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951A - Label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bel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03951A KR20060103951A KR1020067013874A KR20067013874A KR20060103951A KR 20060103951 A KR20060103951 A KR 20060103951A KR 1020067013874 A KR1020067013874 A KR 1020067013874A KR 20067013874 A KR20067013874 A KR 20067013874A KR 20060103951 A KR20060103951 A KR 200601039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ier web
- transport
- clamping member
- labeling device
- le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1/00—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 B65C11/0205—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1—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label feeding from strips
- B65C11/0215—Labels being adhered to a web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11/00—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 B65C11/0205—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 B65C11/021—Manually-controlled or manually-operable label dispensers, e.g.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having printing equipment modified for the application of labels to articles label feeding from strips
- B65C11/0215—Labels being adhered to a web
- B65C11/0252—Advancing the web by grippers
- B65C11/0263—Advancing the web by grippers by actuating a handle manu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2201/00—Portable tools for labelling or tagging, associated with holders when in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2210/00—Details of manually controlled or manually operable label dispensers
- B65C2210/007—Cutting equipment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캐리어 웹을 위한 공급 메카니즘을 구동하는 하우징상에 피봇식으로 움직이게 장착된 레버가 있어서 상기 캐리어 웹상에 배열된 자가-접착식 라벨을 단계적으로 분배하고 붙이는 라벨링 장치(labeling apparatus)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급 메카니즘에는 운송 폴(pawl) 및 테이블이 있는 운송 슬라이드(slide)가 포함되어 있어서 상기 레버의 각각의 피봇 사이클에서 캐리어 웹이 상기 운송 폴의 클램핑 부재와 상기 운송 슬라이드에 의한 탑재용 테이블 사이에 클램프되어 유지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beling apparatus for the stepwise dispensing and pasting of self-adhesive labels arranged on a carrier web with a lever pivotally mounted on a housing driving a feeding mechanism for a carrier web. The supply mechanism includes a transport pawl and a transport slide with a table such that in each pivot cycle of the lever a carrier web is placed between the clamping member of the transport pawl and the mounting table by the transport slide. Clamped and held.
이러한 형식의 라벨링 장치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핸드-헬드 라벨러라고 알려져 있다. 이들은 소매점, 특히 수퍼마켓이나 셀프-서비스 상점에서 가격 부착용으로 사용된다.Labeling devices of this type are known in various designs as hand-held labelers. They are used for pricing in retail stores, especially in supermarkets and self-service stores.
그러한 타입의 초기 라벨링 장치는 DE 43 09 441 A1에 공지되어 있다. 이 공지된 라벨러는 집게-형식의 핸드-헬드 장치로서 라벨이 라벨 공급 롤에서 하나씩 떨어져 나와 프린트 메카니즘에 의해 프린트된 다음 각각의 개별 라벨이 캐리어 웹에서 벗겨지는 분배 립으로 공급되어 분배된다. 캐리어 웹은 공급 메카니즘에 의해 라벨링 장치를 통해 이동하며, 라벨을 프린트하기 위한 공급 메카니즘과 프린트 메카니즘은 피봇식으로 장착된 레버에 의해 구동한다. 이 레버는 하우징에 단단히 장착된 핸들 반대편에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 힘과는 반대인 레베의 피봇 움직임을 이용하여, 프린트 메카니즘은 플래튼(platen)상에 놓이는 라벨상에 효과적인 프린팅을 위해서 플래튼에 대해 이동한다. 스프링 힘에 의해 레베가 밀려나감으로써, 캐리어 웹은 운송 폴의 클램핑 부재와 운송 슬라이드의 테이블 사이에서 클램프 상태로 유지되며, 라벨 간격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상기 운송 슬라이드에 의해 전진하는데, 프린트된 라벨은 분배 립에서 캐리어 웹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고, 이어서 애플리케이터 롤(applicator roll)의 누름 작동 및 회전 작동에 의해 라벨이 붙여질 대상 위로 공급되고 롤 된다.An initial labeling device of that type is known from DE 43 09 441 A1. This known labeler is a tong-type hand-held device in which labels are separated one by one from a label feed roll, printed by a print mechanism, and then fed into and dispensed with each dispensing lip where each individual label is peeled off the carrier web. The carrier web is moved through the labeling device by a feeding mechanism, and the feeding mechanism and printing mechanism for printing the label are driven by a pivotally mounted lever. This lever is located opposite the handle, which is securely mounted in the housing. Using Leve's pivot movement as opposed to the spring force, the print mechanism moves relative to the platen for effective printing on a label placed on the platen. By pushing the lever by spring force, the carrier web is clamped between the clamping member of the transport pawl and the table of the transport slide and advanced by the transport slide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label gap, the printed label being Off the carrier web at the dispensing lip and then fed and rolled over the object to be labeled by the pressing and rotating operation of the applicator roll.
