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950A - Internet page structure for settlement of environment and guide for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 Google Patents

Internet page structure for settlement of environment and guide for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950A
KR20060107950A KR1020060032870A KR20060032870A KR20060107950A KR 20060107950 A KR20060107950 A KR 20060107950A KR 1020060032870 A KR1020060032870 A KR 1020060032870A KR 20060032870 A KR20060032870 A KR 20060032870A KR 20060107950 A KR20060107950 A KR 20060107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page
setting
wireless internet
p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영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107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9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3/00Steam-generation plants, e.g. comprising steam boilers of different types in mutual association
    • F22B33/14Combinations of low and high pressure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using combustion under pressure substantially exceeding atmospheric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26Automatic feed-control systems
    • F22D5/34Applications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2Gaseous fuel
    • F23K5/005Gaseous fuel from a central source to a plurality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2Gaseous fuel
    • F23K5/007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fuel supplies
    • F23K2900/05002Valves for gaseous fuel supp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환경설정과 팝업 메시지를 일관성 있게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환경설정 및 안내 페이지 구조를 개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and guidance page structure for a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that consistently provides configuration and pop-up messages for the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is disclosed.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서비스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페이지 구조에 있어서, 환경설정을 표기하기 위한 타이틀 영역; 설정항목에 따라 세부 타이틀을 표기하기 위한 항목 타이틀 영역; 하나의 페이지에서 여러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폼(Form) 방식으로 구성되는 설정옵션 영역; 및 사용자의 항목 설정 확인을 위해 단말기의 키패드와 매핑시켜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과의 연계를 이루는 소프트키 영역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figuration page structure for setting a service environment of a wireless Internet terminal, comprising: a title area for indicating environment settings; An item title area for displaying a detailed title according to a setting item; A setting option area configured in a form manner in which several items can be set in one page; And a softkey area that maps to the keypad of the terminal to confirm the user's item setting and forms a connection with the user's physical oper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확인 팝업, 알림 팝업에 대한 일관된 페이지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온라인 컨텐츠를 접하면서 상태를 쉽게 인지하며 가능한 여러 행위들을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의도하는 행위와 결과, 조작과 그 효과, 시스템 상태가 시각적으로 나타날 수 있어 서비스 이용의 오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sistent page structure for confirmation pop-ups and notification pop-up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tate while acquiring the online content and grasp the various possible actions, and the actions, results, operations and the intended actions of the user. Effectively, the system status can be shown visually, which prevents errors in service use.

무선, 인터넷, 페이지, 환경설정, 팝업, 확인, 알림 Wireless, internet, page, preferences, popup, confirmation, notification

Description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환경설정 및 안내 페이지 구조{INTERNET PAGE STRUCTURE FOR SETTLEMENT OF ENVIRONMENT AND GUIDE FOR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INTERNET PAGE STRUCTURE FOR SETTLEMENT OF ENVIRONMENT AND GUIDE FOR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경설정 페이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nvironment setting p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설정 변경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2A illustrates a configuration change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세부목록 확인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list checking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사운드 설정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2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ound setting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이미지 설정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2D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etting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확인 팝업 페이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3A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rmation pop-up p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 3c는 도 3a의 메시지 작성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3B and 3C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message creation in FIG. 3A as an example.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알림 팝업 페이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Figure 4a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otification pop-up p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 4c는 도 3a의 메시지 작성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4B and 4C illustrate the message creation of FIG. 3A as an example.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drawings>

101 : 타이틀 영역 103 : 항목 타이틀 영역101: Title area 103: Item title area

105 : 설정 옵션 영역 107, 307, 407 : 소프트키 영역105: setting option area 107, 307, 407: softkey area

301, 401 : 팝업 타이틀 영역 303, 403 : 메시지 영역301, 401: popup title area 303, 403: message area

305, 405 : 선택 버튼 영역305, 405: selection button area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각종 컨텐츠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환경을 제어하고, 사용자 과업에 대한 수행안내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환경설정 및 안내 페이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and more particularly, to set up an environment for a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that can control a usage environment so that applications for various contents can be conveniently used, and provide a performance guide for a user task. And a guide page structure.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적용하여 사용자가 이동중에도 상대방과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진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본적인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의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옵션 기능을 구비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pplied to allow a user to perform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while moving is provided with various op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basic voic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to meet the needs of the terminal user. That's the trend.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옵션기능에 있어서는 착신벨 음을 단화음에서 16폴리 화음 또는 40폴리 화음이 발생 가능하도록 업그레이드 시키도록 하고, 단말기의 표시화면을 컬러액정 화면으로 구현함에 의해 컬러화면으로 구성되는 이미지 스크린이나 동영상 스크린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단말기의 발신자에게 들려주는 단순한 링백톤의 통화 대기음을 개선하여 특정 광고음 또는 음악과 같은 음원을 발신자에게 전달해 주는 컬러링 서비스가 구현되어 있다.In the optional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ncoming ring tone is upgraded to generate 16 polyphony or 40 polyphony from the single tone, and the image composed of the color screen is realized by implementing the display screen of the terminal as a color liquid crystal screen. In addition to enabling the display of a screen or a video screen, a coloring service that delivers a sound such as a specific advertisement sound or music to the caller by improving a simple ringback tone call waiting sound to the caller of the terminal is implemented.

