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4019A -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019A
KR20060104019A KR1020050025822A KR20050025822A KR20060104019A KR 20060104019 A KR20060104019 A KR 20060104019A KR 1020050025822 A KR1020050025822 A KR 1020050025822A KR 20050025822 A KR20050025822 A KR 20050025822A KR 20060104019 A KR20060104019 A KR 20060104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opening
cam
folder
phone f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129B1 (ko
Inventor
정길석
전병기
서보현
노치열
Original Assignee
정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길석 filed Critical 정길석
Priority to KR1020050025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6129B1/ko
Publication of KR20060104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18Two-pole devices having only abutting conta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폴더를 특정 개폐 각도 구간에서 정지할 수 있고 휴대폰 폴더의 개폐시에 개폐 여부의 작동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는, 상기 휴대폰 본체 및 폴더의 홈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배치되는 힌지축과, 스프링의 가압에 의해 상기 힌지축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일단에는 가이드면이 형성된 슬라이딩캠과, 상기 힌지축, 상기 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딩캠이 수용되어 상기 휴대폰 폴더의 홈내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캠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작동음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유격(遊隔)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힌지축에 삽입되어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캠의 가이드면과 맞물려 회전하는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돌기부를 가져 상기 휴대폰 폴더의 개폐 동작이 상기 가이드면을 따라 이루어지는 회전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회전캠의 돌기부와 맞물려 회전되며 상향 경사부, 평면부 및 하향 경사부가 순서대로 형성되어 클릭 및 프리스탑 타입의 혼합 힌지 구조를 구비한다.
휴대폰, 클릭/프리스탑 힌지, 회전캠, 슬라이딩캠, 유격(遊隔), 작동음

Description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CELLULAR PHONE}
도 1은 종래의 클릭 타입의 힌지 구조를 갖는 휴대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프리스탑 타입의 힌지 구조를 갖는 휴대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의 클릭/프리스탑 힌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의 클릭/프리스탑 힌지 구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클릭/프리스탑 힌지를 휴대폰 폴더 및 본체에 장착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의 슬라이딩캠의 형상을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를 갖는 휴대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a는 휴대폰 폴더의 개폐시의 슬라이딩캠과 하우징 사이의 유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b는 도 8a의 상태에서 슬라이딩캠이 소정 각도 회전한 후의 상태를 나타 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
10: 회전캠 11; 회전각도 제한 돌기
20; 베렐 캠(barrel cam) 21; 안내홈
20: 하우징(housing) 30: 슬라이딩캠(sliding cam)
31: 가이드면 32: 상향 경사부
33: 제 1 평면부 34: 하향 경사부
35: 제 2 평면부 40: 제 1 회전캠
41: 돌기부 50: 제 2 회전캠
60: 힌지축 61: E-링 홈
70: 가이드캡(guide cap) 80: E-링
90: 스프링 200: 휴대폰 본체
210: 휴대폰 본체의 홈 300: 휴대폰 폴더
310: 휴대폰 폴더의 홈
본 발명은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슬라이딩캠과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캠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캠이 하우징내에서 소정 각도만큼 축회전하도록 유격(遊隔)을 갖도록 함으로써 휴대폰 폴더를 특정 개폐 각도 구간에서 정지할 수 있고, 휴대폰 폴더의 개폐시 개폐 여부의 작동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 이동 통신 단말기, PCS 폰, PDA 등과 같은 휴대폰은 개폐 방식에 따라 플립형(flip type), 폴더형(folder type), 스윙형(turnable type), 로터리형(rotary type), 스위블형(swivel type), 스위버블형(swiveable type), 슬라이드형(slide type), 피봇형(pivot type) 등으로 구분된다.
