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4509A - 골프용 타격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골프용 타격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509A
KR20060104509A KR1020050026735A KR20050026735A KR20060104509A KR 20060104509 A KR20060104509 A KR 20060104509A KR 1020050026735 A KR1020050026735 A KR 1020050026735A KR 20050026735 A KR20050026735 A KR 20050026735A KR 20060104509 A KR20060104509 A KR 20060104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actice
rod
fixed
support tube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철
Original Assignee
신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철 filed Critical 신재철
Priority to KR1020050026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4509A/ko
Publication of KR20060104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용 타격연습장치에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및 이동설치가 용이하여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마당 등에서 손쉽게 타격연습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퍼팅연습은 물론 스윙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연습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의 특징으로는 가장자리에 못이나 팩 등을 박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구멍을 가지며 원형(또는 사각이나 육각을 비롯한 다각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됨)판으로 형성되어 상면 중앙부에 원통형지지관을 일체화되게 고정시킨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원통형지지관 외부에 끼워지며 일단에는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관이 타단에는 고정나사봉을 가진 레버가 장착된 조절링과, 상기 원통형지지관에 하단이 삽입 지지되는 축봉과, 상기 축봉에 삽입되며 내부에 스프링 안착부가 형성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손잡이를 가진 고정나사가 체결된 하부지지체와, 상기 축봉 상단에 결합되며 상단에 "ㄷ"자형 지지간 일단이 끼워져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내부에는 베어링이 장착됨과 동시에 스프링의 상부를 감싸는 공간이 형성된 상부회전체와, 다수의 링크가 X형태로 연결 고정되어 절첩되고 제일 후미에 위치한 링크의 일단이 지지관의 삽입축 상단과 관절링크에 의해 유설되며, 선단에 타격봉을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된 홀더를 장착하여서 된 절첩링크부와, 선단에 골프공이 유설되고, 본체가 다양한 형태의 코일스프링 또는 탄성봉 형태이며 후미에 절첩링크부의 홀더에 결합되도록 결합핀을 장착시켜서 된 타격봉으로 구성된다.
한편, 벽면 하단이나 바닥에 고정시켜 상기 타격연습장치를 지지함과 동시에 타격연습장치의 이송조절이 가능하게 한 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하여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건물의 옥상, 마당 등의 한정된 공간에서도 퍼팅 또는 스윙 연습등 다양하게 골프 연습을 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이 따른다.
골프연습장치, 퍼팅연습기구, 스윙연습기구, 골프용 간이연습기구.

Description

골프용 타격연습장치{golf swing practic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A - 도 8C는 본 발명의 타격봉에 대한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것임.
본 발명은 골프공 타격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어느 장소에서든 손쉽게 설치하여 스윙 및 퍼팅 등의 다양한 형태의 타격연습을 할 수 있음은 물론, 골프체에 의해 맞고 나간 공이 전진 후 항상 제 위치로 자동원복됨으로서 공을 주워 모으는 등의 불편함이 전혀 없으며 이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연속 적으로 반복연습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골프는 근자에 들어 생활스포츠로 각광을 받음에 따라 골프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인기를 반영하듯이 전국적으로도 많은 골프장이 건설됨과 동시에 도심에도 많은 골프연습장이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위와 같은 추세에 따라 개인이 건물의 옥상이나 가정의 마당 등과 같이 그리 넓지 않은 공간에 설치하여 연습할 수 있는 간이형 골프연습장이나, 또는 가정의 거실, 베란다, 서재, 사무실 등의 좁은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퍼팅 연습기 등을 구비하여 연습하는 경우도 꽤 늘고 있다.
상기한 간이형 골프연습장은 시간을 내기 어려운 사람들도 저비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통상 제법 넓은 마당이나 옥상 등과 같은 소정의 공간이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어 실내에서의 설치 사용이 어렵고, 또 휴대하여 활용하기 불편하며, 타격 중간에 골프공을 주워 모으는 일이 번거로워 활용도가 그다지 높지 않다.
