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5855A - Method for GUI of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GUI of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5855A
KR20030055855A KR1020010085973A KR20010085973A KR20030055855A KR 20030055855 A KR20030055855 A KR 20030055855A KR 1020010085973 A KR1020010085973 A KR 1020010085973A KR 20010085973 A KR20010085973 A KR 20010085973A KR 20030055855 A KR20030055855 A KR 20030055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displayed
display window
mobile phon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9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순
최형규
김범식
Original Assignee
지유아이디자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유아이디자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유아이디자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5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5855A/en
Publication of KR20030055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855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PURPOSE: A GUI(Graphic User Interface) method of a cell phone is provided to display various necessary information on an initial screen of a displayer of the cell phone, and to display and maintain a main menu bar o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er even when a user selects certain menus, thereby facilitating movement to other menus. CONSTITUTION: A menu display window enabling direct movement to corresponding menus, a state display window displaying a current state of a cell phone, and an information display window displaying user-set information are divided and displayed on an initial screen displayed in a displayer of the cell phone(S102). If a scroll key is selected to select a main menu and recognized, a user moves to the main menu on the displayer and corresponding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window(S104). If a directional key is selected to move to sub-menus from the main menu, a sub-menu list is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window(S106). If the scroll key is selected to select a sub menu and recognized, the user moves to the sub menu on the displayer, and if a directional key is inputted to select other sub-menus, another sub-menu list is displayed on corresponding information display window(S108). If another sub-menu is selected by using the scroll key, corresponding contents are displayed(S110).

Description

휴대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Method for GUI of Mobile Phone}Graphic User Interface Method of Mobile Phone {Method for GUI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Interface : 이하, "GUI"라 약칭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되는 초기화면의 구성을 사용자가 원하는 유용한 정보를 보다 많이 보여주고, 해당 정보로의 효율적인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의 GUI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phical user interface (hereinafter, abbreviated as "GUI") method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useful information that a user wants to configure the initial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 method of a mobile phone that shows more and enables efficient movement to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외관상 음성 입출력부, 문자, 숫자등을 입력하는 키와 화면 스크롤등의 방향키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을 포함한 키패드와, 사용자가 선택한 키 또는 전화 송수신상태 등 각종 기능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로 크게 구성된다.In general, a mobile phone includes a keypad including a function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a voice input / output unit, a key for inputting letters and numbers, a direction key for scrolling the screen, and various functions such as a key selected by a user or a call transmission / reception state. It is largely comprised of the display part which displays.

이와 같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전원원 온시키면 표시부에 초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초기화면에는 사용자 전화번호, 제조사 또는 사용자 로고 등의 텍스트와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된다.In such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initial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ext and graphics such as a user's telephone number, a manufacturer, or a user's logo are displayed on the initial scree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폰의 GUI방법의 화면 표시도로서, 초기화면에는 그 상단에 휴대폰의 기기상태를 표시하는 전파수신세기, 통화중/통화불가 표시, 알람표시, 진동표시, 메시지 수신상태, 배터리 잔량표시 등의 기기 정보를 표시하고, 나머지 화면에는 날짜, 시간, 로고 등을 표시한다.(S11)1 is a screen display diagram of a GUI method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initial screen on the top of the radio wave strength indicating the device status of the mobile phone, busy / non-call display, alarm display, vibration display, message reception state Displays device information such as battery level display, and displays the date, time, logo, etc. on the remaining screens (S11).

만약, 사용자가 휴대폰의 키패드의 좌,우,상,하 방향키와 선택키를 이용하여 설정된 메뉴키 중 '내 휴대폰'을 선택하면, 표시부에 설정 가능한 다양한 서브메뉴 리스트(1:시작메뉴등록, 2:메뉴화면설정, 3:자기이름입력, 4:문자슬라이드, ‥‥)가 디스플레이 된다.(S12)If the user selects 'My Mobile Phone' among the menu keys set by using the left, right, up, down arrow keys and the selection keys of the keypad of the mobile phone, various sub-menu lists that can be set on the display unit (1: Start menu registration, 2 : Menu screen setting, 3: Enter name, 4: Character slide, ...) (S12)

