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080A - Safety net for constructing building - Google Patents

Safety net for constructing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080A
KR20060107080A KR1020050029078A KR20050029078A KR20060107080A KR 20060107080 A KR20060107080 A KR 20060107080A KR 1020050029078 A KR1020050029078 A KR 1020050029078A KR 20050029078 A KR20050029078 A KR 20050029078A KR 20060107080 A KR20060107080 A KR 20060107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net
bar
support
building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0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연환
조승종
서병환
Original Assignee
(주)삼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삼아이엔지
Priority to KR1020050029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7080A/en
Publication of KR20060107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08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안전망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외측벽에 일정한 상향 경사각을 가지고 설치되는 안전망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로써; 일부 안전망의 양측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벽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향연장부재(60)의 외측단부에, 인접하는 지지바아와의 틈새를 커버할 수 있도록 안전망의 외측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바아(7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바아(70)에 의하여 안전망 사이의 틈새를 커버할 수 있는 안전망보조부분이 설치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net support devic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during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safety net installed with a certain upward inclination angl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support both ends of the safety net, to support the outer portion of the safety net so as to cover a gap with an adjacent support bar at the outer end of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extending outward from the wall side of the building. It is characterized by installing an extension bar 70 extending outward. The safety bar auxiliary part is installed by the extension bar 70 to cover the gap between the safety net.

건축용 안전망, 안전망 지지, 안전망보조부분 Construction safety net, safety net support, safety net auxiliary part

Description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Safety net for constructing building}Safety net for constructing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망 지지장치의 개념을 보인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cept of a safety ne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망 지지장치의 개념을 보인 예시 사시도.Figure 2 is an exemplar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cept of a safety ne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외향연장부재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외향연장부재의 평면도.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장치에 의하여 안전망이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the safety net is installed by the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낙하사고 발생시 가장 바람직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건축물용 안전망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net for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net support device for a building configured to be able to ensure the most desirable safety in the event of a falling accident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solid support.

일정한 높이 이상의 건물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낙하사고 발생시 피해를 줄이고, 건축재 또는 기타 물품의 낙하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의 외측벽에 안전망을 설치한다. In the case of building of a certain height or higher, safety nets ar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reduce the damage in case of a worker's fall accident an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 falling of building materials or other items.

종래의 안전망은 일정한 크기의 프레임이 테두리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정한 폭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복수개 연설하는 것에 의하여, 건물의 외측면에 연속 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종래의 안전망의 설치 및 지지에 있어서는, 안전망의 외측단부에는 안전망을 지지하기 위한 버팀대 또는 와이어를 설치하게 되는데, 종래의 버팀대 또는 와이어 등이 상부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즉 안전망의 상부에 설치됨)로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떨어지게 되면 이러한 버팀대 또는 와이어 등에 부딪혀서 부상을 당할 우려가 많아서 실질적으로 안전사고의 예방에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기타 작업물이 낙하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버팀대 또는 와이어 등에 부딪히게 되면, 안전망의 외측으로 튕겨 나가게 되어, 지상으로 떨어질 수 있는 바, 이 역시 안전사고의 예방이라는 안전망 원래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In a conventional safety net, a frame having a constant size is installed at an edge portion, and is configured to have a constant width so that a plurality of speeches are continuous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In the installation and support of the conventional safety net, a brace or wire for supporting the safety net is installed at the outer end of the safety net, and the conventional brace or wire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that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safety net). Since it is installed in the worker, if there is a risk of injury by hitting such a brace or a wire when the worker falls, there is a problem in practically preventing the safety accident. In addition, if other objects fall, such as the braces or wires, such as the above, it will bounce off the outside of the safety net, may fall to the ground, this also prevents the safety net original purpose of preventing accidents It appears to be a disadvantage.

그리고 종래의 안전망의 설치에 있어서는, 건물의 외측에 설치되는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건물의 외측에서 설치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망 시공시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가 높은 단점도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의 우려는 안전망의 설치시 뿐만 아니라 해체시에도 뒤따르고 있다. In addition, in the installation of a conventional safety net, since the installation work must be performed outside the building using a pipe or the lik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re is a point that a high risk of a safety accident during construction of the safety net is pointed out. These safety accidents are followed not only when installing the safety net but also when dismantling.