공급 메카니즘이 있는 그러한 공지된 라벨러에는 클램핑 부재상에 제공된 운송 폴이 있는 운송 슬라이드가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클램핑 부재는 중요 부품이다. 종래에는, 이 클램핑 부재는 캐리어 웹과 접촉하는 면상에 커런덤(corundum)으로 코우팅된 작은 패드를 구비한다. 가장 간단한 경우로는, 클램핑 부재는 그라인딩(grinding) 작업에서 사용되는 커런덤 페이퍼(paper) 또는 커런덤 테이프(tape) 조각이다. 캐리어 웹상에 유지되어 있는 각각의 라벨이 프린트 메카니즘 바로 아래 매우 정확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클램핑 메카니즘이 가능한 한 캐리어 웹과 접촉하도록 해서 레버의 각각의 피봇 사이클을 가지고 캐리어 웹이 정밀한 하나씩의 라벨 간격으로 이동하도록 해야 한다. 이것은 사전 프린트된 라벨에 특히 중요한데, 라벨러에 의해 만들어진 추가 프린트는 사전에 프린트된 부분의 경계 내부 및 그 위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사 전에 정의되지 않으면 라벨에 프린트를 하는 경우 미리 프린트된 부분에 프린트되는 단점 뿐만 아니라 라벨이 대상물에 공급되기 전에 분배 립에서 떨어져 나가는 단점도 있다. 이 라벨은 "플라이어(flyer)"가 되어 대상물에 적절히 롤 되지 못한다. 또한, 클램핑 부재는 가능한 최대한의 작업 수명을 가져서 라벨러가 수리 또는 보수가 필요하기 전까지 가능한 오래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라벨러를 적절히 운용하는 것은 클램핑 부재가 케리어 웹을 테이블과의 사이에서 클램프 되도록 하여 운송 슬라이더의 공급 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캐리어 웹과 클램핑 부재 사이에 어떠한 움직임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경험적으로, 커런덤 패드가 장착된 클램핑 부재는 작업 수명, 안정성 및 정확성 측면에서 상기 언급한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한다. 커런덤 패드가 운송 슬라이드에 의해 끌려가는 경우, 페이퍼로 만들어진 캐리어 웹을 끈다. 그 결과, 커런덤 패드는 마모된 페이퍼에 의해 더러워지고 달라붙는 힘을 잃을 수 있어서 캐리어 웹에 대한 안정성과 정확성이 나쁘게 된다. 또한, 커런덤 패드는 커런덤 입자가 충분한 양이 돌출되는 부분에서만 캐리어 웹과 접촉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접촉 구역을 가진다. 커런덤 패드 사이의 마모된 페이퍼는 더더욱 정의되지 않는 접촉 구역을 가져오게 한다. 더욱이, 커런덤 패드를 클램핑 부재로 사용시 단점으로 자주 나타나는 것은 서로 다른 접착력의 라벨들이 핸드-헬드 라벨러에 의해 처리되는 경우에 캐리어 웹의 전진 스트로크가 조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강한 동결 환경에서 사용되는 라벨에는 실온에서 사용되는 레벨과는 다른 접착력이 제공되는데, 이는 서로 다른 공급 설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Such known labelers with a feeding mechanism include a transport slide with a transport pawl provided on the clamping member, which is an important part. Conventionally, this clamping member has a small pad coated with corundum on the face in contact with the carrier web. In the simplest case, the clamping member is a piece of corundum paper or corundum tape used in grinding operations. In order to ensure that each label held on the carrier web can be moved to a very precise position directly below the print mechanism, the clamping mechanism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arrier web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carrier web is precisely positioned with each pivot cycle of the lever. Should be moved to the label interval.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preprinted labels, where additional prints made by the labeler must be placed exactly within and on the boundaries of the preprinted portion. However, if it is not defined in advanc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inting on the preprinted portion as well as the separation from the dispensing lip before the label is supplied to the object when printing on the label. This label becomes a "flyer" and does not roll properly on the object. It is also important that the clamping member has the maximum working life possible so that the labeler can be used as long as possible before it needs repair or maintenance. Proper operation of the labeler requires the clamping member to clamp the carrier web between the table so that no movement occurs between the carrier web and the clamping member during the feeding operation of the transport slider. Empirically, clamping members equipped with corundum pads do not meet the above mentioned