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4683A - 복수의 정합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단말기에서 정합회로를 선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정합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단말기에서 정합회로를 선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683A
KR20060104683A KR1020050027028A KR20050027028A KR20060104683A KR 20060104683 A KR20060104683 A KR 20060104683A KR 1020050027028 A KR1020050027028 A KR 1020050027028A KR 20050027028 A KR20050027028 A KR 20050027028A KR 20060104683 A KR20060104683 A KR 20060104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ching circuit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antenna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27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4683A/ko
Publication of KR20060104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8Input circuits, e.g. for coupling to an antenna or a transmission 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6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03H7/40Automatic matching of load impedance to source imped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와 내부회로 간에 최적화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정합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정합회로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기에 복수의 정합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가 송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주파수 밴드를 분석하여, 상기 주파수 밴드에 대응하는 정합회로를 선택하고, 이로 인해 가변하는 통신 신호에 대하여 내부회로가 안테나와 최적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것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송수신되는 통신 신호에 따라 최적의 안테나 효율을 제공하는 정합회로를 사용하여, 통신 품질의 향상을 꾀하고, 배터리의 수명 시간이 길어지며, 또한, 듀얼 밴드용 안테나에 최적의 안테나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 안테나, 정합회로, 주파수 밴드, 배터리 효율

Description

복수의 정합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정합회로를 선택하는 방법{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MATCHING CIRCUIT AND METHOD OF CHOOSING THE MATCHING CIRCUIT OF THE TERMINAL}
도 1은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의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가 정합회로를 선택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안테나와 내부회로 간에 최적화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정합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정합회로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기에 복수의 정합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가 송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주파수 밴드를 분석하여, 상기 주파수 밴드에 대응하는 정합회로를 선택하고, 이로 인해 가변하는 통신 신호에 대하여 내부회로가 안테나와 최적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것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노트북 컴퓨터, 및 인공위성을 이용한 Iridium 서비스 등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가 시행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상술한 서비스 중에서 다수의 서비스가 상용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가 있으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기본적인 통신 기능 이외에 추가적으로 소형화, 다기능화, 경량화 및 저전력화를 목표로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다기능화, 경량화의 추세에 맞춰 통신 단말기의 안테나도 더불어 발전하였다. 안테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통신능력을 부여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 부품으로서 기본이론 및 설계기술의 난이도가 높은 분야이다. 이러한 안테나의 효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는 소형화되고, 다기능화되며, 저전력화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통신 단말기의 기본적인 능력인 통신 품질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러나, 안테나는 구비되는 통신 단말기의 형태 및 재질에 따라 성능이 변화하고, 상기 안테나에 전달되어 통신 신호는 통신 사업자 및 주변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를 갖게 된다. 이렇듯 다양한 주파수 밴드의 통신 신호에 융통성 있게 대처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통신 단말기에 하나의 정합회로가 두 개 이상의 주파수 밴드에서 공통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는 것을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발생 가능한 복수의 주파수 밴드 각각에 최적의 안테나 효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있어서, 안테나 효율이 최적화되지 아니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에 포함되는 배터리의 사용시간 단축, 통신 품질의 저하 등의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통신 서비스 사업자는 이러한 통신 품질의 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망 관리에 막대한 비용을 부담할 수 있다.