또한, 현재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인터넷 통신망과 연계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데이터의 전송 서비스가 이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는 이동통 신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통신망 상의 미디어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고서 다양한 종류의 착신벨 음을 선택적으로 다운로드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초기화면으로서 사용할 이미지 스크린이나 동영상 스크린을 선택적으로 다운로드받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무선 통신망에 대해 링백톤의 컬러링 음원을 설정하여 상대방 발신측에 대한 통화 대기중의 음원 송출 서비스가 수행 가능하도록 되어있다.In addition, in the curre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various multimedia information data transmission services are available in connection with a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connected to a media content server on a wireless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arious kinds of incoming calls are received. Not only can you download and use the sound selectively, but also selectively download and display the image screen or video screen to be used as the initial screen of the terminal, and set the ringing tone coloring sound source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send the other party. The sound source transmission service which is waiting for a call to the side can be perform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옵션기능에 있어서는 착신벨 음 설정서비스와 화면 스크린 설정 서비스, 컬러링 음원 설정 서비스 등이 사용자의 개인적인 취향에 관계없이 서비스 제공업체 별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접근성이 용이하지 않아 모바일 컨텐츠의 상품성 및 선호도가 반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various optional functions performed in such a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ring tone setting service, the screen screen setting service, the coloring sound source setting service, etc. are configured for each service provider regardless of the user's personal preference, and thus the user's accessibility Since this is not eas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rchandise and preference of the mobile content may be halved.

이에, 최근에는 예컨대 특정 가수나 영화배우 등과 같은 연예인이나, 영화나 방송 드라마와 같은 영상미디어 컨텐츠 등의 대중적 관심도 및 수익성이 높은 문화상품을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종류의 미디어 컨텐츠를 개발하고, 그러한 전체적인 미디어 컨텐츠를 해당 문화상품을 주제로 하는 패키지 단위로 일관적인 포멧을 통해 판매하도록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various types of media contents have been developed to target popular interests and profitable cultural products such as entertainers such as specific singers and movie actors, and visual media contents such as movies and broadcast dramas. The contents are required to be sold in a consistent format in the unit of a package related to the cultural product.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온라인 컨텐츠를 접하면서 상태를 쉽게 인지하며 가능한 여러 행위 들을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의도하는 행위와 결과, 조작과 그 효과, 시스템 상태가 시각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환경설정 및 안내 페이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recognize a state while acquiring a user's online content, and to grasp various possible actions, and to perform an action and a result intended by the user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figuration and guide page structure for a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in which the system status can be visually show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라인 서비스의 구조와 표현 등을 단순화하여 사용자가 사용시에 요구되는 노력이 최소화될 수 있고, 불필요한 요소를 생략하여 화면 구성을 간결하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환경설정 및 안내 페이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structure and expression of the online service, the effort required by the user can be minimized, and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screen by eliminating unnecessary elements to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of operation. It provides a configuration and guide page structure for a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한 조작에 대하여 일관된 방향 및 간단하고 쉬운 조작 단계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온라인을 사용할 때 효과적으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온라인에 쉽게 익숙해질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환경설정 및 안내 페이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It is 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sistent direction and simple and easy operation steps for the same operation so that the user can effectively learn information when using the onlin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become familiar with the online. It provides a configuration and guide page structure for the interfa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환경설정 페이지 구조는,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서비스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페이지 구조에 있어서, 환경설정을 표기하기 위한 타이틀 영역; 설정항목에 따라 세부 타이틀을 표기하기 위한 항목 타이틀 영역; 하나의 페이지에서 여러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폼(Form) 방식으로 구성되는 설정옵션 영역; 및 사용자의 항목 설정 확인을 위해 단말기의 키패드와 매핑시켜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과의 연계를 이루는 소프트키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figuration page structure for a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in the configuration page structure for setting a service environment of a wireless Internet terminal, a title area for indicating the environment settings ; An item title area for displaying a detailed title according to a setting item; A setting option area configured in a form manner in which several items can be set in one page; And a softkey region that maps to the keypad of the terminal to confirm the user's item setting and forms an association with the physical manipulation of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팝업 페이지 구조는,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서비스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팝업 페이지 구조에 있어서, 팝업 페이지임을 인지시키기 위한 팝업 타이틀 영역; 팝업 아이콘과 텍스트 메시지로 구성되는 메시지 영역; 선택 과업에 대한 실행 또는 실행 취소에 대한 확인을 인지시키기 위한 선택 버튼 영역; 및 사용자로부터 팝업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단말기의 키패드와 매핑시켜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과의 연계를 이루기 위한 소프트키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p-up page structure for a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p-up page structure for setting the service environment of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a pop-up title area for recognizing that it is a pop-up page; A message area consisting of a popup icon and a text message; A selection button area for acknowledging confirmation of execution or undo of the selection task; And a softkey region for mapping with the keypad of the terminal to check the pop-up state from the user and making a connection with the physical manipulation of the us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환경설정은 애플리케이션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의 사용환경을 제어하는 기능이다. 환경설정 기능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메인 페이지 또는 왼쪽 소프트키 메뉴에서 환경설정에 접근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러한 환경설정을 위한 과업을 진행하던 중 과업의 성격상 복귀가 어렵거나, 변화가 큰 경우 사용자가 내린 명령을 다시 상기시키기 위한 확인 팝업을 제시할 수 있는 안내 페이지를 제공한다.First of all, environment setting is a function to control various usage environments so that an application can be used conveniently. Applications with configuration features will provide a menu to access the configuration from the main page or left softkey menu.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uide page that can present a confirmation pop-up for reminding the command issued by the user when the task is difficult to return or the change is large due to the nature of the task during the task for setting the environment.

