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8885A - An apparatus for measuring fabric noise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measuring fabric noi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8885A
KR20060108885A KR1020050031110A KR20050031110A KR20060108885A KR 20060108885 A KR20060108885 A KR 20060108885A KR 1020050031110 A KR1020050031110 A KR 1020050031110A KR 20050031110 A KR20050031110 A KR 20050031110A KR 20060108885 A KR20060108885 A KR 20060108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riction
sample
moving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1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71017B1 (en
Inventor
조길수
이은주
Original Assignee
조길수
이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길수, 이은주 filed Critical 조길수
Priority to KR1020050031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017B1/en
Publication of KR20060108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8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0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2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magnetic means, e.g. reluctance

Abstract

직물소음을 미리 파악하여 직물설계시 활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궁극적으로는 의류(직물류)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가 제공된다.A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device is provided that enables the fabric noise to be grasped in advance and utilized in fabric design, and ultimately improves the quality of clothing (fabrics).

본 발명은, 일정 높이의 장치바디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 1 직물시료와, 장치바디부의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왕복 이동토록 엘엠유니트를 포함하여 설치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직물시료와 직물간의 마찰소음을 발생시키는 제 2 직물시료와, 상기 이동수단과 연계 설치되면서 이동수단과 이에 연계된 제 2 직물시료의 이동속도를 가변 조정토록 장치바디부의 타측에 제공되는 속도조정수단 및, 상기 제1 ,2 직물시료의 마찰위치 직상부에 배치되면서 직물시료간의 마찰소음이 입력되는 소음 입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abric sample is fixed to one side of the device body portion of a certain height, the moving means is installed including the L unit to smoothly reciprocate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vice body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moving means 1 A speed control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of the apparatus so as to variably adjust the moving speed of the second fabric sample which generates friction noise between the fabric sample and the fabric, and the moving means and the second fabric sample linked thereto while being installed in association with the moving means. Means, and noise input means which is arranged directly above the friction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abric samples and inputs the friction noise between the fabric sample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직물간의 마찰음을 원활하게 측정하도록 하면서, 특히 직물의 재질과 용도 및 상황에 따른 마찰속도의 가변 조정이 용이하여 직물에 따라 정밀한 소음측정을 가능하게 하여 장치를 이용한 측정 정밀도를 보다 향상시키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smoothly measuring the friction noise between the fabrics, in particular, it is easy to variably adjust the friction speed according to the material, use and situation of the fabric to enable accurate nois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fabric to measure the accuracy using the devic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improved effect of further improving.

직물, 직물 마찰음,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 직물설계 Textile, fabric friction,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device. Fabric design

Description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An Apparatus for Measuring Fabric Noise}An Apparatus for Measuring Fabric Noise

도 1은 본 발명인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인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인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의 속도조정수단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speed adjus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도 4는 본 발명인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의 속도조정수단의 레버를 도시한 요부도.Figure 4 is a main view showing a lever of the speed adjus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device.

도 5는 본 발명인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의 직물시료 고정수단을 도시한 요부도.Figure 5 is a main view showing a fabric sample fix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도 6은 본 발명인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에서 이동수단의 이동대 설치구조를 도시한 정면 구조도.Figure 6 is a front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moving tabl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oving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device.

도 7은 본 발명인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의 측정단계를 도시한 블록도.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asur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 10.... 장치바디부1 ....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device 10 .... Body part

30,70.... 직물시료 50.... 이동수단30,70 ... fabric sample 50 ... vehicles

52.... 엘엠(LM)가이드 53.... 엘엠(LM) 유니트52 .... LM Guide 53 .... LM Unit

54.... 엘엠(LM)블록 56.... 고정편54 .... LM block 56 .... Fixed piece

58.... 이동대 60.... 견인와이어58 .... Mobile 60 .... Towing Wire

61,66.... 웨이트 62.... 와이어풀리61,66 ... weight 62. wire pulley

64.... 회전전환박스 64a.... 구동축64 .. Rotation box 64a .... Drive shaft

64b.... 종동축 90.... 속도 조정수단64b .... driven shaft 90 .... speed adjusting means

92.... 축 포위체 94.... 조작레버수단92 .... shaft enclosure 94 .... control lever means

110.... 소음입력수단 130.... 속도감지수단110 .... Noise input means 130 .... Speed detection means

134.... 풀리 136.... 인코더134 .... Pulley 136 .... Encoder

본 발명은 의복 착용시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음을 미리 측정하여 직물설계시 활용되도록 하고 이를 토대로 의류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직물의 다양한 소재 및 직물이 방직된 상태에서 그 표면의 질과 직물의 사용 용도 등에 따라 직물의 상호 마찰되는 정도의 소음을 원활하게 측정하도록 하면서, 특히 직물의 재질과 용도에 따른 마찰속도의 가변 조정이 용이하여 직물의 재질에 따라 보다 정밀한 마찰음 측정을 가능하게 하고, 궁극적으로는 장치의 마찰음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friction generated by the friction when the clothing is worn in advance to be used in the design of the fabric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clothing based on this, in more detail the various materials and fabrics of the fabric In this state, it is possible to measure noise of the friction level of the fabric smoothly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surface and the use of the fabric, and in particular, it is easy to adjust the friction speed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the use of the fabri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device that enables precise friction sound measurement and ultimately improves the friction sound measurement accuracy of the device.

직물 설계에 따른 의류 환경은 그 사회의 전반적인 기술과 지식, 산업의 발전정도가 모두 반영되는 총체적인 환경이라 할 수 있는데, 통상 어느 사회의 가치관과 의식의 흐름이 의류 소재의 개발과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끼쳐 왔다. The appare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fabric design is an overall environment that reflects the overall technology, knowledge, and industrial development of the society.As a general rule, the values and consciousness of a societ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apparel materials. I have been.

즉, 사회적인 인간성을 추구하고 개인의 느낌을 우선하는 사회의 흐름을 감안할 때, 현대의 의류(소재) 생산은 지금까지의 단순한 물리적 기능성에서 더하여, 점차 인간의 심리적 만족과 미적인 즐거움을 제공하는 감각적 기능성을 중요시하는방향으로 의류(직물) 소재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ther words, given the trend of society that pursues social humanity and prioritizes individual feelings, modern clothing production is in addition to the simple physical functions so far, and the sensory functionality that gradually provides human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aesthetic pleasure. The development of clothing (fabric) material in the direction of importance.

예를 들어, 의류(의복) 소재인 직물에 있어서, 감각적 기능성이란 시각과 촉각, 청각, 후각이 모두 관련되는데, 지난 수 십년 간 섬유와 의류 산업에서는 직물의 형태와 품질, 그리고 이와 관련된 직물의 감각적 성능을 객관적으로 측정 및 평가하고자 노력해왔다.For example, in the fabric of apparel, sensory functionality is all about sight, touch, hearing, and smell. In the decades past, in the textile and apparel industry, the shape and quality of fabrics and their associated fabrics Efforts have been made to objectively measure and evaluate performance.

직물의 감각적 성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의류 제품의 최종 용도를 고려하여 직물 및 의류의 품질 인식에 기여하는 감각 성질들을 규명하고, 이들을 객관적으로 정량화하여 평가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Objectively measuring the sensory performance of fabrics aims to identify sensory properties that contribute to the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fabrics and apparel, taking into account the end use of the apparel product, and to objectively quantify and evaluate them.

따라서, 섬유 및 의류 산업에서는 가격과 품질, 패션, 쾌적성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직물과 의복을 생산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생산자 및 도,소매업자들도 직물의 감각적 성능을 객관적으로 수량화하고 이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정립하여 직물 및 의류의 제조와 유통, 판매에 활용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textile and clothing industry, fabrics and clothes are produced to meet consumer needs in various aspects such as price, quality, fashion, and comfort, so that producers, wholesalers, and retailers can also improve the sensory performance of fabrics. Efforts are being made to establish a model that can objectively quantify and predict this, and to utilize it in the manufacture, distribution, and sale of fabrics and clothes.