또한, 근래 단일 주파수 밴드만을 이용하는 통신 서비스와는 달리 전세계 어디서나 통신이 가능한 통신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으며, 향후 새로운 형태의 거대한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하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상이한 통신 서비스를 공급 받을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 서비스용 단말기에 구비되는 안테나 및 각종 부품들은 기존의 크기 및 전기적 규격을 만족하면서 두 가지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개발 및 제작에 어려움이 크다. 특히 안테나의 경우 셀룰러(824-894MHz)와 PCS(1750-1870MHz)는 그 중심주파수가 1GHz 정도 떨어져 있으며, 각각의 중심주파수가 서로의 하모닉 성분에 대해 정수배가 아니기 때문에 기존의 안테나에 정합회 로만을 설계하는 것으로는 두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소형 안테나는 단말기 외부 면의 최소 면적에 위치해야 하는 특성상 서로 다른 두 가지 형태의 안테나를 구비할 수 없다. 이러한 듀얼 밴드용 안테나의 정합회로에 관한 연구는 선진외국 업체들에 의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가시적인 연구 성과가 나오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송수신되는 통신 신호에 따라 최적의 안테나 효율을 제공하는 정합회로를 제공하여, 통신 품질의 향상을 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단말기에 최적의 안테나 효율을 제공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듀얼 밴드용 안테나에 최적의 안테나 효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소정의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회로와의 정합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주파수 밴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정합회로, 상기 안테나에서 수신한 상기 통신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통신 신호의 주파수 밴드를 선택하고, 소정의 정합회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싱 유닛, 및 상기 정합회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정합회로 중에서 하나의 정합회로를 선택하는 밴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가 정합회로를 선택하는 방법은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소정의 프로세싱 유닛에서 상기 통신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통신 신호의 주파수 밴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싱 유닛이 상기 선택한 주파수 밴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합회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소정의 밴드 스위치가 상기 정합회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정합회로 중에서 하나의 정합회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정합회로 및 정합회로의 선택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안테나로 휩 안테나(100)와 헤리컬 안테나(1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휩 안테나(100)와 헤리컬 안테나(101)는 각각 상이한 특성을 가지며 통신 신호를 송수신한다. 주로 신호대기 상태 및 전파환경이 양호할 때는 헤리컬 안테나(101)가 단독으로 동작하며, 전파환경이 열악할 곳에서는 휩 안테나(100)가 인출된 상태에서 두 안테나가 동시에 동작한다. 또한, 헤리컬 안테나(101)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102)에 부착된 금속 접점에 부착된다. 휩 안테나(100)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금속 접점(103)과 접속되지 않으나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금속 접점(103)과 접속된다.
금속 접점(103)은 내부회로(120)로 연결된다. 이 때, 내부회로(120)와 상기 안테나는 상호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져야만 송수신하는 통신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임피던스 매칭으로 인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본적인 목적인 통신 품질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내부회로(120) 및 상기 안테나 간에는 정합회로(110)가 위치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정합회로를 통해 상기 내부회로(120) 및 상기 안테나의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술한 안테나 및 내부회로의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정합회로 및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정합회로는 안테나와 상기 내부회로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하여, 하나의 정합회로가 선택되어야 하는데, 주파수 밴드에 따라, 가장 최적으로 임피던스 매칭될 수 있는 정합회로가 상기 내부회로와 상기 안테나의 임피던스 매칭에 사용된다. 이 때, 복수의 정합회로 중에서 하나의 정합회로를 선택하는 것은 상기 스위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200)는 안테나(201), 복수의 정합회로(202), 프로세싱 유닛(203), 밴드 스위치(204), 사용자 입력부(20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201)는 통신 단말기(200)에서 생성되는 통신 신호를 외부의 제2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거나,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로부터 생성되는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 단말기(200)의 대표적인 일례인 이동 통신 단말기는 헤리컬 안테나와 휩 안테나의 결합을 이용한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정합회로(202)는 상기 안테나와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회로와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한다.
안테나(201)를 통해 수신된 통신 신호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회로로 전달되어야 하는데, 상기 통신 신호는 가장 먼저 내부회로 중에서 무선주파수 회로로 전달된다. 상기 무선주파수 회로는 방사주파수 회로라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하며, 통상 전자파를 이용한 무선 장비의 내부회로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무선주파수 회로는 1Ghz이하의 전자파를 사용하는 통신 회로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신호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무선주파수 회로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통신 신호를 전달 받으며, 상기 통신 신호는 다양한 주파수 밴드로 나타난다. 통신 신호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사업자가 상이한 경우, 또는 지형지물 등의 요인으로 인해 주파수 밴드가 변하는 경우 등의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안테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각각의 주파수 밴드의 특성에 따라, 상기 무선주파수 회로와 상기 통신 신호와 최적으로 임피던스 매칭될 수 있는 정합회로 복수 개를 구비한다. 이러한 정합회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주파수 밴드와 내부의 무선주파수 회로에 공통적으로 최적화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정합회로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정합회로(202)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주파수 밴드에 대응되어 상기 무선주파수 회로와의 임피던스 매칭에 있어서, 최적의 임피던스 매칭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안테나 효율이 최대화되고, 이로 인한, 배터리의 사용시간의 증가 및 노이즈에 둔감한 특성을 갖게 되며, 결과적으로 통신 품질의 향상의 효과를 꾀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03)은 상기 안테나에서 수신한 상기 통신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통신 신호의 주파수 밴드를 선택하고, 소정의 정합회로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통신 신호의 주파수 밴드의 일례로 셀룰러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800Mhz 내외의 주파수 밴드의 통신 신호를 통신 신호로써 이용하며, PCS 방식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1.8Ghz 내외의 주파수 밴드의 통신 신호를 통신 신호로써 이용한다. 이러한 각 통신 방식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각 통신사 시스템 또는 기지국에 따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통신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통신 신호를 수신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싱 유닛(203)으로 상기 통신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프로세싱 유닛(203)은 상기 수신한 통신 신호를 안테나는 통신 신호의 주파수 밴드를 분석하여, 결과를 추출하게 된다. 통신 신호에 대한 주파수 밴드를 분석하는 기술은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싱 유닛(203)은 사전에 설정된 특정 주파수 밴드에 대응하는 특정 정합회로를 선택하기 위한 정합회로 선택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밴드 스위치(204)는 프로세싱 유닛(203)에서 생성된 정합회로 선택 신호에 따라, 복수의 정합회로(202) 중에서 하나의 정합회로를 선택한다.
