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350A - 통신시스템에서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는 방법및 관련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시스템에서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는 방법및 관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350A
KR20060107350A KR1020060031049A KR20060031049A KR20060107350A KR 20060107350 A KR20060107350 A KR 20060107350A KR 1020060031049 A KR1020060031049 A KR 1020060031049A KR 20060031049 A KR20060031049 A KR 20060031049A KR 20060107350 A KR20060107350 A KR 20060107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receiving window
packets
receiver
ts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2127B1 (ko
Inventor
삼 샤우-시앙 지앙
Original Assignee
아스텍 컴퓨터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텍 컴퓨터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스텍 컴퓨터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07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12Transmitting and receiving encryption devices synchronised or initially set up in a particular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2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silient means, e.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4Machines constructed with readily-detachable units or assemblies, e.g. to facilitate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2Details of sliding window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04L1/1841Resequenc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시스템에서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는 방법으로서 통신시스템이 수신기의 수신용 윈도우를 재구성할 때 상위층으로의 중복 패킷 전달을 피함으로써 암호화 매개변수들을 동기 유지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이 명령에 따라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는 단계,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바깥의 순번들을 가지는 패킷들을 수신기의 버퍼로부터 제거하고 그 패킷들을 상위층에 전달하는 단계, 다음의 기대된 패킷의 순번이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아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다음의 기대된 패킷의 순번이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아래가 아닌 경우, 다음의 기대된 패킷의 순번 및 그 패킷들을 수신기의 버퍼 내에 변경 없이 유지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통신시스템, 수신용 윈도우, 크기, 재구성, 패킷 순번, 재송신, 동기

Description

통신시스템에서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는 방법 및 관련 장치{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reconfiguring size of a receiving window in a communications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이동통신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프로그램코드의 도면이다.
본 출원은 2005년 4월 5일자로 출원된 미국가출원 제60/594,414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참조로써 여기에 통합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서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전에 송신된 패킷들을 상위층에 전달하는 것을 피함으로써 암호화 매개변수들의 동기화를 유지하면서도 통신시스템의 수신기의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수신기 및 송신기 사이에 적절히 동기화된 데이터패킷 교환들을 유지하기 위해, 송신하려는 패킷의 헤더에 통상 순번(sequence number)이 부가된다. 수신기는 이 순번과 다음의 기대된 패킷의 순번을 비교하여 수신된 패킷이 올바른 패킷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속하는 패킷들은 연속하는 순번들을 가진다. 다른 응용들에서, 수신기들은 순번들을 부가하는 다른 방법들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수신기는 송신하려는 패킷들의 순번들을 누산할 수 있고, 이는 패킷의 순번이 이전에 수신된 순번에 1을 더한 것이 됨을 뜻한다. 그러나, 송신된 패킷들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송신하려는 패킷들의 누산형 순번들을 엄청나게 커지고 그래서 송신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송신된 패킷들의 수가 많을 때, 종래기술은 누산형 순번들의 순환법(cyclic method)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순번들이 7비트로 표현된다면, 순번은 0부터 시작하여 127까지 누산된다. 순번이 127을 넘는다면, 그 순번은 0으로 된다. 순번 127과 0은 연속하는 순번들이라고 간주된다. 일부 프로토콜 층들에서는, 127이 0으로 되돌아가는 시간마다 누적되는 하이퍼 프레임 번호(Hyper Frame Number; HFN)이 있다. 그러므로, 송신기 및 수신기는 HFN을 누적함으로써 서로 동기를 유지할 수 있고, 그래서 암호화와 같은 다음의 처리들이 적절히 실행될 수 있다.
더구나 송신기 및 수신기는 노이즈 간섭 때문에 더욱 효율적인 패킷 송신과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해 송신용 윈도우 및 수신용 윈도우를 각각 포함한다. 수신용 윈도우를 예로 하여,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패킷이 수신용 윈도우 내부에 있다 면, 재정렬, 중복된 패킷들의 버림, 또는 수신용 윈도우의 전진이 행해질 수 있다.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패킷이 수신용 윈도우 외부에 있다면, 그 패킷이 버려지거나 또는 수신용 윈도우가 전진된다. 그래서, 노이즈나 다른 간섭으로 인해 패킷들이 부적절한 순서로 수신될 때 상위층에 부적절한 순서로 전달하는 일은 피해질 수 있다. 수신용 윈도우는 다른 응용들에 대해 다르게 정해진다. 예를 들어, 고속송신의 경우, 고속하향패킷접속(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시, 수신용 윈도우의 폭(span)은 수신된 프로토콜 데이터단위들의 최고(최종) 송신순번에 의해 정해진다. 그러나, 통신시스템이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한다면, 송신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을 살펴보자.
HSDPA는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들에서 하향송신에 대해 고속 데이터속도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다. 기술 규격들에 의하면, HSDPA의 고속매체 접근제어(High Speed Medium Access Control; MAC-hs) 엔티티는 하단에서부터 상단으로의 순서로 다음 4개의 하위층(sublayer)들 또는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1.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구(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엔티티: 수신된 프로토콜 데이터단위(Protocol Data Unit; PDU)에 따라 확인 보고신호 또는 부정적 확인 보고신호를 생성하고 하이브리드 ARQ 프로토콜에 대해 요구된 테스크들 모두를 다룬다.
