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4344A - 바닥난방용 패널 - Google Patents

바닥난방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344A
KR20060104344A KR1020050026442A KR20050026442A KR20060104344A KR 20060104344 A KR20060104344 A KR 20060104344A KR 1020050026442 A KR1020050026442 A KR 1020050026442A KR 20050026442 A KR20050026442 A KR 20050026442A KR 20060104344 A KR20060104344 A KR 20060104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astening
heating
pipe
fasten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050026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4344A/ko
Publication of KR20060104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난방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플레이트(11)와, 바닥에 밀착되는 하부플레이트(12)와, 상부플레이트(11)와 하부플레이트(12)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결시켜주는 다수개의 칸막이(13)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재질로 된 패널부(10); 패널부(1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체결부(20); 패널부(10)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체결부(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제2체결부(30); 및 패널부(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난방배관(50)이 설치되는 배관홈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닥난방용 패널{A HEATING PANEL FOR CONSTRU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난방용 패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패널부에 형성되는 구획공간의 단면이 3 각형인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패널부에 형성되는 구획공간의 단면이 아치형인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있어서 하나의 패널의 제2체결부와 다른 패널의 제1체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있어서, 배관홈부에 난방배관이 삽입,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있어서, 조립된 패널의 상부에 마감재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10' ... 패널부
11 ... 상부플레이트
12 ... 하부플레이트
13 .... 칸막이
20, 20' ... 제1체결부
30, 30' ... 제2체결부
40, 40' ... 배관홈부
50, 50' ... 난방배관
60 ... 마감재
본 발명은 바닥난방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난방용 패널은, 그 내부가 격벽에 의하여 여러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진 후 각각의 구획을 따라 열선이 내장되고, 열선의 과열을 막기 위한 바이메탈이 설치되며, 열선의 주위는 채움재로 채워지고, 그 채움재의 상하부에는 방열판이, 그리고 방열판의 외부에는 합판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패널에 있어서, 열선에 전원을 인가하면, 열선에서 발생되는 열이 패널을 데우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의 바닥난방용 패널은, 전원을 인가할 경우에 금방 데워지기는 하지만 전원을 차단하면 금방 식어진다. 따라서, 패널의 온도편차가 심하기 때문에 쾌적한 상태를 만들기가 어렵다.
또한, 상기한 바닥난방용 패널은 여러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져 열선이 내장되고, 바이메탈이 설치되며, 채움재, 방열판, 합판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조시 많은 노동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단가가 상승되는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에도 온도편차가 심하지 않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생 산단가를 줄일 수 있는 바닥난방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난방용 패널은,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플레이트(11)와, 바닥에 밀착되는 하부플레이트(12)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1)와 하부플레이트(12)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결시켜주는 다수개의 칸막이(13)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재질로 된 패널부(10); 상기 패널부(1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체결부(20); 상기 패널부(10)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결부(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제2체결부(30); 상기 패널부(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난방배관(50)이 설치되는 배관홈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20)와 제2체결부(30)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은 凸 형상이고,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중 다른 하나의 단면은 凹 형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관홈부(40)는 상기 난방배관(50)이 설치될 경우에 그 난방배관(50)이 상기 패널부(10)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을 정도의 깊이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10)의 표면에는 대리석, 데코타일, 온돌마루, 황토판중 어느 하나가 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닥난방용 패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난방용 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패널부에 형성되는 구획공간의 단면이 3 각형인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패널부에 형성되는 구획공간의 단면이 아치형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 도 4는 도 1에 있어서 하나의 패널의 제2체결부와 다른 패널의 제1체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있어서, 배관홈부에 난방배관이 삽입,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1에 있어서, 조립된 패널의 상부에 마감재가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난방용 패널은, 크게 금속 재질로 된 패널부(10)와, 패널부(1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체결부(20)와, 패널부(20)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체결부(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제2체결부(30)와, 패널부(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난방배관(50)이 설치되는 배관홈부(40)를 포함한다.
패널부(10)는,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플레이트(11)와, 바닥에 밀착되는 하부플레이트(12)와, 상부플레이트(11)와 하부플레이트(12)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결시켜주는 다수개의 칸막이(1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부플레이트(11), 하부플레이트(12), 칸막이(13)는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구성으로 이루어진 패널부(10)는 공지의 금속사출성형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널부(10)는 경량의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구현된다.
패널부(10) 내부에는 칸막이(13)에 의하여 다수개의 구획공간(13a)이 형성되며 이들 구획공간(13a)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이 차단된다. 따라서, 패널부(10)가 데워질 때 공기가 함께 데워지고, 데워진 공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패널부(10)의 온도편차를 최소화한다.
상기한 칸막이(13)는 상부플레이트(11)와 하부플레이트(12)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단면이 4 각형인 구획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13')가 비스듬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단면이 3 각형인 구획공간(13a')을 형성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아치형이 되는 구획공간(13a")이 형성되도록 칸막이(13")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체결부(20)와 제2체결부(30)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凸 형상이고, 제1체결부(20)와 제2체결부중(30) 다른 하나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凹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체결부(20)가 凸 형상이고, 제2체결부(30)가 凹 형상이다. 이때, 제1체결부(20)와 제2체결부(30)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하여, 각각의 제1체결부(20)와 제2체결부(30)의 형상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배관홈부(40)는, 난방배관(50)이 설치되는 곳으로서 패널부(10)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관홈부(40)에 난방배관(50)이 삽입되어 설치되는데, 난방배관(50)이 삽입될 경우 그 난방배관(50)이 패널부(10)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을 정도의 깊이를 가져야 한다.
난방배관(5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파이프에 가열된 유체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구현하거나, 파이프 내부에 히터를 장착하여 구현하 거나, 파이프에 공지의 열매체가 흐르게 함으로써 구현되는 힛파이프등이 가능하다.
상기한 구조에 있어서, 하나의 패널(10)을 다른 패널(10')과 조립하고자 할 경우, 하나의 패널(10)의 제2체결부(30)를 다른 패널(10')의 제1체결부(20')에 결합시킴으로써 조립이 가능하고, 조립된 이후 배관홈부(40)(40')를 따라 난방배관(50)을 삽입하면 시공이 완료된다. 이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재(60)인 대리석, 데코타일, 온돌마루, 황토판중 어느 하나를 조립된 패널(10)의 상부에 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난방용 패널에 따르면, 패널 내부에 공기가 머무르는 구획공간이 칸막이에 의하여 형성됨으로써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에도 온도편차가 심하지 않다.
또한 상부플레이트, 하부플레이트, 칸막이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구성으로 구성된 패널부는 금속사출성형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어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Claims (4)

