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5761A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5761A
KR20060105761A KR1020067010417A KR20067010417A KR20060105761A KR 20060105761 A KR20060105761 A KR 20060105761A KR 1020067010417 A KR1020067010417 A KR 1020067010417A KR 20067010417 A KR20067010417 A KR 20067010417A KR 20060105761 A KR20060105761 A KR 20060105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suction grill
suction
filter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4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01384B1 (en
Inventor
노부히로 오구라
세이이찌 고가
마사즈미 마끼노
진 요시다
모리노부 이이지마
다께시 와따나베
가즈히로 시무라
마사노리 아꾸쯔
요시노부 하마다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아도반스토 쿠쵸 가이하츠 센타 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커머셜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36115A external-priority patent/JP4417102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36116A external-priority patent/JP4417103B2/en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아도반스토 쿠쵸 가이하츠 센타 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커머셜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5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7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3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de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An air conditioner enabling the easy and safe cleaning of a filter, comprising a suction grill (37) having a filter for air cleaning installed at the bottom thereof. The first and second units as lifting means lift the suction grill (37) by supporting the suction grill (37) by hanging strings (50a) to (50d) and delivering or winding back the hanging strings (50a) to (50d). When the first and second units are no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ateral one end of the suction grill (37) while a specified time is passed after the lateral other end of the suction grill (37) comes into contact with an air conditioner body (1a) when the suction grill is stored, the hanging strings (50a) to (50d) are delivered to lower the other end in contact with the air conditioner body (1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so, filter chamber having a high performance filter is installed between the air conditioner body and the suction grill, the first and second units as the lifting means for lifting the suction grill are disposed on the inside of side cover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air conditioner body, and the suction grill is supported by the lifting means by using the hanging strings.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의 천정 등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 장치,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n indoor space, a control method and a control program of the air conditioner.

종래부터, 현수 볼트를 이용하여 실내의 천정으로부터 현수되어 설치되는 구성인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이러한 종류의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는 공기 조화기 본체 바닥면(건물의 바닥면과 대향하는 면)에 흡입 그릴이 설치되고, 이 흡입 그릴에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흡입 그릴에 설치된 필터는 정기적으로 작업원 등의 손에 의해 제거되고, 청소됨으로써 공기 조화 장치로서의 성능이 충분히 발휘된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공기 조화 장치에는, 흡입 그릴에 설치되는 필터 이외의 고성능 필터(예를 들어 롱라이프 필터)를 수용한 필터 챔버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DESCRIPTION OF RELATED ART Conventionally, the ceiling suspension type air conditioner which is the structure which is suspended and installed from the ceiling of a room using a suspension bolt is known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In this type of ceiling suspension type air conditioner, a suction grille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a surface facing the bottom of the building), and a filter is provided on the suction grille. The filter provided in the suction grill is regularly removed and cleaned by a worker or the like, thereby fully exhibiting the performance as an air conditioner. Moreover, the filter chamber which accommodated the high performance filter (for example, long life filter) other than the filter provided in a suction grill may be provided in this kind of air conditioner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9-27525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275251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11-101497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101497

그러나 작업원 등은 필터 청소를 행하기 위해, 공기 조화기 본체로부터 흡입 그릴에 배치된 필터를 제거하는 등의 작업을 천정면 근처에서 그때마다 행해야만 해 매우 번잡할 뿐만 아니라, 흡입 그릴을 제거할 때에는 대(台) 등의 위에 올라가 작업하기 때문에 안전성의 면으로부터도 바람직하지 않았다. 또한, 상기 필터 챔버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필터를 제거하는 등의 작업을 천정면 근처에서 그때마다 행하는 것은 매우 번잡할 뿐만 아니라, 대 등의 위에 올라가 작업해야만 해 안전성의 면으로부터도 바람직하지 않았다. However, in order to perform the filter cleaning, the worker or the like must remove the filter disposed on the suction grill from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at each time near the ceiling surface, which is very troublesome and removes the suction grill. At this time, it was not preferable from the standpoint of safety because it worked on a stand or the like. In addition, in the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the filter chamber as well, it is very complicated to perform the operation such as removing the filter at the vicinity of the ceiling surface at the same time, and also has to work on the table or the like from the standpoint of safety. It was not desirable.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필터 청소를 보다 간단하고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 이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a control method and a control program of the air conditioner, which can perform filter cleaning more simply and safely.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기 청정용 필터가 적재되는 흡입 그릴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 그릴을 현수 끈에 의해 지지하여 상기 현수 끈을 조출하거나, 혹은 권취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흡입 그릴을 상기 필터와 함께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과, 상기 흡입 그릴을 상승시켜 상기 수납부에 수납할 때에, 이 흡입 그릴의 폭방향의 어느 일단부가 상기 수납부에 접촉하였을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흡입 그릴의 타단부가 접촉하지 않았던 경우,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조출시켜 상기 수납부와 접촉한 상기 일단부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강하시킨 후, 다시 상기 현수 끈을 권취 복귀시켜 흡입 그릴 전체를 상승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accommodating portion for storing an intake grill on which an air cleaning filter is loaded, wherein the intake grill is supported by a hanging string to feed the hanging string or wind up Lifting mean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suction grill together with the filter by returning, and a predetermined time from when one end of the suction gril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ction grill contacts the storage unit when the suction grill is rais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If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grille did not come into contact until this elapses, the suspension strap is pulled to the lifting means to lower the one end in contact with the hous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the suspension strap is again remove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ntrol means for winding up and raising the whole suction gril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흡입 그릴 승강시에, 상기 흡입 그릴의 폭방향의 어느 일단부가 상기 수납부에 접촉하였을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흡입 그릴의 타단부가 상기 수납부에 접촉한 경우에,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조출시켜 상기 흡입 그릴 전체를 소정 거리만큼 강하시킨 후, 다시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권취 복귀시켜 상기 흡입 그릴 전체를 소정 거리만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at the time of lifting the suction grille,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uction grille from a time when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ction grille touches the housing portion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n the case of contacting the housing, the suspension strap is pulled out by the lifting means to lower the entire suction gril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the suspension strap is wound up again by the lifting means, so that the entire suction grille is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characterized by rising as much.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조출시켜 상기 흡입 그릴 전체를 소정 거리만큼 강하시킨 후, 다시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권취 복귀시켜 상기 흡입 그릴 전체를 소정 거리만큼 상승시키는 강하 및 상승 동작을 n회(n ≥ 2)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ans is to feed the suspension straps to the lifting means to lower the entire suction gril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again to take up the suspension straps to the lifting means to determine the entire suction gril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scent and raising operation of raising the distance is repeated n times (n ≧ 2).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본체의 폭방향의 양측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over, this invention is the said lifting means is provided in each of the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said air conditioner main body,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또한, 본 발명은 실내 천정으로부터 현수되어 설치되는 천정 현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iling suspension type is suspended from the indoor ceiling.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공기 조화 장치 본체와 흡입 그릴 사이에 고성능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본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커버의 내측에 상기 흡입 그릴을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배치하고, 이 승강 수단이 상기 흡입 그릴을 현수 끈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chamber including a high performance filter between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and the suction grill in the air conditioner, and the suction grill is raised and lowered inside the side cov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And an eleva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suction grille with a suspension strap.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터 챔버에는 상기 현수 끈을 통과하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chamber is provided with a gap passing through the suspension str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본체 중 상기 사이드 커버에 의해 덮이는 부위에 설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ing means is installed and fixed to a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covered by the side cov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사이드 커버에 설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ing means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side cov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터 챔버는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본체의 흡입구에 배치되는 사방 프레임과, 상기 고성능 필터를 배치하기 위한 필터 프레임을 갖고, 이 사방 프레임과 필터 프레임 사이에 상기 현수 끈을 통과하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chamber has a four-way frame disposed in the inlet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and a filter frame for placing the high-performance filter, and passes through the hanging string between the four-side frame and the filter frame A gap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입 그릴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본체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현수 끈이 연결되는 현수 끈 연결부를 갖고, 상기 필터 챔버에는 상기 현수 끈 연결부가 통과하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grill is protruded toward the main body of the air conditioner, and has a suspension string connection portion to which the suspension string is connected, and the filter chamber is provided with a gap through which the suspension string connection portion passes. .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청정용 필터가 적재되는 흡입 그릴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고, 상기 흡입 그릴을 현수 끈에 의해 지지하여 상기 현수 끈을 조출하거나, 혹은 권취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흡입 그릴을 상기 필터와 함께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흡입 그릴을 상승시켜 상기 수납부에 수납할 때에, 이 흡입 그릴의 폭방향의 어느 일단부가 상기 수납부에 접촉하였을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흡입 그릴의 타단부가 접촉하지 않았던 경우,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조출시켜 상기 수납부와 접촉한 상기 일단부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강하시킨 후, 다시 상기 현수 끈을 권취 복귀시켜 흡입 그릴 전체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n intake grill on which an air cleaning filter is mounted, wherein the intake grill is supported by a suspending string to assist the suspending string, or to return the intake grill together with the filter. A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having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wherein when one suction portion of the suction gril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ction grill is raised and stored in the housing, If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grille did not come into contact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suspension strap is pulled out by the lifting means to lower the one end in contact with the storage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the suspension It is characterized by raising the whole suction grille by winding up a string.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청정용 필터가 적재되는 흡입 그릴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고, 상기 흡입 그릴을 현수 끈에 의해 지지하여 상기 현수 끈을 조출하거나, 혹은 권취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흡입 그릴을 상기 필터와 함께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를, 상기 흡입 그릴을 상승시켜 상기 수납부에 수납할 때에, 이 흡입 그릴의 폭방향의 어느 일단부가 상기 수납부에 접촉하였을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흡입 그릴의 타단부가 접촉하지 않았던 경우,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조출시켜 상기 수납부와 접촉한 상기 일단부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강하시킨 후, 다시 상기 현수 끈을 권취 복귀시켜 흡입 그릴 전체를 상승시키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n intake grill on which an air cleaning filter is mounted, wherein the intake grill is supported by a suspending string to assist the suspending string, or return the winding to the suction grill together with the filter. In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having elevating means for raising and lowering, one end of the suction gril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ction grill when the air conditioner is lifted up and stored in the housing part. In the case where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grille has not contacted from the time of contact with the payment part until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suspending strap is fed to the lifting means to lower the one end part in contact with the storage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unction as a means of raising the whole suction grille by winding the suspension string again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은 흡입 그릴을 상승시켜 수납부에 수납할 때에, 이 흡입 그릴의 폭방향의 어느 일단부가 수납부에 접촉하였을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흡입 그릴의 타단부가 접촉하지 않았던 경우, 승강 수단에 현수 끈을 조출시켜 수납부와 접촉한 상기 일단부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강하시킨 후, 다시 현수 끈을 권취 복귀시켜 흡입 그릴 전체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공기 조화 장치의 필터 청소를 작업원 등이 보다 간단하고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ction grill is raised and stored in the housing, when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grill does not touch from when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ction grill is in contact with the housing,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Since the suspension strap is fed to the lifting means to lower the one end in contact with the storage un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uspension strap is wound up again to raise the entire suction grill, so that the filter of the air conditioner is cleaned. This can be done more simply and safely.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 본체와 흡입 그릴 사이에 고성능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 챔버를 구비하고, 이 공기 조화 장치 본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커버의 내측에 흡입 그릴을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배치하고, 이 승강 수단이 흡입 그릴을 현수 끈으로 지지하므로, 필터 챔버를 장착해도 흡입 그릴을 승강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chamber having a high performance filter between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and the suction grill, and arranging lifting means for elevating the suction grill inside the side cove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Since the lifting means supports the suction grille with the hanging string, the suction grille can be raised and lowered even if the filter chamber is attach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configuration of a ceiling suspension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도3은 공기 조화기 본체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3 is a top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도4는 흡입 그릴의 승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lift of the suction grille.

