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860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의 보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의 보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860A
KR20060105860A KR1020050028300A KR20050028300A KR20060105860A KR 20060105860 A KR20060105860 A KR 20060105860A KR 1020050028300 A KR1020050028300 A KR 1020050028300A KR 20050028300 A KR20050028300 A KR 20050028300A KR 20060105860 A KR20060105860 A KR 20060105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state
buffer
buffer status
stat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8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6252B1 (ko
Inventor
김성훈
리에샤우트 게르트 잔 반
이국희
정경인
곽용준
곽노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8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252B1/ko
Publication of KR20060105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98Word or number g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being connectible magnetical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향 링크를 통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UE)이 전송하는 버퍼 상태 보고 값과 단말의 실제 버퍼 상태 사이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성을 줄이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사용자 단말의 비교부는, 사용자 단말의 실제 버퍼 상태에 따라 정해지는 제1 기준 버퍼 상태와 제2 기준 버퍼 상태와 비교한다. 버퍼 상태 코드 선택부는,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가 상기 제2 기준 버퍼 상태보다 크면,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보다 작은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하고,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가 상기 제2 기준 버퍼 상태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보다 큰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버퍼 상태 코드는 기지국으로 전송되기 위한 버퍼 상태 보고를 구성하는데 이용된다.
WCDMA, UPLINK PACKET DATA SERVICE, E-DCH, EUDCH, Buffer Status, Buffer Status Report, Buffer Status Code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의 보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BUFFER STATUS REPORTING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도 1a는 기지국 제어 스케줄링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의 상향링크 무선자원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1b는 기지국 제어 스케줄링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의 상향링크 무선자원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상향링크 패킷 전송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상향링크 패킷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간에 송수신되는 정보들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a는 버퍼 상태 코드의 예.
도 5b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
도 6a는 실제 버퍼 상태가 최소 버퍼 상태 코드가 의미하는 값보다 큰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도면.
도 6b는 실제 버퍼 상태가 최소 버퍼 상태 코드가 의미하는 값보다 작은 경 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8a는 실제 버퍼 상태가 최대 버퍼 상태 코드가 의미하는 값보다 작은 경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도면.
도 8b는 실제 버퍼 상태가 최대 버퍼 상태 코드가 의미하는 값보다 큰 경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은 상향링크를 통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지국(Node B)이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전송의 스케줄링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동기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라 한다.) 통신시스템은 향상된 역방향 전용 채널(Enhanced Uplink Dedicated CHannel; 이하 "EUDCH" 또는 "E-DCH"라 한다.)을 사용한다. 상기 E-DCH는 비동기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통신에 있어서 패킷 전송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채널이다.
E-DCH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스케쥴링(Node B-controlled scheduling) 기법과 복합 재전송(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이하 "HARQ"라 한다) 기법을 사용하여 역방향 전송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상기 기지국 스케줄링 기법은 기지국(Node B)이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들의 채널 상황과 버퍼 상태를 보고 받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UE들의 역방향 전송을 제어하는 것이다. 기지국은, 채널 상황이 양호한 UE들에게는 대량의 데이터 전송을 허용하고, 채널 상황이 열악한 UE들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최소화함으로써 제한된 역방향 전송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한다. HARQ 기법은 UE와 기지국 사이에 HARQ를 실행함으로써 전송 출력 대비 전송 성공율을 높인다. HARQ 기법을 통해 기지국은, 전송 도중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 블록을 폐기하지 않고 재전송된 데이터 블록과 소프트 컴바이닝(soft combining)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블록의 수신 성공 확률을 높인다.
상향링크에서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UE)들이 송신하는 신호들 상호간에 직교성이 유지되지 않아 상호간의 간섭신호로 작용한다. 이로 인해 상기 기지국이 수신하는 상기 상향링크 신호들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특정 UE가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신호의 양도 증가한다. 따라서 특정 UE가 전송하는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신호의 양이 증가할수록 상기 기지국의 수신성능은 저하된다. 이로 인해 상기 기지국은 전체 수신 성능을 보장하면서 수신할 수 있는 상향링크 신호의 양을 제한한다. 기지국의 무선자원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RoT = Io/No
상기 Io는 상기 기지국의 전체 수신 광대역 전력 스펙트럼 밀도(Power spectral density)이며, 상기 No는 기지국의 열잡음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ROT는 상기 기지국이 상향 링크에서 상기 E-DCH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할당할 수 있는 무선자원이 된다.
도 1a와 도 1b는 기지국에서 할당할 수 있는 상향링크 무선 자원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상기 도 1a와 도 1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이 할당할 수 있는 상향링크 무선자원은 ICI(Inter-cell interference 101, 113), 음성 트래픽(Voice traffic 102, 112), E-DCH 패킷 트래픽들(103, 111)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도 1a는 기지국 스케쥴링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총 ROT(Total ROT)의 변화를 나타낸다. 상기 E-DCH 패킷 트래픽에 대해 스케쥴링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복수 개의 UE들이 동시에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총 ROT는 목표 ROT(Target ROT)보다 높은 레벨이 될 수 있다(105, 106, 107).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성능은 저하된다.
