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9854A - 천정고정볼트에 용이하게 결합하는 천정판 고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천정고정볼트에 용이하게 결합하는 천정판 고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9854A
KR20060109854A KR1020060069451A KR20060069451A KR20060109854A KR 20060109854 A KR20060109854 A KR 20060109854A KR 1020060069451 A KR1020060069451 A KR 1020060069451A KR 20060069451 A KR20060069451 A KR 20060069451A KR 20060109854 A KR20060109854 A KR 20060109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eiling
nut
open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7970B1 (ko
Inventor
이달원
Original Assignee
이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달원 filed Critical 이달원
Priority to KR1020060069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970B1/ko
Publication of KR20060109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0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천정판(보드) 고정용 지지바를 장착하는 U자형 고정홈(10)과, 천정에 고정된 천정고정볼트(20)에 결합시킬 너트 고정용 개방부(30)와, 상기 개방부와 연장되어 상기 너트 고정용 개방부보다 더 넓어서 상기 너트의 머리가 관통될 수 있는 크기의 확개 개방부(31)가 천설된 수평판(40)으로 구성된 천정에 고정된 천정볼트에 결합하는 천정판 고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천정고정볼트(20)에 결합하는 천정판 고정 브라켓에 형성된 수평판(40)의 너트 고정용 개방부(30)의 내벽에 반원통형 너트부(7a)을 형성하고, 상기 너트 고정용 개방부(30)와 확개 개방부(31)의 경계부에는 전후 양쪽에 마주보게 슬릿홀(1a)(1b)을 천설하며, 상기 확개 개방부(31)의 내벽(2) 중앙에는 수평으로 눕혔을 때 내단이 상기 마주보는 슬릿홀(1a)(1b)에 와 닿을 수 있는 길이로된 T자형 승강편(3)의 타단을 일체로 고정하고, 양 측면에 전후 가이드홀(4a)(4b)이 형성되고 그 내측 곡면에는 상기 반원통형 너트부(7a)와 마주보면서 원통형을 이루는 또다른 반원통형 너트부(7b)가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ㄷ자형 외형을 갖는 볼트 고정편(5)을 상기 확개 개방부(31)를 통하여 삽입 후 상기 너트 고정용 개방부(30)의 전후벽(6a)(6b)에 상기 볼트 고정편(5)의 양 측면 전후 가이드홀(4a)(4b)이 결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정고정볼트에 용이하게 결합하는 천정판 고정용 브라켓{Brackets for fixing ceiling plates connecting with easily ceiling fixing bolts}
도 1 은 종래 브라켓과 천정고정볼트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 는 도1의 분해 사시도의 결합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과 천정고정볼트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과 천정고정볼트의 결합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과 천정고정볼트의 또 다른 예의 결합사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 ; 슬릿홀 2 ; 내벽
3 ; 승강편 4a,4b ; 전후 가일드홀
5 ; 볼트 고정편 7a,7b ; 반원통형 너트부
10 ; 고정홈 20 ; 천정고정볼트
30 ; 개방부 31 ; 확개 개방부
40 ; 수평판
본 발명은 천정고정볼트에 결합하기 위한 천정판 고정용 브라켓으로서, 특히 실내 천정에 고정된 볼트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천정판(보드)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천정판(보드)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바를 장착하여 천정에 고정 부착된 천정고정볼트(20)에 결합하는 천정판 고정용 브라켓으로는, 천정판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바를 장착하는 U자형 홈(10)과 그 U자형 홈의 일측이 상부로 연장되어 천정에 고정된 천정고정볼트(20)가 관통할 개방공(미도시)이 형성된 수평판(40)으로 형성된 것이 있으나, 그와 같은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수평판에 형성된 개방공에 천정에 고정된 천정고정볼트가 관통되게 하여 상기 수평판의 상하에서 더블너트로 천정고정볼트를 나사결합으로 고정시켜주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한 수평판과 상하 더블너트를 승강시키면서 브라켓의 높이를 조절하여 체결한다는 것은 작업상대단히 어려웠었다.
또 상기 종래의 것보다는 진보된 발명으로서, 도1의 분해사시도 및 도2의 결합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판(40)에 천정고정볼트(20)에 체결할 너트(60)의 머리부위(61)가 관통할 수 있는 넓이로 확개된 확개 개방부(31)와 그 확개 개방부가 연장되어 상기 너트(60)의 머리부위(61)와 너트 본체(62)사이의 요홈으로된 목 부위(Neck)(50)만이 수평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개방부(30)로 형성된 것이 있는데, 이는 상기 종래의 것과 같이 더블너트를 상하에서 체결할 필요없이 너트(60)의 네크부위(50)에 의해 브라켓이 체결된 상태에서 필요한 높이로 너트의 본체(62)를 잡고 너트를 상하 회전시키기만 하면 일정높이에서 체결이 완료되는 편리한 점이 있기는 하나, 이 경우는 너트(60)의 머리부위(61)를 일일이 브라켓의 확개 개방부(31)를 통하여 통과시킨 후 수평방향의 개방부(30)로 슬라이딩하여 고정한 후 천정고정볼트(20)와 결합하여 일정높이로 조절하면서 회전시켜 나사체결해야 하므로 이 역시 너트(60)를 일일이 브라켓의 확개 개방부(31)를 통하여 개방부(30)에 장착시킨 후 천정고정볼트(20)와 결합하여야 하는 작업상 많은 불편이 있었다.