도 1은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서비스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페이지 구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설정을 표기하기 위한 타이틀 영역(101), 설정항목에 따라 세부 타이틀을 표기하기 위한 항목 타이틀 영역(103), 하나의 페이지에서 여러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폼(Form) 방식으로 구성되는 설정옵션 영역(105), 단말 기의 키패드와 매핑시켜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과의 연계를 이루기 위한 소프트키 영역(107)으로 구성된다.1 is a page structure for setting a service environment of a wireless Internet terminal. As shown, the title area 101 for indicating the environment setting, the item title area 103 for displaying the detailed title according to the setting item, and the form method for setting multiple items in one page The configuration option area 105 is configured, and the softkey area 107 for mapping with the keypad of the terminal device to make a connection with the user's physical operation.

상기 설정옵션 영역(105)은 설정항목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위젯을 선택하며, 여러 개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항목에 대해서는 스핀컨트롤을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 setting option area 105 selects an appropriate widge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tting item, and spin control may be preferentially used for an item for selecting one of several items.

이와 같이 구성된 환경 설정 페이지는 설정된 환경설정 각 항목의 옵션을 사용자가 사용자 용이하도록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도 2a는 설정변경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① 과정에서 애플리케이션 메인 페이지 마지막 메뉴 또는 왼쪽 소프트키 마지막 세부 메뉴로 제공되는 '환경설정'을 선택한다. 그러면, ② 과정에서 환경설정 페이지로 진입하여, 단말기의 상하 방향키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옵션(105)에서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항목에 포커스를 이동한다. 이때, 스핀 컨트롤 위젯으로 제공되는 옵션은 좌우키를 이용하여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③ 과정에서 원하는 옵션을 선택한 후 소프트키 영역(107)의 '확인'과 대응하는 단말기의 확인(OK) 키를 선택해 설정을 완료한다. ④ 과정에서 환경설정 옵션변경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팝업 창이 뜨고 1초 후 사라진다. 그리고, 환경설정을 선택한 이전 페이지로 복귀한다.The configuration pag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or changing the option of each item of the configuration setting to be easy for the user, and FIG. 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tting change procedure. First, select 'Preferences' provided in the last menu of the application main page or the last submenu of the left softkey in step ①. Then, the procedure ② enters the environment setting page, the focus is moved to the item to change the setting in the setting option 105 by using the up and down arrow keys of the terminal. At this time, the options provided to the spin control widget can be selected using the left and right keys. ③ After selecting the desired option in the process, select the OK key of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OK' in the softkey area 107 to complete the setting. ④ In the process, pop-up window notifying that the configuration setting change is completed appears and disappears after 1 second. Then, it returns to the previous page where the environment setting was selected.

도 2b는 세부목록 확인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는 변경하고자 하는 설정 항목의 모든 옵션을 한번에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옵션 목록을 볼 수 있는 기능으로 각 옵션 항목에 포커스가 놓여있을 경우 왼쪽 소프트키로 목록을 선택하여 확인하게 된다.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list checking procedure. This is a function that allows you to see the list of options so that you can check and select all the options of the setting item you want to change at once. When the focus is on each option item, the list is checked by using the left softkey.

도시된 바와 같이, ① 과정에서 상기 설정옵션 영역(105)으로 사용자는 각 항목의 옵션을 한번에 확인하고 선택하기 위해서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항목에 포커스를 위치하고 오른쪽 소프트 키를 선택한다. ② 과정에서 선택 항목에서 변경할 수 있는 옵션 목록을 확인한다. ③ 과정에서 단말기의 상하 키로 원하는 옵션에 포커스를 이동하여 확인(OK) 키로 선택한다. ④ 과정에서 이전 페이지로 복귀하면 단말기의 좌우키로 선택하는 것과 동일한 설정 변경이 된다.As shown in Fig. 1, in the step 1, the user places the focus on the item whose setting is to be changed and selects the right soft key to confirm and select the option of each item at once. ② Check the list of options that can be changed in the selection item. ③ In the process, move the focus to the desired option with the up and down keys of the terminal and select with the OK key. ④ If you return to the previous page in the process, the setting change is the same as selecting with the left and right keys of the terminal.