사용자는 키패드의 상하 방향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메뉴로 이동한 후 선택키를 이용하여 해당 메뉴를 선택한다.(S13) 만약, 사용자가 '2:메뉴화면 설정' 모드를 선택하면 메뉴화면 설정에 대한 화면(1:주메뉴화면설정, 2:메뉴아이콘변경, 3:메뉴순서바꾸기, 4:팝업창모양, ‥‥)이 디스플레이 된다.(S14)The user moves to a desired menu using the up and down arrow keys of the keypad and selects the corresponding menu using the select key. (S13) If the user selects '2: Menu screen setting' mode, the screen for the menu screen setting is selected. (1: Main menu screen setting, 2: Menu icon change, 3: Menu order change, 4: Pop-up window shape, ...) (S14)

사용자가 다시 '메뉴화면 설정' 화면에서 '1:주메뉴화면설정'모드를 선택 후 주메뉴 화면설정을 마치면 설정결과 화면을 팝업(POP-UP)창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선택을 확인하도록 한다.(S15)When the user selects '1: Main Menu Screen Setting' mode again from the 'Menu Screen Setting' screen and finishes the main menu screen setting, the setting result screen is displayed as a pop-up window to prompt the user to confirm the selection. (S15)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휴대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선택메뉴를 확인 선택하므로, 자신이 설정하고자 하는 휴대폰의 다양한 기능 등을 선택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Through this process, the user checks and selects the selection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phone, and thus the user can select and set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phone to be set.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의 GUI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각 메뉴로 이동하기 위하여 각 메뉴에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전체화면에 선택된 메뉴가 디스플레이 되어 다른 메뉴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취소버튼 또는 방향키를 눌러 이전 메뉴로 이동한 후 해당 메뉴로 이동해야 하는 번잡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GUI method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menu from each menu to move to each desired menu, the selected menu is displayed on the full screen, and the cancel button or the direction key is pressed to move to another menu. After moving to a menu, there was a complicated problem of moving to a menu.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휴대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초기화면에 사용자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소정의 메뉴를 선택해도 메인메뉴 바는 표시부의 일정영역에 유지시켜 디스플레이시킴으로 다른 메뉴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휴대폰의 GUI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urpose of which is to display a variety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on the initial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phone, and even if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menu the main menu b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UI method of a mobile phone, which is easily maintained by moving to another menu by maintaining the display unit in a predetermined area.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과정의 흐름도이고,1 is a flowchart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process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휴대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고,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obile phone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서 키입력부 중 메뉴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키의 표시도이고,3 is a view showing a function key for controlling a menu of a key input unit in FIG.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초기화면의 실시예를 보인 도이고,Figure 4a, 4b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itial screen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과정의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process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20 : 제어부26 : 키입력부20: control unit 26: key input unit