그런데, 직물의 촉감과 시각적 성능에 대한 평가는 개발되고 있으나, 청각과 관련한 직물의 감각적 성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개발은 지금까지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By the way, the evaluation of the touch and visual performance of the fabric is being developed, but the development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sensory performance of the fabric related to hearing has been very poor until now.

예를 들어, 청각적 감성을 구현하는 고부가가치의 직물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직물 마찰음에 대한 감각적 쾌적성을 평가하고, 이를 객관적으로 수량화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였다.For example, in order to develop a high value-added fabric that realizes auditory sensibility, a system was needed to evaluate sensory comfort with respect to fabric friction sounds and quantify it objectively.

즉, 지금까지는 의류업종이 발전하였다 해도, 의류가 완성되기 이전 직물이 가지는 마모도, 통기성, 방수성 등을 설계하여 다양한 기능을 갖춘 의류를 탄생시키는 데에 집중하고 있을 뿐, 직물의 상호간의 마찰로 인한 소음을 미리 측정하여 이를 의류의 디자인뿐만 아니라, 청각적 감성도 감안하여 의류를 제작하는 노력은 미비한 것이었다.In other words, even though the apparel industry has developed so far, it has been focused on the creation of clothing with various functions by designing the abrasion, breathability, and waterproofness of the fabric before the garment is finished. Efforts to make clothing by measuring the noise in advance and considering it as well as the design of the clothing and the acoustic sensitivity were insufficient.

한편, 이와 같은 직물의 청각적 감성을 의류에 부여하기 위한, 직물간의 마찰시 발생되는 소음을 측정하기 위한 기술이 본 건의 출원인이 국내 출원하여 등록한 등록실용 20 - 0212605호(등록번호) 에서 개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 technique for measuring the noise generated during friction between fabrics to impart the auditory sensitivity of the fabric to the garment is disclosed in Registered Room No. 20-0212605 (registration number) registered and filed in Korea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즉, 상기 등록실용에서는 직물시료들의 마찰을 인위적으로 발생시키면서 이때 발생되는 마찰 소음을 측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직물설계에 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가 개시되고 있다.That is, in the registration room has been disclosed a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the fabric design based on the friction noise generated at this time while artificially generating the friction of the fabric samples.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의 종래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에 있어서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직물 시료들의 마찰을 위한 시료 이동속도를 조정하는 것이 매우 불편한 것이었고, 그 조정범위도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device for the registration room, although not shown in a separate drawing, it was very inconvenient to adjust the sample moving speed for the friction of the fabric samples, the adjustment range also had a limited problem.

즉, 두꺼운 투습방수포와 블라우스나 한복용 얇은 견직물의 경우 착용상황에 의하여, 마찰음의 발생량도 다르고, 투습방수포는 직물시료의 이동속도 더 빨라야 하며 견직물은 마찰 이동 속도를 더 감소시켜야 하기 때문에, 직물시료의 재질에 따라 마찰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직물시료의 이동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야 보다 정밀한 직물 마찰음의 측정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등록실용의 종래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직물시료의 이동속도를 조정(세밀하게 조정)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That is, in case of thick breathable waterproof cloth and thin silk fabric for blouse or hanbok, the amount of friction sound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wearing situation, and the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cloth should be faster in moving the fabric sample and the fabric should be reduced in the frictional movement speed.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moving speed of the fabric sample to generate the friction sound, so that more accurate measurement of the friction sound of the fabric is mad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device for the registration room, the moving speed of such fabric sample Difficulty adjusting (fine tuning)

또한, 직물시료가 연결되어 직물시료의 이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직물시료 이동용 이동대가 양측의 가이드봉으로만 지지되면서 이동하는 구조로 인하여, 상기 이동대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고, 결국 직물시료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e that the fabric sample is connected to the movement of the fabric sample movement that directly affects the movement of the fabric sample is supported only by the guide rods on both sides,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is not made smoothly, eventuall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movement is not smooth.

결국, 위의 등록실용에서 개시된 종래의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는, 직물 마찰음의 측정에서 가장 중요한 직물시료의 이동속도 조정 및, 직물시료가 물리는 이동대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은 등의 문제들이 있었다.As a result, the conventional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disclosed in the above registration room has problems such as adjustment of the moving speed of the fabric sampl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measurement of the fabric friction sound, and the movement of the movable table which the fabric sample is bitten.

이에 따라서, 직물시료의 마찰음 측정시 직물시료의 재질에 따라 직물시료의 이동속도를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용이하게 조정하도록 하면서, 이동대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구현되는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가 요구되어 왔고, 본 건의 발명자들은 이를 추가로 제안한 것이다.Accordingly, there has been a need for a fabric friction sound measurement device that enables the movement of the mobile table to be more smoothly implemented while easily adjusting the movement speed of the fabric sample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fabric sample when the friction sound of the fabric sample is measured. The inventors further proposed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직물의 마 찰시 발생되는 소음을 측정함으로서, 필요없는 소음을 줄이거나 감각적으로 쾌적한 직물 마찰음의 특성을 고찰하여 궁극적으로 소비자에게 청각적인 감성 만족을 제공할 수 있는 직물의 설계에 활용 가능하게 함은 물론, 특히 직물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마찰음 발생을 위한 직물시료의 이동속도를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광범위한 측정 및 그 정밀도를 높이는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제 1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measuring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friction of the fabric, to reduce the unnecessary noise or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sationally pleasant fabric friction sound ultimately to satisfy the auditory sensitivity to the consumer In addition to making it possible to design the fabric that can be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movement speed of the fabric sample for the generation of friction sound according to the type and use of the fabric, in particular by simple operation. It is a first object to provide a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device to increase the.

또한, 본 발명은, 직물시료의 이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장치 이동수단의 이동대가 보다 원활하게 왕복 이동토록 함으로서, 직물시료간의 마찰음이 안정적으로 발생 입력되도록 하는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제 2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device for stably generating the friction noise between the fabric sample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moving table of the device moving means that directly affects the movement of the fabric sample, the second object There is th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높이로 제공된 장치바디부;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evice body provided at a certain height;

상기 장치바디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 1 직물시료;A first fabric sample fixed to one side of the device body;

상기 장치바디부의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왕복 이동토록 엘엠유니트를 포함하여 설치되는 이동수단;A moving means including an L unit to smoothly reciproc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pparatus body portion;

상기 이동수단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직물시료와 마찰되는 경로상에 이동하여 직물간의 마찰 소음을 발생시키는 제 2 직물시료; A second fabric sample connected to the moving means and moving on a path rubbed with the first fabric sample to generate friction noise between the fabrics;

상기 이동수단과 연계 설치되면서 이동하는 제 2 직물시료의 이동 속도를 가변 조정토록 상기 장치바디부의 타측에 제공되는 속도조정수단; 및,Speed adjusting mean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apparatus body to variably adjust the moving speed of the second fabric sample moving while being installed in association with the moving means; And,

상기 제 1 ,2 직물시료의 마찰위치 직상부에 배치되면서 직물시료간의 마찰소음을 입력하는 소음 입력수단;Noise input means which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friction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abric samples and inputs the friction noise between the fabric samples;

을 포함하여 구성된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fabric friction sound measurement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이때, 상기 장치바디부의 일측에 상기 제 2 직물시료의 이동경로상에 제공되면서 상기 제 1 직물시료가 감겨지는 직물시료 고정통 및, 상기 고정통의 일측으로 연결된 레버로서 조작되도록 설치되어 고정통을 경유하는 상기 제 1 직물시료를 고정하는 직물시료 고정축을 구비하는 직물시료 고정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ne side of the device body is provid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second fabric sample while the first fabric sample is wound around the fabric sample fixing cylinder, and installed to be operated as a lev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xing cylinder fixed cylinder Fabric sample fixing means having a fabric sample fixing shaft for fixing the first fabric sample to pass through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직물시료 이동수단의 엘엠(LM)유니트는, 상기 장치바디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엘엠(LM)가이드 및 그 상부에 원활하게 이동토록 설치되는 엘엠(LM)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M (LM) unit of the fabric sample moving means, it may be composed of the LM (LM) guid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vice body portion and the LM (LM) block to be installed to move smoothly thereon.

