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0835A - 웹 기반의 원격 진단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웹 기반의 원격 진단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0835A
KR20060110835A KR1020060035982A KR20060035982A KR20060110835A KR 20060110835 A KR20060110835 A KR 20060110835A KR 1020060035982 A KR1020060035982 A KR 1020060035982A KR 20060035982 A KR20060035982 A KR 20060035982A KR 20060110835 A KR20060110835 A KR 20060110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image data
medical image
user
diagn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4543B1 (ko
Inventor
신영기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칼텔레팍스센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칼텔레팍스센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칼텔레팍스센타
Priority to PCT/KR2006/00151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7001113A1/en
Publication of KR20060110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Abstract

웹 기반의 원격 진단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진단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와, 원격 진단의 대상이 되는 의료 영상 데이터 및 원격 진단자를 선택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진단 결과를 입력 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사선 진단 전문의가 없는 보건소나 낙도(落島)와 같은 상황에서도 신뢰성 있는 방사선 진단 결과를 받을 수 있으며, 협진(協診)이 용이하여 진단 결과의 정확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진료 정보의 체계적 관리가 가능함에 따라 과거의 진료 정보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며, CT, MRI 등의 중복 과잉 검사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의료전달체계의 확립에 기여할 수 있다.
원격 진단, PACS, 의료 영상 데이터

Description

웹 기반의 원격 진단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WEB-BASED REMOTE DIAGNOSI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진단 장치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진단 방법의 전체 흐름도.
도 3은 다이컴 형식에 의한 인포메이션 오브젝트(information object)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2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원격 진단 요청 단계(S208)의 상세 흐름도.
도 5는 도 2에서의 비용 결제 단계(S214)의 상세 흐름도.
본 발명은 원격 진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웹 기반으로 구현되는 원격 진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산업의 발달로 현재 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를 도입하고 있는 병원이 늘어나고 있다. PACS는 디지털 의료영상의 저장(archiving), 판독(reading) 및 검색(viewing) 등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시스템 으로서 X선, CT, MRI, PET, SPECT 등의 각종 의료장비(modality)를 통해 촬영된 환자의 신체정보에 대한 모든 방사선 검사 결과를 디지털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여 촬영과 동시에 대용량 기억장치에 저장시키고, 네트워크를 통해 판독센터의 컴퓨터 모니터로 전송하여 판독 전문의가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
PACS는 DICOM (Digital Image and Communication in Medicine) 규격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고 있다. 또한 의료영상 획득장비와 진단방사선과의 판독 전문의와 임상 의사를 하나로 연결하고 있다. PACS는 관계형 저장수단을 이용하여 의료영상을 저장하고, 요청에 따라 의료영상을 검색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수단에는 현재 대략 2주간의 환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2주 이상되는 의료영상 데이터는 장기 저장수단에 영구 보존된다. 각각의 의료영상 획득장비에서는 각 벤더에서 지원하는 DICOM 표준의 저장 프로그램에 의해 별도의 인터페이스 장치 없이 직접 PACS 서버에 의료영상을 전송 및 저장할 수 있다. 외래 의사 및 진단방사선과 의사들에게는 GUI (Graphic User Interface)로 개발된 뷰어(viewer)를 제공하여 자신의 연구실 또는 회의실에서 의료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판독하고, 즉시 진단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PACS는 먼저 영상 정보의 신속한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촬영된 환자의 의료영상을 판독을 필요로 하는 판독실 및 기타 임상 관련과로 전송선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PACS가 없는 경우에 많은 시간에 걸쳐 전달되던 의료영상 데이터가 촬영되는 즉시 또는 수초 내에 판독을 필요로 하는 곳으로 전달될 수 있어서 환자에 대한 신속한 진료와 함께, 병 원 내에서의 정보 흐름의 지연을 해소하여 환자의 진료시간 및 입원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PACS를 이용함에 따라 모니터를 통해 용이하게 의료영상을 판독할 수 있으므로 필름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로써, 필름의 분실로 인한 데이터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고, 같은 영상 데이터를 여러 곳에서 동시에 관찰할 수 있으며, 필름의 운반 등에 인력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대용량의 데이터를 필름 등을 이용하여 보관하지 않고, 광디스크 등의 고집적도 저장수단에 저장함으로써 저장 공간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필름을 보관할 창고가 필요 없어진다. 