그러나, 설정 목록이 하나인 경우 스핀 컨트롤로 설정하는 페이지는 생략하고, 세부설정목록 확인 페이지에서 확인(OK)키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However, if there is only one setting list, the page to be set by the spin control can be omitted and configured to be set by the OK key in the detailed setting list confirmation page.

도 2c는 사운드설정 절차를 도시한다. 사운드 설정은 세부목록 확인 페이지로 사운드 옵션인 경우 전체 목록을 확인하고 직접 사운드를 들어볼 수 있도록 재생/정지 기능이 제공한다. 이를 위해, ① 과정에서 상기 설정옵션 영역(105)을 이용하여 각 항목의 옵션을 한번에 확인하고 선택하기 위해서 설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항목에 포커스를 위치하고 오른쪽 소프트 키를 선택한다.2C shows a sound setting procedure. The sound setting is a detailed list confirmation page, and if it is a sound option, the play / stop function is provided to check the entire list and directly listen to the sound. To do this, in step ①, the focus is placed on the item whose setting is to be changed and the right soft key is selected to check and select the option of each item at once using the setting option area 105.

그리고, ② 과정에서 사용자는 선택 항목에서 변경할 수 있는 옵션 목록을 확인한다. ③ 과정에서 단말기의 상하 키로 원하는 옵션에 포커스를 이동한다. 사운드를 들고자 할 경우 오른쪽 소프트 키로 재생시킨다. ④ 과정에서 옵션이 재생중일 경우 오른쪽 소프트키를 다시 선택하면 재생이 중시된다. 그리고, 원하는 옵션은 OK키로 선택한다. ⑤ 과정에서 이전 페이지로 복귀하면 좌우키로 선택하는 것과 동일한 설정 변경이 된다. 그러나, 사운드설정만 단독으로 포함되는 경우 스핀 컨트롤로 설정하는 페이지는 생략하고, 사운드설정 페이지에서 확인(OK) 키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step ②, the user checks the list of options that can be changed in the selection item. ③ In the process, use the up and down keys on the terminal to move the focus to the desired option. If you want to pick up the sound, play it with the right soft key. ④ If the option is playing during the process, select the right softkey again to resume playback. Then select the desired option with the OK key. ⑤ If you return to the previous page in the process, the setting change is the same as selecting with the left and right keys. However, when only the sound setting is included alone, the page set by the spin control may be omitted and configured to be set by the OK key on the sound setting page.

도 2d 이미지설정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세부목록 확인 페이지로 이미지 옵션인 경우 전체목록 대신 이미지를 하나씩 보면서 확인할 수 있도록 보기 페이지로 구성되며 좌우키로 옵션을 변경하면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Fig. 2D shows an image setting procedure. This is a detailed list confirmation page. In the case of an image option, it is composed of a viewing page so that you can check the images one by one instead of the entire list.

도시된 바와 같이, ① 과정에서 사용자는 이미지 변경 항목에 포커스를 이동하고 오른쪽 소프트키를 선택한다. ② 과정에서 현재 선택되어 있는 이미지부터 보여지며 좌우키를 이용하여 다음 이미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③ 과정에서 변경할 이미지가 선택되면 확인(OK) 키로 선택한다. ④ 과정에서 이전 페이지로 복귀하면 좌우키로 선택하는 것과 동일한 설정 변경이 된다. 여기서, 이미지 설정만 단독으로 포함되는 경우 스핀 컨트롤로 설정하는 페이지는 생략하고, 이미지 보기에서 확인(OK) 키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step ① the user moves the focus to the image change item and selects the right softkey. ② In the process, the currently selected image is shown. Check the next image using the left and right keys. Then, when the image to be changed is selected in the process, select with the OK key. ④ If you return to the previous page in the process, the setting change is the same as selecting with the left and right keys. Here, when only the image setting is included alone, the page set by the spin control may be omitted and configured to be set as an OK key in the image view.

한편, 도 3a는 확인 팝업을 제시하기 위한 페이지 구조이다. 확인 팝업은 사용자의 과업 수행에 대한 안내를 필요로 하는 경우, 또는 서비스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결과 또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메시지이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과업을 진행하는 중 과업의 성격상 복귀가 어렵거나 변화가 큰 경우 사용자가 내린 명령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고 확인을 받기 위한 페이지 구조이다.3A is a page structure for presenting a confirmation popup. The confirmation pop-up is a message that informs the user when the user needs to perform a task or the result or situation of an event occurred in the service. That is, it is a page structure for reminding the user's command once again and receiving confirmation when the task is difficult to return or the change is large due to the nature of the task during the task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먼저, 상기 확인 팝업을 위한 페이지 구조는 확인 팝업 페이지임을 인지시키기 위한 팝업 타이틀 영역(301), 확인 팝업에는 확인 팝업 아이콘과 텍스트 메시지로 구성되는 메시지 영역(303), 선택 과업에 대한 실행 또는 실행 취소에 대한 확 인을 인지시키기 위한 선택 버튼 영역(305), 단말기의 키패드와 매핑시켜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과의 연계를 이루기 위한 소프트키 영역(307)으로 구성된다.First, the page structure for the confirmation popup is a popup title area 301 for recognizing that it is a confirmation popup page, a confirmation popup includes a message area 303 including a confirmation popup icon and a text message, and execution or undo for a selected task. The selection button area 305 for recognizing the confirmation of the, and the soft key area 307 for mapping with the keypad of the terminal to make a connection with the user's physical operation.