도 1b는 기지국 스케쥴링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총 ROT의 변화를 나타낸다. 상기 기지국 스케쥴링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은 상기 복수 개의 UE들이 동시에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기지국 스케쥴링은 특정 UE에게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허용하는 경우 다른 UE들에게는 낮은 데이터 레이트를 허용함으로써 상기 총 ROT가 상기 목표 ROT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정 UE의 데이터 레이트가 높아지면 상기 기지국이 상기 UE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전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UE의 ROT는 상기 총 ROT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반면, 다른 UE의 데이터 레이트가 낮아지면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다른 UE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전력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다른 UE의 ROT는 상기 총 ROT에서 적은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데이터 레이트와 무선자원간의 관계, 상기 UE가 요청하는 데이터 레이트를 고려하여 상기 E-DCH 패킷 데이터에 대한 기지국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E-DCH를 사용하는 UE들의 요청 데이터 레이트, 버퍼 상태 또는 채널 상황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각 UE별로 E-DCH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를 통보하거나, 상기 E-DCH 데이터 레이트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 스케쥴링을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 스케쥴링은 기지국이 E-DCH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의 채널 상황과 버퍼 상태를 바탕으로, 각 단말에게 ROT를 분배하는 동작이라 볼 수 있다.
도 2는 상향링크 패킷 전송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을 도시한 것이 다.
상기 도 2에 따르면, UE들(201, 202, 203, 204)은 기지국(200)과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역방향 채널의 송신 전력으로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다.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상기 UE(204)는 가장 높은 역방향 채널의 송신 전력(224)으로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며, 상기 기지국(200)으로부터 가장 가까이 있는 상기 UE(202)는 가장 낮은 역방향 채널의 송신 전력(222)으로 상기 패킷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기지국(200)은 총 ROT를 유지하면서 다른 셀에 대한 ICI를 줄이면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역방향 채널의 송신 전력의 세기와 상기 데이터 레이트를 반비례하도록 스케줄링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200)은, 역방향 채널의 송신 전력이 가장 높은 UE(204)에 대해서는 작은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역방향 채널의 송신 전력이 가장 낮은 UE(202)에 대해서는 많은 전송 자원을 할당해서 총 ROT를 효율적으로 유지한다.
도 3은 UE가 기지국으로부터 E-DCH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 자원을 할당 받고, 상기 할당된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303단계에서 상기 기지국(300)과 셀(301)과 상기 UE(302)사이에 E-DCH를 설정한다. 셀은 실질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며, 기지국은 상기 셀을 제어한다. 하나의 기지국에는 다수의 셀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303단계는 전용 전송채널(Dedicated Transport Channel)을 통한 메시지들의 송수신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E-DCH를 설정한 상기 UE(302)는 304단계에서 상기 기지국(300) 으로, 필요한 전송 자원에 관한 정보와 상향링크 채널 상황에 대한 정보들을 전송한다. 상기 정보에는 상기 UE(302)가 전송하는 상향채널 송신전력과 상기 UE(302)의 송신전력 마진, 단말의 버퍼 상태 정보 등이 있다.
상기 정보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상향채널의 송신전력과 실제 측정된 수신전력을 비교하여 순방향 채널 상황을 추정한다. 즉, 상기 상향채널 송신전력과 상향채널 수신전력의 차이가 작으면 역방향 채널 상황은 양호하며, 상기 송신전력과 수신전력의 차이가 많으면 역방향 채널 상황은 불량하다. 상향링크 채널상황을 추정하기 위해 상기 UE가 송신전력 마진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송신전력 마진을 이미 알고 있는 UE의 가능한 최대 송신전력에서 빼 줌으로서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상향링크 송신전력을 추정한다. 상기 기지국(300)은 상기 추정한 상기 UE(302)의 채널 상황과 상기 UE(302)의 버퍼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UE(302)의 상향링크 패킷 채널을 위한 가능한 전송 자원을 결정한다.