본원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천정고정볼트에 결합한 천정판 고정용 브라켓의 결점인 브라켓의 수평판의 상하에서 더블너트로 천정고정볼트를 체결하거나, 수평판의 개방부에 목부위(Neck)가 형성된 너트를 결합하여 그 너트를 승강시켜 필요한 높이로 천정고정볼트를 체결하는 방법의 결점을 배제하여 상기 브라켓의 수평판상의 개방부에 반원통형 너트부를 형성하고 확개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반원통형 너트부와 마주보게 또 다른 반원통형 너트부가 형성된 볼트 고정편을 삽입한 후 확개 개방부(31)에 형성된 T자형 승강편을 수평으로 눕혀서 볼트 고정편을 뒷쪽을 밀어서 개방부에 형성된 반원통형 너트부와 볼트 고정편에 형성된 반원통형 너트부에 의해 천정에 고정된 볼트를 잡아 고정하도록 하거나, 상기 T자형 승강편은 그대로 둔 채 천정고정볼트 고정용 브라켓의 수평판의 우측 확개 개방부쪽을 위나 아래로 젖혀서 취약한 슬릿홀에 의해 젖혀진 확개 개방부에 의해 볼트 고정편을 고정시켜 천정고정볼트를 확고하게 잡아주도록하는 천정판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코져 하는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천정판(보드) 고정용 지지바를 장착하는 U자형 고정홈(10)과, 천정에 고정된 천정고정볼트(20)에 결합시킬 너트 고정용 개방부(30)와, 상기 개방부와 연장되어 상기 너트 고정용 개방부보다 더 넓어서 상기 너트의 머리가 관통될 수 있는 크기의 확개 개방부(31)가 천설된 수평판(40)으로 구성된 천정에 고정된 천정볼트에 결합하는 천정판 고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천정고정볼트(20)에 결합하는 천정판 고정 브라켓에 형성된 수평판(40)의 너트 고정용 개방부(30)의 내벽에 반원통형 너트부(7a)을 형성하고, 상기 너트고정용 개방부(30)와 확개 개방부(31)의 경계부에는 전후 양쪽에 마주보게 슬릿홀(1a)(1b)을 천설하며, 상기 확개 개방부(31)의 내벽(2) 중앙에는 수평으로 눕혔을 때 내단이 상기 마주보는 슬릿홀(1a)(1b)에 와 닿을 수 있는 길이만큼 T자형 승강편(3)의 타단을 일체로 고정하고, 양 측면에 전후 가이드홀(4a)(4b)이 형성되고 그 내측 곡면에는 상기 반원통형 너트부(7a)와 마주보면서 원통형을 이루는 또다른 반원통형 너트부(7b)가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ㄷ자형 외형을 갖는 볼트 고정편(5)을 상기 천정판 고정 브라켓에 형성된 수평판(40)의 확개 개방부(31)를 통하여 삽입 후 상기 너트 고정용 개방부(30)의 전후벽(6a)(6b)에 상기 볼트 고정편(5)의 양 측면 전후 가일드홀(4a)(4b)이 결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천정고정볼트에 결합하는 천정판 고정 브라켓은 T자형 승강편(3)이 위쪽으로 올려진 상태에서 브라켓의 확개 개방부(31)를 통하여 볼트 고정편(5)을 삽입하여 개방부(30)의 전후벽(6a)(6b)에 볼트 고정편(5)의 전후 가일드홀(4a)(4b)이 결합되게한 후 상기 천정판 고정 브라켓의 개방부(30)를 통하여 천정고정볼트(20)가 통과되게 삽입한 다음 소정 높이에서 상기 브라켓의 확개 개방부(31)쪽에 고정되어있는 T자형 승강편(3)을 아래로 눌러서 수평으로되게 해주므로서 볼트 고정편(5)의 반원통형 너트부(7b)와 브라켓의 개방부(30)의 좌측면에 형성된 반원통형 너트부(7a)가 천정고정볼트(20)를 잡아서 제자리에서 고정시켜 주게할 수 있고 또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T자형 승강편(3)을 아래로 약간 눌러주거나 현상대로 그냥 둔 채 브라켓의 확개 개방부(31)쪽을 아래나 위로 젖혀주게 되면 취약부인 슬릿홀(1a)(1b)에 의해서 쉽게 젖혀지면서 볼트 고정편(5)이 후진을 하지 못하게 하므로써 천정고정볼트(20)에 천정판 고정 브라켓이 견고하게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고정볼트에 결합하는 천정판 고정 브라켓은 볼트 고정편(5)을 T자형 승강편(5)으로 눌러주거나, 브라켓 확개 개방부(31)쪽을 취약부인 슬릿홀(1a)(1b)을 이용하여 젖혀 주기만 하면 볼트 고정편(5)을 요동치지 않게 밀어주게 되므로 천정고정볼트(2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천정판(보드) 고정용 지지바를 장착하는 U자형 고정홈(10)과, 천정에 고정된 천정고정볼트(20)에 결합시킬 너트 고정용 개방부(30)와, 상기 개방부와 연장되어 상기 너트 고정용 개방부보다 더 넓어서 상기 너트의 머리가 관통될 수 있는 크기의 확개 개방부(31)가 천설된 수평판(40)으로 구성된 천정에 고정된 천정볼트에 결합하는 천정판 고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천정고정볼트(20)에 결합하는 천정판 고정 브라켓에 형성된 수평판(40)의 너트 고정용 개방부(30)의 내벽에 반원통형 너트부(7a)을 형성하고, 상기 너트고정용 개방부(30)와 확개 개방부(31)의 경계부에는 전후 양쪽에 마주보게 슬릿홀(1a)(1b)을 천설하며, 상기 확개 