requirements in terms of working life, stability and accuracy. When the corundum pad is pulled by the transport slide, the carrier web made of paper is turned off. As a result, corundum pads can be soiled by worn paper and lose their sticking force, resulting in poor stability and accuracy for the carrier web. In addition, the corundum pad has a relatively undefined contact zone because the corundum particles contact the carrier web only at the portions where a sufficient amount of the corundum particles protrude. Worn paper between corundum pads leads to even more undefined contact areas. Moreover, one of the drawbacks of using corundum pads as clamping members is that the forward stroke of the carrier web is not adjusted when labels of different adhesive forces are processed by the hand-held labeler. For example, labels used in strong freezing environments are provided with different adhesion levels than those used at room temperature, as different feed settings are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한 초기 타입의 라벨링 장치에서의 라벨 공급의 서비스 수명, 안정성 및 정확성을 개선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service life, stability and accuracy of label feeding in the aforementioned initial type of label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표기된 특징을 포함하는 라벨링 장치가 완성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 labeling device comprising the features recited in
본 발명의 라벨링 장치에서, 운송 폴의 클램핑 부재가 클램핑 부재와 캐리어 웹 사이에 위치하면서 캐리어 웹의 공급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라인 접촉을 하는 커팅-에지-타입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서비스 수명, 안정성 및 정확성을 약화시킬 수 있는 클램핑 부재의 어떠한 손상을 방지한다. 클램핑 부재의 커팅-에지-타입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라인 접촉은 클램핑 부재와 캐리어 웹 사이의 정확한 접촉을 할 수 있게 하여 레버의 각각의 피봇 사이클로서 공급 메카니즘의 운송 슬라이드는 캐리어 웹이 정밀한 하나의 라벨 간격씩 진행되도록 하며 프린트될 그리고 분배될 라벨이 정밀하게 동일한 위치로 일정하게 움직이게 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클램핑 부재의 커팅-에지-타입 구성은 어떠한 초과 진행의 추가 장점을 피할 수 있게 해주어서, 분배 립이 너무 일찍 나오게 되는 어떠한 "플라이어"도 만들어지지 않는다. 또한, 커팅-에지-타입 클램핑 부재는 라벨에 사용되는 접착제와 상관 없이 정의된 사전 조정 가능한 전진 스트로크를 보장한다.In the labe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lamping member of the transport pawl is located between the clamping member and the carrier web and has a cutting-edge-type configuration in line contact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feed direction of the carrier web, service life, It prevents any damage of the clamping member which can weaken stability and accuracy. The line contact, which consists of a cutting-edge-type configuration of the clamping member, allows for accurate contact between the clamping member and the carrier web so that each slide cycle of the lever allows the transport slide of the feeding mechanism to be spaced at a single label interval where the carrier web is precise. It proceeds and ensures that the labels to be printed and dispensed are constantly moving to the exact same position. The cutting-edge-type configuration of the clamp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o avoid the further advantage of any excess progression, so that no "flyer" is made in which the dispensing lips come out too early. In addition, the cutting-edge-type clamping member ensures a defined pre-adjustable forward stroke regardless of the adhesive used for the label.
본 발명의 라벨링 장치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청구범위에 포함된다.Advantageous embodiments of the labe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claims.