도5는 승강 기구를 수납한 유닛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unit containing a lifting mechanism.

도6은 유닛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unit.

도7은 공기 조화기 본체에 의한 흡입 그릴 수납시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procedure when storing the suction grill by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도8은 흡입 그릴 수납시에 있어서의 횡폭 방향의 경사를 수정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when correcting the inclina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at the time of storing the suction grill.

도9는 흡입 그릴 수납시에 있어서의 횡폭 방향의 경사를 수정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when correcting the inclination in the widthwise direction at the time of the suction grill storage.

도10은 필터 챔버 장착시의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configuration of the ceiling suspension type air conditioner when the filter chamber is mounted.

도11은 필터 챔버 장착시의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Fig.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eiling suspension type air conditioner when the filter chamber is mounted.

도12는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의 필터 챔버를 그 주변 구성과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lter chamber of the ceiling suspension type air conditioner together with its peripheral configuration.

도13은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의 필터 챔버를 그 주변 구성과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lter chamber of the ceiling suspension type air conditioner together with its peripheral configuration.

도14는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의 필터 챔버를 그 주변 구성과 함께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lter chamber of the ceiling suspension type air conditioner together with its peripheral configuration.

도15는 흡입 그릴의 승강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 mechanism of the suction grille.

도16은 흡입 그릴의 승강 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Fig. 1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lifting mechanism of the suction grille.

도1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유닛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7 is a diagram showing a unit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 :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1: ceiling suspension type air conditioner

1a : 공기 조화기 본체1a: air conditioner body

11 : 전장 박스11: battlefield box

13 : 송풍기13: blower

14 : 바닥 패널14: Floor Panel

15 : 열교환기15: heat exchanger

31 : 드레인 팬31: drain pan

37 : 흡입 그릴37: suction grill

38, 38a 내지 38d : 현수 끈 연결부38, 38a to 38d: suspension string connection

39, 100 : 필터39, 100: filter

45 : 사이드 커버45: side cover

50, 50a 내지 50d : 현수 끈50, 50a to 50d: suspension string

60a : 제1 유닛60a: first unit

60b : 제2 유닛60b: second unit

70 : 보빈70: bobbin

72 : 제어 회로72: control circuit

74 : 유닛측 커넥터74: unit side connector

75 : 회전 검출기75: rotation detector

90 : 필터 챔버90: filter chamber

91 : 사방 프레임91: frame everywhere

91a 내지 91d : 프레임 부재91a to 91d: frame member

92 : 필터 프레임92: filter fram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제1 실시 형태> <First Embodiment>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 장치의 일예로서의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1)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2는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3은 마찬가지로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ceiling suspension type air conditioner 1 as an exampl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nd FIG. 3 is a plan view similar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1)는 공기 조화기 본 체(1a)의 양측에 사이드 커버(45)가 배치되고,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하부(바닥부)에 바닥 패널(14)과 흡입 그릴(37)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부가 흡입 그릴(37)의 수납부로서 구성된다. 또한, 공기 조화기 본체(1a)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 본체(1a)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in the ceiling suspension type air conditioner 1, side covers 45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nd the lower part (bottom part)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 The bottom panel 14 and the suction grille 37 are arrange | positioned, and the bottom part of this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is comprised as a storage part of the suction grille 37. As shown in FIG. Further,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unit (not shown) that receives an instruction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 본체(1a)는 천정으로부터 현수된 현수 볼트(3)에 걸쳐져 실내 천정판(5)의 하면에 설치 및 고정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에는 취출구(41)가 마련된 전방면으로부터 차례로 열교환기(15), 송풍기(13)가 배치되고, 또한 이것 외에도 전장 박스(11), 냉매 배관(29) 등의 각종 기기류가 대부분 간극 없이 수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is mounted a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door ceiling plate 5 across the suspension bolt 3 suspended from the ceiling. In this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the heat exchanger 15 and the blower 13 are arranged in order from the front surface in which the blower outlet 41 was provided, and in addition, various things, such as the electrical equipment box 11 and the refrigerant piping 29, were carried out. Most of the equipment is stored without gaps.

송풍기(13)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대의 송풍기 유닛(21 내지 24)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1대의 모터(25)로 구동되는 회전축(27) 상에 고정 및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기(15)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튜브형의 열교환기이고, 공기 조화기 본체(1a) 내에 경사져 설치된다. 이 열교환기(15)에는 냉매 배관(29)이 접속되고, 이 냉매 배관(29)은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밖으로 도출되어 실외기(도시하지 않음)의 압축기, 감압 장치, 실외 열교환기 등에 접속된다. The blower 13 consists of four blower units 21-24, as shown in FIG. 3, These are fixed and arrange | positioned on the rotating shaft 27 driven by one motor 25. As shown in FIG. The heat exchanger 15 is a fin tube type heat exchanger, as shown in Fig. 2, and is inclined in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 refrigerant pipe 29 is connected to the heat exchanger 15, and the refrigerant pipe 29 is led out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to provide a compressor, a pressure reducing device, an outdoor heat exchanger, or the like of an outdoor unit (not shown). Connected.