그리고 안전망 보다 높은 위치의 공사현장에서 필요한 자재를 승강기를 이용하여 운반하기 위해서는 지상에서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는 안전망의 일부를 접을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안전망의 일부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면, 안전망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인접하는 프레임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새는 공사현장에서 안전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And in order to transport the necessary materials in the construction site higher than the safety net by using a lift it is generally installed to fold a part of the safety net that is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When configured to be able to fold a part of the safety net in this way, there is bound to be a constant gap between the frame supporting the safety net and the adjacent frame. In such cases, gaps between frames may have a fatal adverse effect on safety at the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망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안전망의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공사현장에서 보다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함과 같이, 안전망을 지지하는 프레임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떠한 틈새에 의한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안전망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safety ne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afety net, such as to provide a safer working environment at the construction site, it occurs between the frames supporting the safety net Its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safety net support device configured to eliminate any hazards caused by any gap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망 지지장치는, 건물의 외측벽에 일정한 상향 경사각을 가지고 설치되는 안전망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로써; 건축물의 외벽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밀착 설치되는 수직지지바; 후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바에 지지되고, 외측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바 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외측 상부로 연장되며, 적어도 일부의 안전망의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로 설치되는 외향연장부재; 상기 수직지지바를 건축물의 발코니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그리고 상기 외향연장부재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인접하는 외향연장부재와의 틈새를 안전망이 커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연장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Safety ne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a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safety net installed with a certain upward inclination angl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Vertical support bar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n outward extension member having a rear end supported by the vertical support bar, an outer end extended upwardly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vertical support bar, and installed in plural to support both sides of at least some of the safety nets; Fixing means for fixing the vertical support bar to a balcony of a building; And it extends outward from the end of the outward extension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tension bar which is installed so that the safety net can cover the gap with the adjacent outward extension member.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장바아는 외향연장부재의 단부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고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전망은, 상기 연장바아는, 외향연장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는 나사결합부와 연장바아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나사부에 의하여 나사결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tension bar is fixed to the end of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by welding. Alternatively, in another embodiment, the safety ne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xtension bar is screwed and fixed by a screwing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and a screwing portion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extension ba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건물의 외측벽에 일정한 상향 경사각을 가 지고 설치되는 안전망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로써; 일부 안전망의 양측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벽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바아의 외측단부에, 인접하는 지지바아와의 틈새를 커버할 수 있도록 안전망의 외측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바아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safety net installed with a certain upward inclination angl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In order to support both ends of some of the safety net, the outer end of the support bar extending outward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is extended outward to support the outer end of the safety net so as to cover the gap with the adjacent support bar. It is characterized by installing an extension ba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망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외향연장부재 또는 지지바아의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망이 없는 틈새를 보강할 수 있어서, 더욱 안전적인 안전망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gap without a safety net that can occur between a plurality of outwardly extending members or support bars installed to support the safety ne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secure safety net support device. .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망 지지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개념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발코니(B)와 인접한 외측면에는 안전망(10)의 내측단부와 연결되어 지지하는 수평지지바(30)가 설치되고, 상기 발코니(B)와 인접한 외측면에는 수직지지바(20)가 수직상태로 건축물의 수직벽면에 밀착 설치되어 있다. Figure 1 is a side view showing a basic concept that can be applied to the safety ne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s shown, a horizontal support bar 30 connected to the inner end of the safety net 1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adjacent to the balcony (B) of the building, the vertical support on the outer surface adjacent to the balcony (B) The bar 20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wall of the building in a vertical state.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바(20)의 상단부는 연결바(22)와 연결되고, 연결바(22)의 후단부 또는 후방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바(24)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24)의 중간 또는 그 하부에는,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하여 건물의 외측방향(발코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나사부(28)가 설치되고, 나사부(28)의 전면측에는 발코니(B)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판(2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28)의 내측단부에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하도록 손잡이(29)가 설치되어 있다. And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support bar 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 22, the support bar 24 extending downward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r the rear side of the connection bar 22 is installed. And in the middle or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ar 24, a screw portion 28 that is screwed and movable in the outer direction (balcony direction) of the building by rotation is provided, the balcony (B) on the front side of the screw portion 28 The contact plate 26 is provid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he inner end of the screw portion 28 is provided with a handle 29 so as to be convenient for the user to operate.