또한 필름 창고에서 원하는 환자의 과거 영상을 찾아올 필요 없이 PACS 시스템의 화면에 나타난 메뉴를 선택하므로써 신속하게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PACS는 이러한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적, 법적 여러 문제들로 인해 병원 내의 업무에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방사선 진단 전문의가 없는 보건소나 낙도(落島)와 같은 상황에서는 비록 고가의 의료장비에 의해 환자의 신체부위에 대한 방사선 촬영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신뢰성 있는 방사선 진단 결과를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촬영 결과에 대한 협진(協診)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의료영상에 대한 진단 결과가 의심스러운 경우 다른 병원에서 다시 촬영해야 하는 실정이므로 중복 과잉 검사의 우려가 높다. 또한 신뢰성 있는 진단 결과를 위해 환자는 1차 의료기관을 거치지 않고, 신뢰성 있는 방사선 진단 전문의가 있는 3차 의료기관을 바로 이용하게 되므로 의료전 달체계가 바로 작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환자에 대한 과거 진료 정보의 체계적 관리가 어려우므로 환자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신뢰성 있는 진단 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진료 정보의 체계적 관리가 용이하고, 중복 과잉 검사를 예방할 수 있는 원격 진단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웹 기반의 원격 진단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와, 원격 진단의 대상이 되는 의료 영상 데이터 및 원격 진단자를 선택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진단 결과를 입력 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웹 기반의 원격 진단 방법에 있어서, 다이컴 형식으로 생성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원격 진단을 요청하는 의료 영상 데이터 및 원격 진단자를 선택 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진단 결과를 입력 받아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웹 기반의 원격 진단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와, 원격 진단의 대상이 되는 의료 영상 데이터 및 원격 진단자를 선택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진단 결과를 입력 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웹 기반의 원격 진단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다이컴 형식으로 생성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원격 진단을 요청하는 의료 영상 데이터 및 원격 진단자를 선택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진단 결과를 입력 받아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웹 기반으로 원격 진단을 구현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이컴 형식으로 생성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사용자 식별정보 및 원격 진단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사용자 단말기 및 원격 진단자 단말기와의 인터넷 통신을 구현하는 수단과, 상기 저장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웹 기반의 원격 진단을 수행하는 원격 진단 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원격 진단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저장수단을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가 정당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정당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와 원격 진단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원격 진단을 요청하는 의료 영상 데이터 및 원격 진단자를 선택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진단 결과를 입력 받아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방사선 진단 전문의가 없는 보건소나 낙도(落島)와 같은 상황에서도 신뢰성 있는 방사선 진단 결과를 받을 수 있으며, 협진(協診)이 용이하여 진단 결과의 정확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진료 정보의 체계적 관리가 가능함에 따라 과거의 진료 정보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며, CT, MRI 등의 중복 과잉 검사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의료전달체계의 확립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진단 장치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격 진단 장치(104)는 인터넷(110)을 통해 병원의 PACS 서버(102)와 사용자 단말기(106)와 원격 진단자 단말기(108a, 108b)와 연결되어 웹 기반의 원격 진단을 수행한다.
병원의 의료 시스템(100)은 PACS 서버(102)와 RIS(111)와 각종 의료영상 획득장비(112a, 112b, 112c)로 이루어진다. 의사가 환자를 진료한 뒤 진찰결과 및 촬영 오더를 RIS(111)에 입력하면, 의료영상 획득장비(112a, 112b, 112c)는 RIS(111)에 입력된 촬영 오더에 따라 환자에 대한 방사선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 결과 생성된 이미지를 DICOM 형식으로 변환하여 PACS 서버(102)로 전송한다. PACS 서버(102)는 DICOM 형식의 의료 영상 데이터를 TCP/IP 기반으로 인터넷(110)을 경유하여 원격 진단 장치(104)에 전송한다. 전송된 의료 영상 데이터는 통신수단(114)을 경유 하여 저장수단(118)에 저장된다. 환자가 방사선 촬영 결과를 병원으로부터 CD 형태로 제공받고, 자신의 단말기(106)로부터 네트워크(110)를 경유하여 원격 진단 장치(104)로 제공할 수 있다.
병원내 PACS의 구조(architecture)는 PACS 설계시 전체 시스템 성능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영상데이터의 저장과 조회 방식에 따라 중앙집중형 시스템과 분산형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중앙집중형 시스템은 파일 공유 시스템(Shared File System) PACS로 불리워지는데 모든 영상데이터를 중앙 저장장치(Central Storage)에 저장하고, 조회 요구시 해당 데이터를 조회 시스템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구조는 모든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상관 없이 모든 영상데이터를 액세스 할 수 있는 반면 조회 요구 후에 데이터 전송이 일어나기 때문에 상당히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가 필요하다.
