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0683A -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0683A
KR20060110683A KR1020050033168A KR20050033168A KR20060110683A KR 20060110683 A KR20060110683 A KR 20060110683A KR 1020050033168 A KR1020050033168 A KR 1020050033168A KR 20050033168 A KR20050033168 A KR 20050033168A KR 20060110683 A KR20060110683 A KR 20060110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forwarding
mobile communication
call forwarding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2324B1 (ko
Inventor
홍창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3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324B1/ko
Publication of KR20060110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Holders for articles of personal use in general, e.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에 있어서, 특히 실시간으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가 호 전달을 위한 특정 부가서비스가 설정된 상태일 때, 그 이동통신단말기가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미리 설정해둔 타 전달 번호로 실시간으로 전달해 주는 발명이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무조건 호 전달(CFU), 호 전달(CF)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Method for forwarding short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달을 위해 SMS 재전송 필드를 세팅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달 절차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시간으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Short Message Service ; 이하, SMS)를 지원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는 단문 메시지의 발신과 착신 기능을 갖는다.
종래 기술에서 SMS 센터는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어서 해당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 SMS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단순히 단문 메시지를 작성한 후 송신하거나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후 그 메시지 내용을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기능만 제공하였으며, 이동통신단말기 자신이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를 타 전달 번호로 재전송해주는 기술을 지원하지 못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가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미리 설정해둔 타 전달 번호로 전달해 주는데 적당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가 호 전달을 위한 특정 부가서비스가 설정된 상태일 때, 그 이동통신단말기가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미리 설정해둔 타 전달 번호로 실시간으로 전달해 주는데 적당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가 호 전달을 위한 무조건 호 전달(CFU) 상태일 때, 그 이동통신단말기가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미리 설정해둔 타 전달 번호로 전달해 주는데 적당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의 특징은, 단문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호 전달(Call forwarding)을 위한 설정 내용을 체크하는 단계, 상기 설정 내용에 따라 지정된 전달 번호로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 내용은 상기 호 전달을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전달 필드에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설정 내용은 상기 단문 메시지의 타 전달 번호로의 전달 여부와 상기 전달 번호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호 전달을 위한 부가서비스가 설정된 상태이다. 특히 상기 호 전달을 위한 부가서비스는, 무조건 호 전달(CFU : Call Forwarding Unconditional)과 무응답 호 전달(CFNR : Call Forwarding No Reply)과 통화중 호 전달(CFB : Call Forwarding Busy)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달 여부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출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호 전달을 위한 소정 부가서비스로써 무조건 호 전달(CFU : Call Forwarding Unconditional)과 무응답 호 전달(CFNR : Call Forwarding No Reply)과 통화중 호 전달(CFB : Call Forwarding Busy)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되는 경우에, 상기 호 전달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실행시키고, 상기 실행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상기 호 전달을 위한 타 전달 번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호 전달을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전달 필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활성화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전달 필드에 상기 호 전달을 위한 설정 내용으로써 상기 타 전달 번호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가 호 전달(CF : Call Forwarding)을 위한 특정 부가서비스가 설정된 상태일 때,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미리 설정해둔 타 전달 번호로 전달한다.
상기에서 호 전달을 위한 부가서비스로는, 무조건 호 전달(CFU : Call Forwarding Unconditional), 무응답 호 전달(CFNR : Call Forwarding No Reply), 통화중 호 전달(CFB : Call Forwarding Busy) 중 어느 하나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나열된 부가서비스에 따른 특정 상황의 호 전달일 때,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를 미리 지정된 전달 번호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전달 번호는 현재 부가서비스의 활성화 당시에 입력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SMS의 호 전달(Call Forwarding)은 수신되는 SMS의 단문 메시지를 미리 지정된 다른 번호에 전달하는 것이다. 여기서 단문 메시지를 전달할 다른 번호는 일 예로써 하기한 도 1의 절차를 통해 지정된다.