종래에는 복수의 주파수 밴드에 대하여, 하나의 정합회로를 사용하여, 통신 신호의 생성 또는 전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이버시티, 페이딩 등으로 인한 주파수 밴드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스위치는 상기 주파수 밴드의 변화에 대응하여 프로세싱 유닛(203)에서 생성된 정합회로 선택 신호에 따라, 가장 최적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는 정합회로를 선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와 내부회로는 효율적인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에 대한 중요성은 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대다수의 전자 제품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사항이며, 본 발명에 따른 정합회로의 제공 장치는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및 노트북 컴퓨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생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입력부(205)는 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자로부터 정합회로 선택 신호를 입력 받거나, 또는 통신 신호의 주파수 밴드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는 통신 단말기(200)에 포함되는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써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써 복수의 키패드, 음성 인식 수단, 및 터치 스크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수단을 사용할 수 있 다. 또한, 통신 단말기(200)는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이외에 다양한 수단을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의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300)는 안테나(301), 듀플렉서(302), 프로세싱 유닛(303), 복수의 정합회로(304), 밴드 스위치(305), 사용자 입력부(3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근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하나의 단말기에서 셀룰러, PCS, 및 GSM 등 하나의 통신 방식을 채택하던 방식에서 상기 통신 방식들 모두 또는 그 조합으로 복수의 통신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300)는 상술한 통신 방식과 같이 사용하는 주파수 밴드가 현저하게 차이 나는 통신 신호에 대하여 최적의 정합회로를 제공하게 된다.
안테나(301)는 통신신호를 수신하여, 듀플렉서(302)로 전달한다. 이에 듀플렉서(302)는 상기 셀룰러, PCS, 및 GSM의 통신 방식 중에서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통신 신호를 추출한다. 상기 추출된 통신 신호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싱 유닛(303)으로 전달되고, 프로세싱 유닛(303)은 상기 통신 신호의 주파수 밴드를 분석하여, 복수의 정합회로(304) 중에서 상기 주파수 밴드에 대응되는 특정 정합회로를 선택하기 위한 정합회로 선택 신호를 생성한다. 밴드 스위치(305)는 상기 정합회로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정합회로 선택 신호에 따라, 특정 정합회로로써 안테나(301)와 통신 단말기(300)의 내부회로와의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도록 스위칭한다. 이로써, 듀얼 밴드를 사용하는 통신 단말기(300)는 각각의 통신 방식에 대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최적화할 수 있는 정합회로를 제공하게 된다.
사용자 입력부(306)는 통신 단말기(300)의 사용자로부터 정합회로 선택 신호를 입력받거나, 또는 통신 신호의 주파수 밴드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일례로, CDMA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지역에서 GSM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지역으로 이동하여 통신 단말기(3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입력부(306)로 특정 정합회로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통신 품질을 기대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정합회로를 선택하기 위해 다수의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하드웨어적으로 하나의 정합회로를 선택하여 고정 사용하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인 통신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가 정합회로를 선택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401)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무선주파수로써 통신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무선주파수에 대응하여 고유한 주파수 밴드가 존재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기지국 안테나에서 복사하는 통신 신호 가운데 전파 세력이 가장 강한 채널, 즉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가장 가까운 기지국을 포착하고,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호 등록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등록 과정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유 식별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등록 함으로써, 통화 가능 상태가 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통화 가능 상태가 되면, 상기 기지국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송신할 통신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특정 주파수 밴드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통신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는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통신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402)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통신 신호를 분석하고, 단계(403)에서, 상기 통신 신호의 주파수 밴드에 대응하는 정합회로 선택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통신 신호는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세싱 유닛에 전달된다.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수신한 통신 신호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주파수 밴드를 추출한다. 주파수를 분석하여 주파수 밴드를 추출하는 것은 종래 다양한 통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적 사상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세싱 유닛은 통신 신호의 주파수 밴드에 대응하는 정합회로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정합회로 선택 신호를 생성한다.