이들 휴대폰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고, 유행에 민감하고 독특한 취향으로 어필할 수 있는 소비자층의 계속적인 고품질 제품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지만, 대형화되고 있는 LCD 또는 양면 LCD 등을 장착하여 대화면을 구현하기 위해서, 휴대폰 본체 또는 휴대폰 폴더의 길이가 길어지는 등과 같이 대형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폰 중에 폴더형 휴대폰은 휴대폰 본체와 그 상단부에 힌지로 고정되는 휴대폰 폴더로 구성되고, 상기 휴대폰 본체에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버튼과 마이크 등이 구비되며, 상기 휴대폰 폴더에는 엘시디 창 및 스피커(미도시) 등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폴더형 휴대폰의 힌지 구조는 크게 클릭 힌지(CLICK HINGE) 타입과 프리스탑 힌지(FREE-STOP HINGE)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클릭 힌지 타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캠 및 회전캠의 대응 구조를 이용하여 휴대폰(10)의 커버(2)를 소정의 각도(대부분 30도)까지 열어주면 150도 지점까지 한 번에 열려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반해, 도 2에 도시된 프리스탑 힌지 타입은 상기에서 언급한 클릭 힌지 타입과 그 구조가 거의 유사하나, 캠선도가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휴대폰(10)의 커버(2) 개방 각도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클릭 힌지 구조는 좌우 2개의 힌지로 구현되는 복잡한 메커니즘으로 많은 부품으로 인한 제품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프리스탑 힌지 구조도 샤프트가 고정캠에 별도로 결합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 조립 부품수가 증가하고, 그 결합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 공정이 늘어나는 것은 물론이고 조립성이 저하되는 하나의 요인이 되었으며, 그로 인해 제품 단가가 상승되는 결과를 초래함으로 시간적, 경제적으로도 비효율적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 폴더를 특정 개폐 각도 구간에서 정지할 수 있고, 휴대폰 폴더의 개폐시 개폐 여부의 작동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의 힌지 구조에 사용되는 부 품수를 절감함과 동시에 그 조립성 및 분리성을 개선하고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는, 휴대폰 폴더와 휴대폰 본체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일단부는 상기 휴대폰 본체의 홈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휴대폰 폴더의 홈내에 연장되어 고정배치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삽입되어 스프링의 가압에 의해 상기 힌지축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일단에는 가이드면이 형성된 슬라이딩캠과, 상기 힌지축의 타단부, 상기 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딩캠이 수용되어 상기 휴대폰 폴더의 홈내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캠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도록 유격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힌지축에 삽입되어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캠의 가이드면과 맞물려 회전하는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돌기부를 가져 상기 휴대폰 폴더의 개폐 동작이 상기 가이드면을 따라 이루어지는 회전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회전캠의 돌기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소정 각도까지는 상향 경사부가 형성되어 클릭에 의해서는 상기 휴대폰 폴더가 항상 닫혀진 상태로 이동되며, 그 이후의 소정 각도까지는 제 1 평면부가 형성되어 프리스탑에 의해 자유롭게 정지 가능하며, 그 이후의 소정각도까지는 하향 경사부가 형성되어 클릭에 의해 한번에 상기 휴대폰 폴더가 오픈되는 상태로 이동되는 캠선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폰 폴더의 개폐 완료시에 상기 슬라이딩캠이 상기 유격된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하우징의 벽면에 부딪혀서 작동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축에 삽입되어 상기 휴대폰 본체의 홈내에서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회전캠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 2 회전캠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회전캠은 금속 재질이며, 상기 제 2 회전캠은 사출성형되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캠의 가이드면은 상호 대칭되어 배치된 상기 상향 경사부와 상기 하향 경사부 사이에서 제 2 평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의 클릭/프리스탑 힌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의 클릭/프리스탑 힌지 구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클릭/프리스탑 힌지를 휴대폰 폴더 및 본체에 장착된 상태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100)는, 일단부는 휴대폰 본체(200)의 홈(210)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배치되고 타단 부는 휴대폰 폴더(300)의 홈(310)내에 연장되어 고정배치되는 힌지축(60)과, 힌지축(60)에 삽입되어 스프링(90)의 가압에 의해 힌지축(60)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일단에는 가이드면(31)이 형성된 슬라이딩캠(30)과, 힌지축(60)의 타단부, 스프링(90) 및 슬라이딩캠(30)이 수용되어 휴대폰 폴더(300)의 홈(310)내에 배치되며 슬라이딩캠(30)이 힌지축(60)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도록 유격(遊隔)을 갖는 하우징(20)과, 힌지축(60)에 삽입되어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딩캠(30)의 가이드면(31)과 맞물려 회전하는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두 개의 돌기부(41)를 가져 휴대폰 폴더(300)의 개폐 동작이 가이드면(31)을 따라 이루어지는 제 1 회전캠(40)과, 힌지축(60)에 삽입되어 휴대폰 본체(200)의 홈(210)내에서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회전캠(40)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 2 회전캠(50)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슬라이딩캠(30) 및 제 1 회전캠(40)은 금속 재질이며, 상기 제 2 회전캠(50)은 내구성, 내부품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출에 의해 성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의 클릭/프리스탑 힌지 구조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한번의 조립에 의해 별도의 고정 수단 없이도 휴대폰 본체 및 폴더의 