-모듈레이터는 RF 캐리어 신호를 베이스밴드 수신 오디오 신호만 남도록 변화시키며, 상기 베이스밴드 수신 오디오 신호는 상기 디-모듈레이터에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462)로 보내진다.
상기 베이스밴드 수신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정보를 포함할 경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462)는 상기 신호를 디코딩하고,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화한다. 그 후, 상기 신호는 증폭되어 스피커(464)로 전송된다.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462)는 또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로폰(466)으로부터 수신한다. 이러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462)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화되고, 인코딩된다.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462)는 모듈레이션 회로(460)의 모듈레이터 부로 라우팅되는 베이스밴드 전송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고 생성하기 위하여, 또한 디지털 신호를 코딩한다. 상기 모듈레이터는 베이스밴드 전송 오디오 신호를 RF 캐리어 신호와 혼합하여, 파워 증폭기(458)로 라우팅되는 RF 전송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파워 증폭기(458)는 RF 전송 신호를 증폭하여, 이를 신호가 안테 나(452)가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 포트로 스위칭되는 멀티플렉서(454)로 라우팅한다.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462)는 또한 CPU(468)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CPU(468)는 데이터 저장소(470)로 액세스할 수 있다. 상기 CPU(468)가 데이터 저장소(470)에 저장될 수 있는 명령어(즉,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또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462)으로부터 수신되어, 상기 데이터 저장소(470)에 저장되거나, 수신되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무선 통신 기기(450)가 본발명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원에서, 용어“컴퓨터 판독형 매체”는 CPU(468)에 의해 실행되도록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무선 통신 기기(450)에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매체를 일컫는다. 이러한 매체의 예를 들자면, 데이터 저장소(470), (베이스밴드 프로세서(462)를 통한)마이크로폰(466), (역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통한)안테나(452), 하드웨어 인터페이스(472)가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형 매체는 실행 가능한 코드와, 프로그래밍 명령어와, 소프트웨어를 상기 무선 통신 기기(450)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실행 가능한 코드와 프로그래밍 명령어와, 소프트웨어는 CPU(468)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CPU(468)가 본 발명의 특징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웨어 인터페이스(472)에 의해 새로운 기기가 감지될 때, 상기 CPU가 하드웨어 인터페이스(472)로부터의 통지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 다. 상기 하드웨어 인터페이스(472)는 전자기계적 감지기와 제어 소프트웨어의 조합일 수 있으며, 상기 CPU(468)와 통신하고, 새로운 기기에 대해 반응할 수 있다.
도 8은 본원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에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컴퓨터 시스템(550)을 도식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가령, 컴퓨터 시스템(550)은 PTT 서버, 또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의 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컴퓨터 시스템이나 장치도 가능하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55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가령, 프로세서(55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인 프로세서가 제공될 수 있다. 가령 입출력을 관리하는 보조 프로세서, 소수점 연산을 수행하는 보조 프로세서, 신호 프로세싱 알고리즘의 빠른 수행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령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메인 프로세싱 시스템에 종속되는 슬레이브 프로세서(가령, 백-엔드 프로세서), 듀얼/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 대한 부가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제어기, 또는 코-프로세서(coprocessor)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프로세서들은 프로세서들을 분리하거나 상기 프로세서(552)에 일체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552)는 통신 버스(554)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 버스(554)는 저장매체와 컴퓨터 시스템(550)의 다른 주변 구성요소 간의 정보 전송을 촉진하는 데이터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버스(554)는 프로세서(552)와의 통신에 사용되는 한 세트의 신호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으며, 도면상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데이터 버스, 어드레스 버스, 제어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버스(554)는 임의의 표준, 또는 비표준 버스 구조를 지닐 수 있다. 가령, ISA(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EISA(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MCA(Micro Channel Archtecture),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에 따르는 로컬 버스, 또는 IEEE 488 GPIB(General Purpose Interface Bus), IEEE 696/S-100을 포함하여 IEEE에서 공표된 표준에 따르는 버스 구조가 있다.