상기 결정된 전송 자원은 304단계에서 상기 UE(302)로 통보된다. 이때 전송 자원은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 즉 전송율이 될 수도 있고, 사용할 수 있는 전송 출력이 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UE(302)는 상기 통보된 전송 자원으로 전송할 패킷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하고, 306단계에서 상기 기지국(300)으로 상기 결정된 크기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때 E-DCH를 통해 전송되는 한 단위의 상기 패킷 데이터를 MAC-e PDU(Media Access Control-enhanced Protocol Data Unit)라고 하고, 상기 MAC-e PDU가 전송되는 채널을 E-DPDCH(E-DCH Dedicate Physical Data Channel)라고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기지국은 단말의 버퍼 상태 보고를 바탕으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그런데 버퍼 상태 보고에 사용할 수 있는 전송 자원의 양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보고된 버퍼 상태와 단말의 실제 버퍼 상태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는 전송 자원의 비효율적인 사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의 버퍼 상태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보고하기 위한 방안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스케쥴링을 위한 버퍼 상태 보고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부정확한 버퍼 상태 보고에서 비롯되는 전송 자원의 낭비를 막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 채널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버퍼 상태를 보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기준 버퍼 상태와 제2 기준 버퍼 상태와 비교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와 상기 제2 기준 버퍼 상태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 단말의 실제 버퍼 상태에 따라 정해지고,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가 상기 제2 기준 버퍼 상태보다 크면,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보다 작은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가 상기 제2 기준 버퍼 상태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 기 제1 기준 버퍼 상태보다 큰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버퍼 상태 코드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버퍼 상태 보고를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 채널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버퍼 상태를 보고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실제 버퍼 상태에 따라 정해지는 제1 기준 버퍼 상태와 제2 기준 버퍼 상태와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가 상기 제2 기준 버퍼 상태보다 크면,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보다 작은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하고,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가 상기 제2 기준 버퍼 상태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보다 큰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하는 버퍼 상태 코드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버퍼 상태 코드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버퍼 상태 보고를 구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 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제어정보를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의 일부로서 송수신하는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상기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3 세대 이동통신의 하나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의 E-DCH((Enhanced Uplink Dedicated CHannel)를 이용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기와 같은 시스템과 표준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후술되는 설명이 적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통신 시스템으로 이해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UMTS 시스템의 무선접속 네트워크(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이하 UTRAN이라 칭함)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기지국(Node B)들과 상기 기지국들과 셀들의 무선자원을 관리하는 무선망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칭함)로 구성된다.
도 4는 E-DCH를 지원하는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402)에는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405a 내지 405c, 407a 및 407b)과 상기 RLC 계층(405, 407)에서 전달된 데이터들에 다중화 정보를 삽입하는 C/T 다중화부(Control and Traffic mux)(410a, 410b)와 MAC-e/es(Media Access Control for E-DCH/Serving RNC) 계층(420)이 구비된다.
상기 RLC 계층(405,407)의 RLC 개체들은 로지컬 채널 또는 무선 베어러 별로 구성되며, 상위 계층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내부의 버퍼(도시하지 않음) 저장하고, 상기 상위 계층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무선 계층에서 전송하기에 적합한 크기로 분할하거나 연접한다. 또한 RLC 개체들은 버퍼의 상태를 MAC-e/es의 E-DCH 제어부에 보고한다. 참고로, 상기 무선 베어러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구성되는 RLC 계층과 상위 계층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로지컬 채널은 RLC 계층과 MAC 계층 사이의 논리적 채널로 무선 베어러 하나 당 하나의 로지컬 채널이 구성된다.
C/T 다중화부(410)는 상기 RLC 계층(405)에서 전달된 데이터에 다중화 정보를 삽입한다. 상기 다중화 정보는 로지컬 채널의 식별자가 될 수 있으며, 수신측은 상기 식별자를 참조해서 수신한 데이터를 적절한 RLC 계층으로 전달한다. 상기 C/T 다중화부(410)는 MAC-d 계층이라고도 한다.
하나의 C/T 다중화부(410a 또는 410b)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들을 MAC-d 플로우(415)라고 하는데, MAC-d 플로우(415)는 로지컬 채널들을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동일한 등급의 서비스 품질을 요구하는 로지컬 채널들의 데이터는 동일한 MAC-d 플로우로 분류되며, MAC-e/es 계층(420)은 MAC-d 플로우별로 특화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품질은 예를 들어, HARQ 재전송 횟수 또는 전송 출력 등으로 조정할 수 있다.
MAC-e/es 계층(420)은 E-DCH 제어부(E-DCH Control Block)(425)와 다중화 및 일련번호 설정부(Multiplexing and TSN(Transmission Sequence Number) setting block)(430)와 HARQ 블록(HARQ entity)(435)으로 구성된다.
E-DCH 제어부(425)는 E-DCH와 관련된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E-DCH 관련 제어정보로는 버퍼 상태(Buffer Status)나 역방향 전송 전력(Uplink Transmission Power) 과 관련된 정보들이 있다. 상기 정보들은 기지국이 스케줄링할 때 참조하며, E-DCH 패킷 데이터인 MAC-e PDU(Protocol Data Unit)에 피기백(piggyback)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E-DCH 관련 제어정보들을 MAC-e 제어신호라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 신호를 MAC-e PDU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방식을 MAC-e 시그널링 혹은 제어 시그널링이라 칭한다.