열교환기(15)의 하방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포 스티롤제의 드레인 팬(31)이 설치되고, 이 드레인 팬(31)의 하면에는 판금제 패널(33)이 설치된다. 드레인 팬(31)의 드레인 저장부(31a)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튜브(32)를 거쳐서 드레인 펌프 유닛(35)이 접속되고, 이 드레인 펌프 유닛(35)에 수 용되는 드레인 펌프는 드레인 저장부(31a)에 수집된 드레인을 퍼올려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밖으로 배출한다. Below the heat exchanger 15, the drain pan 31 made of foamed styrol is provided, and the sheet metal panel 33 is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of this drain pan 31. As shown in FIG. The drain pump unit 35 is connected to the drain storage part 31a of the drain pan 31 via the flexible tube 32 as shown in FIG. 3, and is accommodated in the drain pump unit 35. The drain pump pumps the drain collected in the drain reservoir 31a and discharges it out of the air conditioner body 1a.

송풍기(13)의 하방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제의 흡입 그릴(37)이 설치되고, 이 흡입 그릴(37)에는 공기 청정용 필터(39)가 설치된다. 그리고, 송풍기(13)가 구동되면 흡입 그릴(37) 및 필터(39)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공기 조화기 본체(1a) 내로 흡입되고, 이 공기는 열교환기(15)로 열교환된 후 취출구(41)를 통해 실내로 취출된다. 중간 구획판(43)은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대략 중앙을 횡단적으로 구획하는 구획판이고, 송풍기(13)는 이 중간 구획판(43)으로 구획된 실에 배치되어 있다.Below the blower 13, as shown in FIG. 2, the suction grill 37 made of resin is provided, and the air cleaning filter 39 is provided in this suction grill 37. As shown in FIG. Then, when the blower 13 is driven, the air in the room is sucked into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through the suction grille 37 and the filter 39, and the air is heat-exchanged with the heat exchanger 15, and then the outlet ( 41) is taken out indoors. The intermediate partition plate 43 is a partition plate which partitions substantially the center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transversely, and the blower 13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chamber partitioned by this intermediate partition plate 43.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 그릴(37)에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현수 끈 연결부(38a 내지 38d)가 설치되고, 이들 현수 끈 연결부(38a 내지 38d)에 연결된 복수의 현수 끈(50a 내지 50d)을 거쳐서 흡입 그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현수 끈(50a 내지 50d)이 조출되거나, 혹은 권취 복귀됨으로써 소정의 범위에서 승강하고, 흡입 그릴(37)을 내린 위치에서 이 흡입 그릴(37)에 적재된 필터(39)를 제거 가능하게 구성된다. Here,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suction grille 37 has a plurality of hanging string connecting portions 38a to 38d projecting upward, and a plurality of hanging string connecting portions 38a to 38d are connected. The suction grille 37 is supported by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via suspension strings 50a to 50d. Then, the suspension strings 50a to 50d are pulled out or rolled up to be lifted up 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filter 39 mounted on the suction grill 37 can be removed at the position where the suction grill 37 is lowered. Is configured.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현수 끈(50a 내지 50d)의 각각 및 현수 끈 연결부(38a 내지 38d)의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현수 끈(50)」,「현수 끈 연결부(38)」로 표기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it is not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each of the suspension strings 50a-50d and each of the suspension string connection parts 38a-38d, "a suspension string 50" and a "suspension string connection part ( 38) ”.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현수 끈(50a 내지 50d)을 조출하거나, 혹은 권취 복귀시키는 승강 기구는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고정된 2개의 유닛(60), 즉 제1 및 제2 유닛(60a, 60b) 내에 수용되어 있다. 제1 유닛(60a) 및 제2 유닛(60b)의 각각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측면에 설치된 후 홀더(62)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고정된다. 제1 유닛(60a)은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우측 단부면에 설치하여 고정되고, 이것에는 흡입 그릴(37)의 한 변(37A)(도4 참조)을 지지하는 2개의 현수 끈(50a, 50b)이 연결된다. 한편 제2 유닛(60b)은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좌측 단부면에 설치하여 고정되고, 이것에는 흡입 그릴(37)의 다른 변(37B)(도4 참조)을 지지하는 남은 2개의 현수 끈(50c, 50d)이 연결된다. As shown in Fig. 3, the elevating mechanism for feeding or rewinding the four hanging strings 50a to 50d is provided by two units 60 fixed to both ends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namely, It is accommodated in the 1st and 2nd unit 60a, 60b. Each of the first unit 60a and the second unit 60b is held and fixed by the holder 62 after being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s shown in FIG. The first unit 60a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right end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nd there are two hanging strings (for supporting one side 37A of the suction grill 37 (see Fig. 4) ( 50a, 50b) are connected.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unit 60b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left end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nd the remaining two suspensions supporting the other side 37B (see Fig. 4) of the suction grill 37 are attached thereto. Strings 50c and 50d are connected.

도6은 제1 유닛(60a)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닛(60a)은 1개의 현수 끈(50)이 권취된 2개의 보빈(70)과, 보빈(70)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71)를 보빈(70)마다 1개씩 구비하고, 구동 모터(71)가 기어열(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보빈(70)을 구동함으로써 2개의 현수 끈(50)을 조출하거나, 혹은 권취 복귀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1 유닛(60a)은 구동 모터(71)에 의한 회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예를 들어 MPU)(7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어 회로(72)는 제어 동작을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각 보빈(70)에는 보빈(70)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로터리 인코더 등의 회전 검출기(75)가 설치되고, 보빈(70)의 회전량이 제어 회로(72)에 출력된다.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unit 60a. As shown in this figure, the first unit 60a includes two bobbins 70 in which one suspension string 50 is wound, and a drive motor 71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bobbin 70. ), And the drive motor 71 drives the bobbin 70 via a gear train (not shown) to feed two suspension strings 50 or to recover the windings. In addition, the first unit 60a is provided with a control circuit (for example, an MPU) 72 for controlling rotational drive by the drive motor 71, and the control circuit 72 is a control program for a control operation. Is stored. In addition, each bobbin 70 is provided with a rotation detector 75 such as a rotary encoder for detecting the rotation amount of the bobbin 70, and the rotation amount of the bobbin 70 is output to the control circuit 72.

또한, 제어 회로(72)로부터 복수의 신호선(73)이 인출되고, 제1 유닛(60a)의 하우징면 외측에 형성된 유닛측 커넥터(74)에 접속되어 있다. 이 유닛측 커넥터(74)는 제1 유닛(60a)의 하우징 중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설치될 때에, 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측면과 대향하는 면 내에 형성되어 있고,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측면에 설치된 본체측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와 결합함으로써 제1 유닛(60a)과 공기 조화기 본체(1a)가 신호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즉, 제1 유닛(60a)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설치됨으로써 공기 조화기 본체(1a)측의 제어 회로(도시하지 않음)와 제1 유닛(60a)측의 제어 회로(72)가 서로 통신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유닛(60b)의 구성은 상기 제1 유닛(60a)의 구성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Moreover, the some signal line 73 is drawn out from the control circuit 72, and is connected to the unit side connector 74 formed in the housing surface outer side of the 1st unit 60a. This unit side connector 74 is formed in the surface which opposes the side surface of this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when it is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mong the housings of the 1st unit 60a, The first unit 60a and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re connected by signal communication by engaging with a main body side connector (not shown)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a. That is, since the 1st unit 60a is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the control circuit (not shown) by the sid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nd the control circuit 72 on the side of the 1st unit 60a are provided. It become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2nd unit 60b is the same as that of the said 1st unit 60a, th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작업원이 흡입 그릴(37)[필터(39)]을 승강시킬 때에는, 우선 리모트 컨트롤러 등에 의해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흡입 그릴(37)의 승강 지시를 부여한다.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제어 회로가 이 지시를 수신하면 제1 유닛(60a) 및 제2 유닛(60b)의 각 제어 회로(72)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 회로(72)가 구동 모터(71)를 회전 구동(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킴으로써 4개의 현수 끈(50a 내지 50d)이 조출되거나, 혹은 권취되어 흡입 그릴(37)이 승강하게 된다. When the worker raises or lowers the suction grill 37 (filter 39), first, the instruction to lift the suction grill 37 is given to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by a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When the control circuit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receives this instruction, it transmits to each control circuit 72 of the 1st unit 60a and the 2nd unit 60b, and the control circuit 72 which received this is driven. By rotating the motor 71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the four hanging strings 50a to 50d are fed or wound and the suction grill 37 is raised and lowered.