또한, 휴대가 용이하도록 아무리 소형화하더라도 실외, 특히, 야외에서 사용할 때 골프공을 임팩트하는 자체가 다른 사람에게 불안감을 조장하기도 하고 골프공이 때론 멀리 날아가서 수거의 불편과 분실의 염려 또한 매우 크다. 이러한 문제때문에 어느 장소에서나 손쉽게 타격하면서 골프연습을 할 수 있는 스윙 및 퍼팅 연습기가 필요한 실정이나 아직까지는 수요자의 구미에 맞는 연습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한편, 퍼팅연습기는 말 그대로 가까운 거리에서 홀에 공을 집어 넣는 연습이기 때문에 스윙을 할 수 없어 연습이 지나치게 한정적이고, 이에 따라 쉽게 지루해짐과 동시에 다양한 구질을 발휘할 수 없어 그다지 큰 실효를 거두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특히, 장소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설치 사용할 수 있고, 스윙은 물론 퍼팅연습 및 자세교정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연습 또는 훈련을 할 수 있으며, 더불어 타격시 골프공이 자동으로 원복됨으로서 공을 분실한다거나 또는 공을 주으러 가는 등의 번거로움이 전혀 없는 타격연습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격연습장치(100)는 스윙과 퍼팅연습을 병행할 수 있어 골프연습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특징이 따르게 되는데, 이하 그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형 또는 사각이나 육각을 비롯한 다각형상으로 되어 가장자리 소정위치에 못이나 팩 등을 이용하여 지면에 박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고정구멍을 형성하고, 상면 중앙부에 원통형지지관(11)을 고정시킨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의 원통형 지지관(11) 외부에 끼워져 고정되며 일단에 지주관(21)이 그리고 타단에는 고정나사봉(22)을 가진 레버(23)가 장착되어 지주관(21)의 위치를 된 조절 링(2)과, 상기 원통형지지관(11)의 내부에 하단이 삽입되는 축봉(3)과, 상기 축봉(3)에 삽입되고, 내부에 스프링 안착부(41)와 스프링(42)의 일단을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볼트 또는 돌기 등의 하걸부재(43)를 가지며 외주면 일측에 손잡이(44)를 가진 고정나사(45)를 체결하도록 된 하부지지체(4)와, 상단에 "ㄷ"자형 지지간(51) 일단이 끼워져 볼트(52)에 의해 고정되고 내부에는 축봉(3) 상단에 결합되는 베어링(53)이 장착됨과 동시에 스프링(42)의 타단 끝을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볼트 또는 돌기 등의 상걸부재(54)를 가짐과 동시에 스프링(42)을 감싸는 공간이 형성된 상부회전체(5)와, 다수의 링크(61)가 X형태로 연결 고정되어 절첩되고 상기 링크(61) 중 제일 후미에 위치한 링크(61) 일단에 상기 "ㄷ"자형 지지간(51)의 타단이 연결 고정되며, 상기 링크(61)중 후미에 위치한 링크의 일단에 관절링크(61')의 선단이 연결되고 후단이 지지관의 삽입축(62) 상단에 유설되며, 선단에 타격봉(7)을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된 홀더(63)를 장착하여서 된 절첩링크부(6)와, 선단에 골프공(71)이 유설되고, 본체(72)가 다양한 형태의 코일스프링 형태이며 후미에 절첩링크부(6)의 홀더(63)에 분해 결합되도록 결합핀(73)을 장착시켜서 된 타격봉(7)으로 구성된다.
상기 타격봉(7)은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선단에 골프공(71)을 결합하되 부드럽게 구를 수 있도록 골프공(71) 내부에 베어링을 내장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타격봉(7)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72)를 코일스프링 형태로 형성하거나 또는 탄성을 가진 금속제 스틱을 이용하여 구성하여도 되며, 결합핀(73) 즉, 타격봉(7)을 절첩링크부(6)에 연결 구성된 홀더(64)에 결합시키도록 된 구성 또 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어 이 부분에 대한 구성의 변형 또는 변경은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타격연습장치(100)를 설치 사용하는 과정에서 벽면 하단 소정위치에 머리가 돌출되도록 앵커볼트 등을 박아 상기 앵커볼트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열쇠구멍 모양의 체결공(83)이 형성되고, 상기 타격연습장치(100)를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체형 등을 감안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송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봉 또는 한 쌍의 안내돌기로 구성된 레일(81)이 장착구성된 프레임(8)을 더 구비할 수 도 있으며, 이 때 상기 타격연습장치(100)를 구성하는 베이스(1) 저면에는 상기 레일(81)을 안정적으로 타기 위한 슬라이더(82)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골프 연습시 골프공(71)을 타격하였을 때 삽입축(62)에 연결된 관절링크(61')와 상부회전체(5) 및 다수의 링크(61)가 "X"자 형태로 연결 구성되어서 된 절첩링크부(6), 그리고 탄성을 가진 본체(72)의 유기적인 작용에 의해 도3과 도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이 타격방향으로 굴러가면서 일차적으로는 직선방향으로 어느정도 전진하다가 축봉(3)을 중심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회전하게 됨으로서 연습시 구질파악 및 습득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어서 전진 및 회전하였던 골프공(71)은 스프링(42)의 복원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끔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하, 위와 같은 특징을 가진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이스(1)의 상면 중앙부에 일체로 된 지지관(11)에는 지주관(21)과 레버(23)를 가진 고정나사봉(22)이 장착된 조절링(2)이 끼워져 있어 지주관(21)의 위치 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 셋팅할 수 있다. 