E-DCH 제어부는 MAC-e/es와 연결된 RLC 개체들(405a, 405b, 405c, 407a, 407b)로부터 버퍼 상태를 보고받고, 이를 바탕으로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이하 BSR)를 만들어서, 다중화 및 일련번호 설정부(430)로 전달한다. 상기 BSR은 상기 다중화 및 일련번호 설정부(430)에 의해서 E-DPDCH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다중화 및 일련번호 설정부(430)는 상위 계층에서 전달된 데이터에 다중화 정보와 일련번호(Transmission Sequence Number)를 삽입해서 MAC-e PDU를 만든다. HARQ 블록(435)은 MAC-e PDU의 HARQ 전송을 제어한다. 상기 HARQ 블록(435)은 기지국(437)이 전송하는 ACK(Acknowledge) 또는 NACK(Non-Acknowledge) 신호에 따라, MAC-e PDU의 초기 전송과 재전송을 제어한다.
RLC 계층(405, 407)의 상위 계층으로부터 RLC 개체의 버퍼로 데이터가 전달되면, RLC 개체(405, 407)는 상기 데이터의 발생을 E-DCH 제어부(425)에 보고한다. E-DCH 제어부(425)는 필요한 경우 상기 데이터의 발생 정보를 반영하여 BSR을 구성한 뒤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한편, 기지국 스케줄러는 상기 BSR을 바탕으로 상기 단말(402)에게 적절한 전송 자원을 할당한다. 전송 자원을 할당 받은 상기 단말(402)은 상기 전송 자원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산출한 뒤, 상기 데이터 양에 맞춰 RLC 개체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서 MAC-e PDU를 구성한 뒤,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E-DCH는 기본적으로 버퍼 상태 보고를 전제로 동작한다. 상기 버퍼 상태 보고는 통상 5 비트를 사용하며, 이 경우 단말의 버퍼 상태는 32개의 코드로 표현된다. 상기 코드를 이하 버퍼 상태 코드라 칭한다.
도 5a는 32개의 코드로 버퍼 상태를 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에서 버퍼 상태의 최소값은 100 byte로, 버퍼 상태의 최대값을 50000 byte로 하였다. 그러면, 49900 byte를 32개의 코드로 표현하여야 하고, 결국 각 코드가 의미하는 값과 실제로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의 양 사이에는 차이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도 5b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단말이 6500 byte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을 때, 6500 바이트를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단말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 21(=6735 바이트)을 선택하여 전송한다. 상기 버퍼 상태 코드 21을 수신한 기지국은, 단말이 6735 바이트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기지국은 향후 상기 단말에 전송 자원을 할당할 때, 6735 바이트를 기준으로 전송 자원을 할당하며, 이는 실질적인 버퍼 상태인 6500 바이트와의 차이인 235 바이트 만큼의 전송 자원이 낭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제한된 비트 수를 이용해서 버퍼 상태를 코딩함으로써, 기지국 스케줄러가 인식하는 버퍼 상태와 실질적인 버퍼 상태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전송 자원의 낭비가 초래된다. 이러한 전송 자원의 낭비는, 단말이 실제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의 양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버퍼 상태 코드가 선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말이 실제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의 양보다 작은 값의 버퍼 상태 코드를 버퍼 상태로서 기지국에게 보고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송 자원의 낭비를 방지한다.
도 6a를 예로 설명하면, 단말의 실제 버퍼 상태가 6500 바이트이면, 단말은 상기 6500 바이트 보다 작은 버퍼 상태 코드 중, 가장 가까운 버퍼 상태 코드 20(5512 바이트)을 선택해서 버퍼 상태로서 보고한다. 이처럼, 실제 버퍼 상태와 버퍼 상태 코드가 일치하지 않을 때, 단말은 실제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버퍼 상태보다 작은 버퍼 상태 코드들 중 가장 가까운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그런데 단말의 실제 버퍼 상태가 최소 버퍼 상태 코드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규칙을 적용할 수 없다. 도 6b를 예로 설명하면, 도 5a에 이미 나타낸 같이 최소 버퍼 상태 코드는 100 바이트를 의미하고, 단말의 실제 버퍼 상태는 60 바이트이다. 이 경우 단말은 실제 버퍼 상태보다 작은 버퍼 상태 코드들 중 가장 가까운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할 수 없다. 따라서 단말은 이러한 경우 예외적으로 실제 버퍼 상태보다 큰 버퍼 상태 코드들 중 가장 가까운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5 단계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버퍼 상태 보고가 주기적으로 수행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버퍼 상태 보고 주기가 만료되는 시점이 버퍼 상태 보고를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하는 시점이다. 다른 예로서, 단말은 버퍼에 새로운 버퍼가 유입되거나,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이 미리 정해지는 임계치 이상일 때, 버퍼 상태 보고를 수행할 것으로 판단한다.
710 단계에서 단말은 현재 시점에서 측정된 버퍼 상태가 최소 버퍼 상태 코드가 의미하는 값보다 작거나 같은지 검사한다. 작거나 같다며 720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버퍼 상태가 최소 버퍼 상태 코드의 값보다 크다면 715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71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버퍼 상태보다 작은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725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선택된 버퍼 상태 코드를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를 전송한다.