제1 유닛(60a) 및 제2 유닛(60b)의 제어 회로(72)는 흡입 그릴(37)을 강하시킬 때에, 흡입 그릴(37)이 작업 위치에 정지하도록 회전 검출기(75)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현수 끈(50)의 조출량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 위치는 작업원이 흡입 그릴(37)에 적재된 필터(39)를 용이하게 제거시킬 수 있는 위치이고, 바닥면으로부터 예를 들어 1 미터 정도의 높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 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즉, 흡입 그릴(37)의 설치 위치]으로부터 작업 위치까지의 거리가 미리 제어 회로(72)에 설정되어 있고, 제어 회로(72)는 이 거리만큼 현수 끈(50)이 조출되도록 보빈(70)을 회전시키고 있다. The control circuit 72 of the first unit 60a and the second unit 60b detects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rotation detector 75 so that the suction grill 37 stops at the working position when the suction grill 37 is lowered. The feeding amount of the suspension string 50 is controlled on the basis of. Here, the working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worker can easily remove the filter 39 loaded on the suction grill 37 and is, for example, about 1 meter high from the bottom surface. In this embodiment,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that i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uction grill 37) to the working position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is set in advance in the control circuit 72, and the control circuit 72 ) Rotates the bobbin 70 so that the suspension string 50 is fed by this distance.

한편, 흡입 그릴(37)의 상승시에는, 제어 회로(72)는 흡입 그릴(37)을 강하시켰을 때에 현수 끈(50)을 조출한 만큼만 권취 복귀시키도록 회전 검출기(75)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구동 모터(71)를 제어함으로써, 흡입 그릴(37)을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수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ction grille 37 is raised, the control circuit 72 bases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rotation detector 75 to return to winding as much as the suspension string 50 is pulled out when the suction grille 37 is lowered. By controlling the drive motor 71 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grill 37 can be stor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그런데, 흡입 그릴(37)이 횡폭 방향[공기 조화기 본체(1a)의 횡폭 방향]으로 경사지는 자세로 강하되거나, 2개의 구동 모터(71)의 각각에 의한 현수 끈(50)의 조출량 혹은 권취 복귀량이 다른 것 등에 의해 흡입 그릴(37)을 상승시켜 수납할 때에, 흡입 그릴(37)의 양 변(37A, 37B)의 수평 방향(천정면에 대해 수평인 방향)의 높이가 정렬되지 않고 횡폭 방향으로 경사지는 자세가 되는 일이 있다. 또한, 흡입 그릴(37)의 승강시에 흡입 그릴(37)이 진동하는 등에 의해 상기 흡입 그릴(37)이 요동하고, 흡입 그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완전 폐쇄되는 상태로 끼워지지 않고, 흡입 그릴(37)의 모서리 등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 패널(14)에 걸린 상태가 되는 일도 있다. 특히, 이들 현상은 흡입 그릴(37)의 횡폭이 길면 길수록[즉, 흡입 그릴(37)의 종횡비가 클수록] 현저해진다. By the way, the suction grille 37 is lowered in a posture inclined in the horizontal width direction (the horizontal width dir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or the amount of the suspension string 50 by each of the two driving motors 71 or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direction (direction horizontal to the ceiling surface) of both sides 37A and 37B of the suction grill 37 is not aligned when the suction return 37 is raised and stored by different winding return amounts. It may become a posture inclined in the horizontal width direction. In addition, the suction grille 37 oscillates due to vibration of the suction grille 37 when the suction grille 37 moves up and down, and the suction grille 37 is completely clos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The edge of the suction grill 37 or the like may be caught in the bottom panel 14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without being fitted. In particular, these phenomena become more prominent the longer the horizontal width of the suction grill 37 (that is, the larger the aspect ratio of the suction grill 37).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 그릴(37)을 수납할 때에 흡입 그릴(37)의 양 변(37A, 37B) 중 어느 하나가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접촉하였을 때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해도 다른 쪽의 변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접촉 하지 않는 경우에는 흡입 그릴(37)의 수평 방향의 경사가 큰 것으로 하고, 이 경사를 수정하기 위한 동작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when one of the sides 37A and 37B of the suction grill 37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t the time of accommodating the suction grill 37, it is a fixed time. When the other side does not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even if this elapses, the inclination of the suction grille 37 shall be large, and the structure which performs the operation process for correcting this inclination is made. It is.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동작 처리시에 있어서 흡입 그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도달한 후에, 일단 이 흡입 그릴(37)을 강하시키고, 다시 흡입 그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도달할 때까지 상승시키는 등의 강하 및 상승 제어를 반복함으로써 흡입 그릴(37)의 요동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흡입 그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완전 폐쇄되는 상태로 확실하게 수납되도록 하고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fter the suction grill 37 reaches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t the time of the said operation process, this suction grill 37 is once dropped, and the suction grill 37 is again carried ou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luctuation of the suction grill 37 by repeating the drop and lift control such as raising until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reaches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nd the suction grill 37 makes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It is made to be stored reliably in the state completely closed by (1a).

이하, 흡입 그릴(37)의 수납시의 동작 처리를 도7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은 흡입 그릴(37)의 수납시에 상기 제어 회로(72)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at the time of storing the suction grill 37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procedure executed by the control circuit 72 at the time of storing the suction grill 37.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회로(72)는 2개의 구동 모터(71)의 각각을 구동하여 현수 끈(50)을 권취 복귀시키고 있는 경우에, 흡입 그릴(37)의 양 변(37A, 37B) 중 한 변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접촉하는 등 하여 어느 하나의 구동 모터(71)가 로크되고, 이 로크에 기인하는 로크 전류가 검출되면(스텝 S1) 제어 회로(72)에 내장된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를 기동하여 카운트를 개시하고, 미리 설정된 카운트 시간(Ct) 동안에 흡입 그릴(37)의 다른 변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접촉한 것에 기인하는 다른 구동 모터(71)에서의 로크 전류가 검출되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 S2). As shown in this figure, when the control circuit 72 drives each of the two drive motors 71 to wind the suspension string 50 back, both sides 37A, When one of the driving motors 71 is locked such that one side of 37B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nd the lock current resulting from this lock is detected (step S1), the control circuit 72 A timer (not shown), which is built into the head, starts counting, and other driving is caused by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with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grill 37 during the preset count time C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lock current in the motor 71 has been detected (step S2).

이 카운트 시간은 흡입 그릴(37)의 횡폭 방향의 경사로서 허용되는 정도에 따라서 설정된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 그릴(37)의 횡폭을 W로 하고, 횡폭 방향의 경사각을 θ로 한 경우 흡입 그릴(37)의 양 변(37A, 37B)의 각각의 높이 방향의 어긋남량(L)은 약 L = θ × W가 된다. 한편, 구동 모터(71)의 단위 시간당 현수 끈(50)의 권취 복귀량을 S라 하면, 어긋남량(L)을 권취 복귀시키는 데 필요로 하는 시간(T)은 약 T = L/S가 된다. This count time is set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to which the suction grill 37 is allowed as the inclination of the transverse direction. In detail, as shown in FIG. 8, when the width | variety of the suction grille 37 is W, and the inclination-angle of the horizontal width direction is (theta), the height of each side 37A, 37B of the suction grille 37 is shown. The shift amount L in the direction is about L = θ × W. On the other hand, if the winding return amount of the suspension string 50 per unit time of the drive motor 71 is S, the time T required to return the shift amount L to winding is about T = L / S. .

즉, 흡입 그릴(37)의 허용되는 경사각, 즉 어긋남량을 Lt로 한 경우에는 카운트 시간 Ct = Lt/S가, 카운트해야 하는 시간으로서 제어 회로(72)에 설정되게 된다. 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allowable inclination angle of the suction grille 37, that is, the shift amount is Lt, the count time Ct = Lt / S is set in the control circuit 72 as the time to be counted.

그런데, 상기 스텝 S2의 판별에 있어서, 다른 쪽의 구동 모터(71)에서의 로크 전류가 검출되지 않고, 흡입 그릴(37)의 다른 변의 접촉이 검출되지 않았던 경우(스텝 S2 : 아니오), 제어 회로(72)는 2개의 구동 모터(71) 각각을 정지하고(스텝 S3), 계속해서 접촉하고 있는 측의 구동 모터(71)만을 구동하여 현수 끈(50)을 조출하고, 이 접촉하고 있는 측의 변을 소정 거리(M)만큼 강하시키고(스텝 S4), 처리 순서를 스텝 S1로 복귀시킨다. By the way, in the determination of said step S2, when the lock current in the other drive motor 71 is not detected and the contact of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grille 37 was not detected (step S2: no), a control circuit 72 stops each of the two drive motors 71 (step S3), drives only the drive motor 71 on the side that is in continuous contact, draws the suspension string 50, and the side of the contacting side. The side is lowered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M (step S4), and the processing sequence is returned to step S1.