2. 재정렬 큐(Re-order Queue) 배포 엔티티: PDU들의 대기행렬(queue) ID들에 따라 PDU들을 대응하는 재정렬 대기행렬들에 배포함으로써 다른 서비스들에 의 해 요구된 송신 데이터를 지원한다.
3. 재정렬 엔티티: 각각의 재정렬 엔티티는 재정렬 대기행렬을 포함하며, 재정렬 엔티티는 수신된 PDU들을 송신순번들(TSN들)에 따라 재정렬한다. HSDPA의 MAC-hs의 사양에 의하면, 현재 PDU의 이전 PDU가 적절히 수신되지 않았다면, 현재 PDU는 그것의 상위층, 즉 분해(disassembly) 엔티티에 전달되지 않는다.
4. 분해 엔티티: PDU의 헤더 및 모든 패딩(padding)비트들을 제거하고, 분해 후의 페이로드를 상위층(전용 매체접근제어(Dedicated Medium Access Control; MAC-d))에 전달한다.
HSDPA의 사양에 의하면, 각각의 PDU는 0부터 63까지의 TSN들을 나타내는 6-비트 TSN 블록을 포함한다. TSN이 63을 초과할 때, TSN은 다시 0으로 시작한다. HSDPA의 사양은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 및 폭을 명시하는 다음의 매개변수들 및 변수들을 정의한다:
1. 매개변수 RECEIVE_WINDOW_SIZE: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나타내며 시스템에 의해 정해진다.
2. 변수 next_expected_TSN: 수신된 순서상 최후의 PDU의 TSN을 뒤따르는 PDU의 TSN을 나타낸다. next_expected_TSN은 next_expected_TSN와 동일한 TSN을 가진 PUD의 분해 엔티티 층으로의 전달로 갱신된다. next_expected_TSN의 초기값은 0이다.
3. 변수 RcvWindow_UpperEdge: 수신용 윈도우의 상부에지를 나타낸다. 제1 PDU가 성공적으로 수신된 후, RcvWindow_UpperEdge는 모든 수신된 PDU들 중의 최고 TSN을 가진 PDU와 동일하다.
위에서 설명된 TSN들의 산술적 비교를 수행할 때, 수신용 윈도우의 하부에지이기도 한 (RcvWindow_UpperEdge - RECEIVE_WINDOW_SIZE + 1)를 모듈러스 베이스로 하는 64 모듈러스 연산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연속하는 TSN들인 63 및 0을 고려한다. 수신용 윈도우의 하부에지 = (RcvWindow_UpperEdge - RECEIVE_WINDOW_SIZE + 1) = 50라고 가정한다.
(63 - 50) mod 64= 13 이고
(0 - 50) mod 64 = 14
이므로, 연속하는 TSN들에 대해, TSN = 0은 TSN = 63보다 크다(나중이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신용 윈도우 내부에 TSN들을 가지는 PDU들만이 재정렬이 발생하는 재정렬 버퍼 내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그러므로, 수신용 윈도우 크기는 재정렬 버퍼에 의해 요구된 메모리의 크기를 정의하고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는 (RcvWindow_UpperEdge - RECEIVE_WINDOW_SIZE + 1)부터 RcvWindow_UpperEdge까지인 수신가능한 TSN들의 폭을 가지는 매개변수 RECEIVE_WINDOW_SIZE와 동일하다. 종래기술에서, 재정렬 버퍼에 의해 요구된 메모리 크기를 절약하는 것은 매개변수 RECEIVE_WINDOW_SIZE를 더 작은 값이 되도록 재설정하는 것을 통해 시스템에 의해 수신용 윈도우 크기를 줄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재정렬 대기행렬이 동작 중일 때 온라인 상에서 행해질 수 있다. 종래기술에서 HSDPA의 MAC-hs의 사양에 의하면, 수신기가 재정렬 대기행렬에 대응하게 수신용 윈도우 크기를 재구성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할 때, 수신기는 그 명령에 따 라 매개변수 RECEIVE_WINDOW_SIZE를 재설정하며, 수신용 윈도우 앞에 TSN들을 가지는 PDU들을 재정렬 버퍼로부터 제거하고 그 PDU들을 상위층(분해 엔티티)에 전달한다. 이때, next_expected_TSN이 매개변수 RcvWindow_UpperEdge 및 새로운 매개변수 RECEIVE_WINDOW_SIZE 사이의 차이 이하인지가 판단되는데, 이는 (next_expected_TSN ≤ RcvWindow_UpperEdge - RECEIVE_WINDOW_SIZE)가 참인지를 판단하는 것임을 뜻한다. 만약 참이라면, 우선 변수 next_expected_TSN을 새로운 수신용 윈도우의 하부에지가 되도록 설정한 후, 변수 next_expected_TSN부터 수신기의 제1 미수신 PDU에 대응하는 TSN까지의 연속하는 TSN들을 가지는 수신된 PDU들을 수신기의 버퍼로부터 상위층에 전달한다. 최종적으로, 변수 next_expected_TSN을 제1 미수신 PDU에 대응하는 TSN이 되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 윈도우 크기가 16(RECEIVE_WINDOW_SIZE = 16)이고 17을 제외한 TSN = 0 내지 TSN = 25(포함)을 가지는 PDU들이 성공적으로 수신된다고 가정한다. 더구나, TSN = 30을 가지는 PDU 역시 성공적으로 수신되고(TSN = 26 내지 TSN = 29를 가지는 PDU들은 아직 수신되지 않았음), TSN = 0 내지 TSN = 16을 가지는 PDU들은 상위층에 전달된다고 가정한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RcvWindow_UpperEdge = 30, next_expected_TSN = 17이고 수신기 윈도우는 TSN = 15(= 30-6+1)부터 TSN = 30까지의 폭이다. 이제, 네트워크 시스템이 수신용 윈도우 크기를 8(RECEIVE_WINDOW_SIZE = 8)로 재구성한다고 가정한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수신용 윈도우 폭은 TSN = 23(= 30-8+1) 내지 TSN = 30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새로운 수신용 윈도우 앞에 수신된 PDU들을 상위층에 전달하는 것은 TSN = 18 내지 TSN = 22를 가지는 PDU들이 상위층에 전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변수 next_expected_TSN이 변수 RcvWindow_UpperEdge 및 새로운 변수 RECEIVE_WINDOW_SIZE ((17 - 23) mod 64 < (30 - 8 - 23) mod 64)보다 작으므로(이때 23인 수신용 윈도우의 하부에지를 모듈러스 연산의 모듈러스 베이스로서 가짐), 변수 next_expected_TSN은 수신용 윈도우의 새로운 하부에지(next_expected_TSN = 23)로 설정되고, 그 후, TSN = 23 내지 TSN = 25에 대응하는 PDU들은 상위층에 전달된다. 최종적으로 변수 next_expected_TSN는 제1 미수신 PDU가 되도록 설정되고 이는 next_expected_TSN = 26임을 의미한다.