상기 720 단계로 진행하였다는 것은 단말의 상기 버퍼 상태가, 최소 버퍼 상태 코드가 의미하는 값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72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버퍼 상태보다 큰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버퍼 상태 코드는 결국 최소 버퍼 상태 코드이다. 그러면 단말은 725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선택된 버퍼 상태 코드를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를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단말의 버퍼 상태가 큰 값일 경우에는 효율적으로 동작한다. 그렇지만 단말의 버퍼 상태가 작은 값일 경우에는 오히려 비효율적일 수 있다.
도 8a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단말의 실제 버퍼 상태가 135 바이트이고, 가장 가까운 버퍼 상태 코드들은 122 바이트와 149 바이트를 의미한다.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를 따르면, 단말은 122 바이트를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해서, 버퍼 상태 보고를 한다. 그러면 기지국 스케줄러는 122 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전송 자원을 단말에게 허용하고, 단말은 최대 122 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런데 단말의 실제 버퍼 상태는 135 바이트였으므로, 단말에는 여전히 13 바이트의 데이터가 남게 된다. 그러면 단말은 13 바이트의 버퍼 상태를 보고하기 위해서 최소 버퍼 상태 코드인 100 바이트를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사용할 것이며, 기지국은 13 바이트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100 바이트에 해당하는 전송 자원을 할당한다.
반면에 단말이 135 바이트의 버퍼 상태를 보고하기 위해서 149 바이트의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면, 14 바이트에 해당하는 전송 자원이 낭비될 수 있지만, 버퍼 상태 보고의 수행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면에서 효율적이.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단말의 실제 버퍼 상태보다 큰 값을 보고하도록 하여서, 전술한 불필요한 전송 자원의 낭비를 막을 뿐만 아니라, 버퍼 상태를 분할해서 보고함으로써 발생하는 지연을 줄인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6500 바이트의 버퍼 상태를 보고하기 위해서, 먼저 5512 바이트의 버퍼 상태 코드를 보고한 뒤, 다시 907 바이트의 버퍼 상태 코드를 보고하고, 마지막으로 100 바이트 버퍼 상태 코드를 보고한다. 그렇지만 버퍼 상태 코드를 단말의 실제 버퍼 상태보다 큰 값을 선택할 경우, 버퍼 상태 보고를 한번에 완료할 수 있다.
도 8a를 예로 설명하면, 단말의 실제 버퍼 상태가 135 바이트일 때, 단말은 135 바이트 보다 큰 버퍼 상태 코드 중, 가장 가까운 버퍼 상태 코드 2(149 바이트)를 선택해서 버퍼 상태로서 보고한다. 이처럼, 실제 버퍼 상태와 버퍼 상태 코드가 일치하지 않을 때, 단말은 실제 버퍼 상태보다 큰 버퍼 상태 코드들 중 가장 가까운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그런데 단말의 실제 버퍼 상태가 최대 버퍼 상태 코드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규칙을 적용할 수 없다. 도 8b를 예로 설명하면, 도 5a에 이미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 버퍼 상태 코드는 50000 바이트를 의미하고, 단말의 실제 버퍼 상태는 60000 바이트이다. 이 경우 단말은 실제 버퍼 상태보다 큰 버퍼 상태 코드들 중 가장 가까운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할 수 없다. 따라서 단말은 예외적으로 실제 버퍼 상태보다 작은 버퍼 상태 코드들 중 가장 가까운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905 단계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버퍼 상태 보고가 주기적으로 수행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버퍼 상태 보고 주기가 만료되는 시점이 버퍼 상태 보고를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하는 시점이다. 다른 예로서, 단말은 버퍼에 새로운 버퍼가 유입되거나, 버 퍼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이 미리 정해지는 임계치 이상일 때, 버퍼 상태 보고를 수행할 것으로 판단한다.
910 단계에서 단말은 현재 시점에서 측정된 버퍼 상태가 최대 버퍼 상태 코드가 의미하는 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검사한다. 크거나 같다며 920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버퍼 상태가 최대 버퍼 상태 코드의 값보다 작다면 915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91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버퍼 상태보다 큰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925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선택된 버퍼 상태 코드를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를 전송한다.