컴퓨터 시스템(550)은 메인 메모리(556)를 포함하고, 또한 보조 메모리(5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메모리(556)는 프로세서(552)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명령어 및 데이터의 저장소를 제공한다. 상기 메인 메모리(556)는 통상적으로 반도체 기반 메모리, 가령,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일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반도체 기반 메모리 타입으로는 예를 들어,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RDRAM(Ramb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F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가 있다.
보조 메모리(558)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60)와,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드라이브, CD(Compact Disc) 드라이브, DVD(Digital Versatile Disc)같은 이동 저장 기기(5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저장 기기(562)는 종래의 방식대로 이동 저장 매체(564)로부터 판독되어지고, 상기 매체(564)에 쓸 수 있다. 이동 저장 매체(564)는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CD, DVD 등일 수 있다.
상기 이동 저장 매체(564)는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 또는 데이터를 갖는 컴퓨터 판독형 매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저장 매체(564)에 저장된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데이터는 컴퓨터 시스템(550)에서 전기 통신 신호(578)로서 판독되어 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 메모리(558)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다른 데이터, 또는 명령어가 상기 컴퓨터 시스템(550)으로 로딩되게 하는 다른 유사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수단은 외부 저장 매체(572)와, 인터페이스(57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저장 매체(572)의 예를 들자면, 외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외부 광 드라이브, 또는 외부 광-자기 드라이브가 있다.
보조 메모리(558)의 또 다른 예를 들자면, 반도체 기반 메모리, 가령,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Read-Only Memory), (EEPROM에 유사한 블록 지향 메모리)플래시 메모리가 있다. 또한 그 밖의 다른 이동 저장 유닛(572) 및 인터페이스(570)가 포함되며, 이는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가 상기 이동 저장 유닛(572)에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550)으로 전송되게 한다.
컴퓨터 시스템(550)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5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574)는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가 컴퓨터 시스템(550)과 외부 기기(가령 프린터), 또는 네트워크, 또는 정보 소스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가능 코드가 네트워크 서버에서 통신 인터페이스(574)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550)으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 스(574)의 예를 들자면, 모뎀, NIC(Network Interface Card), 통신 포트, PCMCIA 슬롯 및 카드, 적외선 인터페이스, IEEE 1394 파이어-와이어(IEEE 1394 fire-wire)가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74)는 산업 프로토콜 표준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이더넷 IEEE 802 표준, 광섬유 채널, DSL(Digital Subscriber Line), ADSL(Asynchronous Digital Subscriber Line), 프레임 릴레이,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ISDN(Integrated Digital Service Network),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SLIP/PPP(Serial Line Internet Protocol/Point to Point Protocol)이 있다. 그러나 또한 사용자 설정형, 또는 비표준 인터페이스 프로토콜도 사용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74)를 통해 전송된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전기 통신 신호(578)의 형태인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신호(578)는 통신 인터페이스(574)에 통신 채널(576)을 통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 채널(576)은 신호(578)를 운반하며, 상기 통신 채널은 다양한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가령, 와이어나 케이블, 광섬유, 기존 전화 선, 셀 폰 링크, RF 링크나 적외선 링크가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즉,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는 메인 메모리(556), 또는 보조 메모리(558)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574)를 통해 수신되어, 메인 메모리(556), 또는 보조 메모리(558)에 저장된 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 시스템(550)으로 하여금 본 발명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컴퓨터 판독형 매체”는 컴퓨터 실행 가능 코드(가령 소프트웨어와 컴퓨터 프로그램)를 컴퓨터 시스템(550)에 제공하도록 사용되는 임의의 매체를 일컫는다. 이러한 매체의 예로는 메인 메모리(556)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60), 이동 저장 매체(564), 외부 저장 매체(572)를 포함하는 보조 메모리(558)와, 통신 인터페이스(574)에 연결되어 있는 임의의 주변 기기(가령, 네트워크 정보 서버, 또는 그 밖의 다른 기기)가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형 매체는 실행 가능 코드와, 프로그래밍 명령어와, 소프트웨어를 컴퓨터 시스템(550)에 제공하는 수단이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한 실시예에서, 이동 저장 드라이브(562), 인터페이스(570), 통신 인터페이스(574)를 이용하여, 상기 소프트웨어가 컴퓨터 판독형 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 시스템(550)으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전기 통신 신호(578)의 형태로 컴퓨터 시스템(550)으로 로딩된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552)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552)로 하여금 본 발명의 특징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령,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이용하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기반 머신의 구현은 당업자라면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를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4)