따라서 상기 나사부(28)가 회전함으로써 그 단부에 설치된 밀착판(26)이 상기 발코니(B)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이에 대한 반력으로 상기 수직지지바(20)는 발코니(B)의 외측벽에 밀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수직지지바(20)가 발코니(B)를 이용하여 건물의 외측면에 밀착상태로 지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refore, the screw plate 28 is rotated so that the close contact plate 26 provided at the end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alcony (B), the reaction force to the vertical support bar 20 to the outer wall of the balcony (B) By being in close contact, it can be seen that the vertical support bar 20 can be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using the balcony (B).

본 발명의 안전망 지지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 이외에도 건축물의 발코니(B) 또는 외벽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safety net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of course,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firmly supported on the balcony (B) or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그리고 상기 수평지지바(30)는, 클램프(Ca)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바(22)와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수평상태로 지지된다. 이와 같은 클램프(Ca)는 봉형상의 연결바(22) 및 수평지지바(30)를 내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력을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체결상태로 양자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건축 분야에서는 이미 공지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부품이다. 예를 들면 상기 클램프(Ca)는, 봉형상의 바(22,30)가 각각 수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개구된 일측부분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조임으로써, 내부에 수납된 바(22,30)가 체결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으며, 이 부품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horizontal support bar 30 is supported in a horizontal state by being coupled to the connection bar 22 using a clamp Ca. The clamp Ca is connected to and fixed in a fastened state by applying a fastening force using bolts and nuts in a state in which the rod-shaped connecting bar 22 and the horizontal support bar 30 are accommodated therein. It is a part which is already known and widely used in the construction field. For example, the clamp Ca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bar-shaped bars 22 and 30, respectively, and the bars 22 and 30 accommodated therein are tightened by using one bolt and a nut to open the opened side. )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in a fastened state, and this part is currently widely used,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수직지지바(20)의 하부에는 외향연장부재(60)가 설치된다. 상기 외향연장부재(60)는 예를 들면 볼트(Ba)에 의하여 상기 수직지지바(20)의 하부측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외향연장부재(60)는 그 각도를 적절하게 조정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Ba)에 의하여 수직지지바(2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향연장부재(60)는 대략적으로 V형상을 한 메인바(61)와, 상기 메인바(61)의 외측단부에서 상향 연장된 상향바(62)로 구성되고 이들은 일체로 성형 될 수 있다. The outward extension member 60 is installed below the vertical support bar 20.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support bar 20 by, for example, bolts (Ba). For example,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may be fixed to the vertical support bar 20 by the bolt Ba in an appropriately adjusted angle thereof.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is composed of a main bar 61 having a substantially V shape and an upward bar 62 extending upward from an outer end of the main bar 61, and these may be integrally formed. .

실질적으로 상기 외향연장부재(60)는 안전망(10)을 외측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그 외측단부라고 할 수 있는 상향바(62)의 상단부가 상기 수평지지바(30)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외향연장부재(60)의 외측단부(상향바)의 상단부와 상기 수평지지바(30) 사이에 안전망을 설치하게 되면, 안전망(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안전망을 지지하는 것은, 상기 외향연장부재(60)와 수평지지바(30)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안전망(10)은 그 하부의 구조물에 의하여 지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전망(10)의 상부에는 어떠한 지지구조물도 설치되지 않아서, 안전의 측면에서 더욱 유리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Substantially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afety net 10 in an inclined upward direction to the outside, and the upper end of the upward bar 62, which may be referred to as its outer end, is supported by the horizontal support bar ( 30) Installed to be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Therefore, when the safety net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outer end (upper bar) of the outward extension member 60 and the horizontal support bar 30, the safety net 10 is installed in an inclined upward direction to the outside as shown Can be.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net in this state is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and the horizontal support bar 30, it can be seen that the safety net 10 is substantially supported by the structure below. Therefore, no support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afety net 10, which has a more advantageous advantage in terms of safety.