본 발명의 라벨링 장치의 한 측면에서, 클램핑 부재에는 공급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다수의 커팅 에지(cutting edge)가 포함되어 있으며, 클램핑 부재와 캐리어 웹 사이에 다수의 선 접촉이 있을 수 있어서 라벨 공급의 안정성과 정확성이 보다 향상된다.In one aspect of the labe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ing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eeding direction, and there may be a plurality of line contacts between the clamping member and the carrier web so that the label Supply stability and accuracy ar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의 라벨링 장치의 다른 측면에서, 커팅 에지는 공급 방향에서 캐리어 웹쪽으로 거리가 점차 늘어나게 배열되며, 최종 클램핑 위치까지의 운송 폴의 회전 운동은 각각의 커팅 에지가 캐리어 웹과 접촉하도록 해서 캐리어 웹을 자르는 커팅 에지 없이 라벨을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공급한다. 자르는 일이 없으므로 클램핑 부재도 손상되지 않는다.In another aspect of the labe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ting edges are arranged at increasing distances toward the carrier web in the feeding direction,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ransport poles up to the final clamping position causes each cutting edge to contact the carrier web. Stable and accurate feed of labels without cutting edges. Since there is no cutting, the clamping member is not damaged.
본 발명의 라벨링 장치의 더 다른 측면에서, 클램핑 부재는 다수의 날(blade)로 구성되며, 운송 폴은 상기 날의 갯수 만큼 선택할 수 있는 클램핑 부재와 캐리어 웹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는 선 접촉 갯수를 가지고 상당히 간단하고 편리한 방법으로 클램핑 부재를 갖출 수 있다.In a further aspect of the labeling device of the invention, the clamping member consists of a plurality of blades and the transport pawl has a selectable number of line contacts between the clamping member and the carrier web which can be selected by the number of said blades. The clamping member can be provided in a fairly simple and convenient way.
본 발명의 라벨링 장치의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날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며, 클램핑 부재의 특별히 긴 수명을 보장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labe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is made of metal and can ensure a particularly long life of the clamping member.
본 발명의 라벨링 장치의 더 다른 측면에서, 상기 날은 운송 폴의 측면에서 캐리어 웹을 향하여 동일한 정도로 운송 폴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날이 클램핑 위치에서 캐리어 웹과 상대적으로 수직으로 기울어지도록 운송 폴상에 장착되면, 캐리어 웹으로부터의 날의 거리가 공급 방향에서 점차 증가하는 방식으로 되는 상기 언급한 구성 뿐만 아니라, 캐리어 웹이 운송 폴의 피봇결합으로 인한 운송 폴에 의해 끌려가는 경우 클램핑 부재와 캐리어 웹 사이의 점차 강한 마찰식 접촉을 보장하게 되어, 공급의 안정성 및 정확성이 더욱 향상된다. In a further aspect of the labeling device of the invention, the blade protrudes from the transport pawl to the same extent toward the carrier web at the side of the transport pawl and on the transport pawl such that the blade is inclined relatively perpendicular to the carrier web at the clamping position. When fitted, the clamping member and the carrier web between the clamping member and the carrier web when the carrier web is attracted by the transport pawl due to the pivoting of the transport pawl, as well as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 in which the distance of the blade from the carrier web increases gradually in the feed direction. Ensures progressively strong frictional contact, further improving the stability and accuracy of supply.