이상의 동작에 의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변(37A, 37B)의 높이 방향의 어긋남량(L')은 L' = │L - M│(│x│는 값 x의 절대치를 나타냄)으로 감소하고, 또한 이들 스텝 S1 내지 S4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어긋남량(L')이 허용되는 어긋남량(Lt) 이하로 하고, 흡입 그릴(37)의 횡폭 방향의 경사를 허용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By the above operation, as shown in Fig. 9, the displacement amount L 'in the height direction of both sides 37A and 37B is represented by L' = | L-M | (│x│ represents an absolute value of the value x).) Decreases, and by repeating the operations of these steps S1 to S4, the shift amount L 'is set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allowable shift amount Lt and small enough to allow the inclination of the suction grill 37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becomes possible.

이와 같이, 양 변(37A, 37B)의 높이 방향의 어긋남량(L)이 허용되는 어긋남 량(Lt) 이하가 되면 상기 스텝 S2의 판별 결과가 예로 되고, 제어 회로(72)는 처리 순서를 스텝 S5로 진행하여 흡입 그릴(37)을 확실하게 완전 폐쇄 상태로 수납하기 위한 동작을 행한다. In this way, when the amount of displacement L in the height direction of both sides 37A and 37B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amount of deviation Lt allowed,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2 is taken as an example, and the control circuit 72 steps the processing sequence. Proceeding to S5, an operation for reliably storing the suction grill 37 in a completely closed state is performed.

상세하게 서술하면, 상기 스텝 S1 내지 S4의 동작으로 흡입 그릴(37)의 횡폭 방향의 경사가 수정되지만, 흡입 그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완전 폐쇄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고는 한정되지 않고, 바닥 패널(14)에 걸린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제어 회로(72)는 흡입 그릴(37)을 완전 폐쇄 상태로 수납하기 위해, 구동 모터(71)를 회전 구동하여 흡입 그릴(37)을 제1 소정 거리(예를 들어 1미터)만큼 전체적으로 일단 하강시킨 후(스텝 S5), 다시 흡입 그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접촉하기까지, 즉 스텝 S5에서 강하시킨 제1 소정 거리만큼 흡입 그릴(37)을 상승시켜(스텝 S6) 흡입 그릴(37)을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접촉시킨다. In detail, the inclination of the suction grille 37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corr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above steps S1 to S4, but the suction grille 37 is housed in the completely closed stat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may be in the state which caught the bottom panel 14 in some cases. Thus, the control circuit 72 rotates the drive motor 71 to receive the suction grill 37 in the fully closed state so that the suction grill 37 as a whole is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1 meter). After lowering once (step S5), the suction grill 37 is raised again until the suction grill 37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that is, the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dropped in step S5. (Step S6) The suction grill 37 is made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이 스텝 S5, S6의 동작에 의해 흡입 그릴(37)이 일단 강하됨으로써 그 자세가 수정되고, 다시 상승시킴으로써 흡입 그릴(8)이 완전 폐쇄되는 상태로 수납되지만, 자세의 수정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또 바닥면에 걸린 상태가 되는 일도 있다. 그래서, 확실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제어 회로(72)는 다시 흡입 그릴(37)을 제2 소정 거리만큼 하강시킨 후(스텝 S7), 다시 이 제2 소정 거리만큼 상승시켜(스텝 S8) 흡입 그릴(37)을 바닥면에 접촉시킨다. 이때에는, 흡입 그릴(37)과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끝의 접촉(스텝 S6에 있어서의 접촉)에 의해 흡입 그릴(37)의 상승시의 요동이 억제되고, 또한 다시 흡입 그릴(37)을 강하시킬 때의 내 린 폭(제2 소정 거리)을 제1 소정 거리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흡입 그릴(37)의 요동이 생기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흡입 그릴(37)은 그 진동이 충분히 억제된 상태에서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접촉하고, 거의 확실하게 완전 폐쇄 상태로 수납되게 된다. When the suction grille 37 is once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steps S5 and S6, the posture is corrected, and when it is raised again, the suction grille 8 is stored in a completely closed state, but the posture is not sufficiently corrected. In addition, it may be in a state caught on the floor.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certainty, the control circuit 72 lowers the suction grille 37 again by a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step S7), and then raises it again by this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step S8). 37) to the bottom surface. At this time, the fluctuation at the time of the intake grill 37 is suppressed by the contact (contact in step S6) of the end of the intake grill 37 and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nd the intake grill 37 is again carried out. Since the shaking of the suction grille 37 is less likely to occur by making the fall width (second predetermined distance) at the time of lowering the pressure lower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the suction grille 37 has air in a state where the vibration is sufficiently suppresse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itioner main body 1a comes into contact with and is stored in a fully closed state almost reliably.

또한, 완전 폐쇄 상태에서 흡입 그릴(37)을 수납하기 위해 흡입 그릴(37)을 하강 및 상승시키는 반복 횟수는 1회로 한정되지 않고, 이 반복 횟수를 많게 함으로써(예를 들어 3회 등) 보다 확실하게 흡입 그릴(37)을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완전 폐쇄 상태로 수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lowering and raising the suction grille 37 for storing the suction grille 37 in the fully closed state is not limited to one, and it is more reliabl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repetitions (for example, three times). The suction grill 37 can be housed in a completely closed stat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body 1a.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흡입 그릴(37)을 승강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작업원은 흡입 그릴(37)을 작업 위치까지 강하시켜 필터(39)를 제거할 수 있고, 공기 조화기 본체(1a)가 설치되어 있는 천정면 근처에서의 필터(39)의 제거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간단하고 또한 안전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uction grille 37 is raised and lowered, the worker can lower the suction grille 37 to the working position to remove the filter 39. It is not necessary to remove the filter 39 near the ceiling surface on which (1a) is provided, so that the work can be performed simply and safely.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흡입 그릴(37)을 승강시키는 제1 및 제2 유닛(60a, 60b)을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내장[즉, 케이싱(12A) 내에 수납]하는 것은 아니고,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측면의 외측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또한 유닛측 커넥터(74)에 의해 공기 조화기 본체(1a)와 통신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제1 및 제2 유닛(60a, 60b)의 유지 보수시 등에 있어서 이들 유닛의 제거 및 설치가 용이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1st and 2nd units 60a and 60b which raise and lower the suction grill 37 are not built in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that is, it is stored in the casing 12A), but Since it is set as the structure provided in the outer 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nd the structure which can communicate with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by the unit side connector 74, the 1st and 2nd unit ( At the time of maintenance of 60a, 60b, etc., removal and installation of these units become easy.

게다가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흡입 그릴(37)을 수납할 때에 흡입 그 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도달한 후, 일단 이 흡입 그릴(37)을 강하시키고, 다시 흡입 그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도달할 때까지 상승시키는 등의 강하 및 상승을 복수회 반복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흡입 그릴(37)의 요동을 억제하여 흡입 그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완전 폐쇄되는 상태로 확실하게 수납할 수 있다. Moreo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suction grill 37 has reached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when accommodating the suction grill 37, the suction grill 37 is lowered once. Since the suction grill 37 is configured to repeatedly descend and rise several times until the suction grill 37 reaches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the shaking of the suction grill 37 is suppressed and the suction grill 37 is suppressed. ) Can be reliably stored in a state of being completely closed in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흡입 그릴(37)을 수납할 때에 흡입 그릴(37)의 양 변(37A, 37B) 중 어느 하나가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접촉하였을 때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해도 다른 쪽의 변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바닥면에 접촉하지 않은 경우에는 접촉한 쪽의 변만을 일단 강하시키고, 다시 흡입 그릴(37) 전체[양 변(37A, 37B)]를 상승시키는 등의 동작을 반복하여 행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수납시에 있어서의 흡입 그릴(37)의 횡폭 방향의 경사를 수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Moreo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one of both sides 37A, 37B of the suction grill 37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t the time of accommodating the suction grill 37, it is constant. If the other side does not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even after elapse of time, only the side of the contacted side is once dropped, and the whole suction grill 37 (both sides 37A and 37B) is again Since it is set as the structure which repeats operation | movement, such as raising ,, it becomes possible to correct the inclination of the suction grill 37 at the time of storage in the width direction.