위의 절차들을 종래기술로 하여, HSDPA 시스템은 수신용 윈도우 크기를 줄일 수 있고 그래서 재정렬 버퍼의 메모리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들에서는, 종래기술의 수신용 윈도우 크기 재구성 방법이 심각한 문제들 및 송신 에러들을 야기한다.
예를 들면, 수신용 윈도우 크기가 16(RECEIVE_WINDOW_SIZE = 16)이고 TSN = 0 내지 TSN = 30(포함)을 가지는 PDU들이 성공적으로 수신되고 상위층에 전달된다고 가정한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RcvWindow_UpperEdge = 30, next_expected_TSN = 31이고 수신용 윈도우는 TSN = 15(= 30-16+1)부터 TSN = 30까지의 폭이 된다. 네트워크 시스템이 이제 수신용 윈도우 크기를 8(RECEIVE_WINDOW_SIZE = 8)로 재구성한다고 가정한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수신용 윈도우 폭은 TSN = 23 (= 30-8+1) 내지 TSN = 30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수신용 윈도우의 하부에지를 모듈러스 베이스로 하는 모듈러스 연산에 의해, (next_expected_TSN ≤ RcvWindow_UpperEdge - RECEIVE_WINDOW_SIZE)이 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것은 (next_expected_TSN - 23) mod 64 = (31 - 23) mod 64 = 8과 (RcvWindow_UpperEdge - RECEIVE_WINDOW_SIZE - 23) mod 64 = (30 - 8 - 23) mod 64 = 63을 계산함으로써 결정된다. 8 < 63 이므로 , (next_expected_TSN ≤ RcvWindow_UpperEdge - RECEIVE_WINDOW_SIZE)은 참이다. 그러므로, 변수 next_expected_TSN은 수신용 윈도우의 하부에지(next_expected_TSN = 23)가 되게 설정되고 TSN = 23 내지 TSN = 30을 가지는 PDU들은 상위층에 다시 전달된다. 최종적으로 변수 next_expected_TSN은 제1 미수신 PDU의 TSN이 되도록 설정되고, 이는 next_expected_TSN = 31임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변수 next_expected_TSN은 초기의 31에서부터 23이 되도록 설정된 후 다시 31로 되돌아 가고 TSN = 23 내지 TSN = 30을 가지는 PDU들은 두번째로 상위층에 전달된다. 중복 순번 검출을 지원하는 일부 모드들에서는, TSN = 23 내지 TSN = 30을 가지는 PDU들을 다시 전달하는 것이 시스템 자원들을 낭비하고 효율을 떨어뜨리기만 한다. 중복 순번 검출을 지원하지 않는 비확인 모드(Unacknowledged Mode; UM)와 같은 특정 동작 모드의 경우, 다시 전달되는 PDU들의 TSN들은 다음 사이클의 순번으로서 인식되어(즉, HFN이 1만큼 누산됨) 송신기 및 수신기 암호화/해독화 매개변수들이 동기화를 잃어버리게 하고 심각한 에러들이 해독화된 데이터에서 발생될 수 있다. 결국, 이 시스템에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리셋하여 암호화/해독화 매개변수들의 동기를 다시 얻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요컨대, 종래기술에서는, (next_expected_TSN = RcvWindow_UpperEdge + 1)이 참일 때, 즉, 다음에 기대된 TSN이 수신용 윈도우 상부에지 뒤의 처음 TSN과 동일 할 때, 시스템이 수신용 윈도우 크기를 재구성한다면, 상위층에 전달된 PDU들의 부분이 다시 전달될 것이다. 이것은 시스템 자원들을 낭비하고 효율을 저하시킬뿐만 아니라, HFN을 잘못 누산하여 송신기의 그리고 수신기의 암호화/해독화 매개변수들이 동기가 맞지 않게 되도록 한다. 결국, 시스템에는 이 에러를 복구하기 위해 송신기 및 수신기를 리셋하는 것이 요구되어, 시스템 성능이 나빠진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수신용 윈도우를 재구성할 때 상위층으로의 중복 패킷 전달을 피함으로써 암호화 매개변수들을 동기 유지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통신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이 명령에 따라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는 단계,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바깥의 순번들을 가지는 패킷들을 수신기의 버퍼로부터 제거하고 그 패킷들을 상위층에 전달하는 단계, 다음의 기대된 패킷의 순번이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아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다음의 기대된 패킷의 순번이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아래가 아닌 경우, 다음의 기대된 패킷의 순번 및 그 패킷들을 수신기의 버퍼 내에 변경 없이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른 목적들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각종 숫자들 및 도면들로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은 후에는 의심 없이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폭과 크기가 통신시스템의 수신용 윈도우의 상부에지에 의해 정해지는 수신기의 수신용 윈도우에 적용된다. 다음의 설명은 HSDPA의 MAC-hs를 예로 하고 있다.