도 1은 본 발명의 라벨링 장치의 캐리어 웹 공급 메카니즘의 운송 슬라이드의 상세한 저면도;1 is a detailed bottom view of a transport slide of a carrier web feeding mechanism of the labe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선 2-2에 따른 운송 슬라이드의 단면도;2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transport slide taken along line 2-2 of FIG. 1;
도 3은 플랩이 열려 있는 도 1의 운송 슬라이드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port slide of FIG. 1 with the flap open;
도 4는 도 1의 운송 슬라이드의 운송 폴의 상세도;4 is a detailed view of a transport pawl of the transport slide of FIG. 1;
도 5는 도 4의 운송 폴의 수직 단면도;5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transport pawl of FIG. 4;
도 6은 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핸드-헬드 라벨링 장치의 수직 단면도; 및6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a hand-held labeling device known in the art. And
도 7a 내지 7f는 도 6의 라벨링 장치의 운송 슬라이드의 개략도 및 공급 메카니즘 동작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캐리어 웹의 개략도이다.7A-7F are schematic views of a carrier web for explaining the schematic and feed mechanism operating modes of the transport slide of the labeling device of FIG. 6.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6에 도시된 라벨링 장치는 공급 메카니즘(19)과는 떨어져서, 본 발명의 라벨링 장치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반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라벨링 장치의 공급 메카니즘(19)의 일부인 운송 슬라이드(40)와 그 운송 폴만을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5를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서, 공지된 라벨링 장치의 동작 모드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labeling device shown in FIG. 6 is of the same structure as the labe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part from the
도 6에 도시된 라벨링 장치에는 핸들(12)과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11)이 있다. 하우징 상부면에는 자가-접착식 라벨(16)이 부착되는 캐리어 웹(15)을 위한 공급릴(14)을 수용하는 격실(13)이 있다. 캐리어 웹(15)은 이 격실(13)의 공급릴 (14)에서 나와 하우징의 돌부(17)를 경유하여 도 6에서 볼 때 왼쪽 바닥쪽으로 이동하고 분배립(18)에서 방향이 바뀌어 캐리어 웹(15) 공급 메카니즘(19)을 통해 하우징(11)의 후방 끝단까지 이동하는 경로를 갖는다. 분배립(18)의 끝에서 중심축(20)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애플리케이터 롤(10)이 하우징에 장착되는데, 분배립(18)에서, 캐리어 웹(15)으로부터 라벨(16')이 벗겨져서 그 위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준비가 애플리케이터 롤(10)이 굴러가는 동작에 의해 대상물에 부착될 수 있다.The labeling device shown in FIG. 6 has a
핸들(12) 아래쪽에는 레버(22)가 중심축(23)에 대해 피봇식 운동을 하도록 하우징(11)상에 장착되어 있다. 핸들(12)과 레버(22) 사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4)이 있어서 레버(22)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상시 위치로 민다. 하우징(11)에는 프린트 메카니즘 레버(25)이 있는데, 이것 역시 중심충(23)에 대해 피봇되어 있다. 프린트 메카니즘 레버(25)는 프린트 메카니즘(26)을 지지하여 플래튼(platen)(27)상에서 자가-접착식 라벨(16)의 프린팅이 될 수 있게 한다. 레버(22)의 아암(28)과 프린트 메카니즘(25)사이에 있는 스프링(29)은 핸들(12)쪽으로의 레버(22)의 움직임을 프린트 메카니즘(25)쪽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서, 프린트 메카니즘 레버(25)는 레버(22)에 의해 올라간 위치에 있게 된다.Under the
도 6에 설명된 라벨링 장치의 동작 사이클의 간단한 설명을 위해, 애플리케이터 롤(10) 밑의 분배 위치에서는 어떠한 자기-부착식 라벨(16')도 없다고 가정한다. 동작 사이클을 시작하기 위해서, 레버(22)를 핸들(12)에 대해 당기면, 아암(28)과 스프링(29)의 동작으로 인해, 프린트 메카니즘 레버(25)가 중심축(23)에 대 해 반시계방향으로 피봇되는 결과가 되고, 프린트 메카니즘(26)이 플래튼(27)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플래튼(27)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그 순간 프린트 메카니즘(26)은 플래튼(27)상에 위치한 자가-접착식 라벨(16')에 프린트를 하게 된다. 하우징(11)상에 피봇 동작용으로 장착되긴 했지만 프린트 메카니즘 레버(25)에 의해 구동하는 레버(30)를 통해서, 공급 메카니즘(19)은 캐리어 웹(15)의 길이상에서 플래튼(27)쪽을 향햐여 도 6에 설명된 위치로부터 동시에 움직인다. 