<제2 실시 형태><2nd embodiment>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흡입구에 필터 챔버(90)가 장착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and FIG. 11, the filter chamber 90 is attached to the intake port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each drawing,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tructure same as the structure of 1st Embodiment,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이 필터 챔버(90)는 고성능 필터를 추가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고, 예를 들어 흡입 그릴(37)에는 비교적 교환 사이클이 빠른 필터가 배치되는 데 반해, 필터 챔버(90)에는 비교적 교환 사이클이 긴 필터(롱라이프 필터)(100)가 배치된다. 이 필터(100)로서는, 1회용 필터 이외에 광재생 탈취 필터, 상온 재생 탈취 필터 등이 있다. This filter chamber 90 is used when a high performance filter is added. For example, a filter having a relatively quick replacement cycle is arranged in the suction grill 37, whereas the filter chamber 90 has a relatively long replacement cycle. A filter (long life filter) 100 is disposed. As this filter 100, there exist an optical regeneration deodorization filter, a normal temperature regeneration deodorization filter, etc. other than a disposable filter.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 챔버(90)의 하면에 흡입 그릴(37)이 장착되고, 이 흡입 그릴(37)이 도12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 끈(50)을 거쳐서 승강 가능하게 현수 지지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uction grille 37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hamber 90, and the suction grille 37 is supported by the suspension so that the suction grille can be lifted and lowered via the suspension string 50 as shown in Figs. It is.

즉, 흡입 그릴(37)에,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현수 끈 연결부(38a 내지 38d)가 설치되고, 이들 현수 끈 연결부(38a 내지 38d)에 연결된 복수(4개)의 현수 끈(50a 내지 50d)을 거쳐서 흡입 그릴(37)이 필터 챔버(90)의 하면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현수 끈(50a 내지 50d)이 조출되거나, 혹은 권취 복귀됨으로써 소정의 범위에서 승강하고, 흡입 그릴(37)을 내린 위치에서 이 흡입 그릴(37)에 적재된 필터(39)를 제거 가능하게 구성된다. That is, in the suction grill 37, as shown in Fig. 12, a plurality of hanging string connecting portions 38a to 38d protruding upward are provided, and a plurality (four) connected to these hanging string connecting portions 38a to 38d. The suction grille 37 is support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chamber 90 via the suspension strings 50a to 50d. Then, the suspension strings 50a to 50d are pulled out or rolled up to be lifted up 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filter 39 mounted on the suction grill 37 can be removed at the position where the suction grill 37 is lowered. Is configured.

4개의 현수 끈(50a 내지 50d)(도14)을 조출하거나, 혹은 권취 복귀시키는 승강 기구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양단부에 설치하여 고정된 2개의 유닛(60), 즉 제1 및 제2 유닛(60a, 60b) 내에 수용되어 있다. 제1 유닛(60a) 및 제2 유닛(60b)의 각각은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측면에 설치된 후, 홀더(62)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고정된다. 제1 유닛(60a)은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우측 단부면에 설치하여 고정되고, 이것에는 흡입 그릴(37)의 한 변(37A)(도14 참조)을 지지하는 2개의 현수 끈(50a, 50b)이 연결된다. 한편 제2 유닛(60b)은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좌측 단부면에 설치하여 고정되고, 이것에는 흡입 그릴(37)의 다른 변(37B)(도14 참조)을 지지하는 남은 2개의 현수 끈(50c, 50d)이 연결된 다. As shown in FIG. 12, the elevating mechanism for extracting or winding up the four suspension strings 50a to 50d (FIG. 14)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nd fixed to two units ( 60), i.e., contained in the first and second units 60a, 60b. Each of the first unit 60a and the second unit 60b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nd then held and fixed by the holder 62. The first unit 60a is installed and fixed to the right end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nd there are two hanging strings (for supporting one side 37A of the suction grill 37 (see Fig. 14) ( 50a, 50b) are connected.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unit 60b is fixed to the left end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nd the remaining two suspensions supporting the other side 37B (see Fig. 14) of the suction grill 37 are attached thereto. The strings 50c and 50d are connected.

필터 챔버(90)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흡입구에 장착 가능한 판금제의 사방 프레임(91)과, 필터(100)를 배치하기 위한 필터 프레임(92)으로 개략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12, the filter chamber 90 includes a sheet metal all-round frame 91 that can be attached to the inlet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nd a filter frame 92 for arranging the filter 100. It is composed roughly.

이 사방 프레임(91)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방향에 배치된 단면이 대략 역ㄷ자형인 판금제의 프레임 부재(91a, 91b)와, 짧은 방향에 배치된 단면이 대략 역ㄷ자형인 판금제의 프레임 부재(91c, 91d)로 구성되고, 이 사방 프레임(91)의 대략 중앙에는 짧은 방향을 따라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인 구획 부재(93)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필터 챔버는 단면이 대략 역ㄷ자형인 판금제의 프레임 부재로 이루어지는 사방 프레임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와 같이 폭이 넓은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길이 방향(폭방향)의 프레임 부재가 강도 부족이 되어 휘어지기 쉬워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 부재(93)가 설치되므로 강도 상승이 도모되어 수송시 등에 필터 챔버(90)가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은 해소된다. As shown in Fig. 13, the four-sided frame 91 has frame members 91a and 91b made of sheet metal having a substantially inverted c-shaped cross section disposed in a long direction, and a sheet metal having a substantially inverted c cross section arranged in a short direction. Compartment members 91c and 91d are formed, and a partition member 93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along a short direction is provided at an approximately center of the four-sided frame 91. In general, since the filter chamber is formed of a four-sided frame made of a sheet metal frame member having a substantially inverted c-section, the frame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dth direction) is used in a wide air conditioner such as a ceiling suspended air condition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partition member 93 is provided, the strength increases, and the problem that the filter chamber 90 is deformed during transportation or the like is eliminated.

필터 프레임(92)은, 도15 및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필터 프레임(92a)과, 내측 필터 프레임(92b)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15 and 16, the filter frame 92 includes an outer filter frame 92a and an inner filter frame 92b.

이들은 사방 프레임(91)의 좌우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 사방 프레임(91)의 짧은 방향을 따라 쌍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2종류의 크기의 필터(100)가 택일적으로 장착 가능하고, 도16의 상태에서는 한 쌍의 내측 필터 프레임(92b) 사이에 작은 필터(10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큰 필터(100)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외측 필터 프레임(92a)에 나사(92c)를 거쳐서 연결된 내측 필터 프레임(92b)을 제거하고, 한 쌍의 외측 필터 프레임(92a) 사이에 큰 필터(100)가 장착된다. These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four-sided frame 91, and are arrange | positioned in pair along the short direction of the four-sided frame 91, respectively. In this air conditioner, two types of filters 100 can be mounted alternatively, and in the state shown in Fig. 16, a small filter 100 is mounted between a pair of inner filter frames 92b. In addition, when attaching the large filter 100, the inner filter frame 92b connected to the outer filter frame 92a via the screw 92c is removed, and the large filter (between the pair of outer filter frames 92a) is removed. 100) is mounted.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방 프레임(91)과 외측 필터 프레임(92a)의 간극(S)에 흡입 그릴(37)을 현수하는 현수 끈(50)이 통과된다. 이 간극(S)은 현수 끈(50)뿐만 아니라, 적어도 현수 끈(50)을 계지하는 현수 끈 연결부(38)가 통과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이 현수 끈 연결부(38)의 바로 위에 제1 유닛(60a)[또는 제2 유닛(60b)]이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6, the suspension string 50 which suspends the suction grille 37 passes through the clearance gap S between the four sides frame 91 and the outer filter frame 92a. The gap S is formed to a size such that not only the suspension string 50 but also at least the suspension string connecting portion 38 which engages the suspension string 50, and directly above the suspension string connecting portion 38. 60a (or the second unit 60b) is disposed.

이와 같이, 흡입 그릴(37)을 현수하는 복수의 현수 끈(50)을 통과시키기 위한 간극(S)을 사방 프레임(91)과 외측 필터 프레임(92a) 사이에 갖게 하였기 때문에,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흡입구에 필터 챔버(90)를 장착해도 이 필터 챔버(90)가 현수 끈(50)이나 현수 끈 연결부(38)와 간섭하지 않고, 이에 의해 흡입 그릴(37)을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따르면, 필터 챔버(90)를 장착해도(제2 실시 형태), 혹은 필터 챔버(90)를 장착하지 않아도(제1 실시 형태), 동일 구조의 승강 기구를 이용하여 흡입 그릴(37)을 승강시킬 수 있다. Thus, since the clearance gap S for passing the some hanging string 50 which suspends the suction grill 37 is provided between the four sides frame 91 and the outer filter frame 92a,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 Even if the filter chamber 90 is attached to the suction port of 1a), the filter chamber 90 can raise and lower the suction grill 37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hanging string 50 or the hanging string connecting portion 38. 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even if the filter chamber 90 is mounted (second embodiment) or the filter chamber 90 is not mounted (first embodiment), the suction grill (using the lifting mechanism of the same structure) is used. 37) can be elevated.