분산형 시스템은 파일 분산 시스템(Distributed File System) PACS 라고 말하며, 업무 구성에 맞춰 영상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저장 시스템(Storage System)에 분산시킨다. 또한 각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은 조회 영상데이터를 임시로 보관하는 캐쉬 성격의 국부 이미지 저장장치의 특성도 가진다. 각 워크스테이션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은 각 부서 특성에 맞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가져오는 프리페치 알고리즘(prefetching algorithm)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구조는 중앙 집중식에 비해 비교적 속도가 느린 저속 네트워크(10Mbps)으로도 구축 가능하며 단지 조회 요구 데이터가 국부 워크스테이션에 없는 경우 데이터 전송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실제 PACS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두 방식의 장점을 이용하는 혼합형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속한 네트워크 관련 기술개발로 개인 단말기까지 100Mbps(Ethernet) 또는 155Mbps(ATM)를 그리 비싸지 않게 지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업무부서의 특성 및 요구를 정확히 반영하는 구조 설계는 PACS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현대식 병원에서 의료진단을 위한 의료영상 기기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첫째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모든 건강 검진에 거의 필수적으로 필요한 일반 X-ray 영상이 있다. 일반 X-ray는 우리 몸을 통과한 X-ray가 필름을 감광시킴으로써 그 감광의 정도에 따라 우리 몸 내부의 여러 상태를 진단하는데 사용된다. 이 영상은 영상으로서 몸 내부의 자세한 변화를 보는데 한계가 있다.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우리 몸속의 혈관을 주로 촬영하는 혈관 조형술이 있고 위 투시와 같은 플루오로스코피(Fluoroscopy)가 있다. 이 모든 영상은 아날로그 상태의 정보가 X-ray 필름에 아날로그 상태로 저장된다.
다음으로 우리 몸 내부를 프로젝션(projection) 상태의 영상이 아닌 실제 내부를 보는 것과 같은 단층 촬영법이 있는데, 단층 촬영을 위해 어떤 수단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여러 영상기기로 나뉜다. 우선 가장 먼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CT가 있다. CT는 X-ray를 우리 몸의 각 방향에서 발생시키며 우리 몸을 통과한 X-ray를 받아 이를 컴퓨터로 재구성 하여 단층영상을 얻어 내는 장치이다. 이와 비슷한 장치로 강한 자장을 이용하는 MRI, 방사선 동위원소를 우리 몸 속에 주입하여 이 동위 원소가 붕괴되면서 나오는 양전자나 감마선을 감지하여 영상을 재구성하는 양 전자 방출형 단층 촬영기(PET)와 단광자 방출형 단층촬영기 등 핵의학 영상 기기가 있다. 이 단층 영상들의 특징은 얻어진 신호를 디지탈로 바꾸어 컴퓨터를 이용하여 재구성 함으로써 디지털 영상이 얻어지는 것이다. 이 디지탈 영상을 다시 아날로그로 바꾸어져 X-ray필름에 수록 되어 의사가 이 필름을 보는 기존의 판독 방법이다.
PACS를 이용하면 또한 임산부나 간, 심장등의 진단에 주로 쓰이는 초음파 영사 장치가 있는데 이 장치는 실시간 영상을 볼 수가 있어서 우리 몸 속의 내부 움직임, 특히 심장을 봄으로써 진단에 도움을 준다.
지금까지의 PACS는 앞에서 말한 주로 진단용 의료 영상을 위해 개발되었고 이러한 의료영상을 대부분 그레이 레벨(gray level)이고 PET와 초음파영상의 일부가 슈도컬러(Pseudo Color)를 이용하는 칼라 영상이다.
이 밖의 의료 영상으로 내시경 영상과 현미경 영상 등이 있으며, 이 영상들은 정확한 칼라 정보를 유지하여야 하며, 또한 높은 해상도가 필요하다. 이에 대한 칼라 PACS도 연구되고 있다.
대부분의 PACS는 두단계의 저장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비교적 빠른 데이터 전송용으로 쓰이는 온라인 저장장치(on-line storage)와 방대한 용량이나 상대적으로 느린 아카이브 저장장치(Archive Storage)이다.