한편,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엘엠블록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 2 직물시료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편이 탈,부착되는 이동대와, 상기 제 2 직물시료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1 웨이트와, 상기 이동대에 연결된 견인와이어가 권취되는 와이어풀리가 연결되는 구동축과, 그 직각으로 돌출되는 종동축을 구비하면서 장치바디부 타측에 설치되는 회전전환박스 및, 상기 와이어풀리를 통하여 진행되는 견인와이어에 연결되는 제 2 웨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ving means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 block,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iece for fixing one end of the second fabric sample is attached, the first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abric sample is connected to the second fabric sample. Rotation switching box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vice body portion having a weight, a drive shaft to which the wire pulley wound around the traction wire connected to the movable table is connected, and a driven shaft projecting at right angles, and the wire pulley And a second weight connected to the towing wire.

이때, 상기 와이어풀리는 2단으로 구성되어 일단 풀리는 이동대와 연결되는 견인와이어가 권취되고, 이단 풀리는 제 2 웨이트가 하단에 연결되는 견인와이어가 권취되며, 상기 이단풀리에는 풀리의 회전조작을 위한 피스홈이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wire pulley is composed of two stages, the towing wire is connected to the movable table once released, the two-stage pulley is wound around the towing wire is connected to the second weight, the two-stage pulley piece for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pulley Grooves are formed.

또한, 상기 속도조정수단은, 상기 이동수단 회전전환박스의 종동축을 밀착 포위하는 축 포위체 및, 상기 축 포위체의 일단에 연결되면서 당겨지는 정도에 따라 축 포위체와 종동축간의 마찰정도를 가감시키어 직물시료의 이동속도를 가변토록 제공된 조작레버수단을 포함하여 직물시료의 이동속도를 가변토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peed adjusting means, the shaft enclosing body closely surrounding the driven shaft of the moving means rotation switching box, and the degree of friction between the shaft enclosing member and the driven shaft according to the degree of pulling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aft enclosing body It is configured to vary the moving speed of the fabric sample, including a control lever means provided to adjust the moving speed of the fabric sample.

이때, 상기 축 포위체는 강판과 고무의 이중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조작레버수단은, 상기 축 포위체의 강판과 고무사이의 연결피스의 스크류축과 연결되며, 가이드링으로 지지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끝단에 연결되고 블록에 연결된 제 2 링크가 힌지 연결되는 제 1 링크와 연결되는 조작 손잡이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aft enclosure is composed of a double structure of a steel plate and rubber, the operation lever means is connected to the screw shaft of the connecting piece between the steel plate and the rubber of the shaft enclosure, the connecting rod is supported by a guide ring, A second link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and connected to the block may be configured as a manipulation handle connected to the first link hingedly connected.

그리고, 상기 소음입력수단은 상기 장치바디부의 일측으로 직물 시료간의 마찰위치의 직상부에 배치된 고정대에 정착되는 바아형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되고, 상기 마이크로폰인 소음 입력수단은 소음 입력부를 통하여 장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noise input means is composed of a bar-type microphone which is fixed to the fixing ba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iction position between the fabric sample to one side of the device body portion, the noise input means which is the microphon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vice control unit through the noise input unit It is preferable to be connected to.

또한, 상기 장치바디부의 일측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무한궤도로 이동토록 설치되면서,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대의 일측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가 체결되는 풀리에 연결되어 이동대에 의한 직물시료의 이동속도를 감지토록 장치바디부상에 제공된 인코더를 포함하는 속도 감지수단을 구비하고, 이와 같은 인코더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장치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while being installed to move in an endless orb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device body, the wi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ving table of the moving means, and the pulley is connected to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movement of the fabric sample by the moving table And a speed sensing means comprising an encoder provided on the device body to sense the speed, such an encoder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vice control unit via the display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인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 명인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의 속도조정수단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의 속도조정수단의 레버를 도시한 요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의 직물시료 고정수단을 도시한 요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에서 이동수단의 이동대 설치구조를 도시한 정면 구조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의 측정단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speed adjusting means of the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main view showing a lever of the speed adjus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device, Figure 5 is a main view showing the fabric sample fix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device, Figure 6 is a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riction sound measuring device is a front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moving tabl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oving means,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asuring step of the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1)의 전체 구성을 사시도 및 측면도 도시하고 있다.1 and 2 show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1)는, 장치바디부(10)와, 제 1,2 직물시료(30)(70)와 이동수단(50) 및, 소음 입력수단(110)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고, 이들 구성수단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body 10, the first and second fabric samples 30, 70 and the moving means 50 And, the noise input means 110 can be largely divided, looking at these components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상기 장치바디부(10)는, 장치가 놓이는 장소의 바닥에서 부터 일정높이로 제공되는 금속 예를 들어, 부식이 없는 스테인레스 등으로 제작된 구조물이다.First, the device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made of met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etc., provid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place where the device is placed.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바디부(10)는 일정높이의 고정대(12)상에 그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중앙바디(10a)와 그 양측에 수직 고정되어 다음에 설명하는 인코더(136)용 와이어풀리(134)가 각각 설치되는 양측 수직바디(10b) 및, 엘엠유니트(LM unit)(53)의 설치를 위한 횡바디(10c)로 구성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device body por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central body (10a) and its two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talled on a fixed table 12 of a certain height 2B, which is provided with wire pulleys 134 for the encoder 13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respectively, and a horizontal body 10c for installation of the LM unit 53. As shown in FIG.

또한, 이와 같은 장치바디부(10)의 수직바디(10b) 양측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제 1 직물시료(30)를 고정하는 직물시료 고정수단(20)이 제공되는 지지블록(10d)과 속도조정수단(90)이 설치되는 다른 지지블록(10e)을 포함한다.In addition,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body (10b) of the device body portion 10, the support block (10d) and the speed adjustment is provided with a fabric sample fixing means 20 for fixing the first fabric sample 30 to be described later It comprises another support block 10e in which the means 90 are installed.

다음, 상기 본 발명의 제 1 직물시료(30)는, 상기 장치바디부(10)의 일측에 고정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직물시료 고정수단(20)을 통하여 제공된다.Next, the first fabric sampl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one side of the device body portion 10, specifically provided through the fabric sample fixing means (20).

즉, 도 1,2 및 도 5에서는 상기 직물시료 고정수단(2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직물시료 고정수단(20)은, 상기 장치바디부(10)의 일측에 제 2 직물시료(70)의 이동경로상에 제공되면서 상기 제 1 직물시료(30)가 감겨지는 직물시료 고정통(22) 및, 상기 고정통(22)의 일측으로 연결되고 블록 외곽으로 돌출되는 조작레버(24)로서 조작되도록 설치되어 고정통(22)을 경유하여 인출된 제 1 직물시료(30)의 끝단을 고정하는 직물시료 고정축(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fabric sample fixing means 20 in Figures 1,2 and 5, the fabric sample fixing means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abric on one side of the device body portion 10 The fabric sample fixing cylinder 22 to which the first fabric sample 30 is wound while being provid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sample 70, and an operation lev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xing cylinder 22 and protruding outside the block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abric sample fixed shaft 26 is installed to be operated as 24) to secure the end of the first fabric sample 30 drawn out via the fixing cylinder 22.

이때, 상기 고정축(26)에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양측이 고정된 고정봉(28)이 연결되어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5, the fixed rod 26 is fixed to the both sides fixed to the c-shape is connected.