또한,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챔버(90)의 사방 프레임(91)의 내측 치수(L1)가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내측 치수(L2)와 거의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필터 챔버(90)를 장착해도(제2 실시 형태), 혹은 필터 챔버(90)를 장착하지 않아도(제1 실시 형태), 동일 구조의 흡입 그릴(37)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6에 있어서는, 이 흡입 그릴(37)을 상승시키면 흡입 그릴(37)의 주연부 상면이 사방 프레임(91)에 접촉하여 흡입 그릴(37)을 수평이고 또한 필터 챔버(90)에 밀착한 상태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16, the inner dimension L1 of the four-way frame 91 of the filter chamber 90 is formed substantially equal to the inner dimension L2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ccording to this, even if the filter chamber 90 is attached (2nd embodiment) or the filter chamber 90 is not attached (1st embodiment), it becomes possible to use the suction grill 37 of the same structure. In FIG. 16, when this suction grille 37 is raised,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y of the suction grille 37 contacts the frame 91 on all four sides, keeping the suction grille 37 horizontally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filter chamber 90. As shown in FIG. Position can be determined.

여기서, 제1 및 제2 유닛(60a, 60b)은 보빈(70)의 회전 정지의 검지에 의해 흡입 그릴(37)이 수용 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출한다. 따라서, 필터 챔버(90)를 장착해도(제2 실시 형태), 혹은 필터 챔버(90)를 장착하지 않아도(제1 실시 형태), 흡입 그릴(37)의 수용시에는 현수 끈(50)의 권취량이 변화될 뿐이고, 본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승강 기구의 제어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제어에 어떠한 처리를 변경하지 않고, 흡입 그릴(37)을 필터 챔버(90)에 접촉하는 위치에 거의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Here, the 1st and 2nd unit 60a, 60b detects that the suction grill 37 has reached the accommodation position by detecting the rotation stop of the bobbin 70. Therefore, even when the filter chamber 90 is attached (second embodiment) or the filter chamber 90 is not mounted (first embodiment), the suspension string 50 is wound up when the suction grill 37 is accommodated. The amount only changes, and in the control of the lif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uction grill 37 stops almost exactly at the position where the suction grill 37 contacts the filter chamber 90 without changing any processing to the control of the first embodiment. You can.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필터 챔버(90)를 장착한 경우라도 흡입 그릴(37)이 승강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원은 흡입 그릴(37)을 작업 위치까지 강하시켜 필터(39)를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when the filter chamber 90 is attached, the suction grill 37 can be raised and lowered, so that the worker can remove the filter 39 by lowering the suction grill 37 to the working position. .

따라서, 공기 조화기 본체(1a)가 설치되어 있는 천정면 근처에서의 필터(39)의 제거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간단하고 또한 안전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not necessary to remove the filter 39 near the ceiling surface on which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is installed,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simply and safely.

상술한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 기구인 제1 유닛(60a)과 제2 유닛(60b)의 각각이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측면 외측에 설치하여 고정되고(도5 또는 도12 참조), 사이드 커버(45)에 덮이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닛(60a) 및 제2 유닛(60b)의 각각이 사이드 커버(45)의 내측에 1개씩 배치된 구성 이라도 좋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mere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arbitrarily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each of the 1st unit 60a and the 2nd unit 60b which are lifting mechanisms is provided and fixed to the side outer sid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and is fixed (FIG. 5 or FIG. 12). Although the structure covered by the side cover 45 was demonstrated, it is not limited to this, As shown in FIG. 17, each of the 1st unit 60a and the 2nd unit 60b has a side cover ( 45 may be arranged one by one inside.

이 구성에 있어서는, 제1 유닛(60a) 및 제2 유닛(60b)의 제어 회로(72)(도6 참조)로부터 인출된 신호선(73)을,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닛 하우징 외부로 인출하고, 이 신호선(73)의 선단부에 설치된 유닛측 커넥터(74)를 공기 조화기 본체(1a)의 측면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 유닛(60a)과 제2 유닛(60b)을 공기 조화기 본체(1a)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다. In this configuration, the signal line 73 drawn out from the control circuit 72 (see FIG. 6) of the first unit 60a and the second unit 60b is drawn out of the unit housing as shown in FIG. The first unit 60a and the second unit 60b are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by connecting the unit side connector 74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signal line 73 to the side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The main body 1a can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 그릴(37)이 공기 조화기 본체(1a), 또는 필터 챔버(90)로 접촉한 것을 회전 검출기(75)(도6 참조)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검출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공기 조화기 본체(1a) 또는 필터 챔버(90) 중 흡입 그릴(37)이 수납되는 부위에 흡입 그릴(37)이 접촉한 것을 검출하는 스위치를 적절한 수만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혹은 구동 모터(71)의 구동 전류를 검출하고, 보빈(70)의 회전 정지에 수반하는 과도 전류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the structure which detects that the suction grille 37 contacted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1a or the filter chamber 90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rotation detector 75 (refer FIG. 6). Although not limited to this, an appropriate number of switches for detecting that the suction grille 37 is in contact with a portion in which the suction grille 37 is accommodated in the air conditioner body 1a or the filter chamber 90 are stored.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to provide, or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which detects the drive current of the drive motor 71, and detects the transient current accompanying rotation stop of the bobbin 70.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흡입 그릴(37)을 4개의 현수 끈(50a 내지 50d)으로 현수하는 경우에 대해 예시하였지만, 현수 끈의 수는 임의라도 좋다. 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demonstrated the case where the suction grill 37 was suspended with four suspension strings 50a-50d, the number of suspension strings may be arbitrary.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천정 현수형 공기 조화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천정 매립형 공기 조화 장치 등의 공기 조화 장치에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eiling suspension type air conditioner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an air conditioner such as a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Claims (13)