그리고 상기 외향연장부재(60)는 연장바아(70)에 의하여 지지되어 구조적으로 더욱 견고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장바아(70)는, 일측(내측)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바(20)에 고정되고 타측(외측)단부가 상기 외향연장부재(6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바아(70)는, 내측단부가 수직지지부(20)에 고정되는 보조아암(72)과, 상기 보조아암(72)의 외측단부에 고정되고, 파이프형상의 외향연장부재(60)의 저면을 받치는 서포터(74)로 구성되어, 외향연장부재(60)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서포트 (74)는 상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져서, 상기 외향연장부재(60)를 내측으로 수납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may be supported by the extension bar 70 to have a more structurally strong strength. The extension bar 70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inner) end is fixed to the vertical support bar 20 and the other (outer) end supports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extension bar 70 is fixed to the secondary arm 72, the inn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vertical support 20, and the outer end of the auxiliary arm 72, the pipe-shaped outward It can be seen that it is composed of a supporter 74 that supports the bottom of the extension member 60, and firmly supports the outward extension member 60.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74 has a shape in which an upper surface is opened, so that the support 74 can be suppor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is received inward.

여기서 상기 외향연장부재(60)는 건축물의 벽면 부근에서 외측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외향연장부재(60)는 안전망을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상기 외향연장부재(60)가 실질적으로 안전망을 지지하게 된다. Here,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is installed to the outside near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nd it can be seen that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performs a function of a frame substantially supporting the safety net. That is,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substantially supports the safety net.

그리고 종래의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건축공사에 필요한 자재를 높은 층으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전체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안전망의 일부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And as mentioned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transport the material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work on a high floor, it must be configured to fold a part of the safety net installed to sur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building.

이렇게 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향연장부재(60)를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하고 안전망을 각각 별도로 설치하지 않으면 안된다. 상기와 같은 외향연장부재(이하에서는 지지바아라고도 칭함)를 이용하여 안전망이 각각 별도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데, 외향연장부재(지지바아)를 서로 인접하게 설치하고, 각각의 외향연장부재는 별도의 안전망을 각각 좌,우측으로 지지하게 된다. 즉 하나의 안전망이, 한쌍의 외향연장부재(또는 지지바아)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렇게 안전망의 일부분이 별도로 설치되면, 이러한 안전망을 지지하는 한쌍의 외향연장부재(또는 지지바아)를 그 내측단부를 중심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되고 이렇게 들어올려지면, 그 부분에는 건출물을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인접하는 외향연장부재(각각 다른 안전망을 지지하는 인접하는 것) 사이에는 일정한 틈새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In order to configure this, the outward extension members 60 must b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safety nets must be separately installed. Safety nets can be installed separately by using the outward extension memb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pport bars) as described above. The outward extension members (support bars) ar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each outward extension member is a separate safety net. Will be supported left and right respectively. That is, one safety net is independently installed by a pair of outwardly extending members (or support bars). When a part of the safety net is installed separately, a pair of outwardly extending members (or support bars) supporting such a safety net can be lifted about the inner end thereof, and when lifted up, the part will be moved upward. It can be a passage. At this time, a certain gap is generated between adjacent outward extension members (adjacent ones supporting different safety nets).

즉, 내측단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별도의 안전망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바아(외향연장부재)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틈새는 실질적으로 안전망의 기본적인 기능에 부합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즉, 안전망 자체의 목적은 건축물에서 떨어지는 물건을 안전하게 받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나, 이와 같은 틈새가 발생하게 되면 그 사이를 통하여 물건이 떨어질 우려가 있음과 동시에 안전상 다른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는 것이다. That is, a predetermined gap is generated between a pair of support bars (outwardly extending members) that are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inner end and support a separate safety net. However, this gap has a disadvantage that does not substantially meet the basic functions of the safety net. That is, the purpose of the safety net itself is to be installed in order to safely receive the falling objects from the building, if such a gap occur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goods may fall through between them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other problems may occur.