28 : 표시부30 : 메모리부28 display unit 30 memory unit

110 : 상태표시창120 : 메인메뉴창110: status display window 120: main menu window

130, 131 : 정보표시창130, 131: information display window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과정은 휴대폰의 구비된 소정의 키를 사용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를 확인한 후 해당 메뉴로의 이동 및 각종 기능을 설정하는 휴대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초기화면에 해당 메뉴로 직접 이동가능한 메뉴표시창, 휴대폰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창과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창으로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휴대폰의 메인메뉴 선택을 위한 스크롤키가 선택될 경우 이를 인식하여 상기 표시부의 선택된 메인메뉴로 이동한 후 해당 컨텐츠를 정보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선택된 메인메뉴에서 서브메뉴 이동을 위한 방향키가 선택됨에 따라 정보표시창에 해당 서브 메뉴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서브메뉴 선택을 위한 스크롤키가 선택될 경우 이를 인식하여 상기 표시부에 선택된 서브메뉴로 이동한 후 다른 서브메뉴 선택을 위한 방향키가 입력되면 해당 정보표시창에 상기 다른 서브메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다른 서브메뉴 리스트에서 스크롤키를 이용하여 해당 다른 서브메뉴가 선택된 경우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5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Graphical user interface process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using a predetermined key of the mobile phone of the mobile phone to move to the menu and set various functions I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method, a menu display window for directly moving to a corresponding menu on the initial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phone, a status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and an information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information set by the user A first process of separating and displaying a second process, a second process of recognizing when a scroll key for selecting a main menu of the mobile phone is selected, moving to a selected main menu of the display unit, and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on an information display window; For submenu movement in the selected main menu A third step of displaying a corresponding sub-menu list on the information display window as the directional key is selected; and recognizing the scroll key for selecting the sub-menu, moving to the sub-menu selected on the display unit, and selecting another sub-menu And a fourth process of displaying the other submenu list on a corresponding information display window when a direction key is input, and a fifth process of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when the corresponding submenu is selected by using a scroll key in the other submenu list. Characterized in that made.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휴대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제어부(20)는 휴대폰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무선부(22)는 제어부(20)의 제어하에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음성처리부(24)는 제어부(20)의 제어하에 무선부(22)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해 겅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무선부(22)로 출력한다. 키 입력부(26)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20)로 출력한다. 표시부(28)는 제어부(20)의 제어 하에 각종 메시지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메모리부(30)는 휴대폰 동작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제어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도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obile phone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0 performs the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The wireless unit 22 control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data and control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 and the voice processing unit 24 controls the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unit 2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 SPK is converted into sound and output, and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MIC is converted into data and output to the wireless unit 22. The key input unit 26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and outputs key input data corresponding to a key pressed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20. The display unit 28 displays various messages and the lik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 The memory unit 30 includes a program memory for storing program data necessary for controlling mobile phone operation, and a data memory for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control or during execution by a user.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은 휴대폰의 사용자가 본체에 구비된 소수의 방향키 및 확인키만을 가지고, 표시부의 초기화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게 초기정보와 메인메뉴를 함께 제공할 수 있게 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of the mobile phone has only a few direction keys and the confirmation key provided in the main body, so that the user can move directly to the desired information on the initial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provide the user with initial information and the main menu together. Will be.

도 3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도 2에서 키입력부 중 메뉴를 컨트롤하는 기능키 표시도이다. 여기서, 각 방향키(▲,▼,◀,▶) 및 확인키(OK)를 이용하여 하위 메뉴로의 스크롤 업/다운 및 메뉴화면 이동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function key for controlling a menu among key input units in FIG. 2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Here, each direction key (▲, ▼, ◀, ▶) and OK key (OK) are used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scrolling up / down to the lower menu and moving the menu screen.

도 4a,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초기화면 구성도로서, 도 4a는 표시부(28)에 설정된 주요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초기화면으로서, 상태표시창(110)에 휴대폰의 상태를 다양한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메인메뉴창(120)에는 다양한 메뉴를 각 이미지 패턴을 갖는 아이콘으로 표시한다.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initial screen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A is an initial screen on which main information set on the display unit 28 is displayed. The main menu window 120 displays various menus as icons with respective image patterns.

정보표시창(130)은 상단에 날짜, 시간, 제조업체명 등의 초기정보를 표시하고, 그 하단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예를 들면, 현재일의 기념일, 약속내용, 기일관리, 날씨, 환율, 주식시세 등 사용자가 가장 자주 확인하는 정보 또는 잊어서는 않될 약속 등의 알림 기능을 제공한다.The information display window 130 displays initial information such as date, time, manufacturer name, etc. at the top, and displays information set by the user at the bottom thereof. For example, it provides a reminder function such as the date of the current day, appointment details, date management, weather, exchange rate, stock quotes, such as information that the user checks most often, or appointments that should not be forgotten.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기화면 표시도로서, 초기화면의 상단에 메인메뉴창(120)을 디스플레이하고, 그 하단에 정보표시창(131)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로고와 현재 날짜, 시간, 제조업체를 표시하고, 그 하단에는 휴대폰 상태 표시창(110)을 디스플레이한다.(S102)4B is a display screen of an initial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menu window 120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initial screen, and the information and display window 131 set by the user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initial screen. Displays the time and manufacturer, and displays the mobile phone status display window 110 at the bottom thereof (S102).