레버(22)가 풀리면, 스프링(24)이 레버(22)를 도 6에 설명된 초기 위치로 되돌려 놓아 레버(22)를 가지고 프린트 메카니즘(25)을 중심축(23)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피봇 회전하게 한다. 동시에, 공급 메카니즘(19)도 도 6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 돌아온다. 이와 같이 움직임에 따라, 캐리어 웹(15)과의 마찰 연동은 캐리어 웹이 자가-접착식 라벨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 만큼 분배립(18)에 대해 밀려나가게 한다. 그래서, 자가-접착식 라벨(16)은 분배립(18)에서 캐리어 웹(15)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되고 자가-접착식 라벨(16)은 애플리케이터 롤(10) 바닥쪽 위치로 가게 된다. 그러면, 자가-접착식 라벨(16')은 애플리케이터 롤(10)이 굴러감에 따라 대상물에 접착되게 된다.For a brief description of the operating cycle of the labeling device described in FIG. 6, it is assumed that there is no self-
공급 메카니즘(19)에는 하우징(11)의 아래쪽에 변위를 위해 장착된 운송 슬라이드(40)가 있는데, 도 6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공급 메카니즘에는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한 크기만 도시되어 있다. 좀 더 분명한 이해를 위해서, 도 7a에도 참고번호를 기재하였다. 운송 슬라이드(40)에는 테이블(45)을 운반하는 플랩(44)이 밖에 있는 하우징(42)이 있으며 아래 방향으로 흔들릴 수 있다. 플랩(44) 위에는 중심축(48)에 대한 피봇 움직임을 위해 운송폴(46)이 하우징(42)상에 장착되어 있다. 도 6 및 도 7a에는 보이지 않는 나선형 스프링 양 단부가 하우징(42)과 운송폴(46)을 각각 지지하고 있으며, 운송폴(46)을 중심축(48)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바이어스 시켜서 테이블(45) 방향으로 민다. 플랩(44)에 인접한 단부에서, 운송폴(46)에는 두 개의 스키드(skid)(50)가 있는데, 이 스키드는 운송폴(46)로 하여금 캐리어 웹(15)의 인접한 길이방향 측면을 지지하게 한다. 운송 슬라이드(40)상의 운송폴(46)의 배열은 운송 슬라이드(40)가 도 6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운송폴(46)이 상승 위치에 있게 되며, 반면에 도 6에서 오른쪽으로 운송 슬라이드가 이동하는 동안에는 운송폴(46)은 아래쪽으로 향할 수 있어서 클램핑 부재(52) 및 플랩(44)상에 형성된 테이블(45) 사이에 클램프된 캐리어 웹(15)을 유지하게되어 운송 슬라이드(40)가 캐리어 웹을 도 6의 오른쪽으로 끌고가게 하고, 이는 도 7a~7f를 참고하여 후술하는 내용에도 설명되어 있다.The
도 7a 내지 도 7f에서, 캐리어 웹(15)상의 개개의 라벨(16)은 1에서 5까지 연속으로 번호가 매겨지며, 라벨 번호 1 및 라벨 번호 3은 운송 슬라이드(40) 및 캐리어 웹(15)의 서로 다른 보다 상세한 상대적인 위치를 보여준다. 캐리어 웹(15)에는 길이방향으로 물결-형상의 에지를 가지며, 도 1 내지 도 5로 라벨을 운반한다. 가능한 한, 도 6 및 도 7의 공지된 라벨링 장치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In FIGS. 7A-7F, the
도 1은 운송 슬라이드의 구성 및 운송 슬라이드에 의해 캐리어 웹(15)의 향상된 반출이 이루어지는 점이 종래 라벨링 장치와는 다른 본 발명의 라벨링 장치의 운송 슬라이드(40)의 상세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은 아래쪽에서 바라본 운송 슬라이드(40)를 보여주고 있는데, 즉, 도 6에 도시된 라벨링 장치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2-2라인을 따른 단면도인 도 1의 운송 슬라이드(40)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플랩(44)이 열린 도 1의 운송 슬라이드(40)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의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까지 대략 도달하는 캐리어 웹(15)의 길이는 운송 슬라이드(40) 내에 있다. 도 4는 도 1의 운송 슬라이드(40)의 운송 폴(46)의 상세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운송 폴(46)의 수직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1 shows a detailed view of the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라, 운송 폴(46)에는 일정 폭을 가지고 연장하며 클램핑 부재(52)를 수용하는 홈(54)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핑 부재(52)는 커팅-에지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클램핑 부재(52)와 캐리어 웹(15) 사이에 캐리어 웹(15)의 공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라인 접촉이 있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 클램핑 부재(52)에는 캐리어 웹(15)의 공급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커팅 에지(52a,52b,52c)가 있다. 캐리어 웹(15)으로의 상기 커팅 에지(52a~52c)의 상대적 거리는, 도 2를 통해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급 방향으로 점차 늘어나는데, 즉, 커팅 에지(52a)는 캐리어 웹(15)에 이미 닿아 있고, 커팅 에지(52b)는 캐리어 웹(15)과 약간 떨어져 있고, 커팅 에지(52c)는 커팅 에지(52b)가 캐리어 웹(15)과 떨어져 있는 거리보다는 더 많이 떨어져 있다. 