따라서, 도 1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2 직물시료(30)(70)간의 마찰시 발생되는 마찰음(소음)을 측정하기 위하여, 장치 사용자는 상기 제 1 직물시료(30)를 고정통(22)에 감은 후, 제 1 직물시료(30)의 끝단부를 조작레버(24)가 당겨지면 이동하는 고정축(26)과 고정봉(28)에 감아서 고정시키면, 조작레버의 조작시 제 1 직물시료(30)는 고정통(22)에 밀착되면서 팽팽한 긴장상태로 유지되고, 제 1 직물시료(30)의 장치 장착이 완료된다.Thus, as shown in Figures 1 and 5, in order to measure the friction noise (noise) generated during the fri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abric samples 30, 70, the user of the device is the first fabric sample (30) After winding the fixed cylinder 22, the end of the first fabric sample 30 is wound around the fixed shaft 26 and the fixed rod 28 to move when the operation lever 24 is pulled and fixed, During operation, the first fabric sample 30 is kept in a tight tension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cylinder 22, and the device mounting of the first fabric sample 30 is completed.

다음, 본 발명의 상기 이동수단(50)은 상기 장치바디부(10)의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왕복 이동토록 엘엠유니트(53)를 포함하여 설치되면서, 특히 그 왕복 이동이 원활하다.Next, the movement means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cluding the L unit 53 to smoothly reciproc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vice body 10, in particular, the reciprocating movement is smooth.

즉, 도 1, 도 2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직물시료 이동수단(50)의 엘엠유니트(53)는, 상기 정차바디부(10)의 양측 횡바디(10c)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엘엠(LM)가이드(52)와 상기 엘엠가이드(52)에 장착되는 엘엠블록(54)으로 구성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1, 2 and 6, the L unit 53 of the fabric sample moving means 50,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both side body (10c) of the stop body portion 10 It consists of an LM (52) guide 52 and the LM block 54 mounted to the LM guide (52).

따라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엘엠가이드(52)와 엘엠블록(54)은 서료 경사진 경계면을 통하여 체결되어 있으면서, 도면에서는 별도의 부호로 도시하지 않은 마찰이 적은 라이너들이 설치되면서 상기 엘엠블록(54)은 상기 엘엠가이드(52)를 따라 매우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6, the LM guide 52 and the LM block 54 are fastened through an inclined boundary surface, and the frictionless liners, which are not shown in the drawing by the reference numerals, are installed. The M block 54 can move very smoothly along the LM guide 52.

결국, 기존 장치에서 사용하는 가이드바아에 비하여 본 발명의 엘엠유니트(53)를 이용하는 장치에서 엘엠유니트상의 이동대(58)는 매우 원활하게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in the device using the L unit 53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guide bar used in the existing device, the mobile unit 58 on the L unit can be reciprocated very smoothly.

이때, 본 발명의 이동수단(50)은 상기 엘엠블록(54)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부에는 제 2 직물시료(70)의 일단(70a)을 고정하는 고정편(56)이 탈,부착되는 이동대(58)와 상기 제 2 직물시료(70)의 타단(70b)에 연결되는 제 1 웨이트(61)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moving means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 block 54, the fixing piece 56 for fixing one end (70a) of the second fabric sample 70 is attached, detached A first weight 61 is connected to the movable table 58 and the other end 70b of the second fabric sample 70.

따라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바디부(10)의 길이방향 중앙바디(10a)의 양측 횡바디(10b)사이에 볼트 작업으로 체결된 엘엠유니트(53)의 엘엠가이드(52)상에 엘엠블록(54)이 체결되고, 이 엘엠블록(54)의 상부에 이동대(58) 가 장착되며, 상기 이동대(58)의 상부에는 제 2 직물시료(70)의 일단(70a)이 고정편(56)의 간단한 볼팅 작업으로 고정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L guide of the L unit 53 fastened by bolting between the two side bodies 10b of the longitudinal center body 10a of the apparatus body 10. 52 is fastened to the L block 54, the mobile unit 58 is mounted on the upper of the M block 54, one end of the second fabric sample (7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bile unit 58 ( 70a) is fixed by a simple bolting operation of the fixing piece 56.

결국, 본 발명의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1)에서 상기 제 1 직물시료(30)는 장치 바디부(10)의 일측에 고정수단(20)상에 고정되어 있고, 마찰위치(P)에 마찰되는 제 2 직물시료(70)의 일단(70a)은 상기 이동대상의 고정편(56)으로 고정되고, 타단(70a)은 상기 제 1 직물시료(30)를 경유하여 그 이동방향으로 고정대(12)를 통하여 수직하게 하강하면서 제 1 웨이트(61)와 연결되어 있다.As a result, in the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abric sample 30 is fixed on the fixing means 20 on one side of the apparatus body part 10 and is rubbed at the friction position P. One end 70a of the second fabric sample 70 is fixed to the fixing piece 56 of the moving object, and the other end 70a is fixed to the movement direction via the first fabric sample 30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weight 61 while descending vertically through.

따라서, 상기 제 2 직물 시료(30)는 제 1 웨이트(61)로서 팽팽하게 당겨진 긴강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직물시료(30)와 마찰위치에서 이동시 마찰소음을 발생시키도록 장치에 제공된다.Accordingly, the second fabric sample 30 is provided in the apparatus to generate friction noise when moving in the friction position with the first fabric sample 30 while maintaining the long steel state that is stretched as the first weight 61.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이동수단(50)은, 추가적으로 상기 이동대(58)에 연결된 견인와이어(60a)가 권취되는 와이어풀리(62)가 연결되는 구동축(64a)과, 그 직각으로 돌출되는 종동축(64b)을 구비하면서 장치바디부 타측에 설치되는 회전전환박스(64) 및 상기 와이어풀리(62)를 통하여 진행되는 견인와이어(60b)에 연결되는 제 2 웨이트(66)를 포함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moving means 5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shaft to which the wire pulley 62 is additionally wound around the towing wire 60a connected to the movable table 58 is connected. (64a) and a driven shaft (64b) protruding at right angles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rotation switching box (64)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apparatus body portion and the traction wire (60b) proceeding through the wire pulley (62) A second weight 66.

그리고, 도 1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풀리(62)는 2단으로 구성되어 일단 풀리(62a)는 이동대(58)와 연결되는 견인와이어(60a)가 권취되고, 이단 풀리(62b)는 제 2 웨이트(66)가 하단에 연결되는 견인와이어(60b)가 권취되며, 상기 이단풀리(62b)에는 풀리의 회전조작을 위한 피스홈(68)이 형성되어 있다.1 and 3, the wire pulley 62 is composed of two stages, and once the pulley 62a is wound with the towing wire 60a connected to the movable table 58, the two-stage pulley The traction wire 60b is wound arou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weight 66, and the two-stage pulley 62b has a piece groove 68 for rotating the pulley.

이때,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풀리(62)중 일단풀리(62a)의 전방에는 수평이동 견인와이어(60a)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풀리(67)가 제공되어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1, one end of the pulley (62a) of the wire pulley 62 is provided with a guide pulley (67)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ement traction wire (60a).

따라서, 이동대(58)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와이어풀리(62)의 일단풀리(62a)에 권취된 수평이동 견인와이어(60a)와, 상기 일단풀리에 연결된 이단풀리(62b)에 권취되고, 하방으로 고정대(12)를 통하여 수직하게 하강되며 하단에 제 2 웨이트(66)가 연결된 수직이동 견인와이어(60b)가 실질적으로 이동대와 이에 고정된 제 2 직물시료(70)의 이동을 결정하게 되고, 그 이동력은 상기 제 2 웨이트(66)가 제공한다.Thus, one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vable table 58, the other end is a horizontal moving traction wire 60a wound around the one end pulley 62a of the wire pulley 62, and the two end pulley 62b connected to the one end pulley. 2) a vertically movable towing wire 60b wound around the bottom, vertically descending through the fixing stand 12, and having a second weight 66 connected to the lower end thereof, and having a second fabric sample 70 fixed thereto. Determines the movement of, and the movement force is provided by the second weight (66).