여기서, 날씨나 환율, 주식시세 등의 컨텐츠는 웹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확인키를 누르면 해당 사이트로 바로 링크될 수 있도록 바로가기 기능도 수행하도록 한다.Here, the contents such as the weather, exchange rate, stock quotes, etc. enable the web access, and if you press the OK key, the shortcut function can be directly linked to the corresponding sit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과정의 흐름도로서, 초기화면에서 사용자가 메인메뉴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키입력부(26) 구비된 상,하방향키(▲,▼)를 누르면, 제어부(20)에서 이를 인식하여 표시부(28)의 메인메뉴(120)에서 해당 메뉴 아이콘으로 이동시킨다.5 is a flowchart of a graphic user interface process of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itial screen, when a user presses up and down keys (▲, ▼) provided with a key input unit 26 to select a main menu, The controller 20 recognizes this and moves to the corresponding menu icon in the main menu 120 of the display unit 28.

만약,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메뉴창(120)이 표시부(28)의 상단에 위치해있다면, 좌,우방향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로 이동시킨다.If the main menu window 12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display unit 28 as shown in FIG. 4B, the user moves to a desired menu usi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keys (◀, ▶).

한편, 초기화면에서 메인메뉴 표시화면으로 전환되면, 휴대폰의 상태표시창(110) 대신에 기능안내 문구 및 키 도움말이 표시된다.(S104)On the other hand, when the initial screen is switched to the main menu display screen, the function guide text and key help is displayed instead of the status display window 110 of the mobile phone (S104).

메인메뉴 표시화면에서 사용자가 상,하 방향키(▲,▼)를 이용하여 스크롤하여 소정의 메뉴로 이동한 후 해당 메뉴를 선택하고자, 키입력부(26)의 확인키(OK)를 누르면, 제어부(20)에서 이를 인식하여 해당 메뉴의 서브 메뉴 리스트를 정보표시창(130)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06)In the main menu display screen, when the user scrolls to a predetermined menu by using the up and down arrow keys (▲ and ▼) and selects a corresponding menu, when the user presses the OK key of the key input unit 26, the control unit ( In step 20), the sub menu list of the corresponding menu is recognized and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window 130 (S106).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케줄(Schedule) 메뉴를 선택하였으면, 메인메뉴의 각 아이콘은 그 이미지 패턴을 잃지 않는 범위에서 소정 크기로 축소하여 표시부(28) 공간을 확보하며, 그 우측에는 선택된 스케줄 메뉴의 서브메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1.일정관리, 2.알람, 3.계산기,‥‥' 와 '1.일정관리'의 상세 리스트인 '일정, 일정종류별목록, 프로젝트일정,‥‥'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므로 사용자가 서브메뉴 내용을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if the user selects a schedule menu, each icon of the main menu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size so as not to lose the image pattern to secure the display unit 28, and on the right side of the selected schedule menu Display the submenu list. In other words, it displays '1.Schedule Management, 2.Alarm, 3.Calculator, ....' and '1.Schedule Management' detailed list of 'Schedule, List by Schedule Type, Project Schedule, ....' Make menu contents easier to see.

만약, 사용자가 '1.일정관리' 메뉴에서 '일정'에 대한 상세정보를 얻고자하면, 상,하 방향키(▲,▼)를 이용하여 스크롤한 후 확인키(OK)를 누르면, 제어부(20)에서 이를 검지하여 해당 '일정'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28)에 디스플레이 한다.(S108)If the user wants to obtain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chedule' in the '1.Schedule Management' menu, using the up and down arrow keys (▲, ▼) scrolls and presses the OK key, the controller 20 ) Detects it and displays information on the 'schedule' on the display unit 28. (S108)

한편, 서브메뉴에서 다시 이전 메뉴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키입력부(26)에서 좌측 방향키(◀)를 선택하면, 제어부(20)에서 이를 감지하여 바로 이전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이동한다. 즉, 서브메뉴에서 메인메뉴를 직접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move back to the previous menu in the sub-menu, when the left direction key (◀) is selected in the key input unit 26, the control unit 20 detects this and displays the previous menu screen and moves. That is, the main menu can be directly selected in the sub menu.