따라서 이러한 틈새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외향연장부재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바아(70)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연장바아(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연장부재(6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외측이라고 함은, 도 5에 있어서 독립된 안전망(SA)를 지지하는 한쌍의 외향연장부재(60)에서 상기 안전망(SA)에 대한 외측을 의미하는데, 이는 인접한 다른 안전망(SB 또는 SC)을 향하는 방향이고, 더욱이 외향연장부재(60)와, 그것과 인접한 다른 외향연장부재(60A 또는 60B)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망(SA)를 지지할 수 있는 방향을 의미한다.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uch a g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bar 70 extending outward from the end of the outward extension member. The extension bar 70 is install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as shown in FI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uter side means an outer side of the safety net SA in the pair of outwardly extending members 60 supporting the independent safety net SA in FIG. 5, which is adjacent to another safety net SB or SC. It is a direction toward the direction, and further means a direction that can support the safety net (SA) so that the gap generated between the outward extension member 60 and the other outward extension member (60A or 60B) adjacent thereto does not occur.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외향연장부재(60)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향 연장부재(60)의 단부에는 연장바아(70)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바아(70)는 외측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연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상기 연장바아(70)는 외향연장부재(60)의 단부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 부호 72는, 상기 연장바아(70)의 단부에 설치되어 안전망을 일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안전망고리이다. 3 is a plan view of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an extension bar 7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extension bar 70 extends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o the outside, the extension bar 70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end of the outward extension member 60 by welding. It is. Reference numeral 72 is a safety mandrel provid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bar 70 to support one end of the safety net.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외향연장부재(60)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바아(70)는 외향연장부재(6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장바아(70)의 내측단부에는 나사부(74)가 형성되고, 상기 외향연장부재(60)의 외측단부에는 상기 나사부(74)와 나사결합할 수 있는 너트와 유사한 기능의 나사결합부(65)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이 서로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연장바아(70)가 외향연장부재(6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연장바아(70)의 외측단부에는 고리(72)가 설치되어 있어서, 안전망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4 is a plan view of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extension bar 7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For example, a threaded portion 74 is formed at an inner end of the extension bar 70, and a screwed portion having a function similar to a nut that can be screwed with the threaded portion 74 is formed at an outer end of the outward extension member 60. Since the portion 65 is formed, and they are screwed together, the extension bar 70 shows an embodiment detachably installed to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Also in this embodiment, the ring 72 is provided at the outer end of the extension bar 70,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outside of the safety net.

이와 같이 설치되는 연장바아(70)를 이용하여 안전망이 설치된 상태가 도 5의 우측부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바아(70)를 이용하여 안전망(SA)를 더욱 외측으로 연장시켜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연장바아(70)에 의하여 안전망(SA)의 안전망보조부분(SF)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안전망(SA)와 일체로 형성되는 안전망보조부분(SF)은, 실질적으로 인접한 외향연장부재(60,60A 또는 60,60B) 사이의 틈새를 상부에서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state where the safety net is installed using the extension bar 70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the right part of FIG. 5. As shown, by using the extension bar 70 is installed to extend the safety net (SA) to the outside more, the safety bar auxiliary portion (SF) of the safety net (SA) is formed by the extension bar (70). . As described above, the safety net auxiliary part SF formed integrally with the safety net SA may be installed to cover a gap between the substantially adjacent outward extension members 60, 60A or 60, 60B. have.