상기 지지관(11)에는 축봉(3)이 삽입고정되고 상기 축봉(3)에 하부지지체(4)와 상부회전체(5)가 스프링(42)과 함께 조립되되, 하부지지체(4)는 손잡이(44)를 가진 고정나사(45)로서 고정되고, 상부회전체(5)와의 사이에는 스프링(42)이 개재된 상태이며 상부회전체에 절첩링크부가 연결장착된 "ㄷ"자형 지지간(51)이 조립되고, 또, 상기 절첩링크부(6)에는 지주관(21)에 조립 고정된 삽입축(62)과 관절링크(61')가 연결 설치된 상태이므로 절첩링크부(6) 선단 홀더(63)에 타격봉(7)이 조립된 상태에서 타격봉(7)끝에 장착된 골프공(71)을 사용자가 임팩트하게 되면, 그 충격에 의해 절첩링크부(6)가 신장됨과 동시에 타격방향으로 전진 및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부회전체(5)도 함께 회전하는 과정에서 스프링(42)이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회전방향으로 압축되며 이어서 스프링(42)이 복귀하면서 타격봉(7)이 본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하부지지체(4)는 스프링(42)의 하단 끝을 고정한 상태에서 축봉(3)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부회전체(5)는 스프링(42)의 상단 끝을 지지한 상태에서 타격봉(7)에 작용하는 충격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부회전체(5)에는 타격봉(7)이 결합 고정되는 절첩링크부(6)가 연결 조립됨과 동시에 상기 절첩링크부(6)의 일단이 관절링크(61')에 의해 삽입축(62)의 상단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타격봉(7) 끝에 유설된 골프공(71)을 타격하였을 때 신장 및 회전된 절첩링크부(6)와 상부회전체(5)가 스프링(42)의 복원력에 의해 원복될 때 관절링크(61')가 절첩링크부(6)를 절첩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타격봉(7)이 본래의 위치로 안정적으로 원복되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절첩링크부(6)는 골프공(71)을 쳤을 때 그 충격에 의해 상부회전체(5)와 함께 회전되면서 동시에 신장되기 때문에 골프공 타격시 타격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진행하다가 절첩링크부(6)가 완전히 펴지는 위치에서 축봉(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서 사용자가 초기 진행 방향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 따르게 되며, 따라서 스윙은 물론 퍼팅 연습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타격연습장치는 조절링(2)과 하부지지체(4)에 의해 스프링(42)의 장력조절을 할 수 있는데, 상기 조절링(2)은 절첩링크부(6)의 절첩을 유도하고, 하부지지체(4)는 스프링(42)의 탄력조절을 하게 됨으로서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타격연습장치(100)를 실내 또는 야외의 바닥 또는 지면에 놓고 사용함에 있어서, 벽면 하부위치에 못 또는 앵커볼트 등을 머리부분이 약간 돌출되도록 박아 고정시킨 뒤 이 곳에 레일이 장착된 "ㄴ"자형 프레임(8)의 체결공을 끼워 걸어지지 시키고, 상피 프레임(8)의 레일(81)에 타격연습장치(100)의 베이스(1)를 설치하면되며, 이 경우 레일(81)을 타고 베이스(1)가 전후진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리한 위치로 타격연습장치(100)의 위치를 조절해 놓고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레일(81)은 봉타잎은 물론 기차레일식의 레일로도 구성가능하며, 어떤 방식으로 구성하더라도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로 타격연습장치(100)를 전후진 시켜 조절하는 방식이라면 이는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겠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프용 타격연습장치는 부피가 작아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여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한정된 공간에서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더불어 퍼팅연습을 비롯하여 스윙 연습등 다양한 연습을 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이 따르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원형 또는 사각이나 육각을 비롯한 다각형상으로 되어 상면 중앙부에 원통형지지관(11)을 고정시킨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의 원통형 지지관(11) 외부에 끼워지며 일단에 지주관(21)이 그리고 타단에는 고정나사봉(22)을 가진 레버(23)가 장착된 조절링(2);과,
    상기 원통형지지관(11)의 내부에 하단이 삽입되는 축봉(3)과, 상기 축봉(3)에 삽입되고, 내부에 스프링 안착부(41)와 스프링(42)의 일단을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볼트 또는 돌기 등의 하걸부재(43)를 가지며 외주면 일측에 손잡이(44)를 가진 고정나사(45)를 체결하도록 된 하부지지체(4);와,
    상단에 "ㄷ"자형 지지간(51) 일단이 끼워져 볼트(52)에 의해 고정되고 내부에는 축봉(3) 상단에 결합되는 베어링(53)이 장착됨과 동시에 스프링(42)의 타단 끝을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볼트 또는 돌기 등의 상걸부재(54)를 가짐과 동시에 스프링(42)을 감싸는 공간이 형성된 상부회전체(5);와,