커팅 에지(52a~52c)는 클램핑 부재(52)를 형성하는 단일 몸체상에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서술된 실시예에서, 클램핑 부재(52)는 복수개의 날(blade)(56a,56b,56c)로 구성되어 있다. 홈(54)은 이 날(56a~56c)이 그 내부에 고정되게 수용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운송 슬라이드(40)의 하우징(42)은 주입-몰드 방식으로 제조되며, 날(56a~56c)은 몰딩 작업 전에 그 몰드 안에 놓여져서 운송 폴(46)의 몰딩을 풀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종 형태가 가능하도록 한다. 홈(54) 내부의 배열에는 공급 방향으로 상기 날(56a~56c)을 지지하는 립(55)이 있고 "54"와 같이 상기 홈은 점차 여러 개의 더 작은 홈으로 나눠진다. 날(56a~56c)은 날붙이 금속(cutlery steel) 등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도 2를 통해 분명히 볼 수 있듯이, 날(56a~56c)은 캐리어 웹(15)을 향하면서 운송 폴(46)의 측면상에 동일한 정도로 운송 폴(46)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클램핑 위치에서 이들이 캐리어 웹(15)과 상대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운송 폴(46)에 고정되어 있다. 운송 슬라이드(40)가 도 2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먼저 날(52a)이 캐리어 웹(15)과 선 접촉을 시작한다. 운송 슬라이드(40)가 도 2에서 오른쪽으로 계속 이동하면, 운송 폴(46)은 중심축(48)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점차 회전운동을 하게 되어서 제2 커팅 에지(52b)도 선접촉을 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운송 슬라이드(40)가 캐리어 웹(15)에 대해 그에 따른 강한 당기는 힘을 가해서 커팅 에지(52c)가 캐리어 웹(15)과 선접촉을 하게 되어 캐리어 웹(15)이 테이블(45)에 점차 클램프 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2-5, the
Claims (6)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358318.1 | 2003-12-12 | ||
DE2003158318 DE10358318A1 (en) | 2003-12-12 | 2003-12-12 | label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3951A true KR20060103951A (en) | 2006-10-04 |
Family
ID=3467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13874A KR20060103951A (en) | 2003-12-12 | 2004-12-06 | Label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EP (1) | EP1711402A4 (en) |
JP (1) | JP4469858B2 (en) |
KR (1) | KR20060103951A (en) |
CN (1) | CN1894135A (en) |
AU (1) | AU2004303842B2 (en) |
CA (1) | CA2549002C (en) |
DE (1) | DE10358318A1 (en) |
MX (1) | MXPA06006656A (en) |
TW (1) | TW200528354A (en) |
WO (1) | WO2005061335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186902A1 (en) | 2009-01-27 | 2010-07-29 | Checkpoint Systems International Gmbh | Labeling apparatus having a pivotable base plate with feed wheel |
DE202011050717U1 (en) | 2011-07-13 | 2012-01-13 | Checkpoint Systems International Gmbh | Manual or power operated device |
CN104210720B (en) * | 2014-09-19 | 2017-06-16 | 天津市世佳精工科技有限公司 | Nigh velocity bedy head and its method of work |
CN114379892B (en) * | 2022-02-17 | 2023-09-01 | 广东云山供应链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logistics equipment is with pasting mark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343485A (en) * | 1965-02-05 | 1967-09-26 | Nashua Corp | Label printer and dispenser having reciprocable print carriage |
CH436105A (en) * | 1966-05-05 | 1967-05-15 | Sig Schweiz Industrieges | Device for applying vignettes to packages |
US3619324A (en) | 1969-06-26 | 1971-11-09 | Sato Kiko Kk | Miniature labeling apparatus |
DE2123598C3 (en) * | 1971-05-12 | 1979-12-20 | Meto International Gmbh, 6932 Hirschhorn | Hand-held device for issuing and attaching self-adhesive labels |
US3795356A (en) * | 1972-05-11 | 1974-03-05 | E Orthen | Labelling devices |
US3833058A (en) * | 1973-01-09 | 1974-09-03 | Sulzer Ag | Evaporator |
DE2320333C2 (en) * | 1973-04-21 | 1982-09-16 | Esselte Meto International Gmbh, 6932 Hirschhorn | Device for the gradual removal of a label tape |