우선,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이동통신기기(300)의 블록도이다. 명료함을 위해, 도 3은 이동통신기기(300)의 입력기기(302), 출력기기(304), 제어회로(306), 중앙프로세서(308), 저장기기(310), 프로그램코드(312), 및 송수신기(314)만을 보이고 있다. 이동통신기기(300)에서, 제어회로(306)는 저장기기(310)에 저장된 프로그램코드(312)를 중앙프로세서(308)로써 실행하고, 이동통신기기(300)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이동통신기기(300)는 사용자들에 의해 입력기기(302)를 통해 입력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거나, 또는 이미지들, 사운드들 등과 같은 신호들을 출력기기(304)(이를테면, 모니터, 스피커 등)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송수신기(314)는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고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통신프로토콜의 구조에서, 송수신기(314)는 제1층의 일부로서 알려져 있고, 제어회로(306)는 제2 및 제3 층들의 응용이다.
도 4를 참조한다. 도 4는 도 3의 프로그램코드(312)의 개략도이다. 프로그램코드(312)는 응용프로그램층(400), 제3층인터페이스(402), 제2층인터페이스(406), 및 제1층인터페이스(418)를 포함한다. 신호들을 송신할 때, 제3층인터페이스(402)는 서비스데이터단위들(SDU들)(408)을 제2층인터페이스(406)에 제출하고 제2층인터 페이스(406)는 SDU들(408)을 버퍼(412)에 저장한다. 그 후, 제2층인터페이스(406)는 버퍼(412)에 저장된 SDU들(408)에 따라 복수 개의 PDU들(414)을 생성하고 생성된 PDU들(414)을 제1층인터페이스(418)를 통해 목적지에 출력한다. 반대로, 무선신호를 수신할 때, 무선신호는 제1층인터페이스(418)를 통해 수신되고 제1층인터페이스(418)는 PDU들(414)을 제2층인터페이스(406)에 출력한다. 제2층인터페이스(406)는 PDU들(414)을 SDU들(408)로 되돌리고 SDU들(408)을 버퍼(412)에 저장한다. 마침내, 제2층인터페이스(406)는 버퍼(412)에 저장된 SDU들(408)을 제3층인터페이스(402)에 송신한다.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프로그램코드(312)가 버퍼(412)에 SDU들(408)을 저장할 지는 수신용 윈도우의 폭에 의해 결정된다. 수신된 PDU들이 수신용 윈도우 폭 내부에 있다면, 재정렬, 중복 패킷들의 버림, 및/또는 수신용 윈도우의 전진이 행해지고, 그렇지 않다면, 수신용 윈도우의 전진이 행해진다.
어떤 상황들에서는, 프로그램코드(312)는 버퍼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수신용 윈도우 크기를 재구성(감축)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수신기의 수신용 윈도우 크기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프로시저(procedure; 10)의 흐름도이다. 프로시저(10)는 매개변수 RECEIVE_WINDOW_SIZE, 매개변수 next_expected_TSN, 및 매개변수 RcvWindow_UpperEdge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정의되는 HSDPA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수신용 윈도우 크기를 재구성하는 것이다. 프로시저(10)는
단계 100: 시작.
단계 102: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한다.
단계 104: 이 명령에 따라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한다. 그래서 매개변수 RECEIVE_WINDOW_SIZE는 새로운 값으로 설정된다.
단계 106: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외부의 TSN들을 갖는 PDU들을 수신기의 버퍼로부터 제거하고 그 PDU들을 상위층에 전달한다.
단계 108: 다음의 기대된 TSN(즉, 매개변수 next_expected_TSN)이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아래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그렇다면, 단계 110으로 가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 116으로 간다.
단계 110: 다음의 기대된 패킷의 TSN을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의 하부에지가 되도록 설정한다. 이것은 (next_expected_TSN = RcvWindow_UpperEdge - RECEIVE_WINDOW_SIZE + 1) 연산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 112: 다음의 기대된 TSN에서부터 수신기의 제1 미수신 PDU에 대응하는 TSN 번호까지의 연속하는 TSN들을 갖는 수신된 PDU들을 버퍼로부터 상위층에 전달한다.
단계 114: 다음의 기대된 TSN을 제1 미수신 PDU에 대응하는 TSN이 되도록 설정한다.
단계 116: 끝.
을 포함한다.