즉,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단풀리(62b)의 중앙에 형성된 피스홈(68)에 조작피스 예를 들어, 도라이버 등을 삽입시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단풀리(62b)에는 수직이동 견인와이어(66)가 감겨지면서 제 2 웨이트(66)가 상승되고, 반대로 일단풀리(62a)에 검겨진 수평이동 견인와이어(60a) 는 풀리면서 이동대(58)에 연결된 제 2 직물시료(70)는 연결된 제 1 웨이트(61)에 의하여 당겨지는 힘을 받으면서 수평이동 견인와이어(60a)는 일단풀리에서 풀리면서 이동대(58)는 장치의 일측(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수평이동 견인와이어(60a)는 팽팽한 긴장상태가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S. 1 to 3, when the user inserts an operating piece, for example, a driver, etc. into a piece groove 68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wo-stage pulley 62b, and rotates it clockwise, the two-stage pulley The second weight 66 is raised as the vertical movement traction wire 66 is wound on the 62b, and the horizontal movement traction wire 60a clamped at the pulley 62a is loosely connected to the movable base 58. The second fabric sample 70 receives the force to be pulled by the first weight 61 connected, so that the horizontally moving tow wire 60a is released from the pulley and the movable table 58 moves to one side (right side) of the device. At this time, the horizontal movement traction wire (60a) is in a tension state.

따라서, 제 2 웨이트(66)가 제 1 웨이트(61)보다 무게가 무겁게 한 상태에서, 조작피스로서 와이어풀리(62)의 이단풀리의 회전을 멈추고, 제 2 웨이트(66)가 초기 위치보다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조작피스를 풀리의 피스홈 (68)에서 이탈시키면, 상기 제 2 웨이트(66)의 무게로 인하여 일단 및 이단의 와이어 풀리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 견인와이어(60a)(60b)들이 앞서 설명한 순서의 반대로 감기거나 풀리면서 제 2 웨이트(66)는 하강하고, 이에 따라 이동대(58)는 제 2 직물시료(70)를 당기면서 장치 타측(좌측)으로 엘엠유니트(53)상에서 원활하게 이동한다.Therefore,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weight 66 is heavier than the first weight 61, the rotation of the two-stage pulley of the wire pulley 62 as the operation piece is stopped, and the second weight 66 is fixed than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operation piece is removed from the piece groove 68 of the pulley in a state of being raised above the heigh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 traction wires 60a of the wire pulleys at one end and the second end are due to the weight of the second weight 66. The second weight 66 is lowered as the 60bs are wound or unwound in the order described above, so that the movable unit 58 pulls the second fabric sample 70 to the other side of the apparatus (left). 53) Move smoothly on.

이때,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직물시료(30)와 접촉하는 이동경로로 이동하는 제 2 직물시료(70)간에는 접촉하는 마찰위치(P)에서 마찰음이 발생되고, 다음에 설명하는 소음 입력수단(110)에 발생된 직물 마찰음은 입력되어 직물 마찰음의 측정이 이루어 지는데, 이와 같은 소음 측정단계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friction sound is generated at the frictional position (P) in contact between the second fabric sample 70 moving in the movement path in contact with the first fabric sample 30, The fabric friction sound generated in the noise input unit 110 to be described is input to measure the fabric friction sound, such a noise measurement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제 2 직물시료(7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수단(50)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직물시료(30)와 마찰되는 경로로 이동하여 직물간의 마찰소음을 발생시키도록 제공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fabric sample 7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moving means 50 and moves along a path in friction with the first fabric sample 30 to generate friction noise between the fabrics. Is provided.

다음, 도 1,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직물의 재질에 따라 제 2 직물시료(70)의 이동속도를 가변 조정시키는 이동속도 조정수단(9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속도 조정수단(90)은, 상기 이동수단(50)과 연계 설치되면서 이동수단과 연결 이동하는 제 2 직물시료의 이동속도를 가변 조정토록 상기 장치바디부(10)의 타측에 제공된다.Next, Figures 1, 3 and 4 shows a moving speed adjusting means 90 for varying the moving speed of the second fabric sample 70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fabric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bone The moving speed adjusting means 9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apparatus body 10 so as to variably adjust the moving speed of the second fabric sample connected to the moving means while being installed in association with the moving means 50. .

즉,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속도 조정수단(90)은, 이동수단 회전전환박스(64)의 종동축(64b)을 밀착 포위하는 축 포위체(92) 및, 상기 축 포위체(92)의 일단에 연결되면서 당겨지는 정도에 따라 축 포위체(92)와 종동축(64b)간의 마찰정도를 가감시키어 직물시료의 이동속도를 조정토록 제공된 조작레버수단(94)로 구성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speed adjusting means 90, the shaft enclosing member 92 and the shaft enclosing the close contact with the driven shaft 64b of the moving means rotation switching box 64, and the shaft Consists of the operating lever means 94 provided to adjust the moving speed of the fabric sample by reducing the degree of friction between the shaft enclosure 92 and the driven shaft 64b according to the degree of pulling while being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nclosure 92 do.

따라서, 본 발명의 속도 조정수단(9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대와 일단풀리 및 이단풀리와 제 2 웨이트사이에서 연결되는 수평이동 견인와이어(60a)와 수직이동 견인와이어(60b)의 이동속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speed adjusting means 9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vement of the horizontal movable traction wire 60a and the vertical movement traction wire 60b connected between the movable table, the one end pulley and the second pulley and the second weight. Allow you to adjust the speed.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와이어가 감겨지는 와이어풀리(62)가 체결되는 구동축(64a)은 회전전환박스(64)의 내부에서 베벨기어들과 연결되어 그 직각방향으로 종동축(64b)이 기어박스(64)의 외부로 돌출되고, 결국 견인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축과 회전전환박스(64)에서 연계된 상기 종동축(64b)의 회전을 가감시키면, 결국에는 이동대(58)와 여기에 고정된 제 2 직물시료(70)의 이동속도가 조정되는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drive shaft 64a to which the wire pulley 62 to which the traction wire is wound is fastened is connected to bevel gears at right angles in the rotation switching box 64. Direction of the driven shaft 64b protrudes out of the gearbox 64, and eventually the rotation of the driven shaft 64b associated with the drive shaft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towing wire and the rotation switching box 64 is added or subtracted. In the end, the moving speed of the movable table 58 and the second fabric sample 70 fixed thereto is adjusted.

이때, 상기 종동축(64b)을 감싸는 축 포위체(92)는 외측의 강판(92b)과 내측의 고무(92a)로 구성되어 그 밀착정도에 따라 마찰력으로 종동축(64b)의 회전을 가감시킨다.At this time, the shaft enclosure 92 surrounding the driven shaft 64b is composed of a steel plate 92b on the outside and a rubber 92a on the inner side to adjust the rotation of the driven shaft 64b with a fric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adhesion. .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축 포위체(92)의 강판과 고무는 축을 감싸는 형태로 일단이 서로 접촉하는 상태에서 그 접촉부위가 연결피스(92c)를 통하여 볼트(92d)로서 체결 고정된다.3 and 4, the steel sheet and the rubber of the shaft enclosure 92 are wrapped around the shaft, and the contact portion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bolt 92d through the connecting piece 92c in a state where one end contacts each other. Fastened and fixed).

또한, 상기 연결피스(92c)에는 상기 조작레버수단(94)이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결피스(92c)에 스크류축(94a)이 연결되고 이 스크류축(94a)은 장치 바디부(10) 타측의 지지블록(10e)상에 설치된 가이드링(94b)을 통과하여 지지되는 연결봉(94c)과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lever means 9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ece 92c. Specifically, a screw shaft 94a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ece 92c, and the screw shaft 94a is an apparatus body part 10.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94c supported through the guide ring 94b installed on the supporting block 10e on the other side.

이때, 상기 연결봉(94c)의 끝단에 연결된 제 1 링크(94d)는 블록상에 연결된 제 2 링크(94e)가 힌지 연결되고, 여기에는 조작 손잡이(94f)가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first link 94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94c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94e connected on the block, and the operation handle 94f is connected thereto.