상기 팝업 타이틀 영역(301)에는 확인 팝업 페이지임을 알리기 위한 '확인' 메시지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영역(303)은 아이콘이 전체 애플리케이션 용량에 부담이 되는 브이엠(VM) 등에서는 아이콘을 생략할 수 있으며, 메시지는 이전 과업에 따라 작성될 수 있다.The popup title area 301 is provided with a 'confirmation' message for notifying that it is a confirmation popup page. In addition, the message area 303 may omit the icon from the VM (VM) in which the icon burdens the overall application capacity, and the message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vious task.

도 3b는 도 3a의 메시지 영역(303)으로 제공되는 메시지 작성에 대한 예를 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선택 버튼(305)는 버튼 형태로 왼쪽에 '확인' 오른쪽에 '취소'를 배치하며, 포커스는 기본적으로 확인에 놓이며 예외적으로 취소에 놓일 수 있다. 그러나, 몇 가지 중요 과업의 경우 '확인' 대신 별도 레이블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3c와 같이 상기 소프트키 영역(307)은 버튼 선택과 관련되고, 확인(OK) 키 영역에는 확인으로 표시되도록 함에 따라, 포커스를 이동하여 취소를 선택하거나 단말의 취소/이전 키를 선택하면 진행하던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이전화면으로 복귀한다.FIG. 3B illustrates an example of writing a message provided to the message area 303 of FIG. 3A. Here, the selection button 305 is disposed in the form of a button 'OK' on the left side 'cancellation', the focus is basically placed on the confirmation, and exceptionally can be placed on the cancellation. However, for some important tasks, a separate label may be used instead of 'OK', as shown in FIG. 3C where the softkey area 307 is associated with button selection and is displayed as OK in the OK key area. If the user selects cancel by moving the focus or selects the cancel / previous key of the terminal, the process is stopped and the screen returns to the previous screen.

물론, 포커스가 취소에 먼저 놓이는 경우, 전체삭제, 포맷 등 사용자가 선택한 명령이 많은 양의 데이터의 손실이나 복귀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확인을 선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커스가 취소에 우선하게 될 것이다.Of course, if the focus is on canceling first, and the user-selected command, such as Delete All or Format, is expected to cause a large amount of data loss or a fatal problem that cannot be restored, the user will not be able to habitually select OK. Focus will take precedence over cancellation.

도 4a는 알림 팝업으로 사용되는 페이지 구조이다.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과업을 완료하였을 경우 또는 서비스 내에 변화가 발생하였을 경우, 사용자에게 결과 또는 상태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페이지이다.4A is a page structure used as a notification popup. This page is used to inform the user of the result or status when the task is completed or a change occurs in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페이지 구조는 전술된 확인 팝업 구조와 동일하다. 즉, 알림 팝업 페이지임을 인지시키기 위한 팝업 타이틀 영역(401), 확인 팝업에는 확인 팝업 아이콘과 텍스트 메시지로 구성되는 메시지 영역(403), 선택 과업에 대한 실행 또는 실행 취소에 대한 확인을 인지시키기 위한 선택 버튼 영역(405), 단말기의 키패드와 매핑시켜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과의 연계를 이루기 위한 소프트키 영역(407)으로 구성된다.The page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confirmation popup structure described above. That is, a popup title area 401 for recognizing a notification popup page, a message area 403 including a confirmation popup icon and a text message in a confirmation popup, and a selection for recognizing confirmation of execution or undo of a selection task. A button area 405 and a soft key area 407 for mapping with the keypad of the terminal to be linked to the user's physical operation.

상기 팝업 타이틀 영역(401)은 알림 팝업을 통지하기 위한 '알림' 메시지가 제공되며, 상기 메시지 영역(403)은 아이콘이 전체 애플리케이션 용량에 부담이 되는 브이엠(VM) 등에서는 아이콘을 생략할 수 있으며, 메시지는 이전 과업에 따라 작성될 수 있다.The pop-up title area 401 is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message for notifying a notification pop-up, and the message area 403 may omit an icon in a VM or the like where the icon is a burden on the overall application capacity. The message can be written according to the previous task.

또한, 상기 선택 버튼 영역(405)는 사용자가 과업 결과를 직접확인 할 수 없어 자동으로 이동할 페이지가 없는 과업 예컨대, 다운로드, 전송 등은 사용자 확인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팝업에 확인 버튼이 있고 사용자가 확인(OK) 키를 선택해야만 다음으로 진행된다.In addition, the selection button area 405 has a confirmation button on the pop-up and the user confirms a task without a page for automatically moving because the user cannot directly check the task result. Only after selecting the (OK) key does it proceed.