프로시저(10)에 의하면, 본 발명이 수신용 윈도우 크기를 재구성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한 후, 매개변수 RECEIVE_WINDOW_SIZE는 명령에 의해 요구된 값으로 설 정되고 그래서 수신용 윈도우 크기는 시스템에 의해 요구된 크기로 재구성된다. 동시에,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외부의 TSN들을 갖는 PDU들을 전달하고 그 PDU들을 버퍼로부터 제거한다. 그 후 본 발명은 매개변수 next_expected_TSN이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아래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다음의 기대된 TSN이 수신용 윈도우의 상부에지 후의 처음 TSN이 아니라면, 즉, next_expected_TSN = RcvWindow_UpperEdge + 1이라면, 본 발명은 매개변수 next_expected_TSN을 변경 없이 남겨 두고, 버퍼 내의 PDU들을 처리하지 않는다. 반면에, 매개변수 next_expected_TSN이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아래라면, 매개변수 next_expected_TSN은 새로운 수신용 윈도우의 하부에지가 되도록 설정되고, 다음의 기대된 TSN부터 수신기의 제1 미수신 PDU에 대응하는 TSN번호까지의 연속하는 TSN들을 갖는 수신된 PDU들은 버퍼로부터 상위층에 전달된다. 끝으로, 다음의 기대된 TSN은 제1 미수신 PDU에 대응하는 TSN으로 설정된다.
HSDPA의 사양에서 정의된 매개변수들 및 변수들에 따라, 매개변수 next_expected_TSN는 수신용 윈도우의 폭 바깥에 있을 수 있지만 매개변수 RcvWindow_UpperEdge와는 동일하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매개변수 RcvWindow_UpperEdge가 PDU의 TSN과 동일할 수 있지만 상기 TSN은 모든 수신된 PDU들의 TSN들 중에서 가장 큰 TSN이므로). 그래서 매개변수 next_expected_TSN은 (RcvWindow_UpperEdge - RECEIVE_WINDOW_SIZE + 1)부터 (RcvWindow_UpperEdge - 1)까지의 폭이거나 또는 (RcvWindow_UpperEdge + 1)와 동일하다.
프로시저(10)로부터, 본 발명은 시스템이 수신용 윈도우 크기를 재구성하기 전에 송신된 PDU들을 잘못 재송신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비교해 보면, (next_expected_TSN = RcvWindow_UpperEdge + 1)이 참일 때, 시스템이 수신용 윈도우 크기를 재구성한다면, 종래기술은 시스템 자원 및 효율의 낭비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송신기의 및 수신기의 암호화/해독화 매개변수들의 재동기화를 이끄는 HFN을 잘못 누산할 수도 있다. 동기화가 없으면 시스템은 송신기와 수신기를 리셋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기 윈도우 크기가 16(RECEIVE_WINDOW_SIZE = 16)이고 TSN = 0 내지 TSN = 30(포함)을 갖는 PDU들이 성공적으로 수신되고 상위층에 전달된다고 가정한다. 시스템이 수신용 윈도우 크기를 8(RECEIVE_WINDOW_SIZE = 8)로 재구성한 경우, RcvWindow_UpperEdge = 30, next_expected_TSN = 31이고 수신기 윈도우는 TSN = 15 (= 30-16+1)부터 TSN = 30까지의 폭이다. 본 발명의 프로시저(10)에 의하면, next_expected_TSN = 31은 수신용 윈도우 아래가 아니므로, 매개변수 next_expected_TSN은 변경 없이 유지되고 버퍼 내의 PDU들은 처리되지 않고, 그래서 TSN= 23 내지 TSN = 30을 가지는 PDU들은 다시 전달되지 않을 것이다. 더구나, 매개변수 next_expected_TSN은 변경 없이 유지된다(=31). 이 방법으로, 종래기술에서 일어나는 PDU들을 상위층에 재전달하는 것과 같은 문제가 해결된다. 다음의 기대된 TSN이 수신용 윈도우 아래에 있다면, 처리들은 종래기술과 동일하고 여기서 다시 설명되지는 않을 것이다.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프로시저(20)의 흐름도이다. 프로시저(20)는, 매개변수 RECEIVE_WINDOW_SIZE, 매개변수 next_expected_TSN, 및 매개변수 RcvWindow_UpperEdge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정의되는 HSDPA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수신용 윈도우 크기를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 프로시저(20)는
단계 200: 시작.
단계 202: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한다.
단계 204: 이 명령에 따라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한다. 그래서 매개변수 RECEIVE_WINDOW_SIZE는 새로운 값으로 설정된다.
단계 206: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외부에 TSN들을 갖는 PDU들을 수신기의 버퍼로부터 제거하고 그 PDU들을 상위층에 전달한다.
단계 208: 다음의 기대된 TSN이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의 상부에지에 대응하는 TSN 및 재구성된 수신용 윈도우 크기 사이의 차이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이것은 (next_expected_TSN ≤ RcvWindow_UpperEdge - RECEIVE_WINDOW_SIZE)가 참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그렇다면, 단계 210으로 가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 216으로 간다.
단계 210: 다음의 기대된 패킷의 TSN을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의 하부에지가 되도록 설정한다. 이것은 (next_expected_TSN = RcvWindow_UpperEdge - RECEIVE_WINDOW_SIZE + 1) 연산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 212: 다음의 기대된 TSN에서부터 수신기의 제1 미수신 PDU에 대응하는 TSN 번호까지의 연속하는 TSN들을 갖기 전에 상위층에 전달되지 않은 수신된 PDU들을 버퍼로부터 상위층에 전달한다.
단계 214: 다음의 기대된 TSN을 제1 미수신 PDU에 대응하는 TSN이 되도록 설 정한다.
단계 216: 끝.