먼저 온라인 저장장치에서 온라인으로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를 정확히 예측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각 과의 업무 특성상 온라인으로 보관되어야 하는 기간도 각각 다르다. 다만 대부분의 시스템은 핫 타임(Hot time)을 기준으로 조금씩 그 용량을 늘려 잡는 경향이다. 온라인 저장장치도 아카이브 저장장치에 비해 용량 대비 가격이 월등하므로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안에서 최소한의 용량 산출이 되어야 한다. PACS 시스템의 성능은 대용량의 이미지 데이터 취급에 있어서 저장 시스템과 네트워크의 용량 산출을 어떻게 하느냐에 크게 좌우된다. 또한 의료영상 획득장비에서 생성되는 이미지의 크기나 빈도, 뷰잉 스테이션(Viewing Station)에서의 이미지 요구 빈도 등은 직접적으로 전체 PACS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준다.
온라인 저장장치는 오류발생시 Data 손실없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구에 적합한 저장장치는 레이드(RAID)이다. 대규모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데는 RAID3가 적합하며,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항목들과 같은 소규모 데이터를 저장하는데는 RAID5가 적합하다.
아카이브 저장장치의 저장용량은 의학영상의 온라인 보관 기간에 따라 결정된다. 통계적으로 보면 영상의 10% 이내 것이 첫해 이후에 다시 접근될 수 있다고 한다. 아카이브 저장장치는 적어도 2년 이내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 되어야 한다. 2년 이후의 영상은 사용자의 수동조작으로 접근 가능해야 한다. 온라인 저장장치에서 일정 기간이 지난 영상은 자동적으로 아카이브 저장장치에 저장되어야 한다. 아카이브 저장장치에 저장된 영상은 프리페치 알고리즘에 의하여 빠른 속도로 조회가 가능해야 한다.
가장 보편적인 아카이브 저장매체는 광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k drives)이며, 다른 매체로는 광 테이프나 마그네틱 테이프 등이 있다. 하지만 영상 복원시 문제 발생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저가의 하드디스크가 사용되어지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진단 장치(104)는 통신수단(114)과 원격 진단 처리부(116)와 저장수단(118)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 진단 장치(104)는 병원의 외부에, 예를 들어 공공 보건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병원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통신수단(114)은 예를 들어, 케이블 모뎀과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TCP/IP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병원의 PACS 서버(102)와 사용자 단말기(106)와 원격 진단자 단말기(108a, 108b)와의 인터넷 통신을 구현한다. 본 실시예의 통신수단(114)는 고정 아이피, 유동 아이피, 가상 아이피를 모두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수단(118)는 DICOM 형식으로 생성된 의료 영상 데이터(122)를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124)와 원격 진단자 정보(126)를 저장한다.
원격 진단 처리부(116)는 저장수단(118)와 통신수단(114)을 이용하여 웹 기반의 원격 진단을 수행한다. 원격 진단 처리부(116)에서의 구체적인 처리 방법은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 진단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X-RAY(112a), CT(112b), MRI(112c)와 같은 병원내의 의료영상 획득장비를 통해 환자의 신체부위에 대한 DICOM 형식의 의료영상을 획득하여(S202), 원격 진단 장치(104) 내의 저장수단(118)에 저장한다(S204).
다이컴은 의학 영상 분야의 표준 형식으로서, 영상 저장 방법의 표준일 뿐 아니라, 통신 방법의 표준이기도 하다. 다이컴은 영상 정보와 명령어(예를 들어, "간다")가 짝을 이루어 기본 단위를 형성한다. 다이컴은 영상 정보를 "인포메이션 오브젝트(Information Object)"라고 하고, 명령어를 "서비스 클래스(Service Class)"라고 규정하였다. 좀 더 어려운 용어로 인포메이션 오브젝트를 IOD (Information Objec Definition), 서비스 클래스를 DIMSE (DICOM Message Service Element"라고 한다.
도 3은 다이컴 형식에 의한 IOD와 인포메이션 오브젝트 인스턴스(Information Object Instance)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IOD는 환자의 이름, 검사 종류, 검사 날짜, 조영제를 사용했는지 여부 등의 텍스트 데이터와 실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IOD는 마치 이력서 양식과 같이 자료를 입력할 수 있는 형식과도 같은 것이다, 즉, 데이터 형식만 나열되어 있고, 실제 데이터가 들어갈 자리는 빈 칸으로 남아 있다는 의미이다. 만일 이 형식에 실제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는 인포메이션 오브젝트 인스턴스라고 부른다. IOD 중에서 실제 영상 데이터를 제외한 부분을 소위 "다이컴 헤드"라고 한다. 원격 진단자의 진단 결과는 다이컴 헤드에 추가된다.