그리고 상기한 무조건 호 전달(CFU)은 이동통신단말기로 수신되는 모든 단문 메시지를 무조건 지정된 다른 번호로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무응답 호 전달(CFNR)은 이동통신단말기가 단문 메시지의 수신 사실을 사용자에게 통보했을 때, 사용자의 조작/응답이 없으면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지정된 다른 번호로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통화중 호 전달(CFB)은 현재 이동통신단말기가 SMS가 아닌 음성 통화와 같은 다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일 때,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지정된 다른 번호로 전달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호 전달을 위한 부가서비스는 상기 나열된 것으로만 한정하지 않고, 이동통신단말기에 발생될 수 있는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더 추가될 수 있다.
상기한 호 전달을 위한 부가서비스는 호 전달 설정 메뉴에서 설정된다.
상기한 호 전달 설정 메뉴는 사용자로 하여금 소정 키(key)를 사용하여 호 전달을 위한 특정 부가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한 부가서비스의 선택 항목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키를 조작하여 특정 부가서비스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전달 번호(예로써, 사용자가 소지한 다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전달 번호 입력창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특정 전달 번호를 입력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선택된 부가서비스에 입력된 전달 번호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써,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한 호 전달 설정 메뉴에서 호 전달을 위한 특정 부가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한 부가서비스의 선택 항목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키를 조작하여 특정 부가서비스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부가서비스 를 활성화시킨다. 이후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전달 번호를 지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달을 위해 SMS 전달 필드를 세팅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으로, 호 전달 설정 메뉴에서 호 전달을 위한 부가서비스로써 무조건 호 전달(CFU)이 설정된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한 무조건 호 전달(CFU)의 설정으로 인하여 그 무조건 호 전달(CFU) 서비스가 활성화된다(S1).
그러면 이동통신단말기는 SMS의 호 전달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 User Interface)를 실행시킨다(S2).
이어서 상기 실행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SMS의 호 전달 설정을 요청하면(S3), 상기 실행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번호 입력을 위한 창이 표출된다.
사용자가 특정 SMS 전달 번호(호 전달을 위한 타 전달 번호)를 입력하면(S4), 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호 전달을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전달 필드를 활성화시킨다(S5).
반면에, SMS의 호 전달 설정 요청이 없으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호 전달을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전달 필드를 비활성화시킨다(S7).
한편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전달 필드가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입력된 SMS 전달 번호를 저장한다(S6).
결국 상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SMS의 호 전달 설정을 요청함으 로써, 단문 메시지를 이후에 입력되는 타 전달 번호(SMS 전달 번호)로 전달할 것을 설정한 것이다. 또한 호 전달을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전달 필드에 상기 입력된 SMS 전달 번호를 설정하고 또한 저장함으로써, SMS의 호 전달을 위한 부가서비스인 무조건 호 전달(CFU)이 실현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달 절차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한 도 1을 통해 지정된 타 전달 번호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도 1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호 전달을 위한 부가서비스로써 무조건 호 전달(CFU)이 설정된 상태이다.
SMS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다(S10). 그리고 그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저장한다(S11). 한편 이동통신단말기는 단문 메시지 수신에 따른 베어러(bearer)의 내용을 저장한다.
이동통신단말기는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면, 자신에게 설정되어 있던 호 전달(Call forwarding)을 위한 설정 내용을 체크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는 단문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호 전달을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전달 필드를 체크한다(S12).