결국, 본 발명의 장치에서 속도조정수단(90)의 조작레버수단(94)를 조작하면, 축 포위체(92)가 회전전환작스(64)의 종동축(64b)을 밀착하는 정도의 차이에 의하여 종동축의 회전속도가 가감 조정되고, 결국 구동축(64a)과 와이어풀리(62) 및, 견인와이어의 이동속도가 가감 조정된다.As a result, when the operating lever means 94 of the speed adjusting means 90 is operated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 enclosure 9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egree of close contact with the driven shaft 64b of the rotation switching operation 64. As a resul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n shaft is adjusted or adjusted, and the movement speed of the drive shaft 64a, the wire pulley 62, and the traction wire is adjusted.

즉, 조작레버수단(94)의 조작 손잡이(94f)를 당기면 제 1 링크(94d)가 제 2 링크(94e)를 축으로 전,후 이동하고, 이 이동거리는 결국 연결봉(94c)과 축 포위체(92)와 회전전환박스(64)의 종동축(64b)간의 밀착정도를 결정하여 가변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종동축과 연계되는 와이어풀리, 이동대 및 제 2 직물시료의 이동속도를 가변 조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manipulation knob 94f of the manipulation lever means 94 is pulled, the first link 94d moves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axis of the second link 94e, and this movement distance eventually leads to the connecting rod 94c and the shaft enclosure. Determining a closeness between the 92 and the driven shaft 64b of the rotation switching box 64 to variably adjust the moving speeds of the wire pulley, the movable table and the second fabric sample associated with the driven shaft by the variable frictional force. To make it possible.

따라서, 기존 장치에서 감속기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사용자는 장치 운영시 손쉽게 제 2 직물시료(70)의 이동속도를 가변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만큼 장치 운영상 직물재질에 따라 예를 들어, 얇은 천이나 두꺼운 면직물에 대응하는 직물의 이동속도를 설정하여 마찰음의 발생정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직물 차찰음 측정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그 측정 정밀도까지로 향상시키는 것이다.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moving speed of the second fabric sample 70 when operating the device, rather than using the speed reducer in the existing device,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fabric material in the device operation, for example, thin cloth or thick By setting the moving speed of the fabric corresponding to the cotton fabric, the degree of friction noise can be freely adjusted, making it easy to measure the fabric noise and improving the measurement accuracy.

다음, 본 발명의 상기 소음 입력수단(110)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직물시료(30)(70)의 마찰위치(P) 직상부에 배치되면서 직물시 료간의 마찰소음을 입력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장치바디부의 일측으로 직물 시료간의 마찰위치(P) 직상부에 배치된 고정대(112)에 고정되는 바아형 마이크로폰으로 제공될 수 있다.Next, the noise input unit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when the fabric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friction position (P) of the first and second fabric samples 30, 70 Friction noise between the materials is input, specifically, it may be provided as a bar-type microphone which is fixed to the fixing table 112 disposed directly on the friction position (P) between the fabric sample to one side of the device body portion.

이때,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폰인 소음 입력수단(110)은 장치 제어부(C)와 소음입력부(I) 예를 들어, 앰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되는 직물간의 마찰 소음은 장치제어부에 전달 처리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7, the microphone noise input means 110 is a device control unit (C) and noise input unit (I), for example, the friction noise between the fabric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mplifier and input device control unit The transfer is handled.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1)는, 상기 장치바디부(10)의 일측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무한궤도로 이동토록 설치되면서, 상기 이동수단(50)의 이동대(58)의 일측에 연결되는 와이어(132) 및, 상기 와이어(132)가 체결되고 정치바디부의 양측 수직바디(10b)상에 설치된 풀리(134)에 연결되어 이동대에 의한 직물시료의 이동속도를 감지토록 제공된 인코더(136)를 포함하는 속도 감지수단(130)을 구비할 수 있다.1 and 2, the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move in an endless tra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side of the device body 10, the moving means The wire 13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bile unit 58 of the 50 and the wire 132 is fastened and connected to the pulleys 134 installed on both vertical bodies 10b of the stationary body unit to the mobile unit. It may be provided with a speed detecting means 130 including an encoder 136 provided to detect the moving speed of the fabric sample.

즉, 이와 같은 인코더(136)는 이동대(58)와 연결된 와이어(132)의 이동속도를 측정하고, 이 측정값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코더(1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장치제어부(C)에 연계된 디스플레이부(D)에서 디스플레이된다.That is, the encoder 136 measures the moving speed of the wire 132 connected to the moving table 58, and the measured value is an apparatu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ncoder 136, as shown in FIG. The display unit 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C.

따라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1)의 소음 입력구성을 살펴보면, 직물 마찰위치(P)의 직상부에서 직물간의 마찰소음은 마이크로폰의 소음 입력수단(110)으로 입력되고, 이 입력된 값은 앰프 등의 소음입력부(I)를 거쳐 장치제어부(C)에 전달 처리되고, 동시에 이동대(58)의 이동에 따라 와이어속도를 감지하는 인코더(136)의 속도 측정값은 디스플레이부(D)에서 표시되 면서 장치제어부(C)에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장치제어부(C)에서는 직물의 재질에 따른 데이터와 소음값 및 이동속도값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ure 7, looking at the noise input configuration of the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iction noise between the fabric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abric friction position (P) to the noise input means 110 of the microphone The input value is transferred to the device control unit C through a noise input unit I such as an amplifier, and at the same time, a speed measurement of the encoder 136 that detects the wire spe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bile unit 58 is performed. The valu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 and transmitted to the device control unit (C). Finally, the device control unit (C) compares and analyzes data, noise values, and moving speed values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fabric.

즉, 본 발명의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1)는, 기존의 장치에 비하여 이동대의 이동이 매우 원활하면서 특히, 직물의 재질에 따라 그 이동속도를 자유롭게 조정하도록 하기 때문에, 직물 소음측정시 장치 운영이나 측정 정밀도 및 수집하는 데이터의 폭을 보다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mooth movement of the mobile table compared to the existing device, and in particular, because the movement speed is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fabric, the operation of the device during the measurement of the fabric noise or This allows for greater measurement accuracy and the breadth of the data collected.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인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1)의 마찰음 측정을 정리하면, 먼저 장치바디부(10)의 일측 직물시료 고정수단(20)에 원하는 직물의 마찰 소음을 측정하고자 하는 제 1 직물시료(30)를 배치시킨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riction sound measurement of the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mmarized, the first fabric sample to measure the friction noise of the desired fabric in one fabric sample fixing means 20 of the device body 10 Place (30).

이때, 이와 같은 제 1 직물시료(30) 또는 이에 마찰되는 제 2 직물시료(70)는, 면직물·마직물·모직물·견직물·혼방직물·교직물 등의 천연소재, 복합소재 또는 천연소재와 복합소재를 병행한 마찰음 측정할 수 있는 정도이면 가능한데, 이는 예일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first textile sample 30 or the second textile sample 70 rubbed thereto may be made of a natural material, a composite material, or a natural material and a composite material such as cotton fabric, hemp fabric, wool fabric, dog fabric, blend fabric, and fabric. As long as it can measure the parallel friction sound, it is possible, but this is only an example.

다음, 이동수단(50)의 이동대(58)의 상측에 장착되는 고정편(56)을 이용하여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제 2 직물시료(70)의 일단(70a)을 고정시키고, 직물시료의 타단(70b)에는 제 1 웨이트(61)를 연결하고, 따라서 제 2 직물시료(70)는 장치 고정대(12)를 통하여 수직하게 이동하게 된다.Next, the one end 70a of the second textile sample 7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is fixed by using the fixing piece 56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vable table 58 of the moving means 50, and the textile sample The other end of the 70b is connected to the first weight 61, so that the second fabric sample 70 is moved vertically through the device holder (12).