    다수의 링크(61)가 X형태로 연결 고정되어 절첩되고 상기 링크(61) 중 제일 후미에 위치한 링크(61) 일단에 상기 "ㄷ"자형 지지간(51)의 타단이 연결고정되며, 상기 링크(61)중 하나에 관절링크(61')의 선단이 연결되고 후단이 지지관의 삽입축(62) 상단에 유설되며, 선단에 타격봉(7)을 끼워 지지할 수 있도록 된 홀더(63)를 장착하여서 된 절첩링크부(6);와,
    선단에 골프공(71)이 유설되고, 본체(72)가 다양한 형태의 코일스프링 형태 이며 후미에 절첩링크부(6)의 홀더(63)에 분해 결합되도록 결합핀(73)을 장착시켜서 된 타격봉(7)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타격연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타격연습장치(100)를 구성하는 베이스(1) 저면에 슬라이더(82)를 장착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더(82)가 장착되어 사용자의 체형 등을 감안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송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봉 또는 한 쌍의 안내돌기로 구성된 레일(81)이 장착 구성되며 열쇠구멍 모양의 체결공(83)이 하나이상 형성된 "ㄴ"형의 프레임(8)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용 타격연습장치.
KR1020050026735A 2005-03-30 2005-03-30 골프용 타격연습장치 KR20060104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735A KR20060104509A (ko) 2005-03-30 2005-03-30 골프용 타격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735A KR20060104509A (ko) 2005-03-30 2005-03-30 골프용 타격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509A true KR20060104509A (ko) 2006-10-09

Family

ID=37634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735A KR20060104509A (ko) 2005-03-30 2005-03-30 골프용 타격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45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135B1 (ko) * 2011-06-17 2012-03-22 강웅석 스윙 확인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 연습 장치
KR200472248Y1 (ko) * 2012-09-13 2014-04-14 정범식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190002859A (ko) 2017-06-30 2019-01-09 재단법인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 골프공의 내구성 검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135B1 (ko) * 2011-06-17 2012-03-22 강웅석 스윙 확인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 연습 장치
KR200472248Y1 (ko) * 2012-09-13 2014-04-14 정범식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190002859A (ko) 2017-06-30 2019-01-09 재단법인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 골프공의 내구성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4982B2 (ja) ボールヒッティング練習デバイス
US4826166A (en) Football target assembly
US4938478A (en) Ball hitting practice device
US9011277B2 (en) Ball-striking training apparatus
US20070060418A1 (en) Batting swing practice apparatus
US4750744A (en) Golf practice apparatus
US20090325726A1 (en) Adjustable height practice golf tee
AU2007205755A1 (en) Golf tee set
US8172703B2 (en) Wind resistant practice cage
US20070049426A1 (en) Swinging tee
US20110136593A1 (en) Batting tee system for bat-and-ball games
US20110092317A1 (en) Rocket tee, a baseball or softball hitters training system for the purpose of batting practice
US20140256475A1 (en) Batting training apparatus
US20160287962A1 (en) Batting tee
KR101791304B1 (ko) 리본을 갖춘 스윙 연습용 골프채
US200600357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golf or baseball swings
US8197364B2 (en) Training device for beach volleyball players
KR20060104509A (ko) 골프용 타격연습장치
US7056237B2 (en) Portable basketball rebound apparatus and method
KR101612731B1 (ko) 골프 연습기
US20200298081A1 (en) Sports hitting training system for lightweight balls
KR200294422Y1 (ko) 골프 티
WO2009106786A1 (en) Apparatus for ball training
KR200400777Y1 (ko) 휴대용 골프 스윙 연습기
KR100850645B1 (ko) 조립식 골프 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