만약 호 전달을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전달 필드가 활성화되어 있다면, 이동통신단말기는 그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전달 필드에 설정된 전달 번호로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자동으로 전달한다(S13,S14). 그리고 상기한 단문 메시지 전달을 정상적 처리를 완료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는 단문 메시지의 전달을 완료하면, 그 단문 메시지의 전달 여부를 출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반면에 호 전달을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전달 필드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이동통신단말기는 호 전달을 위한 어떠한 동작도 수행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또는 WCDMA(Wideband-CDMA)에서 각 무선 다원접속 (Multiple Access) 환경에 보다 적합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가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미리 설정해둔 타 전달 번호로 실시간으로 전달해 주는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실제로 소지한 단말기로 언제든지 전달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자신에게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비해 보다 발전된 SMS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Claims (9)

  1. 단문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호 전달(Call forwarding)을 위한 설정 내용을 체크하는 단계;
    상기 설정 내용에 따라 지정된 전달 번호로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내용은 상기 호 전달을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전달 필드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내용은 상기 단문 메시지의 타 전달 번호로의 전달 여부와 상기 전달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호 전달을 위한 부가서비스가 설정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달을 위한 부가서비스는, 무조건 호 전달(CFU : Call Forwarding Unconditional)과 무응답 호 전달(CFNR : Call Forwarding No Reply)과 통화중 호 전달(CFB : Call Forwarding Busy)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전달 여부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출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달을 위한 소정 부가서비스로써 무조건 호 전달(CFU : Call Forwarding Unconditional)과 무응답 호 전달(CFNR : Call Forwarding No Reply)과 통화중 호 전달(CFB : Call Forwarding Busy)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되는 경우에,
    상기 호 전달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실행시키고,
    상기 실행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상기 호 전달을 위한 타 전달 번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호 전달을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전달 필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활성화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전달 필드에 상기 호 전달을 위한 설정 내용으로써 상기 타 전달 번호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단문 메시지의 수신에 따른 베어러(bearer)의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
KR1020050033168A 2005-04-21 2005-04-21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 KR100672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168A KR100672324B1 (ko) 2005-04-21 2005-04-21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168A KR100672324B1 (ko) 2005-04-21 2005-04-21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683A true KR20060110683A (ko) 2006-10-25
KR100672324B1 KR100672324B1 (ko) 2007-01-24

Family

ID=3761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168A KR100672324B1 (ko) 2005-04-21 2005-04-21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3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7896A (ko) * 2010-06-18 2011-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2770277A (zh) * 2019-10-21 2021-05-07 中国移动通信集团重庆有限公司 前转号码验证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7896A (ko) * 2010-06-18 2011-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2770277A (zh) * 2019-10-21 2021-05-07 中国移动通信集团重庆有限公司 前转号码验证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2324B1 (ko)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6235B2 (en) Automatic notification of personal emergency contacts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KR101031800B1 (ko) 이동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긴급 유형의 단문 메시지를통신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38534B1 (ko) 확인된 ota 단말기 구성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US11165902B2 (en) Automated messaging
IL142826A (en) Short message service notification forwarded between multiple short message service centers
US73338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hecking the attainability status of a mobile terminal device
JP2009503674A (ja) Smsメッセージ受信確認サービスの方法と、これを行うための移動通信端末機、及びサービスシステム
JP4762538B2 (ja) 携帯端末
KR100696142B1 (ko) 에스엠에스 메시지 발신 취소 및 수신 메시지 보관 장치및 방법
US7646741B2 (en) Method for client-based multicast message transmission
KR10067232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달 방법
US6996398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itiating change in a preferred roaming list
KR20130005617A (ko)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501817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livering messages to mobile terminal devices in accordance with a user selectable attainability status
KR101860322B1 (ko) 메시지의 알림 설정을 제어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KR20030039220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착신 전환 방법
JP4977840B2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する通信方法
US20040266401A1 (en) System,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delivering services
JP5014190B2 (ja) 通知システム、通知方法、メッセージサーバ、及び通信端末
KR101001409B1 (ko) 이동통신데이터망을 이용한 국제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국제메시징센터, 로컬메시징게이트웨이, 다운로드센터,이동통신 단말 및 시스템
KR101031893B1 (ko) 양방향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71067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66235B1 (ko) 착신불가 정보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및 방법
KR10099429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 확인방법
KR20070118374A (ko) 이동 통신망의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