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6357A - 홈 네트워크의 댁내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의 댁내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6357A
KR20060106357A KR1020050029448A KR20050029448A KR20060106357A KR 20060106357 A KR20060106357 A KR 20060106357A KR 1020050029448 A KR1020050029448 A KR 1020050029448A KR 20050029448 A KR20050029448 A KR 20050029448A KR 20060106357 A KR20060106357 A KR 20060106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mode control
homs
hom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2136B1 (ko
Inventor
신용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9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136B1/ko
Publication of KR20060106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73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web services for network management, e.g.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SO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의 댁내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홈 네트워크 서비스시 모드제어를 위해 필요한 홈넷 관리서버(HOMS)와 댁내간에 설치되는 게이트웨이(RG) 간의 효율적으로 연동될 수 있는 프로토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홈넷 관리서버(HOMS)와; 댁내의 디바이스 모드 제어를 위한 다수의 디바이스 모드를 구비하며, 댁내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RG) 및, 상기 홈넷 관리서버(HOMS)와 댁내외 게이트웨이(RG) 사이의 모드제어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 기반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의 댁내 서비스 모드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HOMS에서 RG에게 TCP/IP접속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HOMS에서 사용자가 편집한 모드제어의 종류 및 내용을 저장함과 더불어 RG에게 전달하기 위해 SOAP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RG에서는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보 HOMS로 전송한 후, 접속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댁내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을 제시한다.
홈 네트워크, 모드제어, 관리서버, 게이트웨이

Description

홈 네트워크의 댁내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Method for service mode control of home in home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비스 구성도 이다.
도 2는 댁내 게이트웨이(RG)와 연동된 홈넷 관리서버(HOMS)의 상세 구성도 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댁내 서비스 모드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HOMS와 RG간의 연동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의 댁내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 모드제어를 위해 필요한 홈넷 관리서버(HOMS)와 댁내간에 설치되는 게이트웨이(RG) 간의 효율적으로 연동될 수 있는 프로토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서비스 중에서 모드제어 서비스가 있다. 모드 제어 서비스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모드를 셋팅할 수 있는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모드를 설정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홈넷 관리서버(Home network Management Server 이하; HOMS)에서 사용자가 셋팅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를 제공한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모드의 종류 및 모드의 내용(예컨대, 전등 꺼짐, 문 잠김, 가스 잠김, 센서 가동)을 HOMS의 UI를 통해 정의해 둘 수 있다.
물론, 수시로 이에 대한 변경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렇게 미리 셋팅을 해둔 모드 제어를 이동단말기, 개인휴대정보 단말기(PDA), 컴퓨터(PC) 등을 통해서 집 밖에서 제어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댁내에서도 이동단말기, PC, 리모콘 등을 가지고 모드제어를 할 수 있다. 이렇게 모드제어가 댁내 외에서 항상 일관성 있게 실행되기 위해서는 HOMS에 셋팅되는 모드 제어의 정보가 댁내 게이트웨이(Residential Gateway 이하; RG)에도 그래도 셋팅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집 밖에서 모드제어를 수행하는 경우는 제어 명령을 HOMS가 받아 이를 RG에 전달하고, 이를 받은 RG는 모드제어의 내용(예컨대, 전등 꺼짐, 문 잠김, 가스 잠김, 센서 가동)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반대로 댁내에서 모드제어가 수행된 경우도, RG는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 모드제어의 내용을 수행한 후, 모드 수행 결과를 HOMS에게 전달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댁외에서 접속하였을 경우, 댁내의 모드제어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서비스의 모드제어(외출모드, 취침모드, 기본모드, 재택모드, 영화모드 등)를 위해 홈넷 관리서버(HOMS)와 댁내 게이트웨이(RG) 간에 연동되는 효율적인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홈넷 관리서버(HOMS)와; 댁내의 디바이스 모드 제어를 위한 다수의 디바이스 모드를 구비하며, 댁내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RG) 및, 상기 홈넷 관리서버(HOMS)와 댁내외 게이트웨이(RG) 사이의 모드제어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 기반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의 댁내 서비스 모드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HOMS에서 RG에게 TCP/IP접속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HOMS에서 사용자가 편집한 모드제어의 종류 및 내용을 저장함과 더불어 RG에게 전달하기 위해 SOAP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RG에서는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보 HOMS로 전송한 후, 접속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댁내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모드 제어 서비스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모드를 셋팅할 수 있는 것으로서 외출모드, 취침모드, 기본모드, 재택모드, 영화모드 등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비스 구성도 이다. 도 2는 댁내 게이트웨이(RG)와 연동된 홈넷 관리서버(HOMS)의 상세 구성도 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10)과; 기지국(20); 인터넷망(30); 홈넷 관리서버(HOme Management Server: HOMS)(40); 및 다수의 디바이스 모드(Device Mode)(60)가 구비되어 연결된 댁내 게이트웨이(Residential Gateway: RG)(50)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동기식과 비동기식 방식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혹은 무선 노트북,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예로 제시하였다.