홈(210)(310)내에 결합/고정되도록 구성되어, 결합 및 분리가 간단하고 용이할 뿐 아니라 결합상태도 상대적으로 견고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스프링(90)은 가요성 있는 텐션바(tension bar) 또는 토션바(torsion bar)와 같이 코일형, 바형, 판형, 핀형, 유체형, 반유체형, 자기가변 유체형, 고무형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의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미설명의 부호 70은 힌지축(60)의 상기 타단부가 씌워지는 가이드캡(guide cap)이고, 61은 E-링 홈이고, 80은 상기 E-링 홈에 끼워지는 E-링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의 슬라이딩캠(30)의 형상을 도시한 확대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를 갖는 휴대폰의 사용상태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슬라이딩캠(30)은 힌지축(60)상에 삽입되어 대칭되는 제 1 회전캠(40)의 두 개의 돌기부(41)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회동되며, 그 가이드면(31)에는 회전각이 30도 정도 되는 지점까지는 상향 경사부(32)가 형성되고, 그 이후의 130∼140도 정도 되는 지점까지는 제 1 평면부(33)가 형성되고, 다시 150∼180도 지점까지는 하향 경사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180∼360도 지점까지는 다시 상향 경사부(32), 제 1 평면부(33) 및 하향 경사부(34)의 순서대로 0∼180도 지점까지의 가이드면의 형상과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향 경사부(32), 제 1 평면부(33) 및 하향 경사부(34)의 형성은 상기 회전각에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각도로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호 대칭되는 상향 경사부(32)와 하향 경사부(34) 사이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대칭되는 제 2 평면부(35)가 형성되어 휴대폰의 초기 조립시나 휴대폰 폴더의 완전 오픈시에 대칭되는 회전캠(40)의 두 개의 돌기부(41)가 대칭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제 1 평면부(33)는 상향 및 하향 경사부(32)(34)의 형성에 의해 제 2 평면부(35)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100)의 힌지 구조에 의하면, 힌지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 즉, 휴대폰의 폴더(30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제 1 회전캠(40)의 대칭되는 두 개의 돌기부(41)가 슬라이딩캠(30)의 제 2 평면부(35)상에 스프링(90)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며, 휴대폰 폴더(300)의 개방과 동시에 상기 제 1 회전캠(40)이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이 탄력적으로 유동되면서 최초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상향 경사부(32)를 지나는 30도 지점까지는 클릭에 의해서는 휴대폰 폴더(300)가 스프링(90)에 의해 항상 닫혀진 상태로 이동되며, 그 이후 제 1 평면부(33)를 지나는 130∼140도 지점까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프리스탑에 의해 정지 가능하며, 다시, 150∼180도 지점까지는 하향 경사부(34)가 형성되어 클릭에 의해서 휴대폰 폴더(300)가 스프링(90)에 의해 완전히 열려진 상태(150∼180도의 각도)로 이동되어 지는 캠선도를 지니고 있다. 물론, 상기 캠선도가 이루어지는 각도는 임의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도의 변경에 따라 가이드면(31) 상에서 상향 경사부(32), 제 1 평면부(33) 및 하향 경사부(34)의 형성 위치가 변경되어 진다.
마찬가지로, 휴대폰 폴더(300)를 다시 닫음으로써 제 1 및 제 2 회전캠(40)(50)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최초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상기한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100)는 별도의 고정 수단 없이도 휴대폰 본체 및 폴더의 홈(210)(310)내에 결합/고정되도록 구성되어, 결합 및 분리가 간단하고 용이할 뿐 아니라 결합상태도 상대적으로 견고하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휴대폰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단순히 휴 대폰의 힌지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정보기기, 사무기기, 가정용 전기기기의 힌지 등 그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8a는 휴대폰 폴더의 개폐시의 슬라이딩캠과 하우징 사이의 유격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8b는 도 8a의 상태에서 슬라이딩캠이 소정 각도 회전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100)의 슬라이딩캠(30)과 이를 수용하는 하우징(20)의 벽면사이에 소정의 각 만큼 유격(21)을 갖는다. 이러한 유격(21)의 각도는 1도∼10도가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각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휴대폰 폴더(300)의 개방에 따라 제 1 회전캠(40)이 회전하게 되고 제 1 회전캠(40)의 돌기부(41)가 슬라이딩캠(30)의 가이드면(31)에 형성된 상향 경사부(32), 제 1 평면부(33) 및 하향 경사부(34)를 따라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슬라이딩캠(30)은 제 1 회전캠(40)의 돌기부(41)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함과 동시에 하우징(20)의 벽면 사이에 소정 각도만큼 유격(21)되어 있음으로, 슬라이딩캠(30)은 상기 유격된 각도만큼 회전(도 8b 참조)하여 휴대폰 폴더의 최종 개방시에는 하우징(20)에 벽면에 부딪혀서 딸깍하는 작동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마찬가지로, 휴대폰 폴더(300)를 다시 닫는 경우에는 슬라이딩캠(30)은 그 역방향으로 유격된 각도만큼 회전되어 휴대폰 폴더의 닫힘시에 하우징(20)의 벽면 에 부딪혀서 딸깍하는 작동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시킬 수 있음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에 의하면, 슬라이딩캠과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캠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캠이 소정 각도만큼 축회전하도록 유격을 갖도록 함으로써 휴대폰 폴더를 특정 개폐 각도 구간에서 정지할 수 있고, 휴대폰 폴더의 개폐시 개폐 여부의 작동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에 의하면 별도의 고정 수단 없이도 휴대폰 본체 및 폴더의 홈내에 결합/고정되어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의 힌지구조에 사용되는 부품수를 절감함과 동시에 그 조립성 및 분리성을 개선하고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휴대폰 폴더와 휴대폰 본체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일단부는 상기 휴대폰 본체의 홈내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휴대폰 폴더의 홈내에 연장되어 고정배치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삽입되어 스프링의 가압에 의해 상기 힌지축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일단에는 가이드면이 형성된 슬라이딩캠과,