'일정'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때는 하단에 표시된 기능 안내문구 및 키 도움말 표시창을 제외한 모든 창에 전체 일정을 디스플레이 하는데, 그 바탕화면은 해당되는 메인메뉴의 아이콘과 동일한 이미지 패턴으로 표시하므로,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정보가 속해있는 메인메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When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Calendar', the entire calendar is displayed in all windows except the function guide and key help display window displayed at the bottom.The desktop is displayed with the same image pattern as the icon of the corresponding main menu. This makes it easy to identify the main menu to which the information being displayed belongs.

소정의 날짜에 일정을 설정할 경우에는 상,하,좌,우 방향키(▲,▼,◀,▶)를 이용하여 해당 일자에 위치시킨 다음 확인키(OK)를 누르면, 해당 날짜에 대한 일정 또는 설정할 내용을 팝업 창으로 디스플레이 시킨다.(S110)When setting a schedule on a certain date, use the up, down, left, and right arrow keys (▲, ▼, ◀, ▶) to locate the date and press OK key. Display the content as a popup window (S110).

팝업 창에는 일정에 대한 내용 즉, 약속시간, 알람시간, 약속장소, 만날사람 등을 키입력부(26)를 이용하여 설정 등록한다.In the pop-up window, the contents of the schedule, that is, the appointment time, the alarm time, the appointment place, the meeting person, and the like are set and registered using the key input unit 26.

설정 등록된 내용은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하여 메모리부(30)에 저장된 후 해당 시간이 되면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The contents registered in the setting 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 and when the corresponding time is reached, the set function is executed.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휴대폰의 한정된 소수의 키를 이용하여 표시창의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해당 메뉴를 선택하는데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menu of the display window using a limited number of keys of the mobile phone, and provides the user with convenience in selecting the menu.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메인메뉴를 표시창의 상,하,좌,우 위치에 따라 메인메뉴 또는 서브메뉴로 이동하는 키의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고, 화면구성도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Although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various settings of keys for moving the main menu to the main menu or sub menu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window are possible, and the screen configuration i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의 GUI 방법은 초기화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유용한 정보를 보다많이 보여주고 그 정보로 직접 이동할 수있는 효과가 있으며, 일정관련정보는 해당 일의 일정정보로 날씨, 환율, 주식시세 등의 컨텐츠는 웹접속으로 바로 링크될 수 있도록 하여 정보제공 뿐만 아니라 바로가기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체적인 네비게이션을 방향이동 키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므로 상위메뉴 선택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2단계에서 3단계메뉴로 넘어갈 경우나 그 이하의 경우도 2레벨의 메뉴를 한 화면에 동시에 볼 수 있어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GUI method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howing more useful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on the initial screen and moving directly to the information, and the schedule related information is weather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ay. Contents such as exchange rates, stock quotes, etc. can be directly linked to a web connection, so that th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s well as a shortcut function. In addition, since the overall navigation is made around the direction key, the upper menu can be easily selected. In case of going from 2nd to 3rd level menus or less, the 2nd level menu can be viewed on one screen at the same time.

Claims (8)