공기 청정용 필터가 적재되는 흡입 그릴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In the air conditioner which has an accommodating part which accommodates the suction grill in which the air cleaning filter is mounted, 상기 흡입 그릴을 현수 끈에 의해 지지하여 상기 현수 끈을 조출하거나, 혹은 권취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흡입 그릴을 상기 필터와 함께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과, Eleva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suction grill with a suspension string to pull the suspension string or return the winding to lift the suction grill together with the filter; 상기 흡입 그릴을 상승시켜 상기 수납부에 수납할 때에, 이 흡입 그릴의 폭방향의 어느 일단부가 상기 수납부에 접촉하였을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흡입 그릴의 타단부가 접촉하지 않았던 경우,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조출시켜 상기 수납부와 접촉한 상기 일단부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강하시킨 후, 다시 상기 현수 끈을 권취 복귀시켜 흡입 그릴 전체를 상승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When the suction grill was raised and stored in the housing,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grill did not touch from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ction grill until a predetermined time had elapsed. In this case, the suspending means is provided to the elevating means to lower the one en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torage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the control means for raising the entire suction grille by winding the suspension string again. Air conditio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흡입 그릴 승강시에, 상기 흡입 그릴의 폭방향의 어느 일단부가 상기 수납부에 접촉하였을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흡입 그릴의 타단부가 상기 수납부에 접촉한 경우에,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조출시켜 상기 흡입 그릴 전체를 소정 거리만큼 강하시킨 후, 다시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권취 복귀시켜 상기 흡입 그릴 전체를 소정 거리만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gril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eans has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uction grill during the lifting up and down of the suction grille from which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ction grille touches the housing portion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n the case of contacting the housing, the suspension strap is pulled out by the lifting means to lower the entire suction gril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the suspension strap is wound up again by the lifting means, so that the entire suction grille is a predetermined distanc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ascending as muc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조출시켜 상기 흡입 그릴 전체를 소정 거리만큼 강하시킨 후, 다시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권취 복귀시켜 상기 흡입 그릴 전체를 소정 거리만큼 상승시키는 강하 및 상승 동작을 n회(n ≥ 2)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3. The control mean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ontrol means draws the suspension string to the lifting means to lower the entire suction gril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winds the suspension string back to the lifting means to predetermine the entire suction grille.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repeating the descent and raising operations of raising the distance by n times (n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본체의 폭방향의 양측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vating means is provided on each of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실내 천정으로부터 현수되어 설치되는 천정 현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which is a ceiling suspension type suspended from an indoor ceiling. 공기 조화 장치 본체와 흡입 그릴 사이에 고성능 필터를 구비하는 필터 챔버를 구비하고, A filter chamber having a high performance filter between the air conditioner body and the suction grille,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본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사이드 커버의 내측에 상기 흡입 그릴을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배치하고, An elevating means for elevating the suction grill inside the side cov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이 승강 수단이 상기 흡입 그릴을 현수 끈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And the elevating means supports the suction grille with a suspension strap.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챔버에는 상기 현수 끈을 통과하는 간극이 마련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lter chamber is provided with a gap passing through the suspension str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본체 중 상기 사이드 커버에 의해 덮이는 부위에 설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levating means is installed and fixed at a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covered by the side cov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수단은 상기 사이드 커버에 설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levating means is fixed to the side cov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챔버는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본체의 흡입구에 배치되는 사방 프레임과, 상기 고성능 필터를 배치하기 위한 필터 프레임을 갖고, 이 사방 프레임과 필터 프레임 사이에 상기 현수 끈을 통과하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8. The filter chambe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ilter chamber has a four-way frame disposed at an inlet of the air conditioner main body, and a filter frame for arranging the high performance filter, and passes through the suspension string between the four-side frame and the filter frame. An air conditioner, wherein a gap is provid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그릴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본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현수 끈이 연결되는 현수 끈 연결부를 갖고, 상기 필터 챔버에는 상기 현수 끈 연결부가 통과하는 간극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9. The suction grill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suction grille protrudes toward the main body of the air conditioner and has a hanging string connecting portion to which the hanging string is connected, and the filter chamber is provided with a gap through which the hanging string connecting portion passes. Air conditioner. 공기 청정용 필터가 적재되는 흡입 그릴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고, 상기 흡 입 그릴을 현수 끈에 의해 지지하여 상기 현수 끈을 조출하거나, 혹은 권취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흡입 그릴을 상기 필터와 함께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Lifting means for holding an intake grill on which an air cleaning filter is loaded, for supporting the intake grill by a suspension strap to feed the suspension strap or winding up and returning the suction grill to raise and lower the suction grill together with the filter. In the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having a, 상기 흡입 그릴을 상승시켜 상기 수납부에 수납할 때에, 이 흡입 그릴의 폭방향의 어느 일단부가 상기 수납부에 접촉하였을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흡입 그릴의 타단부가 접촉하지 않았던 경우,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조출시켜 상기 수납부와 접촉한 상기 일단부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강하시킨 후, 다시 상기 현수 끈을 권취 복귀시켜 흡입 그릴 전체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방법. When the suction grill was raised and stored in the housing,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grill did not touch from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ction grill until a predetermined time had elapsed. In this case,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is characterized by feeding the suspension string to the lifting means to lower the one en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ousing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winding the suspension string again to raise the entire suction grille. Control method. 공기 청정용 필터가 적재되는 흡입 그릴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고, 상기 흡입 그릴을 현수 끈에 의해 지지하여 상기 현수 끈을 조출하거나, 혹은 권취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흡입 그릴을 상기 필터와 함께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있어서, A lifting means for storing an intake grill on which an air cleaning filter is loaded, supporting the intake grill with a suspension strap to feed the suspension string or returning the wound grill to raise and lower the suction grill with the filter; In the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provided, 상기 공기 조화 장치를, The air conditioner, 상기 흡입 그릴을 상승시켜 상기 수납부에 수납할 때에, 이 흡입 그릴의 폭방향의 어느 일단부가 상기 수납부에 접촉하였을 때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흡입 그릴의 타단부가 접촉하지 않았던 경우, 상기 승강 수단에 상기 현수 끈을 조출시켜 상기 수납부와 접촉한 상기 일단부를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강하시킨 후, 다시 상기 현수 끈을 권취 복귀시켜 흡입 그릴 전체를 상승시키는 수 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When the suction grill was raised and stored in the housing,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grill did not touch from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ction grill until a predetermined time had elapsed. In this case, the suspension strap is fed to the elevating means to lower the one en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torage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the suspension strap is wound up again to function as a means for raising the entire suction grill. Program of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0067010417A 2003-11-30 2004-11-24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control program for air conditioner KR10080138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36115 2003-11-30
JP2003436115A JP4417102B2 (en) 2003-11-30 2003-11-30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AIR CONDITIONER
JP2003436116A JP4417103B2 (en) 2003-11-30 2003-11-30 Air conditioner
JPJP-P-2003-00436116 2003-11-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200A Division KR100835769B1 (en) 2003-11-30 2004-11-24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control program for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761A true KR20060105761A (en) 2006-10-11
KR100801384B1 KR100801384B1 (en) 2008-02-05

Family

ID=346356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417A KR100801384B1 (en) 2003-11-30 2004-11-24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control program for air conditioner
KR1020077022200A KR100835769B1 (en) 2003-11-30 2004-11-24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control program for air conditione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200A KR100835769B1 (en) 2003-11-30 2004-11-24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control program for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701099B1 (en)
KR (2) KR100801384B1 (en)
WO (1) WO2005052456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953B1 (en) * 2007-03-29 2008-07-17 신정훈 Up and down re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652B1 (en) 2008-01-21 201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03954029B (en) * 2014-05-20 2016-08-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Courtyard machine side plate and courtyard machine
JP6945616B2 (en) * 2017-03-14 2021-10-06 三菱電機株式会社 Ceiling embedded air conditioner
WO2019244396A1 (en) * 2018-06-19 2019-12-26 シャープ株式会社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N114183814A (en) * 2021-12-03 2022-03-15 美的集团武汉暖通设备有限公司 Indoor unit, related equipment of indoor unit and control method of indoor uni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250B2 (en) * 1987-08-18 1995-10-04 株式会社興人 Stabilization method of cationic vinyl monomer
JP2923150B2 (en) * 1992-11-20 1999-07-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Air conditioner
JP3051892B2 (en) * 1995-02-28 2000-06-12 三洋電機株式会社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PT768500E (en) * 1995-10-13 2004-02-27 Sanyo Electric Co AIR SUCTION GRILL ELEVATION CONTROL DEVICE
JPH09287812A (en) * 1996-04-22 1997-11-04 Matsushita Refrig Co Ltd Deodorizing, antibacterial air filter device for air conditioner
JPH1047750A (en) * 1996-08-02 1998-02-20 Matsushita Refrig Co Ltd Controller for air conditioner
JPH11101497A (en) * 1997-09-29 1999-04-13 Sanyo Electric Co Ltd Suspension type air conditioner
JPH11325554A (en) * 1998-05-11 1999-11-26 Mitsubishi Electric Corp Air conditioner
JP4711545B2 (en) * 2001-05-31 2011-06-29 三洋電機株式会社 Embedded ceiling air conditio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953B1 (en) * 2007-03-29 2008-07-17 신정훈 Up and down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01099A1 (en) 2006-09-13
EP1701099B1 (en) 2017-10-18
KR20070107173A (en) 2007-11-06
KR100801384B1 (en) 2008-02-05
EP1701099A4 (en) 2009-06-17
WO2005052456A1 (en) 2005-06-09
KR100835769B1 (en)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634B1 (en) air cleaner
KR101148752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4910744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2110618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801384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control program for air conditioner
CN110857798A (en) Dehumidifier
CN101493249B (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4271008B2 (en) Embedded ceiling air conditioner
JP2007309581A (en) Air conditioner
JP3843011B2 (en) Embedded ceiling air conditioner
JP4417102B2 (en)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FOR AIR CONDITIONER
JP4319487B2 (en) Ceiling suspended air conditioner
JP2004218963A (en) Recessed type ceiling air conditioner
JP3507268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4417103B2 (en) Air conditioner
JP2002349893A (en) Ceiling-buried air conditioning equipment
CN111503744B (en) Air conditioner
KR102003608B1 (en) Cleaning device for ceiling-type air conditioner
JP2004218988A (en) Recessed type ceiling air conditioner
JP2005077057A (en) Automatic lifting panel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it
JP2005016767A (en) Air conditioning device
JP5180552B2 (en) Air conditioner
CN216223168U (en) Municipal works sewage pipe network purifier
KR102463802B1 (en) Dehumidifier
KR20080045565A (en)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