이와 같이, 제 1, 2 직물시료(30)(70)의 장치 세팅이 완료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라이버 등의 조작피스를 와이어풀리(62)중 이단풀리(62b)의 피스홈(68)에 끼워서 와이어풀리(62)의 회전으로 견인와이어로 연결된 이동대(58)의 위 치를 초기위치에서 장치 일측으로 이동시키고, 이때 속도조정수단(90)의 조작레버수단(94)의 손잡이(94f)를 당겨서 회전전환박스(64)의 종동축(64b)과 축 포위체(92)간의 밀착 정도를 조정하여 이동속도를 조정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vice setting of the first and second fabric samples 30 and 70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piece groove 68 of the two-stage pulley 62b of the wire pulley 62 is replaced with the operation piece such as the driver. ), The position of the movable table 58 connected to the traction wire by the rotation of the wire pulley 62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one side of the device, and the handle 94f of the operation lever means 94 of the speed adjusting means 90 ) To adjust the moving speed by adjusting the degree of close contact between the driven shaft 64b and the shaft enclosure 92 of the rotation switching box (64).

다음, 조작피스를 이용한 와이어풀리(62)의 회전을 멈추고, 제 2 웨이트(66)가 수직이동 견인와이어(60b)에 연결되고, 수평이동 견인와이어(60a)가 이동대(58)와 와이어풀리(62)사이에서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에서 조작피스를 피스홈(68)에 부터 이탈시키면, 제 1 웨이트(61)보다 무거운 제 2 웨이트(66)의 낙하에 의하여 제 2 직물시료(70)는 마찰위치(P)에서 제 1 직물시료(30)와 마찰 소음을 발생시키면서 이동된다.Next, the rotation of the wire pulley 62 using the operation piece is stopped, and the second weight 66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movement traction wire 60b, and the horizontal movement traction wire 60a is provided with the movable base 58 and the wire pulley. When the operating piece is separated from the piece groove 68 in a state of tension between the 62, the second fabric sample 70 is rubbed by falling of the second weight 66 that is heavier than the first weight 61. At position P, it is moved while generating friction noise with the first textile sample 30.

이때, 인코더(136)와 디플레이부(D)를 통하여 이동속도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원하는 이동속도에 근접하도록 속도조정수단(90)을 이용하여 수차례에 걸친 소음 측정을 수행한다.At this time, if the moving speed is displayed through the encoder 136 and the de-playing unit (D), the user performs the noise measurement several times using the speed adjusting means 90 to approach the desired moving speed.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음 입력수단(110)인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된 소음은 소음입력부(I)를 거쳐 장치제어부(C)에서 처리 데이터화된다.As shown in FIG. 7, the noise input into the microphone, which is the noise input unit 110, is processed by the device controller C through the noise input unit I.

이때, 통상 직물간의 간섭에 의한 마찰음은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각 소재 및 방직된 직물의 표면정도에 따라 제각기 그 정도가 달라지게 되는데, 통상 소음정도(㏈)가 큰 직물인 경우 65㏈ 정도를 가리킨다.At this time, the friction noise caused by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fabric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rface degree of each material and the woven fabric in the state of wearing the clothes, usually about 65㏈ for the fabric with a large noise level (㏈) Point.

참고적으로, 직물이 마찰되어 발생하는 소음정도는 각 소재에 따라 35㏈∼65㏈정도로 나타나며, 의복의 착용자 및 그 주변 사람이 청각으로 느낄 수 있는 정도는 대략 50㏈정도부터 느끼게 되는데, 이는 동일한 직물소재라 할 지라도 직물의 설계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For reference, the noise level caused by the friction of the fabric is about 35㏈ ~ 65㏈ according to each material, and the wearer of the clothes and the people around them can feel hearing about 50 대략, Even the fabric material may vary according to the design difference of the fabric.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1)는, 직물시료(30)(70)들로 부터 얻어지는 마찰 소음을 직물설계에 적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결국 의류가 만들어지기 이전에 소음이 적은 직물설계가 가능하여 의류의 디자인뿐만 아니라 소음정도 즉, 직물의 물리적 성질을 규명하여 감성만족을 위한 직물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Accordingly, the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apply the friction noise obtained from the fabric samples 30 and 70 to the fabric design, so that the noise is less before the garment is made.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fabric so that not only the design of clothing but also the noise level, that i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abric, enables the design of the fabric for the satisfaction of emotion.

또한, 직물의 촉감과 시각적 성능에 대한 평가 외에 청각과 관련한 직물의 감각적 성능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 청각적 쾌적감을 부여한 고부가가치의 직물개발이 가능하며, 나아가서는 의류가 일반 소비자에게 주는 직물 소리에 대한 감각적 쾌적함을 주고, 실제 의류제작을 하는 과정에서 객관적으로 수량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모색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sensory performance of the fabrics related to hearing, in addition to the evaluation of the feel and visual performance of the fabrics, which enables the development of high value-added fabrics that impart auditory comfort. It is possible to find a system that gives a sense of comfort and can be objectively quantified in the process of actual clothing production.

특히, 장치 운영중 직물시료의 이동속도 조정이 용이하여 보다 정밀측정을 가능하게 하고, 직물시료의 이동도 원활하면서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측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it is easy to adjust the moving speed of the fabric sampl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to enable more accurate measurement, and the movement of the fabric sample is also smooth and stable to increase the measurement accuracy.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에 의하면, 직물시료들의 인위적인 마찰을 구현하고, 이때 발생하는 직물 간의 소음을 측정하여 직물(의복)의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직물설계를 가능하게 하여 의류에 감각적인 기능성을 부여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us, according to the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mplementing the artificial friction of the fabric samples, by measuring the noise generated between the fabrics to enable a fabric design that can minimize the noise of the fabric (clothes) to the sense of clothing There is an effect to impart functionality.