    상기 힌지축의 타단부, 상기 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딩캠이 수용되어 상기 휴대폰 폴더의 홈내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딩캠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도록 유격(遊隔)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힌지축에 삽입되어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캠의 가이드면과 맞물려 회전하는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돌기부를 가져 상기 휴대폰 폴더의 개폐 동작이 상기 가이드면을 따라 이루어지는 회전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회전캠의 돌기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소정 각도까지는 상향 경사부가 형성되어 클릭에 의해서는 상기 휴대폰 폴더가 항상 닫혀진 상태로 이동되며, 그 이후의 소정각도까지는 제 1 평면부가 형성되어 프리스탑에 의해 자유롭게 정지 가능하며, 그 이후의 소정각도까지는 하향 경사부가 형성되어 클릭에 의해 한번에 상기 휴대폰 폴더가 오픈되는 상태로 이동되는 캠선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폴더의 개폐 완료시에 상기 슬라이딩캠이 상기 유격된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하우징의 벽면에 부딪혀서 작동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에 삽입되어 상기 휴대폰 본체의 홈내에서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회전캠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 2 회전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캠은 금속 재질이며, 상기 제 2 회전캠은 사출성형되는 합성 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캠의 가이드면은 상호 대칭되어 배치된 상기 상향 경사부와 상기 하향 경사부 사이에서 제 2 평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
KR1020050025822A 2005-03-29 2005-03-29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 KR100706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822A KR100706129B1 (ko) 2005-03-29 2005-03-29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822A KR100706129B1 (ko) 2005-03-29 2005-03-29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019A true KR20060104019A (ko) 2006-10-09
KR100706129B1 KR100706129B1 (ko) 2007-04-11

Family

ID=3763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822A KR100706129B1 (ko) 2005-03-29 2005-03-29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61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4625A2 (ko) * 2008-10-17 2010-04-22 삼광공업(주)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조립체
US8395701B2 (en) 2009-05-22 2013-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caling voltage in mobi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794B1 (ko) 2010-10-11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형 휴대 장치의 스냅 힌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969B1 (ko) * 2000-12-01 2003-03-10 주식회사 한빛정밀 휴대폰 힌지장치
KR100544767B1 (ko) * 2003-07-07 2006-01-24 (주)베스트원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폴더타입 커버용 2중 캠을 구비한힌지장치
KR20060033199A (ko) * 2004-10-14 2006-04-19 (주)태성합금 핸드폰의 힌지장치
KR20060033193A (ko) * 2004-10-14 2006-04-19 (주)태성합금 핸드폰의 누드타입 힌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4625A2 (ko) * 2008-10-17 2010-04-22 삼광공업(주)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조립체
WO2010044625A3 (ko) * 2008-10-17 2010-08-05 삼광공업(주)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조립체
US8395701B2 (en) 2009-05-22 2013-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caling voltage in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6129B1 (ko) 200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9892B2 (en) Slide mechanism of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056627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 모듈
KR100675734B1 (ko) 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개폐장치
KR20070027576A (ko) 휴대 장치용 평행 평판 회전 힌지
JP5599226B2 (ja) 開閉装置
KR1006514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 장치
WO2012039360A1 (ja) 開閉装置用カバー機構
KR101690794B1 (ko) 접이형 휴대 장치의 스냅 힌지 장치
US7822447B2 (en) Push rod and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493102B1 (ko) 서브 하우징 스토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706129B1 (ko) 휴대폰 폴더의 개폐장치
JP2008092264A (ja) ヒンジ機構および携帯端末
US7353052B2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KR100849318B1 (ko)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27607B1 (ko) 휴대폰용 양방향 스윙 힌지 모듈
KR20040035064A (ko) 휴대폰 힌지구조
KR1006192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
KR200350698Y1 (ko) 슬라이드타입 무선단말기의 바디 구동장치
JP5135241B2 (ja) スライド回転ヒンジ
KR200367836Y1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662525B1 (ko) 마모방지 구조를 갖는 통신단말기용 힌지장치
KR20090013365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200355611Y1 (ko) 휴대단말기용 스윙 힌지
KR200301198Y1 (ko) 휴대폰 힌지구조
KR100800839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