기지국(BTS)(20)은 사용자 단말(10)과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전송경로에 위치해 있는 연결된 기지국제어기(BSC)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인터넷(30)망은 사용자 단말(10)과 HOMS(40) 사이의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통신망을 제공한다.
HOMS(40)은 홈 넷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로서 댁내 게이트웨이(RG)(50)와 연동되어 사용자 단말(10)의 요구를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구비하며, 홈 네트워크 서비스의 모드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계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한 상세 구성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댁내 게이트웨이(RG)(50)에는 모드제어를 위한 댁내에 사용되는 복수의 디바 이스 모드(6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댁내 게이트웨이(RG)(50)에는 도 1에 도시 되어 있지 않지만 전등 꺼짐, 문 잠김, 가스 잠김, 센서 가동 등에 대한 다수의 디바이스 모드(Device Mode)가 부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댁내 게이트웨이(RG)와 연동되는 홈넷 관리서버(HOMS)의 상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HOMS(40)은 웹(WEB)/왑(WAP), 가상머신(VM) 등을 구비하는 인터넷(30)과 연동된 어플리케이션 서버(41)와;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 역할을 하는 HomsUPnP(42); 사용자/디바이스 정보DB(User/Device Information DB)(43); 및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HomsRgIF(44)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HomsUPnP(42)와 HomsRgIF(44)는 RG(50)와 연동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41)는 각 단말의 요구를 받아 처리하며, HomsUPnP(42)로부터 응답을 단말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 때, 각 단말은 HOMS(40)의 WEB 서버로 접속하며, 각 단말의 요청을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서버(41)에서 XML을 이용해 분석하여 HomsUPnP(42)로 전달한다. 또한, HomsUPnP(42)로부터의 응답을 XML을 이용하여 각 단말에 맞게 변환한 후 각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서버(41)로 전달한다.
상기 HomsRgIF(44)는 RG 등록, 인증 및 접속관리를 담당하는 프로세스이며, RG(50)와 TCP/IP상에서 SOAP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또한, 데몬(Daemon)으로 수행되는 프로세스이며, RG(50)로부터의 요청을 받아 처리한다.
여기서, SOAP란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로 XML을 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로써 서로 다른 것들을 연결시켜주는 프로토콜로 XML과 HTTP를 사용해서 어느 플랫폼이든지 해당 서버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상기 HomsUPnP(42)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서버(41)로부터의 장치 제어 및 이벤트 제어 명령을 받아 처리하는 프로세스이다. 데몬(Daemon)으로 수행되는 프로세스이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서버(41)로부터 요청을 받거나, RG(50)로부터 요청을 받아 처리한다.
또한, RG(50)로부터 디바이스 및 서비스 디스크립션(description) 파일을 가져와 저장하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서버(41)에서는 장치 제어 시 이를 사용한다.
이 때, 상기 각 프로세스는 요청 및 응답 메시지의 XML 데이터 파싱 작업을 수행하며, 사용자 및 디바이스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거나, 변경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댁내 서비스 모드제어의 내용을 수행하기 위한 HOMS와 RG간의 연동 프로토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시지는 UPnP forum에서 정의하고 있는 SOAP에 기반 한다.
도 3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HOMS의 UI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모드제어의 종류 및 내용을 편집하는 경우 이를 RG에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HOMS(40)에서는 RG(50)에 TCP/IP접속을 요청한다. 그 후, 사용자가 편집한 모드제어의 종류 및 내용을 HOMS(40) 자신도 저장하고, 이를 RG(50)에게 전달하기 위해 ModeUpdateRequest(SOAP) 메시지를 보낸다.