휴대폰의 구비된 소정의 키를 사용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를 확인한 후 해당 메뉴로의 이동 및 각종 기능을 설정하는 휴대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방법에 있어서,I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method of the mobile phone to check the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using a predetermined key of the mobile phone, and then move to the menu and set various functions, 상기 휴대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초기화면에 해당 메뉴로 직접 이동가능한 메뉴표시창, 휴대폰 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창 과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창으로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1 과정;A first step of separating and displaying a menu display window which can be directly moved to a corresponding menu on a display screen of the mobile phone, a status display window displaying a current state of a mobile phone terminal, and an information display window displaying information set by a user; 상기 휴대폰의 메인메뉴 선택을 위한 스크롤키가 선택될 경우 이를 인식하여 상기 표시부의 선택된 메인메뉴로 이동한 후 해당 컨텐츠를 정보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2 과정;A second step of recognizing when a scroll key for selecting a main menu of the mobile phone is selected, moving to a selected main menu of the display unit, and displaying corresponding contents on an information display window; 상기 선택된 메인메뉴에서 서브메뉴 이동을 위한 방향키가 선택됨에 따라 정보표시창에 해당 서브 메뉴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 3 과정;A third step of displaying a corresponding submenu list on an information display window as a direction key for moving a submenu is selected in the selected main menu; 상기 서브메뉴 선택을 위한 스크롤키가 선택될 경우 이를 인식하여 상기 표시부에 선택된 서브메뉴로 이동한 후 다른 서브메뉴 선택을 위한 방향키가 입력되면 해당 정보표시창에 상기 다른 서브메뉴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4 과정; 및A fourth step of recognizing when the scroll key for selecting the submenu is selected, moving to the selected submenu on the display unit, and then displaying another submenu list on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display window when a direction key for selecting another submenu is input; ; And 상기 다른 서브메뉴 리스트에서 스크롤키를 이용하여 해당 다른 서브메뉴가 선택된 경우 해당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5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And a fifth process of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when the corresponding other submenu is selected by using the scroll key in the other submenu li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에서 메뉴표시창은 메뉴의 컨텐츠에 따른 각 이미지로 표현된 아이콘으로 표시하며, 상기 각 버튼은 메뉴바 형태로 표시부의 소정영역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first step, the menu display window is displayed as an icon represented by each image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menu, and each button is locat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unit in the form of a menu bar. Graphical User Interface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에서 정보 표시창은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2.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first process, the information display window selects and displays the requir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ior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에서 정보 표시창은 사용자가 설정한 로고화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display window comprises a logo screen set by a user in the first ste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에서 상기 정보표시창에 서브메뉴 창 및 특정메뉴의 컨텐츠가 표시될 때, 메인메뉴 아이콘의 일정영역을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submenu window and the content of the specific menu ar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window in the third step, a predetermined area of a main menu icon is display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 내지 제 5 과정에서 기기의 상태 표시창 영역에 기능 안내문구 및 키 도움말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unction guide text and the key help are displayed on the status display area of the device in the second to fifth proces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서 특정메뉴가 선택될 경우 해당 컨텐츠를 팝업 창으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a specific menu is selected on the display unit,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displayed as a pop-up window.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서 선택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할 때 그 배경 이미지를 해당 메인메뉴 아이콘의 이미지 패턴과 동일한 이미지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The graphical user interfac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content selected by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the background image is displayed in the same image as the image pattern of the corresponding main menu icon.
KR1020010085973A 2001-12-27 2001-12-27 Method for GUI of Mobile Phone KR200300558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973A KR20030055855A (en) 2001-12-27 2001-12-27 Method for GUI of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973A KR20030055855A (en) 2001-12-27 2001-12-27 Method for GUI of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855A true KR20030055855A (en) 2003-07-04