개방부(31)의 내벽(2) 중앙에는 수평으로 눕혔을 때 내단이 상기 마주보는 슬릿홀(1a)(1b)에 와 닿을 수 있는 길이만큼 T자형 승강편(3)의 타단을 일체로 고정하고, 양 측면에 전후 가이드홀(4a)(4b)이 형성되고 그 내측 곡면에는 상기 반원통형 너트부(7a)와 마주보면서 원통형을 이루는 또다른 반원통형 너트부(7b)가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ㄷ자형 외형을 갖는 볼트 고정편(5)을 상기 천정판 고정 브라켓에 형성된 수평판(40)의 확개 개방부(31)를 통하여 삽입후 상기 너트 고정용 개방부(30)의 전후벽(6a)(6b)에 상기 볼트 고정편(5)의 양 측면 전후 가일드홀(4a)(4b)이 결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천정고정볼트에 용이하게 결합하는 천정판 고정용 브라켓.
KR1020060069451A 2006-07-25 2006-07-25 천정고정볼트에 용이하게 결합하는 천정판 고정용 브라켓 KR100967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451A KR100967970B1 (ko) 2006-07-25 2006-07-25 천정고정볼트에 용이하게 결합하는 천정판 고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9451A KR100967970B1 (ko) 2006-07-25 2006-07-25 천정고정볼트에 용이하게 결합하는 천정판 고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854A true KR20060109854A (ko) 2006-10-23
KR100967970B1 KR100967970B1 (ko) 2010-07-07

Family

ID=3761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451A KR100967970B1 (ko) 2006-07-25 2006-07-25 천정고정볼트에 용이하게 결합하는 천정판 고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97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091B2 (ja) * 1991-12-27 2000-10-03 株式会社フジタ 連結支持体
CA2432390A1 (en) * 2001-01-31 2002-08-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ow of data between data processing systems via a memory
KR200371856Y1 (ko) 2004-10-20 2005-01-14 한국스틸산업 주식회사 천장 패널 지지용 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970B1 (ko) 201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5131A1 (en) End frame for display structure
DK1725779T3 (da) Vægmonteringskonstruktion til billedvisningsskærme
CA2597186A1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RU2010123057A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облегченных плит
DE60041282D1 (de) Eine schutzanordnung
KR100946776B1 (ko) 건물외단열 시공용 브라켓
US7877939B2 (en) Fastening device with improved fastening portion for securement of a glass pane or a plate in a frame
CN109236813B (zh) 一种家具组合连接卡扣
KR100967970B1 (ko) 천정고정볼트에 용이하게 결합하는 천정판 고정용 브라켓
KR101286775B1 (ko) 천정패널 고정 및 캐링찬넬 유동방지를 위한 클립바 조립구조
KR20130107983A (ko) 미닫이식 도어용 하부 이동지지부재
KR200436794Y1 (ko) 천장용 패널
TW200531654A (en) An enclosure having an escutcheon plate with extended side flanges, fastening clips and an opposing handle
KR102142208B1 (ko) 셋톱박스 및 tv 주변기기 설치용 길이조절 거치대
CN210011747U (zh) 自包裹式进气通风窗滤网固定结构
KR200155141Y1 (ko) 칸막이받침대
JP4119943B1 (ja) 基礎型枠間隔保持用およびアンカーボルト保持用金物
JP6635416B2 (ja) レール支持用ブラケット、レール装置およびアウトセット戸装置
JP2018031230A (ja) 押さえ具
KR20110027465A (ko) 탄성고정형 패널
CN214068590U (zh) 一种开关盒安装结构
KR200229814Y1 (ko) 책상
KR200300583Y1 (ko) 도어용 상부 이동롤러 구조
JP6779099B2 (ja) 止水パネルの取付構造
JP4565971B2 (ja) パネル連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