그러면, RG(50)에서는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보낸 후, 접속을 종료한다.
즉, 상기의 동작이 끝나면, HOMS(40)와 RG(50)에 셋팅된 모드제어의 종류 및 내용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모드 종류 및 그 내용에 대한 변경은 HOMS의 UI에서만 가능하므로, ModeUpdateRequest(SOAP) 메시지도 HOMS(40)에서만 시작된다. 위의 동작을 위한 메시지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ModeUpdate 요청 변수>
Field Name Data Type 설명 비고
RGID xsd_string RG ID
RGPasswd xsd_string RG Password
Mode1 xsd_string Mode1의 설정 정보 Mode 설정 명명 법 참조
Mode2 xsd_string Mode2의 설정 정보
Mode3 xsd_string Mode3의 설정 정보
Mode4 xsd_string Mode4의 설정 정보
Mode5 xsd_string Mode5의 설정 정보
<ModeUpdate 응답 변수>
Field Name Data Type 설명 비고
Result xsd_string 요청 정보 확인 “0”실패, “1”성공
상기 Mode 설정의 명명에서 설정 방법은
"Mode Description”+ "||||" + "Device uuid" + "=" + "0"/"1" + "||" + "Device uuid" + "=" + "0"/"1" + …
그 의미로서 "Mode Description" 은 "취침모드", "기상모드" 등 모드의 이름을 말하고, "=" 다음의 "0"은 OFF, "1"은 ON을 의미한다.
또한, 모든 디바이스는 모드 설정시 기본적으로 ON/OFF만 제공하며, uuid 는 Universal Unique Identifier 를 나타낸다.
이어서, 도 4는 실제로 사용자가 댁외에서 모드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HOMS가 RG에게 이를 알리기 위한 동작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HOMS(40)는 RG(50)에게 모드제어를 위한 ModeRequest(SOAP)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러면, RG(50)에서는 모드 번호를 읽어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모드의 종류를 찾고, 이를 수행한다. 이때, HOMS(40)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를 위한 메시지의 내용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즉, 이미 HOMS(40)와 RG(50)는 위에서 정의한 ModeUpdateRequest(SOAP)에 의해 동일한 모드 종류와 내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달되는 정보는 모드가 몇 번인지 만 전달된다.
<ModeRequest 요청 변수>
Field Name Data Type 설명 비고
RGID xsd_string RG ID
RGPasswd xsd_string RG Password
Mode xsd_string Mode No 설정된 모드 번호, ModeX일 경우는 X
<ModeRequest 응답 변수>
Field Name Data Type 설명 비고
Result Xsd_string 요청 정보 확인 “0”실패, “1”성공
이어서, 도 5는 RG입장에서 모드 변경이 이루어진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HOMS에게 전달하기 위한 동작이다. 도 5의 ModeChangeRequest(SOAP)는 첫째, RG(50)가 도 4의 ModeRequest(SOAP) 메시지를 받아서 모드제어를 수행한 경우와, 둘째 댁내에서 사용자가 모드 제어를 수행한 경우 동작되는 메시지이다. 두 경우 모두 RG의 모드 변경상태가 HOMS(40)에 전달되어 결국 항상 HOMS(40)와 RG(50)의 모드제어 종류와 내용이 동기화가 되는 것이다. 위의 동작을 위한 메시지의 형태는 아래의 표 3과 같다.