  1.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플레이트(11)와, 바닥에 밀착되는 하부플레이트(12)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1)와 하부플레이트(12)를 상호 이격된 상태로 연결시켜주는 다수개의 칸막이(13)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재질로 된 패널부(10);
    상기 패널부(1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체결부(20);
    상기 패널부(10)의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체결부(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제2체결부(30);
    상기 패널부(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난방배관(50)이 설치되는 배관홈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난방용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20)와 제2체결부(30)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은 凸 형상이고,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중 다른 하나의 단면은 凹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난방용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홈부(40)는 상기 난방배관(50)이 설치될 경우에 그 난방배관(50)이 상기 패널부(10)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을 정도의 깊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난방용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10)의 표면에는 대리석, 데코타일, 온돌마루, 황토판중 어느 하나가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난방용 패널.
KR1020050026442A 2005-03-30 2005-03-30 바닥난방용 패널 KR20060104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442A KR20060104344A (ko) 2005-03-30 2005-03-30 바닥난방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442A KR20060104344A (ko) 2005-03-30 2005-03-30 바닥난방용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344A true KR20060104344A (ko) 2006-10-09

Family

ID=3763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442A KR20060104344A (ko) 2005-03-30 2005-03-30 바닥난방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43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717B1 (ko) * 2007-04-13 2007-12-07 강창희 난방판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717B1 (ko) * 2007-04-13 2007-12-07 강창희 난방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27239A1 (en) Heating system
KR101820419B1 (ko) 조립식 난방 패널
KR100698848B1 (ko) 바닥패널
KR200394352Y1 (ko) 완충, 소음 온수온돌판
EP2320007A1 (en) Radiating module for raised floors, and raised floor comprising a series of such radiating modules
KR20060104344A (ko) 바닥난방용 패널
KR20120062318A (ko) 온수장판
US3795272A (en) Construction member for a heated floor and floor assembled therefrom
KR200384608Y1 (ko) 온수 방열판
JP3112429U (ja) 組立式オンドル用暖房配管構造
KR101043091B1 (ko) 온돌 패널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106730B1 (ko) 냉난방겸용 배관용 패널 및 이를 적용한 배관 시스템
KR200397711Y1 (ko) 조립식 온돌판넬
KR101824198B1 (ko) 조립식 난방 패널
KR100301524B1 (ko) 난방관 배관용 단열보드_
JP2017101456A (ja) 融雪パネル
KR102474421B1 (ko) 난방 효율이 우수하고 조립이 간편한 건식 복합 난방 시스템
KR940004945Y1 (ko) 조립식 온돌판
JP2005241101A (ja) 床暖房パネル及びこれに用いる保温ブロック
JP2006105477A (ja) 加熱用又は冷却用パネル
JP3798315B2 (ja) 床暖房装置
KR102096772B1 (ko) 중단열 벽체용 판넬 커넥터
KR200322177Y1 (ko) 벽면 마감재
KR970007219Y1 (ko) 온돌판의 조립구조
KR100559244B1 (ko) 슬림화된 일체형 무배관 방식의 방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