단계(404)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스위치는 상기 프로세싱 유닛이 상기 선택한 주파수 밴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합회로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정합회로로써, 안테나와 내부회로 간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한다.
상기 밴드 스위치는 상기 프로세싱 유닛으로부터 정합회로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정합회로를 검색하여, 상기 정합회로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특정 정 합회로를 선택한다. 상기 밴드 스위치는 상기 선택된 정합회로로써,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및 내부회로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계(403)에서 안테나와 내부회로 간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정합회로가 정해지면, 단계(404)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프로세싱 유닛으로부터 주파수 밴드를 추출하여, 정합회로를 결정하는 상술한 방법 이외에, 사용자로부터 직접 주파수 밴드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통신 신호의 주파수 밴드를 입력 받고,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입력 받은 주파수 밴드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최적으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는 정합회로를 검색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정합회로 선택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는 송수신되는 통신 신호에 따라 최적의 안테나 효율을 제공하는 정합회로를 사용하여, 통신 품질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효율을 최적화 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 시간을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듀얼 밴드용 안테나에 최적의 안테나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소정의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회로와의 정합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주파수 밴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정합회로;
    상기 안테나에서 수신한 상기 통신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통신 신호의 주파수 밴드를 선택하고, 소정의 정합회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싱 유닛; 및
    상기 정합회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정합회로 중에서 하나의 정합회로를 선택하는 밴드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정합회로 선택 신호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정합회로 선택 신호를 상기 밴드 스위치로 전달하고, 상기 밴드 스위치는 상기 정합회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정합회로 중에서 하나의 정합회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및 노트북 컴퓨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4.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소정의 프로세싱 유닛에서 상기 통신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통신 신호의 주파수 밴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싱 유닛이 상기 선택한 주파수 밴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합회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소정의 밴드 스위치가 상기 정합회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정합회로 중에서 하나의 정합회로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정합회로 선택 방법.
  5. 제4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50027028A 2005-03-31 2005-03-31 복수의 정합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단말기에서 정합회로를 선택하는 방법 KR20060104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028A KR20060104683A (ko) 2005-03-31 2005-03-31 복수의 정합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단말기에서 정합회로를 선택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028A KR20060104683A (ko) 2005-03-31 2005-03-31 복수의 정합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단말기에서 정합회로를 선택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683A true KR20060104683A (ko) 2006-10-09

Family

ID=3763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028A KR20060104683A (ko) 2005-03-31 2005-03-31 복수의 정합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단말기에서 정합회로를 선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46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607B1 (ko) * 2007-05-10 2010-08-17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정합 회로
KR20120038152A (ko) * 2010-10-13 2012-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송신 성능 최적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607B1 (ko) * 2007-05-10 2010-08-17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정합 회로
KR20120038152A (ko) * 2010-10-13 2012-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송신 성능 최적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5697B2 (en) Compact diversity antenna
US7777684B2 (en) Multi-band slot-strip antenna
Deng et al. TCM-based bezel antenna design with small ground clearance for mobile terminals
US88862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antennas for high frequency and low frequency applications
EP2650969B1 (en) Compact broadband antenna
US7639188B2 (en) Radio antenna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EP1460713B1 (en) Compact diversity antenna
US20170194694A1 (en) Dual-band wi-fi antenna and mobile terminal
CA2738169C (en) Antenna assembly with electrically extended ground plane arrangement and associated method
US20130194136A1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multiple-band antenna and related methods
Bhellar et al. Frequency reconfigurable antenna for hand‐held wireless devices
EP2649680B1 (en) Modified ground plane (mgp) approach to improving antenna self-matching and bandwidth
US8060162B2 (en) Slider grounding to mitigate unwanted coupling and lossy antenna resonance
CN112768875B (zh) 电子设备
CA2803642C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multiple-band antenna and related methods
US10411326B1 (en) Single feed passive antenna for a metal back cover
KR20060104683A (ko) 복수의 정합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 통신단말기에서 정합회로를 선택하는 방법
US20140125536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wide-band antenna element therein
US20220247092A1 (en) Antenna array, fpc and electronic device
CN103339868B (zh) 无线通信装置
CN112688063A (zh) 通信装置和通信方法
Anguera et al. Handset antenna design for FM reception
CN114464994A (zh) 一种手机天线
Skrivervik et al. Small Terminal Antennas for Mobile Applications: Design Considerations and Specific Examples.
Mosig et al. Small terminal antennas for mobile applications: Design considerations and specific examp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