도 4b는 알림 팝업에 대한 메시지 영역(403)의 작성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삭제 완료, 수정 완료, 등록 완료 및 이동 완료 등의 메시지를 나타낸다. 또한, 도 4c는 상기 선택 버튼 영역(405)의 사용 예를 도시하며, 전송 완료 알림 및 다운로드 완료 알림에 대한 확인 요청을 지시하고 있다.4B shows an example of creating a message area 403 for the notification pop-up, and shows messages such as deletion completion, modification completion, registration completion, and movement completion. In addition, FIG. 4C illustrates an example of using the selection button area 405 and indicates a request for confirmation of a transmission completion notification and a download completion notification.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환경설정 및 안내 페이지 구조는 환경설정을 포함하여, 확인 팝업, 알림 팝업에 대한 일관된 페이지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온라인 컨텐츠를 접하면서 상태를 쉽게 인지하며 가능한 여러 행위들을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의도하는 행위와 결과, 조작과 그 효과, 시스템 상태가 시각적으로 나타날 수 있어 서비스 이용의 오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guide page structure for the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sistent page structure for confirmation pop-ups and notification pop-ups, including preferences, thereby allowing users to access online conten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tate and grasp various actions as possible, and the user's intended actions and results, operation and effects, and the system state can be visually displayed, thereby preventing errors in service use.

또한, 온라인 서비스의 구조와 표현 등을 단순화하여 사용자가 사용시에 요구되는 노력이 최소화될 수 있고, 불필요한 요소를 생략하여 화면 구성을 간결하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expression of the online service, the effort required by the user can be minimized, and the screen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by omitting unnecessary elements,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yone hav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Claims (6)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서비스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페이지 구조에 있어서,In the configuration page structure for setting the service environment of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환경설정을 표기하기 위한 타이틀 영역;A title area for indicating preferences; 설정항목에 따라 세부 타이틀을 표기하기 위한 항목 타이틀 영역;An item title area for displaying a detailed title according to a setting item; 하나의 페이지에서 여러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폼(Form) 방식으로 구성되는 설정옵션 영역; 및A setting option area configured in a form manner in which several items can be set in one page; And 사용자의 항목 설정 확인을 위해 단말기의 키패드와 매핑시켜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과의 연계를 이루는 소프트키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환경설정 페이지 구조.Configuration page structure for a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oftkey area that maps to the keypad of the terminal to confirm the user's item setting and is linked to the user's physical ope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옵션 영역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tting option area, 설정항목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위젯을 선택하며, 여러 개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항목에 대해서는 스핀컨트롤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환경설정 페이지 구조.Configuration page structure for the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ropriate widget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tting item, and spin control is preferentially used for the item that needs to be selected among several items.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서비스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팝업 페이지 구조에 있어서,In the pop-up page structure for setting the service environment of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팝업 페이지임을 인지시키기 위한 팝업 타이틀 영역;A popup title area for recognizing a popup page; 팝업 아이콘과 텍스트 메시지로 구성되는 메시지 영역;A message area consisting of a popup icon and a text message; 선택 과업에 대한 실행 또는 실행 취소에 대한 확인을 인지시키기 위한 선택 버튼 영역; 및A selection button area for acknowledging confirmation of execution or undo of the selection task; And 사용자로부터 팝업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단말기의 키패드와 매핑시켜 사용자의 물리적인 조작과의 연계를 이루기 위한 소프트키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팝업 페이지 구조.A pop-up page structure for a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with a soft key area for mapping with the keypad of the terminal to check the pop-up state from the user to form a connection with the user's physical operation.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팝업 타이틀 영역으로 확인 팝업 페이지임을 알리기 위한 '확인' 메시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팝업 페이지 구조.A popup page structure for a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a 'confirmation' message is provided to inform the popup title area that the confirmation popup page is a confirmation popup pag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팝업 타이틀 영역으로 알림 팝업 페이지임을 알리기 위한 '알림' 메시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팝업 페이지 구조.A pop-up page structure for a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a 'notification' message is provided to notify the pop-up title area that the notification is a pop-up page.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상기 메시지 영역은 아이콘이 전체 애플리케이션 용량에 부담이 되는 브이엠(VM) 등에서는 아이콘을 생략할 수 있으며, 메시지는 이전 과업에 따라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팝업 페이지 구조.The message area may omit an icon in a VM (VM), etc., in which an icon is a burden on the overall application capacity, and a message is written according to a previous task.
KR1020060032870A 2005-04-11 2006-04-11 Internet page structure for settlement of environment and guide for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KR2006010795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763 2005-04-11
KR20050029763 2005-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950A true KR20060107950A (en) 2006-10-16