  1.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PTT(Push-To-Talk) 콜을 초기화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요청하는 송수신기로부터의 PTT 초기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요청은 수신자 송수신기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PTT 요청을 공지 메시지(announce message)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공지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 송수신기로 보내는 단계,
    상기 공지 메시지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로서, 이때 상기 공지 메시지는 다수의 기지국을 통해 전송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PTT(Push-To-Talk) 콜을 초기화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PTT(Push-To-Talk) 콜을 초기화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상기 공지 메시지를 제어 채널에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PTT(Push-To-Talk) 콜을 초기화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채널은 순방향 공통 제어 채널(FCCCH: Forward Common Control CHannel)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PTT(Push-To-Talk) 콜을 초기화하기 위한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지 메시지에 응답하여 ACK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PTT(Push-To-Talk) 콜을 초기화하기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ACK 메시지는 제어 채널에서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PTT(Push-To-Talk) 콜을 초기화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은 역방향 확장 액세스 채널(REACH: Reverse Enhanced Access CHannel)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PTT(Push-To-Talk) 콜을 초기화하기 위한 방법.
  8.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PTT 콜을 초기화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over the air communication)을 위해 설정되는 요청하는 송수신기,
    상기 요청하는 송수신기와 무선 통신(over the air communication)하도록 설정되는 기지국
    을 포함하며, 이때 제 1 제어 채널에서 상기 요청하는 송수신기는 PTT 콜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제 2 제어 채널에서 응답 연결 상태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PTT 콜을 초기화하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PTT 콜을 초기화하는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제어 채널을 더 포함하며, 이때 순방향 공통 제어 채널(FCCCH: Forward Common Control CHannel)에서 상기 PTT 공지 메시지가 상기 표적 송수신기로 브로드캐스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PTT 콜을 초기화하는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PTT 서버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PTT 서버는 상기 PTT 공지 메시지를 초기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PTT 콜을 초기화하는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지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 1 기지국이 표적 송수신기로부터 ACK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PTT 콜을 초기화하는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ACK 메시지는 상기 제 1 기지국에 의해 제어 채널에서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PTT 콜을 초기화하는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은 역방향 확장 액세스 채널(REACH: Reverse Enhanced Access CHannel)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PTT 콜을 초기화하는 시스템.
KR1020067010536A 2003-12-08 2004-12-03 푸시-투-토크 공지 메시지의 플러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160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30,519 2003-12-08
US10/730,519 US7398095B2 (en) 2003-12-08 2003-12-08 Directed flood of push-to-talk announce message
PCT/US2004/040596 WO2005057868A1 (en) 2003-12-08 2004-12-03 Directed flood of push-to-talk announce mess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542A true KR20060111542A (ko) 2006-10-27
KR101160364B1 KR101160364B1 (ko) 2012-06-28

Family

ID=34634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536A KR101160364B1 (ko) 2003-12-08 2004-12-03 푸시-투-토크 공지 메시지의 플러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398095B2 (ko)
EP (1) EP1698125B1 (ko)
JP (2) JP2007523516A (ko)
KR (1) KR101160364B1 (ko)
CN (1) CN100576818C (ko)
AT (1) ATE438270T1 (ko)
CA (1) CA2547735C (ko)
DE (1) DE602004022330D1 (ko)
ES (1) ES2328152T3 (ko)
WO (1) WO20050578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6965B2 (en) * 2004-05-27 2008-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call set-up time for time-sensitive applications in a wireless network
CA2599671C (en) 2005-03-02 2014-09-16 Lg Electronics Inc. A method of transmitting broadcast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885885B2 (ja) * 2005-03-02 2012-02-2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放送メッセージ伝送方法
CN100442872C (zh) * 2005-11-02 2008-12-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PoC业务实现方法
US8437751B2 (en) * 2006-04-25 2013-05-07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confirmed over-the-air terminal configuration
CN101146271B (zh) * 2006-09-11 2010-05-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cdma2000集群通信系统的群组高速数据传送方法
US8077650B2 (en) * 2008-09-30 2011-12-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of announcing a call and transmitting application data to an access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MX2012003395A (es) * 2011-04-29 2012-10-12 Nii Holdings Inc Metodo para establecer una conexion de comunicacion.