도 5에 있어서, 만일 인접하는 외향연장부재들(60,60A) 사이에 안전망보조부분(SF)가 없다면, 그 사이에는 일정한 틈새가 발생할 수 밖에 없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형연장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상술한 연장바아(70)를 설치하고, 독립된 중간의 안전망(SA)가 상기 연장바아(70)의 단 부까지 걸쳐지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틈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n Figure 5, if there is no safety net auxiliary portion (SF) between the adjacent outward extension members (60, 60A), it will be confirmed that a certain gap will occur between them.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above-described extension bar 70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external extension member, and configured so that an independent intermediate safety net SA extends to the end of the extension bar 70, It can be seen that 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uch a gap.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바아(70)는 독립된 안전망(SA)를 지지하는 한쌍의 외향연장부재(60)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extension bar 70 is configured to extend outward from each of the pair of outwardly extending members 60 supporting the independent safety net (SA).

여기서 본 발명은 외향연장부재(60)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바아를 설치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연장바아(70)는 실질적으로 외향연장부재(60)의 내측 안전망의 일부를 외측으로 연장시켜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실질적인 형상 등에 대해서는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연장바아(70)는 실질적으로 인접하는 외향연장부재(60)와의 틈새를 커버할 수 있도록 안전망을 연장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면 충분하다. Here,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kes the basic technical idea to install an extension bar extending outward from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In addition, the extension bar 7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substantially extend a portion of the inner safety net of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to the outside, and of course,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the actual shape. It is sufficient that the extension bar 7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support the safety net in an extended state so as to cover the gap with the adjacent outward extension member 60.

본 발명에서 상기 외향연장부재(60)는 실질적으로 건축물의 둘레를 따라 소정 길이로 설치되는 안전망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건출물에서 외부로 거의 수직상태로 설치되는 바아형상의 부재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연장바아(70)는, 실질적으로 안전망을 지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외벽에서 외측으로 설치되어 있는 어떠한 프레임 등과 같은 지지바아에 설치될 수 있음도 자명한 사실이다. 즉,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고, 그 사이에서 안전망의 양측단부를 지지하는 어떠한 형태의 지지바아의 단부에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바아를 설치하고, 상기 연장바아의 단부에 안전망의 외측일단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충분히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장바아가 수직지지바에서 건축물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구조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외향연장바(또는 지지바아)가 건축물의 비계에 지지되어 건축물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60 means a bar-shaped member which is installed in a substantially vertical state to the outside from the building so as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safety net installed to a predetermined length substantial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uilding. And it is also apparent that the extension bar 7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 a support bar, such as any frame installed on the outside from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to substantially support the safety net. That is, it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there is provided an extension bar extending outwardly at the end of any type of support bar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safety net, and the outer end of the safety net is to be supported at the end of the extension ba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arried out by the configuration so as to be possible. 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through a structure in which an extension bar is installed outside of the building in a vertical support bar, but the outwardly extending bar (or support bar) is supported on the scaffold of the building to Naturally, it can be applied to the embodiment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of course,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연장바아의 구성에 의하여 인접하는 외향연장부재(또는 안전망 지지를 위한 지지바아)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틈새의 발생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외향연장부재(지지바아)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틈새를 보조 안전망이 완전히 커버하여 불의의 안전사고를 더욱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by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nsion bar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the occurrence of a gap that can occur between the adjacent outward extension member (or support bar for supporting the safety net), By the same configur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auxiliary safety net completely covers the gap that may occur between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s (support bars) to prevent accidental safety accidents more completely.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건물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안전망이, 그 하부의 지지구조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낙하물이 안전망 주위로 낙하할 때, 다른 구조물과 접촉하지 않게 되어, 낙하물이 다른 구조물에 부딪혀서 지상으로 낙하하거나 사람이 다른 구조물에 접촉하여 상해를 입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안전망은, 실질적으로 건물의 내측에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전망 설치시의 안전사고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afety net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is supported by the lower support structure. Therefore, when falling objects fall around the safety net, they will not come into contact with other structures, and it is possible to solve problems such as falling objects hitting other structures, falling to the ground, or people being injured by touching other structures. have. In addition, since the safety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substantially inside the building, it is expected that the safety net at the time of safety net installation can be completely prevented.