또한, 다양한 소재 및 직물이 방직된 상태에서 그 표면의 질 등에 따라 직물의 마찰 소음을 원활하게 측정하도록 하면서, 특히 직물의 재질에 따른 마찰속도의 가변 조정이 용이하여 직물의 재질에 따라 보다 정밀한 소음측정을 가능하게 하여 장치를 이용한 측정 정밀도를 보다 향상시키는 다른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while various materials and fabrics are woven, the friction noise of the fabric can be smoothly measured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surface thereof, and in particular, the friction speed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fabric, so that the noise is more precise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fabric. It enables the measurement to provide another excellent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measurement accuracy with the device.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 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that it can be changed. Nevertheless, it will be clearly understood that all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일정높이로 제공된 장치바디부;A device body provided at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장치바디부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 1 직물시료;A first fabric sample fixed to one side of the device body; 상기 장치바디부의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왕복 이동토록 엘엠유니트를 포함하여 설치되는 이동수단;A moving means including an L unit to smoothly reciproc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pparatus body portion; 상기 이동수단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직물시료와 마찰되는 경로상에서 이동하여 직물간의 마찰 소음을 발생시키는 제 2 직물시료; A second fabric sample connected to the moving means and moving on a path rubbed with the first fabric sample to generate friction noise between the fabrics; 상기 이동수단과 연계 설치되면서 제 2 직물시료의 이동 속도를 가변 조정토록 상기 장치바디부의 타측에 제공되는 속도조정수단; 및,A speed adjusting mean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apparatus body to adjust the moving speed of the second fabric sample while being installed in association with the moving means; And, 상기 제 1 ,2 직물시료의 마찰위치 직상부에 배치되면서 직물시료간의 마찰소음을 입력하는 소음 입력수단;Noise input means which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friction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abric samples and inputs the friction noise between the fabric samples; 을 포함하여 구성된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바디부의 일측에 상기 제 2 직물시료의 이동경로상에 제공되면서 상기 제 1 직물시료가 감겨지는 직물시료 고정통; 및,According to claim 1, One side of the device body is provided on the moving path of the second fabric sample while being provid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second fabric sample is a textile sample fixing cylinder; And, 상기 고정통의 일측으로 연결된 레버로서 조작되도록 설치되어 고정통을 경유하는 상기 제 1 직물시료를 고정하는 직물시료 고정축;A textile sample fixing shaft installed to be operated as a lev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xing cylinder to fix the first textile sample via the fixing cylinder; 을 포함하는 직물시료 고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 fabric sample fixing means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시료 이동수단의 엘엠유니트는, 장치바디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엘엠(LM) 가이드 및 그 상부에 원활하게 이동토록 설치되는 엘엠블록으로 구성되고,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 unit of the fabric sample moving means is composed of an L (LM) guid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vice body portion and the L block is installed so as to move smoothly thereon,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엘엠블록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 2 직물시료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편이 탈,부착되는 이동대;와, The moving means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 block, the upper portion of the mobile station to which the fixing piece for fixing one end of the second fabric sample; 상기 제 2 직물시료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 1 웨이트;와,A first weigh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extile sample; 상기 이동대에 연결된 견인와이어가 권취되는 와이어풀리가 연결되는 구동축과, 그 직각으로 돌출되는 종동축을 구비하면서 장치바디부 타측에 설치되는 회전전환박스; 및, A rotation switching box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apparatus body, having a driving shaft to which a wire pulley to which the traction wire connected to the movable table is wound is connected, and a driven shaft projecting at right angles thereof; And, 상기 와이어풀리를 통하여 진행되는 견인와이어에 연결되는 제 2 웨이트;A second weight connected to a traction wire running through the wire pulley;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풀리는 2단으로 구성되어 일단 풀리는 이동대와 연결되는 견인와이어가 권취되고, 이단 풀리는 제 2 웨이트가 하단에 연결되는 견인와이어가 권취되며, According to claim 3, The wire pulley is composed of two stages, the towing wire is connected to the moving table once loosened, the two-stage pulley is wound around the towing wire, the second weigh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상기 이단풀리에는 풀리의 회전조작을 위한 피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The two-stage pulley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ece groove for rotating operation of the pulley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정수단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peed adjusting means, 상기 이동수단 회전전환박스의 종동축을 밀착 포위하는 축 포위체; 및 A shaft enclosure that closely surrounds the driven shaft of the moving means rotation switching box; And 상기 축 포위체의 일단에 연결되면서 당겨지는 정도에 따라 축 포위체와 종동축간의 마찰정도를 가감시키어 직물시료의 이동속도를 가변토록 제공된 조작레버수단;Operating lever means provided to vary the moving speed of the fabric sample by reducing the friction between the shaft enclosure and the driven shaft according to the degree of pulling while being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aft enclosure; 을 포함하여 직물시료의 이동속도를 가변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vary the moving speed of the fabric sample, including.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축 포위체는 강판과 고무의 이중구조로 구성되고,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xial enclosure consists of a double structure of a steel sheet and rubber, 상기 조작레버수단은, 상기 축 포위체의 강판과 고무사이의 연결피스의 스크류축과 연결되며, 가이드링으로 지지되는 연결봉; 및 The operating lever means is connected to the screw shaft of the connecting piece between the steel plate and the rubber of the shaft enclosure, the connecting rod is supported by a guide ring; And 상기 연결봉의 끝단에 연결되고 블록에 연결된 제 2 링크가 힌지 연결되는 제 1 링크와 연결되는 조작 손잡이;An operation handle connected to the first link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and connected to the block by a second link hinged;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입력수단은 상기 장치바디부의 일측으로 직물 시료간의 마찰위치의 직상부에 배치된 고정대에 정착되는 바아형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되고, 상기 마이크로폰인 소음 입력수단은 소음 입력부를 통하여 장치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The noise input mean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ise input means comprises a bar-type microphone which is fixed to a side of the apparatus body, which is fixed to a stator arranged at a position directly above the friction position between the fabric samples. Fabric friction sound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vice control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바디부의 일측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무한궤도로 이동토록 설치되면서, 상기 이동수단의 이동대의 일측에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가 체결되는 풀리에 연결되어 이동대에 의한 직물시료의 이동속도를 감지토록 장치바디부상에 제공된 인코더를 포함하는 속도 감지수단을 구비하고, According to claim 1, It is installed so as to move in an endless tra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device body portion, a wi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oving table of the moving means, and the pulley to which the wire is fastened by a mobile table And a speed sensing means including an encoder provided on the apparatus body to sense the moving speed of the fabric sample, 상기 인코더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장치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마찰음 측정장치.And the encod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vice control unit via a display unit.
KR1020050031110A 2005-04-14 2005-04-14 An Apparatus for Measuring Fabric Noise KR1006710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110A KR100671017B1 (en) 2005-04-14 2005-04-14 An Apparatus for Measuring Fabric No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110A KR100671017B1 (en) 2005-04-14 2005-04-14 An Apparatus for Measuring Fabric Noi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885A true KR20060108885A (en) 2006-10-18
KR100671017B1 KR100671017B1 (en) 2007-01-17

Family

ID=3762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110A KR100671017B1 (en) 2005-04-14 2005-04-14 An Apparatus for Measuring Fabric Noi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01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439B1 (en) * 2008-11-18 2011-02-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simulating frictional sound of fabrics
KR101294612B1 (en) * 2009-08-21 2013-08-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Video clips with exercising images and rustling sound on internet shopping
CN108168689A (en) * 2017-12-04 2018-06-15 西北工业大学 A kind of line contact roll sliding friction vibration noise testing stand and test analysis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1367A (en) 1981-09-03 1984-04-10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Apparatus for determining fabric tension
KR200212605Y1 (en) 2000-08-14 2001-02-15 조길수 A measuring apparatus for fabric noise
KR20020013823A (en) * 2001-11-23 2002-02-21 조길수 A measuring apparatus for fabric noise
KR100539368B1 (en) 2003-12-23 2005-12-28 학교법인연세대학교 Simulator for Rustling Soun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439B1 (en) * 2008-11-18 2011-02-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simulating frictional sound of fabrics
KR101294612B1 (en) * 2009-08-21 2013-08-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Video clips with exercising images and rustling sound on internet shopping
CN108168689A (en) * 2017-12-04 2018-06-15 西北工业大学 A kind of line contact roll sliding friction vibration noise testing stand and test analysis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1017B1 (en)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017B1 (en) An Apparatus for Measuring Fabric Noise
CN109211671B (en) Cloth elasticity testing arrangement
CN201425478Y (en) Instrument for measuring deformation of textile
CN107782881B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comprehensive style of textile based on human body five senses
CN104076133A (en) Wear contact feeling determination device and method
CN117824899A (en) Multi-dimensional intelligent clothing pressure test mannequin device, system and method
CN112255094A (en) Flexible detection test appearance of enameled round wire
KR20020013823A (en) A measuring apparatus for fabric noise
KR200212605Y1 (en) A measuring apparatus for fabric noise
KR101194172B1 (en) Simulator for Frictional Sound of Fabrics
CN109051962A (en) A kind of cloth guillotine
Yosouf et al. Frictional sound analysis by simulating the human arm movement
KR100539368B1 (en) Simulator for Rustling Sound
JP6066600B2 (en) Human body model, clothing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clothing pressure measuring method
Cho et al. Determining the psychoacoustic parameters that affect subjective sensation of fabric sounds at given sound pressures
KR101016439B1 (en) Method for simulating frictional sound of fabrics
GB2389665A (en) Simulating stretch and recovery characteristics of fabrics
KR101294612B1 (en) Video clips with exercising images and rustling sound on internet shopping
Žunič‐Lojen et al. Study of the tensile force of thread in relation to its pre‐tension
CN112515272A (en) Garment processing equipment for detecting tensile strength
US2519551A (en) Textile flexing and abrasion tester
JPH05223710A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softness of clothes
CN107379113B (en) A kind of underwear sponge cutting apparatus
CN213600211U (en) Online vibration monitoring equipment convenient to maintenance
CN112472510A (en) Human shoulder position detection method and system and massage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