DIMSE는 명령어들이다. 인포메이션 오브젝트 인스턴스인 "홍길동의 CT DICOM 데이터"를 가지고 할 수 있는 일들은 많다. 전송, 복사, 프린트 등등의 일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하나 하나의 일들이 모두 DIMSE에 해당한다. DICOM이 규정하고 있는 서비스 클래스들의 몇 가지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 c-store (저장하라)
■ c-find (찾아라)
■ c-get (가져와라)
■ c-move (전송하라)
다음에 사용자 단말기(106)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 받고 저장수단(118) 내의 사용자 정보 DB를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가 정당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한다(S206). 사용자 인증과 관련하여 이미 상용화된 모듈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의 구체적인 언급은 생략한다. 인증 결과 사용자가 정당 사용자인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는 의료 영상과 원격 진단자를 선택하여 원격 진단을 요청할 수 있다(S208). 여기에서 사용자는 환자에 국한되지 않으며 환자의 가족, 환자의 진료를 수행하는 의사를 포함한다. 즉, 의사는 원격 진단 장치(104)에 접속하여 자신이 진료하는 환자의 의료 정보를 정당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서의 사용자에 의한 원격 진단 요청 단계(208)의 상세 흐름도이다. 사용자 인증 단계(S206)에 의해 사용자가 정당 사용자인 것으로 확인되면, 의료 영상 데이터베이스(122)로부터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의료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기(106)에 디스플레이 한다(S402). 이 경우 사용자는 원격 진단을 요청하는 의로 영상 데이터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S404). 또한 사용자는 의료 영상 데이터의 파일 이름을 직접 입력하므로 원격 진단을 요청하는 의료 영상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원격 진단을 요청하는 의료 영상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의 DICOM 헤더 내에 기록되어 있는 의료 영상 장비의 종류에 따라 원격 진단자를 원격 진단자 데이터베이스(126)로부터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기(106)에 디스플레이 한다(S406).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결과를 이용하여 원격 진단을 요청하고자 하는 원격 진단자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S408). 본 실시예에서는 의료 영상의 종류에 따라 원격 진단자가 다르게 설정된 경우이나, 사용자에 의한 의료 영상의 선택과 무관하게 원격 진단자에 대한 정보를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106)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원격 진단을 요청하는 의료 영상과 원격 진단자를 선택한 다음 원격 진단에 대한 비용 지불을 위해 사용자 결제 정보를 입력한다(S410). 사용자 결제는 은행으로의 계좌 이체, 신용카드 결제, 핸드폰 결제 등의 상용화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원격 진단 장치(104)는 입력된 사용자 결제 정보가 정당한지 확인하고, 정당하면 선택된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므로써 선택된 원격 진단자에 의한 원격 진단을 요청한다(210). 의료 영상 데이터는 DICOM 형식으로 생성되고 전송된다.
원격 진단자는 전송된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진단을 수행하고 진달 결과를 단말기(예를 들어, 108a)에 입력하고 원격 진단 장치(104)로 전송한다. 원격 진단 장치(104)는 전송된 진단 결과를 저장장치 내의 의료 영상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하는 한편, 사용자 단말기(106)로 전송한다(S212). 진단 결과 역시 DICOM 형식으로 생성되고 전송된다.