Family

ID=37627861

Famil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857A KR100829381B1 (en) 2005-04-11 2006-04-11 Container for wireless internet ui
KR1020060032861A KR100846298B1 (en) 2005-04-11 2006-04-11 Device for providing template structure for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KR1020060032874A KR100837525B1 (en) 2005-04-11 2006-04-11 Advance purchase interfacing method by means of connecting wap
KR1020060032862A KR100660290B1 (en) 2005-04-11 2006-04-11 Menu navigation method for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KR1020060032865A KR100744414B1 (en) 2005-04-11 2006-04-11 Terminal having structure for contents delivery/management page for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KR1020060032868A KR101179477B1 (en) 2005-04-11 2006-04-11 Gui of requesting information announcing sms service for mobile terminal and method
KR1020060032867A KR20060107948A (en) 2005-04-11 2006-04-11 Providing method of member joining menu for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KR1020060032871A KR100784093B1 (en) 2005-04-11 2006-04-11 Wireless internet terminal of information menu architecture of online documents for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KR1020060032873A KR100782777B1 (en) 2005-04-11 2006-04-11 Mobile terminal having structure of searching container for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using the container
KR1020060032870A KR20060107950A (en) 2005-04-11 2006-04-11 Internet page structure for settlement of environment and guide for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857A KR100829381B1 (en) 2005-04-11 2006-04-11 Container for wireless internet ui
KR1020060032861A KR100846298B1 (en) 2005-04-11 2006-04-11 Device for providing template structure for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KR1020060032874A KR100837525B1 (en) 2005-04-11 2006-04-11 Advance purchase interfacing method by means of connecting wap
KR1020060032862A KR100660290B1 (en) 2005-04-11 2006-04-11 Menu navigation method for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KR1020060032865A KR100744414B1 (en) 2005-04-11 2006-04-11 Terminal having structure for contents delivery/management page for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KR1020060032868A KR101179477B1 (en) 2005-04-11 2006-04-11 Gui of requesting information announcing sms service for mobile terminal and method
KR1020060032867A KR20060107948A (en) 2005-04-11 2006-04-11 Providing method of member joining menu for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KR1020060032871A KR100784093B1 (en) 2005-04-11 2006-04-11 Wireless internet terminal of information menu architecture of online documents for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KR1020060032873A KR100782777B1 (en) 2005-04-11 2006-04-11 Mobile terminal having structure of searching container for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using the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0) KR10082938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16794A (en) * 2008-03-25 2011-04-13 高通股份有限公司 Apparatus and methods for widget-related memory management
US9110685B2 (en) 2008-03-25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widge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US9269059B2 (en) 2008-03-25 2016-02-2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port optimization for widget content delivery
US9600261B2 (en) 2008-03-25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widget update scheduling
US9747141B2 (en) 2008-03-25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widget inter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381B1 (en) 2005-04-11 2008-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ontainer for wireless internet ui
KR101394155B1 (en) 2007-07-24 2014-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state of an apparatus and an apparatus thereof
KR101453295B1 (en) 2007-10-19 2014-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s related items
KR101347253B1 (en) * 2007-10-24 2014-01-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creen Connection Type User Interface using 4 Direction Function Key
US8112404B2 (en) 2008-05-08 2012-02-07 Microsoft Corporation Providing search results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KR100987605B1 (en) * 2008-07-23 2010-10-13 (주)엔텔스 System and Method for On Card Portal Service Based on Smart Card
KR100982870B1 (en) * 2008-08-22 2010-09-16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of Prototyping Mobile User Interface and Mobile User Interface Prototyping Tool and Record Media Recorded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of Prototyping Mobile User Interface
KR101687550B1 (en) * 2010-06-04 2016-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501114B1 (en) * 2010-06-15 2015-03-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evelopment of contents, system for supporting development of contents
KR101692729B1 (en) * 2010-07-14 201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ducing and obtaining message about outside object
KR101708821B1 (en) * 2010-09-30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409317B1 (en) * 2011-12-21 2014-06-20 주식회사 보고지티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yment page
KR101422397B1 (en) * 2013-03-04 2014-07-29 유형주 System for searching a Illust Image Search and mediating a Usufructuary Right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KR102049459B1 (en) 2014-03-26 2019-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screen thereof
CN107390980A (en) * 2016-05-16 2017-11-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menu display method and device
KR102225356B1 (en) 2019-01-04 2021-03-09 울산과학기술원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feedback on design of graphic user interface(gui)
KR102417779B1 (en) * 2020-09-17 2022-07-06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Electronic device that generates knowledge data files for electronic documents based on container forma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3316B1 (en) * 1998-04-08 2001-01-09 Geoworks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markup language based man-machine interface
US6366302B1 (en) 1998-12-22 2002-04-02 Motorola, Inc. Enhanced graphic user interface for mobile radiotelephones
KR20000037350A (en) * 1999-11-23 2000-07-05 정상원 Purchasing system and method of cyber ticket
US6731316B2 (en) * 2000-02-25 2004-05-04 Kargo, Inc. Graphical layout and keypad response to visually depict and implement device functionality for interactivity with a numbered keypad
JP2002041205A (en) 2000-07-21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formation display method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ce(pda)