을 포함한다.
프로시저(20)에 의하면, 본 발명이 수신용 윈도우 크기를 재구성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한 후, 매개변수 RECEIVE_WINDOW_SIZE는 이 명령에 의해 요구된 값으로 설정되고, 그래서 수신용 윈도우 크기는 시스템에 의해 요구된 크기로 재구성된다. 동시에,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외부의 RTSN들을 갖는 PDU들을 전달하고 그 PDU들을 제거한다. 그 후 본 발명은 (next_expected_TSN ≤ RcvWindow_UpperEdge - RECEIVE_WINDOW_SIZE)가 참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그렇다면, 본 발명은 매개변수 next_expected_TSN을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의 하부에지가 되도록 설정하고, 그 후 다음의 기대된 TSN부터 수신기의 제1 미수신 PDU에 대응하는 TSN번호까지의 연속하는 TSN들을 가지기 전에 상위층에 전달되지 않았던 수신된 PDU들을 버퍼로부터 상위층에 전달한다. 최종적으로, 다음의 기대된 TSN은 제1 미수신 PDU에 대응하는 TSN이 되도록 설정된다. 다른 말로 하면, (next_expected_TSN ≤ RcvWindow_UpperEdge - RECEIVE_WINDOW_SIZE)가 참일 때, 본 발명의 프로시저(20)는 상위층에 전달되지 않은 모든 수신된 PDU들을 중에서 다음의 기대된 TSN부터 수신기의 제1 미수신 PDU에 대응하는 TSN번호까지의 연속하는 TSN들을 가지는 PDU들을 상위층에 전달한다. 그러므로, 프로시저(20)에서는, PDU들이 상위층에 일단 전달되었다면, 재송신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시스템이 수신용 윈도우 크기를 재구성하기 전에 송신되었던 PDU들을 잘못 재송신하는 것을 피하게 한다.
예를 들면, 수신기 윈도우 크기가 16(RECEIVE_WINDOW_SIZE = 16)이고 TSN = 0 내지 TSN = 30(포함)을 가지는 PDU들이 성공적으로 수신되고 상위층에 전달된다고 가정한다. 그러므로, RcvWindow_UpperEdge = 30, next_expected_TSN = 31이고 수신기 윈도우는 TSN = 15 (= 30-16+1)부터 TSN = 30까지의 폭을 가진다. 시스템이 수신용 윈도우 크기를 8(RECEIVE_WINDOW_SIZE = 8)로 재구성한다면, 수신기 윈도우는 TSN = 23 (= 30-8+1)부터 TSN = 30까지의 폭을 가진다. 수신용 윈도우의 하부에지를 모듈러스 베이스로 하여 모듈러스 연산을 행하면, (next_expected_TSN ≤ RcvWindow_UpperEdge - RECEIVE_WINDOW_SIZE)가 참인지가 판단된다. (next_expected_TSN - 23) mod 64 = (31 - 23) mod 64 = 8이고 (RcvWindow_UpperEdge - RECEIVE_WINDOW_SIZE - 23) mod 64 = (30 - 8 - 23) mod 64 = 63임을 알 수 있다. 8 < 63이므로, (next_expected_TSN ≤ RcvWindow_UpperEdge - RECEIVE_WINDOW_SIZE)는 참이고 매개변수 next_expected_TSN은 새로운 수신용 윈도우의 하부에지가 되도록 설정된다(next_expected_TSN = 23). 본 발명의 프로시저(20)에 의하면, TSN = 23 내지 TSN = 30을 가지는 PDU들은 상위층에 전달되었으므로, PDU들은 다시 전달되지 않을 것이다. 매개변수 next_expected_TSN은 수신되지 않은 처음의 PDU에 대응하는 TSN으로 설정되며, 이는 next_expected_TSN = 31임을 뜻한다. 이 방법으로,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PDU들의 상위층에의 재전송과 같은 문제들이 해결된다.
종래기술에서는, 수신기의 다음의 기대된 TSN이 수신용 윈도우의 상부에지 뒤의 처음 TSN과 동일하다면, 시스템이 수신용 윈도우 크기를 재구성하기 전에 송신되었던 PDU들을 잘못 재송신하는 일이 발생한다. 이것은 시스템 자원을 낭비하고 효율을 저하시킬뿐만 아니라, 송시기의 및 수신기의 암호화/해독화 매개변수들이 동기를 잃어버리게 하기도 한다. 시스템에는 동기 복원을 위해 송신기 및 수신기를 리셋하는 것이 요구된다.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은 수신기의 다음의 기대된 TSN이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내부에 있는지의 판단을 통해 수신기의 다음의 기대된 TSN이 수신용 윈도우의 하부에지 뒤에 처음 TSN과 동일해지는 상황을 피할 수 있거나, 또는 다음의 기대된 TSN이 수신용 윈도우의 하부에지 뒤의 처음 TSN과 동일하다면, 상위층에 전달되지 않은 모든 수신된 PDU들 중에서, 다음의 기대된 TSN부터 수신기의 제1 미수신 PDU에 대응하는 TSN번호까지의 연속하는 TSN들을 가지는 수신된 PDU들을 상위층에 전달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실패를 개선할 수 있어, 본 발명은 시스템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며, 송신 효율을 높이고, 송신기 및 수신기 암호화/해독화 매개변수들에서 양호한 동기를 유지한다.