상기 920 단계로 진행하였다는 것은 단말의 실제 버퍼 상태가, 최대 버퍼 상태 코드가 의미하는 값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92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버퍼 상태보다 작은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버퍼 상태 코드는 결국 최대 버퍼 상태 코드이다. 그러면 단말은 925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선택된 버퍼 상태 코드를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를 전송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실제 버퍼 상태보다 작은 값을 보고하는 제1 실시예와 실제 버퍼 상태보다 큰 값을 보고하는 제2 실시예는 각각 장점과 단점을 가진다. 즉, 실제 버퍼 상태보다 작은 값을 보고하는 제1 실시예는, 버퍼 상태가 큰 경우에는 불필요한 전송 자원의 낭비를 막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버퍼 상태 보고를 여러 번 전송해야 한다는 단점과 버퍼 상태가 작은 경우에는 전송 자원이 낭비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실제 버퍼 상태보다 큰 값을 보고하는 제2 실시예는, 버퍼 상태가 작은 경우에 효율적으로 동작하지만, 버퍼 상태가 큰 경우에는 전송 자원을 낭비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특정 버퍼 상태를 기준으로 버퍼 상태가 상기 기준 값보다 클 때는 실제 버퍼 상태보다 작은 값을 보고하고, 버퍼 상태가 상기 기준 값보다 작을 때는 실제 버퍼 상태보다 큰 값을 보고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10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최대 버퍼 상태 코드는 50000 바이트를 의미하고, 최소 버퍼 상태 코드가 100 바이트를 의미하며, 단말은 기준값(Threshold)을 인지하고 있다. 상기 기준 값은 미리 정해진 값으로 사용되거나, 호 설정 시 RNC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현재 시점에서 측정된 버퍼 상태가 상기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버퍼 상태보다 작거나 같은 버퍼 상태 코드들 중 가장 가까운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해서, 버퍼 상태로서 보고한다. 또한 단말은 상기 측정된 버퍼 상태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버퍼 상태보다 크거나 같은 버퍼 상태 코드들 중 가장 가까운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해서, 버퍼 상태로서 보고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다.
도 11을 참조하면, 1105 단계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버퍼 상태 보고가 주기적으로 수행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버퍼 상태 보고 주기가 만료되는 시점이 버퍼 상태 보고를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하는 시점이다. 다른 예로서, 단말은 버퍼에 새로운 버퍼가 유입되거나,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이 미리 정해지는 임계치 이상일 때, 버퍼 상태 보고를 수행할 것으로 판단한다.
1110 단계에서 단말은 현재 시점에서 측정된 버퍼 상태가 미리 정해지는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검사한다. 크거나 같다면 1120 단계로 진행하고, 작다면 1115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1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버퍼 상태보다 큰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실제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1125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선택된 버퍼 상태 코드를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를 전송한다.
상기 112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버퍼 상태보다 작은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단말은 1125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선택된 버퍼 상태 코드를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로서, 단말은 실제 버퍼 상태보다 큰 값을 보고할지 실제 버퍼 상태보다 작은 값을 보고할지를, 경우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한다.
제4 실시예에서는 아래 2가지 파라미터를 정의한다.
1. Loss_up: 실제 버퍼 상태보다 큰 값을 가지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했을 때 낭비되는 전송 자원의 상대적인 값으로서, 아래 <수학식 2>에 따라 구한다.
Loss_up = Buffer Status of Selected BS code - Actual Buffer Status
2. Loss_down: 실제 버퍼 상태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했을 때 낭비되는 전송 자원의 상대적인 값으로서, 아래 <수학식 3>에 따라 구한다.
Loss_down = Buffer Status of minimum BS code - (Actual Buffer Status - Buffer Status of Selected BS code)
여기서, Buffer Status of Selected BS code는 선택된 버퍼 상태 코드가 의미하는 버퍼 상태이며, Actual Buffer Status는 실제 버퍼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Buffer Status of minimum BS code는 최소 버퍼 상태 코드가 의미하는 버퍼 상태이다.
단말의 실제 버퍼 상태에 따라 Loss_down과 Loss_up을 산출하는 과정을 아래에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단말의 실제 버퍼 상태는 6500 바이트이고, 버퍼 상태 코드 20이 5512 바이트를 의미하고, 버퍼 상태 코드 21이 6735 바이트를 의미하며, 최소 버퍼 상태 코드가 100 바이트를 의미한다. 그러면 Loss_up와 Loss_down은 하기와 같다.
Loss_up = 6735 - 6500 = 235
Loss_down = 100 - (6500 - 5512) = -888
단말의 실제 버퍼 상태가 135 바이트이고, 버퍼 상태 코드 1이 122 바이트를 의미하고, 버퍼 상태 코드 2가 149 바이트를 의미하면, Loss_up와 Loss_down은 하기와 같다.
Loss_up = 149 - 135 = 14
Loss_down = 100 - (135 - 122) = 87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단말은 실제 버퍼 상태와 선택된 버퍼 상태 코드로부터 Loss_up과 Loss_down을 구해서 두 값을 비교한 뒤, Loss_up이 크면 실제 버퍼 상태보다 작은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하고, Loss_down이 크면 실제 버퍼 상태보다 큰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1205 단계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버퍼 상태 보고가 주기적으로 수행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버퍼 상태 보고 주기가 만료되는 시점이 버퍼 상태 보고를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하는 시점이다. 다른 예로서, 단말은 버퍼에 새로운 버퍼가 유입되거나,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이 미리 정해지는 임계치 이상일 때, 버퍼 상태 보고를 수행할 것으로 판단한다.