JP3620716B2 (en) 2000-07-26 2005-02-16 日本電気株式会社 Remote operation system, remote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remote operation program
KR20000063874A (en) 2000-08-08 2000-11-06 정홍선 Mobile Commerce System : MCS
KR20020017020A (en) * 2000-08-28 2002-03-07 박경용 A method for ticket reservation and issue using Internet
KR20010000713A (en) * 2000-10-14 2001-01-05 최무용 method for subscription and application using mobile phone
KR100747441B1 (en) * 2000-12-29 2007-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User interface method for wirelessterminal
KR20020063434A (en) * 2001-01-29 2002-08-03 이상훈 Method for interfacing web user using xml
KR100433366B1 (en) * 2001-05-03 2004-05-28 와이더덴닷컴 주식회사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Wireless Terminals and Method of Generating Menu Pages therein
KR100414785B1 (en) * 2001-06-19 2004-01-1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actuating features using annunciators
US20030040340A1 (en) 2001-08-27 2003-02-27 Smethers Paul A. Graphical user interface features of a browser in a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499676B1 (en) * 2001-09-06 2005-07-07 박경양 Ticket reservation/purchasing system and method using IR and wireless internet
KR100411566B1 (en) * 2001-11-30 2003-12-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moving between menus of wireless Interne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55855A (en) * 2001-12-27 2003-07-04 지유아이디자인 주식회사 Method for GUI of Mobile Phone
KR20030073199A (en) * 2002-03-08 2003-09-19 와이더덴닷컴 주식회사 Method for Generating Personalized Menu in Wireless Internet
KR100475654B1 (en) * 2002-03-15 2005-03-15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User interface method of finance settlement through mobile unit
KR100465779B1 (en) * 2002-07-16 2005-01-13 벨록스소프트(주) Method for display through download multi-theme of user interface of mobile phone
KR20040026556A (en) 2002-09-25 2004-03-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Cellular phone and method for language learning
US7356332B2 (en) 2003-06-09 2008-04-08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information system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mobile devices
KR100780375B1 (en) * 2003-08-01 2007-11-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Idle Scree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0077515A (en) 2003-09-17 2003-10-01 최한길 How to search mobile internet sites through mobile Short Messaging System by way of Callback url from a particular mobile phone number
KR20050073126A (en) 2004-01-08 2005-07-13 와이더댄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web-page in wireless internet
KR100829381B1 (en) 2005-04-11 2008-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ontainer for wireless internet ui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16794A (en) * 2008-03-25 2011-04-13 高通股份有限公司 Apparatus and methods for widget-related memory management
CN102016794B (en) * 2008-03-25 2014-12-24 高通股份有限公司 Apparatus and methods for widget-related memory management
US9069575B2 (en) 2008-03-25 2015-06-3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widget-related memory management
US9110685B2 (en) 2008-03-25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widge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US9269059B2 (en) 2008-03-25 2016-02-2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port optimization for widget content delivery
US9600261B2 (en) 2008-03-25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widget update scheduling
US9747141B2 (en) 2008-03-25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widget inter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US10061500B2 (en) 2008-03-25 2018-08-2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widget-related memory management
US10481927B2 (en) 2008-03-25 2019-11-1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widge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US10558475B2 (en) 2008-03-25 2020-02-1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widget inter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945A (en) 2006-10-16
KR100837525B1 (en) 2008-06-12
KR20060107946A (en) 2006-10-16
KR20060107952A (en) 2006-10-16
KR101179477B1 (en) 2012-09-07
KR20060107951A (en) 2006-10-16
KR20060107944A (en) 2006-10-16
KR100829381B1 (en) 2008-05-13
KR100782777B1 (en) 2007-12-05
KR20060107949A (en) 2006-10-16
KR100846298B1 (en) 2008-07-14
KR100784093B1 (en) 2007-12-10
KR100744414B1 (en) 2007-07-30
KR20060107948A (en) 2006-10-16
KR20060107947A (en) 2006-10-16
KR20060107953A (en) 2006-10-16
KR100660290B1 (en)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07950A (en) Internet page structure for settlement of environment and guide for wireless internet user interface
US11204680B2 (en) Method of dividing screen areas and mobile terminal employing the same
US8174506B2 (en) Method of displaying object and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US8082008B2 (en) User-interface and architecture for portable processing device
US8793615B2 (en) Interactive profile cards for mobile device
JP5129755B2 (en) Command function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92706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s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US8000457B2 (en) Visual answering machine
US8370762B2 (en) Mobile functional icon use in operational area in touch panel devices
US8174496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information input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110159927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rol key interacting with application
EP2047647B1 (en) User-initiated communications during multimedia content playback 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U2013263834A1 (en) Mobile terminal and information hand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50008505A (e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display method, device, terminal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20070129050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isplay shortcut key and method of enabling the same
US81661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rendering of content
TWI410858B (en) Device and method of shortcut key for the status bar on a android mobile apparatus
US8988479B2 (en) Recording video conversations and displaying a list of recorded videos with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KR20050086125A (en) Apparatus for mode conversion and menu control in function modes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