DE3115530A1 (en) * | 1981-04-16 | 1982-11-04 | Esselte Pendaflex Corp., 11530 Garden City, N.Y. | "DEVICE FOR INTERMITTENTLY TRANSPORTING A TAPE REQUIRED IN REGULAR INTERVALS" |
DE4309443A1 (en) * | 1993-03-24 | 1994-09-29 | Esselte Meto Int Gmbh | Hand labeling device |
JPH0958643A (en) * | 1995-08-23 | 1997-03-04 | Towa Seiko Kk | Labeling machine |
US5848564A (en) * | 1997-02-24 | 1998-12-15 | Vaagen; Duane | Combination saw blade apparatus |
-
2003
- 2003-12-12 DE DE2003158318 patent/DE10358318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4
- 2004-12-06 WO PCT/US2004/040830 patent/WO200506133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4-12-06 MX MXPA06006656A patent/MXPA06006656A/en unknown
- 2004-12-06 EP EP04813183A patent/EP1711402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4-12-06 CN CNA200480036967XA patent/CN1894135A/en active Pending
- 2004-12-06 KR KR1020067013874A patent/KR20060103951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12-06 JP JP2006543919A patent/JP4469858B2/en active Active
- 2004-12-06 CA CA2549002A patent/CA2549002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12-06 AU AU2004303842A patent/AU2004303842B2/en not_active Ceased
- 2004-12-10 TW TW93138389A patent/TW200528354A/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0528354A (en) | 2005-09-01 |
JP2007513844A (en) | 2007-05-31 |
AU2004303842A1 (en) | 2005-07-07 |
MXPA06006656A (en) | 2006-08-11 |
DE10358318A1 (en) | 2005-07-14 |
EP1711402A4 (en) | 2008-10-29 |
CA2549002A1 (en) | 2005-07-07 |
CA2549002C (en) | 2010-02-09 |
AU2004303842B2 (en) | 2008-06-19 |
JP4469858B2 (en) | 2010-06-02 |
EP1711402A1 (en) | 2006-10-18 |
CN1894135A (en) | 2007-01-10 |
WO2005061335A1 (en) | 2005-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32426B1 (en) | Linerless label cut-off | |
US5826995A (en) | Cassette for a thermal printer | |
WO1996013435A1 (en) | Linerless label applicator | |
US3955711A (en) | Dispenser for self-stick strip-carried labels | |
US20050121146A1 (en) | Label printer that dispenses labels in non-peel or automatic peel modes | |
US4008119A (en) | Labelling device | |
KR20060103951A (en) | Labeling apparatus | |
US3745083A (en) | Apparatus for visually marking an article with characters over an opaque background covering | |
US6899155B2 (en) | Device for applying self-adhesive, substrate-free labels to flat articles | |
US7396170B2 (en) | Device for printing one or several objects moving in a feed direction | |
EP168720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linerless labels | |
GB2064471A (en) | Label applicator | |
KR100251597B1 (en) | Linerless label dispenser | |
EP0605547A1 (en) | Label printer and dispenser | |
US4544433A (en) | Device for intermittently transporting a label bearing tape in a manually operated labeler | |
US6845799B2 (en) | Device for applying labels to flat objects | |
JPH09124018A (en) | Label sticking device | |
JP3423114B2 (en) | Label continuum sticking device | |
EP1121247B1 (en) | Improved low pressure actuated labeling apparatus | |
GB2109747A (en) | Labeller | |
JPH11334156A (en) | Label printer | |
US20100186902A1 (en) | Labeling apparatus having a pivotable base plate with feed wheel | |
JPH08133255A (en) | Apparatus for sticking connected labels | |
JP2009073540A (en) | Label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