더욱이, 본 발명을 적용할 때, 이 기술분야에 정통한 사람들에 의해 알려진 바와 같이 설계자들은 프로시저들(10 또는 20)을 통신기기의 저장기기(펌웨어)에 프로그램코드로서 기록(번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서 폭과 크기가 수신용 윈도우의 상부에지에 의해 정해지는 수신기의 수신용 윈도우에 적용되나 그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수신용 윈도우를 재구성할 때 상위층으로의 중복 패킷 전달을 피함으로써 암호화 매개변수들의 동기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시스템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며, 송신 효율을 높이고, 송신기 및 수신기 암호화/해독화 매개변수들에서 양호한 동기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3)

  1. 통신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이 명령에 따라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는 단계;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바깥의 순번들을 가지는 패킷들을 수신기의 버퍼로부터 제거하고 그 패킷들을 상위층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다음의 기대된 패킷의 순번이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아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다음의 기대된 패킷의 순번이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아래가 아닌 경우, 다음의 기대된 패킷의 순번 및 그 패킷들을 수신기의 버퍼 내에 변경 없이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수신기의 다음에 기대된 패킷의 순번이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아래일 때, 상기 방법은,
    (a) 수신기의 다음에 기대된 패킷의 순번이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의 하부에지로 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b) 다음에 기대된 패킷의 순번에서부터 수신기의 제1 미수신 패킷에 대응하는 순번까지의 연속하는 순번들을 가지는 수신된 패킷들을 버퍼로부터 상위층에 전 달하는 단계; 및
    (c) 다음에 기대된 패킷의 순번을 제1 미수신 패킷에 대응하는 순번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단계 (b)는 모듈러스 연산들을 이용하여 패킷들의 순번들이 연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통신시스템은 고속 하향패킷접속 시스템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수신기의 다음에 기대된 패킷의 순번이 수신용 윈도우의 상부에지를 나타내는 순번에 1을 더한 것과 동일한 경우, 수신기의 다음에 기대된 패킷의 순번은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아래가 아니라고 결정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수신기의 다음에 기대된 패킷의 순번은 수신용 윈도우 외부에 있고 수신용 윈도우의 상부에지의 순번에 1을 더한 것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수신기의 다음에 기대된 패킷의 순번은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아래라고 결정되는 방법.
  7. 전기통신 시에 메모리를 갖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무선기기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청구항 1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는 무선 기기.
  8. 통신시스템에서 수신기의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이 명령에 따라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는 단계;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 외부의 순번을 갖는 패킷들을 수신기의 버퍼로부터 제거하고 그 패킷들을 상위층에 전달하는 단계;
    다음에 기대된 패킷의 순번이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의 상부에지 및 재구성된 크기 사이의 차이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다음에 기대된 패킷의 순번이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의 상부에지 및 재구성된 크기 사이의 차이 이하일 때, 상기 방법은,
    (a) 다음에 기대된 패킷의 순번이 수신용 윈도우의 하부에지로 되도록 설정하는 단계;
    (b) 다음에 기대된 패킷의 순번에서부터 수신기의 제1 미수신 패킷에 대응하는 순번까지의 연속하는 순번들을 갖는 수신된 패킷들의 집합을 수신기의 버퍼로부터 상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c) 다음에 기대된 패킷의 순번을 제1 미수신 패킷에 대응하는 순번이 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단계 (b)의 수신된 패킷들의 집합이 이전에 상위층에 전달되지 않았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다음에 기대된 패킷의 순번이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의 상부에지 및 재구성된 크기 사이의 차이보다 클 때 수신기의 버퍼 내의 패킷들을 변경 없이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다음에 기대된 패킷의 순번은 재구성된 크기를 갖는 수신용 윈도우의 상부에지 및 재구성된 크기 사이의 차이 이하인지는 모듈러스 연산을 이용하여 결정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모듈러스 연산의 모듈러스 베이스는 수신용 윈도우의 하부에지인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통신시스템은 고속 하향패킷접속 시스템인 방법.
  13. 전기통신 시에 메모리를 갖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무선기기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청구항 8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는 무선기기.