다음에 원격 진단에 대한 비용 결제가 수행된다(S214). 도 5는 도 2에서의 비용 결제 단계(S214)의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S410)에서 이미 입력된 사용자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원격 진단에 비용을 받는다. 사용자가 요청한 원격 진단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러한 사정을 통지하고 비용을 청구하지 않고 종료하거나 새로운 요청을 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수행된 원격 진단에 대해 보험기관에 보험료를 청구한다(S504). 다음에 원격 진단을 수행한 원격 진단자에게 비용을 지급한다(S506). 원격 진단자에게의 비용 지급을 원활히 하기 위해 원격 진단자 데이터베이스(126)는 원격 진단자의 결제 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격 진단자 데이터베이스(126)에 원격 진단자의 결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원격 진단자에 의한 원격 진단이 수행되고 진단 결과가 원격 진단자 단말기(예를 들어, 108a)로부터 전송될 때 결제 정보를 함께 제공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보험기관, 원격 진단자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비용 결제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비용 결제가 다른 순서로 이루어지거나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원격 진단 장치의 네트워크 구성은 그리드(grid) 컴퓨팅 환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드(grid) 컴퓨팅 환경은 다수의 가상 조직(Virtual Organization) 간에 파일, 컴퓨팅 자원, 데이터, 소프트웨어 등을 공유함으로써 분산된 자원을 동시에 억세스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때, 가상 조직(Virtual Organization)이란 물리적인 단일의 컴퓨팅 장치가 다수 개 형성된 집합체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원격 진단 장치(104)가 단일의 그리드(grid) 컴퓨팅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형성된 그리드(grid) 컴퓨팅 네트워크는 게이트웨이(gateway)를 통하여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110)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환자의 진찰 정보, 진단 결과 등의 데이터들은 다수의 원격 진단 장치에 분산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진단 분야의 특성에 따라 가상 조직을 형성함으로써 관련된 데이터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원격 진단 장치간에 다이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다이컴 규격을 따르는 데이터 용량이 매우 커지게 되더라도 분산된 스토리지 자원을 활용하여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다이컴 규격을 따르는 다량의 데이터를 가공하는 경우에도 분산된 컴퓨팅 자원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위와 같은 그리드(grid) 컴퓨팅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이컴 규격을 따르는 데이터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데이터의 내용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에, 그리드(grid) 컴퓨팅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원격 진단 장치는 다이컴 규격의 통신 방식이 아닌 다른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ftp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저장 또는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진단 장치(104)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106) 또는 원격 진단자 단말기(108a, 108b)를 포함하여 그리드(grid) 컴퓨팅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6) 또는 원격 진단자 단말기(108a, 108b)는 그리드(grid) 컴퓨팅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탑재되어 동작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단지 당업자들이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들은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방사선 진단 전문의가 없는 보건소나 낙도(落島)와 같은 상황에서도 신뢰성 있는 방사선 진단 결과를 받을 수 있으며, 협진(協診)이 용이하여 진단 결과의 정확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진료 정보의 체계적 관리가 가능함에 따라 과거의 진료 정보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며, CT, MRI 등의 중복 과잉 검사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의료전달체계의 확립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23)

  1. 웹 기반의 원격 진단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와,
    원격 진단의 대상이 되는 의료 영상 데이터 및 원격 진단자를 선택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진단 결과를 입력 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영상 데이터는 다이컴 형식으로 생성되고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진단자의 진단 결과는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의 다이컴 헤드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수단으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의료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검색된 1인 이상의 원격 진단자에 대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원격 진단에 대한 사용자 결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진단자에게 상기 원격 진단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단계를 추가 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진단에 대한 비용을 해당 의료보험 기관에 청구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방법.
  10. 웹 기반의 원격 진단 방법에 있어서,
    다이컴 형식으로 생성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원격 진단을 요청하는 의료 영상 데이터 및 원격 진단자를 선택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진단 결과를 입력 받아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 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진단자의 진단 결과는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의 다이컴 헤드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검색된 1인 이상의 원격 진단자에 대한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원격 진단에 대한 사용자 결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진단자에게 상기 원격 진단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진단에 대한 보험료를 해당 의료보험 기관에 청구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방법.
  16. 웹 기반의 원격 진단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와,
    원격 진단의 대상이 되는 의료 영상 데이터 및 원격 진단자를 선택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진단 결과를 입력 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7. 웹 기반의 원격 진단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다이컴 형식으로 생성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 받아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원격 진단을 요청하는 의료 영상 데이터 및 원격 진단자를 선택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진단 결과를 입력 받아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8. 웹 기반으로 원격 진단을 구현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이컴 형식으로 생성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사용자 식별정보 및 원격 진단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사용자 단말기 및 원격 진단자 단말기와의 인터넷 통신을 구현하는 수단과,
    상기 저장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웹 기반의 원격 진단을 수행하는 원격 진단 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원격 진단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저장수단을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가 정당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정당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와 원격 진단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원격 진단을 요청하는 의료 영상 데이터 및 원격 진단자를 선택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진단 결과를 입력 받아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구현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진단 결과를 입력 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그리드(grid)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는 ftp 통신에 따라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방법.
  2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컴 형식으로 생성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는 그리드(grid) 컴퓨팅 네트워크 상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방법.