Claims (4)

건물의 외측벽에 일정한 상향 경사각을 가지고 설치되는 안전망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로써;As a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safety net installed with a constant upward inclination angl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건축물의 외벽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밀착 설치되는 수직지지바;Vertical support bar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후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바에 지지되고, 외측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바 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외측 상부로 연장되며, 적어도 일부의 안전망의 양측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로 설치되는 외향연장부재; An outward extension member having a rear end supported by the vertical support bar, an outer end extended upwardly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vertical support bar, and installed in plural to support both sides of at least some of the safety nets; 상기 수직지지바를 건축물의 발코니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그리고Fixing means for fixing the vertical support bar to a balcony of a building; And 상기 외향연장부재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인접하는 외향연장부재와의 틈새를 안전망이 커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연장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 지지장치.And an extension bar extending outward from an end of the outward extension member, the extension bar being installed to cover a gap with an adjacent outward extension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바아는 외향연장부재의 단부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 지지장치. The safety net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nsion bar is fixed to the end of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by we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망은, 상기 연장바아는, 외향연장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는 나사결합부와 연장바아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는 나사부에 의하여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 지지장치. The safety net of claim 1, wherein the extension bar is screwed by a screwing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outwardly extending member and a screwing portion formed at an inner end of the extension bar. 건물의 외측벽에 일정한 상향 경사각을 가지고 설치되는 안전망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로써; As a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safety net installed with a constant upward inclination angle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일부 안전망의 양측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벽면측에서 외측으로 설치되는 지지바아의 외측단부에, 인접하는 지지바아와의 틈새를 커버할 수 있도록 안전망의 외측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바아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 지지장치.In order to support both ends of some of the safety net, the outer end of the support bar, which is installed outward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extends outward to support the outer end of the safety net so as to cover a gap with the adjacent support bar. Safety net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extension bar.
KR1020050029078A 2005-04-07 2005-04-07 Safety net for constructing building KR200601070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078A KR20060107080A (en) 2005-04-07 2005-04-07 Safety net for constructing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078A KR20060107080A (en) 2005-04-07 2005-04-07 Safety net for constructing build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080A true KR20060107080A (en) 2006-10-13

Family

ID=37627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078A KR20060107080A (en) 2005-04-07 2005-04-07 Safety net for constructing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708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253Y1 (en) * 2018-01-19 2019-08-28 한선아 Installation Structure of Safety Net for Openings with Improved Ease of Install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253Y1 (en) * 2018-01-19 2019-08-28 한선아 Installation Structure of Safety Net for Openings with Improved Ease of Install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2800B1 (en) Protection device for roof and floor openings
US10030397B2 (en) Fall protection system
RU2400609C2 (en) Complex system of accident prevention support in construction
US7802773B2 (en) Reusable fall restrain supports and fall arrestor
US20060054393A1 (en) Modular safety railing system
KR20180050154A (en) Apparatus for installing fall protector net, and method thereof
CN108699847A (en) Side guard plate, the ceiling formwork system at least one this side guard plate and the method for setting up this side guard plate
WO2005001220A1 (en) Improvements in scaffolding brackets
US7503372B1 (en) Roof worker protective netting apparatus
KR20200126688A (en) Safety device for inter-layer slab
KR20060107080A (en) Safety net for constructing building
JP2018087450A (en) Support device
KR100493800B1 (en) Safety net for constructing building
JPH11343742A (en) Safety fence
KR200386867Y1 (en) Horizontal safety nets equipment
KR20100030720A (en) Multi-functional net structured safety net
JP2527089Y2 (en) Folding morning glory device
KR100579826B1 (en) Device for supporting outer structure for buildng under construction
KR20060095220A (en) The protective net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060111907A (en) Device for supporting safety net for constructing building
KR200201580Y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a fall
EP1854940A1 (en) Scaffolding
KR20060104233A (en) Safety net for constructing building
KR100534640B1 (en) Device for supporting safety net for constructing building
EP1215354A2 (en) Protection device for people working on roofs of buildings or the like, and for supporting workers during works on the cornices of the roof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