KR1020060031049A 2005-04-05 2006-04-05 통신시스템에서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는 방법및 관련 장치 KR100772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441405P 2005-04-05 2005-04-05
US60/594,414 2005-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350A true KR20060107350A (ko) 2006-10-13
KR100772127B1 KR100772127B1 (ko) 2007-10-31

Family

ID=3629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049A KR100772127B1 (ko) 2005-04-05 2006-04-05 통신시스템에서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는 방법및 관련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52844B2 (ko)
EP (1) EP1710945B8 (ko)
JP (1) JP4119446B2 (ko)
KR (1) KR100772127B1 (ko)
CN (1) CN100461760C (ko)
TW (1) TWI2996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360363C2 (ru) * 2003-11-10 2009-06-27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пособ обновления данных о порядковом номере следующей ожидаемой передачи и окна получателя, чтобы избежать состояния останова
JP4729000B2 (ja) 2006-04-27 2011-07-20 イノヴァティヴ ソニック リミテッ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復号パラメータを同期させる方法及び装置
US8208489B2 (en) * 2006-12-05 2012-06-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reporting downstream packet resequencing status in cable modem
WO2008135926A1 (en) * 2007-05-02 2008-11-13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reordering functionality in radio communications
TWI405481B (zh) * 2007-05-18 2013-08-11 Innovative Sonic Ltd 無線通訊系統比較狀態變數或封包序號的方法及其相關裝置
CN101321378B (zh) * 2007-06-08 2012-05-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在加强连接模式公共状态下的重排序队列参数的配置方法
US7949317B2 (en) * 2008-02-13 2011-05-24 Apple Inc. Momentary burst protoc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170482B2 (en) * 2008-08-01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transmission at a receiver
US8687591B2 (en) * 2009-04-27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Relay node user plane support
CN101931495B (zh) * 2009-06-18 2013-04-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TW201220901A (en) * 2010-11-11 2012-05-16 Gemtek Technology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of
TW201309053A (zh) * 2011-08-03 2013-02-16 Acer Inc 動態調整通訊協定之視窗大小以增加無線網路系統內資料流通量之方法
US20140274068A1 (en) * 2013-03-15 2014-09-18 Herbert DAWI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receive window
US10298509B2 (en) 2016-03-17 2019-05-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anaging a sequence number range for radio link control entities in a radio access network during an on-going connection
KR102435428B1 (ko) * 2017-09-27 2022-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9936514B (zh) * 2019-04-29 2022-06-21 新华三信息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报文处理方法和装置
EP3866442B1 (en) * 2020-02-17 2023-06-07 ABB Schweiz AG Interface apparatus between tsn-devices and non-tsn-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6498B (fi) * 1999-03-16 2001-02-15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siirtoikkunan valinnassa ja matkaviestin
US6775707B1 (en) * 1999-10-15 2004-08-10 Fisher-Rosemount Systems, Inc. Deferred acknowledgment communications and alarm management
US6925502B1 (en) 2000-06-20 2005-08-02 At&T Corp.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data transmission rates having adaptive protocols
KR100370077B1 (ko) * 2000-08-07 200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제어 방법
JP2002271435A (ja) 2001-03-07 2002-09-20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装置および送信ウィンドウ制御方法
SE0103506D0 (sv) * 2001-10-19 2001-10-19 Ericsson Telefon Ab L M HARQ stall avoidance
DE60236138D1 (de) * 2002-01-03 2010-06-10 Innovative Sonic Ltd Fenster-basierende Blockadevermeidung für ein drahtloses Hochgeschwindigkeits-Kommunikationssystem
US6901063B2 (en) * 2002-05-13 2005-05-31 Qualcomm, Incorporated Data delivery in conjunction with a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mechanism in CDMA communication systems
SE0301048D0 (sv) 2003-04-07 2003-04-07 Ericsson Telefon Ab L M RLC window reconfiguration
US20050047363A1 (en) * 2003-08-25 2005-03-03 Sam Shiaw-Shiang Jiang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data deli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digesting data units outside a reconfigured transmitting window and a reconfigured receiving window
KR100516554B1 (ko) * 2003-08-25 2005-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프로토콜 데이터유닛 처리 방법
RU2360363C2 (ru) * 2003-11-10 2009-06-27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пособ обновления данных о порядковом номере следующей ожидаемой передачи и окна получателя, чтобы избежать состояния останов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2127B1 (ko) 2007-10-31
US7852844B2 (en) 2010-12-14
EP1710945B1 (en) 2020-03-11
CN1848806A (zh) 2006-10-18
US20060221833A1 (en) 2006-10-05
JP4119446B2 (ja) 2008-07-16
EP1710945B8 (en) 2020-04-22
EP1710945A3 (en) 2010-07-21
JP2006295880A (ja) 2006-10-26
TW200637299A (en) 2006-10-16
CN100461760C (zh) 2009-02-11
TWI299620B (en) 2008-08-01
EP1710945A2 (en)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127B1 (ko) 통신시스템에서 수신용 윈도우의 크기를 재구성하는 방법및 관련 장치
JP6773748B2 (ja) エンハンスト・アップリンク送信における不連続データ・ブロックを転送する方法および装置
RU2408994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передачи обслужива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ереупорядочивания по протоколу конвергенции пакетных данных (pdcp)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AU2004307900B2 (en) Updating next-expected TSN and receiver window to avoid stall conditions
KR100737724B1 (ko) 반 신뢰성의 재전송 프로토콜용 패킷 폐기 통지
KR101113125B1 (ko) 윈도우 제어 및 재송제어방법, 및, 송신측장치
JP5284215B2 (ja) トランスポートブロックセットのセグメント化
KR10108413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단에서의 상태 pdu송수신방법
US20090319850A1 (en) Local drop control for a transmit buffer in a repeat transmission protocol device
AU2008239082B2 (en) Retransmission request transmitting method and receiving side apparatus
US20080137564A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US8169905B2 (en) Packet communication method and receiving-side apparatus
EP2141890B1 (en) Retransmission request transmitting method and receiving side device
TW2008365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andover between UTRA R6 cells and R7 cells
KR20090031239A (ko) 성공적으로 수신했으나 헤더 압축 복원에 실패한 패킷의 처리 방법
WO2017049647A1 (zh) 一种数据发送方法、数据接收方法和相关设备
US8738984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retransmission failure in radio link control (RLC) layer
US20100110984A1 (en) Retransmission request transmission method, transmitting- side apparatus and receiving-side apparatus
KR10157804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패킷 재정렬 장치 및 방법
KR10108413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단에서 상태정보를 포함하는pdu를 송수신하는 방법
KR100612654B1 (ko) 자동 재송신 요청을 위한 프레임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547580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 길이 프레임 구성 장치 및그 방법
KR2009002644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수신 응답 신호 구성방법 및 장치
KR20030004959A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데이터재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