  2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진단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선택된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진단 결과를 입력 받아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그리드(grid) 컴퓨팅 네트워크 상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방법.
  2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ftp 통신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되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진단 방법.
KR1020060035982A 2005-04-21 2006-04-21 웹 기반의 원격 진단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44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6/001515 WO2007001113A1 (en) 2005-04-21 2006-04-21 Web-based remote diagnosis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035 2005-04-21
KR20050033035 2005-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835A true KR20060110835A (ko) 2006-10-25
KR100844543B1 KR100844543B1 (ko) 2008-07-08

Family

ID=37616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982A KR100844543B1 (ko) 2005-04-21 2006-04-21 웹 기반의 원격 진단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5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688B1 (ko) * 2007-02-16 2008-07-01 주식회사내쇼날 테스팅 랩 아시아 Dcs를 이용한 원격 의료판독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9151167A1 (en) * 2008-06-13 2009-12-17 Ntl Asia Co., Ltd. Remote medical reading and method using digital cervicography system
WO2010038918A1 (en) * 2008-09-30 2010-04-08 Bionet Co., Ltd Portable multi diagnosis system with remote data transfer
WO2011108867A2 (ko) * 2010-03-04 2011-09-0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협의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17113B1 (ko) * 2007-07-06 2013-01-0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무선 접속 포인트를 이용한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 및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571B1 (ko) * 2008-12-12 2011-10-10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의료기기 정보연동 시스템 및 방법
WO2011090341A2 (ko) * 2010-01-25 2011-07-28 주식회사 나노엔텍 의료서비스 제공서버 및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KR20230104038A (ko)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플라잉닥터 원격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6191A (en) 1996-05-13 1999-12-21 Dirienzo; Andrew L. Remote access medical image exchange system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for
KR100878291B1 (ko) * 2002-03-18 2009-01-12 주식회사 인피니트테크놀로지 클라이언트용 다이콤 이미지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060026623A (ko) * 2004-09-21 2006-03-24 한경돈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의료정보 수신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688B1 (ko) * 2007-02-16 2008-07-01 주식회사내쇼날 테스팅 랩 아시아 Dcs를 이용한 원격 의료판독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17113B1 (ko) * 2007-07-06 2013-01-0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무선 접속 포인트를 이용한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 및방법
WO2009151167A1 (en) * 2008-06-13 2009-12-17 Ntl Asia Co., Ltd. Remote medical reading and method using digital cervicography system
WO2010038918A1 (en) * 2008-09-30 2010-04-08 Bionet Co., Ltd Portable multi diagnosis system with remote data transfer
WO2011108867A2 (ko) * 2010-03-04 2011-09-0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협의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1108867A3 (ko) * 2010-03-04 2011-12-0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협의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4543B1 (ko) 2008-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543B1 (ko) 웹 기반의 원격 진단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Arenson et al. Computers in imaging and health care: now and in the future
US7310651B2 (en) Medical media fil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4979334B2 (ja) 医用画像読影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080021877A1 (en) Medical image processing system in a wide-area network environment
US200802536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fetching relevant imaging information from multiple healthcare organizations
Wong et al. A hospital integrated framework for multimodality image base management
US20080037849A1 (en) Image transmission method,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and image transmission program
Lee et al. Managing the CT data explosion: initial experiences of archiving volumetric datasets in a mini-PACS
JPH08315119A (ja) 医用画像保管通信システム
Mun et al. Image management and communications for radiology
Mun et al. Baseline study of radiology services for the purpose of PACS evaluation
KR100878291B1 (ko) 클라이언트용 다이콤 이미지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James Jr et al. Medical image management.
WO2007001113A1 (en) Web-based remote diagnosis method and apparatus
Dayhoff et al. Extending the multimedia patient record across the wide area network.
US20180068071A1 (en) Active monitoring of clinical workflows
Ivanov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gional PACS
Osada et al.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workflow based on hospital information system/radiology information system/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JP2005267551A (ja) 医療データ保管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端末及びサーバ
Leckie et al. MDIS workstation: an update of performance after nearly two years of clinical use
US81118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patient licensing of interventional imaging software
US20220130521A1 (en) System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and tracking identification scrubbed, mobile viewable messages containing images
Dayhoff VA’s integrated imaging system: A multispecialty, hospital-wide image storage, retrieval and communication system
JPH065538B2 (ja) 大量デジタル画像ファイル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