1210 단계에서 단말은 현재 시점에서 측정된 버퍼 상태로부터 Loss_up과 Loss_down을 구한다. 즉, 단말은 상기 버퍼 상태보다 크거나 같은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이용하여 Loss_up을 산출한다. 또한 단말은 상기 버퍼 상태보다 작거나 같은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이용하여 Loss_down을 산출한다. 121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Loss_up과 상기 Loss_down를 비교해서, Loss_down이 Loss_up보다 크거나 같으면 122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1225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22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버퍼 상태보다 큰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단말은 1230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선택된 버퍼 상태 코드를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를 전송한다.
상기 122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버퍼 상태보다 작은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단말은 1225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선택된 버퍼 상태 코드를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를 전송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버퍼 상태 보고(BSR) 제어부(1300)는 사용자 단말의 버퍼 상태 보고를 생성한다. 상기 버퍼 상태 보고 제어부(1300)는 버퍼 상태 판단부(buffer status determinator)(1310)와 비교부(1325)와 버퍼 상태 코드 선택부(1320)로 구성된다. 버퍼 상태 판단부(1310)는 단말의 버퍼 상태를 감시해서 실제 버퍼 상태를 측정하며, 비교부(1325)는 상기 측정된 실제 버퍼 상태를 미리 정해지 는 기준값과 비교한다. 버퍼 상태 코드 선택부(1320)는 미리 정해지는 버퍼 상태 코드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비교부(1325)로부터 제공되는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측정된 실제 버퍼 상태에 대응하는 적절한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 상기 비교부(1325)는 상기 실제 버퍼 상태를 최소 버퍼 상태 코드가 의미하는 값과 비교한다. 상기 실제 버퍼 상태가 최소 버퍼 상태 코드보다 크면, 상기 버퍼 상태 코드 선택부(1320)는 상기 실제 버퍼 상태보다 작은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실제 버퍼 상태와 가장 근접한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상기 실제 버퍼 상태가 최소 버퍼 상태 코드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최소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상기 비교부(1325)는 상기 실제 버퍼 상태를 최대 버퍼 상태 코드가 의미하는 값과 비교한다. 상기 실제 버퍼 상태가 최대 버퍼 상태 코드보다 작으면, 상기 버퍼 상태 코드 선택부(1320)는 상기 실제 버퍼 상태보다 큰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실제 버퍼 상태와 가장 근접한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상기 실제 버퍼 상태가 최대 버퍼 상태 코드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최대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경우, 상기 비교부(1325)는 상기 버퍼 상태 판단부(1310)로부터 전달된 상기 실제 버퍼 상태를 미리 정해지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비교결과를 상기 버퍼 상태 코드 선택부(1320)로 제공한다. 상기 실제 버퍼 상태가 상기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버퍼 상태 코드 선택부(1320)는 상기 실제 버퍼 상태보다 큰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실제 버퍼 상태와 가장 근접한 버퍼 상 태 코드를 선택한다. 실제 버퍼 상태가 상기 기준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실제 버퍼 상태보다 작은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실제 버퍼 상태와 가장 근접한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경우, 상기 비교부(1325)는 상기 버퍼 상태 판단부(1310)로부터 전달된 상기 실제 버퍼 상태를 이용하여 앞서 언급한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 따라 Loss_up과 Loss_down을 계산하고 상기 Loss_up과 상기 Loss_down을 상호 비교한다. 상기 Loss_up가 상기 Loss_down 보다 작으면, 상기 버퍼 상태 코드 선택부(1320)는 상기 실제 버퍼 상태보다 큰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실제 버퍼 상태와 가장 근접한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상기 Loss_up이 상기 Loss_down 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실제 버퍼 상태보다 작은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실제 버퍼 상태와 가장 근접한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한다.
MAC-e 제어 정보 생성부(1330)는 상기 버퍼 상태 보고 제어부(1300)가 전달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포함하는 버퍼 상태 보고 메시지를 구성한다. 송신부(1340)는 상기 버퍼 상태 보고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지국의 수신부(1440)는 단말이 전송한 버퍼 상태 보고 메시지를 포함하는 MAC-e 제어 정보를 수신해서 MAC-e 제어 정보 분류부(1430)로 전달한다. MAC-e 제어 정보 분류부(1430)는 상기 수신한 MAC-e 제어 정보를 분석하여 적절한 장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신한 MAC-e 제어 정보가 버퍼 상 태 보고 메시지를 포함하므로, 상기 MAC-e 제어 정보 분류부(1430)는 상기 버퍼 상태 보고 메시지의 버퍼 상태 코드를 버퍼 상태 코드 해석부(1420)로 전달한다.
상기 버퍼 상태 코드 해석부(1420)는 상기 버퍼 상태 코드를 실질적인 버퍼 상태 값으로 변환한 뒤, 기지국 스케줄러(141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버퍼 상태 코드 10에 대해서는 742 바이트를 기지국 스케줄러(1410)로 전달한다. 기지국 스케줄러(1410)는 상기 버퍼 상태 값에 따라, 상기 단말에게 적절한 자원을 할당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버퍼 상태 보고의 부정확성으로부터 발생하는 비효율성을 최소화함으로써, 불필요한 전송 자원의 낭비를 막는다.