<ModeChange 요청 변수>
Field Name Data Type 설명 비고
RGID xsd_string RG ID
RGPasswd xsd_string RG Password
Mode xsd_string Mode No 설정된 모드 번호, ModeX일 경우는 X
<ModeChange 응답 변수>
Field Name Data Type 설명 비고
Result xsd_string 요청 정보 확인 “0”실패, “1”성공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홈 네트워크 서비스의 모드제어를 위해 홈넷 관리서버(HOMS)와 댁내 게이트웨이(RG) 간에 연동되는 프로토콜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모드제어에서는 외출모드, 취침모드, 기본 모드 등 다양한 모드가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취침모드에는 전등 꺼짐, 문 잠김, 가스 잠김, 센서 가동 등이 하나의 집합으로 외출 모드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Claims (6)

  1.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홈넷 관리서버(HOMS)와; 댁내의 디바이스 모드 제어를 위한 다수의 디바이스 모드를 구비하며, 댁내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RG) 및, 상기 홈넷 관리서버(HOMS)와 댁내외 게이트웨이(RG) 사이의 모드제어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 기반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의 댁내 서비스 모드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HOMS에서 RG에게 TCP/IP접속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HOMS에서 사용자가 편집한 모드제어의 종류 및 내용을 저장함과 더불어 RG에게 전달하기 위해 SOAP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RG에서는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보 HOMS로 전송한 후, 접속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댁내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을 종료하는 경우 HOMS와 RG에 셋팅된 모드제어의 종류 및 내용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드제어의 종류 및 내용에 대한 변경은 HOMS의 UI에서만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댁외에서 모드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HOMS에서 RG에게 모드제어를 위한 SOAP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RG에서 모드 번호를 읽어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모드의 종류를 찾고, 수행한 후, HOMS에게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G에서 모드변경이 수행되는 경우
    RG에서 SOAP 메시지를 받아서 모드제어를 수행하거나, 댁내에서 사용자가 모드 제어를 수행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제어 서비스는 외출모드, 취침모드, 기본모드, 재택모드, 영화모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KR1020050029448A 2005-04-08 2005-04-08 홈 네트워크의 댁내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KR101082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448A KR101082136B1 (ko) 2005-04-08 2005-04-08 홈 네트워크의 댁내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448A KR101082136B1 (ko) 2005-04-08 2005-04-08 홈 네트워크의 댁내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357A true KR20060106357A (ko) 2006-10-12
KR101082136B1 KR101082136B1 (ko) 2011-11-09

Family

ID=37627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448A KR101082136B1 (ko) 2005-04-08 2005-04-08 홈 네트워크의 댁내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1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954B1 (ko) * 2006-12-26 2008-06-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원격 제어 기기 모드 제어 방법
US8340100B2 (en) 2007-08-22 2012-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quality of service in universal plug and play networ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165B1 (ko) * 2011-11-14 2019-04-1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월패드 기반의 홈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2347B2 (ja) * 2000-01-31 2008-10-08 富士通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400458B1 (ko) * 2001-05-14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가능한 가전기기의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방법
KR100485809B1 (ko) * 2003-03-07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KR20050014357A (ko) * 2003-07-31 2005-02-07 (주)유비큐 홈 게이트웨이와 컴퓨터를 활용한 홈 오토메이션기기와연동이 가능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954B1 (ko) * 2006-12-26 2008-06-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원격 제어 기기 모드 제어 방법
US8340100B2 (en) 2007-08-22 2012-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quality of service in universal plug and play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2136B1 (ko)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9723B2 (en) Internet control system and method
US7865198B2 (en) Method for message exchanging service between residenti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6763040B1 (en) Internet control system communication protocol and method
RU2291581C2 (ru) Способ равноправ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устройств в динамически работающих домашних сетях
US9992731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formation push service based on wireless LAN access point
EP2978144A1 (en) Unified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100978336B1 (ko) 리모트 액세스
KR101669672B1 (ko) 단말의 원격 관리 방법 및 장치
EP1566939A1 (en) Media streaming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1955489A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web syndication protocols as an out-of-band upnp service discovery system
JP2002094543A (ja) 携帯情報機器、携帯情報機器アクセス装置、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ホームネットワークに対するアクセス方法
US8001220B2 (en) Dynamic UI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legacy device
KR20030028310A (ko)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피제어 장치를 인터넷을 통해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제어 장치
KR101082136B1 (ko) 홈 네트워크의 댁내 서비스 모드 제어 방법
KR101048613B1 (ko)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UPnP기반 RG 시스템
JP2003111170A (ja) 家電機器、家電サーバ装置及び中継装置
KR20050078541A (ko) 홈네트워크 디바이스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JP2004318486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構成機器
WO2007071808A1 (en) Instant messaging
Antoniou et al. NFC-based mobile middleware for intuitive user interaction with security in smart homes.
KR101041320B1 (ko)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이벤트 프로토콜 처리방법
KR101049339B1 (ko) 다양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CN105323125A (zh) 一种跨家庭网络的处理方法及http网关、dlna设备
KR100437045B1 (ko)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39138B1 (ko)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