KR20170081218A (ko) * 2015-01-17 2017-07-1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호 확립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사용자 장비
US10153991B2 (en) * 2016-01-11 2018-12-11 Cloud9 Technologies, LLC Use based scalable instant voice communication
USD861711S1 (en) * 2017-05-12 2019-10-01 Adp, Ll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61712S1 (en) * 2017-05-12 2019-10-01 Adp, Ll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4958A (en) * 1997-10-28 1999-06-22 Motorola, Inc. Fast call setup in a CDMA dispatch system
US20030148779A1 (en) * 2001-04-30 2003-08-07 Winphoria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expediting call establishment in mobile communications
US6738617B2 (en) * 2001-05-15 2004-05-18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er for reducing latency in a group dormancy-wakeup process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US6801783B2 (en) * 2001-12-20 2004-10-05 Motorola, Inc. Base site and method for quickly establishing a CDMA dispatch call
US20030202487A1 (en) * 2002-04-26 2003-10-30 Harris John M.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all setup time
US7130282B2 (en) * 2002-09-20 2006-10-31 Qualcomm Inc Communication device for providing multimedia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US7260414B2 (en) * 2003-12-08 2007-08-21 Kyocera Wireless Corp. Optimized push-to-talk call set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50078A (ja) 2011-03-10
JP2007523516A (ja) 2007-08-16
US7398095B2 (en) 2008-07-08
CN1890929A (zh) 2007-01-03
EP1698125B1 (en) 2009-07-29
CN100576818C (zh) 2009-12-30
KR101160364B1 (ko) 2012-06-28
WO2005057868A1 (en) 2005-06-23
CA2547735C (en) 2011-03-29
DE602004022330D1 (de) 2009-09-10
CA2547735A1 (en) 2005-06-23
US20050124366A1 (en) 2005-06-09
EP1698125A1 (en) 2006-09-06
ES2328152T3 (es) 2009-11-10
ATE438270T1 (de) 2009-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443B1 (ko) 최적화된 푸시-투-토크 콜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11050078A (ja) プッシュツートークアナウンスメッセージの指図された流れ
US7260087B2 (en) Implementation methodology for client initiated parameter negotiation for PTT/VoIP type services
US8326349B2 (en) Multi-service cellular phone network access device
US8565742B2 (en) Multi-standby mobile terminal and host function providing method for the same
US200502322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sh-to-talk communications
US200702802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oip client using a wireless personal-area-network enabled device
US8504015B2 (en) Short-range wireless relay method and system
JP2008537390A (ja) ワイヤレス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を通しての同時音声およびデータ通話の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US8406762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registration on a multi-technology handset
US8774706B2 (en) Short-range wireless mobile terminal method and system
WO2006073533A2 (en) Call setup for a wireless mobile network and supporting method, apparatus, and readable medium
CN105682079B (zh) 用户识别卡控制方法及终端
KR101099433B1 (ko) 낮은 대기 시간 서비스들을 위한 베어러 네트워크에 의한시그널링 전송
US20070297431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send respon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