Claims (10)

  1.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 채널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버퍼 상태를 보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기준 버퍼 상태와 제2 기준 버퍼 상태와 비교하는 과정과, 여기서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와 상기 제2 기준 버퍼 상태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 단말의 실제 버퍼 상태에 따라 정해지고,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가 상기 제2 기준 버퍼 상태보다 크면,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보다 작은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가 상기 제2 기준 버퍼 상태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보다 큰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버퍼 상태 코드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버퍼 상태 보고를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실제 버퍼 상태이며, 상기 제2 버퍼 상태는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최소의 버퍼 상태 코드가 의미하는 버퍼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실제 버퍼 상태이며, 상기 제2 버퍼 상태는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최대의 버퍼 상태 코드가 의미하는 버퍼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실제 버퍼 상태이며, 상기 제2 버퍼 상태는 미리 정해지는 소정 임계 버퍼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실제 버퍼 상태보다 큰 값을 가지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하는 경우 낭비되는 전송 자원의 상대적인 값을 나타내는 제1 손실 값(Loss_up)이며, 상기 제2 기준 버퍼 상태는, 상기 실제 버퍼 상태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하는 경우 낭비되는 전송 자원의 상대적인 값을 나타내는 제2 손실 값(Loss_up)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 채널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버퍼 상태를 보고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실제 버퍼 상태에 따라 정해지는 제1 기준 버퍼 상태와 제2 기준 버퍼 상태와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가 상기 제2 기준 버퍼 상태보다 크면,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보다 작은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하고,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가 상기 제2 기준 버퍼 상태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보다 큰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와 가장 가까운 값을 의미하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하는 버퍼 상태 코드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버퍼 상태 코드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버퍼 상태 보고를 구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실제 버퍼 상태이며, 상기 제2 버퍼 상태는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최소의 버퍼 상태 코드가 의미하는 버퍼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실제 버퍼 상태이며, 상기 제2 버퍼 상태는 미리 정해지는 복수의 버퍼 상태 코드들 중 최대의 버퍼 상태 코드가 의미하는 버퍼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실제 버퍼 상태이며, 상기 제2 버퍼 상태는 미리 정해지는 소정 임계 버퍼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버퍼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측정된 실제 버퍼 상태보다 큰 값을 가지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하는 경우 낭비되는 전송 자원의 상대적인 값을 나타내는 제1 손실 값(Loss_up)이며, 상기 제2 기준 버퍼 상태는, 상기 실제 버퍼 상태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버퍼 상태 코드를 선택하는 경우 낭비되는 전송 자원의 상대적인 값을 나타내는 제2 손실 값(Loss_up)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KR1020050028300A 2005-04-04 2005-04-0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의 보고 방법 및 장치 KR101136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300A KR101136252B1 (ko) 2005-04-04 2005-04-0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의 보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300A KR101136252B1 (ko) 2005-04-04 2005-04-0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의 보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860A true KR20060105860A (ko) 2006-10-11
KR101136252B1 KR101136252B1 (ko) 2012-04-19

Family

ID=3763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300A KR101136252B1 (ko) 2005-04-04 2005-04-0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의 보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2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1150B2 (en) 2009-12-16 2013-03-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uffer status reporting method for uplink schedul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9740B1 (ko) * 2000-07-06 2002-06-05 서평원 고속 무선 데이터 통신(hdr) 시스템의 버퍼상태 보고메시지와 버퍼상태 보고 메시지 전송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1150B2 (en) 2009-12-16 2013-03-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uffer status reporting method for uplink schedul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6252B1 (ko)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86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추산 버퍼 상태 정보를 이용한 버퍼 상태 보고 방법 및 장치
EP17963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plink packet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101825B2 (ja) 向上した上りリンク専用チャンネルを支援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自律送信を遂行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8675546B2 (en) Mobile station, base station, communications system, and communications method
US80455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plink packet data
RU2536800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радиоресурсами и устройство узла в, его реализующее
EP1803236B1 (en) Improvements to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scheme
US8654736B2 (en) Base station, user apparatus, and method
KR100918761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서비스를 위한 이득인자 설정 방법
KR10088098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503510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maximum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US200600725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non-scheduled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61043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maximum ue transmitter power information to base station for scheduling of uplink packet 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04873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셀 변경 방법
KR2006007752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50033418A (ko) 향상된 역방향 전용전송채널을 서비스하는 비동기 방식의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전송시구간을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6008273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 보고를 효율적으로 하는방법 및 장치
KR10113625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버퍼 상태의 보고 방법 및 장치
KR20080080803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8273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벤트 트리거드로 버퍼 상태 보고를효율적으로 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5011961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 채널의효율적인 스케쥴링 방법 및 장치
KR2006004453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최소 셋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의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124762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포맷 구성 방법 및 장치
KR2006005466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패킷크기 신호 체계를 송수신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