Family

ID=3221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973A KR20030055855A (en) 2001-12-27 2001-12-27 Method for GUI of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5855A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7064A1 (en) * 2005-08-31 2007-03-08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for customizing user interface
KR100701968B1 (en) * 2005-10-04 200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ing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07114906A3 (en) * 2006-04-04 2007-11-29 Yahoo Inc Content display and navigation interface
KR100829381B1 (en) * 2005-04-11 2008-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ontainer for wireless internet ui
KR100984593B1 (en) * 2005-09-02 2010-09-30 애플 인크. Management of files in 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KR101045113B1 (en) * 2008-12-22 2011-06-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widget information and mobile widget
KR101224641B1 (en) * 2006-02-16 2013-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human data management function and method of human data displaying the same
KR101482098B1 (en) * 2007-04-27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511037B1 (en) * 2008-10-02 2015-04-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for configuration of main screen, and terminal thereof
US9880702B2 (en) 2006-02-03 2018-01-30 Yahoo Holdings, Inc. Content structures and content navigation interface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5318A (en) * 1998-10-07 2000-04-21 Oki Electric Ind Co Ltd Portable telephone set
KR20000059621A (en) * 1999-03-05 2000-10-05 윤종용 User data interfacing method of digital portable telephon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panel
JP2000341392A (en) * 1999-05-25 2000-12-08 Denso Corp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83000A (en) * 2000-02-22 2001-08-31 서평원 Method for searching a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1257762A (en) * 2000-03-09 2001-09-21 Mitsubishi Electric Corp Mobile terminal and function selection method used for the mobile terminal
KR20020078419A (en) * 2001-04-09 2002-10-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ethod for configuration of favorites in mobile station menu
KR20020096247A (en) * 2001-06-19 2002-12-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actuating features using annunciator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5318A (en) * 1998-10-07 2000-04-21 Oki Electric Ind Co Ltd Portable telephone set
KR20000059621A (en) * 1999-03-05 2000-10-05 윤종용 User data interfacing method of digital portable telephon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panel
JP2000341392A (en) * 1999-05-25 2000-12-08 Denso Corp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83000A (en) * 2000-02-22 2001-08-31 서평원 Method for searching a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1257762A (en) * 2000-03-09 2001-09-21 Mitsubishi Electric Corp Mobile terminal and function selection method used for the mobile terminal
KR20020078419A (en) * 2001-04-09 2002-10-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ethod for configuration of favorites in mobile station menu
KR20020096247A (en) * 2001-06-19 2002-12-3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actuating features using annunciators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381B1 (en) * 2005-04-11 2008-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ontainer for wireless internet ui
WO2007027064A1 (en) * 2005-08-31 2007-03-08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for customizing user interface
KR100984593B1 (en) * 2005-09-02 2010-09-30 애플 인크. Management of files in 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KR100701968B1 (en) * 2005-10-04 200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ing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9880702B2 (en) 2006-02-03 2018-01-30 Yahoo Holdings, Inc. Content structures and content navigation interfaces
KR101224641B1 (en) * 2006-02-16 2013-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human data management function and method of human data displaying the same
WO2007114906A3 (en) * 2006-04-04 2007-11-29 Yahoo Inc Content display and navigation interface
US8055444B2 (en) 2006-04-04 2011-11-08 Yahoo! Inc. Content display and navigation interface
CN101410782B (en) * 2006-04-04 2012-10-03 雅虎公司 Content display and navigation interface
KR101482098B1 (en) * 2007-04-27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511037B1 (en) * 2008-10-02 2015-04-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thod for configuration of main screen, and terminal thereof
KR101045113B1 (en) * 2008-12-22 2011-06-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widget information and mobile widg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9056B2 (en) Integrated personal digital assistant device
EP187680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rotary key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KR10083226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0506199B1 (en) Method to control the display of indicators for Mobile terminal
KR100391769B1 (en) Method for inputting key for various function in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US742998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venient change of display characters on a handheld device
KR20010083000A (en) Method for searching a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75835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running an application therein
JP2005513920A (en)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27892A (en) Menu embodiment method for mobile phone
KR100334796B1 (en) Keypad devic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KR20030055855A (en) Method for GUI of Mobile Phone
KR1004132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menu using key-pad arrangement type icon in portable set
WO2007097458A1 (en) Portable terminal and language selection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KR100584136B1 (en) An apparatus to set up the hot ke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51141B1 (en) Method for realizing a menu using mobile phone
KR20010110034A (en) A shorten key control method of the PDA by a comsumer definition
KR101030716B1 (en) Method for display menu scree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61645A (en) Frame split apparatus in mobile terminal, scheduling method using it
KR20060034118A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 window screen in portable terminal and terminal used for the same
KR10069200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hot key input and method of executing a hot key thereof
KR100806502B1 (en) Function menu search method through character input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JP4813317B2 (en) Mobile terminal, decoration setting method, and decoration setting program
KR20040048496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and Thereof Operation Method
KR100814764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scroll key input type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